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549A - 원형 편물기계의 특히 신장율이 높은 뜨개실용 뜨개실 공급기 - Google Patents

원형 편물기계의 특히 신장율이 높은 뜨개실용 뜨개실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549A
KR19990006549A KR1019980020199A KR19980020199A KR19990006549A KR 19990006549 A KR19990006549 A KR 19990006549A KR 1019980020199 A KR1019980020199 A KR 1019980020199A KR 19980020199 A KR19980020199 A KR 19980020199A KR 19990006549 A KR19990006549 A KR 19990006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yarn
knitting
feeder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4624B1 (ko
Inventor
프란체스코 로나티
에또레 로나티
파우스토 로나티
티베리오 로나티
Original Assignee
티베리오 로나티
산토니 에쎄.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베리오 로나티, 산토니 에쎄.뻬.아. filed Critical 티베리오 로나티
Publication of KR1999000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04B15/50Thread-feeding devices for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4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 D04B15/46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for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04B15/60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with thread-clamping or -severing devices
    • D04B15/61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with thread-clamping or -severing devices arranged within needle circl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narrowing or widening; with reciprocatory action, e.g. for knitting of flat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편물기계의 특히 신장율이 높은 탄성 뜨개실용 뜨개실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공급기(1)는 스풀 즉 릴(7)로부터 기계의 작업영역으로 풀리는 뜨개실(6)의 통로를 형성하는 일련의 통로 및/또는 접촉영역(2, 3, 4, 5)을 포함한다. 공급기는, 통로를 따라서, 뜨개실(6)을 결합할 수 있고 명령에 따라 이동가능하여 뜨개실 통로를 신장시키는 부재(11)를 포함하여, 기계가 필요로 하는 뜨개실 길이에 대하여 스풀(7)로부터 풀린 뜨개실의 잉여길이를 제공하고, 기계의 니들작업영역에 근접하여 실행되는 뜨개실의 절단 바로 직전에 잉여길이의 뜨개실의 최소한 일부를 공급한다.

Description

원형 편물기계의 특히 신장율이 높은 뜨개실용 뜨개실 공급기
본 발명은 스타킹 또는 양말-제조용 원형 편물기계의 특히 신장율이 높은 뜨개실용 뜨개실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형 편물기계, 특히 싱글-실린더 기계에서는 제품의 형성에 사용되는 뜨개실이 적합한 뜨개실바늘에 의하여 니들작업영역에 근접하게 일반적으로 드롭(drop) 즉 피드(feed)로 알려진 기계의 특정영역에 분배된다. 하나의 뜨개실로 제조된 니트가 완료되었을 때, 대응하는 뜨개실바늘은 기계의 니들이 뜨개실을 집어들지 못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뜨개실을 집어든 마지막 니들상에 걸려있는 상기 뜨개실이 뜨개실을 절단하는 적합한 커터(cutter)를 가진 다이얼(dial)위에 위치된다.
니들실린더와 견고하게 회전하는 다이얼 위에는, 나이프(knife)가 배설되어 다이얼지지구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다이얼이 회전하는 동안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나이프는 명령에 따라 구동가능하여 상기 나이프와 커터 사이에서, 뜨개실이 나이프 아래를 통과할 때 뜨개실을 절단하는 커터용 상보적 커팅에지로서 작용한다. 다이얼 위에는, 뜨개실바늘이 점유한 영역과 나이프가 점유한 영역 사이에 흡입포트(suction port)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포트는 나이프와 커터의 결합작용에 의하여 절단된 뜨개실을 흡출 및 지지한다는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미리 신장되어 니들에 공급되는 신장율이 높은 탄성 뜨개실, 예를 들면 상품명 리크라(Lycra)로 시판중인 재료로 제조된 탄성 뜨개실로 편물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절단 후에 뜨개실의 단부를 흡입포트에 의하여 정확하게 흡입하는 것이 다소 곤란하다. 상기 뜨개실은 실제로 일단 절단되면 그들의 탄성 때문에 상당히 짧아지고, 따라서 흡입포트에서 그들을 흡출하는 것이 곤란하다. 뜨개실이 흡출되지 않으면, 뜨개실바늘을 향하여 수축 및 짧아지며 뜨개실바늘에서 빠지게 되어, 뜨개실이 기계의 니들에 다시 공급되어여 할 때 기계의 동작을 방해한다.
이 과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뜨개실이 절단된 후 소정기간동안 이를 지지할 수 있는 클램프(clamp)를 나이프 가까이에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뜨개실을 지지하기 위하여 클램프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 클램프가 다른 뜨개실은 방해하지 않고 단지 탄성 뜨개실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취급이 매우 복잡하여 결점을 해소하지 못한다. 많은 종류의 편물에서 탄성 뜨개실은 다른 뜨개실과 함께 분배되기 때문에, 이 과제는 해소하기 곤란하다.
클램프가 꼭 있어야 한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것은 기계의 정확한 동작에 필요한 일련의 장치로 이미 가득차 있는 니들실린더 위의 기계영역에 잉여의 벌크(bulk)를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또한, 실행된 뜨개실을 클램프가 지지하고 있으면 기계에 공급된 각종의 뜨개실이 꼬이게 될 수 있기 때문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뜨개실을 서로 별개로 분배하는 경우 각각의 탄성 뜨개실에 클램프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문제로 인하여 기계의 각 피드 즉 드롭용으로 한가닥 이상의 탄성 뜨개실의 분배가 실제적으로 불가능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문제를 가중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 편물 즉 양말-제조기계내에, 기계의 니들실리더 위에 클램프를 사용할 필요없이 다이얼 위에 위치된 흡입포트에 의하여 뜨개실이 확실하게 흡출될 수 있는, 특히 신장율이 높은 탄성 뜨개실용 뜨개실 공급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다.
이 목적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니들실린더 위의 기계영역에 추가공간을 점유하지 않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기계에 공급된 뜨개실이 서로 꼬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동작의 신뢰성이 매우 높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기계의 동일 드롭 즉 피드에, 서로 별개로 취급가능한 복수의 탄성 뜨개실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 이하 명백하게 될 이들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원형 편물 즉 양말-제조기계내의, 특히 신장율이 높은 탄성 뜨개실용 뜨개실 공급기에 의하여 달성되고, 이것은 스풀 즉 릴로부터 기계의 작업영역으로 풀리는 뜨개실의 통로를 형성하는 일련의 통로 및/또는 접촉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통로를 따라서, 뜨개실을 결합할 수 있고 명령에 따라 이동가능하여 상기 통로를 신장시켜서, 기계가 필요로 하는 뜨개실 길이에 대하여 상기 스풀로부터 풀린 뜨개실의 잉여길이를 제공하고, 기계의 니들작업영역에 근접하여 실행되는 뜨개실의 절단 바로 직전에 상기 잉여길이의 뜨개실의 최소한 일부를 공급하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단지 예시로서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하지만 한정적은 아닌 실시예의 장치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싱글-실린더 양말-제조기계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구비된 양말-제조기계의 평면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사용가능한 뜨개실 제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과 상이한 동작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스풀(7)로부터 니트, 양말-제조기계의 피드 즉 드롭에 위치된 뜨개실바늘(8)로 풀려나오는 뜨개실(6)용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로 또는 접촉영역(2, 3, 4, 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다른 장치는, 통로 또는 접촉영역(2, 3, 4, 5)으로 형성된 통로를 따라서, 뜨개실(6)을 결합할 수 있고 명령에 따라 이동가능하여 뜨개실이 후속하는통로를 신장시켜서, 기계(10)가 필요로 하는 뜨개실 길이에 대하여 스풀(7)로부터 풀린 뜨개실의 잉여길이를 제공하고, 기계(10)의 니들작업영역에 근접하여 실행되는 뜨개실의 절단 바로 직전에 이 잉여길이의 뜨개실의 최소한 일부를 공급하는 부재(11)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계(10)의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구조(13)를 포함하고, 축(15)을 중심으로 지지구조(13)에 그 단부 중 한쪽에서 피봇된 암(arm)(14)으로 구성되는 부재(11)를 지지한다.
암(14)은 축(15)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뜨개실(6)용 제1 통로(16)를 또한 가진다.
상기 제1 통로(16)는 지지구조(13)상에 배열되어 있는 뜨개실(6)용의 2개의 고정 접촉영역(3, 4)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암(14)은 명령에 따라 축(15)을 중심으로 진동하여, 제1 통로(16)가 고정 접촉영역(3, 4)과 정렬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제1 위치로부터 통로(16)가 2개의 고정 접촉영역(3, 4)등을 연결하는 라인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제2 위치로 통과할 수 있다.
실제로, 암(14)이 축(15)을 중심으로 진동함에 따라서, 제1 통로(16)는 횡방향 콤포넌트를 가지는 방향으로 상기 통로(16)의 축에 대하여 이동한다.
암(14)은, 축(15)을 중심으로 지지구조(13)에 피봇되어 있는 단부에 대향하여 위치된 단부에 근접하여, 뜨개실(6)이 기계(10)쪽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제1 통로(16)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는 제2 통로(17)를 또한 가진다.
제1 통로(16)와 제2 통로(17) 모두는 암(14)에 견고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 아일릿(eyelet)으로 구성된다.
고정 접촉영역(3)은 뜨개실(6)이 그 사이를 통과하는 2개의 원형판(21a, 21b)으로 사실상 구성되는 뜨개실 제동장치(20)로 형성된다.
스프링(22)이 원형판(21b)을 원형판(21a)쪽으로 밀고, 이의 사전부하는 적합한 놉(knob)(23)에 의하여 공지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유체구동 실린더, 예를 들면 공압 실린더(24)가 2개의 원형판(21a, 21b)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지지구조(13)에 의하여 지지된다. 공압 실린더(24)의 피스톤 축(stem)은 2개의 원형판(21a, 21b)사이 영역에 대면하는 지점(25)에 고정되고, 공압 실린더(24)의 구동에 의하여. 2개의 원형판(21a, 21b) 사이에 삽입될 수 있어서 스프링(22)의 작용에 반발하여 원형판(21b)을 원형판(21a)으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2개의 원형판(21a, 21b)에 의하여 뜨개실(6)상에 가해진 제동작용을 릴리스 또는 실질적으로 저감한다.
다른 고정 접촉영역(4)은, 암(14)이 제1 위치일 때, 암(14)의 2개의 통로(16, 17)사이에 위치된 레스팅핀(resting pin)(26)으로 구성된다. 축(15)을 중심으로한 진동으로 인하여 암(14)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핀(26)이 암(14)의 2개의 통로(16, 17) 사이의 영역에 뜨개실(6)을 늘어뜨린다.
상기 암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암(14)의 축(15)을 중심으로하는 진동은, 지지구조(13)에 견고하게 결합된 고정 리텐션부재(retention element)에 일단이 연결되고 축(15)을 중심으로 피봇된 암(14)의 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된 로커(rocker)(35)에 타단이 연결된 스프링(32)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달성되고, 지지구조(13)상에 끼워져서 적합한 헤드(31)가 배설된 피스톤의 축과 함께 작용하는 암(14)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기 로커(35)상의 유체구동 실린더(30)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달성된다.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중간위치에 정지시키면서, 축(15)을 중심으로 하는 암(14)의 부분적 진동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유체구동 실린더(30)는 작동되지 않고 진동은 단지 스프링(32) 때문에 발생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암(14)을 제1 위치에 지지 및 복귀시키는 수단을 배설하고; 상기 수단은 지지구조(13)상에 장착된 유체구동 실린더(39)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39)의 피스톤 축(38)이 암(14)의 로커(35) 일부를 대면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구동 실린더(39)는 단동(單動) 공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고, 이것은 작동할 때는 피스톤의 축(38)과 함께 로커(35)로부터 떨어져서 암(14)이 진동하지 않게되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작동하지 않고 탈착했을 때는 리턴스프링(37)의 탄성 반작용으로 인하여 암(14)을 제1 위치에 지지 또는 밀어넣는다.
암(14)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암(14) 부분이 뜨개실(6)을 실질적으로제동하지 않고 원형판(21a, 21b)사이에 결합될 수 있는 반면, 암(14)이 제1 위치로부터 이동할 때, 공압 실린더(24)가 작동하지 않아 원형판(21a, 21b)이 계속해서 이격되어 있다면 원형판이 뜨개실(6)을 제동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제1 위치에서의 암(14)이 원형판(21a, 21b)을 제동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정나사(50)를 작용하여 이에 대하여 로커(35)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나사는 축(15)을 중심으로 한 암(14)의 진동범위를 유체구동 실린더(39) 스프링(37)의 탄성 반작용으로 발생된 진동방향으로 한정한다.
완벽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기계(10)에는 커터(41)를 가진 다이얼(40)이 공지된 방식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다이얼(40) 위에는 나이프(42)가 공지된 방식으로 설치되어, 기계(10)의 니들실린더 축(43) 둘레에 뜨개실바늘(8)이 배열되어 있는 뜨개실 공급영역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이격되어 있다. 다이얼(40) 위에는, 나이프(42)와 뜨개실바늘(8)이 위치되어 있는 영역사이에 흡입포트(44)가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뜨개실(6)을 공급하는 동안, 암(14)은 제1 통로(16)가 고정 접촉영역(3, 4)과 정렬되고, 그 일부는 뜨개실 제동장치(20)의 원형판(21a, 21b)사이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있도록 제1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암(14)은 탈착된 유체구동 실린더(39)의 스프링(37)에 의하여 이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뜨개실(6)은 대응하는 뜨개실바늘(8)을 통하여 기계(10)의 니들(12)에 정상적으로 분배된다.
나이프(42)와 커터(41)의 결합작용으로 뜨개실(6)을 절단하기 직전에, 유체구동 실린더(39)가 작동하여 암(14)을 릴리스함으로써, 스프링(32)의 작용을 통하여 축(15)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진동하게 된다. 동시에, 유체구동 실린더(30)가 또한 작동하여 축(15)을 중심으로 한 암(14)의 진동을 종료함으로써, 암이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공압 실린더(24)가 유체구동 실린더(39)의 작동 직전에 작동하여 뜨개실 제동장치(20)가 작동하지 않게 하고, 이로써 암(14)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뜨개실이 지나가는 통로를 따라서 기계(10)가 실제로 필요로하는 뜨개실(6)의 양 보다 많게 스풀(7)로부터 풀려나오는 뜨개실을 집어올리거나 또는 집적하게 된다. 흡입포트(44) 아래의 나이프(42)가 작동하기 직전, 즉 뜨개실(6)이 나이프(42)와 대응 뜨개실바늘(8) 사이에 늘어져 있을 때, 유체구동 실린더(39) 및 유체구동 실린더(30)를 탈착하고, 이로써 암(14)이 스프링(37)의 탄성 반작용에 의하여 제1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뜨개실(6)이 나이프(42)와 커터(41)의 결합작용으로 절단될 때, 잉여의 뜨개실(6)이 생겨서 흡입포트(44)가 뜨개실(6)을 용이하게 흡출할 수 있으므로 수축으로 인한 뜨개실의 결합해제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와 같이, 절단 직후의 뜨개실(6)은 포트(44)의 흡입으로 정확하게 지지된다.
암(14)은 기계(10)에 사전 공급된 잉여의 뜨개실을 또한 집어올릴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 필요성은, 예를 들면 니들실린더가 그 자체 축(43)을 중심으로 왕복작동하는 동안, 예를 들면 양말 또는 스타킹의 힐을 형성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유체구동 실린더(39)를 작동하여 암(14)이 자유롭게 되어 축(15)을 중심으로 진동하고, 스프링(32)만의 작용을 통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중간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경우, 스프링(32)의 작용으로 인하여 암(14)이 진동함으로써, 공압 실린더(24)가 작동하지 않아 통로(16) 전방의 뜨개실(6)을 제동하는 2개의 원형판(21a, 21b)이 상호 접근하기 때문에, 암(14)은 뜨개실(6)을 기계로부터 집어올리고, 스풀(7)로부터는 집어올리지 않는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의도하는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게 됨을 알았다. 그 이유는 신장율이 높은 탄성 뜨개실이 뜨개실바늘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절단 후 흡입포트내에 정확하게 흡입 및 지지될 수 있어서 벌크 또는 기계 다이얼 위의 다른 장치를 방해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클램프 또는 다른 장치는 사용하지 않고, 상기 뜨개실 분배가 재개될 때 기계의 정확한 동작을 확실하게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장점은 복수의 탄성 뜨개실을 기계의 싱글 피드 또는 드롭에 별개로 분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창안된 장치는 창의성 개념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또한 상세 모두는 기술적으로 동등한 다른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채택된 재료 및 크기는 필요성 및 기술상태에 따라 임의로 될 수 있다.

Claims (17)

  1. 스풀 즉 릴(7)로부터 기계의 작업영역으로 풀리는 뜨개실(6)의 통로를 형성하는 일련의 통로 및/또는 접촉영역(2, 3, 4, 5)을 포함하는 원형 편물기계의, 특히 신장율이 높은 탄성 뜨개실용 뜨개실 공급기로서, 통로를 따라서, 뜨개실(6)을 결합할 수 있고 명령에 따라 이동가능하여 상기 통로를 신장시켜서 기계가 필요로 하는 뜨개실 길이에 대하여 상기 스풀(7)로부터 풀린 뜨개실의 잉여길이를 제공하고, 기계의 니들작업영역에 근접하여 실행되는 뜨개실의 절단 바로 직전에 상기 잉여길이의 뜨개실의 최소한 일부를 공급하는 부재(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뜨개실 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11)는 기계의 프레임상에 장착된 지지구조(13)에 일부가 피봇되어 있는 암(14)을 포함하고; 상기 암(14)은 그 지점(15)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뜨개실(6)용 제1 통로(16)를 가지고, 명령에 따라 그 지점(15)을 중심으로 진동할 수 있어서 상기 제1 통로(16)를 상기 통로의 축에 대하여 횡방향 콤포넌트를 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암의 상기 제1 통로(16)는 상기 지지구조(13)상에 위치되어 있는 뜨개실(6)용 2개의 고정 접촉영역(3, 4)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14)의 상기 제1 통로(16)와 스풀(7) 사이에는, 명령에 따라 작동해제시킬 수 있는 뜨개실 제동장치(20)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14)은, 그 자체의 지점을 중심으로 진동하여, 상기 제1 통로(16)가 상기 2개의 고정 접촉영역(3, 4)과 대체로 정렬되어 있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통로(16)가 상기 2개의 고정 접촉영역(3, 4)등을 연결하는 라인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된 제2 위치로 명령에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뜨개실 공급방향으로 암(14)의 상기 제1 통로(16) 전방에 위치된 상기 2개의 고정 접촉영역 중 하나(3)는 상기 뜨개실 제동장치(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14)은 뜨개실 공급방향으로 상기 제1 통로(16) 후방에 배열되어 있는 제2 뜨개실 통로(1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고정 접촉영역 중 다른 하나(4)는, 상기 암(14)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암(14)의 상기 제1 뜨개실 통로(16)와 상기 제2 뜨개실 통로(17)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고정 접촉영역 중 상기 다른 하나(4)는, 상기 암(14)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뜨개실을 암(14)의 상기 제1 통로(16)와 상기 제2 통로(17) 사이에 늘어뜨리기에 적합한 위치에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14)은 제1 작동수단 및 제2 작동수단의 작용을 통하여 그 지점(15)을 중심으로 진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14)을 상기 제1 위치에 지지하거나 또는 복귀시키는 수단(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의 상기 암(14)은 상기 뜨개실 제동장치(20)를 작동하지 않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을 작동하는 상기 제1 수단은 암이 그 지점(15)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중간위치로 진동하도록 상기 암(14)상에 작용하는 스프링(3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 작동수단은 명령에 따라 작동가능하고, 상기 암(14)상에 작용하여 암을 상기 중간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유체구동 실린더(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뜨개실 제동장치(20)는 뜨개실(6)이 그 사이를 통과하는 2개의 원형판(21a, 21b)을 포함하고, 상기 원형판은 탄성수단(22)에 의하여 서로 대향하여 압축되고, 명령에 따라 작동할 수 있는 유체구동 실린더(24)가 배설되어 상기 2개의 원형판(21a, 21b)을 상호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의 상기 암(14)은 뜨개실 제동장치(20)의 상기 2개의 원형판(21a, 21b) 사이에 그 일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기.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을 상기 제1 위치에 지지하거나 또는 복귀시키는 상기 수단은, 상기 지지구조(13)에 연결되고 상기 암(14)상에 작용하여 상기 제1 작동수단(32) 및 상기 제2 작동수단(30)에 의하여 발생된 진동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암을 그 지점(15)을 중심으로 진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기.
KR1019980020199A 1997-06-02 1998-06-01 환편기에 있어 높은 신장률을 가진 실을 위한 사공급기 KR100554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97MI001295A IT1292060B1 (it) 1997-06-02 1997-06-02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el filo,particolarmente per fili a elevato coefficiente di allungamento,in macchine circolari per
ITMI97A001295 1997-06-02
ITM197A001295 1997-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549A true KR19990006549A (ko) 1999-01-25
KR100554624B1 KR100554624B1 (ko) 2006-10-04

Family

ID=1137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199A KR100554624B1 (ko) 1997-06-02 1998-06-01 환편기에 있어 높은 신장률을 가진 실을 위한 사공급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089048A (ko)
EP (1) EP0882827B1 (ko)
JP (1) JPH1150362A (ko)
KR (1) KR100554624B1 (ko)
CZ (1) CZ294873B6 (ko)
DE (1) DE69815757T2 (ko)
ES (1) ES2202698T3 (ko)
IT (1) IT1292060B1 (ko)
SK (1) SK68398A3 (ko)
TW (1) TW43213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0723B2 (en) 2002-06-29 2008-08-12 Samsung Sdi Co., Lt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US8632909B2 (en) 2005-04-27 2014-01-21 Samsung Sdi Co., Ltd. Sheath for enclosing a pouch of a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16810B1 (it) * 2000-03-17 2003-05-12 Matec Spa Dispositivo per l'erogazione di almeno un filo in corrispondenza diuna alimentazione o caduta di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KR20010105531A (ko) * 2000-05-13 2001-11-29 김길수 편사처리장치
ITBS20020020A1 (it) * 2002-03-08 2003-09-08 C & Ld Srl Macchina tessile circolare 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tessuti a maglia
US6735988B1 (en) 2002-03-27 2004-05-18 Honeycutt Larry W Cotton footie and stocking
US6810694B2 (en) * 2003-03-05 2004-11-02 Sara Lee Corporation Method of knitting an elastomeric yarn into a circularly knitted fabric
KR101058580B1 (ko) 2009-09-07 2011-08-23 윤태증 인출장치
CN103255567B (zh) * 2013-05-24 2015-01-21 江苏千里马袜业有限公司 一种织袜机的导纱机构
CN104032470B (zh) * 2014-06-26 2016-01-20 浙江知音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设有氨纶纱管固定支架的无缝内衣机
IT201600102672A1 (it) * 2016-10-13 2018-04-13 Jvc Holding Srl Macchina per la realizzazione di una tomaia per una scarpa
ES2755948B2 (es) * 2018-10-24 2021-05-26 Happy Punt S L U Dispositivo para suministro e insercion de hilo con chip en una costura de una prenda
WO2019170952A1 (es) * 2018-03-08 2019-09-12 Happy Punt, S.L.U Dispositivo multifuncional para el suministro de hilo con chip
ES2724798B2 (es) * 2018-03-08 2020-02-12 Happy Punt S L U Dispositivo multifuncional para el suministro de hilo con chip
CN110468610A (zh) * 2019-09-09 2019-11-19 山东三同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自导流型拖缆的制备装置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59375A (en) * 1938-12-23 1941-10-14 Scott & Williams Inc Clamping and cutting mechanism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GB557458A (en) * 1942-05-15 1943-11-22 Toone Nottingham Ltd B Improvements in knitting, knitting machines, and knitted articles
US3017757A (en) * 1957-10-16 1962-01-23 Textile Machine Works Yarn take-up means for knitting machines
DE1635766A1 (de) * 1967-06-22 1971-06-09 Anton Denk Fadenliefervorrichtung,insbesondere zum Liefern elastischer Faeden,wie z.B. aus Gummi oder Elastomeren,fuer Textilmaschinen,insbesondere Strickmaschinen
US3522149A (en) * 1968-05-27 1970-07-28 John Arvan Distillation apparatus to recover potable water from non-potable water
DE1900722A1 (de) * 1969-01-08 1970-08-13 Vatter Nachf Kg J H Verfahren und Fadenliefervorrichtung an Strumpfrundstrickmaschinen mit pneumatischer Fadenklemmvorrichtung,die elastische Faeden aller Art mittels Rollen zur Strickstelle foerdern
IT1005799B (it) * 1974-02-28 1976-09-30 Mecmor Spa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el filo per macchine circolari per maglieria con cilindro fisso e mantelli delle camme rotanti per la fabbricazione di tessuto aperto
FR2282009A1 (fr) * 1974-08-13 1976-03-12 Redoute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renfort local d'une gaine tricote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0723B2 (en) 2002-06-29 2008-08-12 Samsung Sdi Co., Lt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US8632909B2 (en) 2005-04-27 2014-01-21 Samsung Sdi Co., Ltd. Sheath for enclosing a pouch of a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82827A2 (en) 1998-12-09
US6089048A (en) 2000-07-18
ITMI971295A0 (ko) 1997-06-02
CZ294873B6 (cs) 2005-04-13
IT1292060B1 (it) 1999-01-25
DE69815757D1 (de) 2003-07-31
ITMI971295A1 (it) 1998-12-02
JPH1150362A (ja) 1999-02-23
TW432132B (en) 2001-05-01
CZ169198A3 (cs) 1998-12-16
EP0882827B1 (en) 2003-06-25
DE69815757T2 (de) 2004-04-08
EP0882827A3 (en) 1999-12-01
SK68398A3 (en) 1999-04-13
ES2202698T3 (es) 2004-04-01
KR100554624B1 (ko)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624B1 (ko) 환편기에 있어 높은 신장률을 가진 실을 위한 사공급기
ITMI991168A1 (it) Dispositivo per l'alimentazione selettiva dei fili in macchine per maglieria o simili
ES2156056B1 (es) Dispositivo alimentador de hilo en una maquina textil y dispositivo tensor de cinta para el mismo.
CN101161894B (zh) 针织机中的张力设定方法和针织机
ES2156489B1 (es) Freno de hilo y maquina textil y dispositivo alimentador de hilo equipados con dicho freno.
JPH0392192A (ja)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EP0342424A2 (en) Process and device for producing designs on stockings in twin-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s
JPS6052660A (ja) 編機の撚り糸供給案内装置
KR100324258B1 (ko) 실의 처리시스템
CZ58394A3 (en) Weft feeder for gripper shuttle and needle looms
US3813900A (en) Pneumatic yarn feeder device for knitting machines
CA2363122A1 (en) Sewing machine with a thread withdrawing device
CN101294332B (zh) 具有弹力纱的喂纱功能的针织机
CN100334281C (zh) 用于袜类的圆型针织机中的夹线装置
JPH11117153A (ja) 編立機の不使用糸処理装置
US4192158A (en) Weft thread tensioning device for warp knitting machines
US1559152A (en) Safety thread control
KR100580435B1 (ko) 복동식 원형 편물기에 적어도 두 가닥의 실을 동시에 공급하는방법 및 장치
US1728303A (en) Yarn clamp
GB2142660A (en) Holding device for elastic yarn ends in a knitting machine
CZ20031061A3 (cs) Způsob ovládání elastické nitě
JPS5928063Y2 (ja) 靴下編機におけるストレツチヤ−ンの糸抜け防止装置
JPH04241152A (ja) ソックス、ストッキング等を製造する編機において特に弾性糸を案内する糸ガイド
US1257518A (en) Automatic stop mechanism for knitting-machines.
JPH032230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