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728B1 -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728B1
KR101069728B1 KR1020100105349A KR20100105349A KR101069728B1 KR 101069728 B1 KR101069728 B1 KR 101069728B1 KR 1020100105349 A KR1020100105349 A KR 1020100105349A KR 20100105349 A KR20100105349 A KR 20100105349A KR 101069728 B1 KR101069728 B1 KR 101069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heating
path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노훈
Original Assignee
허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노훈 filed Critical 허노훈
Priority to KR1020100105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5Hydraulic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의 용이성과 닌방효율성을 높이면서 연료비를 절감하는 것은 물론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를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관과, 상기 배관의 방향이 전환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연결구로 구성하고, 상기 배관은 소정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배관바디의 내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는 격벽에 의하여 공급경로와 회수경로를 함께 가지도록 하고, 상기 연결구는, 배관이 배설되는 과정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위치에서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는 엘보연결구와, 배관의 마지막 위치에 연결하여 유체가 공급위치에서 회수위치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유턴연결구와, 배관이 분지 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티연결구와, 유체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공급자와 배관을 연결하는 최종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HEATING PIPE ASSEMBLY}
본 발명은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 냉,온수 사용, 농업 또는 공업용으로 사용될 때 공급 및 회수라인을 일체로 가지도록 개선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사무실, 영업소 등의 실내 특히 가정의 실내 난방은 온수를 난방지역(방이나 거실 또는 주방 등)으로 순환시켜 외부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실내온도를 높여주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난방은 기름, 가스 또는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난방수를 가열하는 보일러와 같은 온수 가열수단으로부터 난방수를 공급받아 지속적인 순환을 통하여 난방지역을 난방하게 된다.
종래기술이 적용되는 보편적인 난방용 배관이 시공된 상태를 도 11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와 같은 온수가열수단(1)과 순환펌프(2)로 연결되는 난방파이프(3)를 난방지역(4)에 지그재그 또는 나선형태 등으로 배관하고, 상기 난방파이프(3)는 배관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난방지역의 바닥에 설치되는 보강철망과 결속하여 배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난방파이프(3)의 상면에는 몰탈로 평평하게 마감하여 난방파이프(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후 장판, 마루판 등과 같은 바닥지로 마감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난방지역에 난방배관을 배설한 후 몰탈 마감을 수행하고 전문 일력에 의하여 시공하여야 하고 공사기간이 길어지므로 시공비용이 증가 되는 것은 물론,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즉, 난방배관의 배설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하여야 하는 것은 물론, 난방배관과 보일러의 연결관계 및 몰탈 마감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관계로 일반인이 누구나가 쉽게 수행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난방배관의 배열(간격)을 정확하게 하지 않을 경우 시공 후 편중난방 등과 같은 현상이 일어나므로 효율적인 난방을 기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난방배관을 난방지역에 배관하는 과정에서 방향 전환하는 위치에서는 개략 ⊂형상 또는 작은 직경의 원형상으로 밴딩 하여야 하는 데, 합성수지(플라스틱)재질의 배관을 밴딩하는 과정에서 절곡될 경우에는 이미 배설한 배관 모두를 제거하고 새로이 배관을 배설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특히, 동절기와 같이 외부기온이 낮은 경우에는 밴딩 과정에서 더욱 절곡과 같은 손상이 많이 일어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열을 가하여 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고 있으나 취급 부주의로 인하여 배관이 열에 의하여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 배관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하여야 하는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난방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배관이 단순하게 배열되지 않고 이곳저곳을 경유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관계로 간섭과 엉킴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 시공의 용이성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물론, 시공의 편의 등을 이유로 배관의 간격을 넓게할 경우에는 시공된 난방배관이 난방하여야 하는 구역이 넓기 때문에 신속한 난방이 어려운 것은 물론, 난방에 필요한 열원을 더 많이 소비하게 되므로 열효율이 높지 않게 된다.
그리고, 사용과정에서 난방배관의 손상이 발생하여 누수현상이 일어날 경우에는 누수지역 상당한 면적을 제거한 후 누수 되는 배관을 찾아서 보수하여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종래기술의 배관은 유체(난방수)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하나인 단일공간이기 때문에 공급되는 한 곳으로는 공급되고 한 곳으로는 배출되는 관계로 공급시점에는 높은 온도를 유지하나 배출시점에는 낮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하나의 난방지역 내에서도 온도편차가 발생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유체를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관과, 상기 배관의 방향이 전환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연결구로 구성하고, 상기 배관은 소정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배관바디의 내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는 격벽에 의하여 공급경로와 회수경로를 함께 가지도록 하고, 상기 연결구는, 배관이 배설되는 과정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위치에서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는 엘보연결구와, 배관의 마지막 위치에 연결하여 유체가 공급위치에서 회수위치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유턴연결구와, 배관이 분지 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티연결구와, 유체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공급자와 배관을 연결하는 최종연결구를 포함하여, 시공의 용이성과 닌방효율성을 높이면서 연료비를 절감하는 것은 물론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하나의 배관에 유체를 공급하고 회수(배출)하기 위한 두 개의 라인을 동시에 가지고, 방향전환을 위한 다수 개 연결구와 조합을 통하여 조밀하게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고,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공급과 회수과정에서 열교환을 통하여 전체 배관 내부의 온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난방을 가능하게 하면서 연료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배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엘보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티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유턴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최종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a,b,c,d)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배관, 엘보, 티, 유턴 및 최종연결구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티 연결구의 A - 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배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1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2 예시도.
도 11은 종래 기술에 의하여 난방용 배관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배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엘보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티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유턴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최종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a,b,c,d)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배관, 엘보, 티, 유턴 및 최종연결구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티 연결구의 A - 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배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1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2 예시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100)는, 유체를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관(101)과, 상기 배관(101)의 방향이 전환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연결구(102)로 구성한다.
상기 배관(101)과 연결구(102)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동, 알루미늄 등과 같은 비철금속 재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나, 제조의 용이성과 원가절감을 통하여 공급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합성수지(플라스틱) 계통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101)은 내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는 격벽(103)에 의하여 공급경로(104)와 회수경로(105)를 함께 가지는 타원형상의 배관바디(106)로 구성하여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배관(101)은 압출성형에 의하여 소정의 길이로 구비됨은 당연할 것이며, 배관바디(106)가 타원형상임을 도면에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원형을 두 개 결합한 것과 같은 팔자형상, 사각형을 두 개 결합한 것과 같은 직사각형상, 삼각형을 역방향으로 결합한 것과 같은 마름모꼴 형상, 그 외에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을 두 개 결합한 것과 같은 형상 등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연결구(102)는, 배관(101)이 배설되는 과정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위치에서 배관(101)과 배관(101)을 연결하는 엘보연결구(107)와, 배관의 마지막 위치에 연결하여 유체가 공급위치에서 회수위치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유턴연결구(108)와, 배관(101)이 분지 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티(T)연결구(109)와, 유체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공급자(B)와 배관(101)을 연결하는 최종연결구(110)로 구성한다.
상기 엘보연결구(107)는 개략 L형상의 엘보바디(111)를 구비하고, 엘보바디(111)의 양측에는 배관(101)을 연결할 수 있도록 배관(101)의 내경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연결돌부(112)를 돌출시키고, 연결돌부(112)와 엘보바디(111) 사이에는 걸림턱(113)을 형성하여 배관(101)이 필요 이상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돌부(112)에는 결합 된 배관(101)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돌기(114)를 형성하고, 상기 엘보바디(111)의 내부에는 격벽(115)으로 구획된 공급경로(104)와 회수경로(105)를 가지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유턴연결구(108)는 개략 U형상으로 구비되는 유턴바디(120)를 구비하고, 유턴바디(120)의 어느 한 방향에는 배관(101)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돌부(121)를 돌출시키고, 연결돌부(121)와 유턴바디(120) 사이에는 배관(101)이 필요이상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123)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돌부(121)에는 결합 된 배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124)를 형성하고, 상기 유턴바디(120)의 내부에는 공급 또는 회수경로(104,105)의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 만큼 여유를 가지도록 격벽(125)을 형성하여 유체가 공급경로(104)을 통하여 회수경로(105)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면서 순환할 수 있는 순환경로(126)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티연결구(109)는 개략 T형상으로 구비되는 티바디(130)를 구비하고, 상기 티바디(130)의 3방향에는 배관(101)을 연결하기 위한 1,2,3연결돌부(131,132,133)를 돌출시키고, 상기 1,2,3연결돌부(131,132,133)와 티바디(130) 사이에는 배관(101)이 연결과정에서 필요 이상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34)을 형성한다.
상기 1,2,3연결돌부(131,132,133)에는 결합 된 배관(101)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135)를 형성하고, 상기 티바디(130)의 내부에는 1,2연결돌부(131,132)를 연결하는 직선격벽(135)과 1,3연결돌부(131,133)를 라운드격벽(136)에 의하여 직선 형상의 공급경로(104)와 T형상의 회수경로(105)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1연결돌부(131)와 3연결돌부(133)의 공급경로(104)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회수경로(105)에 지장이 없도록 티바디(130)의 상측 또는 하측을 통하여 서로 연통되게 점프라인(137)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최종연결구(110)는 개략 사각형상의 정방 또는 장방형 육면체로 구비되는 연결구바디(140)의 일측으로는 배관(101)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돌부(141)를 돌출시키고, 상기 연결돌부(141) 대향 위치 또는 연결돌부(141)와 직각 방향 위치의 연결구바디(140)에는 공급자(B)와 관체 등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142)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엘보연결구(107)와 유턴연결구(108), 티연결구(109)의 격벽(115)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홀(145)을 더 형성하여 고정핀(146)으로 바닥면과 고정하여 연결구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고정핀(146)의 상면이 바닥의 마감면에 노출되어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100)는 일반적으로 난방 배관을 배설하는 것과 같이 지그재그 형태(도 8) 또는 회오리 형태(도 9)로 시공하면 된다.
이와 같이 시공할 때, 보일러 또는 순환펌프와 같은 공급자(B)와 배관(101)은 최종연결구(110)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배관(101)이 방향을 전환하는 위치에는 엘보연결구(107)를 이용하여 배관(101)과 배관(101)을 연결하여 준다.
그리고, 배관(101)을 지그재그 형태 또는 회오리 형태로 난방지역에 설치가 완료된 후 배관(101)의 끝단에는 유턴연결구(108)를 결합하고, 일측의 난방지역에서 다른 난방지역으로 분지 시키고자 하는 위치에는 티연결구(109)를 이용하여 배관(101)을 연결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배관을 설치할 경우에는, 공급자(B)를 통하여 난방수가 배관(101)과 엘보연결구(107)와 티연결구(109)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격벽(103, 115, 135,136)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급경로(104)를 통하여 공급되고, 배관(101)의 끝단에 연결된 유턴연결구(108)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125)으로 구획되는 순환경로(126)에 의하여 방향이 180°로 전환되어 회수경로(105)를 통하여 다시 공급자(B)로 이동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티연결구(109)에 의하여 분지 된 경우에는, 난방수의 공급은 1,2연결돌부(131,132)를 연결하는 직선격벽(135)과 1,2연결돌부(131,132) 방향으로는 공급경로(104)가 형성되고, 1,2연결돌부(131,132) 사이의 공급경로(104)에서 1,3연결돌부(131,133)를 연결하는 점프라인(137)을 통하여 분지 방향으로 난방수의 공급경로(104)가 형성되므로 하나의 난방지역과 타 난방지역으로 난방수의 공급경로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난방수의 회수는 1,2연결돌부(131,132)를 연결하는 직선격벽(135)과 1,3연결돌부(131,133) 사이를 연결하는 라운드격벽(136)에 의하여 형성되는 회수경로(105)를 통하여 하나의 난방지역에서 회수되는 난방수와 타 난방지역에서 회수되는 난방수가 자연스럽게 합류되어 회수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난방수가 하나의 배관(101)에 형성되는 공급경로(104)와 회수경로(105)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전체 난방수의 온도가 비슷하게 유지되므로 난방지역 내에서의 온도편차가 거의 없는 상태가 되어 난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난방수의 온도가 종래에 비하여 높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순환에 필요한 작동 또는 난방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작동하신 시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결국에는 많은 연료비가 절감되어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관(101)을 시공하는 과정에서는 배관(101)은 직선으로만 연결되므로 배관을 별도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 없어 시공이 용이한 것은 물론, 전문가가 아니라도 충분하게 시공할 수 있어 초기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관(101)과 연결되는 연결구(102)에는 바닥면과 고정핀(146)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145)이 더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구(102)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배관(101) 또한 움직임이 방지되므로 배관(101) 위에 미장 등의 마감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핀(146)의 상단부는 경우에는 마감되는 미장면과 일치되도록 함으로서 사용 과정에서 누수 등이 발생할 경우, 누수 발생위치를 고정핀(146)을 통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넓은 지역을 보수하기 위하여 파헤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유지보수의 용이성 또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난방으로 사용할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난방수 또는 냉방수를 동시에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가정, 공업, 또는 농업용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이종(異種)의 유체를 동시에 공급하거나 또는 회수하는 라인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 활용성이 많은 발명이다.
100; 배관 어셈블리
101; 배관
102; 연결구
105; 공급경로
105; 회수경로
107; 엘보연결구
108; 유턴연결구
109; 티연결구
110; 최종연결구

Claims (5)

  1. 유체를 공급하고 회수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관(101)과;
    상기 배관(101)의 방향이 전환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연결구(102)로 구성하고;
    상기 배관(101)은 소정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배관바디(106)의 내부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는 격벽(103)에 의하여 공급경로(104)와 회수경로(105)를 함께 가지도록 하고;
    상기 연결구(102)는, 배관(101)이 배설되는 과정에서 방향을 전환하는 위치에서 배관(101)과 배관(101)을 연결하는 엘보연결구(107)와, 배관의 마지막 위치에 연결하여 유체가 공급위치에서 회수위치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유턴연결구(108)와, 배관(101)이 분지 되는 위치에 연결되는 티연결구(109)와, 유체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공급자(B)와 배관(101)을 연결하는 최종연결구(110)를 포함하여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상기 티연결구(109)는 T형상으로 구비되는 티바디(130)와;
    상기 티바디(130)의 3방향에 배관(101)을 연결할 수 있게 돌출시키는 1,2,3연결돌부(131,132,133)와;
    상기 1,2,3연결돌부(131,132,133)와 티바디(130) 사이에는 배관(101)이 연결과정에서 필요 이상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하는 걸림턱(134)과;
    상기 티바디(130)의 내부에 1,2연결돌부(131,132)를 연결하는 직선격벽(135)과 1,3연결돌부(131,133)를 라운드격벽(136)에 의하여 형성하는 직선 형상의 공급경로(104)와 T형상의 회수경로(105);
    상기 1연결돌부(131)와 3연결돌부(133)의 공급경로(104)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회수경로(105)에 지장이 없도록 티바디(130)의 상측 또는 하측을 통하여 연통 되게 형성하는 점프라인(1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연결구(110)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연결구바디(140)와;
    상기 연결구바디(140)의 일측에 배관(101)을 연결할 수 있게 돌출시키는 연결돌부(141)와;
    상기 연결돌부(141) 대향 위치 또는 연결돌부(141)와 직각 방향 위치의 연결구바디(140)에는 공급자(B)와 연결할 수 있게 형성하는 연결공(142)을 포함하고;
    상기 엘보연결구(107)와 유턴연결구(108), 티연결구(109)의 격벽(115)에는 바닥면과 고정핀(146)으로 고정하여 연결구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고정핀(146)의 상면이 바닥의 마감면에 노출되어 위치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고정홀(145)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
KR1020100105349A 2010-10-27 2010-10-27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 KR101069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349A KR101069728B1 (ko) 2010-10-27 2010-10-27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349A KR101069728B1 (ko) 2010-10-27 2010-10-27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728B1 true KR101069728B1 (ko) 2011-10-05

Family

ID=4503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349A KR101069728B1 (ko) 2010-10-27 2010-10-27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995A (ko) * 2018-05-24 2019-12-04 정의갑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온수 온돌 조립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0388A (ko) * 1998-01-22 2001-05-15 그랑프리 사일런서스 비.브이. 외측파이프를 갖춘 다중파이프
EP1114690A1 (en) * 1999-12-24 2001-07-11 Kabushiki Kaisha Yutaka Giken Method of connecting two elongated portions of metallic plate, method of manufacturing exhaust pipe of two-passage construction, and exhaust pipe of two-passage construction
JP2002364795A (ja) * 2001-06-06 2002-12-18 Nissan Shatai Co Ltd 二重管構造
KR100515455B1 (ko) * 2003-02-08 2005-09-16 해 만 최 호스 커플링 기구의 플러그
KR100515787B1 (ko) * 2005-01-14 2005-09-26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건축 설비 공사용 열교환식 난방 파이프
KR100636707B1 (ko) * 2006-04-11 2006-10-23 (주)파이프텍코리아 공급회수 일체형 이중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448609Y1 (ko) * 2008-10-15 2010-05-03 이병대 가이드 판 내장형 엘보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0388A (ko) * 1998-01-22 2001-05-15 그랑프리 사일런서스 비.브이. 외측파이프를 갖춘 다중파이프
EP1114690A1 (en) * 1999-12-24 2001-07-11 Kabushiki Kaisha Yutaka Giken Method of connecting two elongated portions of metallic plate, method of manufacturing exhaust pipe of two-passage construction, and exhaust pipe of two-passage construction
JP2002364795A (ja) * 2001-06-06 2002-12-18 Nissan Shatai Co Ltd 二重管構造
KR100515455B1 (ko) * 2003-02-08 2005-09-16 해 만 최 호스 커플링 기구의 플러그
KR100515787B1 (ko) * 2005-01-14 2005-09-26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건축 설비 공사용 열교환식 난방 파이프
KR100636707B1 (ko) * 2006-04-11 2006-10-23 (주)파이프텍코리아 공급회수 일체형 이중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448609Y1 (ko) * 2008-10-15 2010-05-03 이병대 가이드 판 내장형 엘보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995A (ko) * 2018-05-24 2019-12-04 정의갑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온수 온돌 조립체
KR102149492B1 (ko) 2018-05-24 2020-08-28 정의갑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온수 온돌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4746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огревающих и/или охлаждающих стен зданий
US7637286B2 (en) Absorber for a pipe construction or sewer construction and pipe or sewer configuration provided with the absorber
JP2013500456A (ja) 熱交換装置及びその使用
KR100989517B1 (ko) 히트 파이프 설치용 확장패널 및 이를 이용한 히팅장치
KR101069728B1 (ko)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
JP5946754B2 (ja) 螺旋状配管付き二重管構造の構築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製管機
KR20140090490A (ko) 난방용 조립식 마루
KR20180122841A (ko) 지열관 연결구
KR101227364B1 (ko)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
KR200422753Y1 (ko) 길이 가변형 익스펜션을 채용한 판형 열교환기
KR200463863Y1 (ko) 해수열원을 이용한 히트펌프의 연결용 합성수지소켓 및 이를 가지는 이중관 열교환기
KR200351874Y1 (ko) 조립식 온수난방 시스템.
KR101164871B1 (ko) 온수 마루용 보드 및 상기 보드를 구비하는 온수 마루
CN205505496U (zh) 一种地源热泵系统用地埋管单元
KR102243739B1 (ko) 난방용 온수마루
JP3828564B1 (ja) 埋設管及びその敷設方法
KR200291675Y1 (ko) 조립식 난방 패널
KR101429262B1 (ko) 가정용 온수보일러용 팽창탱크 연결관 및 이를 구비한 가정용 온수보일러
JP6068739B2 (ja) 既設管渠用更生材及びそれを用いた熱交換器の敷設方法、下水管排熱利用システム
KR102149492B1 (ko)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온수 온돌 조립체
CN216843586U (zh) 一种管道连接结构
KR102005051B1 (ko) 건식 온돌 바닥재
KR200424768Y1 (ko) 유체 이송용 이중 배관을 위한 연결소켓
KR20090041346A (ko) 유지 보수용 상,하수관
KR200434648Y1 (ko) 지열파이프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