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958B1 -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958B1
KR100476958B1 KR10-2002-0055813A KR20020055813A KR100476958B1 KR 100476958 B1 KR100476958 B1 KR 100476958B1 KR 20020055813 A KR20020055813 A KR 20020055813A KR 100476958 B1 KR100476958 B1 KR 100476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transfer belt
roll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4263A (ko
Inventor
박근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5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958B1/ko
Publication of KR20040024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47Cleaning of transfer member
    • G03G2215/1661Cleaning of transfer member of transfer belt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는, 클리닝 백업롤러 하단에서 전사밸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클리닝 백업롤러와 일정압력으로 접촉되어 회전하며, 상기 전사밸트 상의 폐 현상액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 상기 클리닝 롤러와 압접되어 상기 클리닝 롤러에 흡수되어 있는 폐 현상액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전사밸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크리닝 백업롤러와 일정압력으로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전사밸트 상의 폐 현상액을 전기적으로 제거하는 클리닝 전극롤러; 및 상기 전사밸트와 일정압력으로 접촉되어 설치되며, 상기 클리닝 롤러 및 클리닝 전극롤러를 거쳐 나오는 상기 전사밸트 상의 케리어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클리닝 롤러와 클리닝 전극롤러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전사밸트에서 제거되는 폐 현상액을 저장하는 현상액 회수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장치{image transfer belt cleaning apparatus of liqui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 현상제를 사용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상액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고화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고, 분말상태의 토너를 이용하는 건식 화상형성장치 보다 인쇄품질이 좋으며 유해한 토너 분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현상된 이미지를 전사밸트에 전사한 후 용지로 이미지를 정착하게 되므로, 선명한 이미지의 정착을 위해서는 상기 전사밸트를 클리닝하는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가 적용된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네 개의 감광체, 즉, 시안 감광체(76), 마젠타 감광체(74), 옐로우 감광체(72), 블랙 감광체(70)에 현상된 각 색상의 화상이 전사밸트(64)로 전사되고, 드라이버 롤러(66) 및 트랜스퍼 롤러(68)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정착된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전사밸트(64) 내부에는 유연성을 가진 전사밸트(64)가 동력원을 가지고 회전하는 드라이버 롤러(66)와 현상된 이미지를 전사밸트(64)에 전사하기 위한 트랜스퍼 백업롤러(65)와 전사밸트(64)의 적정한 장력을 유지시켜 주며 정 위치에서 주행하도록 조정해 주는 스티어링 롤러(62)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인 칼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전사밸트(64)를 사이에 두고 스티어링 롤러(62)와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있는 고무 블레이드(60)가 있으며, 전사밸트(64)와 접촉되어 미끌리면서 폐 현상액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는 용지상에 미정착되고 전사밸트(64)에 부착되어 있는 폐 현상액를 제거하기 위해 전사밸트(64)의 회전방향(61)과 반대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고무 블레이드(60)로서, 전사밸트(64)가 회전함에 따라 고무 블레이드(60)와 미끄러지면서 전사밸트(64) 상의 폐 현상액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전사밸트 크리닝 장치는, 전사밸트(64)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경질(硬質)의 블레이드를 사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소 높은 압력으로 전사밸트(64)에 밀착시켜야 효과적으로 현상액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우레탄 블레이드 등 어느정도 유연성을 가진 재질을 사용해야한다. 특히, 전사밸트(64)와 같은 재질인 우레탄 블레이드를 사용할 경우 전사밸트(64)와 연속적으로 비벼지므로 전사밸트 표면이 손상되기 쉽다.
또한, 전사밸트(64)가 건조한 상태에서 구동하게 되면 전사밸트(64)와 강하게 밀착되어 있는 고무 블레이드(60)가 고정된 정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전사밸트(64)에 이끌려 말려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하여 부품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사밸트 클리닝 블레이드는 회전하는 전사밸트(64)와 같은 재질이 강하게 압접되어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소음이 발생되고 크리닝 블레이드(60)의 국부적인 손상이 발생하여 형성된 화상에 줄무늬가 발생될 수 있으며, 전사밸트(64)의 떨림 현상으로 인해 진동이 발생되어 화상에 지터와 같은 비정상적인 이미지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의 전 후면 양 끝단을 타고 넘어가는 현상액으로 인해 전사밸트 내부의 롤러들이 심하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클리닝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되는 폐 현상액을 회수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액의 제거를 물리적 제거단계와 전기적 제거단계로 구분하여 제거함으로서 보다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보다 깨끗한 화상이 용지에 전사될 수 있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액의 제거와 현상액을 운반하는 케리어의 제거 단계가 분리되어 전사밸트 내부의 백업롤러들로 현상액이 넘어갈 염려가 없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리닝 블레이드가 전사밸트와 미끄러지면서 말려 들어가거나 국부적인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적고, 폐 현상액의 회수가 용이한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는, 드라이버 롤러 및 클리닝 백업롤러 등에 의해 회전하는 전사밸트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벨트 크리닝 장치로서, 상기 클리닝 백업롤러 하단에서 상기 전사밸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클리닝 백업롤러와 일정압력으로 접촉되어 회전하며, 상기 전사밸트 상의 폐 현상액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 상기 클리닝 롤러와 압접되어 상기 클리닝 롤러에 흡수되어 있는 폐 현상액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전사밸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크리닝 백업롤러와 일정압력으로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전사밸트 상의 폐 현상액을 전기적으로 제거하는 클리닝 전극롤러; 및 상기 전사밸트와 일정압력으로 접촉되어 설치되며, 상기 클리닝 롤러 및 클리닝 전극롤러를 거쳐 나오는 상기 전사밸트 상의 케리어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리닝 롤러 및 상기 클리닝 전극롤러는 상기 전사밸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사밸트 상의 폐 현상제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는 상기 전사밸트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사밸트와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가 상기 전사밸트의 진행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리닝 롤러는 전기적 부도체이고, 상기 전극롤러는 전기적 도체로 구성되며, 상기 크리닝 롤러의 회전속도는 전사밸트의 이동속도 보다 빠르고, 크리닝 전극롤러의 회전속도는 전사밸트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크리닝 롤러는 스폰지 또는 브러시(brush) 등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전사밸트와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접촉하여 케리어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클리닝 롤러와 클리닝 전극롤러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전사밸트에서 제거되는 폐 현상액을 저장하는 현상액 회수통을 더 포함하여 폐 잉크의 회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리닝 전극롤러는 상기 전사밸트의 최하단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크리닝 블레이드는 상기 전사밸트가 최 하단 지점을 통과한 후 상승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장치로서, 최적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는,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전사밸트(22) 최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클리닝롤러(12), 클리닝 전극롤러(14), 클리닝 블레이드(16), 현상액 회수통(18)을 포함한다.
클리닝 롤러(12)는 폼롤, 스폰지 또는 브러시 등으로 이루어진 신축성 있는 전기 부도체이다. 또한, 전사밸트(22)를 사이에 두고 클리닝 백업롤러(20)와 일정한 압력을 갖고 밀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압착력에 비례하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전사밸트(22)에 부착되어 있는 폐 토너를 강제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클리닝 롤러(14)는 클리닝 전극롤러(14)와도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회전하며, 스폰지 등으로 구성된 클리닝롤러(12)의 내부로 스며든 폐 현상액을 클리닝 전극롤러(14)와 압착하면서 짜준다. 클리닝롤러(12)의 회전방향은 전사밸트(22)의 회전방향과 동일하나 회전속도는 전사밸트(22)의 이동속도 보다 다소 빠르게 회전하여 전사밸트(22)와 슬립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리닝 전극롤러(14)는 금속 또는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전성 롤러이다. 또한, 전사밸트(22)와 일정압력으로 접촉되어 있으며, 전사밸트(22)의 회전에 따라 접촉 마찰력에 의해 전사밸트(22)와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클리닝 전극롤러(14)는 마이너스 전극에서 플러스 전극으로 이동하려는 현상액의 특성을 이용하여 폐 현상액을 제거한다.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16)는, 전사밸트(22)의 회전방향으로 전사밸트(22)와 예각(a)를 이루도록 설치되며, 전사밸트(22)와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되어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16)는 클리닝 롤러(12)와 클리닝 전극롤러(14)를 통과하여 토너가 제거되고 남은 케리어 액을 전사밸트(22)가 상승하는 지점에서 제거한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16)는 종래기술과 같이 전사밸트(22)와 높은 압력으로 밀착되어 있을 필요가 없고 최소한의 압력으로 밀착되어 있으면 족하다.
폐 현상액통(18)은 상기 클리닝 롤러(12), 클리닝 전극롤러(14) 및 클리닝 블레이드(16)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양 롤러(12,14) 및 블레이드(16)에서 제거되는 현상액(40)을 저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습식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시안 감광체(38), 마젠타 감광체(36), 옐로우 감광체(32), 블랙 감광체(30)에 현상된 현상액이 전사밸트(22)에 전사되고, 드라이버 롤러(24)와 트랜스퍼 롤러(28)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옮겨져 정착되는데, 이때 용지로 정착되지 않고 전사밸트(22)에 남아 있는 폐 현상액을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리닝 롤러(12), 클리닝 전극롤러(14), 클리닝 블레이드(16)로 구분된 3단계로 제거한다.
즉, 전사밸트(22) 표면에 묻어 있는 폐 현상액은 먼저 전사밸트(22)의 이동속도 보다 표면 회전속도가 빠른 클리닝롤러(12)를 통과하면서 폐 현상액 중 토너가 제거되고, 클리닝 전극롤러(14)를 통과하면서 미 제거된 폐 토너가 완벽하게 전기적으로 제거된다.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13과 15와 같이 클리닝 롤러(12)와 클리닝 전극롤러(14)는 전사밸트(22)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토너가 제거된 전사밸트(22)의 표면은 토너를 제외한 케리어 성분만 남게되며, 전사밸트(22)의 최 하단에서 상승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클리닝 블레이드(16)를 통과하면서 케리어액도 완전히 제거된다.
이와 같이 제거된 폐 현상액은 자유 낙하하여 현상액 회수통(18)으로 떨어지게 되며, 전사밸트(22) 내부에 설치된 롤러들 쪽으로 현상액이 넘어가지 않으며, 설령 클리닝 블레이드(16)에서 제거되는 현상액이 전사밸트(22) 내부 쪽으로 일부 넘어간다 하더라도 토너를 이미 양 롤러(12,14)에서 제거하였으므로 전사밸트(22) 내부에 위치된 롤러들이 오염될 염려가 없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는, 토너의 물리적, 전기적 제거 및 클리닝 블레이드 제거로 구분하여 폐 현상액을 제거함으로서 완벽하게 전사밸트로부터 폐 현상액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리닝 블레이드가 낮은 압력으로 전사밸트 진행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사벨트에 손상을 가져올 염려가 없고, 전사밸트에 말려 들어가거나 국부적인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없으며, 깨끗한 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사밸트 내부 쪽으로 현상액이 넘어가지 않아 백업롤러가 오염될 염려가 없으며, 폐 현상액 회수통을 롤러 및 클리닝 블레이드 하단에 위치시켜 폐 현상액의 회수가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의 최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클리닝 롤러 14:클리닝 전극 롤러
16:클리닝 블레이드 18:현상액 회수통
20:클리닝 백업롤러 22:전사밸트
24;드라이버 롤러 28:트랜스퍼 롤러

Claims (11)

  1. 드라이버 롤러 및 클리닝 백업롤러 등에 의해 회전하는 전사밸트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벨트 크리닝 장치로서,
    상기 클리닝 백업롤러 하단에서 상기 전사밸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클리닝 백업롤러와 일정압력으로 접촉되어 회전하며, 상기 전사밸트 상의 폐 현상액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
    상기 클리닝 롤러와 압접되어 상기 클리닝 롤러에 흡수되어 있는 폐 현상액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전사밸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크리닝 백업롤러와 일정압력으로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전사밸트 상의 폐 현상액을 전기적으로 제거하는 클리닝 전극롤러; 및
    상기 전사밸트와 일정압력으로 접촉되어 설치되며, 상기 클리닝 롤러 및 클리닝 전극롤러를 거쳐 나오는 상기 전사밸트 상의 케리어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는 상기 전사밸트의 진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사밸트와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가 상기 전사밸트의 진행방향으로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 및 상기 클리닝 전극롤러는 상기 전사밸트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사밸트 상의 폐 현상제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는 전기적 부도체이고, 상기 전극롤러는 전기적 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 롤러의 회전속도는 전사밸트의 이동속도 보다 빠르고, 크리닝 전극롤러는 전사밸트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 롤러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 롤러는 스폰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 롤러는 브러시(brush)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와 클리닝 전극롤러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전사밸트에서 제거되는 폐 현상액을 저장하는 현상액 회수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전극롤러는 상기 전사밸트의 최하단 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 블레이드는 상기 전사밸트가 최 하단 지점을 통과한 후 상승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 장치.
KR10-2002-0055813A 2002-09-13 2002-09-13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장치 KR100476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813A KR100476958B1 (ko) 2002-09-13 2002-09-13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813A KR100476958B1 (ko) 2002-09-13 2002-09-13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263A KR20040024263A (ko) 2004-03-20
KR100476958B1 true KR100476958B1 (ko) 2005-03-16

Family

ID=3732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813A KR100476958B1 (ko) 2002-09-13 2002-09-13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95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248A (ja) * 1992-09-03 1994-03-25 Ricoh Co Ltd 湿式画像形成装置
JPH0930031A (ja) * 1995-07-20 1997-02-04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H10268729A (ja) * 1997-03-27 1998-10-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19990018429A (ko) * 1997-08-27 1999-03-15 윤종용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JPH11219048A (ja) * 1997-11-28 1999-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ベルトユニット
KR20000051624A (ko) * 1999-01-25 2000-08-16 윤종용 인쇄기용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JP2001092322A (ja) * 1999-09-22 2001-04-06 Konica Corp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58706A (ja) * 2001-03-05 2002-09-11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30091586A (ko) * 2002-05-28 200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사벨트 크리닝장치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248A (ja) * 1992-09-03 1994-03-25 Ricoh Co Ltd 湿式画像形成装置
JPH0930031A (ja) * 1995-07-20 1997-02-04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H10268729A (ja) * 1997-03-27 1998-10-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19990018429A (ko) * 1997-08-27 1999-03-15 윤종용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JPH11219048A (ja) * 1997-11-28 1999-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ベルトユニット
KR20000051624A (ko) * 1999-01-25 2000-08-16 윤종용 인쇄기용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JP2001092322A (ja) * 1999-09-22 2001-04-06 Konica Corp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58706A (ja) * 2001-03-05 2002-09-11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30091586A (ko) * 2002-05-28 200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사벨트 크리닝장치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263A (ko) 200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958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밸트 클리닝장치
KR10036316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유닛
JP2529832B2 (ja) クリ−ニング装置
JP2003241597A (ja) 湿式プリンタの感光ドラムクリーニング装置
JP322940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337543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JP200525038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2562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016627A (ja)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10037019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유니트
JP2004325823A (ja) 画像形成装置
JPH04287081A (ja) 画像形成装置
JPH0683248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JPH10143039A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30501A (ja) 画像形成装置
JPH05132120A (ja) ベルト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622715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74954A (ja) 画像形成装置
JP4276875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H02135487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帯電兼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166532Y1 (ko) 대전 롤러의 크리닝 장치
JPH0580682A (ja) 電子写真装置のクリーニングブラシロール
JPH0546055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H09237021A (ja) ブレードクリーニング装置
JPS60119591A (ja) クリ−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