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364B1 -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364B1
KR101227364B1 KR1020100053863A KR20100053863A KR101227364B1 KR 101227364 B1 KR101227364 B1 KR 101227364B1 KR 1020100053863 A KR1020100053863 A KR 1020100053863A KR 20100053863 A KR20100053863 A KR 20100053863A KR 101227364 B1 KR101227364 B1 KR 101227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ondol panel
panel
ondol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078A (ko
Inventor
권상훈
Original Assignee
권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상훈 filed Critical 권상훈
Priority to KR1020100053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36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유체가 순환하여 난방 기능을 갖는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 모양의 유로가 형성되며 유로 양단에 장착부가 형성되는 제 1 온돌패널과, 내부 양측으로 '┃┃' 모양의 유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유로 일단에 암연결부가 각각 형성되고 유로 타단에 수연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제 2 온돌패널과, 내부에 '' 모양의 유로가 형성되고 유로 양단에 장착부가 같은 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3 온돌패널과, 내부에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가 형성되며 유로 양단에 장착부가 형성되는 제 4 온돌패널과, 내부에 '┃' 모양의 유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유로 일단에 암연결부 형성되고 유로 타단으로 수연결부가 형성되는 제 5 온돌패널을 이용하여 방의 크기에 따라 간편하게 연결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작업에 대한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계절과 장소에 관계없이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Prefabricated hypocaust panel by method of assembling}
본 발명은 난방유체가 순환하여 난방 기능을 갖는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연결장착구조가 암수구조로 구성된 각각의 온돌패널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주거생활 난방공간은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난방수관을 매설한 온돌시공이 보편화 되어 있다.
이러한 온돌시공은 통상적으로 콘트리트 기초바닥 위에 발포수지 단열판을 깔고, 여기에 난방수관을 배관한 후 자갈 모래등의 축열재를 채우고, 다시 시멘트 모르타르를 발라 마감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시공시 소음공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웃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겨울철 모르타르 시공시에는 결빙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모르타르의 굳는 시간이 오래 걸림으로써 쓸데없이 인건비와 경비가 발생하였고, 복잡한 공정 작업으로 인해 공사 진행속도가 저하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내부에 난방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고 연결장착구조가 암수구조로 구성된 각각의 온돌패널을 시공시 쉽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으면서, 계절과 장소에 관계없이 시공할 수 있는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 모양의 유로가 형성되며 유로 양단에 장착부가 형성되는 제 1 온돌패널과, 내부 양측으로 '┃┃' 모양의 유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유로 일단에 암연결부가 각각 형성되고 유로 타단에 수연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제 2 온돌패널과, 내부에 '' 모양의 유로가 형성되고 유로 양단에 장착부가 같은 면에 형성되는 제 3 온돌패널과, 내부에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가 형성되며 유로 양단에 장착부가 형성되는 제 4 온돌패널과, 내부에 '┃' 모양의 유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유로 일단에 암연결부가 형성되고 유로 타단으로 수연결부가 형성되는 제 5 온돌패널을 이용하여 연결 조립하는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제 2 온돌패널 '┃┃' 모양의 유로 일단에 각각 형성된 수연결부에 제 3 온돌패널 '' 모양의 유로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를 연결 조립시키고, 제 2 온돌패널의 '┃┃' 모양의 유로 타단으로 각각 형성된 암연결부에 제 1 온돌패널 '┏' 모양의 유로 일단에 형성된 장착부와 제 3 온돌패널 '' 모양의 유로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 중 하나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1 단계와,
제 1 단계에서 제 1 온돌패널을 제외하고, 방의 크기에 따라 제 2 온돌패널 '┃┃' 모양의 유로 양단에 제 3 온돌패널 '' 모양의 유로를 반복해서 각각 연결 조립하며,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에서 제 2 온돌패널 '┃┃' 모양의 유로 일단에 형성된 하나의 암연결부에 제 4 온돌패널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 일단에 형성된 하나의 장착부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2 단계와,
제 2 단계에서 제 4 온돌패널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 타단에 형성된 장착부에 제 5 온돌패널 '┃' 모양의 유로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를 연결 조립시키고,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까지 제 5 온돌패널 '┃' 모양의 유로를 반복해서 연결 조립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의 신속성과 공정의 단순화로 인해 비용절감을 얻을 수 있으며, 완전건식 난방이므로 계절과 장소에 관계없이 시공할 수 있으며, 시공시 소음공해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방의 크기가 규격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방의 크기에 맞게 각 온돌패널을 조립하여 온돌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잡하고 어려운 공정작업이 아닌 각 온도패널을 쉽게 조립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시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수구조로 이루어진 제 1 온돌패널의 (a)는 동관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b)는 동관을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수구조로 이루어진 제 1 온돌패널을 상,하부몸체로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수구조로 이루어진 제 1 온돌패널 상,하부몸체의 유로에 동관이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암구조로 이루어진 제 1 온돌패널의 (a)는 동관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b)는 동관을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암구조로 이루어진 제 1 온돌패널을 상,하부몸체로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암구조로 이루어진 제 1 온돌패널 상,하부몸체의 유로에 동관이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제 1 온돌패널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암연결부, 수연결부가 암수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온돌패널의 (a)는 동관 없이 사출성형한 것을 나타낸 평면도, (b)는 동관을 삽입하여 사출성형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암연결부, 수연결부가 암수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온돌패널을 상,하부몸체로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암연결부, 수연결부가 암수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온돌패널 상,하부몸체의 유로에 동관이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제 2 온돌패널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암구조로 이루어진 제 3 온돌패널의 (a)는 동관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b)는 동관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암구조로 이루어진 제 3 온돌패널을 상,하부몸체로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암구조로 이루어진 제 3 온돌패널 상,하부몸체의 유로에 동관이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수구조로 이루어진 제 3 온돌패널의 (a)는 동관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b)는 동관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수구조로 이루어진 제 3 온돌패널을 상,하부몸체로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수구조로 이루어진 제 3 온돌패널 상,하부몸체의 유로에 동관이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제 3 온돌패널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수구조로 이루어진 제 4 온돌패널의 (a)는 동관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b)는 동관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수구조로 이루어진 제 4 온돌패널을 상,하부몸체로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수구조로 이루어진 제 3 온돌패널 상,하부몸체의 유로에 동관이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암구조로 이루어진 제 4 온돌패널의 (a)는 동관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b)는 동관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암구조로 이루어진 제 4 온돌패널을 상,하부몸체로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부가 암구조로 이루어진 제 3 온돌패널 상,하부몸체의 유로에 동관이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제 4 온돌패널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암연결부, 수연결부가 암수구조로 이루어진 제 5 온돌패널의 (a)는 동관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b)는 동관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7는 본 발명에 따른 암연결부, 수연결부가 암수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온돌패널을 상,하부몸체로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암연결부, 수연결부가 암수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온돌패널 상,하부몸체의 유로에 동관이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제 5 온돌패널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30은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1.
도 31은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2.
도 32는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3.
도 33은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4.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온돌패널의 암구조와 연결 조립되는 상기 장착부(2)가 수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제 1 온돌패널(10)은 내부에 '┏' 모양의 유로(1)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2)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2)는 유로(1)와 연결형성되고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는 오링(60)이 끼움되는 오링홈(3a)이 구비된 수연결관(3)과, 상기 수연결관(3) 양측으로 고정부재(70)가 삽입되는 고정홈(4a)이 구비된 장착돌기(4)로 구성하여 일체로 사출형성한다.
도 1의 (b)에 도시된 봐와 같이, 상기 제 1 온돌패널(10)의 유로(1)에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면서 난방효율을 더 높여주는 동관(80)을 삽입하여 일체로 인서트 사출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온돌패널(10)은 에프아르피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온돌패널(10)의 구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무게를 줄이기 위해 사각 또는 원형의 홈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온돌패널(10)을 상호 대응되게 상,하부몸체(7)(8)로 구성한다. 상기 상,하부몸체(7)(8)는 초음파융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 되어진다.
여기서, 각 온돌패널 연결 조립시 틈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70)는 외주면을 나사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4a)은 내주면을 나사선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장착돌기(4)는 스냅핏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제작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몸체(7)(8)의 유로(1) 내부에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면서 난방효율을 더 높여주는 동관(80)을 삽입하여 초음파융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온돌패널의 수구조와 연결 조립되는 상기 장착부(2)가 암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제 1 온돌패널(10)은 내부에 '┏' 모양의 유로(1)와 연결형성되는 암연결홈(5)과, 상기 암연결홈(5) 양측으로 상기 제 1 온돌패널(10) 상면까지 관통되고, 상기 고정부재(70)가 삽입되는 고정구멍(6a)이 구비된 장착홈(6)으로 구성하여 일체로 사출형성한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온돌패널(10)의 유로(1)에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면서 난방효율을 더 높여주는 동관(80)을 삽입하여 일체로 인서트 사출형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온돌패널(10)을 상호 대응되게 상,하부몸체(7)(8)로 구성한다. 상기 상,하부몸체(7)(8)는 초음파융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 되어진다.
여기서, 각 온돌패널 연결 조립시 틈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70)는 외주면을 나사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멍(6a)은 내주면을 나사선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장착홈(6)은 스냅핏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제작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몸체(7)(8)의 유로(1) 내부에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면서 난방효율을 더 높여주는 동관(80)을 삽입하여 초음파융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온돌패널(10)는 보일러에서 난방유체를 공급받아 난방유체의 흐름 방향을 전환시켜 다른 온돌패널로 보내주는 역할을 해준다.
여기서, 상기 제 1 온돌패널(10)은 난방유체의 흐름 방향에 따라서 보일러로 난방유체를 보내줄 수도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양측으로 '┃┃' 모양의 상기 유로(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일단에 암연결부(11) 형성되고, 상기 유로(1) 타단으로 수연결부(12)가 형성되며, 다른 온돌패널의 수구조와 연결 조립되는 상기 제 2 온돌패널(20)의 암연결부(11)는 유로(1)와 연결형성되는 암연결홈(15)과, 상기 암연결홈(15) 양측으로 제 2 온돌패널(20) 상면까지 관통되고 고정부재(70)가 삽입되는 고정구멍(16a)이 구비된 장착홈(16)을 구성하며,
다른 온돌패널의 암구조와 연결 조립되는 상기 제 2 온돌패널(20)의 수연결부(12)는 유로(1)와 연결형성되고 외주면에 오링(60)이 끼움되는 오링홈(13a)이 구비된 수연결관(13)과, 상기 수연결관(13) 양측으로 고정부재(70)가 삽입되는 고정홈(14a)이 구비된 장착돌기(14)로 구성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한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온돌패널(20)의 유로(1)에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면서 난방효율을 더 높여주는 동관(80)을 삽입하여 일체로 인서트 사출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온돌패널(20)은 에프아르피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온돌패널(20)의 구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무게를 줄이기 위해 사각 또는 원형의 홈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온돌패널(20)을 상호 대응되게 상,하부몸체(17)(18)로 구성한다. 상기 상,하부몸체(17)(18)는 초음파융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 되어진다.
여기서, 각 온돌패널 연결 조립시 틈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70)는 외주면을 나사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멍(16a)과 고정홈(14a) 은 내주면을 나사선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장착홈(16)과 장착돌기(14)는 스냅핏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몸체(17)(18)의 유로(1) 내부에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면서 난방효율을 더 높여주는 동관(80)을 삽입하여 초음파융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온돌패널(20) 내부 양측에 형성된 유로(1)는 난방유체의 흐름 방향을 서로 반대되게 하여 순환시켜주는 역할을 해준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온돌패널의 수구조와 연결 조립되는 상기 장착부(22)가 암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제 3 온돌패널(30)은 내부에 '' 모양의 상기 유로(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22)가 같은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온돌패널(30)의 장착부(22)는 유로(1)와 연결형성되는 암연결홈(25)과, 상기 암연결홈(25) 양측으로 상기 제 3 온돌패널(30) 상면까지 관통되고, 고정부재(70)가 삽입되는 고정구멍(26a)이 구비된 장착홈(26)으로 구성하여 일체로 사출형성한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온돌패널(30)의 유로(1)에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면서 난방효율을 더 높여주는 동관(80)을 삽입하여 일체로 인서트 사출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온돌패널(30)은 에프아르피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온돌패널(30)의 구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무게를 줄이기 위해 사각 또는 원형의 홈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온돌패널(30)을 상호 대응되게 상,하부몸체(27)(28)로 구성한다. 상기 상,하부몸체(27)(28)는 초음파융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 되어진다.
여기서, 각 온돌패널 연결 조립시 틈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70)는 외주면을 나사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멍(26a)은 내주면을 나사선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장착홈(26)은 스냅핏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몸체(27)(28)의 유로(1) 내부에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면서 난방효율을 더 높여주는 동관(80)을 삽입하여 초음파융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한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온돌패널의 암구조와 연결 조립되는 상기 장착부(22)가 수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제 3 온돌패널(30)은 내부에 '' 모양의 상기 유로(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22)가 같은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온돌패널(30)의 장착부(22)는 유로(1)와 연결형성되는 수연결관(23)과, 상기 수연결관(23) 양측으로 고정부재(70)가 삽입되는 고정홈(24a)이 구비된 장착돌기(24)로 구성하여 일체로 사출형성한다.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온돌패널(30)의 유로(1)에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면서 난방효율을 더 높여주는 동관(80)을 삽입하여 일체로 인서트 사출형성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온돌패널(30)을 상호 대응되게 상,하부몸체(27)(28)로 구성한다. 상기 상,하부몸체(27)(28)는 초음파융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 되어진다.
여기서, 각 온돌패널 연결 조립시 틈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70)는 외주면을 나사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24a)은 내주면을 나사선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장착돌기(24)는 스냅핏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몸체(27)(28)의 유로(1) 내부에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면서 난방효율을 더 높여주는 동관(80)을 삽입하여 초음파융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한다.
도 18에 도시된 봐와 같이, 상기 제 3 온돌패널(30)은 내부에 형성된 유로(1)는 난방유체의 흐름을 연속적으로 흐르게 해주는 역할을 해준다.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온돌패널의 암구조와 연결 조립되는 상기 장착부(32)가 수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제 4 온돌패널(40)은 내부에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제 4 온돌패널(40)의 장착부(32)는 유로(1) 연결형성되고 외주면에 오링(60)이 끼움되는 오링홈(33a)이 구비된 수연결관(33)과, 상기 수연결관(33) 양측으로 고정부재(70)가 삽입되는 고정홈(34a)이 구비된 장착돌기(34)로 구성하여 일체로 사출형성한다.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4 온돌패널(40)의 유로(1)에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면서 난방효율을 더 높여주는 동관(80)을 삽입하여 일체로 인서트 사출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4 온돌패널(40)은 에프아르피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온돌패널(40)의 구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무게를 줄이기 위해 사각 또는 원형의 홈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4 온돌패널(40)을 상호 대응되게 상,하부몸체(37)(38)로 구성한다. 상기 상,하부몸체(37)(38)는 초음파융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 되어진다.
여기서, 각 온돌패널 연결 조립시 틈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70)는 외주면을 나사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34a)은 내주면을 나사선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장착돌기(34)는 스냅핏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제작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몸체(37)(38)의 유로(1) 내부에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면서 난방효율을 더 높여주는 동관(80)을 삽입하여 초음파융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한다.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온돌패널의 수구조와 연결 조립되는 상기 장착부(32)가 암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제 4 온돌패널(40)은 내부에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제 4 온돌패널(40)의 장착부(32)는 유로(1)와 연결형성되는 암연결홈(35)과, 상기 암연결홈(35) 양측으로 상기 제 4 온돌패널(40) 상면까지 관통되고, 상기 고정부재(70)가 삽입되는 고정구멍(36a)이 구비된 장착홈(36)으로 구성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한다.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4 온돌패널(40)의 유로(1)에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면서 난방효율을 더 높여주는 동관(80)을 삽입하여 일체로 인서트 사출형성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4 온돌패널(40)을 상호 대응되게 상,하부몸체(37)(38)로 구성한다. 상기 상,하부몸체(37)(38)는 초음파융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 되어진다.
여기서, 각 온돌패널 연결 조립시 틈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70)는 외주면을 나사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멍(36a)은 내주면을 나사선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장착홈(36)는 스냅핏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제작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몸체(37)(38)의 유로(1) 내부에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면서 난방효율을 더 높여주는 동관(80)을 삽입하여 초음파융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한다.
도 25에 도시된 봐와 같이, 상기 제 4 온돌패널(40)은 순환된 난방유체의 흐름 방향을 전환시켜 다른 온돌패널로 보내주는 역할을 해준다.
도 2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양측으로 '┃' 모양의 상기 유로(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일단에 암연결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 타단으로 (42)가 각각 형성되며, 다른 온돌패널의 수구조와 연결 조립되는 상기 제 5 온돌패널(50)의 암연결부(41)는 유로(1)와 연결형성되는 암연결홈(45)과, 상기 암연결홈(45) 양측으로 제 5 온돌패널(50) 상면까지 관통되고 고정부재(70)가 삽입되는 고정구멍(46a)이 구비된 장착홈(46)을 구성하며,
다른 온돌패널의 암구조와 연결 조립되는 상기 제 5 온돌패널(50)의 수연결부(52)는 유로(1)와 연결형성되고 외주면에 오링(60)이 끼움되는 오링홈(53a)이 구비된 수연결관(53)과, 상기 수연결관(53) 양측으로 고정부재(70)가 삽입되는 고정홈(54a)이 구비된 장착돌기(54)로 구성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한다.
도 2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5 온돌패널(20)의 유로(1)에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면서 난방효율을 더 높여주는 동관(80)을 삽입하여 일체로 인서트 사출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5 온돌패널(50)은 에프아르피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온돌패널(50)의 구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무게를 줄이기 위해 사각 또는 원형의 홈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5 온돌패널(50)을 상호 대응되게 상,하부몸체(47)(48)로 구성한다. 상기 상,하부몸체(47)(48)는 초음파융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 되어진다.
여기서, 각 온돌패널 연결 조립시 틈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70)는 외주면을 나사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멍(46a)과 고정홈(44a) 은 내주면을 나사선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장착홈(46)과 장착돌기(44)는 스냅핏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게 제작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몸체(47)(48)의 유로(1) 내부에 난방유체의 누수를 막아주면서 난방효율을 더 높여주는 동관(80)을 삽입하여 초음파융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한다.
도 2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5 온돌패널(50) 내부 형성된 유로(1)는 순환된 난방유체를 보일러 보내주는 역할도 해준다.
여기서, 상기 제 5 온돌패널(50)은 난방유체의 흐름 방향에 따라 보일러에서 난방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2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유체의 흐름 방향을 서로 반대되게 하여 순환시켜주는 역할을 해준다.
도 30에 도시된 봐와 같이,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돌패널(2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수연결부(12)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를 연결 조립시키고, 상기 제 2 온돌패널(20)의 '┃┃' 모양의 유로(1) 타단으로 각각 형성된 암연결부(11)에 상기 제 1 온돌패널(1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장착부(2)와 상기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중 하나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제 1 온돌패널(10)을 제외하고, 방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2 온돌패널(20) '┃┃' 모양의 유로(1) 양단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를 반복해서 각각 연결 조립하며,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에서 상기 제 2 온돌패널(2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하나의 암연결부(11)에 상기 제 4 온돌패널(40)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하나의 장착부(32)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제 4 온돌패널(40)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 타단에 형성된 장착부(32)에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를 연결 조립시키고,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까지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를 반복해서 연결 조립하는 제 3 단계로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을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온돌패널(20)은 적어도 하나 이상 반복해서 연결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양측에 형성된 상기 제 3 온돌패널(30) 사이에 제 2 온돌패널(20)을 반복해서 조립하기 때문에, 시공시 작업시간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르는 비용도 절감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일러의 위치에 따라 난방유체의 흐름방향이 달라지므로, 상기 제 1 온돌패널(10)이 입구 또는 출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 5 온돌패널(50)도 입구 또는 출구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봐와 같이,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에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수연결부(42)를 각각 연결 조립시키고, 상기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에 각각 연결된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상기 유로(1) 타단으로 형성된 암연결부(41)에 상기 제 1 온돌패널(1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장착부(2)와 상기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중 하나를 각각 연결 조립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제 1 온돌패널(10)을 제외하고, 방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양단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를 반복해서 각각 연결 조립하며,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에서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에 상기 제 4 온돌패널(40)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하나의 장착부(32)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제 4 온돌패널(40)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 타단에 형성된 장착부(32)에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를 연결 조립시키고,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까지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를 반복해서 연결 조립하는 제 3 단계로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을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온돌패널(30)들 사이에 연결 조립되는 제 5 온돌패널(50)은 적어도 하나 이상 반복해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온돌패널(20)을 제외해서 조립하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쉽게 운반해서 작업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작업의 신속성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보일러의 위치에 따라 난방유체의 흐름방향이 달라지므로, 상기 제 1 온돌패널(10)이 입구 또는 출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 4 온돌패널(40)과 연결 조립된 상기 제 5 온돌패널(50)도 입구 또는 출구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돌패널(2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수연결부(12)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를 연결 조립시키고, 상기 제 2 온돌패널(20) '┃┃' 모양의 유로(1) 타단으로 각각 형성된 암연결부(11)에 상기 제 1 온돌패널(1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장착부(2)와 상기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중 하나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나머지 장착부(22)에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를 연결 조립시키고,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타단에 형성된 수연결부(42)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중 하나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방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양단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를 반복해서 연결 조립시키고,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에서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에 상기 제 4 온돌패널(40)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장착부(32)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제 4 온돌패널(40)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 타단에 형성된 장착부(32)에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를 연결 조립시키고,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까지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를 반복해서 연결 조립하는 제 4 단계로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을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온돌패널(30)들 사이에 연결 조립되는 제 5 온돌패널(50)은 적어도 하나 이상 반복해서 조립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제 1 온돌패널(10)과 상기 제 3 온돌패널(30) 사이에 연결 조립되는 하나의 제 2 온돌패널(20)도 적어도 하나 이상 반복해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주거공간에서 상대적으로 비교적 작은방에 상기 제 3 온돌패널(30)들 사이에 제 2 온돌패널(20)과 제 5 온돌패널(50)을 이용해서 조립하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보일러의 위치에 따라 난방유체의 흐름방향이 달라지므로, 상기 제 1 온돌패널(10)이 입구 또는 출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 4 온돌패널(40)과 연결 조립된 상기 제 5 온돌패널(50)도 입구 또는 출구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봐와 같이,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돌패널(2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수연결부(12)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를 연결 조립시키고, 상기 제 2 온돌패널(20) '┃┃' 모양의 유로(1) 타단으로 각각 형성된 암연결부(11)에 상기 제 4 온돌패널(40)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장착부(32)와 상기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중 하나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나머지 장착부(22)에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를 연결 조립시키고,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타단에 형성된 수연결부(42)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중 하나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방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양단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를 반복해서 연결 조립시키고,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에서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에 상기 제 1 온돌패널(1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장착부(2)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제 4 온돌패널(40)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 타단에 형성된 장착부(32)에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를 연결 조립시키고,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까지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를 반복해서 연결 조립하는 제 4 단계로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을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온돌패널(30)들 사이에 연결 조립되는 제 5 온돌패널(50)은 적어도 하나 이상 반복해서 조립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제 4 온돌패널(40)과 상기 제 3 온돌패널(30) 사이에 연결 조립되는 하나의 제 2 온돌패널(20)도 적어도 하나 이상 반복해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에서 상기 제 3 온돌패널(30)들 사이에 연결 조립되는 제 5 온돌패널(50) 두개가 아닌 제 2 온돌패널(20) 하나로 연결 조립하기 때문에, 시공시 작업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일러의 위치에 따라 난방유체의 흐름방향이 달라지므로, 상기 제 1 온돌패널(10)이 입구 또는 출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 5 온돌패널(50)도 입구 또는 출구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 1 온돌패널(10), 제 2 온돌패널(20), 제 3 온돌패널(30), 제 4 온돌패널(40), 제 5 온돌패널(50)을 이용하여, 방의 크기가 규격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방의 크기에 맞게 골라서 연결 조립할 수 있다.
더불어, 숙련공이 아닐지라도 누구나 쉽게 연결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시 작업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므로, 이에 따르는 비용절감의 효과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쉽게 사출하여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온돌의 시공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현장으로의 이송에도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유로 2, 22, 32 : 장착부
3, 13, 23, 33, 43 : 수연결관 7, 17, 27, 37, 47 : 상부몸체
8, 18, 28, 38, 48 : 하부몸체 11, 41 : 암연결부 12, 42 : 수연결부 3a, 13a, 23a, 33a, 43a : 오링홈 4, 14, 24, 34, 44 : 장착돌기 4a, 14a, 24a, 34a, 44a : 고정홈 5, 15, 25, 35, 45 : 암연결홈 6, 16, 26, 36, 46 : 장착홈 6a, 16a, 26a, 36a, 46a : 고정구멍 10 : 제 1 온돌패널
20 : 제 2 온돌패널 30 : 제 3 온돌패널
40 : 제 4 온돌패널 50 : 제 5 온돌패널
60 : 오링 70 : 고정부재
80 : 동관

Claims (3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내부에 '┏' 모양의 유로(1)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2)가 형성되는 제 1 온돌패널(10)과,
    내부 양측으로 '┃┃' 모양의 상기 유로(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일단에 암연결부(1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로(1) 타단에 수연결부(12)가 각각 형성되는 제 2 온돌패널(20)과,
    내부에 '' 모양의 상기 유로(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22)가 같은 면에 형성되는 제 3 온돌패널(30)과,
    내부에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상기 유로(1)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32)가 형성되는 제 4 온돌패널(40)과,
    내부에 '┃' 모양의 상기 유로(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일단에 암연결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 타단으로 수연결부(42)가 형성되는 제 5 온돌패널(50)을 이용하여 연결 조립하는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돌패널(2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수연결부(12)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를 연결 조립시키고, 상기 제 2 온돌패널(20)의 '┃┃' 모양의 유로(1) 타단으로 각각 형성된 암연결부(11)에 상기 제 1 온돌패널(1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장착부(2)와 상기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중 하나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제 1 온돌패널(10)을 제외하고, 방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2 온돌패널(20) '┃┃' 모양의 유로(1) 양단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를 반복해서 각각 연결 조립하며,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에서 상기 제 2 온돌패널(2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하나의 암연결부(11)에 상기 제 4 온돌패널(40)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하나의 장착부(32)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제 4 온돌패널(40)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 타단에 형성된 장착부(32)에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를 연결 조립시키고,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까지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를 반복해서 연결 조립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
  35. 내부에 '┏' 모양의 유로(1)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2)가 형성되는 제 1 온돌패널(10)과,
    내부에 '' 모양의 상기 유로(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22)가 같은 면에 형성되는 제 3 온돌패널(30)과,
    내부에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상기 유로(1)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32)가 형성되는 제 4 온돌패널(40)과,
    내부에 '┃' 모양의 상기 유로(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일단에 암연결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 타단으로 수연결부(42)가 형성되는 제 5 온돌패널(50)을 이용하여 연결 조립하는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에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수연결부(42)를 각각 연결 조립시키고, 상기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에 각각 연결된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상기 유로(1) 타단으로 형성된 암연결부(41)에 상기 제 1 온돌패널(1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장착부(2)와 상기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중 하나를 각각 연결 조립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제 1 온돌패널(10)을 제외하고, 방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양단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를 반복해서 각각 연결 조립하며,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에서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에 상기 제 4 온돌패널(40)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하나의 장착부(32)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제 4 온돌패널(40)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 타단에 형성된 장착부(32)에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를 연결 조립시키고,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까지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를 반복해서 연결 조립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
  36. 내부에 '┏' 모양의 유로(1)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2)가 형성되는 제 1 온돌패널(10)과,
    내부 양측으로 '┃┃' 모양의 상기 유로(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일단에 암연결부(1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로(1) 타단에 수연결부(12)가 각각 형성되는 제 2 온돌패널(20)과,
    내부에 '' 모양의 상기 유로(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22)가 같은 면에 형성되는 제 3 온돌패널(30)과,
    내부에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상기 유로(1)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32)가 형성되는 제 4 온돌패널(40)과,
    내부에 '┃' 모양의 상기 유로(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일단에 암연결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 타단으로 수연결부(42)가 형성되는 제 5 온돌패널(50)을 이용하여 연결 조립하는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돌패널(2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수연결부(12)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를 연결 조립시키고, 상기 제 2 온돌패널(20) '┃┃' 모양의 유로(1) 타단으로 각각 형성된 암연결부(11)에 상기 제 1 온돌패널(1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장착부(2)와 상기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중 하나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나머지 장착부(22)에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를 연결 조립시키고,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타단에 형성된 수연결부(42)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중 하나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방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양단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를 반복해서 연결 조립시키고,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에서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에 상기 제 4 온돌패널(40)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장착부(32)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제 4 온돌패널(40)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 타단에 형성된 장착부(32)에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를 연결 조립시키고,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까지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를 반복해서 연결 조립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
  37. 내부에 '┏' 모양의 유로(1)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2)가 형성되는 제 1 온돌패널(10)과,
    내부 양측으로 '┃┃' 모양의 상기 유로(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일단에 암연결부(1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로(1) 타단에 수연결부(12)가 각각 형성되는 제 2 온돌패널(20)과,
    내부에 '' 모양의 상기 유로(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22)가 같은 면에 형성되는 제 3 온돌패널(30)과,
    내부에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상기 유로(1)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양단에 장착부(32)가 형성되는 제 4 온돌패널(40)과,
    내부에 '┃' 모양의 상기 유로(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1) 일단에 암연결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 타단으로 수연결부(42)가 형성되는 제 5 온돌패널(50)을 이용하여 연결 조립하는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돌패널(2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수연결부(12)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를 연결 조립시키고, 상기 제 2 온돌패널(20) '┃┃' 모양의 유로(1) 타단으로 각각 형성된 암연결부(11)에 상기 제 4 온돌패널(40)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장착부(32)와 상기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중 하나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나머지 장착부(22)에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를 연결 조립시키고,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타단에 형성된 수연결부(42)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부(22)중 하나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방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양단에 제 3 온돌패널(30) '' 모양의 유로(1)를 반복해서 연결 조립시키고,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에서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에 상기 제 1 온돌패널(1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장착부(2)를 연결 조립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제 4 온돌패널(40) 한쪽은 길고 한쪽은 짧은'┎' 모양의 유로(1) 타단에 형성된 장착부(32)에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 일단에 형성된 암연결부(41)를 연결 조립시키고, 방의 크기가 끝나는 부분까지 상기 제 5 온돌패널(50) '┃' 모양의 유로(1)를 반복해서 연결 조립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
KR1020100053863A 2010-06-08 2010-06-08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 KR101227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863A KR101227364B1 (ko) 2010-06-08 2010-06-08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863A KR101227364B1 (ko) 2010-06-08 2010-06-08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078A KR20110134078A (ko) 2011-12-14
KR101227364B1 true KR101227364B1 (ko) 2013-01-29

Family

ID=4550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863A KR101227364B1 (ko) 2010-06-08 2010-06-08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428B1 (ko) * 2021-06-02 2022-03-04 김태형 온수 순환이 가능한 조립용 개별 매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166B1 (ko) * 2012-02-10 2013-02-26 우경식 에어 포켓형 온수 플로링 패널
KR20140137245A (ko) * 2013-05-22 2014-12-02 (주)글로벌하이테크 난방용 패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071U (ko) * 1984-08-30 1986-03-31 김영수 전자 시계의 진자장치
JPH10267301A (ja) 1997-03-21 1998-10-09 Hazama Gumi Ltd 温水循環式床暖房用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温水循環式床暖房装置とその組立方法
KR20100011866A (ko) * 2008-07-24 2010-02-03 김성곤 냉난방용 바닥판 및 이의 조립체
KR100958414B1 (ko) * 2010-02-05 2010-05-18 이상운 난방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071U (ko) * 1984-08-30 1986-03-31 김영수 전자 시계의 진자장치
JPH10267301A (ja) 1997-03-21 1998-10-09 Hazama Gumi Ltd 温水循環式床暖房用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温水循環式床暖房装置とその組立方法
KR20100011866A (ko) * 2008-07-24 2010-02-03 김성곤 냉난방용 바닥판 및 이의 조립체
KR100958414B1 (ko) * 2010-02-05 2010-05-18 이상운 난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428B1 (ko) * 2021-06-02 2022-03-04 김태형 온수 순환이 가능한 조립용 개별 매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078A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03077B (zh) 预制装配整体式地下综合管廊结构
US9297135B2 (en) Structural lining system
KR101227364B1 (ko)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
KR200404351Y1 (ko) 온수온돌용 바닥블록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난방바닥구조
KR100411659B1 (ko) 그라우트용 관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및암수 전단키내 모르타르 채움을 통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암거의 접합방법
KR20110122279A (ko) 지중 송·배전용 조립식 전력구 접합장치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20140013566A (ko) 조립·해체 및 시공이 간편한 냉·난방 파이프 모듈과 그 시공방법
KR102005051B1 (ko) 건식 온돌 바닥재
KR20120067897A (ko)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KR200424768Y1 (ko) 유체 이송용 이중 배관을 위한 연결소켓
KR101069728B1 (ko)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
KR20210015070A (ko) 모듈식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KR200437814Y1 (ko) 조립식 암거
KR101521419B1 (ko) 집 배수로의 가변 집 배수관 및 그 집 배수관의 연결방법
KR102206034B1 (ko) 내진성 가변형 수밀고무링을 구비한 박스암거
JP4891047B2 (ja) 排水管の施工構造
CN216239264U (zh) 一种装配式保温斜坡板及由其组成的屋顶
CN203821666U (zh) 防渗漏楼板
KR20230063244A (ko) 조립식 난방패널 구조체
CN213575646U (zh) 一种集成管道插板闸
KR20240034473A (ko) 복열 불투수성 돌출턱을 갖는 방수턱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KR20090032021A (ko) 합성구조 박스암거 및 이를 이용한 박스암거 시공공법
CN221095502U (zh) 一种登机设施用空心结构装配式墙体
KR200330581Y1 (ko) 배수관용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