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603U -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 - Google Patents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603U
KR19990007603U KR2019970021125U KR19970021125U KR19990007603U KR 19990007603 U KR19990007603 U KR 19990007603U KR 2019970021125 U KR2019970021125 U KR 2019970021125U KR 19970021125 U KR19970021125 U KR 19970021125U KR 19990007603 U KR19990007603 U KR 199900076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washer
damper unit
shock absorber
hous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1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7603U/ko
Publication of KR199900076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603U/ko

Link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 이나 충격을 완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키도록 왕복운동되는 로드가 구비된 댐퍼유니트를 하우징판넬에 조립시키기 위한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에 있어서, 상기 댐퍼유니트의 로드가 삽입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절곡되어서 체결력을 강화시키는 와셔부가 일체로 성형되어서 상기 댐퍼유니트와 상기 하우징판넬의 사이에 배설되는 와셔수단과, 상기 와셔수단의 외측에 가황접착되어 상기 와셔수단과 일체적으로 성형된 댐퍼부로 이루어진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으로 와셔수단에 댐퍼부가 가황접착되어서 종래의 하부와셔와 파이프부재 그리고 하부댐퍼부재가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게되므로써 댐퍼유니트를 하우징판넬에 조립할 경우 부품수의 절감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 이나 충격을 완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쇽업소버가 차체의 하우징판넬에 장착될 경우 그 부품수를 절감시켜 조립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는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 이나 충격을 완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쇽업소버가 차체의 하우징판넬에 장착될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된다.
즉, 종래예에 의한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키도록 왕복운동되는 로드(1)가 구비된 댐퍼유니트(2)의 상부에 체결력을 증대시키도록 재치되는 하부와셔(3)와, 상기 하부와셔(3)의 상부에 재치되는 파이프부재(4)와, 상기 파이프부재(4)의 외측에 삽입되어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며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하부댐퍼부재(5)와, 상기 하부댐퍼부재(5)가 상기 댐퍼유니트(2)에 장착된 후 하우징판넬(6)의 상부에 재치되어서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며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상부댐퍼부재(7)와, 상기 상부댐퍼부재(7)등의 부품이 조립될 경우 체결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상부댐퍼부재(7)의 상부에 재치되는 상부와셔(8)와, 상기 상부와셔(8)등의 부품이 상기 댐퍼유니트(2)에 조립되도록 상기 댐퍼유니트(2)의 로드(1)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9)로 이루어진다.
즉, 종래의 쇽업소버를 하우징판넬(6)에 장착할 경우에는 상기 하부와셔(3)와 상기 파이프부재(4)와 상기 하부댐퍼부재(5)를 순차적으로 상기 댐퍼유니트(2)에 조립한 후, 하부와셔(3)와 파이프부재(4) 그리고 하부댐퍼부재(5)가 순차적으로 조립된 상기 댐퍼유니트(2)의 로드(1)가 상기 하우징판넬(6)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댐퍼유니트(2)를 상기 하우징판넬(6)에 위치시킨다.
또, 상기 댐퍼유니트(2()의 로드(1)가 상기 하우징판넬(6)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댐퍼유니트(2)를 상기 하우징판넬(6)에 위치시킨 후에는 상기 로드(2)에 상기 상부댐퍼부재(7)를 삽입하여 상기 상부댐퍼부재(7)가 상기 하우징판넬(6)의 상면에 재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댐퍼부재(6)를 상기 하우징판넬(6)에 재치시킨 후에는 상기 상부와셔(8)를 상기 상부댐퍼부재(6)의 상부에 재치시키고 상기 체결너트(9)를 상기 댐퍼유니트(2)의 로드(1)와 나사결합시키므로써 상기 댐퍼유니트(2)가 상기 하우징판넬(6)에 조립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는, 상기 댐퍼유니트(2)를 상기 하우징판넬(6)에 조립시키기 위하여 댐퍼유니트(2)에 상기 하부와셔(3)와 상기 파이프부재(4) 그리고 상기 하부댐퍼부재(5)를 순차적으로 조립해야만 한다.
즉, 종래의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는, 상기 댐퍼유니트(2)와 상기 하우징판넬(6)의 사이에 상기 하부와셔(3)와 상기 파이프부재(4) 그리고 상기 하부댐퍼부재(5)의 3개의 부품이 소요되므로써, 부품수의 과다로 상기 댐퍼유니트(2)를 상기 하우징판넬(6)에 조립할 경우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이고 제조코스트가 상승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댐퍼유니트가 하우징판넬에 조립될 경우 소요되는 부품수를 절감시켜 댐퍼유니트를 하우징판넬에 조립할 경우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는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는,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키도록 왕복운동되는 로드가 구비된 댐퍼유니트를 하우징판넬에 조립시키기 위한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에 있어서, 상기 댐퍼유니트의 로드가 삽입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절곡되어서 체결력을 강화시키는 와셔부가 일체로 성형되어서 상기 댐퍼유니트와 상기 하우징판넬의 사이에 배설되는 와셔수단과, 상기 와셔수단의 외측에 가황접착되어 상기 와셔수단과 일체적으로 성형된 댐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에 의하면, 와셔수단에 댐퍼부가 가황접착되어서 종래의 하부와셔와 파이프부재 그리고 하부댐퍼부재가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게되므로써 댐퍼유니트를 하우징판넬에 조립할 경우 부품수의 절감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예에 적용되는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댐퍼유니트 11: 로드
12: 하우징판넬 20: 와셔수단
21: 와셔부 22: 관통부
23: 댐퍼부 24: 요철
31: 상부댐퍼부재 32: 상부와셔
33: 체결너트
이하, 본 고안에 적용되는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주요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10)은 자동차가 주행될 경우 노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도록 로드(11)가 왕복운동되는 댐퍼유니트로써,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자동차의 차체와 아암을 연결시킨다.
또, 상기 댐퍼유니트(10)의 상부에는, 상기 댐퍼유니트(10)가 조립될 경우 체결력이 강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일부의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댐퍼부(23)가 일체로 가황접착된 와셔수단(20)이 삽입되어 있다.
즉, 상기 댐퍼유니트(10)에는, 외측에 러버등이 가황접착되고 상기 댐퍼유니트(10)의 로드(11)가 삽입되는 관통부(22)가 형성되며 하부는 절곡되어서 체결력을 강화시키는 와셔부(21)가 일체로 성형된 와셔수단(20)이 삽입되어 있다.
또, 상기 댐퍼부(23)의 외측에는 진동 및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요철(2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그림에서 (12)는 차체를 형성시키며 상기 댐퍼유니트(10)가 장착되는 하우징판넬이고, (31)은 상기 하우징판넬(12)에 일면에 접착되어서 진동 및 충격의 일부를 흡수하여 완충시키는 상부댐퍼부재이며, (32)는 상기 상부댐퍼부재(31)의 상부에 재치되어서 체결력을 강화시키는 상부와셔이다.
또, (33)은 상기 댐퍼유니트(10)가 상기 하우징판넬(12)에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댐퍼유니트(10)의 로드(11)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의 조립순서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외측에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러버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댐퍼부(23)가 가황접착되며 내부는 상기 댐퍼유니트(10)의 로드(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부(22)가 형성되고 하부는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와셔부(21)가 형성된 상기 와셔수단(20)을 상기 댐퍼유니트(10)의 로드(11)에 삽입시킨다.
즉, 종래와 같이 하부와셔와 파이프부재 그리고 하부댐퍼부재를 순차적으로 상기 팸퍼유니트(10)의 로드(11)에 삽입함이 없이, 상기 댐퍼부(23)가 가황접착되어 1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상기 와셔수단(20)을 상기 댐퍼유니트(10)의 로드(11)에 삽입시킨다.
또, 상기 와셔수단(20)을 상기 댐퍼유니트(10)의 로드(11)에 삽입시킨 후에는 상기 댐퍼유니트(10)의 로드(11)가 상기 하우징판넬(12)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댐퍼유니트(10)를 상기 하우징판넬(12)에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댐퍼유니트의 로드(11)가 상기 하우징판넬(12)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댐퍼유니트(10)를 상기 하우징판넬(12)에 위치시킨 후에는 상기 댐퍼유니트(10)의 로드(11)에 상기 상부댐퍼부재(31)와 상부와셔(32)를 순차적으로 삽입시킨다.
또, 상기 댐퍼유니트(10)의 로드(11)에 상기 상부댐퍼부재(31)와 상기 상부와셔(32)를 순차적으로 삽입시킨 후 상기 체결너트(33)를 상기 로드(11)에 나사결합시키므로써 상기 댐퍼유니트(10)가 상기 하우징판넬(12)에 조립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는, 상기 하우징판넬(12)과 상기 댐퍼유니트(10)의 사이에 배설되는 부품을 1개의 부품으로 대폭 절감시킴으로써 상기 댐퍼유니트(10)를 상기 하우징판넬(12)에 조립할 경우 조립시간의 단축으로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제조코스트를 보다 다운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에 의하면, 와셔수단에 댐퍼부가 가황접착되어서 종래의 하부와셔와 파이프부재 그리고 하부댐퍼부재가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게되므로써 댐퍼유니트를 하우징판넬에 조립할 경우 부품수의 절감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키도록 왕복운동되는 로드(11)가 구비된 댐퍼유니트(10)를 하우징판넬(12)에 조립시키기 위한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에 있어서,
    상기 댐퍼유니트(10)의 로드(11)가 삽입되는 관통부(22)가 형성되고 하부는 절곡되어서 체결력을 강화시키는 와셔부(21)가 일체로 성형되어서 상기 댐퍼유니트(10)와 상기 하우징판넬(12)의 사이에 배설되는 와셔수단(20)과,
    상기 와셔수단(20)의 외측에 가황접착되어 상기 와셔수단(20)과 일체적으로 성형된 댐퍼부(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23)의 외측에는,
    진동 및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요철(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
KR2019970021125U 1997-07-31 1997-07-31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 KR199900076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125U KR19990007603U (ko) 1997-07-31 1997-07-31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125U KR19990007603U (ko) 1997-07-31 1997-07-31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603U true KR19990007603U (ko) 1999-02-25

Family

ID=6967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125U KR19990007603U (ko) 1997-07-31 1997-07-31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760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110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KR19990007603U (ko) 쇽업소버의 마운팅구조
KR200143930Y1 (ko) 댐퍼일체형 엔진마운트
KR100460929B1 (ko) 차량용 변속기의 마운팅 장치
KR200149038Y1 (ko) 댐퍼볼트
KR100501436B1 (ko) 엔진 마운팅을 위한 인슐레이터
KR200161609Y1 (ko) 자동차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의 형상구조
KR200151156Y1 (ko) 댐퍼볼트조립체
KR19980028525U (ko) 자동차용 프레임의 바디 결합구조
KR100358599B1 (ko) 자동차의 머플러 행거장치
KR200147118Y1 (ko) 부쉬
KR200147379Y1 (ko)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KR19990007602U (ko) 쇽업소버장치
KR100578567B1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
KR20020004148A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
KR0178933B1 (ko) 쇽업소오버의 체결구조
KR19980067943U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구조
KR20010059141A (ko) 자동차의 파워 플랜트 마운트
KR19990025150U (ko) 인슐레이션링
KR19980048746U (ko) 쇽업소버의 로어마운팅구조
KR19990020990U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시트
KR19980048819U (ko) 쇽업소버와 너클의 마운팅구조
KR980007143U (ko) 진동 저감용 완충 부시
KR19980048854U (ko) 쇽업소버
KR19990002256U (ko) 엔진 마운팅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