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497B1 - 냉난방용 바닥패널 - Google Patents

냉난방용 바닥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497B1
KR101365497B1 KR1020110128036A KR20110128036A KR101365497B1 KR 101365497 B1 KR101365497 B1 KR 101365497B1 KR 1020110128036 A KR1020110128036 A KR 1020110128036A KR 20110128036 A KR20110128036 A KR 20110128036A KR 101365497 B1 KR101365497 B1 KR 101365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ooling
panel
heating
pane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1789A (ko
Inventor
이상운
Original Assignee
이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운 filed Critical 이상운
Priority to KR1020110128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497B1/ko
Priority to PCT/KR2012/010365 priority patent/WO2013081434A1/ko
Publication of KR20130061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1Insulating layer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ing or the floo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3/00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03/04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nal elongated cavities arranged in substantially parallel row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Floor Finish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실내의 냉난방에 사용되는 냉나방용 바닥패널이 개시된다. 냉난방용 바닥패널은,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패널본체; 및 상기 패널본체의 바닥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바닥면에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따라서, 더운 여름에 냉수를 유로에 공급하여도, 바닥측의 단열공간 및 보온층이 단열을 하여,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난방 뿐만 아니라, 냉방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냉난방용 바닥패널{Foor pannel used for air-conditioning}
본 발명은 냉난방용 바닥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방 및 냉방 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난방용 바닥패널에 관한 것이다.
실내를 난방하는 방법으로는, 서양에서는 라디에이터를 주로 사용하였고, 한국에서는 온돌을 사용하였다. 온돌은 바닥을 데우는 방식으로, 예전에는 바닥에 뜨거운 공기를 통과시켜 돌로된 바닥을 데우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근대에 들어서는 보일러를 이용하여 데운 뜨거운 물을 바닥에 설치된 온수관을 통과하도록 하여 실내를 난방하였다.
실내를 난방하는 방법의 경우, 일반적으로 에어컨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에어컨의 경우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와, 실내기 및 실외기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의 번거로움이 있다.
이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종래의 온수관에 차가운 물을 흘러보내는 방식이 있으나, 이 경우, 결로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난방과 냉방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냉방시 결로의 발생을 방지한 냉난방용 바닥패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패널본체; 및 상기 패널본체의 바닥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바닥면에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바닥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패널본체의 바닥면에 상기 스페이서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보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패널본체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본체에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고임물 배출구가 더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단열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패널본체에 설치된 습도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로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다만, 반드시 아래의 효과가 모두 발휘되어야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와 같이, 바닥의 시멘트가 양생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어, 시공기간이 혁신적으로 줄어들 뿐만 아니라, 공사비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패널 중 어느 하나에 누수가 있는 경우, 그 패널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도 훨씬 용이하다.
또한, 더운 여름에 냉수를 유로에 공급하여도, 바닥측의 단열공간 및 보온층이 단열을 하여,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난방 뿐만 아니라, 냉방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습도계를 포함함으로써, 결로의 우려가 있는 경우, 냉수의 공급을 중단하여, 결로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수여부도 확인할 수
그리고, 바닥 패널에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 공급 파이프 및 냉온수를 배출하는 냉온수 배출 파이프를 파이프 하우징에 내설하여 배치를 함으로써, 바닥패널의 하부에 어떠한 시멘트 공사를 할 필요가 없이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난방 구조물의 하중이 종래에 비해서 훨씬 줄어들어, 전체적인 건축물의 건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하판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파이프 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바닥패널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냉난방용 바닥패널이 설치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바닥패널(200)이 설치된 바닥 구조는 구조물(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단열재(110)와, 상기 단열재(110)의 상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유로(211)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211)의 유입구(212) 및 유출구(213)가 형성된 바닥패널(200)과, 상기 단열재(110)의 상면과 상면이 일치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연결 파이프 수용부(310)가 형성된 파이프 하우징(300)과, 일단이 상기 유입구(212)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냉온수 공급부(미도시)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 수용부(310)에 수용된 냉온수 공급 파이프(410)와, 일단이 상기 유출구(213)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냉온수 배출부(미도시)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 수용부에 수용된 냉온수 배출 파이프(420)를 포함한다.
구조물(100)이라함은, 방 구조물의 바닥을 이루는 기초를 말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돌 구조가 벽체에 설치되는 경우 기초가 되는 벽체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방 구조물의 바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단열재(110)는 유로(211)로부터 나오는 열 혹은 냉기가 구조물(100)로 전도되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단열재(110)는 압축 스티로폼재가 사용될 수 있다. 압축 스티로폼재라 함은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사용되는 용어로서, 정확한 용어로는 압출법 발포폴리스티렌 보온판이라고 하며, 강성이 일반 스티로폼 보다 강한 것이 특징이다.
온돌 패널(200)은 유로(211)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211)의 유입구(212) 및 유출구(213)가 형성된 패널본체(270)와, 상기 패널본체(270)의 바닥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바닥면에 단열 공간(231)을 형성하는 스페이서(230)와, 상기 패널본체(270)의 바닥면에 상기 스페이서(230) 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보온층(240)과, 상기 단열공간(231)의 습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패널본체(270)에 설치된 습도계(250)와, 상기 유로(21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260)를 포함한다.
패널본체(270)에는 도 2와 같이 내부에 유로(211)가 형성된다. 유로를 형성하는 방법은 도 2와 같이, 상판(220) 하판(210)으로 분리생산하며, 상판 및 하판이 결합되는 면에 유로를 형성하여, 상판 및 하판을 본딩하여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유로(211)에 파이프를 내설하여, 누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유입구(212) 및 유출구(213)는 하부면(즉, 단열재를 바라보는 면)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입구(212) 및 유출구(213)가 측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인접한 온돌 패널(200)과 연통될 수도 있다. 다만, 하부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경우, 파이프 하우징에 쉽게 조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돌 패널(1200a, 1200b)의 측면에는 인접한 온돌패널과 결합을 위해 결합홈(1210)과 돌기(12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본체(270)에 상기 유로(211)와 연통되는 고임물 배출구(215)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고임물 배출구(215)는 밸브가 결합되어, 필요시에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밸브는 타측의 파이프 등의 결합 시 개방이 되는 밸브가 바람직하다. 고임물 배출구(215)는 장시가 사용하지 않을 때, 유로(211)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을 배출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그 결과, 겨울에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230)는 상기 패널본체(27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즉, 도 3과 같이, 둘레를 따라 빈틈없이 형성됨으로써, 단열공간(231)이 밀폐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단열공간(231)이 밀폐되지 않아도, 단열공간(231)을 형성하는 한에서는 효과가 있다.
보온층(240)은 일반적인 단열소재를 사용한다.
습도계(250)는 센싱부가 단열공간(231)에 드러나도록 패널본체(270)에 결합된다. 따라서, 습도계(250)의 결과값에 따라서, 단열공간(231)의 상대습도가 이슬점에 가까워지는 경우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 차가운 냉각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습도계는 단열공간(231)의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온도계(260)는 센싱부가 유로(211)에 드러나도록 하여, 냉온수 공급 제어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파이프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파이프 하우징(300)은 두께가 단열재(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온돌 패널을 시공하였을 때, 그 차이로 인해, 덜컹거리지 않을 정도의 차이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파이프 하우징(30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강성이 강한 플라스틱 재질을 사출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파이프 하우징(300)의 상기 유입구(212) 및 상기 유출구(213)를 바라보는 면에 연결공(31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연결공(311)이 형성되는 수는 냉온수를 공급하는 바닥패널(200)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미도시된 냉온수 공급부는 냉온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보일러 혹은 냉각장치 등으로 의미하며, 냉온수 배출부는 보일러의 물이 회수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유입구와 냉온수 공급파이프를 보다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일단은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고, 타탄은 상기 냉온수 공급 파이프에 연결된 유입구 연결구(411) 및 유출구와 냉온수 배출 파이프를 보다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일단은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냉온수 배출 파이프에 연결된 유출구 연결구(4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 연결구(411) 및 상기 유출구 연결구(412)는 상기 연결공(311)을 통해서 상기 파이프 하우징(3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즉, 유입구 연결구(411)의 유입구(212)와 연결되는 부분과, 온수 공급 파이프(410)와 연결되는 부분이 꺾어져 형성되며, 유입구(212)와 연결되는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유출구 연결구(412)의 유출구(213)와 연결되는 부분과, 온수 배출 파이프(420)와 연결되는 부분이 꺾어져 형성되며, 유출구(213)와 연결되는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유입구 연결구(411)와 유출구 연결구(412)의 바닥패널과 연결되는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바닥패널(20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끼워 넣음으로써, 바로 배관이 연결되고, 시공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물의 상면에 단열재 및, 파이프 하우징을 냉온수 공급 파이프 및 냉온수 배출 파이프와 함께 배치를 한 후, 바닥패널(200)을 상측에 설치함으로써, 냉난방 구조물의 공사가 완료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바닥의 시멘트가 양생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어, 시공기간이 혁신적으로 줄어들 뿐만 아니라, 공사비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패널 중 어느 하나에 누수가 있는 경우, 그 패널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도 훨씬 용이하다.
또한, 더운 여름에 냉수를 유로에 공급하여도, 바닥측의 단열공간 및 보온층이 단열을 하여,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난방 뿐만 아니라, 냉방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습도계를 포함함으로써, 결로의 우려가 있는 경우, 냉수의 공급을 중단하여,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 패널에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 공급 파이프 및 냉온수를 배출하는 냉온수 배출 파이프를 파이프 하우징에 내설하여 배치를 함으로써, 바닥패널의 하부에 어떠한 시멘트 공사를 할 필요가 없이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난방 구조물의 하중이 종래에 비해서 훨씬 줄어들어, 전체적인 건축물의 건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의 냉난방 구조물은 제 1 실시예와 바닥패널(1200)의 형상 및 유입구 연결구(1412) 및 유출구 연결구(1411)의 형상이 상이하며, 나머지의 형상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의 바닥패널(1200)은 내부에 유로(1211)가 형성된다. 유로를 형성하는 방법은 상판(1220) 하판(1210)으로 분리생산하며, 하판(1210)의 상면에 유로를 형성하여, 상판 및 하판을 본딩하여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유로(1211)에 파이프를 내설하여, 누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유입구(1212) 및 유출구(1213)은 측방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유입구 연결구(1412)는 실리콘과 같이 쉽게 휘어질 수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며, 일단은 유입구(1212)에 끼워지며, 타단은 냉온수 공급 파이프(410)에 연결된다. 유출구 연결구(1411)는 실리콘과 같이 쉽게 휘어질 수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며, 일단은 유출구(1213)에 끼워지며, 타단은 냉온수 배출 파이프(42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는 부드러운 재질의 유입구 연결구(1412) 및 유출구 연결구(1411)와 측방에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바닥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설치시, 위치의 오차가 발생하여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11: 유로 212: 유입구
213: 유출구 270: 패널본체
231: 단열 공간 230: 스페이서
240: 보온층 215: 고임물 배출구
250: 습도계 260: 온도계

Claims (7)

  1.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의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패널본체;
    상기 패널본체의 바닥면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바닥면에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 및
    센싱부가 상기 단열공간에 드러나도록 상기 패널본체에 결합된 습도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바닥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본체의 바닥면에 상기 스페이서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보온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바닥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패널본체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바닥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본체에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고임물 배출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바닥패널.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바닥패널.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패널본체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널본체에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고임물 배출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바닥패널.
KR1020110128036A 2011-12-02 2011-12-02 냉난방용 바닥패널 KR101365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036A KR101365497B1 (ko) 2011-12-02 2011-12-02 냉난방용 바닥패널
PCT/KR2012/010365 WO2013081434A1 (ko) 2011-12-02 2012-12-03 냉난방용 바닥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036A KR101365497B1 (ko) 2011-12-02 2011-12-02 냉난방용 바닥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789A KR20130061789A (ko) 2013-06-12
KR101365497B1 true KR101365497B1 (ko) 2014-02-21

Family

ID=4853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036A KR101365497B1 (ko) 2011-12-02 2011-12-02 냉난방용 바닥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65497B1 (ko)
WO (1) WO20130814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313B1 (ko) 2021-05-13 2022-05-24 (주)신동서건업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8778B2 (en) * 2015-02-06 2019-07-23 Michael Gregory Theodore, Jr. Temperature controlled structure assembly
EP3112549A1 (fr) 2015-07-01 2017-01-04 KEOKI Company SA Panneau de construction destiné à la réalisation de parois chauffantes et/ou refroidissantes de bâtiments
KR20230041517A (ko) * 2021-09-17 2023-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체흐름용 플레이트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863A (ja) * 2000-06-13 2001-12-26 Seed Co Ltd 床暖房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2236A (ja) * 1996-02-16 1997-08-26 Inax Corp 床冷暖房構造体の構築方法
KR100712718B1 (ko) * 2005-03-29 2007-05-04 현대건설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바닥 패널 조립체
JP2007093027A (ja) * 2005-09-27 2007-04-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床暖房パネ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863A (ja) * 2000-06-13 2001-12-26 Seed Co Ltd 床暖房パネ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313B1 (ko) 2021-05-13 2022-05-24 (주)신동서건업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789A (ko) 2013-06-12
WO2013081434A1 (ko) 201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826B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101365497B1 (ko) 냉난방용 바닥패널
JP2009192185A (ja) 暖冷房換気装置
KR20140037701A (ko) 난방용 조립식 열전달패널
JP5760052B2 (ja) 給湯システム、および、タンク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1284739B1 (ko) 온수장판
KR100958414B1 (ko) 난방 구조
KR101296606B1 (ko)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JP4042971B2 (ja) 冷暖房空気オンドル構造
KR101836168B1 (ko) 공동주택 확장 발코니 단열 복합구조
WO2016173514A1 (zh) 地热采暖模块以及地热采暖系统
KR100664463B1 (ko) 온수 순환마루를 이용한 바닥의 시공방법
JP6541740B2 (ja) 床下空調装置
KR101513072B1 (ko) 난방 패널
KR200429084Y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WO2008091070A1 (en) Heating structure using thermal insulating panel
KR101041707B1 (ko) 난방용 방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15124B1 (ko) 난방용 조립식 패널
KR20130099388A (ko) 냉,난방이 가능한 온돌패널
KR102400313B1 (ko)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 패널
JP5118524B2 (ja) 建物の地下室
KR20170003751A (ko) 온수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온수패널 시공방법
KR20100058818A (ko) 조립식 온수판넬
KR200321072Y1 (ko)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및 이에 체결되는 실내 노출구 커버
KR20040003927A (ko) 벽 난방 판넬과 유리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