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516B1 - 난방장치와 바닥패널 및 난방장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난방장치와 바닥패널 및 난방장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516B1
KR100803516B1 KR1020060113934A KR20060113934A KR100803516B1 KR 100803516 B1 KR100803516 B1 KR 100803516B1 KR 1020060113934 A KR1020060113934 A KR 1020060113934A KR 20060113934 A KR20060113934 A KR 20060113934A KR 100803516 B1 KR100803516 B1 KR 100803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t wire
pipe member
suppor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의돈
Original Assignee
임의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의돈 filed Critical 임의돈
Priority to KR1020060113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oor Finish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전열선을 이용한 난방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난방장치는 중공의 파이프부재, 상기 파이프부재 내부를 따라 삽입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하는 열선, 상기 열선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열선지지부와 상기 열선지지부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열선에서 발생된 열을 주변으로 전달하는 열전도부를 구비하여 상기 파이프부재 내부에 간격을 두고 삽입된 금속제 열선지지구, 상기 파이프부재 내부에 충전되어 상기 열선과 상기 열선지지구를 둘러싸고 상기 열선과 상기 열선지지구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분말형 열저장매체 및 상기 파이프부재의 개구를 막는 마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열저장매체에 균일하게 열이 전달되어 열저장 성능이 향상되고, 열선에서 발생된 열이 최외곽 주변까지 빨리 전달되어 난방효과가 빨리 발생될 수 있고, 외주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열선지지구를 이용함으로써 파이프부재 내부에 열선을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해주며,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시간과 인력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고, 열 보존시간이 길므로 전기에너지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보일러, 열선, 파이프, 난방, 열선지지구

Description

난방장치와 바닥패널 및 난방장치 시공방법{Heating apparatus, floor panel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에 따른 확대 횡단면도,
도 3은 도 1의 파이프부재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 4는 열선지지구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열선지지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앞에서 설명한 난방장치를 바닥패널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난방장치를 이용하여 일반 바닥을 시공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마루바닥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나타낸 바닥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초바닥 20 : 모르타르
30 : 장판 40 : 마루바닥
100 : 난방장치 110 : 파이프부재
120 : 열선지지구 122 : 열선지지부
124 : 열전도부 126, 126a : 원형부
130 : 열선 140 : 컨트롤러
150 : 분말형 열저장매체 200, 300 : 바닥패널
230 : 파이프지지부 231 : 돌기
240, 242, 310 : 부직포 320 : 성형물
본 발명은 난방장치와 바닥패널 및 난방장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열선을 이용한 난방장치와 이를 위한 바닥패널 및 이들을 이용한 난방장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 난방장치로는 온수보일러를 주로 사용한다. 온수보일러는 수밀을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시공이 어렵고 사용 중 파이프 내부에 차는 공기를 주기적으로 빼주어야 하고,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의 모터로 인해 소음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온수보일러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파이프 내부에 화강암과 규사, 황토 등을 혼합한 분말화된 열매체를 충전하고 열매체가 충전된 파이프 내부로 열선을 배치하여 난방호스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난방호스는 열선을 삽입한 상태에서 정위치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능하면 열선이 파이프의 중앙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열이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어 성능이 향상된다.
그리고 화강암, 규사, 황토 등의 분말은 열전도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원을 인가한 후에 난방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 종래에는 파이프를 난방하고자하는 바닥에 시공할 때 콘크리트를 친 기초 바닥에 가는 철근을 십자모양으로 설치하고, 와이어 등으로 파이프를 철근에 묶어서 고정한 상태에서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이를 양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철근 설치작업, 파이프를 철근에 묶는 작업 등의 작업이 까다롭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만들기 쉽고 열선을 전체적으로 파이프의 중앙부에 유지할 수 있어 성능이 뛰어난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방효과가 빨리 나타나는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보존 성능이 뛰어난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간과 인력이 적게 소요되고 시공이 매우 간편한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이 편리한 바닥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간과 인력이 적게 소요되고 시공이 매우 간편한 난방장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는 난방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파이프부재, 상기 파이프부재 내부를 따라 삽입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하는 열선, 상기 열선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열선지지부와 상기 열선지지부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열선에서 발생된 열을 주변으로 전달하는 열전도부를 구비하여 상기 파이프부재 내부에 간격을 두고 삽입된 금속제 열선지지구, 상기 파이프부재 내부에 충전되어 상기 열선과 상기 열선지지구를 둘러싸고 상기 열선과 상기 열선지지구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분말형 열저장매체 및 상기 파이프부재의 개구를 막는 마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열선지지구는 상기 열전도부의 가장자리에 원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부재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해주는 원형부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열선지지구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성이 뛰어난 재료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말형 열저장매체는 페그마타이트, 맥반석, 세라믹, 게르마늄, 화강암, 산화알미늄, 소석회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분말이 좋다.
페그마타이트로는 토르말린이 함유된 것이 좋다.
그 외에 열을 오래 저장할 수 있고 단가가 맞는 것이라면 다른 광물의 분말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분말형 열저장매체에 숯 분말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는 판상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부재가 설치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파이프지지부들을 갖는 파이프지지용 바닥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는 부직포이고, 상기 파이프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리와 상기 다리상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파이프 삽입부를 갖는 성형물인 것이 좋다.
상기 베이스부와 파이프지지부는 보온/방음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온/방음재는 스티로폼, 폴리우레탄폼, 고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시공방법은 난방장치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초바닥에 제1섬유재를 까는 단계, 상기 제1섬유재상에 판상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면에 형성되고 파이프부재가 설치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파이프지지부들을 갖는 파이프지지용 바닥패널을 까는 단계, 상기 난방장치의 파이프부재를 상기 파이프지지부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바닥패널 위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상기 파이프지지부와 상기 파이프부재를 덮는 단계 및 상기 모르타르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시공방법은 난방장치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초바닥에 제1섬유재를 까는 단계, 상기 제1섬유재상에 판상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면에 형성되고 파이프부재가 설치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파이프부재보다 높이가 높은 파이프지지부들을 갖는 파이프지지용 바닥패널을 까는 단계, 상기 난방장치의 파이프부재가 이웃하는 두 파이프지지부들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부재의 상단이 상기 파이프지지부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파이프부재를 상기 파이프지지부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지지부 위에 제2섬유재를 덮는 단계 및 상기 제2섬유재 위에 바닥재를 까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는 모르타르를 타설하지 않으므로 하중을 지지해주기 위해 바닥패널의 돌기 사이에 지지력을 가지는 삽입보조구를 삽입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상기 제1섬유재 또는 제2섬유재를 상기 바닥패널과 이웃하는 벽면과의 사이에 접어 넣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섬유재 또는 상기 제2섬유재는 부직포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패널은 판상의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파이프부재가 설치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파이프지지부들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파이프지지부는 상기 부직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리와 상기 다리상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파이프 삽입부를 갖는 성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에 따른 확대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파이프부재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100)는 중공의 파이프부재(110)를 구비한다. 이 파이프부재(110)로는 합성수지 등 유연성이 있는 부도체의 재료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부재(110) 내부에는 열선지지구(120)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열선지지구(120)들 간의 간격은 40㎝ ~ 60㎝ 정도로 하면 되지만,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열선지지구(120)는 열선(130)을 파이프부재(110)의 내부 중앙부근의 정위치에 지지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 열선지지구(120)는 그 중앙부에 열선(130)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열선지지부(122)를 구비한다. 이 열선지지부(122)에는 열전도부(124)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열전도부(124)는 열선(130)에서 발생된 열이 빨리 주변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횡단면에서 열십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열선지지구(120)는 열전도성이 큰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도부(124)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부(126)는 열선지지구(120)가 파이프부재(110)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또 열선(13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원형부(126)는 열전도부(124) 주변으로 전체둘레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경우에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원형부(126)의 외경은 파이프부재(110)의 내경보다 조금 작게 만들어 열선지지구(120)가 파이프부재(110)의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열선지지구(120)의 열선지지부(122)에는 열선(130)이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 다. 이 열선(130)은 전원이 인가되면 열을 발하는 부분으로, 여기에 인가되는 전원은 통상 컨트롤러(140)를 통해 제어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부재(110) 내부에는 분말형 열저장매체(150)가 충전되어 있다. 이 분말형 열저장매체(150)는 파이프부재(110) 내부에 충전된 상태에서 열선(130)과 열선지지구(120)를 둘러싸고, 열선(130)과 열선지지구(12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장시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말형 열저장매체(150)로는 페그마타이트 분말(바람직하기로는, 토르말린 분말이 포함된 것), 맥반석 분말, 세라믹 분말, 게르마늄 분말, 화강암분말, 규사분말, 산화알미늄분말, 소석회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경우에 따라 분말형 열저장매체(150)에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숯 분말을 열저장매체 중량의 1/10 이하의 범위에서 더 첨가하여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분말형 열저장매체(150)가 충전된 파이프부재(110)의 개구는 열에 의해 수축되는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만들어진 마개(112)로 밀봉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난방장치(100)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열선지지구(120)들의 각 열선지지부(122)로 열선(130)을 순서대로 삽입한 후 열선지지구(120)의 간격을 조정하여 직선으로 배치된 파이프부재(110)의 내부로 삽입한다. 그런 다음, 파이프부재(110)와 열선(130)을 세우고 분말형 열저장매체(150)를 파이프부재(110) 내부로 쏟아 넣어 파이프부재(110) 내부에 충전한다. 그런 다음 파이프부재(110)의 개구를 막고, 열선(130)을 컨트롤러(140)에 연 결하여 열선(1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도 4는 열선지지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지지구(120)는 그 중앙부에 열선(130)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 형태의 열선지지부(122)를 구비한다. 이 열선지지부(122)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열전도부(124)가 형성되어 있고, 열전도부(124)의 끝단을 따라 원형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원형부(126)는 파이프부재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열선(1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열전도부(124)보다 훨씬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열선지지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열선지지구(120a)의 원형부(126a)는 분리되어 각 열전도부(124)의 끝단 부근 일부에만 각각 형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열선지지부(122a)는 중앙 부근에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6은 앞에서 설명한 난방장치를 바닥패널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는 바닥패널(2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바닥패널(200)은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출원한 바 있는 것으로, 보온/방음재로만 이루어진 것이다. 보온/방음재는 보온성과 방음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재료로서, 스티로폼, 폴리우레탄폼, 재생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 스티로폼이 가장 좋지만, 2이상의 재료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이 바닥패널(200)은 판상의 베이스(210)와 베이스(210) 상면에 형성되고 파이프부재(110)가 필요한 경로를 따라 설치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잡 아주기 위한 파이프지지부(230)들을 구비한다. 이 파이프지지부(230)들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부분으로, 바닥패널(200) 표면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231)들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231)들에는 플라스틱이 삽입된 상태로 성형될 수 있고, 또 경우에 따라 각 돌기(231)들 사이에 보조구들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패널(200)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특허공개 되지 않은 상태임)에 대한 이중출원인 등록실용신안 0398407호의 등록실용신안공보를 참조하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이 바닥패널(200)은 앞에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난방장치(100)에 더 부가되어 함께 판매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닥패널(200)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하나의 부속품이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패널(200)의 파이프지지부(230)를 이루는 돌기(231)들 사이로 앞에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난방장치(100)의 파이프부재(110)가 필요한 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바닥패널(200) 저면에 배치된 부직포(240)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를 시공할 때 기초 바닥 상에 깔리는 것으로 스티로폼 등이 직접 기초바닥에 닿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하고, 하측으로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벽면과 접하는 부분에서, 부직포(240)는 그 가장자리가 바닥패널(200) 바깥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노출된 부분을 세워서 이웃하여 접하는 벽면(W)과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경우 바닥의 소음이 벽면(W)을 통해 다 른 층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부직포(240) 대신에 두꺼운 다른 섬유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를 시공하는 경우, 난방장치에 전원을 공급 후 5 ~ 10분 만에 바닥의 표면에 열이 전달되어 난방효과가 발생되며 한 번 가열된 후에는 2 ~ 3시간 정도까지 난방효과가 유지된다.
도 7은 도 6의 난방장치를 이용하여 일반 바닥을 시공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바닥(10) 상에 부직포(240)를 깔고, 그 위에 도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바닥패널(200)을 깔고, 파이프지지부(230)를 이루는 돌기(231)들 사이로 파이프부재(110)를 배치한 다음 그 위에 모르타르(20)를 타설하여 양생하고, 양생된 모르타르(20) 위에 장판(30)을 깔면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시공과정이 매우 간편하고 시간과 인력이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이 분야의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난방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마루바닥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마루바닥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바닥(10)에 부직포(240) 등의 섬유재를 깔고, 그 위에 바닥패널(200a)을 깐다. 이 경우의 바닥패널(200a)로는 돌기(231)에 플라스틱 등의 골격(202)이 들어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난방장치(100)의 파이프부재(110)를 필요한 경로를 따라 돌기(231)들 사이에 삽입하여 장착한다. 이때는 모르타르를 타설하지 않으므로 하중을 지지해주기 위해 바닥패널의 돌기 사이에 삽입보조구를 삽입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위에 부직포(242) 등의 섬유재를 깔고, 부직포(242) 등의 섬유재 위에 마루바닥재(40)를 깔면 된다. 나머지 사항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나타낸 바닥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닥패널(300)은 판상의 부직포(310)에 다리(322)와 파이프 삽입부(324)를 갖는 성형물(320)을 간격을 두고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성형물(320)의 다리(322)는 부직포(310)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고, 이 다리(310)의 상부에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난방장치(100)의 파이프부재(1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파이프 삽입부(3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성형물(320)로는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만든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 가벼운 금속으로 만든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닥의 시공과정은, 바닥패널(310)을 기초바닥(10)에 깔고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난방장치(100)의 파이프부재(110)를 원하는 경로를 따라 파이프 삽입부(324)에 삽입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그 위에 모르타르(20)를 타설하여 양생하고, 모르타르(20)의 양생 후 모르타르(20) 상면에 장판(30)을 깔면 된다.
이렇게 하는 경우 바닥에 난방장치를 시공하는 과정이 매우 간편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부재 내부에 열선이 중앙 부근에 유지될 수 있어 분말형태의 열저장매체에 균일하게 열이 전달되어 열저장성능이 향상된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제 열선지지구는 열선에서 발생된 열을 최외곽 주변까지 빨리 전달하여 난방효과가 빨리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외주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열선지지구를 이용함으로써 파이프부재 내부에 열선을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난방장치의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시간과 인력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고, 열 보존시간이 길므로 전기에너지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
부직포 등의 사용으로 바닥에서 발생된 소음이 다른 층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4)

  1. 난방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파이프부재;
    상기 파이프부재 내부를 따라 삽입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하는 열선;
    상기 열선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열선지지부, 상기 열선지지부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열선에서 발생된 열을 주변으로 전달하는 열전도부를 구비하여 상기 파이프부재 내부에 간격을 두고 삽입된 금속제 열선지지구;
    상기 파이프부재 내부에 충전되어 상기 열선과 상기 열선지지구를 둘러싸고 상기 열선과 상기 열선지지구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분말형 열저장매체; 및
    상기 파이프부재의 개구를 막는 마개를 포함하는 난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지지구는 상기 열전도부의 가장자리에 원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부재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해주는 원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지지구는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이 큰 금속재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형 열저장매체는 페그마타이트, 맥반석, 세라믹, 게르마늄, 화강암, 규사, 산화알미늄, 소석회 중 어느 하나의 분말 또는 둘 이상의 분말을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형 열저장매체에 상기 열저장매체 중량의 1/10이하로 숯 분말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판상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부재가 설치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파이프지지부들을 갖는 파이프지지용 바닥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부직포이고, 상기 파이프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리와 상기 다리상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파이프 삽입부를 갖는 성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파이프지지부는 보온/방음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온/방음재는 스티로폼, 폴리우레탄폼, 고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난방장치.
  9. 난방장치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초바닥에 제1섬유재를 까는 단계;
    상기 제1섬유재상에 판상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면에 형성되고 파이프부재가 설치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파이프지지부들을 갖는 파이프지지용 바닥패널을 까는 단계;
    상기 청구항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난방장치의 파이프부재를 상기 파이프지지부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바닥패널 위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상기 파이프지지부와 상기 파이프부재를 덮는 단계; 및
    상기 모르타르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시공방법.
  10. 난방장치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초바닥에 제1섬유재를 까는 단계;
    상기 제1섬유재상에 판상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면에 형성되고 파이프부재가 설치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파이프부재보다 높이가 높은 파이프지지부들을 갖는 파이프지지용 바닥패널을 까는 단계;
    상기 청구항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난방장치의 파이프부재가 이웃하는 두 파이프지지부들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부재의 상단이 상기 파이프지지부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파이프부재를 상기 파이프지지부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지지부 위에 제2섬유재를 덮는 단계; 및
    상기 제2섬유재 위에 바닥재를 까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시공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섬유재 또는 제2섬유재를 상기 바닥패널과 이웃하는 벽면 사이에 접어 넣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시공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섬유재 또는 상기 제2섬유재는 부직포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시공방법.
  13. 판상의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파이프부재가 설치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파이프지지부들을 갖는 파이프지지용 바닥패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지지부는 상기 부직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리와 상기 다리상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파이프 삽입부를 갖는 성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지지용 바닥패널.
KR1020060113934A 2006-11-17 2006-11-17 난방장치와 바닥패널 및 난방장치 시공방법 KR100803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934A KR100803516B1 (ko) 2006-11-17 2006-11-17 난방장치와 바닥패널 및 난방장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934A KR100803516B1 (ko) 2006-11-17 2006-11-17 난방장치와 바닥패널 및 난방장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516B1 true KR100803516B1 (ko) 2008-02-14

Family

ID=3934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934A KR100803516B1 (ko) 2006-11-17 2006-11-17 난방장치와 바닥패널 및 난방장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5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3281A (zh) * 2009-05-19 2010-11-24 山东中能新能源研究院 储热式电地暖炉
KR101552674B1 (ko) 2011-05-12 2015-09-14 쓰리이엠주식회사 바닥 난방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006Y1 (ko) 2001-03-26 2001-10-10 김도애 난방용 축열물질 및 이를 이용한 전기난방장치
KR200267523Y1 (ko) 2001-11-07 2002-03-12 조철현 전기난방 온수관의 밀폐장치
KR200310736Y1 (ko) 2003-01-13 2003-04-16 김형곤 다공질의 난연성 압축섬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매트
US6944394B2 (en) 2002-01-22 2005-09-13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Rapid response electric heat exchanger
KR200398407Y1 (ko) 2005-07-07 2005-10-12 임의돈 바닥패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006Y1 (ko) 2001-03-26 2001-10-10 김도애 난방용 축열물질 및 이를 이용한 전기난방장치
KR200267523Y1 (ko) 2001-11-07 2002-03-12 조철현 전기난방 온수관의 밀폐장치
US6944394B2 (en) 2002-01-22 2005-09-13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Rapid response electric heat exchanger
KR200310736Y1 (ko) 2003-01-13 2003-04-16 김형곤 다공질의 난연성 압축섬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매트
KR200398407Y1 (ko) 2005-07-07 2005-10-12 임의돈 바닥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3281A (zh) * 2009-05-19 2010-11-24 山东中能新能源研究院 储热式电地暖炉
KR101552674B1 (ko) 2011-05-12 2015-09-14 쓰리이엠주식회사 바닥 난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3516B1 (ko) 난방장치와 바닥패널 및 난방장치 시공방법
KR100361582B1 (ko) 방수단열용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KR10069178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바닥패널
KR101462969B1 (ko) 층간 충격소음 저감을 위한 중공 이중 뜬 바닥 구조
KR101864428B1 (ko)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64160B1 (ko) 조립식 온돌패널
KR200248810Y1 (ko) 건식 온돌판
KR200437324Y1 (ko) 발포성형의 단열바닥판을 이용한 이중바닥구조
KR20100101408A (ko) 발열거푸집, 보온매트 및 한중 콘크리트 양생공법
KR101243596B1 (ko)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벽체구조
KR20160110720A (ko) 와이어메쉬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온돌구조
KR100710025B1 (ko) 중공형 층간차음 온돌블록
CN207211611U (zh) 地暖地面墙体结构
KR20150003758U (ko) 온돌바닥재
KR102152327B1 (ko) 친환경 바닥재를 이용한 층간소음 방지구조
KR200481665Y1 (ko) 관통 슬리브용 받침부재
KR101367948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배수트랩 시공방법
KR200311266Y1 (ko) 단열재용 스페이서
JP3933272B2 (ja) 床暖房構造
KR20080113578A (ko) 온돌마루
KR20090132707A (ko) 온수 온돌용 방열관 배관판넬
KR200481666Y1 (ko) 관통슬리브
KR100210350B1 (ko) 온수 온돌의 시공방법
GB2609437A (en) A mouldable, heatable item
GB2616394A (en) A mouldable, heatable i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