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612A -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612A
KR19990006612A KR1019980020500A KR19980020500A KR19990006612A KR 19990006612 A KR19990006612 A KR 19990006612A KR 1019980020500 A KR1019980020500 A KR 1019980020500A KR 19980020500 A KR19980020500 A KR 19980020500A KR 19990006612 A KR19990006612 A KR 19990006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brake
fuel injection
throttle valve
intake throttle
accelerator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8507B1 (ko
Inventor
아키라 마추우라
Original Assignee
유아사 히로시
히노 지도샤 고교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아사 히로시, 히노 지도샤 고교 (주) filed Critical 유아사 히로시
Publication of KR1999000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10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acceleration
    • F02D41/107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3809Common rail control systems
    • F02D41/3827Common rail control systems for diesel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02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not restricted to 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e.g. varying amount of fuel deli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6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driver demands or status
    • F02D2200/602Ped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4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exhaust conduits
    • F02D9/06Exhaust br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High-Pressure Fuel Injection Pump Control (AREA)

Abstract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 상태로부터 액셀 페달을 밟는 것에 의한 가속 상태로 이행하였을 때, 흡기 스로틀 밸브의 개방 응답 지연을 예상하여 분사(injection) 펌프로부터 연료를 분사시킬 수 있으며, 공기 부족에 따른 연소 불량에 의한 흑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의 액셀 페달을 밟는 것에 의한 가속을, 액셀 스위치(11)와 액셀 센서(12)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1la, 12a)에 근거하여 검출하며, 액셀 페달이 밟아진 시점으로부터 흡기 스로틀 밸브(9)가 개방까지의 응답 지연에 상당하는 시간 경과후, 제어장치(10)로부터 분사 펌프(6)의 전자 거버너(governor:7)로 연료 분사 신호(10a)를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트럭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V형 디젤엔진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중, 1은 엔진 본체, 2는 엔진 본체(1)의 흡기측에 접속된 흡입 매니폴드(intake manifold), 3은 흡입 매니폴드(2)에 접속된 흡입관, 4는 엔진 본체(1)의 배기측에 접속된 배기 매니폴드(exhaust manifold), 5는 배기 매니폴드(4)에 접속된 배기관, 6은 엔진 본체(1)의 실린더내에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 펌프, 7은 분사 펌프(6)로부터의 연료 분사를 제어하는 전자 거버너, 8은 배기관(5) 도중에 설치된 배기 브레이크 밸브, 9는 배기 브레이크 밸브(8)의 폐쇄 동작에 의한 배기 브레이크 작동시에 흡기의 반대로 부는 것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 흡입관(3)의 입구부에 설치된 노이즈 서프레서(noise suppressor)라고 불리는 흡기 스로틀 밸브, 10은 분사 펌프(6)의 전자 거버너(7)로 연료 분사 신호(10a)를 출력하는 제어장치이다.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디젤엔진의 경우, 차량이 어느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고 있을 때에, 액셀 페달로부터 발을 떼면, 배기 브레이크 밸브(8)가 폐쇄되어, 배기가스의 흐름이 저지되며, 엔진 본체(1)의 내부 저항이 증가하여, 엔진 브레이크의 효과가 증대되며, 차량이 감속되지만, 이 때, 상기 배기 브레이크 밸브(8)의 폐쇄동작에 의한 배기 브레이크 작동과 연동하여 흡기 스로틀 밸브(9)가 폐쇄되어, 배기 브레이크 작동시에 발생하는 흡기의 반대로 부는 것에 의한 소음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과 같은 종래의 디젤엔진으로서는, 배기 브레이크 밸브(8)나 흡기 스로틀 밸브(9)는, 도시하지 않고 있는 구동용의 에어 실린더등에 대하여, 전자 밸브의 개폐에 의해 에어를 공급 배출함으로써 개폐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배기 브레이크 밸브(8)나 흡기 스로틀 밸브(9)의 응답성이 분사 펌프(6)의 응답성과 비교하여 낮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 액셀 페달을 밟아 가속하였을 때, 흡기 스로틀 밸브(9)의 개방 응답 지연에 의해, 엔진 본체(1)의 실린더내로 공기가 충분히 들어가지 않은 채로 분사 펌프(6)로부터 연료가 분사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연소 불량에 의해 흑연이 발생한다고 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에 감안하여,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 상태로부터 액셀 페달의 밟는 것에 의한 가속 상태로 이행하였을 때, 흡기 스로틀 밸브의 개방 응답 지연을 예상하여 분사 펌프로부터 연료를 분사시킬 수 있으며, 공기부족에 따른 연소 불량에 의한 흑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 1 발명은,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의 가속시, 연료 분사의 타이밍을, 흡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까지의 응답 지연 상당하는 시간만 늦추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2 발명은, 액셀 페달의 밟는 상태와 밟지 않는 상태를 검출하는 액셀 스위치와, 액셀 페달의 밟는 량을 검출하는 액셀 센서와,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 연료 분사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의 액셀 페달 밟는 것에 의한 가속을 액셀 스위치와 액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검출하며, 액셀 페달이 밟아진 시점으로부터 흡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까지의 응답 지연에 상당하는 시간 경과후, 제어장치로부터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에 연료 분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3 의 발명은, 흡기 스로틀 밸브의 개폐를 검출하는 흡기 스로틀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와,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 연료 분사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의 액셀 페달 밟는 것에 의한 가속시, 흡기 스로틀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흡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된 후, 제어장치로부터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 연료 분사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4 발명은, 배기 브레이크 밸브의 개폐를 검출하는 배기 브레이크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와,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 연료 분사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의 액셀 페달 밟는 것에 의한 가속시, 배기 브레이크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배기 브레이크 밸브가 개방된 후, 제어장치로부터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에 연료 분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제 1 발명에 있어서는,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의 가속시, 연료 분사의 타이밍을, 흡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까지의 응답 지연에 상당하는 시간만 지연되도록 제어가 행하여지며, 흡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되어 엔진 본체의 실린더내로 공기가 충분히 들어간 상태로 분사 펌프로부터 연료가 분사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연소가 양호하게 행하여져, 흑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 2 발명에 있어서는,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 가속하기 위해서 액셀 페달을 밟으면, 액셀 스위치에 의해서 액셀 페달이 밟아진 것이 검출됨과 동시에, 액셀 센서에 의해서 액셀 페달의 밟는 량이 검출되며, 상기 액셀 스위치와 액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액셀 페달이 밟아진 시점으로부터 흡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하기까지의 응답 지연에 상당하는 시간 경과후, 제어장치로부터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 연료 분사 신호가 출력되며, 이 결과, 흡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되어 엔진 본체의 실린더내에 공기가 충분히 들어 간 상태로 분사 펌프로부터 연료가 분사되는 형태로 되어, 연소가 양호하게 행하여져, 흑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 3 발명에 있어서는,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 가속하기 위해서 액셀 페달을 밟으면, 이 시점에서는 흡기 스로틀 밸브는 응답 지연에 의해 더욱 개방되지 않고, 제어장치로부터는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 연료 분사 신호가 출력되지 않지만, 흡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된 것이 흡기 스로틀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에 의해서 검출되면, 해당 흡기 스로틀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제어장치로부터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 연료 분사 신호가 출력되어, 이 결과, 흡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되어 엔진 본체의 실린더내에 공기가 충분하게 들어 간 상태에서 분사 펌프로부터 연료가 분사되는 형태로 되어, 연소가 양호하게 행하여져, 흑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 4 발명에 있어서는,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 가속하기 위해서 액셀 페달을 밟으면, 이 시점에서는 배기 브레이크 밸브 및 흡기 스로틀 밸브는 응답 지연에 의해 더욱 개방되지 않고, 제어장치로부터는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에 연료 분사 신호가 출력되지 않지만, 배기 브레이크 밸브가 개방된 것이 배기 브레이크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에 의해서 검출되면, 해당 배기 브레이크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제어장치로부터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 연료 분사 신호가 출력되어, 이 결과, 어느 정도 흡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되어 엔진 본체의 실린더내에 공기가 도입된 상태에서 분사 펌프로부터 연료가 분사되는 형태로 되며, 연소가 양호하게 행하여져, 흑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의 한 예의 개요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의 한 예에 있어서,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 상태로부터 액셀 페달을 밟는 것에 의한 가속 상태로 이행하였을 때의, 배기 브레이크 밸브 및 흡기 스로틀 밸브등의 작동과, 분사 펌프로부터 분사되는 연료 유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
도 3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의 다른 예의 개요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의 또 다른 예의 개요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의 또 다른 예에 있어서,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 상태로부터 액셀 페달을 밟는 것에 의한 가속 상태로 이행하였을 때의, 배기 브레이크 밸브 및 흡기 스로틀 밸브등의 작동과, 분사 펌프로부터 분사되는 연료 유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
도 6은 종래 디젤엔진의 한 예의 개요구성도.
도 7은 종래 디젤엔진의 한 예에 있어서,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 상태로부터 액셀 페달을 밟는 것에 의한 가속 상태로 이행하였을 때의, 배기 브레이크 밸브 및 흡기 스로틀 밸브등의 작동과, 분사 펌프로부터 분사되는 연료 유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본체 6 : 분사 펌프
7 : 전자 거버너 8 : 배기 브레이크 밸브
9 : 흡기 스로틀 밸브 10 : 제어장치
10a : 연료 분사 신호 11 : 액셀 스위치
11a : 검출신호 12 : 액셀 센서
12a : 검출신호 13 : 흡기 스로틀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
13a : 검출신호 14 : 배기 브레이크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
14a : 검출신호 t1 : 시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의 일례로써, 도면중, 도 6 및 도 7과 동일의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기본적인 구성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종래의 것과 같지만, 본 도시예의 특징으로 하는 것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의 액셀 페달을 밟는 것에 의한 가속을, 액셀 페달의 밟는 상태와 밟지 않는 상태를 검출하는 액셀 스위치(11)와, 액셀 페달의 밟는 량을 검출하는 액셀 센서(12)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lla, 12a)에 근거하여 검출하며, 액셀 페달이 밟아진 시점으로부터 흡기 스로틀 밸브(9)가 개방하기까지의 응답 지연에 상당하는 시간(t1)경과후, 제어장치(10)로부터 분사 펌프(6)의 전자 거버너(7)에 연료 분사 신호(l0a)를 출력하도록 구성한 점에 있다.
더우기, 상기 액셀 페달이 밟아진 시점으로부터 흡기 스로틀 밸브(9)가 개방하기까지의 응답 지연에 상당하는 시간(t1)은, 약 0.7[sec] 정도이지만, 이 값은 디젤엔진의 기종에 따라서 격차가 있기 때문에, 기종마다 행하여지는 시험 데이터에 근거하여 적합한 수치를 선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상기 도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차량이 어느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고 있을 때에, 액셀 페달로부터 발을 떼면, 배기 브레이크 밸브(8)가 폐쇄되어, 배기 가스의 흐름이 저지되며, 엔진 본체(1)의 내부저항이 증가하여, 엔진 브레이크의 효과가 증대되며, 차량이 감속되는 한편, 상기 배기 브레이크 밸브(8)의 폐쇄 동작에 의한 배기 브레이크 작동과 연동하여 흡기 스로틀 밸브(9)가 폐쇄되어, 배기 브레이크 작동시에 발생하는 흡기의 반대로 부는 것에 의한 소음이 방지되며, 상기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 가속하기 위해서 액셀 페달을 밟으면, 액셀 스위치(11)에 의해서 액셀 페달이 밟아진 것이 검출됨과 동시에, 액셀 센서(12)에 의해서 액셀 페달의 밟는 량이 검출되며, 상기 액셀 스위치(11)와 액셀 센서(12)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11a, 12a)에 근거하여, 액셀 페달이 밟아진 시점에서 흡기 스로틀 밸브(9)가 개방까지의 응답 지연에 상당하는 시간(t1) 경과후, 제어장치(10)로부터 분사 펌프(6)의 전자 거버너(7)에 연료 분사 신호(10a)가 출력된다.
이 결과, 흡기 스로틀 밸브(9)가 개방되어 엔진 본체(1)의 실린더내에 공기가 충분히 들어 간 상태에서 분사 펌프(6)로부터 연료가 분사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도 2참조), 연소가 양호하게 행하여져, 흑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해서,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상태로부터 액셀 페달의 밟는 것에 의한 가속상태로 이행하였을 때, 흡기 스로틀 밸브(9)의 개방 응답 지연을 예상하고 분사 펌프(6)로부터 연료를 분사시킬 수 있으며, 공기 부족에 따른 연소 불량에 의한 흑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의 다른 예로써, 도면중, 도 1과 동일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고, 흡기 스로틀 밸브(9)의 개폐를 검출하는 흡기 스로틀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13)를 마련하여,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 액셀 페달을 밟는 것에 의한 가속시, 흡기 스로틀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1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13a)에 근거하여, 흡기 스로틀 밸브(9)가 개방한후, 제어장치(10)로부터 분사 펌프(6)의 전자 거버너(7)에 연료 분사 신호(10a)를 출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차량이 있는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고 있을 때에, 액셀 페달로부터 발을 떼면, 배기 브레이크 밸브(8)가 폐쇄되어, 배기 가스의 흐름이 저지되며, 엔진 본체(1)의 내부 저항이 증가하여, 엔진 브레이크의 효과가 증대되며, 차량이 감속되는 한편, 상기 배기 브레이크 밸브(8)의 폐쇄 동작에 의한 배기 브레이크 작동과 연동하여 흡기 스로틀 밸브(9)가 폐쇄되며, 배기 브레이크 작동시에 발생하는 흡기의 반대로 부는 것에 의한 소음이 방지되고, 상기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 가속하기 위해서 액셀 페달을 밟으면, 이 시점에서는 흡기 스로틀 밸브(9)는 응답 지연에 의해 더욱 개방되지 않고, 제어장치(10)로부터는 분사 펌프(6)의 전자 거버너(7)에 연료 분사 신호(1Oa)가 출력되지 않지만, 흡기 스로틀 밸브(9)가 개방된 것이 흡기 스로틀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13)에 의해서 검출되면, 해당 흡기 스로틀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1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13a)에 근거하여 제어장치(10)로부터 분사 펌프(6)의 전자 거버너(7)에 연료 분사 신호(10a)가 출력되며, 이 결과, 흡기 스로틀 밸브(9)가 개방되어 엔진 본체(1)의 실린더내에 공기가 충분히 들어 간 상태에서 분사 펌프(6)로부터 연료가 분사되는 형태로 되어, 연소가 양호하게 행하여져, 흑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우기, 도 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상태로부터 액셀 페달의 밟는 것에 의한 가속 상태로 이행하였을 때의, 배기 브레이크 밸브(8) 및 흡기 스로틀 밸브(9)등의 작동과, 분사 펌프(6)로부터 분사되는 연료 유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거의 같게 된다.
이렇게 해서, 도 3에 나타내는 예의 경우도, 상술의 도 1에 나타내는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상태로부터 액셀 페달의 밟는 것에 의한 가속 상태로 이행하였을 때, 흡기 스로틀 밸브(9)의 개방 응답 지연을 예상하여 분사 펌프(6)로부터 연료를 분사시킬 수 있으며, 공기 부족에 따른 연소 불량에 의한 흑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의 또 다른 예로써, 도면 중, 도 3과 동일의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배기 브레이크 밸브(8)의 개폐를 검출하는 배기 브레이크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14)를 설치하여,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의 액셀 페달을 밟는 것에 의한 가속시, 배기 브레이크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14)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14a)에 근거하여, 배기 브레이크 밸브(8)가 개방된 후, 제어장치(10)로부터 분사 펌프(6)의 전자 거버너(7)에 연료 분사 신호(10a)를 출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배기 브레이크 밸브(8)의 개폐를 배기 브레이크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14)에 의해서 검출하도록 하고 있는 것은, 배기 브레이크 밸브(8)도 흡기 스로틀 밸브(9)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고 있는 구동용의 에어 실린더등에 대하여, 전자 밸브의 개폐에 의해 에어를 공급 배출함으로써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며, 액셀 페달이 밟아진 시점에서 배기 브레이크 밸브(8)가 개방될 때까지는, 흡기 스로틀 밸브(9)가 개방까지의 응답 지연과 거의 같은 시간(t2)이 걸리기 때문이다.
더우기, 상기 액셀 페달이 밟아진 시점으로부터 배기 브레이크 밸브(8)가 개방되기까지의 응답 지연에 상당하는 시간(t2)은, 약 0.6[sec]정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차량이 있는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고 있을 때에, 액셀 페달로부터 발을 떼면, 배기 브레이크 밸브(8)가 폐쇄되어, 배기 가스의 흐름이 저지되며, 엔진 본체(1)의 내부 저항이 증가하여, 엔진 브레이크의 효과가 증대되고, 차량이 감속되는 한편, 상기 배기 브레이크 밸브(8)의 폐쇄 동작에 의한 배기 브레이크 작동과 연동하여 흡기 스로틀 밸브(9)가 폐쇄되어, 배기 브레이크 작동시에 발생하는 흡기의 반대로 부는 것에 의한 소음이 방지된다. 상기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 가속하기 위해서 액셀 페달을 밟으면, 이 시점에서는 배기 브레이크 밸브(8) 및 흡기 스로틀 밸브(9)는 응답 지연에 의해 더욱 개방되지 않고, 제어장치(10)로부터는 분사 펌프(6)의 전자 거버너(7)에 연료 분사 신호(10a)가 출력되지 않지만, 배기 브레이크 밸브(8)가 개방된 것이 배기 브레이크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14)에 의해서 검출되면, 해당 배기 브레이크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14)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14a)에 근거하여 제어장치(10)로부터 분사 펌프(6)의 전자 거버너(7)에 연료 분사 신호(10a)가 출력되며, 이 결과, 어느 정도 흡기 스로틀 밸브(9)가 개방되어 엔진 본체(1)의 실린더내에 공기가 도입된 상태에서 분사 펌프(6)로부터 연료가 분사되는 형태로 되어, 연소가 양호하게 행하여져, 흑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우기, 도 4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 상태로부터 액셀 페달의 밟는 것에 의한 가속 상태로 이행하였을 때의, 배기 브레이크 밸브(8) 및 흡기 스로틀 밸브(9)등의 작동과, 분사 펌프(6)로부터 분사되는 연료 유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이렇게 해서, 도 4에 나타내는 예의 경우도, 상술의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예의 경우와 같이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 상태로부터 액셀 페달의 밟는 것에 의한 가속 상태로 이행하였을 때, 흡기 스로틀 밸브(9)의 개방 응답 지연을 예상하여 분사 펌프(6)로부터 연료를 분사시킬 수 있으며, 공기 부족에 따른 연소 불량에 의한 흑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의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상술의 도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예를 조합하여, 흡기 스로틀 밸브(9)의 개폐를 검출하는 흡기 스로틀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13)와, 배기 브레이크 밸브(8)의 개폐를 검출하는 배기 브레이크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14)를 설치하여,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의 액셀 페달을 밟는 것에 의한 가속시, 흡기 스로틀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1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13a) 또는 배기 브레이크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14)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14a)에 근거하여, 흡기 스로틀 밸브(9) 또는 배기 브레이크 밸브(8)의 어느 것인가가 개방된 후, 제어장치(10)로부터 분사 펌프(6)의 전자 거버너(7)로 연료 분사 신호(lOa)를 출력하도록 구성해도 좋은 것등, 기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하여 얻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 상태로부터 액셀 페달을 밟는 것에 의한 가속 상태로 이행하였을 때, 흡기 스로틀 밸브의 개방 응답 지연을 예상하여 분사 펌프로부터 연료를 분사시킬 수 있으며, 공기 부족에 따른 연소 불량에 의한 흑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얻는다.

Claims (4)

  1.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의 가속시, 연료 분사의 타이밍을, 흡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하기까지의 응답 지연에 상당하는 시간만 지연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방법.
  2. 액셀 페달의 밟는 상태와 밟지 않는 상태를 검출하는 액셀 스위치와,
    액셀 페달의 밟는 량을 검출하는 액셀 센서와,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에 연료 분사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의 액셀 페달을 밟는 것에 의한 가속을 액셀 스위치와 액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검출하며, 액셀 페달이 밟아진 시점으로부터 흡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하기까지의 응답 지연에 상당하는 시간 경과후, 제어장치로부터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에 연료 분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장치.
  3. 흡기 스로틀 밸브의 개폐를 검출하는 흡기 스로틀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와,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에 연료 분사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의 액셀 페달을 밟는 것에 의한 가속시, 흡기 스로틀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흡기 스로틀 밸브가 개방된 후, 제어장치로부터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에 연료 분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장치.
  4. 배기 브레이크 밸브의 개폐를 검출하는 배기 브레이크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와,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에 연료 분사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배기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감속후의 액셀 페달을 밟는 것에 의한 가속시, 배기 브레이크 밸브 개폐 검출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배기 브레이크 밸브가 개방된 후, 제어장치로부터 분사 펌프의 전자 거버너에 연료 분사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장치.
KR1019980020500A 1997-06-09 1998-06-03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장치 KR100348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50980 1997-06-09
JP9150980A JPH10339194A (ja) 1997-06-09 1997-06-09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612A true KR19990006612A (ko) 1999-01-25
KR100348507B1 KR100348507B1 (ko) 2002-10-25

Family

ID=1550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500A KR100348507B1 (ko) 1997-06-09 1998-06-03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339194A (ko)
KR (1) KR100348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0220B2 (ja) * 2008-12-01 2012-09-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停止時にスロットル弁を制御する装置
KR101648494B1 (ko) 2015-10-16 2016-08-16 (주) 오베론코스메틱 거미줄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피부 리프팅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1952B1 (ko) 2018-11-23 2020-04-27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거미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2084B2 (ja) * 1992-09-24 1998-12-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子制御燃料噴射ポンプ装置付きディーゼル機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39194A (ja) 1998-12-22
KR100348507B1 (ko) 200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5365A (en) Electronic controlled fuel injection system
KR900000579A (ko) 내연기관의 드로틀 제어장치
US4365603A (en) System for controlling air-fuel ratio
KR100348507B1 (ko) 디젤엔진의 연료분사 제어장치
US521307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970060A (en) Fuel control apparatus
JP3552478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3552473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3717311B2 (ja) エンジンの排ガス再循環装置
AU76148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el injection amoun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9990008357U (ko) 배기브레이크장치
KR19980035489A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JPH07238843A (ja) エキゾーストブレーキ装置
JP3017807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100204154B1 (ko) 감속시의 연료 분사 제어 방법
JP2004003473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3790972B2 (ja) 内燃機関の補助空気量制御方法
JPH09317435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S61218722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1136928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20020044478A (ko) 디젤엔진의 연료분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427123U (ko)
JPS59131726A (ja) 吸入空気制御装置
JPS6183462A (ja) 車両のスロツトル弁制御装置
KR19990050681A (ko) 스로틀 밸브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