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581Y1 - 배수관용 이음관 - Google Patents

배수관용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581Y1
KR200330581Y1 KR20-2003-0023954U KR20030023954U KR200330581Y1 KR 200330581 Y1 KR200330581 Y1 KR 200330581Y1 KR 20030023954 U KR20030023954 U KR 20030023954U KR 200330581 Y1 KR200330581 Y1 KR 2003305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upling
coupling portion
joint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춘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에스디
Priority to KR20-2003-0023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5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5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5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60Reducing noise in plumb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및 고층빌딩의 각 층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빗물이나 각 층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가 흘러내리도록 한 배수관을 연결하는 배수관용 이음관(일명 섹티아;sextia)에 관한 것으로서, 물이 흘러내리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에 보온재를 시공하는 번거로움 없이도 결로(結露)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성이 우수한 이중 구성의 배수관용 이음관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수직방향으로 상하측에 배수관(5)이 결합되는 배수관결합부(2)(3)을 관통되게 형성하며, 대략 중간부의 직각방향으로는 하수관(6)이 결합되는 하수관결합부(4)를 형성한 "ㅓ"형으로 구성되며, 하수관결합부(4)의 단부는 나선형 안내부(4a)가 형성된 이음관(1)에 있어서, 배수관결합부(2)(3) 및 하수관결합부(4)의 외부에는 링형상의 결합돌기(8)를 형성하고, 이음관(1) 외부에는 공간부(10)가 형성되게 이음관(1)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양분 구성된 외관(7)에 형성한 결합홈(9)을 끼움 결합하여 고정하되, 양분되는 외관(7)의 양측 접합부(11)에는 접합돌기(11a)와 접합홈(11b)을 형성하여 상호 끼움한 상태에서 고주파 열접착 한 것으로서,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이음관(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음관(1)에 보온재를 감싸는 수고 없이도 이음관(1)의 동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수관용 이음관{Coupling pipe for drainpipe}
본 고안은 아파트 및 고층빌딩의 각 층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빗물이나 각 층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가 흘러내리도록 한 배수관을 연결하는 배수관용 이음관(일명 섹티아;sextia)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이 흘러내리는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에 보온재를 시공하는 번거로움 없이도 결로(結露)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성이 우수한 이중 구성의 배수관용 이음관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통상 아파트 등과 같은 고층건물의 경우 상측에서 하층으로 생활하수 등이 흘러 내려가도록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게 배수관을 세우고, 배수관의 중도에는 각 층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 등이 유입되는 하수관을 연결하는 이음관이 설치된다.
상기한 이음관(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상하측에 배수관(25)이 결합되는 배수관결합부(22)(23)를 관통되게 형성하며, 대략 중간부의 직각방향으로는 하수관(26)이 결합되는 하수관결합부(24)를 형성한 "ㅓ"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측 배수관결합부(23)의 내측으로는 배수관(25) 내측으로 결합되는축소된 유도관(23a)을 형성하고, 하수관결합공(24)의 단부에는 나선형 안내부(24a)를 형성하여 하수관(26)으로 유입되는 생활하수 등을 배수관(25)으로 배수할 때 소음을 줄이고 낙하속도를 떨어트릴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25)과 하수관(26)을 상호 연결하는 종래 이음관(21)의 경우 소음을 일부 줄일 수 있기는 하나 큰 효과를 발휘키가 어렵고, 또한 동절기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에도 취약하여 동파 등의 우려가 있어 시공후 외부에 보온재를 감싸는 보온시공을 별도로 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으로, 업계에서는 이들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음관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음관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이음관을 이중관으로 구성하고, 내/외관 사이에는 방음부재를 충진함으로서, 소음을 현저히 줄이고 별도의 보온재 시공의 번거로움 없이도 결로 현상을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음, 방온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조립성이 양호한 배수관용 이음관을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외관이 분리된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외관 접합부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발췌 평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이음관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이음관 2,3:배수관결합부
3a:유도관 4:하수관결합부
4a:나선형 안배부 5:배수관
6:하수관 7:외관
7a:주입공 8:결합돌기
9:결합홈 10:공간부
11:접합부 11a:접합돌기
11b:접합홈 12:철심재
13:간격유지돌기 14:보온재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외관이 분리된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 등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상하측에 배수관(5)이 결합되는 배수관결합부(2)(3)를 관통되게 형성하며, 대략 중간부의 직각방향으로는 하수관(6)이 결합되는 하수관결합부(4)를 형성한 "ㅓ"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측 배수관결합부(3)의 내측으로는 배수관(5) 내측으로 결합되는 축소된 유도관(3a)을 형성하고 하수관결합부(4)의 단부는 나선형 안내부(4a)가 형성되어 하수관(6)으로 유입되는 생활하수 등을 배수관(5)으로 배수할 때 소음을 줄이고 낙하속도를 떨어트릴 수 있게 구성한 이음관(1) 구성을 적극적으로 개량 고안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이음관(1)의 외부에 이음관(1)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양분 구성된 외관(7)을 결합 고정한 것으로 배수관결합부(2)(3) 및 하수관결합부(4)의 외부에 링형상의 결합돌기(8)를 형성하고, 양분 구성되는 외관(7)에는 상기 결합돌기(8)에 끼움되는 결합홈(9)을 형성하여 이음관(1)과 일정 간격이 떨어진 상태로 공간부(10)가 형성되게 이음관(1) 외부를 감쌀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양분되는 외관(7)의 양측 접합부(11)에는 상호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접합돌기(11a)와 접합홈(11b)을 형성하어 상호 끼움한 상태에서 고주파 열접착 한다.
상기 접합홈(11b)의 외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 철심재(12)를 인서트 하여 상기와 같이 고주파 열접착되는 외관(7)의 접착력을 증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음관(1)의 표면 또는 외관(7)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간격유지돌기(13)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이음관(1)과 외관(7)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1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며, 공간부(10)에는 보온력이 우수한 발포제 등과 같은 보온재(14)를 충진한다.
상기 보온재(14)의 충진은 외관(7)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공(7a)을 통하여 주입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배수관용 이음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 등과 같은 고층건물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배수관(5)과 각 층의 에서 배출되는 하수관(6)을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작용 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이음관(1)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8)에 양분되는 외관(7)의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홈(9)을 결합함과 동시에 외관(7)의 접합부(11)에 형성되는 접합돌기(11a)와 접합홈(11b)을 결합한 다음 접합부(11)를 고주파 열접착한 후 공간부(10)에 보온재(14)를 주입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이음관(1)은 이중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음관(1)의 표면 또는 외관의 내면에 다수개의 간격유지돌기(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음관(1)과 외관(7) 사이의 공간부(10)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양분되는 외관(7)은 접합부(11)가 접합돌기(11a)에 접합홈(11b)을 끼움한 상태에서 열접착 하는 구성인바 안정성 있는 접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접합부(11)를 구성하는 접합홈(11b)의 외주에는 "ㄷ"형 철심재(12)가 인서트 구성되어 있으므로 고주파 열접착 시 열전도를 높여 접합돌기(11a)의 내외측에서 접합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공간부(10)에 보온력이 우수한 발포제 등과 같은 보온재를(14) 충진한 구성이므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이음관(1)을 이용하여 배수관(5)과 하수관(6)을 연결 이음할 경우 종래와 같이 보온재를 이음관 외부에 감싸는 번거로움 없이도 동절기에 결로 현상 등으로 인한 동파의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 및 작용되는 본 고안의 배수관용 이음관(1)은 통상의 이음관(1) 외부에 공간부(1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외관(7)을 씌우고 공간부(10)에 보온재(14)를 충진토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이음관(1)과 외관(7)의 조립이 단순한 끼움 조립식으로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이음관(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음관(1)에 보온재를 감싸는 수고 없이도 이음관(1)의 동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득할 수 있는 실용성 있는 고안이다.

Claims (4)

  1. 수직방향으로 상하측에 배수관(5)이 결합되는 배수관결합부(2)(3)를 관통되게 형성하며, 대략 중간부의 직각방향으로는 하수관(6)이 결합되는 하수관결합부(4)를 형성한 "ㅓ"형으로 구성되며, 하수관결합부(4)의 단부는 나선형 안내부(4a)가 형성된 이음관(1)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결합부(2)(3) 및 하수관결합부(4)의 외부에는 링형상의 결합돌기(8)를 형성하고, 이음관(1) 외부에는 공간부(10)가 형성되게 이음관(1)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양분 구성된 외관(7)에 형성된 결합홈(9)을 끼움 결합하여 고정하되,
    상기 양분되는 외관(7)의 양측 접합부(11)에는 접합돌기(11a)와 접합홈(11b)을 형성하여 상호 끼움한 상태에서 고주파 열접착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이음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1)의 표면 또는 외관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간격유지돌기(13)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이음관(1)과 외관(7)과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이음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10)에는 보온력이 우수한 보온재(14)를 충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이음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11)를 구성하는 접합홈(11b)의 외부에는 "ㄷ"형 철심재(12)를 인서트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이음관.
KR20-2003-0023954U 2003-07-24 2003-07-24 배수관용 이음관 KR2003305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954U KR200330581Y1 (ko) 2003-07-24 2003-07-24 배수관용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954U KR200330581Y1 (ko) 2003-07-24 2003-07-24 배수관용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581Y1 true KR200330581Y1 (ko) 2003-10-17

Family

ID=4941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954U KR200330581Y1 (ko) 2003-07-24 2003-07-24 배수관용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5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9270A (ja) * 2016-09-30 2018-04-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継手用の遮音カバーおよび継手
JP2018059271A (ja) * 2016-09-30 2018-04-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継手および配管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9270A (ja) * 2016-09-30 2018-04-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継手用の遮音カバーおよび継手
JP2018059271A (ja) * 2016-09-30 2018-04-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継手および配管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590B1 (ko) 배관의 이음구
CN109162338A (zh) 一种装配式建筑预埋管件
KR200330581Y1 (ko) 배수관용 이음관
US20110110720A1 (en) Water-permeable pipe assembly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101227364B1 (ko)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
JP6510811B2 (ja) オーバーフロー継手
KR200453858Y1 (ko) 배수관 연결구
KR100572510B1 (ko) 배수용 집수구
KR102116912B1 (ko) 에어 돔
KR200367167Y1 (ko) 배수관용 이음관
CN209308138U (zh) 一种装配式建筑预埋管件
KR100536067B1 (ko) 건축물 기초의 외단열 구조
KR200333870Y1 (ko) 배수관용 이음관
KR200450167Y1 (ko) 옹벽용 배수관 장치
CN215630548U (zh) 一种雨水篦子和连接结构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KR200300720Y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100520717B1 (ko) 건축용 우,오수 배수관 설치구조
KR20130052122A (ko) 배수용 난형관 연결장치
KR102412437B1 (ko) 선택적 시공이 가능한 수로시스템
KR101413131B1 (ko) 밴드형 관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구조체와 기초의 접합부 구조
KR100465463B1 (ko) 피씨 침수옹벽
KR101059457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KR102286604B1 (ko) 배수기능을 구비하는 내진방음터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