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290U -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 - Google Patents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290U
KR19990015290U KR2019970028520U KR19970028520U KR19990015290U KR 19990015290 U KR19990015290 U KR 19990015290U KR 2019970028520 U KR2019970028520 U KR 2019970028520U KR 19970028520 U KR19970028520 U KR 19970028520U KR 19990015290 U KR19990015290 U KR 199900152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uel inlet
passenger car
fuel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8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5290U/ko
Publication of KR199900152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290U/ko

Link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용차의 연료주입용 캡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내리지 않고서도 연료주입구를 개방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캡이 연료주입구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연료주입구 차단용 캡을 분실할 염려가 없는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은, 차량의 후위부에 위치하며 캡(7)에 의하여 연료주입구(5)가 차단되는 승용차에 있어서, 연료주입구(5)를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단부가 연장부(13a)가 형성되고 힌지부(15)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캡(13); 상기 캡(13)의 연장부(13a)와 연결되어서 캡(13)을 상하이동하도록 작동하는 온/오프작동부(11); 그리고 상기 온/오프작동부(11)에 구동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
본 고안은 승용차의 연료주입용 캡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내리지 않고서도 연료주입구를 개방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캡이 연료주입구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연료주입구 차단용 캡을 분실할 염려가 없는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승용차에는 연료탱크가 차량의 후위에 위치하며 차량의 연료주입구도 역시 후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연료주입구는 통상적으로 연료주입구의 외측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나사산에 형합되는 암나사산을 가진 캡에 의하여 연료탱크가 밀폐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승용차(1)의 측면도로서, 연료주입구(5)의 일반적인 위치와 차단수단인 캡(7)이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료를 주입하지 않는 경우에는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는 커버(3)를 사용하여 외부와 차단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연료주입구(5) 주변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한 평단면도인 도 2를 참고하면 차체(9)로부터 약간 들어가 위치에 연료주입구(5)가 돌출되어 있으며 연료주입구(5)의 개방된 단부(연료주입을 위하여 주유소에서 주유호스를 삽입하는 부분)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캡(7)의 내측단부에는 상기 숫나사산과 형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서 나사결합에 의하여 연료주입구(5)를 차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료주입구(5)를 밀폐하는 캡(7)은 단순한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통상 주유소 주유원이 수동으로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캡이 연료주입구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분실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내리지 않고서도 연료주입구를 개방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캡이 연료주입구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연료주입구 차단용 캡을 분실할 염려가 없는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은, 차량의 후위부에 위치하며 캡(7)에 의하여 연료주입구(5)가 차단되는 승용차에 있어서, 연료주입구(5)를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단부가 연장부(13a)가 형성되고 힌지부(15)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캡(13); 상기 캡(13)의 연장부(13a)와 연결되어서 캡(13)을 상하이동하도록 작동하는 온/오프작동부(11); 그리고 상기 온/오프작동부(11)에 구동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승용차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승용차의 연료주입구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의 일구성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용차, 3 : 커버,
5 : 연료주입구, 7 : 캡,
9 : 차체, 11: 온/오프작동부,
13: 캡, 13a: 연장부,
15: 힌지부, 17: 제어부,
111: 제1연결기어, 112: 제2연결기어,
113: 구동모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승용차의 연료주입구를 밀폐하는 캡을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온/오프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조작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분리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분실의 염려가 없는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연료주입구 캡이 설치된 승용차 연료주입구의 부분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주입구(5)의 개방된 상단부가 캡(13)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으며, 캡(13)은 일측단부가 힌지부(15)에 의하여 고정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캡(13)은 힌지부(15)를 중심으로 상하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힌지부(15)가 형성된 상기 캡(13)의 단부에는 또한 캡(13)을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온/오프 작동부(11)가 설치된다. 상기 온/오프작동부(11)는 자체 구동수단에 의하여 온/오프작동부(11)에 연결된 캡(13)의 연결부를 이동시켜서 힌지부(15)를 중심으로하여 상하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온/오프작동부(11)는 제어부(17)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7)는 운전자로부터의 작동신호, 즉 연료주입구(5)를 밀폐하고 있는 캡(13)을 개방하거나 또는 개방된 캡(13)으로 연료주입구(5)를 밀폐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이것을 감지하고 온/오프작동부(11)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캡(13)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17)는 종래 승용차의 제어에 사용되는 ECU를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제어용 마이컴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본 고안의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의 일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캡(13)의 일측단부에는 연장부(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장부(13a)의 전단에는 힌지부(15)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15)는 차체(9)에 이동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캡(13)의 이동도 역시 불가능하다.
연장부(13a)는 온/오프작동부(11)에 연결된다. 온/오프작동부(11)는 연장부(13a)에 결합된 제2연결기어(112), 상기 제2연결기어(112)와 연결된 제1연결기어(111), 그리고 제1연결기어(111)와 연결되며 제1연결기어(11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기어(111,112)는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형기어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13)는 캡(13)의 온/오프동작을 위하여는 서로 다른 2방향으로 작동하여야 하므로 정회전,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직류구동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113)의 회전방향은 제어부(17)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상태는 연료주입구(5)가 캡(13)에 의하여 밀폐된 상태로서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운전자가 연료주입을 위하여 운전석에서 작동스위치(미도시됨)를 누르면 이 작동신호는 제어부(17)에 입력된다. 제어부(17)에서는 캡(13)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구동모터(113)의 회전방향을 개방으로 설정된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회전방향은 예를 들어서 정회전->개방, 역회전->폐쇄와 같이 설정할 수 있으며, 이것은 제어부(17)에 저장된다.
캡(13)을 열기 위하여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113)가 작동되면 연결된 제1연결기어(111)가 회전하면서 역시 연결된 제2연결기어(112)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서 캡(13)은 힌지부(15)를 중심으로하여 연장부(13a)의 대향단부가 상승하면서 연료주입구(5)가 개방되는 것이다. 이렇게 개방된 상태정보는 제어부(17)에 저장되어서 현재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방된 상태에서 연료주입이 완료되면 운전자는 다시 캡(13)을 폐쇄하기 위하여 스위치(미도시됨)를 눌러준다. 스위치의 누름에 의한 제어신호가입력되면 제어부(17)에서는 현재 상태를 인식하고 캡(13)이 개방상태임을 인식하고 이것을 폐쇄하기 위하여 역회전신호를 출력한다.
역회전신호가 출력되면 구동모터(113)의 회전방향은 개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연결기어(111) 및 제2연결기어(112)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힌지부(15)를 중심으로 연장부(13a)의 대향단부가 연료주입구(5)를 향하여 이동하여서 연료주입구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연료주입구(5)를 밀폐하는 캡(13)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연료주입구(5)를 밀폐하는 캡(13)이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분실의 염려가 없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내리지 않고서도 연료주입구를 개방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캡이 연료주입구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연료주입구 차단용 캡을 분실할 염려가 없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2)

  1. 차량의 후위부에 위치하며 캡(7)에 의하여 연료주입구(5)가 차단되는 승용차에 있어서,
    연료주입구(5)를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단부가 연장부(13a)가 형성되고 힌지부(15)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캡(13);
    상기 캡(13)의 연장부(13a)와 연결되어서 캡(13)을 상하이동하도록 작동하는 온/오프작동부(11); 그리고 상기
    온/오프작동부(11)에 구동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작동부(11)가 연장부(13a)에 결합된 제2연결기어(112), 상기 제2연결기어(112)와 연결된 제1연결기어(111), 그리고 제1연결기어(111)와 연결되며 제1연결기어(11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
KR2019970028520U 1997-10-14 1997-10-14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 KR199900152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520U KR19990015290U (ko) 1997-10-14 1997-10-14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520U KR19990015290U (ko) 1997-10-14 1997-10-14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290U true KR19990015290U (ko) 1999-05-15

Family

ID=6967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520U KR19990015290U (ko) 1997-10-14 1997-10-14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529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529B1 (ko) * 1999-05-07 200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주입구용 캡 미장착 방지 장치
KR100957088B1 (ko) * 2004-08-17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주입구 개폐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529B1 (ko) * 1999-05-07 200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주입구용 캡 미장착 방지 장치
KR100957088B1 (ko) * 2004-08-17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주입구 개폐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1938B2 (ja) サンルーフ装置
KR19990015290U (ko) 승용차의 연료주입구 캡
US7261360B2 (en) Device for closing an access opening in a motor vehicle outer skin
US6353300B1 (en) Open roof operating method and open roof operation control system
KR100444670B1 (ko) 자동차의 연료주입 시스템
KR0137310Y1 (ko) 자동차 도어 록킹장치
KR200151109Y1 (ko) 자동차의 퓨얼필러도어 개폐장치
KR19980037837A (ko) 연료주입구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JPH035444Y2 (ko)
ES8504319A1 (es) Circuito de mando del motor de accionamiento de un panel practicable de vehiculo automovil
EP0382186A3 (en) A slidable roof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950005606Y1 (ko) 차량의 파워윈도우 제어회로
JPS62251232A (ja) 車両用サンル−フの制御装置
KR200149534Y1 (ko) 러버 스토퍼를 갖는 스윙도어 드라이브 샤프트 구조
KR0132146Y1 (ko) 자동차 도어용 디포지트 박스 커버
KR19980045479U (ko) 윙바디차량의 윙로킹장치
KR19980062530A (ko) 자동차의 트렁크용 램프 작동 제어장치
KR200140914Y1 (ko) 차량 도어개폐레버 연결구
KR19990027118A (ko) 온도와 압력감지에 의한 선루프 자동 개폐 장치
KR19980051986U (ko) 더블 캐브 트렁크의 스텝 팬 장치
KR19980042766U (ko) 파우어 윈도우 작동장치
KR19980021090U (ko) 연료탱크의 누유방지장치
KR19980053790A (ko) 자동차의 윈도우 개폐장치
KR19980012519U (ko) 테일 게이트 적용 차량의 도어 자동개폐장치
KR19990059963A (ko) 윈도우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