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001U -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001U
KR19990011001U KR2019970024336U KR19970024336U KR19990011001U KR 19990011001 U KR19990011001 U KR 19990011001U KR 2019970024336 U KR2019970024336 U KR 2019970024336U KR 19970024336 U KR19970024336 U KR 19970024336U KR 19990011001 U KR19990011001 U KR 199900110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delta chassis
fixed
mirr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4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001U/ko
Publication of KR199900110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001U/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미러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델타섀시부의 외측에서 끼움방식으로 결합되게 하여 장착력을 보강시켜 줌으로써, 주행중 풍절음의 발생이나, 떨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체측 델타섀시부(1)의 전면으로 양측단이 접촉되게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2)상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미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는 배면의 양측단과 중앙에 돌출된 다수개의 가이드리브부(2a)를 각기 갖추고서 델타섀시부(1)의 전면으로 끼움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장착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델타섀시부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도어미러를 장착하도록 된 베이스플레이트가 델타섀시부에 다수의 위치로 맞끼움식으로 결합되어 델타섀시부와의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면서 주행중 풍절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된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양쪽 외측에는 운전자의 후사면에 대한 시계를 확보하여 안전운행에 기여할 수 있도록 된 미러가 각기 장착되어 있는 바, 특히 도어의 상측에 도어글래스의 승강시 도어글래스의 측부와 상단면을 지지하는 도어프레임이 없으면서 상승하는 도어글래스가 차체측 루우프패널의 측단부에 직접 닿도록 된 프레임레스타입의 도어를 장착한 자동차의 경우에서는 상기 미러(1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미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측 델타섀시부(11)의 전면으로 양측단이 접촉되게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12)상에 장착되는 바, 이 델타섀시부(11)의 일측에는 도어글래스(13)의 일측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런채널(14)이 일체로 구비되고, 배면에는 쿼터인너커버(15)가 델타섀시부(11)에 화스너(16)를 매개로 델타섀시부(11)의 내부에 있는 프레임부(17)에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도어 미러(10)를 장착하도록 된 델타섀시부(11)의 전면으로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2)는 고무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델타섀시부(11)를 덮는 구조로 되어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 델타섀시부(11)는 베이스플레이트(12)에 몇몇 개소로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델타섀시부(11)의 전면에 베이스플레이트(12)가 면접촉하여 장착되게 되면, 주행중 미러(10)의 들뜸현상과 떨림현상이 유발되고, 이에 따른 풍절음도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미러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델타섀시부의 외측에서 끼움방식으로 결합되게 하여 장착력을 보강시켜 줌으로써, 주행중 풍절음의 발생이나, 떨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장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가 장착되는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자동차의 측면도,
도 2는 종래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의 장착부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의 장착부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델타섀시부 2-베이스플레이트
2a-가이드리브부 3-도어글래스
4-런채널 5-쿼터인너커버
6-화스너 7-프레임부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체측 델타섀시부의 전면으로 양측단이 접촉되게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상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미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배면의 양측단과 중앙에 돌출된 다수개의 가이드리브부를 각기 갖추고서 델타섀시부의 전면으로 끼움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의 장착부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측 델타섀시부(1)의 전면으로 양측단과 중앙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다수개의 가이드리브부(2a)를 각기 갖춘 베이스플레이트(2)가 끼움방식으로 고정되어 장착되는 바, 이 가이드리브부(2a)는 델타섀시부(1)에 끼워져 이의 전면으로 미러를 장착하도록 된 베이스플레이트(2)를 델타섀시부(1)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델타섀시부(1)의 일측에는 도어글래스(3)의 일측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런채널(4)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배면에는 쿼터인너커버(5)가 델타섀시부(1)의 내부에 있는 프레임부(7)에 화스너(6)를 매개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 델타섀시부(1)는 베이스플레이트(2)에 몇몇 개소로 나사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델타섀시부(1)상에 배면으로 돌출되거나 선단부가 길게 연장되어 절곡되어 마련되는 가이드리브부(2a)를 매개로 끼움방식으로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2)는 델타섀시부(1)로부터 들뜨거나 이격되지 않아 수려한 외관미가 지속되고, 주행중 풍절음이나 접촉부위로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예방하는 기밀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델타섀시부(1)상에 베이스플레이트(2)를 끼움방식으로 고정시키게 되면, 조립시 델타섀시부(1)와 베이스플레이트(2) 사이의 나사체결작업을 실시할 때 끼움방식으로 델타섀시부(1)와 베이스플레이트(2)에 형성된 볼트체결공이 가조립되어 맞춰지므로 볼트체결부위를 맞추는데 어려움이 없게 되어 작업성이 개선된다.
또한, 상기 델타섀시부(1)에 베이스플레이트(2)가 가이드리브부(2a)를 매개로 끼움방식으로 고정되면, 델타섀시부(1)에 대한 베이스플레이트(2)의 고정취부력이 향상되어 이 베이스플레이트(2)에 대한 내구력이 증진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장착구조에 의하면, 자동차의 미러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델타섀시부의 외측에서 다수개의 위치로 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장착력이 보강됨으로써, 주행중 델타섀시부로부터 베이스플레이트가 들뜸에 따른 풍절음의 발생이나, 떨림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기밀성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차체측 델타섀시부(1)의 전면으로 양측단이 접촉되게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2)상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미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는 배면의 양측단과 중앙에 돌출된 다수개의 가이드리브부(2a)를 각기 갖추고서 델타섀시부(1)의 전면으로 끼움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장착구조.
KR2019970024336U 1997-08-30 1997-08-30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장착구조 KR199900110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336U KR19990011001U (ko) 1997-08-30 1997-08-30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336U KR19990011001U (ko) 1997-08-30 1997-08-30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001U true KR19990011001U (ko) 1999-03-25

Family

ID=6968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336U KR19990011001U (ko) 1997-08-30 1997-08-30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00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1001U (ko)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장착구조
KR100333287B1 (ko) 자동차 도어의 고정유리 지지용 웨더스트립의 장착구조
KR100312867B1 (ko) 자동차의 선루프 고정구조
JPH058760A (ja) 自動車の上部構造
KR100298741B1 (ko) 차량의리어도어델타커버장착구조
KR100320820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트림부재의 장착구조
JPH10305787A (ja) リヤスポイラの取付け構造
KR100439791B1 (ko) 자동차 리어 도어용 인사이드 벨트 웨더스트립
KR100388202B1 (ko) 자동차의 리어 필라 내부 패널과 휠 가드 조립 구조
KR200268752Y1 (ko) 테일게이트 결합구조
KR100376551B1 (ko) 자동차의 웨이스트 몰딩 취부구조
KR200144466Y1 (ko) 자동차 도어의 쿼드런트 레인포스 장착구조
KR100201472B1 (ko) 백도어의 힌지 취부구조
KR100527430B1 (ko) 자동차용 리어도어의 델타커버 장착구조
KR100324378B1 (ko) 자동차용 루프몰딩의 후단부 고정구조
JPS6345415Y2 (ko)
KR200150868Y1 (ko) 자동차용 델타 새시
KR970006809Y1 (ko) 도어 아웃사이드 몰딩구조
KR0125305Y1 (ko) 자동차도어용 힌지의 체결구조
KR012571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글래스 가이드 취부구조
KR0107641Y1 (ko) 자동차용 도어 보조 록킹장치
KR19980021218U (ko) 자동차의 측면충격 흡수구조
KR19990034952A (ko) 도어가이드 레일
KR19980046662U (ko) 도어새시의 웨더스트립 취부구조
KR19980048948U (ko) 차량용 리어 도어 보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