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893A - 해치백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조립용 지그 - Google Patents

해치백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조립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893A
KR19990017893A KR1019970040975A KR19970040975A KR19990017893A KR 19990017893 A KR19990017893 A KR 19990017893A KR 1019970040975 A KR1019970040975 A KR 1019970040975A KR 19970040975 A KR19970040975 A KR 19970040975A KR 19990017893 A KR19990017893 A KR 19990017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tail gate
jig
loca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0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893A/ko
Publication of KR19990017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893A/ko

Links

Landscapes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치백형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를 차체에 조립하는 데 사용되는 테일 게이트 조립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치백형 차량의 차체 후단 하부에 차체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로프레임(11)과,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좌·우측 각 선단에서 가로프레임(11)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로케이팅 프레임(12)과, 차체 후미의 기준구멍(3a)에 삽입되어 본 발명의 지그(10)를 차체 후미 개방부(2)에 대하여 정중앙에 위치결정해 주도록 상기 각 로케이팅 프레임(12)의 선단마다 구비된 로케이팅 핀(14)과,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저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로케이팅 패드(13)와,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좌·우측 선단에 각각 구비되어 테일 게이트(1)의 양쪽 측면을 지지하도록 된 측면지지용 패드(15)와,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윗면에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테일 게이트(1)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다수개의 하단지지용 패드(16) 및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패드들 위에 얹혀진 테일 게이트(1)를 본 발명의 지그(10)에 대하여 고정해주는 클램프(17)로 이루어져, 테일 게이트(1)를 정확한 조립위치에 조립되게 해주는 것이다.

Description

해치백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조립용 지그
본 발명은 해치백(hatch back)형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tail gate) 조립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에 테일 게이트를 조립하는 데 사용되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해치백 자동차는 주로 레저목적의 차로 사용되므로 트렁크가 구비되지 않고 그 대신 뒤쪽에서 많은 양의 짐을 싣기 위하여 후미가 개방될 수 있도록 테일 게이트가 조립되어 있다.
상기 해치백형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는 양쪽선단이 각각 차체 후미 상단에 힌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테일 게이트를 조립할 때 종래에는 2명의 작업자가 그 테일 게이트를 들어올려서 차체에 설치한 상태에서 수작업으로 힌지결합하고 있었다.
이러한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조립하는 경우에 차체 후미 개방부의 좌우측 테두리부에 대하여 정확히 중앙에 배치되지 않고 좌·우측중 어느 한쪽으로 지우쳐 조립되는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테일 게이트를 수작업으로 조립함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조립불량은 테일 게이트가 차체 측벽 테두리부와 틈새를 형성하게 되고 이 틈새를 통하여 빗물 등이 유입되는 치명적인 차량결함을 일으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테일 게이트를 조립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테일 게이트를 정확한 위치에 조립되도록 안내하는 테일 게이트 조립용 지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치백형 차량의 차체 후단 하부에 차체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의 좌·우측 각 선단에서 가로프레임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로케이팅 프레임과, 차체 후미의 기준구멍에 삽입되어 본 발명의 지그를 차체 후미 개방부에 대하여 정중앙에 위치결정해 주도록 상기 각 로케이팅 프레임의 선단마다 구비된 로케이팅 핀과, 상기 가로프레임의 저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로케이팅 패드와, 상기 가로프레임의 좌·우측 선단에 각각 구비되어 테일 게이트의 양쪽 측면을 지지하도록 된 측면지지용 패드와, 상기 가로프레임의 윗면에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테일 게이트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다수개의 하단지지용 패드 및 상기 가로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패드들 위에 얹혀진 테일 게이트를 본 발명의 지그에 대하여 고정해주는 클램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지그는 테일 게이트가 차체 폭방향의 정중앙에 배치되면서 차체에 조립되게 함으로써 테일 게이트의 조립불량을 막을 수 있고, 아울러 테일 게이트를 조립하는 데 작업자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로 트렁크 리드를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본 발명의 지그를 차체의 후미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b)는 상기 도 2(a)의 지그에 테일 게이트를 얹고 클램프로 고정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테일 게이트가 조립되는 해치백형 자동차의 후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일 게이트 2 : 차체 후단 개방부
3 : 차체 후단 패널 3a : 기준구멍
3b : 리브 4 : 힌지부
10 :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조립용 지그 11 : 가로프레임
12: 로케이팅 프레임 13 : 로케이팅 패드
14: 로케이팅 핀 15 : 측면지지용 패드
16: 하단지지용 패드 17 : 클램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조립용 지그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조립용 지그(10)는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치백형 차량의 차체 후단 하부에 차체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로프레임(11)과,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좌·우측 각 선단에서 가로프레임(11)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로케이팅 프레임(12)과, 차체 후미의 기준구멍(3a)에 삽입되어 본 발명의 지그(10)를 차체 후미 개방부(2)에 대하여 정중앙에 위치결정해 주도록 상기 각 로케이팅 프레임(12)의 선단마다 구비된 로케이팅 핀(14)과,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저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로케이팅 패드(13)와,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좌·우측 선단에 각각 구비되어 테일 게이트(1)의 양쪽 측면을 지지하도록 된 측면지지용 패드(15)와,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윗면에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테일 게이트(1)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다수개의 하단지지용 패드(16) 및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패드들 위에 얹혀진 테일 게이트(1)를 본 발명의 지그(10)에 대하여 고정해주는 클램프(1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지그(10)를 이용하여 차체에 테일 게이트(1)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지그(10)를 들어서 차체에 설치하는 데, 이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로케이팅 핀(14)을 차체의 후단 패널(3)에 형성된 2개의 기준구멍(3a)에 각각 삽입하고 아울러 가로프레임(11)의 중앙에 구비된 로케이팅 패드(13)를 차체 후단의 외측벽에 형성된 리브(3b)에 끼워서 본 발명의 지그(10)를 차폭방향의 정중앙에 배치되도록 차체에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테일 게이트(1)를 들어올려 지그(10)에 설치한다. 이 때 테일 게이트(1)의 하단은 상기 본 발명의 가로프레임(11)위에 구비된 하단지지용 패드(16) 위에 얹혀져 지지되도록 하고, 측면지지용 패드(15)에는 테일 게이트(1)의 측면이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테일 게이트(1)가 본 발명에 따른 지그(10)위에 얹혀져 지지되면 테일 게이트(1)는 조립위치로 정열되게 되는 데, 이 상태에서 상기 가로프레임(11) 중앙에 구비된 클램프(17)로 지지용 패드들 위에 얹혀진 테일 게이트(1) 하단을 본 발명의 지그(10)에 흔들림없이 지지한다.
그리고 나면 테일 게이트(1)는 본 발명의 지그(10)에 지지된 상태로 차체에 조립될 준비가 끝난다. 이 상태에서 테일 게이트(1)를 차체 후미 상단에 힌지결합하여 테일 게이트(1) 조립을 마친다.
그리고나서 차체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지그(10)를 차체에서 분리해 낸다. 지그(10)를 분리하는 순서는 지그(10)를 설치하는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그(10)는 테일 게이트(1)가 조립되어야 할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안내해주므로 조립불량을 막아주고, 아울러 테일 게이트(1)가 조립완료될 때까지 그 테일 게이트(1)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작업하는 데 힘이 들지않아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해치백형 차량의 차체 후단 하부에 차체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로프레임(11)과,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좌·우측 각 선단에서 가로프레임(11)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로케이팅 프레임(12)과, 차체 후미의 기준구멍(3a)에 삽입되어 본 발명의 지그(10)를 차체 후미 개방부(2)에 대하여 정중앙에 위치결정해 주도록 상기 각 로케이팅 프레임(12)의 선단마다 구비된 로케이팅 핀(14)과,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저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차체 후단(3)의 리브(3b)에 결합됨으로써 좌우측방향에 대한 위치를 고정해주는 로케이팅 패드(13)와,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좌·우측 선단에 각각 구비되어 테일 게이트(1)의 양쪽 측면을 지지하도록 된 측면지지용 패드(15)와,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윗면에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테일 게이트(1)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된 다수개의 하단지지용 패드(16) 및 상기 가로프레임(11)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패드들 위에 얹혀진 테일 게이트(1)를 본 발명의 지그(10)에 대하여 고정해주는 클램프(17)로 이루어진 해치백형 차량의 테일 게이트 조립용 지그.
KR1019970040975A 1997-08-26 1997-08-26 해치백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조립용 지그 KR19990017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975A KR19990017893A (ko) 1997-08-26 1997-08-26 해치백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조립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975A KR19990017893A (ko) 1997-08-26 1997-08-26 해치백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조립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893A true KR19990017893A (ko) 1999-03-15

Family

ID=6604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975A KR19990017893A (ko) 1997-08-26 1997-08-26 해치백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조립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8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582B1 (ko) * 2000-11-07 2002-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테일 게이트 사양 감지용 지그
KR100428338B1 (ko) * 2001-10-16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볼스터 어셈블리용 지그장치
KR200490550Y1 (ko) * 2019-01-28 2019-11-28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픽업 적재함 캠핑용 확장장치
CN110883723A (zh) * 2019-11-14 2020-03-17 广汽本田汽车有限公司 尾门定位夹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582B1 (ko) * 2000-11-07 2002-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테일 게이트 사양 감지용 지그
KR100428338B1 (ko) * 2001-10-16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볼스터 어셈블리용 지그장치
KR200490550Y1 (ko) * 2019-01-28 2019-11-28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픽업 적재함 캠핑용 확장장치
CN110883723A (zh) * 2019-11-14 2020-03-17 广汽本田汽车有限公司 尾门定位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64535B (zh) 用于将天窗组件联接到车辆的结构框架的方法
JP4423612B2 (ja) ドアガードバーの取付構造
JPS6393621A (ja) ドア用カートリッジ・アセンブリーとドア・アセンブリーおよびドアの組立方法
JPH1029473A (ja) ウェザストリップ
JPS6047125B2 (ja) 車両用開閉体における機能部品取付部構造
KR19990017893A (ko) 해치백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조립용 지그
JP2009040345A (ja) 自動車のドアヒンジ取付治具及びドアヒンジ取付方法
JPS588425A (ja) 車両用ハ−ネスの配設構造
JPH0810033Y2 (ja) リヤバンパカバー構造
JP7238716B2 (ja) 車両の側方下部構造
JPS6239319A (ja) サンル−フフレ−ムの取付構造
KR0141039B1 (ko) 자동차의 차체도장용 지그
JPH086587Y2 (ja) 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取り付け構造
JPH0635731Y2 (ja) ウイングボディ形荷箱におけるルーフ部センターフレーム取付構造
KR970006828Y1 (ko) 승용차용 리어윈도우글라스의 취부구조
KR0135853Y1 (ko) 힌지의 고정홀 가공위치 검사용 치구
JP2017094937A (ja) テールゲートの取り付け構造
KR200141609Y1 (ko) 자동차 도어힌지의 장착구조
JP2789975B2 (ja) ドアウィンドウパネルの保持構造
KR0124356Y1 (ko) 자동차의 휴즈 박스
JPH06254475A (ja) 自動車のドア固定治具
JPH1016567A (ja) 自動車のドア取付構造
JP2507046Y2 (ja) 離脱したテ―ルゲ―トリンクの一時固定構造
KR0114619Y1 (ko) 자동차의 고정유리 설치구조
KR19990002523U (ko) 차량용 트렁크 보드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