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356Y1 - 자동차의 휴즈 박스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휴즈 박스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356Y1
KR0124356Y1 KR2019950030754U KR19950030754U KR0124356Y1 KR 0124356 Y1 KR0124356 Y1 KR 0124356Y1 KR 2019950030754 U KR2019950030754 U KR 2019950030754U KR 19950030754 U KR19950030754 U KR 19950030754U KR 0124356 Y1 KR0124356 Y1 KR 01243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ox
sides
guide
main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0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330U (ko
Inventor
장성열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30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356Y1/ko
Publication of KR9700173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3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3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휴즈 박스에 관한 것으로, 그 양 측면에 가이드홈을 가지고, 하단의 양쪽은 자동차 계기 패널의 휴즈 박스 장착부의 커버에 고정되어 있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양쪽에서 감싸면서, 그 양쪽 하단에는 상기 본체부 양 측면의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단은 축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휴즈박스 장착부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커버를 열면 본체부가 작업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위치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휴즈 박스 (A fuse box in a car)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휴즈 박스에서 휴즈 박스 장착부 커버를 열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고,
제2(a)도는 제1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제2(b)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즈 박스에서, 휴즈 박스 장착부 커버를 닫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제3도는 종래의 자동차 휴즈 박스가 계기 패널의 휴즈 박스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휴즈 박스 장착부의 커버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시사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가이드홈 12 : 휴즈 박스 장착부
13 : 커버 14 : 고정수단
15 : 본체부 16 : 가이드 돌기부
17 : 가이드부 18 : 계기패널
19 : 휴즈
본 고안은 자동차의 휴즈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즈의 교환이나 점검 등이 용이한 자동차의 휴즈 박스에 관한 것이다.
제3도는 종래의 자동차 휴즈박스가 계기 패널의 휴즈 박스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휴즈 박스 장착부의 커버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시사도이다.
휴즈 박스(21)는 일반적으로, 계기 패널(22)에 마련된 휴즈 박스 장착부(23)에 설치되는 데, 종래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즈 박스 장착부(23)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서, 휴즈의 교환이나 점검 등을 하기 위해서는 휴즈 박스 장착부(23)의 커버(24)를 열고,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해야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즈 박스는, 그 설치되는 부위가 계기 패널의 하부, 즉 아래로 경사진 부분이기 때문에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구부리고 앉아서 고개를 위로 보면서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휴즈 박스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휴즈의 교환 및 검사 작업이 용이한 자동차의 휴즈 박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 휴즈 박스는, 그 양 측면에 가이드 홈을 가지고, 하단의 양쪽은 자동차 계기 패널의 휴즈 박스 장착부의 커버에 고정되어 있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양쪽에서 감싸면서, 그 양쪽 하단에는 상기 본체부 양 측면의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단은 축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휴즈박스 장착부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자동차의 휴즈 박스에 의하면, 휴즈 박스 장착부의 커버를 열 경우, 휴즈 박스 본체부가 앞에서 작업하기 쉽도록 경사져 위치하게 되므로, 휴즈의 교환이나 점검 등이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휴즈 박스의 일례를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휴즈 박스에서 휴즈 박스 장착부 커버를 열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고, 제2(a)도는 제1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제2(b)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즈 박스에서, 휴즈 박스 장착부 커버를 닫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의 자동차 휴즈 박스는, 그 양 측면에 가이드 홈(11)을 가지고, 하단의 양쪽은 자동차 계기패널(18)의 휴즈 박스 장착부(12)의 커버(13)에 고정수단(14)을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는 본체부(15); 및 상기 본체부(15)를 양쪽에서 감싸면서, 그 양쪽 하단에는 상기 본체부(15) 양 측면의 상기 가이드 홈(11)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1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돌기부(16)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단은 축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휴즈박스 장착부(12)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부(17)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즉, 계기 패널의 휴즈 박스 장착부 내에 고정되어 있던 종래의 휴즈 박스와는 달리, 커버를 열면 휴즈 박스 본체부가 끌려나와서 작업자가 작업하기 편하도록 앞쪽으로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도록 본체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를 갖는 가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해 좀더 상술하기로 한다. 제2(b)도를 참조하면, 휴즈 박스 장착부(12)의 커버(13)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휴즈 박스 본체부(15)는 휴즈(19)가 내측으로 향하도록 후면으로 위치해 있고, 커버(13) 상단의 본체부(15)와의 고정 수단(14)은 위쪽으로 위치하며, 가이드부(17)의 가이드 돌기(16)는 가이드 홈(11)을 따라 아래로 내려와 있다.
이 상태에서 커버(13)을 열게되면,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5)는 그 하단의 고정 수단(14)에 의해 커버(13)가 열리는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휴즈(19)가 정면으로 위치하게 되고, 가이드부(17)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하면서 가이드 돌기(16)가 본체부(15)의 가이드 홈(11)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휴즈(19)가 보이는 정면이 앞쪽으로 위치하게 된다.
커버(13)를 닫을 때는 상기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자동차의 휴즈 박스에 의하면, 휴즈 박스 본체부가 휴즈 박스 장착부의 커버를 열면 앞으로 경사지게 위치되어 작업자가 휴즈의 교환이나 점검 등의 작업을 할 때, 구부리지 않고도 수월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그 일례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그 양 측면에 가이드 홈을 가지고, 하단의 양쪽은 자동차 계기 패널의 휴즈 박스 장착부의 커버에 고정되어 있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양쪽에서 감싸면서, 그 양쪽 하단에는 상기 본체부 양 측면의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단은 축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휴즈박스 장착부의 상단에 고저오디어 있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휴즈 박스.
KR2019950030754U 1995-10-27 1995-10-27 자동차의 휴즈 박스 KR0124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754U KR0124356Y1 (ko) 1995-10-27 1995-10-27 자동차의 휴즈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754U KR0124356Y1 (ko) 1995-10-27 1995-10-27 자동차의 휴즈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330U KR970017330U (ko) 1997-05-23
KR0124356Y1 true KR0124356Y1 (ko) 1998-10-15

Family

ID=1942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0754U KR0124356Y1 (ko) 1995-10-27 1995-10-27 자동차의 휴즈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3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330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11673A (ja) コンバーチブルトップ用リヤーガラスにおける通線保護ケース構造
KR0124356Y1 (ko) 자동차의 휴즈 박스
JP3458005B2 (ja) 自動車ドア用配線構造
JPH032084B2 (ko)
KR0135614Y1 (ko) 필러도어 개방장치
KR0155655B1 (ko) 인슐레이터 마운팅구조
KR0131046Y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커버의 판넬 마운팅 구조
KR0115725Y1 (ko) 엔진후드 고정장치
KR970005417Y1 (ko) 자동차도어용 글라스가이드
JPH08310299A (ja) 車両用マップランプ配設部構造
KR100223530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KR0137336Y1 (ko) 버스 차량용 사이드 윈도우를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 몰드
KR200151613Y1 (ko) 자동차의 카페트와 로커패널 커버 조립장치
KR100350882B1 (ko) 자동차용 퓨즈박스
KR950004341Y1 (ko) 자동차 글로브 박스 개방시의 스톱퍼장치
KR0112518Y1 (ko) 승용차용 트렁크룸램프의 설치구조
JPS592645B2 (ja) 車両用開閉式屋根における駆動ワイヤの支持構造
KR19980017304U (ko) 차량용 퓨즈박스
KR0131792Y1 (ko) 자동차의 후드 래치 케이블의 고정브라켓
JP2000085491A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内部構造
KR20020026968A (ko) 자동차의 후드 스테이 로드 고정구
KR19980040804U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의 리드 스토퍼 고정구조
KR19980012592U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KR19980068170U (ko) 자동차의 후드레버 취부구조
KR980007921U (ko) 자동차의 후드 릴리즈 레버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