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414B1 - 난방 구조 - Google Patents

난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414B1
KR100958414B1 KR1020100010722A KR20100010722A KR100958414B1 KR 100958414 B1 KR100958414 B1 KR 100958414B1 KR 1020100010722 A KR1020100010722 A KR 1020100010722A KR 20100010722 A KR20100010722 A KR 20100010722A KR 100958414 B1 KR100958414 B1 KR 100958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ipe
outlet
inlet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운
Original Assignee
이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운 filed Critical 이상운
Priority to KR1020100010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414B1/ko
Priority to SG2012056487A priority patent/SG182802A1/en
Priority to NZ601666A priority patent/NZ601666A/en
Priority to BR112012019507-7A priority patent/BR112012019507B1/pt
Priority to PL11739975T priority patent/PL2532977T3/pl
Priority to EP11739975.8A priority patent/EP2532977B1/en
Priority to ES11739975.8T priority patent/ES2569177T3/es
Priority to PCT/KR2011/000619 priority patent/WO201109667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5Hydraulic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실내의 온도를 높이는 데 사용되는 난방 구조가 개시된다. 난방구조는 구조물의 상면에 설치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상면에 설치되며, 온수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온수 유로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온돌 패널; 상기 단열재의 상면과 상면이 일치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연결 파이프 수용부가 형성된 파이프 하우징; 일단이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온수 공급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 수용부에 수용된 온수 공급 파이프; 및 일단이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온수 배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 수용부에 수용된 온수 배출 파이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바닥의 시멘트가 양생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어, 시공기간이 혁신적으로 줄어들 뿐만 아니라, 공사비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온돌 패널 중 어느 하나에 누수가 있는 경우, 그 패널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도 훨씬 용이하다.

Description

난방 구조{STRUCTURE FOR HEATING}
본 발명은 난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온도를 높이는 데 사용되는 난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실내를 난방하는 방법으로는, 서양에서는 라디에이터를 주로 사용하였고, 한국에서는 온돌을 사용하였다. 온돌은 바닥을 데우는 방식으로, 예전에는 바닥에 뜨거운 공기를 통과시켜 돌로된 바닥을 데우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근대에 들어서는 보일러를 이용하여 데운 뜨거운 물을 바닥에 설치된 온수관을 통과하도록 하여 실내를 난방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온수관이 설치된 바닥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종래에는 바닥(1)의 상면에 기초 콘크리트(2)를 타설한 후, 기초 콘크리트(2)를 양생한다. 그 다음, 단열용 단열재(3)를 설치한 후, 온수관(4)을 지그재그로 배열하고, 사이에 충진재로 자갈을 충진한다. 이 때, 온수관(4)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미도시)이 온수관(4)과 함께 설치된다. 그 다음, 표면을 시멘트로 마감한 후 양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난방 구조는 바닥 공사를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두번의 시멘트 타설과 양생을 거쳐야 하므로, 시공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온수관(4)에 누수가 생겼을 때, 전체 온수관을 모두 뜯어낸 후, 바닥 공사를 모두 다시 해야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난방 구조는 구조에 많은 층이 필요하므로, 바닥의 전체적은 하중이 증대된다. 따라서, 다층 건축물의 경우, 바닥하중으로 인한 전체적인 기둥에 필요한 내력이 증대되어, 건축비 증대의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시공에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도 용이한 난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의 상면에 설치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상면에 설치되며, 온수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온수 유로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온돌 패널; 상기 단열재의 상면과 상면이 일치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연결 파이프 수용부가 형성된 파이프 하우징; 일단이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온수 공급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 수용부에 수용된 온수 공급 파이프; 및 일단이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온수 배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 수용부에 수용된 온수 배출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온돌 패널은,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가 상기 단열재를 바라보는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 하우징은, 두께가 상기 단열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파이프 하우징은,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를 바라보는 면에 연결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고, 타탄은 상기 온수 공급 파이프에 연결된 유입구 연결구; 및 일단은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온수 배출 파이프에 연결된 유출구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 연결구 및 상기 유출구 연결구는 상기 연결공을 통해서 상기 파이프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재는 압축 스티로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돌 패널의 측면에는 인접한 상기 온돌패널과 결합을 위해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다만, 반드시 아래의 효과가 모두 발휘되어야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바닥의 시멘트가 양생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어, 시공기간이 혁신적으로 줄어들 뿐만 아니라, 공사비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온돌 패널 중 어느 하나에 누수가 있는 경우, 그 패널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도 훨씬 용이하다.
그리고, 온돌 패널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 파이프 및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 배출 파이프를 파이프 하우징에 내설하여 배치를 함으로써, 온돌 패널의 하부에 어떠한 시멘트 공사를 할 필요가 없이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닥의 하중을 줄일 수 있어, 전체적인 건축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난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파이프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온돌 패널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난방구조는, 구조물(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단열재(110)와, 상기 단열재(1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온수 유로(211)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온수 유로(211)의 유입구(212) 및 유출구(213)가 형성된 온돌 패널(200)과, 상기 단열재(110)의 상면과 상면이 일치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연결 파이프 수용부(310)가 형성된 파이프 하우징(300)과, 일단이 상기 유입구(212)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온수 공급부(미도시)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 수용부(310)에 수용된 온수 공급 파이프(410)와, 일단이 상기 유출구(213)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온수 배출부(미도시)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 수용부에 수용된 온수 배출 파이프(420)를 포함한다.
구조물(100)이라함은, 방 구조물의 바닥을 이루는 기초를 말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돌 구조가 벽체에 설치되는 경우 기초가 되는 벽체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방 구조물의 바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단열재(110)는 온수 유로(211)로부터 나오는 열이 구조물(100)로 전도되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단열재(110)는 압축 스티로폼재가 사용될 수 있다. 압축 스티로폼재라 함은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정확한 용어로는 압출법 발포폴리스티렌 보온판이라고 하며, 강성이 일반 스티로폼 보다 강한 것이 특징이다.
온돌 패널(200)은 도 3과 같이 내부에 유로(211)가 형성된다. 유로를 형성하는 방법은 도 3과 같이, 상판(220) 하판(210)으로 분리생산하며, 상판 및 하판이 결합되는 면에 유로를 형성하여, 상판 및 하판을 본딩하여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유로(211)에 파이프를 내설하여, 누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유입구(212) 및 유출구(213)은 하부면(즉, 단열재를 바라보는 면)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입구(212) 및 유출구(213)가 측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인접한 온돌 패널(200)과 연통될 수도 있다. 다만, 하부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경우, 파이프 하우징에 쉽게 조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돌 패널(1200a, 1200b)의 측면에는 인접한 온돌패널과 결합을 위해 결합홈(1210)과 돌기(12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파이프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파이프 하우징(300)은 두께가 단열재(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온돌 패널을 시공하였을 때, 그 차이로 인해, 덜컹거리지 않을 정도의 차이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파이프 하우징(30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강성이 강한 플라스틱 재질을 사출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파이프 하우징(300)의 상기 유입구(212) 및 상기 유출구(213)를 바라보는 면에 연결공(31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연결공(311)이 형성되는 수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돌 패널(200)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미도시된 온수 공급부는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보일러 혹은 보일러에 부착된 온수통등을 의미하며, 온수 배출부는 보일러의 물이 회수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유입구와 온수 공급파이프를 보다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일단은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고, 타탄은 상기 온수 공급 파이프에 연결된 유입구 연결구(411) 및 유출구와 온수 배출 파이프를 보다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일단은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온수 배출 파이프에 연결된 유출구 연결구(4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 연결구(411) 및 상기 유출구 연결구(412)는 상기 연결공(311)을 통해서 상기 파이프 하우징(3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즉, 유입구 연결구(411)의 유입구(212)와 연결되는 부분과, 온수 공급 파이프(410)와 연결되는 부분이 꺾어져 형성되며, 유입구(212)와 연결되는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유출구 연결구(412)의 유출구(213)와 연결되는 부분과, 온수 배출 파이프(420)와 연결되는 부분이 꺾어져 형성되며, 유출구(213)와 연결되는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유입구 연결구(411)와 유출구 연결구(412)의 온돌 패널과 연결되는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온돌 패널(20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 넣음으로써, 바로 배관이 연결되고, 시공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물의 상면에 단열재 및, 파이프 하우징을 온수 공급 파이프 및 온수 배출 파이프와 함께 배치를 한 후, 온돌 패널(200)을 상측에 설치함으로써, 난방 구조물의 공사가 완료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바닥의 시멘트가 양생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어, 시공기간이 혁신적으로 줄어들 뿐만 아니라, 공사비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온돌 패널 중 어느 하나에 누수가 있는 경우, 그 패널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도 훨씬 용이하다.
그리고, 온돌 패널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 파이프 및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 배출 파이프를 파이프 하우징에 내설하여 배치를 함으로써, 온돌 패널의 하부에 어떠한 시멘트 공사를 할 필요가 없이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난방 구조물의 하중이 종래에 비해서 훨씬 줄어들어, 전체적인 건축물의 건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의 난방 구조물은 제 1 실시예와 온돌 패널(1200)의 형상 및 유입구 연결구(1412) 및 유출구 연결구(1411)의 형상이 상이하며, 나머지의 형상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의 온돌 패널(1200)은 내부에 유로(1211)가 형성된다. 유로를 형성하는 방법은 상판(1220) 하판(1210)으로 분리생산하며, 하판(1210)의 상면에 유로를 형성하여, 상판 및 하판을 본딩하여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유로(1211)에 파이프를 내설하여, 누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유입구(1212) 및 유출구(1213)은 측방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유입구 연결구(1412)는 실리콘과 같이 쉽게 휘어질 수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며, 일단은 유입구(1212)에 끼워지며, 타단은 온수 공급 파이프(410)에 연결된다. 유출구 연결구(1411)는 실리콘과 같이 쉽게 휘어질 수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며, 일단은 유출구(1213)에 끼워지며, 타단은 온수 배출 파이프(42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는 부드러운 재질의 유입구 연결구(1412) 및 유출구 연결구(1411)와 측방에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온도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설치시, 위치의 오차가 발생하여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0: 구조물 110: 단열재;
211: 온수 유로 212: 유입구
213: 유출구 200: 온돌 패널
310: 연결 파이프 수용부 300: 파이프 하우징
410: 온수 공급 파이프 420: 온수 배출 파이프
411: 유입구 연결구 412: 유출구 연결구
1210: 결합홈 1220: 결합돌기

Claims (6)

  1. 구조물의 상면에 설치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상면에 설치되며, 온수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온수 유로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온돌 패널;
    상기 단열재의 상면과 상면이 일치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연결 파이프 수용부가 형성된 파이프 하우징;
    일단이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온수 공급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 수용부에 수용된 온수 공급 파이프; 및
    일단이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온수 배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 수용부에 수용된 온수 배출 파이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 패널은,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가 상기 단열재를 바라보는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하우징은,
    두께가 상기 단열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하우징은,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를 바라보는 면에 연결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고, 타탄은 상기 온수 공급 파이프에 연결된 유입구 연결구; 및
    일단은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온수 배출 파이프에 연결된 유출구 연결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 연결구 및 상기 유출구 연결구는 상기 연결공을 통해서 상기 파이프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압축 스티로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 패널의 측면에는 인접한 상기 온돌패널과 결합을 위해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구조.
KR1020100010722A 2010-02-05 2010-02-05 난방 구조 KR100958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722A KR100958414B1 (ko) 2010-02-05 2010-02-05 난방 구조
SG2012056487A SG182802A1 (en) 2010-02-05 2011-01-28 Heating structure
NZ601666A NZ601666A (en) 2010-02-05 2011-01-28 Heating structure
BR112012019507-7A BR112012019507B1 (pt) 2010-02-05 2011-01-28 estrutura térmica
PL11739975T PL2532977T3 (pl) 2010-02-05 2011-01-28 Konstrukcja grzewcza
EP11739975.8A EP2532977B1 (en) 2010-02-05 2011-01-28 Heating structure
ES11739975.8T ES2569177T3 (es) 2010-02-05 2011-01-28 Estructura de calefacción
PCT/KR2011/000619 WO2011096679A2 (ko) 2010-02-05 2011-01-28 난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722A KR100958414B1 (ko) 2010-02-05 2010-02-05 난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414B1 true KR100958414B1 (ko) 2010-05-18

Family

ID=4228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722A KR100958414B1 (ko) 2010-02-05 2010-02-05 난방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532977B1 (ko)
KR (1) KR100958414B1 (ko)
BR (1) BR112012019507B1 (ko)
ES (1) ES2569177T3 (ko)
NZ (1) NZ601666A (ko)
PL (1) PL2532977T3 (ko)
SG (1) SG182802A1 (ko)
WO (1) WO201109667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364B1 (ko) * 2010-06-08 2013-01-29 권상훈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
KR101298366B1 (ko) * 2011-10-04 2013-08-20 주식회사 엘지 바닥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온돌 파이프 일체형 슬래브 모듈 및 온돌 파이프 일체형 바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3605A1 (en) * 2019-12-18 2022-11-30 Low & Bonar B.V. Material comprising connecting mea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008Y1 (ko) 2001-03-27 2001-10-18 이성재 조립식 온돌판의 결합구조
KR200393462Y1 (ko) 2005-02-16 2005-08-22 이한열 난방용 조립식 온돌블록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03728A1 (de) * 1982-02-04 1983-08-11 Stiebel Eltron Gmbh & Co Kg, 3450 Holzminden Bauelement fuer eine fussbodenheizung
DE8400402U1 (ko) * 1984-01-09 1991-08-22 Weber, Manfred Peter
GB9220888D0 (en) * 1992-10-05 1992-11-18 Ingram Rex A Improvements to heating/cooling systems
KR19980062348U (ko) * 1997-04-01 1998-11-16 이해식 황토제 온돌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008Y1 (ko) 2001-03-27 2001-10-18 이성재 조립식 온돌판의 결합구조
KR200393462Y1 (ko) 2005-02-16 2005-08-22 이한열 난방용 조립식 온돌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364B1 (ko) * 2010-06-08 2013-01-29 권상훈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
KR101298366B1 (ko) * 2011-10-04 2013-08-20 주식회사 엘지 바닥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온돌 파이프 일체형 슬래브 모듈 및 온돌 파이프 일체형 바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82802A1 (en) 2012-09-27
ES2569177T3 (es) 2016-05-09
BR112012019507B1 (pt) 2021-02-23
EP2532977A4 (en) 2014-03-26
EP2532977A2 (en) 2012-12-12
EP2532977B1 (en) 2016-01-27
NZ601666A (en) 2015-02-27
BR112012019507A2 (ko) 2018-03-13
WO2011096679A3 (ko) 2011-12-08
PL2532977T3 (pl) 2016-06-30
WO2011096679A2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826B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100901132B1 (ko) 조립식 온돌패널
CN106662340A (zh) 供热系统
KR100958414B1 (ko) 난방 구조
KR101216549B1 (ko) 단열재와 섬유시트가 결합된 복합단열패널 및 그 복합단열패널을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WO2017055669A1 (es) Método de fabricación de panel de pared o techo con instalaciones incluidas, paredes o techos prefabricados por dicho método y uniones entre paneles pared y techo
KR20140037701A (ko) 난방용 조립식 열전달패널
KR101365497B1 (ko) 냉난방용 바닥패널
KR100694642B1 (ko) 온수 순환마루용 연결구
KR101477214B1 (ko)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66825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120064390A (ko) 필름 발열체를 이용한 난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EP3805649B1 (en) Construction panel
KR200310036Y1 (ko) 난방용 온수판넬
KR100993548B1 (ko) 조립식 라이닝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 시공 방법
KR20170108356A (ko) 축열식 온수난방패널을 이용한 바닥온수난방시스템
KR101743590B1 (ko) 셀프 레벨링이 가능한 바닥 패널
KR101791545B1 (ko)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KR101513072B1 (ko) 난방 패널
KR20080113578A (ko) 온돌마루
KR100664463B1 (ko) 온수 순환마루를 이용한 바닥의 시공방법
KR200429084Y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101073526B1 (ko) 외기와 접하는 욕실벽에 부착되는 조립식 난방단열유니트및 이의 시공방법
KR20050065081A (ko) 건축용 바닥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CN217537706U (zh) 一种装配式地面一体化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