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912B1 - 에어 돔 - Google Patents

에어 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912B1
KR102116912B1 KR1020180155144A KR20180155144A KR102116912B1 KR 102116912 B1 KR102116912 B1 KR 102116912B1 KR 1020180155144 A KR1020180155144 A KR 1020180155144A KR 20180155144 A KR20180155144 A KR 20180155144A KR 102116912 B1 KR102116912 B1 KR 102116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ome
bracket
pipe
ai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구
신동욱
Original Assignee
아이드림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드림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드림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5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2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panels, without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돔은, 에어 돔이 시공될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면서 지면에 매립되는 우수관과; 상기 우수관의 내측을 향한 측면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개방된 측면을 통하여 상기 브라켓 내부로 고정 로프에 의하여 말려 들어가서 고정되는 필름과; 상기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펌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 돔{AIR DOME}
본 발명은 에어 돔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임시 행사용 구조물도 철골 기타 기존의 건축 자재로 시공되었다. 이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졌고, 철거에도 시간이 오래 걸렸다. 또한, 철거된 자재의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중의 하나로 에어 돔이 고안되고 사용되어 왔다. 에어 돔은 공기로 구조물을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어 돔은 실내에 가압 송풍한 공기를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밀폐시키는 방식으로 구조물을 유지한다. 에어 돔이 원하는 구조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실내에 공기를 가압 송풍하는 공기 펌프를 제어하여 에어 돔 실내의 공기압을 자동적으로 유지하는 기술도 등장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에어 돔을 지면에 고정하는 종래기술의 방식과 관련하여 한국 특허출원 제10-2015-0011240호(발명의 명칭: 다용도 에어돔 하우스)를 언급한다. 상기 한국 특허출원에 공개된 기술에서는 지면에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는 홈 구조를 파묻고, 이러한 홈 구조에 프레임 단부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에어 돔 구조를 지면에 고정하고 있다. 도 1은 상기 한국 특허출원의 도 7이다. 도 1을 보면, 에어 돔을 지면에 고정하는 상기 한국 특허출원의 방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새로운 방식으로 지면에 고정된 에어 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주변 영역으로 배수로를 갖추게 되는 에어 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돔은, 에어 돔이 시공될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면서 지면에 매립되는 우수관과; 상기 우수관의 내측을 향한 측면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개방된 측면을 통하여 상기 브라켓 내부로 고정 로프에 의하여 말려 들어가서 고정되는 필름과; 상기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펌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름은 상기 우수관에 상기 브라켓을 경유하여 결합하는 것 외에 다른 구조물에 의하여 지면으로부터 지지되지 않아도 무관하며, 이는 에어 돔이 시공될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면서 지면에 단단하게 매립된 우수관에 의하여 에어 돔의 필름이 매우 견고하게 지지됨으로 인해서 비로소 가능하게 된 것이다.
상기 고정 로프는 상기 필름을 상기 브라켓 내부로 밀고 들어가서 상기 브라켓 내부에 자리 잡은 상태에서 고정 핀에 의하여 고정된다.
한편, 상기 우수관의 필름이 고정된 측면은 상부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상부로 길게 연장된 우수관의 측면에는 창호가 매립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브라켓 장착 볼트에 의하여 상기 우수관에 결합될 수도 있고,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우수관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돔은 내부 에어 돔과 외부 에어 돔을 포함하는 이중 구조의 에어 돔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내부 에어 돔은, 내부 에어 돔이 시공될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면서 지면에 매립되는 제1 우수관과; 상기 제1 우수관의 내부 에어 돔 내측을 향한 측면에 결합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의 개방된 측면을 통하여 상기 제1 브라켓 내부로 제1 고정 로프에 의하여 말려 들어가서 고정되는 제1 필름과; 상기 제1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 에어 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 에어 돔은, 외부 에어 돔이 시공될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면서 지면에 매립되는 제2 우수관과; 상기 제2 우수관의 외부 에어 돔 내측을 향한 측면에 결합되는 제2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의 개방된 측면을 통하여 상기 제2 브라켓 내부로 제2 고정 로프에 의하여 말려 들어가서 고정되는 제2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2 에어 펌프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중 에어 돔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은 상기 제1 및 제2 우수관에 각각 상기 제1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을 경유하여 결합하는 것 외에 다른 구조물에 의하여 지면으로부터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 에어 돔과 외부 에어 돔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제1 우수관을 따라 흐르거나 상기 제1 우수관에 담긴 물을 활용하는 시설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돔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방식으로 지면에 고정된 에어 돔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주변 영역으로 배수로를 갖추게 되는 에어 돔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에어 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돔이 우수관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돔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돔이 우수관에 고정 설치되어 이중 에어 돔을 형성하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돔의 고정 설치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단면의 우수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돔의 고정 설치에 적용 가능한 우수관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돔이 우수관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부호 10에 의하여 지시되는 구성요소는 우수관이다. 우수관(10)은 배로 인한 물을 배수하는 시설이다. 우수관(10)은 여러가지 재질로 실시될 수 있다.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도 실시 가능하지만,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우수관(10)은 지면에 견고하게 매립 가능한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재질인 것으로 예시한다. 우수관(10)은 여러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형상은 그 한 예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우수관(10)의 기능은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우수관(10)의 첫번째 기능은 에어 돔의 견고한 기반으로서의 기능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어 돔(100)의 전반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필름(20)이 우수관(10)에 고정되고, 우수관(10)은 지면에 매립된다. 이로써 에어 돔(100)은 우수관(10)에 의하여 견고한 기반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수관(10)은 지면에 매립되고, 우수관(10)의 측면 중 필름(20)과 접하는 쪽에는 브라켓(11)이 장착된다. 브라켓(11)은 브라켓 장착 볼트(12)에 의하여 우수관(10)에 고정된다. 브라켓(11)은 그 단면이 두 개의 "ㄷ"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라켓(11)의 필름(20)과 마주하는 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그 반대면은 브라켓 장착 볼트(12)가 관통하는 구멍을 제외하고는 폐쇄되어 있다. 필름(20)이 브라켓(11)의 개방된 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고정 로프(30)가 브라켓(11)에 삽입되면 필름(20)이 브라켓(11) 내부로 밀려들어가면서 고정된다. 고정 로프(30)의 재질은 여러가지로 실시 가능하다. 섬유 재질, 금속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 재질의 제한 없이 실시 가능한 고정 로프(30)는 브라켓(11)의 개방된 수직 방향 길이보다 긴 지름을 가지므로 브라켓(11)에 삽입될 때 브라켓(11) 또는 고정 로프(30)가 탄성에 의해 변형되고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원 상태로 복귀한다. 고정 로프(30)가 브라켓(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핀(14)이 브라켓(11)의 일측면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 로프(3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핀(14)은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고정 로프(30)가 브라켓(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브라켓(11)과 고정 로프(30)의 상호 고정 힘이 충분한 경우에는 고정 핀(14)의 생략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돔은 상술한 고정 핀(14) 외의 다른 형태의 고정 로프(30) 고정 수단이 사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우수관(10)의 두번째 기능은 에어 돔(100)이 건설된 상태에서 비가 내릴 때 에어 돔(100)의 필름(20)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을 양호하게 배수하는 것이다. 만일 에어 돔(100)이 나대지 상에 건설된 상태에서 비가 내리게 되면 에어 돔(100)을 타고 흘러내린 빗물이 에어 돔(100)이 위치한 나대지 주변을 진흙탕으로 만들어 에어 돔(100) 내외의 환경이 크게 저해될 수 있다. 우수관(1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 돔(100)의 견고한 기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에어 돔(100)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을 배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면, 이러한 문제가 해결된다. 빗물 배수 기능을 보다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름(20)이 브라켓(11) 및 고정 로프(30)에 의하여 우수관(10)에 연결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필름(20)과 브라켓(11)의 접합 부위에 실링 실리콘(13)이 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 실리콘(13)이 시공된 상태에서 필름(20)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은 필름(20)과 브라켓(11) 사이로 스며들지 않고 우수관(10)을 향한다.
정리하면,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우수관(10)을 지면에 묻고, 여기에 에어 돔(100)의 필름(20)을 연결함으로써, 에어 돔(100)을 매우 견고하게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천 시 에어 돔(100)의 필름(20)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을 양호하게 배수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된다. 에어 돔(100)이 농지와 같은 토지의 개발 제한 규제가 존재하는 땅에 시공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은 우수관(10)을 에어 돔(100)의 기반으로 활용하는 구조는 추가적인 이점을 가져온다. 농지와 같은 토지의 개발 제한 규제가 존재하는 땅에는 건축물의 시공이 제한된다. 특히,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의 타설이 엄격히 금지된다. 따라서, 에어 돔(100)이 농지와 같은 토지의 개발 제한 규제가 존재하는 땅에 시공될 때 구조물의 가장 견고한 기반을 보장하는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구조는 사용 불가하다. 그러나, 우수관은 토지의 개발 제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시공 가능하므로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재질의 우수관(10)은 개발이 제한된 땅에 파묻힌 상태에서 에어 돔(100)의 가장 견고한 기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돔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돔(100) 구조는 위에서 보았을 때 원형 구조일 수 있다. 에어 돔(10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보았을 때 원형이건, 사각형이건 또는 다른 그 어떤 형상이건, 개별 우수관(10)들은 서로에 대하여 인접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에어 돔(100)의 주변을 둘러 싼다. 도 3에는 우수관(10)이 에어 돔(100)을 완전히 둘러싸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부 영역에서는 우수관(10)이 생략된 형태의 실시예도 가능하다. 연결된 복수의 우수관(10)들이 에어 돔(100)을 둘러싸면서 에어 돔(100)을 형성하는 필름(20)을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돔(100)은 지면에 매립된 우수관(10)에 연결되는 것 외에 지면으로부터 추가적인 지지 수단이 전혀 없이도 에어 돔으로서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우수관(10)에 의해 필름(20)이 고정 및 지지되는 것 외에 추가적으로 필름(20)을 지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권리범위로부터 제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 특유의 구성에 따른 에어 돔(100)은 추가의 지지 수단 없이 시공될 수 있으나, 에어 돔(100)의 규모에 따라 추가의 지지 수단이 사용되면 보다 양호한 구조물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개별 우수관(100)이 위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구조이면, 원형 에어 돔(100)을 둘러싸는 우수관(100)과 우수관(100) 사이에는 빈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빈 공간은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메꿔줄 수 있으며, 만일 이러한 시공이 어려운 환경이라면 개별 우수관(100)이 직사각형 구조가 아닌 사다리꼴 구조를 취하여 우수관(100)과 우수관(100) 사이의 빈 공간이 거의 존재하지 않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미세하게 존재하는 틈은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타설이 아닌 실링 공법으로 커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개의 우수관(100)이 연결된 구조에는 배수관이 연결되어 배수를 실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돔이 우수관에 고정 설치되어 이중 에어 돔을 형성하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에어 돔 구조가 이중으로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필름이 하나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 필름(21)과 내부 필름(22)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각각의 필름은 외부에 배치된 우수관과 내부에 배치된 우수관에 결합된다. 외부 필름(21)이 외부에 배치된 우수관과 결합되는 구조 및 내부 필름(22)이 내부에 배치된 우수관과 결합되는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필름(20)이 우수관과 결합되는 구조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다. 내부 필름(22)이 내부에 배치된 우수관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도 4에 표시된 제1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외부 필름(21)이 외부에 배치된 우수관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도 4에 표시된 제2 공간이 형성된다. 제1 공간 내로의 공기 공급 및 이로 인한 내부 필름(22)의 팽창을 위하여 에어 펌프1이 배치되고, 제2 공간 내로의 공기 공급 및 이로 인한 외부 필름(21)의 팽창을 위하여 에어 펌프2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이중 구조의 에어 돔을 시공하면 제2 공간에 머무는 공기층이 두꺼운 단열층의 기능을 수행하여 에어 돔 구조의 단열 성능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공간과 제2 공간을 분리하게 됨으로써 각 공간 별로 다른 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 구획의 효과가 생긴다. 예컨대, 제1 공간 내부에서는 상대적 고온 유지가 필요한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제2 공간 내부에서는 내부 필름(22)의 설치 기반이 되는 내부에 배치된 우수관으로 물이 흐르도록 하거나 여기에 물이 고여 있도록 함으로써 그 물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물고기를 기르는 것은 그 활용 방안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돔의 고정 설치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단면의 우수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좌측, 중앙, 우측의 세가지 우수관이 도시되어 있다. 그 중 중앙 우수관만 사시도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좌측과 우측은 단면도만 도시되어 있다. 중앙 우수관을 사시도 형태로 도시한 것은 좌측과 우측에 단면도로 도시된 우수관의 전체적인 형상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모든 우수관은 단면 형상에서만 차이가 날 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상은 동일하다. 도 5에 도시된 우수관의 형상들 중 좌측 형상이 기본이 되는 형상이며, 이러한 우수관의 양측 측면들 중 어느 한 쪽은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중앙에 도시된 우수관은 좌측에 도시된 우수관의 좌측 측면이 상부로 대략 2배 정도 길이 연장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길이 연장된 측면의 상부에서 에어 돔을 형성하는 필름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연결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구조의 위치에 대해서는 도 5의 우측 그림을 참조하면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에어 돔을 형성하는 필름은 우수관의 상부로 연장된 측면의 상부 중 빗물이 흐를 수 있는 우수 통로를 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형성된 브라켓에 결합 가능하다. 즉, 에어 돔을 형성하는 필름이 우수관에 결합된 상태에서 우수관의 빗물이 흐를 수 있는 우수 통로는 에어 돔의 외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도 5의 우측 그림에는 우수관의 상부로 연장된 측면의 또 다른 활용 방안이 도시된다. 도 5의 우측 그림에는 "창호 매립"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두 개의 점선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점선 표시부에 창호가 매립 가능하다. 한쪽 면이 상부로 연장된 우수관을 활용하면, 이와 같이 창호를 갖춘 에어 돔 구조의 제공이 가능하여, 에어 돔 구조물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돔의 고정 설치에 적용 가능한 우수관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우수관과 대비하여 관찰하면 도 6에 도시된 우수관의 특징을 수월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것은 우수관(10)의 측면에 브라켓(11)이 매립되어 있다는 것이다. 브라켓(11)의 매립은 우수관(10)의 제작 과정에서 실시할 수 있다. 우수관(10)이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경우 우수관의 형틀을 사전 제작하고 거기에 유동 상태의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굳히는 과정으로 우수관을 제작하게 된다. 이 때 브라켓(11)을 형틀 내 특정 위치에 미리 자리 잡도록 한 상태에서 유동 상태의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굳히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우수관을 쉽게 제작 가능하다. 도 6에서 점선으로 도시되고 도면부호 14로 지시되는 구조는 상술한 고정 핀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다. 이러한 구조는 고정 핀(14)이 필요한 경우 우수관에 제공되어야 하며, 고정 핀(14) 없이 브라켓(11)에 삽입되는 고정 로프(3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경우 또는 고정 핀(14) 외의 다른 고정 수단이 활용되는 경우에는 우수관(10)에 제공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우수관(10)이 사용되는 경우, 에어 돔 시공 현장에서 브라켓(11)을 브라켓 장착 볼트(12)로 우수관(10)에 장착하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에어 돔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브라켓(11)을 브라켓 장착 볼트(12)로 우수관(11)에 장착하는 방식에 비하여 브라켓(11)의 우수관(10)으로의 결합 강도가 우수하여 에어 돔 구조의 견고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우수관
11: 브라켓
12: 브라켓 장착 볼트
13: 실링 실리콘
14: 고정 핀
20: 필름
21: 외부 필름
22: 내부 필름
30: 고정 로프
100: 에어 돔

Claims (9)

  1. 에어 돔이 시공될 영역의 주변을 둘러싸면서 지면에 매립되는 우수관과,
    상기 우수관의 내측을 향한 측면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개방된 측면을 통하여 상기 브라켓 내부로 고정 로프에 의하여 말려 들어가서 고정되는 필름과,
    상기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우수관은 유일하게 지면에 매립된 구조물로서 에어 돔을 지지하면서 에어돔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 지면에 스며들지 않고 배수되도록 하는,
    에어 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우수관에 상기 브라켓을 경유하여 결합하는 것 외에 다른 구조물에 의하여 지면으로부터 지지되지 않는,
    에어 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로프는 상기 필름을 상기 브라켓 내부로 밀고 들어가서 상기 브라켓 내부에 자리 잡은 상태에서 고정 핀에 의하여 고정되는,
    에어 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관의 필름이 고정된 측면은 상부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상부로 길게 연장된 우수관의 측면에는 창호가 매립되는,
    에어 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브라켓 장착 볼트에 의하여 상기 우수관에 결합되는,
    에어 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우수관과 일체로 성형되는,
    에어 돔.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155144A 2018-12-05 2018-12-05 에어 돔 KR102116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144A KR102116912B1 (ko) 2018-12-05 2018-12-05 에어 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144A KR102116912B1 (ko) 2018-12-05 2018-12-05 에어 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912B1 true KR102116912B1 (ko) 2020-06-01

Family

ID=7108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144A KR102116912B1 (ko) 2018-12-05 2018-12-05 에어 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9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852B1 (ko) * 2022-05-06 2023-05-04 (주)세연사건설 이중막 에어돔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405B1 (ko) * 2016-09-23 2017-05-12 (주)영진티앤디 에어하우스
KR101800259B1 (ko) * 2017-07-18 2017-12-20 정종상 비닐 조절이 용이한 에어 하우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405B1 (ko) * 2016-09-23 2017-05-12 (주)영진티앤디 에어하우스
KR101800259B1 (ko) * 2017-07-18 2017-12-20 정종상 비닐 조절이 용이한 에어 하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852B1 (ko) * 2022-05-06 2023-05-04 (주)세연사건설 이중막 에어돔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920B1 (ko) 지하수 배수장치
CN106013954A (zh) 一种组合围挡的施工方法
KR101615614B1 (ko) 제주를 포함한 우수 집중 지역의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CN105863103A (zh) 一种外墙板安装节点
CN110424988A (zh) 隧道防水结构及隧道防水方法
KR102116912B1 (ko) 에어 돔
US5852906A (en) Internal-wall drain system
CN113404170A (zh) 预制外墙与现浇楼板接缝处的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275273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2009008366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526461B1 (ko) 기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로암거
KR101774865B1 (ko) 누수방지 및 단열 성능이 개선된 피씨 더블 월
JP5271720B2 (ja) 土間廻り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5991832B2 (ja) 水切構造及び建物
KR101366139B1 (ko) 배수판 조립체
KR100440091B1 (ko) 블록식 옹벽의 축조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209227B1 (ko) 지하구조물 신축이음부의 방수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3072682U (ja) コンクリート製の排水溝ブロック
CN108071197A (zh) 屋面超能防水结构及施工方法
KR101395281B1 (ko) 단열배수판
CN110409594A (zh) 一种蒸汽管道疏水散排渗井及制造方法
KR101325717B1 (ko) 배수판 조립체
KR100377690B1 (ko) 밸브실 시공 공법 및 그 밸브실 구조
JP2018066158A (ja) 建物への付設物支持用基礎およびその設置構造
KR102018992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맨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