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542U -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 - Google Patents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542U
KR19990003542U KR2019970017140U KR19970017140U KR19990003542U KR 19990003542 U KR19990003542 U KR 19990003542U KR 2019970017140 U KR2019970017140 U KR 2019970017140U KR 19970017140 U KR19970017140 U KR 19970017140U KR 19990003542 U KR19990003542 U KR 199900035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
junction
office equipment
button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7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542U/ko
Publication of KR199900035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542U/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사무용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 패널에 장착되어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하는데 사용하는 키이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의 목적은 키이버튼의 미끄럼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접점부와의 접점불량을 방지하고 키이버튼의 사용감도를 높이는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키이버튼 하단부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접합부 상단부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어, 키이버튼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사무용기기에 이용된다.

Description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
본 고안은 사무용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 패널에 장착되어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하는데 사용하는 키이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무용기기의 단말기 패널 상단부에는 다수개의 숫자키이버튼과 다수개의 기능키이버튼들이 장착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키이버튼을 누름에 따라 내부 회로를 거쳐 입력된 모드로 동작이 되고, 액정화면상에 동작상태가 디스플레이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는 하단에 걸림턱(12)이 형성된 키이버튼(10)과, 상기 키이버튼의 하측에 설치된 접합부(14)와, 상기 접합부의 양측면에서 연장되어 접합부를 탄성지지하는 스커트(16)와, 상기 접합부의 하단에 부착된 도전성 고무(18)와, 상기 접합부가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2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위에 부착되고 상기 도전성 고무의 바로 밑에 위치한 접점부(22)와, 상기 접점부에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접점(24)들로 구성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키이버튼장치는 단말기 패널(30)에 형성된 버튼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키이버튼 접점장치의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키이버튼(10)의 상단을 누르면, 상기 키이버튼의 하단이 접합부(14)를 압박하고, 상기 접합부의 하부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접합부를 탄성지지하는 스커트(16)가 아래로 구부러진다. 이어, 상기 접합부 밑면에 접착 고정된 도전성 고무(18)가 인쇄회로기판 상의 접점부(22)와 접촉하고, 상기 도전성 고무(18)를 통해 전기가 흐름으로써 서로 단락되어 있던 접점부의 접점(24)들이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20)의 회로가 작동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는 상기 접합부와 키이버튼 사이에 아무런 결합수단이 없고, 단순히 접합부 위에 키이버튼이 얹어진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키이버튼의 하단면과 접합부의 상단면이 서로 밀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키이버튼 상단의 중앙이 아닌 가장자리를 누르게 되면, 상기 면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여 접촉불량을 일으키거나, 눌러진 키이버튼이 단말기 패널에 걸려 버튼구멍에서 나오지 않는 스티킹(Sticking)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키이버튼 상단의 중앙이 아닌 가장자리를 누르게 되면, 상기 스커트 중 어느 한쪽에만 힘이 치우쳐 결과적으로 키이버튼의 작동감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키이버튼의 미끄럼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접점부와의 접점불량을 방지하는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키이버튼의 상단 어느 부분을 누르더라도 동일한 힘을 받게 하여 사용자의 작동감도를 높히는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키이버튼의 미끄럼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스티킹(Sticking)현상을 방지하는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이버튼장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결합돌기를 형성한 키이버튼과, 상기 키이버튼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단부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형성한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양측면에서 연장되어 접합부를 탄성지지하는 스커트와, 상기 접합부의 하단에 부착된 도전성 고무와, 상기 접합부가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위에 부착되고 상기 도전성 고무의 바로 밑에 위치한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에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접점들로 구성되고, 상기 키이버튼의 결합돌기가 접합부의 결합홈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키이버튼과 접합부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키이버튼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이버튼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이버튼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키이버튼14 : 접합부
16 : 스커트18 : 도전성 고무
22 : 접점부24: 접점
40 : 결합돌기50 : 결합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키이버튼과 접합부 사이에 결합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키이버튼과 접합부 사이의 미끄럼을 방지하여 접점불량 및 스티킹현상을 막고 키이버튼의 작동감도를 높이는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이 형성되고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결합돌기를 형성한 키이버튼과, 상기 키이버튼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단부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형성한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양측면에서 연장되어 접합부를 탄성지지하는 스커트와, 상기 접합부의 하단에 부착된 도전성 고무와, 상기 접합부가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위에 부착되고 상기 도전성 고무의 바로 밑에 위치한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에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접점들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가 결합된 상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이버튼(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40)가 접합부(14)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키이버튼 상단의 중앙이 아닌 가장자리를 누르더라도, 상기 키이버튼과 접합부는 서로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키이버튼이 단말기의 버튼구멍에서 빠져 나오지 않는 스티킹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키이버튼을 누른 힘이 키이버튼의 결합돌기가 위치한 중앙부에 집중되고, 중앙에 집중된 힘은 상기 접합부의 양쪽 스커트에 골고루 분배됨으로써 사용자의 키이버튼 사용감도를 높임은 물론 접합부 하단의 도전성 고무와 접점부의 접점 간의 접점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는 접합부의 도전성 고무와 접접부의 접점 간의 접점불량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키이버튼 사용감도를 높이며, 키이버튼의 스티킹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이버튼장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결합돌기를 형성한 키이버튼과, 상기 키이버튼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단부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형성한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양측면에서 연장되어 접합부를 탄성지지하는 스커트와, 상기 접합부의 하단에 부착된 도전성 고무와, 상기 접합부가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위에 부착되고 상기 도전성 고무의 바로 밑에 위치한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에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접점들로 구성되고, 상기 키이버튼의 결합돌기가 접합부의 결합홈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키이버튼과 접합부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
KR2019970017140U 1997-06-30 1997-06-30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 KR199900035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140U KR19990003542U (ko) 1997-06-30 1997-06-30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140U KR19990003542U (ko) 1997-06-30 1997-06-30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542U true KR19990003542U (ko) 1999-01-25

Family

ID=69686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140U KR19990003542U (ko) 1997-06-30 1997-06-30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54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642B1 (ko) * 2009-11-20 2013-0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642B1 (ko) * 2009-11-20 2013-0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인터럽터의 전극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0101303D0 (sv) Circuit board connector
KR19980066587U (ko) 스위치
US5194703A (en) Push-button arrangement
KR19990003542U (ko)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
KR20010051179A (ko) 버튼 스위치
DE50104604D1 (de) Steckverbindung
KR200161897Y1 (ko) 사무용기기의 일체형 키이버튼 장치
KR930008163Y1 (ko) 키버튼 간의 간섭현상 방지 장치
KR19980067404U (ko)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 접점장치
CN210429609U (zh) 一体式摇摆钮结构
KR0123690Y1 (ko) 가전제품의 버튼장치
KR20029537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
KR100520194B1 (ko) 키패드용 키버튼구조
KR200177530Y1 (ko)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JPH07245038A (ja) シーソーボタン装置
KR200161360Y1 (ko) 조립이 용이한 전자제품용 파워버튼
KR920002171Y1 (ko)
KR880001060Y1 (ko) 직류 및 교류 겸용 스위치
KR0135731B1 (ko) 전자기기의 키 버튼
KR200166971Y1 (ko)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
KR910002778Y1 (ko) 전화기
KR200275846Y1 (ko) 방수 키보드
KR0115433Y1 (ko)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
KR900004309Y1 (ko) 전자기기의 푸쉬 버튼
KR890003935Y1 (ko) 스위치 버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