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303A - 바닥난방장치의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 - Google Patents

바닥난방장치의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303A
KR19990006303A KR1019970070409A KR19970070409A KR19990006303A KR 19990006303 A KR19990006303 A KR 19990006303A KR 1019970070409 A KR1019970070409 A KR 1019970070409A KR 19970070409 A KR19970070409 A KR 19970070409A KR 19990006303 A KR19990006303 A KR 19990006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wood
heating
mat
heating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사사키
시게코 이지마
고우이치 마츠오
신이치로 야나기타
히로토시 사토
도루 스가와라
히데카즈 무라타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쿠치 고토부키
미쓰비시 가가꾸 산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기쿠치 고토부키, 미쓰비시 가가꾸 산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19990006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30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6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mounted on, or adjacent to, a ceiling, wall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바닥면과의 단차이를 없게 해서 끝마무리를 양호하게한 간이시공형의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를 제공한다.
이면부재에 의해 복수의 목재편(2)을 감아접는것이 가능하게 연결해서된 연결바닥부재(1)에 온수파이프(9)를 매설해서 바닥난방장치에 사용되는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를 구성한다.
또한, 연결바닥부재(1)의 판자이음매방향의 양단에 외측으로 향해서 테이퍼가공된 세로가장자리부재(3)를 결합한다.

Description

바닥난방장치의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
본 발명은 온수가 온수파이프에 공급되어서 바닥난방을 행하는 바닥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난방장치에 사용되는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mat)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실내를 바닥면으로부터 난방하는 난방장치로서 단독주택에 있어서는 멍에와 바닥판등의 바닥판과의 사이 혹은 멍에 위에 깐 지하합판등의 바닥난방방열기로서의 바닥난방패널(panel)을 조립하며, 한편 맨션등의 집합주택에서는 콘크리이트 슬랩바닥면의 위에 직접 혹은 콘크리이트 슬랩바닥면의 위에 깐 지하합판의 위등에 바닥난방방열기로서의 바닥난방패널을 조립하고 이 바닥난방패널에 열원기기로부터 난방용온수를 순환공급해서 바닥면을 덥혀서 실내를 난방하는 바닥난방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 상기한 바닥난방장치의 방열기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7-158871호공보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기초부재가 되는 목재판 상체의 상부표면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을 포함하는 목재판상체의 표면측을 알루미늄박등의 균열시이트로 덮음과 동시에 홈내에 온수파이프를 수용해서 그들의 표면을 바닥등의 표면부재로 덮는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러한 구조의 바닥난방장치는 시공을 위한 바닥공사가 대형화하기때문에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집합주택의 신축공사시에 시공되는 것이며 기존주택의 바닥에 새로이 설치하는것은 큰 개조가 되어서 비용도 고액으로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방바닥의 기초를 손상하는 일이 없이 기존주택의 플로링등의 바닥상에 부설해서 사용할수 있는 값싸고, 또한 간이한 시공형의 바닥난방장치의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온수식난방장치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목재난방매트의 평면도
도2는 동 목재매트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목재난방매트의 세로가장자리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목재난방매트의 주변에 모조부재를 깔아채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가로가장자리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목재난방매트를 나타내고,
(a)는 정면도, (b)는 그 단면도
도6은 가로가장자리부재 및 구석부재의 부착을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말아접은 목재난방매트의 외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연결바닥부재 2.목재편
3.세로가장자리부재 6.이면부재
9.온수파이프 10.가로가장자리부재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가요성의 이면부재에 의해 복수의 목재편을 감아접는 것이 가능하게 연결해서된 연결바닥부재에 온수파이프를 매설해서 구성된 바닥난방장치의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바닥부재의 판자이음매방향의 양단에 외측으로 향해서 테이퍼(taper)가공된 세로가장자리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세로가장자리부재는 그 이면부재를 절단하므로서 떼어내는것이 가능하도록 온수파이프를 매설하지 않는 구조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연결바닥부재의 판이음매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양단에 외측으로 향해서 테이퍼 가공된 가로가장자리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연결바닥부재와 가로가장자리부재가 요철(凹凸)끼워맞춤에 의한 판자이음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실시예)
도1은 온수식바닥난방장치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이하, 목재난방매트라 칭한다)의 평면도이다.
이 목재난방매트는 예를들면 판의두께 12mm,폭 75mm,길이 2400mm의 세로로 긴 목재편(2)을 가로방향으로 복수매 연결해서 정형크기의 연결바닥부재(1)를 구성하고, 이 연결바닥부재(1)의 이면측 전면에 온수파이프(9)(도1중 점선부분)를 매설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한 목재편(2)은 길이가 약 100∼800mm의 순수한 목판을 길이방향으로 접합일체화시킨 것이다.
또한, 이 온수파이프(9)에는 도시하지 않은 열원기기로부터의 온수가 공급되어서 목재난방매트 전체에 순환된다.
또, 상기한 연결바닥부재(1)의 판자이음매방향(세로방향)의 양단에 외측으로향해서 테이퍼 가공된 세로가장자리부재(3),(3)가 부착되어 있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목재난방매트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2에 의하면 상기한 복수의 목재편(2) 및 그 양단의 세로가장자리부재(3)의 길이방향측면이 요철가공되어 있고, 이들 목재편(2)끼리 및 목재편(2)과 세로가장자리부재(3)가 상호 요철끼워맞춤(판자이음)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연결바닥부재(1)의 이면측에 균열용의 알루미늄시이트(4)와 부직포(5)를 접착해서 구성한 가요성을 갖는 이면부재(6)가 접착되어서 각 목재편(2)및 세로가장자리부재(4)가 연결되어 있다.
또, 도시한 바와같이 각 목재편(2)의 이면에 오목한홈(7)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한홈(7)에 가교폴리에틸렌제의 온수파이프(9)가 매설되어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목재난방매트는 복수매의 가늘고긴 판조각의 판자이음구조와 이 판자이음된 목재편(2)을 각각 걸어맞추는 가요성이 있는 이면부재(6)에 의한 연결구조에 의해 감아접는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7은 목재난방매트의 포장시 혹은 수납시의 감아접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10은 부속의 가로가장자리부재, 11은 구석부재이다.
그런데, 상기한 세로가장자리부재(3)는 외측으로 향해서 테이퍼 가공된 형상이며, 이 테이퍼부(8)에 의해 바닥면과 부설된 목재난방매트와의 단차이(약 12mm)가 해소되기 때문에 세로가장자리부재(3)를 부착시키므로서 목재난방매트를 부설한경우의 끝마무리가 아름답게 되고 더구나 단차이에 발이 걸릴 염려도 없다.
또, 이 세로가장자리부재(3)부분에는 온수파이프(9)가 매설되지 않은 구조이기 때문에 연결바닥부재(1)로 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가 있다(온수파이프가 매설되어있으면 분리곤란).
즉, 기술한 바와같이 이 세로가장자리부재(3)와 이에 인접하는 목재편(2)과는 대향측면의 판자이음과 그 이면에 접착된 이면부재(6)(알루미늄시이트 4 및 부직포 5)에 의한 결합구조이므로 절단기등을 사용해서 연결바닥부재(1)의 이면측으로부터 판자이음부분에 따라 이면부재(6)를 절단하므로서 세로가장자리부재(3)를 간단히 절단해 낼 수가 있다(도3참조).
이면부재(6)를 구성하는 알루미늄시이트(4)및 부직포(5)는 다같이 극히 얇기때문에 절단기로서 용이하게 절단할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시공자가 절단기 1개로 간단히 세로가장자리부재(3)를 절단할수 있으면 새로이 목재난방매트를 확장(증설)하거나 혹은 도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적절한 크기의 모조부재(14)를 조합해서 바닥전체에 부설해서 실내전체를 통일기조의 바닥으로 끝마무리하는 것도 극히 용이한 것이다.
물론, 확장용의 목재난방매트나 모조부재(14)의 결합도 본체와 마찬가지로 요철끼워맞춤에 의한 판자이음의 구조이다.
도5(a)는 상기한 연결바닥부재(1)의 이음매와 직행하는 양단에 외측으로 향해서 테이퍼 가공된 가로가장자리부재(10),(1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가로가장자리부재(10)는 도5(b)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세로가장자리부재(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목재편(2)(단변측)과의 요철끼워맞춤에 의해 판자이음된 구조로서 4귀통이에 배치된 테이퍼부 구석부재(11)와 함께 목재난방매트의 시공시에 부착되는 구조이다(도6 참조).
또한, 12는 진행 복귀 온수배관(13)이 접속된 온수접속구로서, 이 온수배관(13)의 타단이 실내의 벽등에 부설된 온수콘센트(도시생략)를 거쳐서 옥외에 설치된 열원기기에 배관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이 연결바닥부재(1)의 가로방향, 즉 목재편(2)의 연결방향으로 요철끼워맞춤에 의해 가로가장자리부재(10)를 결합하므로서 연결바닥부재(1)전체의 수평성이 개선되고 또한 난방열 등에 의한 목재편(3)의 뒤틀림이나 휨을 억제할수있어 바닥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생기지 않는 안정된 부설이 실현된다.
물론, 이 가로가장자리부재(10)은 전기한 세로가장자리부재(3)와 마찬가지로 테이퍼 가공되어 있으므로 바닥면과의 단차이가 해소됨과 동시에 시공후의 끝마무리를 아름답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세로가장자리부재(3), 가로가장자리부재(10)및 구석부재(11)는 각각 도7에 나타내는 고정기구(15),(15)에 의해 상호 나사고정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바닥부재의 판자이음매방향의 양단에 외측으로 향해서 테이퍼 가공된 세로가장자리부재가 결합된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목재난방매트의 시공시의 바닥면과 목재난방매트와의 단차이가 해소되므로 끝마무리를 아름답게 할수 있고, 또한 단차이부에 발이 걸린다고 하는 불합리함도 방지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세로가장자리부재는 온수파이프를 매설하지 않은 구조이므로 절단기등으로 이면부재를 절단하므로서 세로가장자리부재는 용이하게 떼어낼수가 있다.
따라서, 목재난방매트의 확장(증설)모조부재의 부설채움시공에 의한 바닥의 끝마무리가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한, 청구항 3 및 청구항4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연결바닥부재의 판자이음매와 직행하는 양단에 가로가장자리부재를 결합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이 가로가장자리부재의 부착에 의해 연결바닥부재 전체의 수평성이 개선되고 난방열 등에 의한 목재편의 뒤틀림이나 휨을 억제할 수가 있다.
특히, 연결바닥부재와 가로가장자리부재의 결합이 요철끼워맞춤에 의한 판자이음구조이기 때문에 결합이 용이하고 또한 연결바닥부재의 수평성은 보다 확실히 확보되므로 바닥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생기지 않는 안정된 부설이 실현된다.

Claims (4)

  1. 가요성의 이면부재(6)에 의해 복수의 목재편(2)을 감아접는것이 가능하게 연결해서 이루어진 연결바닥부재(1)에 온수파이프(9)를 매설해서 구성된 바닥난방장치의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바닥부재(1)의 판자이음매방향의 양단에 외측으로 향해서 테이퍼가공된 세로가장자리부재(3)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방장치의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
  2. 제1항에있어서,
    세로가장자리부재(3)는 그 이면부재(6)를 절단하므로서 떼어내는것이 가능하도록 온수파이프(9)를 매설하지 않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방장치의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바닥부재(1)의 판자이음매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양단에 외측으로 향해서 테이퍼 가공된 가로가장자리부재(1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방장치의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
  4. 제3항에있어서,
    연결바닥부재(1)와 가로가장자리부재(10)가 요철끼워맞춤에 의한 판자이음구조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방장치의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
KR1019970070409A 1997-06-12 1997-12-19 바닥난방장치의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 KR199900063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4718 1997-06-12
JP15471897A JP3713902B2 (ja) 1997-06-12 1997-06-12 床暖房装置の上敷式木質暖房マ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303A true KR19990006303A (ko) 1999-01-25

Family

ID=15590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409A KR19990006303A (ko) 1997-06-12 1997-12-19 바닥난방장치의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13902B2 (ko)
KR (1) KR19990006303A (ko)
CN (1) CN12026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5071A2 (ko) * 2011-08-18 2013-02-21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종장형 접철식 바닥난방용 온수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6369B2 (ja) * 1998-03-18 2002-07-24 三洋電機株式会社 上敷式木質床暖房パネル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5839U (ko) * 1980-05-13 1981-12-08
JPS58132038U (ja) * 1982-03-01 1983-09-06 当麻硬板株式会社 折曲自在建材
JPS6089522U (ja) * 1983-11-24 1985-06-19 株式会社トヨツクス 床暖房用パネルのスペ−サ−における滑り止め構造
JPS60159920U (ja) * 1984-03-30 1985-10-24 アルナ工機株式会社 床暖房パネル
JPS62172115A (ja) * 1986-01-27 1987-07-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床暖房装置
JPH09144282A (ja) * 1995-11-28 1997-06-03 Natl House Ind Co Ltd 床材の接合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5839U (ko) * 1980-05-13 1981-12-08
JPS58132038U (ja) * 1982-03-01 1983-09-06 当麻硬板株式会社 折曲自在建材
JPS6089522U (ja) * 1983-11-24 1985-06-19 株式会社トヨツクス 床暖房用パネルのスペ−サ−における滑り止め構造
JPS60159920U (ja) * 1984-03-30 1985-10-24 アルナ工機株式会社 床暖房パネル
JPS62172115A (ja) * 1986-01-27 1987-07-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床暖房装置
JPH09144282A (ja) * 1995-11-28 1997-06-03 Natl House Ind Co Ltd 床材の接合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5071A2 (ko) * 2011-08-18 2013-02-21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종장형 접철식 바닥난방용 온수매트
WO2013025071A3 (ko) * 2011-08-18 2013-04-11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종장형 접철식 바닥난방용 온수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418A (ja) 1999-01-06
JP3713902B2 (ja) 2005-11-09
CN1202601A (zh) 1998-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6406B (fi) Moduuli käytettäväksi lattialämmitys-/jäähdytysjärjestelmässä, menetelmä lattialämmitys-/jäähdytysjärjestelmän asentamiseksi ja lattialämmitys-/jäähdytysjärjestelmä
CN111485697A (zh) 装配式室内地面铺设安装结构
KR19990006303A (ko) 바닥난방장치의 상면부설식 목재난방매트
KR200195502Y1 (ko) 난방 시공용 판넬
KR100958414B1 (ko) 난방 구조
JP3594459B2 (ja) 巻回可能な上敷式木質床暖房パネル
JP3594588B2 (ja) 床暖房装置の上敷式木質床暖房パネル
JP3594454B2 (ja) 床暖房装置の上敷式木質床暖房パネル
JP3594455B2 (ja) 巻回可能な上敷式木質床暖房パネル
JP4115614B2 (ja) 床暖房パネル及びその敷設方法
JPH11304171A (ja) 上敷式木質床暖房パネル
JP3594456B2 (ja) 巻回可能な上敷式木質床暖房パネル
CN212613532U (zh) 一种装配式室内地面铺设安装结构
JPH0622759Y2 (ja) 床暖房用下地材
JP3182126B2 (ja) 床暖房された建物床の構造
KR101170414B1 (ko) 개량형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열 전달매체용 분배 공급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온돌장치
JP3604870B2 (ja) 床暖房装置の施工方法
JPH11264559A (ja) 上敷式床暖房パネル
JP2000220855A (ja) 乾式遮音二重床のベースパネルを利用した床暖房システムとその施工方法
JP3807725B2 (ja) 床暖房装置
JP3594587B2 (ja) 巻回可能な上敷式木質床暖房パネル
JPH11201479A (ja) 上敷式木質床暖房パネル
KR20170003751A (ko) 온수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온수패널 시공방법
JP4113631B2 (ja) 床暖房パネル及び床暖房パネルの施工方法
JPH09242309A (ja) 二重床施工用の床下地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