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776U - 방호물 - Google Patents

방호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2776U
KR19990012776U KR2019970025910U KR19970025910U KR19990012776U KR 19990012776 U KR19990012776 U KR 19990012776U KR 2019970025910 U KR2019970025910 U KR 2019970025910U KR 19970025910 U KR19970025910 U KR 19970025910U KR 19990012776 U KR19990012776 U KR 199900127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buffer element
fixing
fille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섭
Original Assignee
최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섭 filed Critical 최원섭
Priority to KR2019970025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2776U/ko
Publication of KR199900127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776U/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기처분하기가 곤란하여 환경오염의 주원인이 되고 있는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가드휀스나 도로의 중앙분리대 등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 방호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충요소(111)가 연결요소(120)에 의해 서로 연결된 완충물(110)과; 상기 완충물(110)을 이루는 완충요소(111)를 바닥면(200)에 고정하는 고정요소(130)와; 상기 완충요소(111)의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재(140)와; 상기 완충요소(11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방호물
본 고안은 방호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폐기처분하기가 곤란하여 환경오염의 주원인이 되고 있는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가드휀스나 도로의 중앙분리대 등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 방호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종래의 도로분리대나 가드휀스 등과 같은 방호물은 주재료로 이용되는 철재가 부식성에 약해 쉽게 부식되어 외부충격이 가해질 경우 쉽게 파손되기 때문에 분리대로써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또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방호물은 중량이 무거워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완충력이 결여되어 차량의 충돌될 경우, 차량이 크게 파손될 수 있음은 물론 차량에 탑승한 승객에게도 충돌시의 충격이 전달되어 그 피해가 가중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호물은 완제품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현장으로 운반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일부분 파손된 경우 이를 보수하거나 부분적으로 교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설치 및 철거가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방호물에 충돌되는 차량 및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구성된 방호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충요소가 연결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된 완충물과; 상기 완충물을 이루는 완충요소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요소와; 상기 완충요소의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재와; 상기 완충요소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물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의 (가), (나)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의 (가), (나)는 중앙분리대에 설치된 방호물을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7의 (가), (나)는 가드레일에에 설치된 방호물을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완충물111 : 완충요소
120 : 연결요소130 : 고정요소
140 : 충진재150 : 표시부
200 : 바닥면300 : 중앙분리대
400 : 가드레일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방호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호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충요소(111)가 바닥면(200)에 연이어 배치된 완충물(110)과, 상기 복수의 완충요소(111)를 서로 연결되는 연결요소(120)와, 상기 완충요소(111)를 바닥면(200)에 고정하는 고정요소(13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완충물(110)의 내부에는 경우에 따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진재(140)가 채워질 수 있고, 상기 완충물(110)의 전면에는 교통안내, 거리이름, 광고, 위치, 진행방향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도형 또는 문자 등으로 나타낸 표시부(150)가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요소(111)는 완충물(110)을 이루기 위해 서로 접하는 부위 및 바닥면(200)과 접하는 부위에 연결요소(120)와 고정요소(130)가 체결되도록 관통된 연결공(11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완충요소(111)는 방수성과 탈력성이 뛰어난 타이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완충력을 갖는 재료를 이용하여 원형 또는 다각형의 통형상으로 형상할 수 있다.
상기 완충요소(111)의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재(140)는 폐타이어를 적정크기로 분쇄한 조각편을 사용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펄프나 탈력성을 갖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요소(120)는 서로 연결되는 완충요소(111)의 연결공(112)에 끼워져 서로 체결되는 볼트(121)와 너트(122) 및 상기 볼트(121)와 너트(122)의 체결시 연결공(112) 부위의 완충요소(111) 내면에 밀착되도록 볼트(121)에 끼워지는 와셔(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요소(130)는 하부가 바닥면(200)에 매립되어 고정되고 상부에 나사부(131a)가 형성된 앵커(131)와, 상기 앵커(131)의 나사부(131a)이 체결되는 너트(132)와, 상기 앵커(131)와 너트(132)의 체결시 연결공(112) 부위의 완충요소(111) 내면에 밀착되도록 앵커(131)의 상부에 끼워지는 와셔(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물(110)의 외측면에는 교통안내표시, 거리이름, 광고, 위치, 진행방향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도형 또는 문자 등으로 나타낸 표시부(150)를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음을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완충물(110)의 외주면에 직접 다양한 색상과 용도의 페인트를 도색하여 표시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호물은 복수개의 완충요소(111)가 연결요소(1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완충물(110)을 바닥면(200)에 반쯤 매립 설치하여 농로나 산악도로 및 산책로의 가드레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외부로 돌출된 완충물(110)에 표시부(150)를 형성하여 도로의 방향이나 위치 및 지명 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방호물은 경우에 따라 도 5의 (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요소(111)를 일정간격을 두며 고정요소(130)로 바닥면(200)에 고정하여 설치하거나 바닥면(200)에 반쯤 매립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6의 (가), (나)는 중앙분리대에 설치된 방호물을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7의 (가), (나)는 가드레일에 설치된 방호물을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제작된 중앙분리대(300) 또는 철재로 제작된 가드레일(400)에 설치되는 방호물은 중앙분리대(300) 또는 가드레일(400)의 측면에 완충요소(111)를 수직으로 배치하고, 상기 완충요소(111)의 저면에 고정요소(130)를 체결하여 바닥면(200)에 고정하며, 상기 완충요소(111)의 측면 소정부위에 고정요소(130)를 체결하여 중앙분리대(300) 또는 가드레일(4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요소(111)는 다수 연결요소(1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중앙분리대(300) 또는 가드레일(400)의 측면에 연이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완충요소(111)의 전면에는 교통안내, 거리이름, 광고, 위치, 진행방향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도형 또는 문자 등으로 나타낸 표시부(150)가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요소(111)의 내부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진재(140)가 채워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완충요소를 연결요소로 연결한 완충물과, 상기 완충물을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요소와, 상기 완충물에 설치되는 표시부와 경우에 따라 상기 완충물의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재로 이루어진 방호물은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설치 및 운반이 쉽고, 일부 파손된 부분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완충물이 탄력성을 갖기 때문에 방호물에 충돌되는 차량이나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폐기처분이 곤란한 폐타이어를 완충요소를 재활용함으로써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충요소(111)가 연결요소(120)에 의해 서로 연결된 완충물(110)과; 상기 완충물(110)을 이루는 완충요소(111)를 바닥면(200)에 고정하는 고정요소(130)와가 포함되어 구성되어 중앙분리대, 가드레일용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요소(111)의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재(140)와; 상기 완충요소(111)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요소(111)는 타이어가 사용되고, 상기 연결요소(120)는 완충요소(111)의 연결공(112)에 끼워지는 볼트(121)와, 상기 볼트(121)에 체결되는 너트(122)와, 상기 볼트(121)와 너트(122)의 체결시 완충요소(111)의 연결공(112) 부위에 밀착되도록 볼트(121)에 끼워지는 와셔(123)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요소(130)는 바닥면(200)에 고정되는 앵커(131)와, 상기 앵커(131)에 체결되는 너트(132)와, 상기 앵커(131)와 너트(132)의 체결시 연결공(112) 부위의 완충요소(111) 내면에 밀착되도록 앵커(131)에 끼워지는 와셔(133)로 구성되고, 상기 충진재(140)는 타이어를 파쇄한 조각편이 이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물.
  4. 바닥면(200)에 세워진 중앙분리대(300)와; 상기 중앙분리대(300)의 측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배치되는 완충요소(111)와; 상기 완충요소(111)를 바닥면(200)과 중앙분리대(300)에 고정하는 고정요소(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요소(11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요소(120)와; 상기 완충요소(111)의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재(140)와; 상기 완충요소(111)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물.
  6. 바닥면(200)에 세워진 가드레일(400)과; 상기 가드레일(400)의 측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배치되는 완충요소(111)와; 상기 완충요소(111)를 바닥면(200)과 중앙분리대(300)에 고정하는 고정요소(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요소(11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요소(120)와; 상기 완충요소(111)의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재(140)와; 상기 완충요소(111)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물.
KR2019970025910U 1997-09-12 1997-09-12 방호물 KR199900127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910U KR19990012776U (ko) 1997-09-12 1997-09-12 방호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910U KR19990012776U (ko) 1997-09-12 1997-09-12 방호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776U true KR19990012776U (ko) 1999-04-15

Family

ID=69689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910U KR19990012776U (ko) 1997-09-12 1997-09-12 방호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277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6056B2 (ja) 衝撃吸収用道路防護柵
US3141655A (en) Energy absorbing device
KR102346690B1 (ko)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
KR101441292B1 (ko) 차량 방호 장치
KR19990012776U (ko) 방호물
KR200422066Y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200159633Y1 (ko) 방호물
KR100657561B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JP2019085809A (ja) 道路標識柱用緩衝材
KR200249073Y1 (ko) 탄성봉을 이용한 차도 콘크리트 방호벽의 완충구조
KR200166007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차량충격완화장치
KR200270838Y1 (ko)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KR200248390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의 충격흡수형 안전시설물
KR100510853B1 (ko) 차선 규제장치
KR200370382Y1 (ko) 도로 중앙 분리대
CN217150001U (zh) 一种市政交通用防撞柱
KR102456665B1 (ko) 다기능 시선유도장치
KR200389208Y1 (ko) 가드레일용 충격흡수 표지체
KR200229403Y1 (ko) 도로용 충격흡수형 차량 충돌방지장치
KR200324535Y1 (ko) 교각 보호 구조
KR200320638Y1 (ko) 지하도로의 기둥 보호용 우레탄 스폰지를 내장한폐타이어 덮개커버구조
KR200295900Y1 (ko) 형광층이 형성된 복합재료 가드레일
KR200363977Y1 (ko) 도로 설치용 방호물
KR200248389Y1 (ko) 폐타이어와 안전덮개 고무판을 이용한 차량의 충격흡수형도로 방호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