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900A -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900A
KR19990006900A KR1019980021786A KR19980021786A KR19990006900A KR 19990006900 A KR19990006900 A KR 19990006900A KR 1019980021786 A KR1019980021786 A KR 1019980021786A KR 19980021786 A KR19980021786 A KR 19980021786A KR 19990006900 A KR19990006900 A KR 19990006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roller
sorting
refraction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1102B1 (ko
Inventor
에두아르 보렐
Original Assignee
뷜렘 장-끌로드
봅스트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뷜렘 장-끌로드, 봅스트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뷜렘 장-끌로드
Publication of KR1999000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2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faulty articles from the main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6Particular arrangement of belt, or belts
    • B65H2404/261Arrangement of belts, or belt(s) / roller(s) facing each other for forming a transport nip
    • B65H2404/2613Means for changing the transport path, e.g. deforming, length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6Cardboard
    • B65H2701/1766Cut-out, multi-layer, e.g. folded blanks or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Belt Conveyor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는 회전으로 구동된 전방롤러 또는 롤 (42) 에서 끝나는 제 1 하부 후방 컨베이어 (40) 를 포함한다. 분류장치는 제 1 하부 후방 컨베이어 다음에 위치하면서 회전으로 구동된 후방롤러 또는 롤 (52) 에서 시작하는 제 2 하부 전방 컨베이어 (40) 를 또한 포함한다. 분류장치에는 하부 컨베이어 위에 있는 평면형 가공물의 압력수단 (30, 35) 과, 제 1 컨베이어 (40) 의 전방롤러 또는 롤 (42) 과 제 2 컨베이어 (50) 의 후방롤러 또는 롤 (52) 사이에 삽입된 분류수단 (60) 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분류수단 (60) 은 제 1 측면이 컨베이어의 정상이동에 따라 정렬되도록 하고, 제 2 경사측면이 제 1 및 제 2 하부 컨베이어 사이를 통과하는 방출이동에 따라 정렬되도록 하여 단면상 후향의 앵글을 갖는다. 분류장치는 제 1 컨베이어 (40) 의 전방롤러 또는 롤 (42) 의 전반부 약간 위에 배열된 굴절수단 (26, 32) 을 또한 포함한다.

Description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
본 발명은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이 시트 또는 카드보드 패널을 연속적으로 가공하는 기계의 출력실과, 시트나 패널을 방출하기 위한 적재실 사이에 배열된 벨트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 처리한 품질이 부적절한 경우에는 운반영역 쪽의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공기계는 용지 다이절단, 및/또는 용지 위에 하나 이상의 색상이나 금속식 형상의 인쇄, 및/또는 평면박스내의 용지 접힘 (folding) 용 기계일 수 있다. 따라서, 잠재적인 오류는 이들간의 색상의 레지스터 에러, 또는 아교 얼룩 또는 부적절한 접힘일 수 있으며, 이들 에러는 가공물의 이동면에 배열된 포토셀의 스캐닝에 기초한 품질제어의 자동장치에 의해 검지된다. 부적절한 것으로 검지된 최종가공물은 운반배치 (batch) 내에 적재되기 바로 전에 소위 방출기라 칭해지는 분류장치에 의해 체인에서 방출된다.
기존의 회전방출기는 수직 회전축선을 따라 작동하여 컨베이어의 벨트내에 방출될 시트를 선회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방출될 수 있는 시트의 속도와 최대크기는 제한된다. 또, 방출기에 제공된 회전운동은 정확한 시트의 유동을 간섭하거나, 또는 심지어 잼 (jam) 을 발생시킬 수 있다.
45°또는 60°의 각도에 따라 방출되도록 시트를 이동시키는 선형방출기가 또한 공지되어 있다. 상기 방출기는 정확한 시트의 유동을 간섭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가공하는데 적합한 시트의 최소 및 최대 크기는 또한 제한된다. 또, 이들 방출기는 시트의 두께를 정확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고 상대적으로 불필요하다.
또, 전술한 두 방출기는 적절한 방출을 보장하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 중 하나가 승강될 필요가 있으므로, 이러한 사실이 다른 시트의 운반을 보다 어렵게 만든다. 또, 고속의 방출기는 주위 사람들에게 위험을 노출시킬 수 있다.
EP 045 713 호는 하부전단 드럼이 포토셀에 의해 검지된 조작 박스에 대하여 하방 방출경로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후단 드럼의 축선 주위를 회전하는 공기압 실린더에 의해 경사 가능한 프레임내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의 하부 중간부에 기초한 평면 접힘 카드보드용 분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US 4 324 522 호는 여러 가지로 적재된 금속판을 분류하기 위해 제공된 동일형의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경사 컨베이어 선택부는 장거리 이송 컨베이어의 전단부이다. 그 다음 컨베이어의 후단부는 판의 하강부가 방출되는 것을 마무리하기 위해 인접한 선택부의 하강과 함께 동시에 승강하는 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분류장치는, 우선, 동력이 요구되는 상당한 관성을 갖는 부피가 크고 무거운 요소, 그러므로 짐이 되는 구동수단을 사용한다. 또, 상기 분류장치는 기계내에 상당한 부피를 점유하고 있다. 또, 제 2 실시예에서는, 경사지는 전방 단부를 갖는 제 1 이송 컨베이어 벨트에 인장을 유지하기 위한 기구가 제공되어야 한다.
주로, 전술한 각각의 장치에서는, 방출된 평면형 가공물,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드보드 박스는 항상 적절하게 제어되지는 않는다. 즉, 카드보드 박스는 정확한 적재상황이나, 또는 심지어 기계정지를 요하는 잼을 발생할 수 있는 굴절을 따라 구동되지도 유지되지도 않는다.
FR 2 688 493 호는 연속적으로 가공된 웨브 (web) 의 부적절한 부위를 절단하고 방향을 전환시키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정상적인 수평이동에 따른 웨브의 수직의 두 쌍의 구동축 사이에, 전방 및 후방으로 향한 경사굴절판과, 정상이동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상기 굴절판의 상단을 포함하여, 앤빌 (anvil) 을 형성한다. 분리날을 구비하여 보통 승강위치에 있는 하부플랩 (flap) 은 웨브를 굴절판 위로 안내한다. 흠결있는 웨브부위가 검지되면, 하부플랩이 하강하고, 날을 갖는 상부분리플랩이 앤빌에 대하여 회전 하강하여 웨브를 절단하고, 이 웨브는 판을 따라 상기 웨브가 견인롤러에 의해 견인되는 방출이동 쪽으로 전환된다. 새로운 적절한 웨브부위에 도달하면, 상부분리플랩이 승강되어 하부플랩이 앤빌을 때려서 다시 웨브를 절단하여 웨브의 새로운 전단부를 정상적인 이동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연속웨브를 가공하는 장치는 절단되지 않는 연속적인 평면형 가공물을 가공하는 데에는 부적절하고 너무 복잡하여, 따라서 너부 불필요하여, 바람직하게는 조밀한 평행롤러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나 또는 컨베이어로 영구적으로 실용적으로 구동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신뢰할만한, 즉 가공물이 기계요소와 충돌할 수 없게 만들도록 가공물의 방향을 명백하게 변경할 수 있는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이다. 필요한 경우, 상기 장치는 새로운 방향 쪽으로 분류할 때에 심지어 중량 (big weight) 의 경우에도 요소에 효과적으로 굴절을 분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상기 장치는, 구동요소를 정상이동 쪽이나 방출이동 쪽으로 향하도록 이송시키는 제어하에 가공물이 가급적 최대한 유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특히 가공물의 이동방향으로 감소된 거리를 점유하게 하여, 잼의 위험을 최소로 줄여야 한다.
또, 상기 장치는 특히 동역학적이므로, 고속생산에 부합하도록 고속으로 경사지는 시간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가능한 분류요소의 수는 가급적 적어야 하며 각각 저질량 및/또는 저관성을 가져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의 운전은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기계구동력을 소모하여야 한다.
끝으로, 상기 분류장치는 재순환 컨테이너, 방출이동에 대한 구동수단과, 정비나 수리시의 요소를 운전하는 데에 충분한 공간이 있도록 가급적 제한된 공간을 점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분류장치를 포함하는 컨베이어를 도시하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컨베이어 분류장치 부위를 도시하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및 도 2 의 분류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 는 전술한 도면의 분류장치를 도시하는 개략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Tn : 이동방향 Te : 방출방향
20 : 레버 24 : 쇼트암
26, 32, 42, 60 : 분류장치 32 : 전단롤러
34, 34' : 상부롤러 35 : 지지롤러
36 : 후단 롤러 37 : 힌지
39 : 힌지 40 : 제 1 하부 벨트 컨베이어
41, 58 : 지지판 42 : 전방롤러
44 : 지지롤러 48, 57 : 피봇
49 : 실린더 50 : 제 2 하부 전방 컨베이어
51 : 스터업 (stirrup) 52 : 후방롤러
53 : 횡단빔 54 : 지지롤러
55 : 경사판 59 : 전단 롤러
60 : 분류앵글 62 : 상면
64 : 후방면 64 : 제 2 경사 굴절측면
70 : 핀치 포인트 72, 73 : 롤러
74 : 벨트 76 : 하부풀리
77, 78 : 안내레일 79 : 재순환 용기
상기 목적은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분류장치는,
- 회전으로 구동된 전방롤러 또는 롤에서 끝나는 제 1 하부 후방 컨베이어와,
- 제 1 하부 후방 컨베이어 다음에 있으면서 회전으로 구동된 후방롤러 또는 롤에서 시작하는 제 2 하부 전방 컨베이어와,
- 하부 컨베이어들 위에 있는 평면형 가공물의 압력수단과,
- 제 1 컨베이어의 전방롤러 또는 롤과 제 2 컨베이어의 후방롤러 또는 롤 사이에 삽입되어, 정상이동에 따라 정렬되어 이 정상이동의 약간 아래에 위치한 제 1 측면과, 제 1 및 제 2 하부 컨베이어 사이를 통과하는 방출이동에 따라 정렬된 제 2 경사측면과 단면상 후향의 앵글을 갖는 분류수단과,
- 제 1 컨베이어의 전방롤러 또는 롤의 전반부보다 약간 위에 설치되어, 승강위치에서는 분류수단의 제 1 측면을 따라 가공물의 정상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하강위치에서는 전방롤러 또는 롤의 전반부에 대하여 휘어지도록 방출이동을 강제하여 방출이동이 분류수단의 경사측면 아래에서 계속되는 굴절수단을 포함한다.
'전방' 과 '후방' 의 용어는 가공물의 이동방향으로 여겨지는 방향, 즉 평면형 가공물의 이송의 하류측 방향과 상류측 방향 각각으로 정의된다. 요소의 '길이' 라는 용어도 또한 이동방향을 의미하고, '폭' 은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을 의미한다.
하부 컨베이어 양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 또는 복수의 벨트를 구비한 컨베이어는 가공물의 이동방향에 설치되어 상부이동을 따라 롤러들 위로 통과하고 하부 복귀이동을 따라 풀리에 의해 단부에 복귀하거나, 풀리 중 하나의 풀리는 예컨대 모터구동되거나, 또는 컨베이어는 웨브의 이동방향과 횡방향이면서 차례로 배열된 일련의 평행롤로 구성되며, 상기 롤들은 동일 벨트에 의해 이들의 공통 단부에서 각각 구동된다.
두 개의 하부 컨베이어 위에 평면형 가공물의 압력수단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는 압력롤러 아래를 통과하거나, 또는 일련의 압력 롤러가 가공물의 이동방향으로 차례로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굴절수단에 의해 평면형 가공물에 굴절을 가하기 위하여, 제 1 하부 후방 컨베이어의 최후의 전방 롤러 또는 롤의 전반부의 볼록형상을 이용하는 것이며, 그의 최소 고유강도는 그의 정상궤도가 분류수단의 제 1 측면 다음에 제 2 하부 전방 컨베이어를 정상적으로 통과하도록 하고, 한편, 상기 굴곡이 분류수단의 제 2 경사측면에 의해 신속하도록 강화시키는 소위 방출이동이라 칭해지는 제 2 이동을 취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분류는 그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에 대해 보다 효과적이다. 즉, 제 1 컨베이어의 상기 최후의 롤러 또는 롤은 회전으로 구동된 다음 계속해서 타방향과 같이 일방향으로 평면형 가공물의 전방이동을 강제한다.
바람직하게는, 굴절수단은 하나 또는 복수의 굴절 슈 (shoe) 일 수 있고, 그 폭의 크기는 평면형 가공물의 전단부의 폭에 실질적으로 상응될 수 있으며, 그의 하부 굴절면은, 예컨대 5 와 90 도 사이로 구성된 각도를 갖는 원호형인, 하부 전방 롤러 또는 롤의 전반부와 상응하여 경사되거나 오목형이다.
특히 간단한 구조의 상기 굴절수단은 후방 컨베이어의 전방 롤러 또는 롤과 조합하여 굴곡을 제공하는 데에 특히 효과적이고, 고속운전이 용이한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굴절수단은 굴절롤러 또는 롤, 특히 회전으로 구동된 롤러 또는 롤의 하부 후반부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굴절수단은 하부 후방 컨베이어와 부합하는 상부 후방 컨베이어의 전단부에 속하거나, 또는 상부 벨트 컨베이어의 후방부의 전단부에 속하는 전단부 롤러 또는 롤의 하부 후반부 아래를 통과하는 벨트이거나 또는 밴드일 수 있다.
상기 굴절수단은 또한 굴절수단 외에 평면형 가공물에 상보적인 전방구동을 적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굴절수단은 롤러 아래를 통과하는 벨트이거나 또는 밴드의 조합이고, 이 롤러에 의해 상기 벨트는 구동되며, 평면형 가공물의 전단부의 전체 폭상에 굴절을 보장하는 롤러의 양측상에 두 굴절 슈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호간 대면하여 설치된 모터구동된 한 쌍의 롤에서 시작하는 방출 컨베이어는 분류수단의 경사측면의 앞에 배열되고, 필요한 경우, 롤 또는 두 롤은 벨트 컨베이어의 입력이다.
분류수단 다음에 바로 설치된 상기 방출 컨베이어는 굴절된 평면형 가공물의 잼의 모든 위험을 회피하여, 이에 의해 정상 이동의 속도보다 명확하게 높은 고속으로 이들 가공물들을 자진하여 구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하부 후방 컨베이어의 단부를 한정하는 롤러 또는 롤의 쌍과, 제 2 하부 전방 컨베이어의 시작부를 한정하는 롤러 또는 롤의 쌍이나 또는 방출 컨베이어의 시작부를 한정하는 롤러 또는 롤의 쌍 사이의 거리는 가공물의 최소길이보다 작다.
따라서 평면형 가공물은 구동수단에 의해 영구적으로 제어되어, 이들 가공물들을 타방향에서와 같이 일방향으로 전방 구동시키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굴절수단은 레버의 실질상 수평의 쇼트암상에 설치되고, 상향인 그의 롱암의 타단부는 액튜에이터에 의해 구동되어 이들 굴절수단이 승강 및 하강 위치 사이에서 평면형 가공물의 정상이동에 수직으로 구동하는 방식이 된다.
상기 레버는 기계 증폭기 (amplifier) 를 구성하여 굴절수단에 정상의 승강위치와 하강 굴절 위치 사이에서 높은 작용력 없이 단거리 이동을 제공하도록 허용하고, 이는 약한 동력을 갖는 액튜레이터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의 제어 로드의 행정 (stroke) 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가이면서 신속한 공기압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유용하게는, 제 2 하부 전방 컨베이어가 전방으로 경사 가능하게 프레임상에 설치되어 정비나 수리를 위해 분류수단과, 굴절수단 및 방출 컨베이어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실시예와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연구하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도면에는, 동일 요소나 부위는 동일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1 에는 용지실 (blanking station) 의 전체 벨트 컨베이어가 도시되어 있다. 후단부, 즉 도 1 의 우측에 위치하는 여러 가지 회전 또는 평면 다이절단 및 인쇄실에 의해 종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라인을 따라 측면 폭방향 만큼 한 장의 카드보드 측에서 다이절단되는 복수의 인쇄용지를 분리하도록 상기 용지실이 제공된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는 또한 상기 용지를 종방향으로 분리하도록 이전의 용지실 중 하나의 용지실보다 높은 전진속도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용지실은 용지를 폭방향으로 분리하도록 차례로 팬형의 측면에 설치된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벨트 컨베이어 각각은 전방부, 즉 도 1 의 좌측에 위치한 대응하는 용지 적재실 쪽과 실질상 수평인 이동방향 (Tn) 을 따라 용지를 유도하면서, 상기 컨베이어의 전방부를 확대하여 설명하고 있는 도 2 에 보다 잘 도시된 분류장치 (26, 32, 42, 60) 를 포함한다. 상기 분류장치는 재순환 컨테이너 (79) 쪽의 이동방향 (Te) 을 따라 불량의 용지를 제거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주사영역은 분류앵글뿐 아니라 최후의 용지의 후단부의 통과가 상기 분류장치 뒤쪽 근처에 위치한 또 다른 포토셀에 의해 감지되지 마자 분류앵글을 명령하는 전자 및/또는 데이터 처리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용지는 예컨대 이들간의 색상의 레지스터 에러, 아교 트랙 (glue track) 이나 얼룩, 또는 심지어 부정확한 접힘 (folding) 등의 인쇄에러를 감지하는 카메라 및/또는 주사셀을 포함하는 주사영역 (scanning area) 아래를 개별적으로 이동한다.
도 1 에 보다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벨트 컨베이어는 복수의 지지롤러 (44) 를 통하여 최후의 전방롤러 (42) 까지 통과시켜 상부수평이동을 형성하는 제 1 하부 벨트 컨베이어 (40) 를 포함하여, 이 벨트 컨베이어는 벨트가 꼬이기 전에 상부수평이동으로 복귀하도록 고정 기구와 하부구동축을 통과하는 하부이동을 따라 복귀시키도록 한다. 상기 컨베이어 (40) 의 안내 및 지지롤러 (42, 44) 는 용지실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부착된 힌지 (39) 상에서 후단부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 하부수직 지지판 (41) 상에 설치된다.
분류장치에 부가하여, 상기 컨베이어는 제 2 하부 전방 컨베이어 (50) 를 포함하고, 그 벨트는 제 1 후방롤러 (52) 를 통과함으로써 상부 수평이동을 시작하고, 계속해서 상기 벨트가 지지롤러 (54) 위를 통과하여 전단 롤러 (59) 에 의해 하부복귀이동에 복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벨트 (50) 의 상기 지지 및 안내롤러 (52, 54, 59) 는 필요시 분류장치에 접근할 목적으로 전방 경사되기에 적합한 수직 지지판 (58) 상에 설치된다.
도 2 에 보다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적을 위해 상기 지지판 (58) 은 피봇 (48) 을 통해 스터업 (stirrup) (51) 에 설치되고, 그 위치는 용지실의 횡단빔 (53) 을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빔 (53) 은 용지실의 프레임 양측상에서 하나는 오른쪽에 다른 하나는 외쪽에 있는 T 형의 두 개의 측방향 경사판 (55) 에 의해 지지되고, 이들의 피봇 (57) 주위에서 각각 선회운동한다. 용지실의 양측상에는, T 형의 판 (55) 이 프레임의 고정점과 그 후방 암 사이에서 작용하는 실린더 (49) 에 의해 경사 가능하다. 따라서, 하부전방 컨베이어 (50) 의 수직 지지판 (58) 각각의 위치와 방향은 제 1 하부 컨베이어 (40) 의 하부 수직 지지판 (41) 과 정렬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컨베이어는 지지롤러 (35) 아래를 통과하여 실질적으로 하부수평이동을 하도록 하고 이것이 상부 및 하부이동과 일치시키는 단일의 상부 컨베이어 (30) 를 포함한다. 그 다음, 상기 상부 컨베이어는 하부구동이동에 복귀하기 전에 여러 가지 고정 장치와 상부후방 구동축을 통과하는 롤러 (38) 에 의해 안내되어 상부복귀이동을 따라 복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 에 보다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 (30) 의 하부이동은 상부 컨베이어의 후방부의 전단롤러 (32) 와, 두 개의 상부롤러 (34, 34') 에 의해 연속 안내되어 분류장치 (60) 의 높이에서 상방으로 향한 후에, 상기 상부 컨베이어의 제 2 전방부의 후단 롤러 (36) 에 의해 복귀되는 루프를 나타낸다. 이러한 굴절루프는 대략 T 형상이다. 즉, 한편으로는, 롤러 (34) 가 상기 롤러 (32) 에 대하여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벨트 (30) 는 적어도 롤러 (32) 의 전반부상에 감기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롤러 (34') 가 상기 롤러 (36) 의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벨트는 적어도 상기 롤러 (36) 의 후반부상에 감긴다.
하부 이동의 지지롤러 (35) 모두와, 상부복귀이동의 안내롤러 (38) 와 두 루프 롤러 (34, 34') 는 상호간 고정 부착되고, 용지실의 프레임상에서 힌지 (37) 로 설치된 두 부위 (31 및 31') 의 수직지지판상에 설치되어 지지판 (41) 과 일치되도록 한다. 한편, 후방부의 전단롤러 (32) 와 전방부의 후단롤러 (36) 는 분류장치의 레버 (20) 상에서 함께 설치된다.
도 2 및 도 3 에 보다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류장치는, 우선, 정상이동 (Tn) 아래에서, 하부 후방 컨베이어 (40) 의 전단롤러 (42) 와 하부전방 컨베이어 (50) 의 후단롤러 (52) 사이에 삽입된 분류앵글 (60) 을 포함한다. 상기 복귀앵글은 후향의 각진 단면을 갖는 기계가공된 단편이다. 이 기계가공된 단편의 상면 (62) 은 정상이동 (Tn) 과 맞물리도록 제공된 앵글의 제 1 측면을 형성하여, 후방 수평면으로 형성된 다음, 경사 승강 중간면에 의해 제 3 전방면에서 또한 수평으로 끝난다. 하부 후방면 (64) 은 방출이동 (Te) 을 안내하도록 제공된 앵글의 제 2 측면을 형성하여, 수평면에 대하여 약 60°의 각도로 상방 경사진 평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계가공된 단편은 두 측판의 볼트에 의해 유지되고, 그의 경사 후방단부는 제 2 경사 굴절측면 (64) 을 제공한다. 방출벨트 (74) 의 제 1 롤러 (73) 는 기계가공된 단편 바로 아래에서 상기 측판 사이에 설치되어, 이 벨트를 팽팽하게 하는 탄성장치 (도시되지 않음) 의 작용으로 구동될 수 있는 하부풀리 (76) 를 통과한다. 고출력 모터로 구동된 롤러 (72) 는 벨트 (74) 의 상부롤러 (73) 의 높이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보다 높은 원주속도를 구동하여 흠결요소를 신속하게 방출시키도록 한다.
롤러 (72 및 73) 사이에서 방출구동을 재시작하는 핀치 포인트 (70) 는 하부 컨베이어 (40) 의 전방단부롤러 (42) 의 상부 발생점 (generatrix) 에서 단거리에 위치하고, 이 거리는 용지실에 의해 처리될 용지의 80 mm 최소길이 보다 짧다. 두 개의 상부 및 하부 롤러 (36 및 52) 에 의해 형성된 정상이동 (Tn) 상에서 전방 컨베이어의 재시작점 (56) 사이의 이 거리는 롤러 (42) 의 상부 발생점으로부터 약 80 mm 의 단거리에서 또한 위치하고, 여기서 용지가 후방 컨베이어에 의해 방출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 에 보다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벨트 (74) 는 안내레일 (77 및 78) 에 의해 형성된 덕트내에서 방출된 용지를 재순환 용기 (79) 로 안내한다.
또, 도 3 및 도 4 에 보다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장치는 레버 (20) 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레버는 분류앵글 (60) 과 롤러 (42) 의 약간 위에 배열되어 실질적으로 수평인 쇼트암 (24) 을 포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질상 전방으로 경사진 수직 롱암(long arm) (22) 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 (20) 는 상부 지지판 (31') 의 베어링 (36') 에 의해 지지된 축 주위를 선회하고, 이 축은 또한 상부 컨베이어 (30) 의 전방부의 후단 롤러 (36) 를 지지한다.
도 3 및 도 4 에 보다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암 (24) 은 대략 그의 중간부에서 컨베이어 (30) 의 후방부의 전단롤러 (32) 와, 그의 후단에서 수직 연결 스트랩 (25) 을 지지하여, 롤러 (32) 의 양측상에 두 개의 슈 (shoe) (26) 를 지지한다. 이들 슈는 수평면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판의 모양을 가지면서 실질적으로 용지의 예상폭에 부합하는 폭을 가진다. 롤러 (32) 는 그의 후반부가 단부 롤러 (42) 의 전반부와 동일한 높이에 있는 방식으로 쇼트암 (24) 상에 설치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슈 (26) 의 전반부는 롤러 (42) 의 전반부가 있는 높이에 또한 위치하고, 상기 전반부는 하방의 원호형상인 하면, 예컨대, 10°내지 30°사이를 포함하는 각도를 갖는 반원부를 갖는다.
도 3 에 도시된 바과 같이, 레버 (20) 는 두 위치를 점유할 수 있다. 제 1 위치에서는, 쇼트암 (24) 이 승강되어, 롤러 (32) 와 슈 (26) 에 의해 안내된 벨트 (30) 는 용지의 정상이동 (Tn) 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도면번호 26' 으로 표시된 제 2 위치에서는, 쇼트암 (24) 이 하강되어, 롤러 (32) 에 의해 안내된 슈 (26) 의 후방부와 벨트 (30) 가 용지의 하방으로 굴곡이 강제되도록 단부 롤러 (42) 의 상부 전반구의 일부를 감싸게 한다. 상기 굴곡은 용지의 전단부가 분류앵글 (60) 의 경사 굴절면 (64) 아래로 반드시 통과되도록 한다.
즉, 후방 컨베이어 (40) 의 상기 전단 롤러 (42) 는 굴절 롤러를 형성하고 이 롤러상에서 용지가 하강 굴절 롤러 (32) 아래를 통과하는 슈 (26) 및 벨트 (30) 에 의해 함께 강제되어 굴절작용하에 전방 및 하방으로 휘어진다. 한편으로는 굴절롤러 (42) 와 하부 전단부 사이에 이렇게 강제된 굴절과, 다른 한편으로는 굴절롤러 (32) 와 상부 전단부 및 슈 (26) 의 조합은 하부 및 상부 벨트 (40 및 30) 로서 상기 강도하에서도 용지의 전방이동을 강제하도록 보다 잘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버 (22) 의 또 다른 암이 길 때에는 비간섭위치 (26) 와 하부 굴절 위치 (26') 사이의 굴절 슈/롤러의 이동은 보다 잘 강제된다. 이렇게 긴 레버의 암 (22) 은 공기압 실린더 (28) 의 액튜레이팅 로드의 단부에 의해 제어되고, 그의 몸체의 후방은 상부 수직 지지판 (31') 의 단부에 위치한 수직 신장부 (31˝) 에 의해 지지된다. 그래서, 일방향 다음의 타방향으로의 분류의 경사는 특히 신속할 수 있으므로, 특히 고속인 예컨대 1 분간 약 500 미터인 이송속도를 제공하도록 한다.
특히, 운전에 설정된 단일요소가 실린더 로드 (28), 레버 (20), 벨트부 (30) 를 갖는 굴절롤러 (32), 및 슈 (26) 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 조립체는 종래기술에 대하여 하부 컨베이어의 전체부보다 관성이 특히 작은 질량을 갖는다.
또, 벨트 (30) 의 이동길이와 맞물리도록 보충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없는 방식으로, 굴절롤러 (32) 의 주위를 통과하는 벨트 (30) 에 의해 형성된 루프의 길이는 분류구조내의 상기 롤러의 승강위치와 하강위치 사이에서 실제적으로 정정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 롤러 (34 및 34') 에 의해 상기 굴절 루프의 이러한 상방 배열로 인하여, 공통의 벨트는 분류장치를 감싸는 상부 컨베이어의 후방과 전방부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컨베이어는 용이하게 조절 및 작동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류장치는 작은 폭의 컨베이어에 결합될 수 있으나, 내부 슈를 큰 폭의 슈로 대체하여 큰 폭의 컨베이어용의 분류장치에도 어려움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결합된 굴절장치를 차례로 구비한 복수의 컨베이어가 제공될 수 있고, 이렇게 제공하여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내에서 상기 분류장치에 수많은 개량이 부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분류장치는 잼의 위험을 최소로 줄이는 효과를 제공하며, 고속생산에 부합하도록 고속의 경사시간을 제공한다. 또, 상기 장치의 운전은 낮은 기계구동력을 소모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재순환 컨테이너, 방출이동에 대한 구동수단과, 정비나 수리시의 요소를 운전하는 데에 충분한 공간이 있도록 제한된 공간을 점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류장치는 작은 폭의 컨베이어에 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된 굴절장치를 차례로 구비한 복수의 컨베이어가 제공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9)

  1.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에 있어서,
    회전으로 구동된 전방롤러 또는 롤 (42) 에서 끝나는 제 1 하부 후방 컨베이어 (40) 와,
    상기 제 1 하부 후방 컨베이어 다음에 있으면서 회전으로 구동된 후방롤러 또는 롤 (52) 에서 시작하는 제 2 하부 전방 컨베이어와,
    상기 하부 컨베이어들 위에 있는 평면형 가공물의 압력수단 (30, 35) 과,
    상기 제 1 컨베이어 (40) 의 상기 전방롤러 또는 롤 (42) 과 상기 제 2 컨베이어 (50) 의 상기 후방롤러 또는 롤 (52) 사이에 삽입되어, 정상이동 (Tn) 에 따라 정렬되어 이 정상이동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제 1 측면 (62) 과, 상기 제 1 및 제 2 하부 컨베이어 사이를 통과하는 방출이동 (Te) 에 따라 정렬된 제 2 경사측면 (64) 과 단면상 후향의 앵글을 갖는 분류수단 (60) 과,
    상기 제 1 컨베이어 (40) 의 상기 전방롤러 또는 롤 (42) 의 전반부 (front half) 보다 약간 위에 설치되어, 승강위치에서는 상기 분류수단의 상기 제 1 측면 (62) 을 따라 가공물의 상기 정상이동 (Tn) 을 방해하지 않으며, 하강위치에서는 상기 전방롤러 또는 롤 (42) 의 전반부에 대하여 휘어지도록 방출이동 (Te) 을 강제하여 상기 방출이동이 상기 분류수단 (60) 의 상기 경사측면 (64) 아래에서 계속되는 굴절수단 (26, 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수단은 하나 또는 복수의 굴절 슈 (shoe) (26) 이고, 그 폭의 크기는 상기 평면형 가공물의 전단부의 폭에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수단은 상기 하부 후방 컨베이어와 부합하는 상부 후방 컨베이어의 전단부에 속하거나, 또는 상부 루프 (34, 34', 36) 를 따라 전방으로 진행하는 상부 벨트 컨베이어의 후방부의 전단부에 속하는 전단부 롤러 또는 롤 (32) 의 상기 하부 후반부 아래를 통과하는 벨트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수단은 롤러 (32) 아래를 통과하는 벨트 (30) 와, 상기 롤러 (32) 의 양측면상의 두 개의 굴절 슈 (26) 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호간 대면하여 설치된 한 쌍의 모터구동롤 (72, 73) 로 시작하는 방출 컨베이어 (74) 는 상기 분류수단 (60) 의 상기 경사측면 (64) 다음에 설치되고, 필요시 상기 롤 또는 두 롤은 벨트 컨베이어 (74) 의 시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부 후방 컨베이어 (40) 의 단부를 한정하는 롤러 (32, 42) 의 쌍과, 상기 제 2 하부 전방 컨베이어 (50) 의 시작부를 한정하는 롤러 (36, 52) 의 쌍이나 또는 상기 방출 컨베이어 (74) 의 시작부를 한정하는 롤러 (72, 73) 의 쌍 사이의 거리는 가공물의 최소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수단은 레버 (20) 의 실질상 수평의 쇼트암 (short arm) (34) 상에 설치되고, 그의 롱암 (long arm) 의 상방단부는 액튜에이터 (28) 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굴절수단이 승강 및 하강 위치 사이에서 평면형 가공물의 정상이동 (Tn) 에 수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부 전방 컨베이어 (50)는 전방구동으로 경사될 수 있는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부 전방 컨베이어 (50) 는 피봇 (48) 주위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현가되어 상기 피봇 (48) 주위의 앵글에 대하여 압력수단 (30) 과 자동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가공물의 컨베이어내의 분류장치.
KR1019980021786A 1997-06-12 1998-06-11 판상가공물의컨베이어내의분류장치 KR100311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1432/97A CH691299A5 (fr) 1997-06-12 1997-06-12 Dispositif d'aiguillage dans un transporteur d'éléments en plaque.
CH19971432/97 1997-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900A true KR19990006900A (ko) 1999-01-25
KR100311102B1 KR100311102B1 (ko) 2001-12-12

Family

ID=421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786A KR100311102B1 (ko) 1997-06-12 1998-06-11 판상가공물의컨베이어내의분류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082733A (ko)
EP (1) EP0884262B1 (ko)
JP (1) JP3068561B2 (ko)
KR (1) KR100311102B1 (ko)
CN (1) CN1081596C (ko)
AT (1) ATE246139T1 (ko)
AU (1) AU737195B2 (ko)
BR (1) BR9802367A (ko)
CA (1) CA2240602C (ko)
CH (1) CH691299A5 (ko)
DE (1) DE69816717T2 (ko)
DK (1) DK0884262T3 (ko)
ES (1) ES220532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126B1 (ko) * 2006-02-28 2011-12-15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컨테이너 충전 장치
US8310533B2 (en) * 2006-03-27 2012-11-13 GE Sensing & Inspection Technologies, LP Inspection apparatus for inspecting articles
DE102006018768B4 (de) * 2006-04-20 2008-02-07 Kugler-Womako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 bogenförmiger flacher Gegenstände
DE102008010987A1 (de) 2008-02-25 2009-08-27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orrichtung zum Ausschleusen von Bedruckstoffen
DE102008021319A1 (de) 2008-04-29 2009-11-05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Faltschachtelklebemaschine zur Herstellung von Faltschachteln aus Zuschnitten
DE102009034853A1 (de) * 2008-09-23 2010-03-25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sschleusung von Fehlbogen am Anleger einer Verarbeitungsmaschine
TWI398307B (zh) * 2009-07-09 2013-06-11 Chan Li Machinery Co Ltd Detection and screening device and its detection and screening method
US8833546B2 (en) * 2009-09-09 2014-09-16 Chan Li Machinery Co., Ltd. Web product sorting machine
JP6346938B2 (ja) * 2013-03-18 2018-06-20 ボブスト メックス ソシエテ アノニム 搬送中の平板物体を排出するための装置
CN104616393B (zh) * 2015-01-19 2017-09-12 哈尔滨市君诚信电子有限公司 扫描仪分拣机构
EP3529186A1 (fr) * 2016-10-18 2019-08-28 Bobst Mex Sa Dispositif et procede d'aiguillage et d'ejection pour element en plaque
CN112871709A (zh) * 2021-02-19 2021-06-01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带有精准定位结构的智能制造用质量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23682B (de) * 1962-03-01 1966-08-25 Masson Scott & Co Ltd Vorrichtung zum Aussortieren von Bogen aus Papier, Pappe od. dgl.
US3417989A (en) * 1966-08-29 1968-12-24 Cons Paper Inc Sheet inspecting and sorting apparatus
US3729188A (en) * 1969-05-12 1973-04-24 Xerox Corp Document stacker apparatus
SE406075B (sv) * 1978-04-03 1979-01-22 Hugin Kassaregister Ab Anordning for inmatning och stapling av blanketter i ett fack
FR2470747A1 (fr) * 1979-12-07 1981-06-12 Hotchkiss Brandt Sogeme Dispositif de transport de tri d'objets minces et flexibles, et machine equipee d'un tel dispositif
US4324522A (en) * 1980-03-04 1982-04-13 Bucciconi Engineering Co., Inc. Metal sheet handling machine
DE3029154C2 (de) * 1980-07-31 1983-01-05 Albert-Frankenthal Ag, 6710 Frankenthal Makulaturweiche
JPH0772048B2 (ja) * 1986-12-12 1995-08-02 東芝機械株式会社 輪転印刷機の折機
US5279195A (en) * 1992-03-03 1994-01-18 Heidelberg Harris, Inc. Apparatus for continuously transporting, separating, and changing the path of webs
DE4317042C1 (de) * 1993-05-21 1994-08-18 Jagenberg Ag Bogenweiche
CA2172082A1 (en) * 1995-03-24 1996-09-25 Carl R. Marschke Sheet saving diverter for corrug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H691299A5 (fr) 2001-06-29
KR100311102B1 (ko) 2001-12-12
BR9802367A (pt) 1999-10-05
EP0884262A1 (fr) 1998-12-16
AU6899298A (en) 1998-12-17
DE69816717T2 (de) 2004-06-03
US6082733A (en) 2000-07-04
JPH1111772A (ja) 1999-01-19
EP0884262B1 (fr) 2003-07-30
CA2240602C (en) 2004-02-17
CN1081596C (zh) 2002-03-27
CN1202451A (zh) 1998-12-23
CA2240602A1 (en) 1998-12-12
ATE246139T1 (de) 2003-08-15
ES2205320T3 (es) 2004-05-01
JP3068561B2 (ja) 2000-07-24
AU737195B2 (en) 2001-08-09
DK0884262T3 (da) 2003-11-24
DE69816717D1 (de) 200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3769A (en) Dual collating machine
KR100311102B1 (ko) 판상가공물의컨베이어내의분류장치
RU251441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конвертов и относящиеся к нему способы
FI96594B (fi) Menetelmä ja laite limimuodostelmassa tulevien painotuotteiden kuljettamiseksi
US7150707B2 (en) Folding box gluing machine for production of folding boxes from blanks
US6672582B2 (en) Delivery and ejection device for flat elements into a machine working them
US3692304A (en) Apparatus for feeding and stacking loose paper sheets
JP2003509313A (ja) 材料ウェブ特に厚紙ウェブを横裁ちするための装置
US7478721B2 (en) Device for conveying sheet-type flat items
US4087087A (en) Sheet stacking apparatus for sorter
NL8005397A (nl) Bladklassificatiesysteem met een afbuiginrichting.
US10351380B2 (en) Diverter conveyor
US375464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selected sheets from the lower bridge of a corrugated paper board manufacturing machine
US49433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a plurality of serially supplied sheets
US6244594B1 (en) Apparatus for storing sheets driven ou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30041762A1 (en) Diverter conveyor
JPH0891665A (ja) 排紙装置
US3417989A (en) Sheet inspecting and sorting apparatus
US20220355502A1 (en) Front end conveyor having integrated transverse scrap conveyor
CN115465526B (zh) 小卷纸包装检测装置
CN110626832A (zh) 一种转移输送机
US5868548A (en) Stacking device for printer products and the like
JPH04308158A (ja) ソータ
JPH10167552A (ja) 枚葉物の振分け装置
JPH04122558U (ja) ソ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