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600A - 간판프레임용 제조용 "v"홈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간판프레임용 제조용 "v"홈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600A
KR19990011600A KR1019970034746A KR19970034746A KR19990011600A KR 19990011600 A KR19990011600 A KR 19990011600A KR 1019970034746 A KR1019970034746 A KR 1019970034746A KR 19970034746 A KR19970034746 A KR 19970034746A KR 19990011600 A KR19990011600 A KR 19990011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lifting
tool mounting
plate
cutt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도
Original Assignee
이종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도 filed Critical 이종도
Priority to KR101997003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600A/ko
Publication of KR1999001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600A/ko

Links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간판프레임을 제조할 때 절곡을 쉽게하기 위하여 재료판재에 길이 방향으로 V홈을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임.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종래에는 세이퍼(SHAPER) 형태의 가공기계를 사용하여 가공하였으나, 이때는 길이가 긴 재료판재를 한번에 가공할 수가 없고 작업시간이 많이 걸려 생산능률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음.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받침롤러(48)위로 재료판재(100)를 통과시키면서 그 상부에 길이 및 위치조절이 가능한 절삭공구(44)를 설치하여 재료판재(100)가 이송하면서 V형 홈(99)이 가공되도록 함.
[발명의 중요한 용도]
길이가 매우 긴 재료판재를 한번 통과시킴으로써 가공작업이 완료되므로 생산력이 매우 향상됨.

Description

간판프레임 제조용 V홈 가공장치
본 발명은 간판을 제조하기 위해 절판을 길이 방향으로 절골할 때 절곡이 용이하면서 깔끔하고 정확하게 절곡시킬 수 있도록 하는 V 홈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삭공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철판이 절삭공구의 아래로 롤러를 타고 이송되면서 절삭날에 의해 철판에 V 형의 홈이 가공되도록 함으로써, V 형 홈을 가공할수 있게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금속재의 판재(특히 스테인레스판재)를 각이지게 절곡할 때는 접히는 부분의 내면쪽에 판재의 살이 몰려 뭉쳐지기 때문에 절곡하는 자체가 매우 힘이들고 정확하게 접혀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금속판재를 각이지게 절골할 때는 접히는 쪽의 내면에 접는 선을 따라 V 형태의 홈을 길게 형성하여 단면상형태로 되게 한후 절곡을 함으로써, 접는 과정을 쉽게 하면서 정확하고 깔끔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V 홈 가공은 세이퍼(SHAPER)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공작기계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그 과정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테이블위에 길이가 긴 판재를 깔아놓고 바이트가 고정된 헤드가 판재위를 수차례 왕복하면서 V 형태의 홈을 조금씩 조금씩 절삭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 가공방법의 문제점을 열거하자면, 가공기계의 테이블 길이 및 헤드의 왕복거리가 한정되어 있어서, 가공할 수 있는 판재의 길이가 한정되므로 매우 길이가 긴 판재는 한번에 가공할 수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가공하거나 일정길이를 가공한 후 판재를 다시 이동시킨 다음 또 가공을 하는 등 매우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가공할 판재가 두꺼울 경우 헤드가 한번 왕복만에 필요한 길이로 가공할수 없기 때문에 수차례 왕복을 반복하여야 하고 한번왕복 후 바이트의 길이를 다시 조절하여야 하는 등 가공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생상뉼이 매우 낮은 것이었으며, 작업자가 항상 옆에서 대기하면서 바이트를 조절하여야 하는 등 인력의 낭비라는 중대한 문제점도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안출된 본 발명은 길이가 매우 긴 판재를 한번만 통과시키면 V 형의 홈을 가공 완료할 수 있는 가공장치를 안출하여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수 있으면서 작업속도를 매우 빠르게 하고 또한 인력의 절감효과를 가져올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B-B')선 확대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C-C'선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D에서 본 확대측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E-E'선 단면도
제 6 도는 제 4 도의 F-F'선 단면도
제 7 도는 제 4 도의 G-G'선 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의해 판재가 간판용 프레임으로 성형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공장치, 2 : 프레임, 3 : 모타, 4 : 체인, 10 : 진입롤러장치, 11, 롤러지지대, 12 : 원통형롤러, 13 : 승강롤러, 14 : 압착커버, 15 : 가이드홈, 16 : 베어링블럭, 17 : 가이드돌부, 18 : 승강실린더, 18' : 로드, 20 : 배출롤러장치, 30 : 절삭장치, 31 : 기둥, 32 : 지지대, 33 : 승강공간, 34, 34' : 승강대, 35 : 고정판, 36 : 고정볼트, 37, 37' : 조절나봉, 38 : 너트, 39 : 핀, 40 : 이송공간, 41, 41' : 공구설치대, 42 : 돌출부, 43 : 공구설치구멍, 44 : 절삭공구, 45 : 길이고정볼트, 46 : 덮개판, 47 : 승강볼트, 48 : 받침롤러, 49 : 지지판, 50 : 공기유입관, 51 : 밸브, 52 : 분사관, 53 : 베어링블럭, 54 : 안내롤러, 55 : 가이드홈, 100 : 재료판재
본 발명의 가공장치(1)는 길이가 긴 프레임(2)위에 설치되는데, 앞쪽과 맨뒷쪽에 진입롤러장치(10)와 배출롤러장치(20)를 설치하고 그 중간에는 6개 ~ 8개정도의 절삭장치(30)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우선 진입롤러장치(10)와 배출롤러장치(20)의 구성을 제 2 도 및 제 3 도를 통해 살펴보면,
프레임(2)의 양측에 롤러지지대(11)를 설치하고 그사이 하단부에 원통형롤러(12)를 설치한후 상기 원통형롤러(12)는 프레임(2) 내부의 모타(3)와 체인(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한다.
원통형롤러(12)의 상부에는 승강롤러(13)를 설치하는데,
상기 승강롤러(13)의 외면에는 고무재질의 압착커버(14)를 감싸 구성하고 승강롤러(13)의 양단부는 가이드홈(15)이 있는 베어링블럭(16)에 지지시키며, 롤러지지대(11)의 내부에 가이드돌부(17)를 형성하여 베어링블럭(16)의 가이드홈(15)이 가이드돌부(17)에 삽입되어 승강공간(19)내를 승강가능토록 하였다.
또 양측롤러지지대(11)의 상부에는 승강실린더(18)를 설치한 후 그 로드(18')끝을 베어링블럭(16)에 고정시켜 승강실린더(18)의 작용에 의해 베어링블럭(16) 및 그에 설치된 승강롤러(13)가 승강되도록 하였다.
롤러장치(10)와 배출롤러장치(20) 사이에 다수 설치되는 절삭장치(30)의 구성을 보면,
프레임(2)의 양단에 2개의 기둥(31)으로 구성된 지지대(32)를 세워설치하고 양측기둥(31) 사이의 승강공간(33)에 2개의 승강대(34)(34')를 수평으로 삽입시킨 후 양측지지대(32)의 바깥쪽에서 고정판(35)을 고정볼트(36)로 고정시킨다.
상기 승강대(34)(34') 사이에 약간의 이송공간(40)을 두어 2개의 조절나봉(37)(37')을 삽입하여 양측고정판(35)을 관통하도록 한 후 양단을 너트(38)로 고정시키면서 핀(39)을 삽입하여 너트(38)가 회전되지 못하게 하였다.
승강대(34)(34')의 앞쪽에는 2개의 공구설치대(41)(41')를 설치하되 뒷쪽으로 돌출부(42)를 형성하여 승강대(34)(34') 사이의 이송공간(40)으로 삽입시키면서 조절나봉(37)(37')이 관통되도록 하는데, 일측의 조절나봉(37)은 일측의 공구설치대(41)와 나사결합시키고 다른 공구설치대(41')와는 공회전하도록 하였고 다른 일측의 조절나봉(37')은 공구설치대(41') 하고만 나사결합되도록 하여 한개의 조절나봉(37)(37')을 회전시키면 한개의 공구설치대(41)(41')만 이송되도록 하였다.
공구설치대(41)(41')의 앞쪽에는 수직방향으로 4각형의 공구설치 구멍(43)을 형성한 후 여기에 절삭공구(44)를 삽입하며, 공구설치대(41)(41')의 앞쪽에는 2개의 길이고정볼트(45)를 형성하여 절삭공구(44)를 일정길이로 조절하면서 조절 후 고정시킬 수 있게 하였다.
양측의 지지대(32) 상부에는 덮개판(46)을 얹어 고정시킨 다음 승강볼트(47)를 나사결합시켜 하단을 승강대(34)에 고정시켜 승강볼트(47)의 회전으로 승강대(34)(34') 전체가 승강공간(33)내를 승강할 수 있게 하였다.
절삭공구(44)의 바로아래 하단에는 양측이 베어링블럭(53)에 지지되는 받침롤러(48)를 설치하였으며, 일측지지대(32)의 상부에는 지지판(49)을 설치한 후 그위에 공기유입관(50)을 고정시키고 여기서 밸브(51)를 통해 분사관(52)을 연결하여 절삭공구(44)의 날부분으로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게끔 하였다.
그리고 진입롤러장치(10)와 배출롤러장치(20) 및 절삭장치(30)의 앞부분(여러개의 절삭장치중 한개건너 한개정도)에는 안내롤러(54)를 설치하는데 재료판재(100)가 진입되는 위치와 높이등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홈(55)을 형성하고 회전이 원활하도록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된 부호 60은 롤러형태로 팔아놓은 재료판재(100)를 준비하는 재료거치대, 61은 재료판재(100)진입시의 받침대, 62는 받침롤러(48)를 지지하는 베어링블럭, 63은 원통형롤러(12)를 지지하는 베어링블럭, 64는 베어링, 65는 고정판(35)을 견고히 고정시키는 볼트, 66은 덮개판(46)을 지지대(32)에 고정시키는 볼트, 60'는 V홈 가공이 완료된 재료판재(100)를 권회하는 장치, 200은 별도의 절곡장치에 의해 절곡완료된 간판프레임.
상기와 같은 본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롤형태로 말린 재료판재(100)를 재료거치대(60)에 걸어두고 재료판재(100)의 일단을 진입롤러장치(10)로 진입시키는데, 우선 승강실린더(18)를 작용시켜 승강롤러(13)를 들어올림으로써 원통형롤러(12)와의 사이에 재료판재(100)가 진입될 공간을 마련한 다음, 다시 승강실린더(18)의 작용으로 승강롤러(13)를 하강시켜 승강롤러(13)와 원통형롤러(12) 사이에 재료판재(100)가 힘껏 물리도록 한다.
이때 승강롤러(13)는 양측이 지지되는 베어링블럭(16)이 승강실린더(18)의 로드(18')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가이드홈(15)이 가이드돌부(17)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승강실린더(18)가 작용하면 승강공간(19)내를 승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재료판재(100)를 물린다음 모타(3)를 작용시켜 연속설치된 절삭장치(30)로 재료판재(100)는 밀어 보내는데, 재료판재(100)는 받침롤러(48)에 얹혀진 상태로 통과하면서 그위에 설치된 절삭공구(44)에 의해 V 형 홈(99)이 형성되는 것으로, 필요한 깊이 만큼의 V 형 홈(99)이 한개의 절삭장치(30)를 통과하면서 조금씩 절삭가공하여 완성되도록 절삭공구(44)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절삭장치(30)는 2단계로 절삭공구(44)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가 있고 아울러 절삭공구(44)의 횡방향 이송도 가능토록되어 있는데, 먼저 1단계로 절삭공구(44)의 돌출길이 조절과정을 보면,
승강볼트(47)를 회전시키면 덮개판(46)을 기준으로 승강하므로 승강볼트(47)에 결합된 승강대(34)(34') 전체가 승강하므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방법으로 어느정도의 높이조절을 한 후 다시 2단계로 절삭공구(44)의 돌출길이를 더욱 정밀하게 조절하는데, 이때는 절삭공구(44)를 고정시키는 길이 고정볼트(45)를 풀러서 절삭공구(44)의 돌출길이를 조절한 후 다시 잠그면 된다.
또 간판의 종류에 따라 재료판재(100)의 V 형 홈(99)을 형성하는 위치가 따르므로 절삭공구(44)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때는 일측의 조절나봉(37)을 회전시키면 일측의 공구설치대(41)와 나사결합되고 다른 공구설치대(41')는 그렇지 아니하므로 일측의 공구설치대(41)만 이송하는 것이며, 다른 일측의 조절나봉(37')을 회전시키면 다른쪽의 공구설치대(41')가 이동하므로 각각 V 형 홈(99)형성이 필요한 위치로 조절한 후 정지시키면 된다.
절삭과정 중 아래의 받침롤러(48)는 재료판재(100)의 이송을 도와주면서 절삭과정 중 재료판재(100)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절삭과정 중 아래의 받침롤러(48)는 재료판재(100)의 이송을 도와주면서 절삭과정 중 재료판재(100)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각 절삭장치(30)의 옆에 설치된 공기유입관(50)과 분사관(52)으로는 고압의 공기를 분사시킴으로써, 절삭공구(44)가 재료판재(100)에 V 형 홈을 절삭할 때 발생하는 칩을 날려보내므로 칩이 절삭공구(44)에 끼워 날이 망가지거나 절삭이 잘되지 않은 경우를 예방하는 것이고, 집입롤러장치(10) 및 배출롤러장치(20)의 앞과 절삭장치(30)의 앞에 설치되는 안내롤러(54)는 가이드홈(55)에 재료판재(100)의 폭방향 양단부가 가이드되도록 하는 것으로, 재료판재(100)가 진입 또는 절삭되며 통과할 때 항상 일직선으로 진행하도록 가이드하여 곧고 균일한 절삭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V 형 홈(99)의 절삭을 완료한 재료판재는 재료권회장치(60')를 이용하여 다시 롤형태로 말아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롤형태의 길이가 긴재료판재(100)를 한번만 통과시키면 가공이 완료되므로 일정길이 분할하여 수회반복 작업할 필요가 없어서 매우 효율적으로 재료를 사용할 수가 있고 그에 따라 작업시간이 매우 빠르며 작업인력도 절감할 수 있는 등 생산능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프레임(2)의 맨 앞쪽과 뒷쪽에 상·하 2개의 롤러로 구성되면서 상부의 롤러가 승강가능토록하여 재료판재(100)를 몰고서 진입 및 배출시키는 진입롤러장치(10)와 배출롤러장치(20)를 구성하고,
    그 사이에는 받침롤러(48)위에 수직으로 절삭공구(44)를 설치하여 재료판재(100)가 이송되면서 절삭공구(44)에 의해 V 형 홈(99)이 가공되도록 하는 절삭장치(30)를 다수개 연속설치하여, 길이가 긴 재료판재(100)를 통과시키면서 필요할 길이와 숫자의 V 형 홈(99) 가공을 한번에 완료시키도록 된 간판프레임 제조용 V 홈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진입롤러장치(10)와 배출롤러장치(20)는 2개의 롤러지지대(11)를 설치하고 그사이 하단부에 원통형롤러(12)를 설치한 후 모타(3)와 체인(4)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하고 원통형롤러(12)의 상부에는 압착커버(14)를 감싸 구성된 승강롤러(13)를 설치하되, 승강롤러(13)가 지지되는 양단부는 가이드홈(15)이 있는 베어링블럭(16)에 지지되게 하면서 롤러지지대(11)의 내부에 가이드돌부(17)를 형성하여 베어링블럭(16)의 가이드홈(15)이 가이드돌부(17)에 삽입되어 승강공간(19)내를 승강가능토록 하며, 양측롤러지지대(11)의 상부에는 승강실린더(18)를 설치한 후 그 로드(18')끝을 베어링블럭(16)에 고정시켜 승강실린더(18)의 작용에 의해 베어링블럭(16) 및 승강롤러(13)가 승강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프레임 제조용 V 홈 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절삭장치(30)는 프레임(2)의 폭방향 양단에 2개의 기둥(31)으로 구성된 지지대(32)를 세워 설치하고 양측기둥(31) 사이의 승강공간(33)에 2개의 승강대(34)(34')를 수평으로 삽입시킨 후 양측지지대(32)의 바깥쪽에서 고정판(35)을 고정볼트(36)로 고정시키며, 상기 승강대(34)(34')에 공구설치대(41)(41')를 설치하되 앞쪽에 수직방향으로 4각형의 공구설치 구멍(43)을 형성한 후 여기에 절삭공구(44)를 삽입하고, 공구설치대(41)(41')의 앞쪽에는 2개의 길이고정볼트(45)를 형성하여 절삭공구(44)를 고전시키면서 길이 조절가능하게 하며, 양측의 지지대(32) 상부에는 덮개판(46)을 얹어 고정시킨 다음 승강볼트(47)를 나사결합시키고 하단끝을 승강대(34)에 고정시켜 승강볼트(47)의 회전으로 승강대(34)(34')가 승강공간(33)내를 승강할 수 있게 구성함을특징으로 하는 간판프레임 제조용 V 홈 가공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승강대(34)(34')에 설치되는 절삭공구(44) 및 공구설치대(41)(41')의 수평방향 이송을 위한 구성으로, 승강대(34)(34') 사이에 약간의 이송공간(40)을 두어 2개의 조절나봉(37)(37')을 삽입하여 양측고정판(35)을 관통하도록 한 후 양단을 너트(38)로 고정시키면서 핀(39)을 삽입하여 너트(38)를 완전히 고정시키고 공구설치대(41)(41')의 뒷쪽으로 돌출부(42)를 형성하여 승강대(34)(34') 사이의 이송공간으로 삽입시켜조절나봉(37)(37')이 관통되도록 하면서 일측의 조절나봉(37)은 일측의 공구설치대(41)와 나사결합시키고 다른 공구설치대(41')와는 공회전하도록 하며, 다른 일측의 조절나봉(37')은 공구설치대(41') 하고만 나사결합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프레임 제조용 V 홈 가공장치.
KR1019970034746A 1997-07-19 1997-07-19 간판프레임용 제조용 "v"홈 가공장치 KR19990011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746A KR19990011600A (ko) 1997-07-19 1997-07-19 간판프레임용 제조용 "v"홈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746A KR19990011600A (ko) 1997-07-19 1997-07-19 간판프레임용 제조용 "v"홈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600A true KR19990011600A (ko) 1999-02-18

Family

ID=6604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746A KR19990011600A (ko) 1997-07-19 1997-07-19 간판프레임용 제조용 "v"홈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60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259B1 (ko) * 1999-10-08 2002-01-12 오일동 간판용 프레임의 상하 결합단부 결합방법 및 결합장치
KR100423729B1 (ko) * 2000-11-11 2004-03-26 유영호 브이커팅기용 다핀키트
KR100466899B1 (ko) * 2002-02-06 2005-01-24 주식회사 에스엘 엘씨디 도광판의 산란패턴 가공용 공구 및 이를 장착한 가공 장치
KR100553527B1 (ko) * 2005-04-07 2006-02-21 최장섭 브이홈 가공기
KR101160606B1 (ko) * 2011-03-31 2012-06-28 광스틸 주식회사 덕트패널용 컷팅 및 본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덕트패널의 컷팅 및 본딩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259B1 (ko) * 1999-10-08 2002-01-12 오일동 간판용 프레임의 상하 결합단부 결합방법 및 결합장치
KR100423729B1 (ko) * 2000-11-11 2004-03-26 유영호 브이커팅기용 다핀키트
KR100466899B1 (ko) * 2002-02-06 2005-01-24 주식회사 에스엘 엘씨디 도광판의 산란패턴 가공용 공구 및 이를 장착한 가공 장치
KR100553527B1 (ko) * 2005-04-07 2006-02-21 최장섭 브이홈 가공기
KR101160606B1 (ko) * 2011-03-31 2012-06-28 광스틸 주식회사 덕트패널용 컷팅 및 본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덕트패널의 컷팅 및 본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388079U (zh) 一种机械配件加工焊接装置
KR19990011600A (ko) 간판프레임용 제조용 "v"홈 가공장치
CN210099093U (zh) 一种护栏生产用切割辅助装置
CN111496037B (zh) 一种高精准度铝型材挤压折弯一体装置
CN219233704U (zh) 一种管件冲孔装置
CN107234657A (zh) 一种可调夹具
CN215543894U (zh) 一种铜材校直装置
CN213617297U (zh) 一种便于调节的木门加工用冲孔装置
KR20020025599A (ko) 사이드 트리머의 스트립 에지부 평탄유지장치
CN209970410U (zh) 一种用于夹子轴销加工后的修剪装置
CN219359560U (zh) 一种pvc透明板生产用裁边装置
CN216801490U (zh) 一种建筑钢筋拉伸调直装置
KR102244399B1 (ko) 케이블 덕트 제조장치
CN220621117U (zh) 一种楼承板用对接装置
CN112150986B (zh) 钢琴琴弦绕扣装置
CN211564330U (zh) 施工钢筋折弯装置
CN213591681U (zh) 一种活门安装座陶芯拼接装置
CN219786404U (zh) 一种排钉冲切装置
CN213916429U (zh) 一种管材切断机送料装置
CN214323347U (zh) 帘片成型机
CN213701365U (zh) 一种稳定性好的铝板成型机
CN215239280U (zh) 一种龙门钻床精准定位装置
CN214191789U (zh) 一种金属带加工的支撑辅助机构
CN220970929U (zh) 一种金属材料加工裁切装置
KR20050009304A (ko) 폭 벤딩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