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596U -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596U
KR19990011596U KR2019970025032U KR19970025032U KR19990011596U KR 19990011596 U KR19990011596 U KR 19990011596U KR 2019970025032 U KR2019970025032 U KR 2019970025032U KR 19970025032 U KR19970025032 U KR 19970025032U KR 19990011596 U KR19990011596 U KR 199900115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tating plate
plate
main body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5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596U/ko
Publication of KR199900115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596U/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행권발행기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잠금할 수 있는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기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본체 케이스의 내측 상단부에 소정길이로 돌출 형성된 걸림판과, 걸림판에 걸림 유지되도록 그 일측단이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회동판과, 회동판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회동판을 소정각도로 회동시키는 푸시레버 및 그 일단은 회동판에 고정되고 타단은 도어에 연결되어 회동판이 걸림판에 탄력적으로 걸림 유지/해제되도록 회동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
본 고안은 통행권발행기의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잠금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량한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구측 톨 게이트(Toll-Gate)와 출구측 톨 게이트가 설치된 폐쇄식의 유로화된 고속도로에서는 입구측 톨 게이트에 통행권발행기가 설치되어 고속도로를 통행하는데 따른 요금징수를 목적으로 통행권을 발행한다.
도 1은 종래 자동 통행권발행기의 도어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가 종래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의 록킹/언록킹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통행권발행기는 크게 모든 구성요소가 내부에 장치되는 본체 케이스(2)와, 본체 케이스(2)의 측면에 개페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4)와, 도어(4)의 정면에 힌지 결합된 도어핸들(6)과, 도어(4)의 냉측 상단부에 설치된 걸림판(8)과, 도어핸들(6)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선택적으로 걸림판(8)에 걸림 유지되어 도어(4)를 잠금하는 핸들바(1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잠금상태에서 도어(4)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는 도어핸들(6)을 소정방향으로 돌리면 도어핸들(6)의 회전에 의해서 핸들바(40)가 하방으로 연동되며, 이때 걸림판(8)에 걸림 유지되어 있던 핸들바(40)의 선단부가 걸림판(8)으로부터 이탈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4)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에서는 도어의 조립공차에 따라 핸들바와 걸림판의 간섭량이 크게 되면 도어핸들에 부하가 크게 걸리게 되어 도어핸들을 돌리는 데 힘이 많이 들게 되며, 무리한 힘으로 도어 핸들을 돌릴 경우에 도어핸들이 부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잠금할 수 있는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기기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와, 본체 케이스의 내측 상단부에 소정길이로 돌출 형성된 걸림판과, 걸림판에 걸림 유지되도록 그 일측단이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회동판과, 회동판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회동판을 소정각도로 회동시키는 푸시레버 및 그 일단은 회동판에 고정되고 타단은 도어에 연결되어 회동판이 걸림판에 탄력적으로 걸림 유지/해제되도록 회동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통행권발행기의 도어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종래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의 록킹/언록킹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의 언록킹/록킹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도어130 : 도어핸들
140 : 핸들바150 : 걸림판
160 : 회동판170 : 인장 스프링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의 언록킹/록킹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종 기기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110)와, 본체 케이스(110)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20)와, 도어(120)에 설치되는 도어핸들(130) 및 핸들바(140)와, 핸들바(140)의 선단부가 걸림 유지되는 걸림판(150)과, 걸림판(150)에 걸림유지되는 회동판(160)과, 회동판(16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 스프링(170)으로 대별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본체 케이스(110)는 각종 기기 및 부품을 수납하도록 되어 있으며, 본체 케이스(110)의 측면에는 도어(120)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는 바, 도어(1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110)의 내측 상단부에는 소정길이로 걸림판(150)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판(150)과 관계하여 도어(120) 내측에는 회동판(160)이 구비되어 있다. 회동판(160)은 일측단부가 도어(12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단부가 힌지부(164)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걸림판(150)에 걸림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판(160)의 중간부에는 연결장홈(16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장홈(162)에는 회동판(160)을 소정각도로 회동시키는 핸들바(140)가 핀결합되어 있다.
전술한 인장 스프링(170)은 그 일단이 회동판(160)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도어(120)에 연결되어 있다. 연장 스프링(170)의 역할은 회동판(160)이 걸림판(150)에 탄력적으로 걸림 유지/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판(150)에 걸림 유지되는 회동판(160)의 선단부에는 회동판(160)과 걸림판(150)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부싱(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도어(120)의 잠금 상태에서 도어핸들(130)을 소정방향으로 돌리면 도어핸들(130)에 연동되어 핸들바(140)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핸들바(140)의 이동에 의해 회동판(160)은 힌지부(164)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게 되며, 회동판(160)이 소정위치로 회전하는 순간 인장 스프링(170)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판(160)이 탄력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에서, 인장스프링(170)은 걸림판(150)에 걸림 유지되어 있는 회동판(160)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핸들바(140)에 의해 회동판(160)이 회동되는 경우 소정위치에서 회동판(160)에 탄성력을 제공, 다시말해 회동판(160)이 회동되는 소정위치에서 회동판(160)의 걸림/해제를 탄력적으로 걸림/해제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동판(160)의 선단부에 부싱이 구비되는 경우 부싱에 의해서 회동판(160)은 마찰저항을 덜 받으면 회동될 수 있다. 회동판(16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걸림판(150)에 걸림 유지되어 있는 회동판(160)의 선단부가 걸림판(150)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도어(120)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어(120)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의 역순으로 도어핸들(130)을 돌리면 핸들바(140)가 상방으로 연동되어 이동되고, 핸들바(140)가 소정 이동되면 회동판(160)이 힌지부(164)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인장 스프링(17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회동판(160)의 선단부가 걸림판(150)에 걸림 유지되어 도어(120)의 잠금이 수행된다. 이때, 핸들바(140)는 회동판(160)의 연결장홈(162)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공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핸들의 작동이 원활하며, 도어핸들을 무리하게 돌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어핸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기기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측 상단부에 소정길이로 돌출 형성된 걸림판;
    상기 걸림판에 걸림 유지되도록 그 일측단이 상기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회동판;
    상기 회동판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판을 소정각도로 회동시키는 푸시레버; 및
    그 일단은 상기 회동판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판이 상기 걸림판에 탄력적으로 걸림 유지/해제되도록 상기 회동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의 중간부에는 연결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장홈에는 상기 푸시레버의 선단부가 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
KR2019970025032U 1997-08-31 1997-08-31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 KR199900115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032U KR19990011596U (ko) 1997-08-31 1997-08-31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032U KR19990011596U (ko) 1997-08-31 1997-08-31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596U true KR19990011596U (ko) 1999-03-25

Family

ID=6967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032U KR19990011596U (ko) 1997-08-31 1997-08-31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59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7436B1 (en) Three-part motor vehicle door lock
US6554329B1 (en) Motor vehicle door lock with unlocking memorization
CN112937267A (zh) 车门打开和关闭装置
KR102602955B1 (ko) 차량용 연료 도어 장치
GB2325270A (en) Automotive door latch
KR19990011596U (ko) 통행권발행기의 도어 잠금장치
KR100293030B1 (ko) 배전반용 핸들
JPS5847173Y2 (ja) 自動販売機の扉のロック機構
KR940006905Y1 (ko) 록킹장치
KR950005182Y1 (ko) 드럼식 세탁기의 도어록커
KR200148201Y1 (ko) 대문 열림방지용 로킹장치
JPH0726528Y2 (ja) 開閉機構のロック装置
KR970004888Y1 (ko)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KR200226727Y1 (ko) 배전반용 핸들
KR200167596Y1 (ko) 금전등록기의 서랍 개폐장치
RU2182634C2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с засовом с крюком
KR0182893B1 (ko) 자동차의 도어잠금장치
KR200203468Y1 (ko) 자동문 개폐장치
KR19990009351U (ko) 도어 잠금장치
KR920005022Y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잠금장치
KR960007934Y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개폐장치
KR100197337B1 (ko) 도난방지 노브가 설치된 케이블타입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US2786348A (en) Car door lock
JPS6035723Y2 (ja) 回転開閉式扉のロック機構
KR200152268Y1 (ko) 자물쇠 겸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