KR19990018429A -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429A
KR19990018429A KR1019970041605A KR19970041605A KR19990018429A KR 19990018429 A KR19990018429 A KR 19990018429A KR 1019970041605 A KR1019970041605 A KR 1019970041605A KR 19970041605 A KR19970041605 A KR 19970041605A KR 19990018429 A KR19990018429 A KR 19990018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belt
photosensitive
housing
electrophotographic printer
wet electrophoto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4282B1 (ko
Inventor
한철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1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282B1/ko
Priority to JP10146088A priority patent/JP2869061B1/ja
Priority to US09/088,734 priority patent/US5940673A/en
Priority to CN98109866A priority patent/CN1104666C/zh
Publication of KR19990018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single rotation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58Liquid develop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표면에 부착된 현상액 잔재물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벨트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프린터 본체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과, 감광벨트의 감광면에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브러쉬 및 크리닝 블레이드와, 그 크리닝 블레이드의 선단부 주위에 흡입구가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노즐과, 그 노즐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연결된 펌프와, 상기 브러쉬의 선단부로 용해제를 공급하기 위한 용해제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감광벨트 크리닝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매체로 사용되는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의 잔량 및 찌꺼기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감광벨트 크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시키고, 그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토너로 현상하여 기록지에 전사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된 화상형성장치이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사용하는 토너에 따라 건식과 습식으로 구분되는데, 건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경우 분말 상태의 토너가 사용된다. 반면에,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경우에는 휘발 성분의 액체케리어에 토너가 혼합된 액상의 현상액이 사용되며, 건식의 경우보다 인쇄 품질이 우수한 동시에 유해한 토너 분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서 그 이용이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칼라 프린터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서, 3개의 롤러 즉, 1차롤러(121)와 2차 롤러(122) 및 3차 롤러(123)에 의해 삼각형의 폐곡선 형태로 지지되어 무한궤도로의 순환 주행이 가능하게 설치된 감광벨트(110)를 감광매체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감광벨트(110)의 하방에는 화상신호에 따라 상기 감광벨트(11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노광에 의한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LSU; Laser scanning unit, 130)과, 상기 감광벨트(11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특정 칼라의 토너를 함유한 현상액을 부착시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130)과 현상장치(140)는 칼라 프린팅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칼라에 대한 정전잠상의 형성 및 현상이 가능하도록 복수개가 설치된다. 참조부호 150은 대전장치로서, 상기 감광벨트(110)는 상기 대전장치(15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일정한 전하를 띠고 도시된 화살표시 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130)은 특정색의 패턴 부분에 해당하는 레이저 빔을 상기 감광벨트(110)에 주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감광벨트(110)의 빛을 받은 부분은 전하를 잃게 되어 빛을 받지 않은 부분과 전압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현상장치(140)는 상기 감광벨트(110)의 전하를 잃은 부분에 특정색의 현상액을 현상하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광벨트(110)의 직하방에 설치된 현상롤러(Developer roller; 141)와, 크리닝롤러(142) 및 스퀴즈롤러(Squeegee roller; 144,146)가 설치되어 있고,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와 액체케리어가 혼합된 액상의 현상액(148)이 용기에 담겨져 있다. 참조부호 143은 상기 현상롤러(141)와 감광벨트(110)의 사이에 현상액(148)을 공급하기 위한 현상액 공급기로서, 그로부터 공급된 현상액(148)은 상기 현상롤러(141)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11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부착된다. 상기 크리닝롤러(142)는 상기 현상롤러(141)와 마찰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감광벨트(110)의 정전잠상에 일정량이 부착되고 남은 현상액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스퀴즈롤러(Squeegee roller)는 1차 스퀴즈롤러(144)와 2차 스퀴즈롤러(146)로 구성되며, 감광벨트(110)의 정전잠상에 부착된 현상액(148L)중 액체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거된 액체 캐리어는 각각의 표면에 접촉되는 1차 블레이드(Blade, 145)와 2차 블레이드(147)에 의해 현상장치(140)의 내부로 회수된다. 참조부호 160은 건조장치로서, 상기 감광벨트(110)의 정전잠상에 부착된 액체상태의 현상액(148L)은 상기 건조장치(160)를 지나면서 액체성분이 완전히 제거되어 건조된 상태(148D)로 남게 된다.
상기 현상장치(140)에 의해 감광벨트(110)의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현상된 토너상은 감광벨트(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1차 롤러(121)와 나란하게 설치된 전사롤러(124)에 전사되어 상기 전사롤러(124)와 나란하게 설치된 정착롤러(125)의 사이를 통해 공급되는 기록지(126)에 옮겨짐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프린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170은 프린트가 완료된후 감광벨트(110)의 대전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제전장치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감광벨트(110)의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현상된 토너상이 기록지(126)에 전사된 후, 감광벨트(110)에는 토너가 완전히 제거되어야 하나 완전하게 전사되지 못한 경우에는 미량의 토너 및 찌꺼기가 남게 된다. 또한, 상기 감광벨트(110)에는 순환되는 주행과정에서 프린터 내부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토너 잔재물이나 이물질은 반복되는 인쇄과정에서 감광벨트의 현상불량을 발생시키므로 인쇄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감광벨트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액 잔재물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감광벨트 크리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체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도 1에서 현상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감광벨트 크리닝장치가 적용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체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4는 도 3에서 본 발명에 의한 감광벨트 크리닝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감광벨트 210...하우징
220...브러쉬 230...크리닝 블레이드
240...노즐 250...용해제 공급관
260...용해제 저장 용기 261...용해제
260...백업롤러 P1, P2...펌퍼
C...제어부 S...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는, 다수의 롤러에 의해 무한궤도상의 주행이 가능하게 설치된 감광벨트의 감광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소정 색상의 토너를 부착하여 현상하고, 그 토너상을 전사롤러에 의해 기록지에 전사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감광벨트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액 잔재물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감광벨트 크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린터 본체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 상기 감광벨트의 감광면에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브러쉬; 상기 감광벨트의 감광면에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크리닝 블레이드; 상기 크리닝 블레이드의 선단부 주위에 흡입구가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노즐; 상기 노즐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연결된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기 하우징에는 용해제가 저장된 용기가 마련되고, 상기 용해제는 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브러쉬의 선단부로 공급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크리닝 블레이드의 선단부는 상기 감광벨트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광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크리닝 블레이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백업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감광벨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감광벨트 크리닝장치가 적용된 습식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 보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감광벨트 크리닝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로서, 앞서 도시된 도면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는, 감광벨트(110)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프린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210)과, 상기 감광벨트(110)의 감광면에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설치된 브러쉬(220) 및 선단부가 상기 감광벨트(110)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브러쉬(22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감광벨트(110)의 감광면과 접촉되는 크리닝 블레이드(230)와, 상기 크리닝 블레이드(230)의 선단부 주위에 흡입구가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설치된 노즐(240)과, 상기 노즐(240)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연결된 펌프(P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조부호 250은 상기 브러쉬(220)의 선단부로 용해제(261)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설치된 용해제 저장 용기(260)이고, 250은 상기 브러쉬(220)와 상기 용기(260)를 연결하는 공급관으로서, 상기 용해제(261)는 상기 용기(260)의 일측에 마련된 펌프(P2)에 의해 상기 공급관(250)을 통하여 상기 브러쉬(220)의 선단부로 유출되어 감광벨트(110)의 감광면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C는 상기 펌퍼(P1, P2)와 프린터 본체(100)에 마련된 콘트롤판넬(미도시)에 연결되는 제어부로서, 상기 펌퍼(P1, P2)는 상기 콘트롤판넬의 조작에 의해 그 구동상태가 제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70은 상기 감광벨트(10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백업롤러이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에 의해 감광벨트를 크리닝하게 된다.
예컨대, 오프레이터에 의해 상기 프린터 본체(100)에 마련된 콘트롤판넬(미도시)의 크리닝 스위치가 온(On)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펌프(P2)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브러쉬(220)의 선단부로 용해제(261)를 소량 공급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감광벨트(110)의 감광면에 소량 공급된 용해제(261)는 상기 브러쉬(220)의 마찰작용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110)의 감광면에 부착되어 있는 현상액 잔량이나 이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감광벨트(110)의 감광면으로부터 떨어진 현상액 잔량이나 이물질은 상기 감광벨트(110)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크리닝 블레이드(230)의 선단부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펌프(P2)의 구동고 동시에 또는 구동후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펌퍼(P1)가 구동되도록 시퀀스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노즐(240)이 상기 크리닝 블레이드(230)의 선단부에 걸린 현상액 잔량이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2차적으로 감광벨트(110)의 감광면을 크리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감광벨트 크리닝장치에 따르면, 상기 감광벨트(110)에 일정한 간격 즉, 화상이 형성되는 구간을 표시하기 위한 마크(미도시)를 마련하고, 그 마크를 예컨대, 상기 하우징(210)이나 본체(100)에 별도로 설치된 센서(미도시)에 의해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C)에 신호로 송출함으로써, 상기 제어부(C)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과정에 의해 상기 펌프(P1, P2)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감광벨트(110)의 일정한 주행거리 즉, 화상형성 구간에 따라 자동적으로 감광벨트(110)를 크리닝하게 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폐루프제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에 의하면, 인쇄과정에서 주행하는 감광벨트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액 잔재물이나 오염물질을 브러쉬 및 크리닝 블레이드가 리얼 타임으로 접촉하여 크리닝할 수 있으므로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감광벨트 크리닝장치에 의하면, 용해제의 보충만으로 반영구적인 감광벨트의 크리닝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

Claims (4)

  1. 다수의 롤러에 의해 무한궤도상의 주행이 가능하게 설치된 감광벨트의 감광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소정 색상의 토너를 부착하여 현상하고, 그 토너상을 전사롤러에 의해 기록지에 전사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감광벨트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액 잔재물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감광벨트 크리닝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린터 본체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
    상기 감광벨트의 감광면에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브러쉬;
    상기 감광벨트의 감광면에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크리닝 블레이드;
    상기 크리닝 블레이드의 선단부 주위에 공기 흡입구가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노즐;
    상기 노즐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연결된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용해제가 저장된 용기가 마련되고, 상기 용해제는 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브러쉬의 선단부로 공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 블레이드의 선단부는 상기 감광벨트의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크리닝 블레이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백업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KR1019970041605A 1997-08-27 1997-08-27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KR100234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605A KR100234282B1 (ko) 1997-08-27 1997-08-27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JP10146088A JP2869061B1 (ja) 1997-08-27 1998-05-27 湿式電子写真方式プリンタの感光ベルトクリーニング装置
US09/088,734 US5940673A (en) 1997-08-27 1998-06-02 Photoreceptor belt cleaning apparatus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CN98109866A CN1104666C (zh) 1997-08-27 1998-06-08 液体电摄影术印刷机的感光带清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605A KR100234282B1 (ko) 1997-08-27 1997-08-27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429A true KR19990018429A (ko) 1999-03-15
KR100234282B1 KR100234282B1 (ko) 1999-12-15

Family

ID=1951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605A KR100234282B1 (ko) 1997-08-27 1997-08-27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40673A (ko)
JP (1) JP2869061B1 (ko)
KR (1) KR100234282B1 (ko)
CN (1) CN1104666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985B1 (ko) * 2002-05-28 200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사벨트 크리닝장치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100476958B1 (ko) * 2002-09-13 200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장치
KR100757475B1 (ko) * 2001-02-26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압/해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인쇄기의 감광매체크리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61961B4 (de) * 2004-12-23 2006-09-21 CSAT Gesellschaft für Computer-Systeme und Automations-Technik mbH Vorrichtung zum elektrographischen Drucken oder Kopieren unter Verwendung flüssiger Farbmittel
WO2017019067A1 (en) * 2015-07-29 2017-02-02 Hewlett-Packard Indigo, B.V. Cleaning of a surface in a printing device
EP3325173A4 (en) * 2015-07-29 2019-03-27 Hp Indigo B.V. CLEANING A SURFACE IN A PRINTING DEVICE
US11119437B2 (en) 2018-08-07 2021-09-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ermining cleaning fluid thicknes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1486A (en) * 1983-07-14 1985-02-26 Savin Corporation Wiper blade for electrophotocopier
US5359398A (en) * 1989-11-09 1994-10-25 Ricoh Company, Ltd. Electrophotographic copier with a developing device using a liquid developer
US5175591A (en) * 1991-08-21 1992-12-29 Xerox Corporation Cleaning device including abrading cleaning brush for comet control
US5530538A (en) * 1993-12-30 1996-06-25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ubricating an element in a printing apparatus
JP2970514B2 (ja) * 1995-04-28 1999-11-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余剰現像液除去装置
US5596398A (en) * 1995-09-29 1997-01-21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developer from an imaging substrat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475B1 (ko) * 2001-02-26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압/해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 인쇄기의 감광매체크리닝장치
KR100449985B1 (ko) * 2002-05-28 200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사벨트 크리닝장치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100476958B1 (ko) * 2002-09-13 200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73074A (ja) 1999-03-16
KR100234282B1 (ko) 1999-12-15
CN1104666C (zh) 2003-04-02
CN1209584A (zh) 1999-03-03
JP2869061B1 (ja) 1999-03-10
US5940673A (en) 1999-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4164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50206553A1 (en) Object detection apparatus, object detection method, object detection program, and distance sensor
JP3255339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23428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KR100219658B1 (ko) 습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JPH10111629A (ja) 画像形成装置
JPH10268729A (ja)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100319840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감광매체클리닝장치
JPH08211746A (ja) 液体現像装置
KR200218914Y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
KR10038598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KR100327204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감광매체크리닝장치
KR100275687B1 (ko) 화상형성장치의 감광 매체 크리닝 방법
KR200321605Y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 벨트 크리닝장치
KR10033542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전사롤러크리닝장치
KR100412487B1 (ko) 중간 전사부재 크리닝장치를 갖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200168975Y1 (ko) 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현상장치
JPH0815994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243120B1 (ko) 습식전자사진프린터
JPH0527612A (ja) 転写装置
KR200259771Y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액체캐리어제거장치
KR100304629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롤러 클리닝장치
KR100331314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현상장치
KR19990085859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 롤러 크리닝장치
JP2000131969A (ja) クリーナ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