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590B1 - 셀프 레벨링이 가능한 바닥 패널 - Google Patents

셀프 레벨링이 가능한 바닥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590B1
KR101743590B1 KR1020160022389A KR20160022389A KR101743590B1 KR 101743590 B1 KR101743590 B1 KR 101743590B1 KR 1020160022389 A KR1020160022389 A KR 1020160022389A KR 20160022389 A KR20160022389 A KR 20160022389A KR 101743590 B1 KR101743590 B1 KR 101743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t
main body
floor panel
ba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기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2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an underlayer;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1Insulating layer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ing or the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의 하부에 그라우트를 충진하여 별도의 레벨링 작업 없이 바로 설치할 수 있는 바닥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닥 패널은, 일정 크기와 두께를 가진 판상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밀착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그라우트를 충진할 수 있는 일정한 공간을 제공하는 그라우트 백 및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그라우트 백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레벨링 그라우트를 투입할 수 있는 그라우트 투입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셀프 레벨링이 가능한 바닥 패널{FLOOR PANEL WITH SELF-LEVELING}
본 발명은 바닥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의 하부에 그라우트를 충진하여 별도의 레벨링 작업 없이 바로 설치할 수 있는 바닥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 단열층 시공은 습식으로서, 기포나 스티로폴 알갱이를 혼합한 형태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으로, 작업의 번거로움은 물론 양생기간 동안 온수 파이프 시공 등의 후속 작업이 불가능하여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단열층 타설 후 열관류율 등의 기준에 적합한 품질을 가지는 지에 대한 검사방법이 모호하여 시공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그 동안 실내 바닥 단열층의 건식화에 대한 노력은 필요에 의해 연구된 바는 있었으나, 슬라브 위를 지나는 각종 배관부분을 공사하기가 까다롭고, 제품화 시 습식과 비교하여 단가가 높아지는 등의 이유로 외면 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열관류율에만 치우쳐 단열재만으로 구성된 제품들은 온수파이프 고정 시 요구되는 재질의 강도가 부족하여 다른 추가적인 부속재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실내 리모델링 작업 시에 건식 바닥 패널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레벨링(leveling) 작업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레벨링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건축용 바닥 패널을 설치하게 되면, 생활하중에 의해 패널이 들뜨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떨어져 파손될 수도 있다. 일반적인 레벨링 작업은 습식방식으로 진행되므로 리모델링 시공작업 시에 주변에 방수처리가 필요하여 시공이 번거롭게 되며, 레벨링 작업 후에 양생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 때문에 건식 바닥 패널 설치가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바닥 시공 시에 별도의 레벨링 작업 없이 패널 설치 후에 그라우트 주입만으로도 간단하게 레벨링이 가능한 건축용 바닥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닥 패널은, 일정 크기와 두께를 가진 판상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밀착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그라우트를 충진할 수 있는 일정한 공간을 제공하는 그라우트 백 및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그라우트 백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레벨링 그라우트를 투입할 수 있는 그라우트 투입관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일측면에 인접하는 패널과 연결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여 결합되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단열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내부에 난방용 열선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내부에 난방용 배관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우트 백은 상기 본체에 접착제를 매개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우트 백은 그라우트가 완전히 충전되는 경우 상기 본체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변형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우트 백의 소재는 플라스틱 필름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패널을 설치하여 시공하는 경우 기존의 건식 패널 시공할 때 레벨링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그라우트 양생과 동시에 세부 마감을 할 수 있어 시공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라우트 백으로 그라우트가 감싸져 있기 때문에 그라우트와 바닥패널과의 마찰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일정한 강도가 발현될 때까지 그라우트를 양생시키면 가능하므로 양생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레벨링 작업에서 발생하는 추가적인 작업들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패널을 시공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바닥패널이 배열 완료된 상태, 도3b는 그라우트가 주입되는 상태, 도 3c는 그라우트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바닥 패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건물의 바닥 시공은 습식공정과 건식공정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습식공정은 슬라브 바닥 위에 단열판을 깔고, 그 위에 온수파이프를 배관 후 축열재를 덮은 후 그 위에 콘크리트 및 시멘트를 양생하여 축열성능이 양호하고 견고한 장점이 있는 반면, 공사기간이 장기화 되고, 시공 현장에서도 숙련된 기능공이 필요로 하며 온수관의 누수 시에는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층을 파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장에서 시공하기 때문에 인건비가 높고 바닥이 수평을 맞추는 데 많은 애로점이 있으며, 모르타르가 굳기까지 양생하는 시간이 길며 전반적인 비용의 증가가 발생하며, 보일러실의 설치가 불가피하고 각 방 별로 난방하기 위해서는 분배관을 설치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식공정이 도입되었으나, 건식공정으로 바닥에 패널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바닥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레벨링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레벨링 작업 없이 바닥 패널을 설치하게 되면, 패널이 밀착되지 않고 수평이 맞지 않아 생활하중에 의해 패널이 들뜨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레벨링 작업은 액상의 그라우트를 투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굳지 않은 모르타르를 바닥에 직접 시공하여 레벨링 작업을 하는 경우 양생하는데 3~14일이 소요되므로 바로 패널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리모델링 시공 시에는 레벨링 작업 시에 시공바닥 주변에 비닐 및 방수처리 필요하여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를 착안하고 습식의 레벨링 작업을 별도로 하지 않으면서 수평이 맞도록 바닥 패널을 설치할 수 있도록 바닥 패널의 구조를 개선하여 레벨링 작업에 필요한 그라우트를 바닥 패널을 설치한 후에 주입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 시공에 사용될 수 있는 패널로서, 건물의 바닥에 시공하기에 적절한 크기와 두께를 가진 판상 형태로 되어 있으며, 본체(110), 그라우트 백(120), 그라우트 투입관(13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바닥 시공 시에 바닥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두께를 기진 판상형태로 되어 있다. 본체(110)는 시공되는 바닥의 크기에 따라 다수를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상부면은 건물의 바닥부분으로 노출되거나 그 위에 마감재가 적층될 수 있으므로 매끄러운 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면의 경우 그라우트 백(120)이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그라우트 백(120)의 내부에 채워지는 그라우트가 굳어지면서 셀프 레벨링이 이루어지므로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0)에 사용되는 소재는 건축 바닥 패널로 사용될 수 있는 소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단열재를 이용하여 하나의 층으로 형성되도록 본체를 구성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층으로 스티로폼이나 우레탄폼 층을 중간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설치 후에 별도의 마감재를 시공할 필요없이 마감재를 상부면에 별도의 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110)에는 단열재뿐만 아니라 난방수단이 내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기로 가열이 가능한 열선이 설치될 수 있으며, 외부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난방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난방용 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측면에는 인접하는 다른 패널과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부(111) 및 수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단면이 삼각형 형태로 돌출부(111)와 수용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접한 패널과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면 돌출부(111)와 수용부(112)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며 여러층으로 서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10)의 하부면에는 그라우트 백(120)이 밀착되어 형성된다. 그라우트 백(120)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패널(100)을 수평이 맞도록 시공할 수 있도록 주입되는 그라우트가 충진될 수 있는 일정한 공간을 제공한다. 그라우트 백(120)은 본체(110)의 하부면과 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충진되는 그라우트는 셀프 레벨링에 사용될 수 있는 소재로서, 시멘트, 점토, 벤토나이트, 아스팔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시멘트와 모래를 물과 혼합한 모르타르나 시멘트를 물과 혼합한 시멘트풀이 바람직하다. 그라우트 백(120)의 크기는 상기 본체(110)의 하부면과 레벨링에 필요한 높이에 해당하는 공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라우트 백(120)의 크기가 필요이상으로 크게 되면 완전히 충전되더라도 접히는 부분 또는 빈공간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그라우트 백(120)의 크기가 작으면 완전히 충전 되더라도 레벨링에 필요한 만큼이 충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라우트 백(120)의 소재는 내부에 충전되는 그라우트에 의해 충분히 연신이 가능한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비닐 소재와 같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우팅 백(120)에 그라우트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를 관통하여 그라우트 투입관(130)이 형성된다. 그라우트 투입관(130)은 본체의 상부면에 그라우트 투입구가 형성되어 내부 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그라우트가 연결되는 그라우트 백(120)에 투입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라우트 투입관(130)은 본체(110)에서 차지 하는 부피가 가장 작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면은 투입되는 그라우트가 들러붙지 않도록 매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패널을 시공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바닥패널이 배열 완료된 상태, 도3b는 그라우트가 주입되는 상태, 도 3c는 그라우트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바닥 패널을 바닥면(210)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배열하여 위치시킨다. 시공하는 바닥면(210)의 면적에 따라 완전하게 일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벽면(220)과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추후에 마감재를 사용하여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그라우트 백(120)은 바닥면(210)에 접히지 않도록 펼쳐진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 패널이 바닥면(210)에 위치시킨 후에 그라우트 주입기(121)를 사용하여 그라우트 투입관(130)을 통하여 그라우트(122)를 그라우트 백(120)에 투입한다. 그라우트(122)가 투입됨에 따라 바닥 패널이 수평 위치가 조정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그라우트(122)가 모두 투입되고 나면 셀프 레벨링이 이루어지고 양생이 이루어지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패널을 설치하여 시공하는 경우 기존의 건식 패널 시공할 때 레벨링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그라우트 양생과 동시에 세부 마감을 할 수 있어 시공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라우트 백으로 그라우트가 감싸져 있기 때문에 그라우트와 바닥패널과의 마찰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일정한 강도가 발현될 때까지 그라우트를 양생시키면 가능하므로 양생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레벨링 작업에서 발생하는 추가적인 작업들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바닥 패널은 일정한 크기를 가지므로 시공되는 바닥면에 완전히 일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210)과 벽면(220) 사이의 일정한 공간에 걸레받이몰딩(230)을 사용하여 바닥을 시공하게 되면 바닥면에 맞춰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바닥 패널의 내부에는 난방을 위해 열선(111)이 배치될 수 있다. 배치되는 열선(111)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난방을 바닥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는 열선을 배치하고 있으나 이를 난방배관을 바꾸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패널의 상부면에는 별도의 마감재(300)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축물의 바닥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마감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리석이나 강화마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내부 공간의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마감재를 사용하여 바닥을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바닥 패널 110: 본체
120: 그라우트 백 130: 그라우트 투입관

Claims (8)

  1. 일정 크기와 두께를 가진 판상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밀착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그라우트를 충진할 수 있는 일정한 공간을 제공하는 그라우트 백; 및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그라우트 백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레벨링 그라우트를 투입할 수 있는 그라우트 투입관;을 포함하는 바닥 패널.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측면에 인접하는 패널과 연결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여 결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단열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패널.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난방용 열선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바닥 패널.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난방용 배관이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바닥 패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트 백은 상기 본체에 접착제를 매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바닥 패널.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트 백은 그라우트가 완전히 충전되는 경우 상기 본체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변형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바닥 패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트 백의 소재는 플라스틱 필름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바닥 배널.
KR1020160022389A 2016-02-25 2016-02-25 셀프 레벨링이 가능한 바닥 패널 KR101743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389A KR101743590B1 (ko) 2016-02-25 2016-02-25 셀프 레벨링이 가능한 바닥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389A KR101743590B1 (ko) 2016-02-25 2016-02-25 셀프 레벨링이 가능한 바닥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590B1 true KR101743590B1 (ko) 2017-06-05

Family

ID=59222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389A KR101743590B1 (ko) 2016-02-25 2016-02-25 셀프 레벨링이 가능한 바닥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5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472B1 (ko) * 2019-07-05 2019-11-21 씨엠테크 주식회사 시공이 간편한 바닥 강화마루의 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817A (ja) 1998-11-27 2000-06-13 Kumagai Gumi Co Ltd Frp型枠を用いる床下配線二重床の施工方法及び二重床形成用型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817A (ja) 1998-11-27 2000-06-13 Kumagai Gumi Co Ltd Frp型枠を用いる床下配線二重床の施工方法及び二重床形成用型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472B1 (ko) * 2019-07-05 2019-11-21 씨엠테크 주식회사 시공이 간편한 바닥 강화마루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8520B1 (en) High strength in-floor decoupling membrane
KR100901132B1 (ko) 조립식 온돌패널
CN109057412B (zh) 聚氨酯卫浴底盘及其生产方法
KR102313097B1 (ko) 온돌난방 바닥 및 그 시공방법
KR101743590B1 (ko) 셀프 레벨링이 가능한 바닥 패널
CN110778062A (zh) 一种地暖区域的饰面铺贴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40037701A (ko) 난방용 조립식 열전달패널
KR20150139265A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 온수난방시공방법
KR101419449B1 (ko)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764160B1 (ko) 조립식 온돌패널
KR101501252B1 (ko) 폐자재 및 인공 경량골재를 이용한 층간 방음층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58414B1 (ko) 난방 구조
KR102594640B1 (ko) 확장이 가능한 기초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JP5106835B2 (ja) 水路の補修方法および水路の補修用パネル
KR20230010189A (ko) 클래딩 접착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08356A (ko) 축열식 온수난방패널을 이용한 바닥온수난방시스템
KR100634983B1 (ko)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93548B1 (ko) 조립식 라이닝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 시공 방법
CN204754084U (zh) 可拼接的预制集成地暖板及其构成的地暖结构
KR100803516B1 (ko) 난방장치와 바닥패널 및 난방장치 시공방법
KR960000772B1 (ko) 조립식 단열판넬의 시공방법
KR101979062B1 (ko) 층상배관용 바닥판
KR20200070128A (ko) 타일 또는 벽돌을 구비한 건식 바닥 난방 시스템
CN218176490U (zh) 一种装配式地板
JP2641012B2 (ja) 床構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