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404U -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 접점장치 - Google Patents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 접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404U
KR19980067404U KR2019970011971U KR19970011971U KR19980067404U KR 19980067404 U KR19980067404 U KR 19980067404U KR 2019970011971 U KR2019970011971 U KR 2019970011971U KR 19970011971 U KR19970011971 U KR 19970011971U KR 19980067404 U KR19980067404 U KR 199800674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
contact
circuit board
office equipment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1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7404U/ko
Publication of KR199800674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404U/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사무용기기에 있어서, 단말기 패널상에 장착된 키이버튼을 회로와 연결시키기 위한 키이버튼 접점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의 목적은 접촉불량 및 사용중 구성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키이버튼 접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접합부의 하부에 일체화된 접점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접점돌기 밑면을 도전성 잉크로 표면처리하여, 상기 키이버튼을 누르면 상기 접점돌기가 인쇄회로기판 상의 접점부와 접촉하여 회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을 작동하는데 이용된다.

Description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 접점장치
본 고안은 사무용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 패널에 장착되어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하는데 사용하는 키이버튼의 접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무용기기의 단말기 패널 상단부에는 다수개의 숫자키이버튼과 다수개의 기능키이버튼들이 장착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키이버튼을 누름에 따라 내부 회로를 거쳐 입력된 모드로 동작이 되고, 액정화면상에 동작상태가 디스플레이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고무(Conductive-Rubber)를 접합부(Rubber-Contact)에 셋팅하기 위해 고무삽입판(10)이 이용된다. 상기 고무삽입판(10)은 도전성 고무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밑면에 다수개의 고무삽입구멍(11)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부(20)에는 양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스커트(Skirt,22)가 접합부를 탄성지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20) 위에 상기 고무삽입판(10)을 올린 후, 조립자가 도전성 고무(21)를 고무삽입구멍(11)에 삽입하면, 상기 도전성 고무(21)는 접착제가 묻어 있는 접점부(20)에 접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접합부와 도전성 고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40) 위에 장착되고, 상기 접합부(20) 상측에는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24)이 형성된 키이버튼(23)이 설치되며, 상기 키이버튼(23)이 돌출되게 구멍이 형성된 단말기 패널(30)이 키이버튼 위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 위에는 접점부(41)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접점부에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접점(42)들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키이버튼 접점장치의 동작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가락으로 키이버튼(23)을 누르면, 상기 키이버튼이 접합부(20)를 압박하고, 상기 접합부의 하부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접합부를 탄성지지하는 스커트(22)가 아래로 구부러진다. 이어, 상기 접합부 밑면에 접착 고정된 도전성 고무(21)가 인쇄회로기판(40) 상의 접점부(41)와 접촉하고, 상기 도전성 고무(21)가 서로 단락되어 있던 접점부의 접점(42)들을 연결시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가 작동한다.
그러나, 위와 같이 고무삽입판을 이용한 도전성 고무의 부착방법을 사용할 때, 조립자가 상기 고무삽입판의 구멍을 접점부의 고무부착위치 위에 정확하게 세팅시키지 못할 경우, 상기 도전성 고무가 접합부 표면에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부착되고, 이러한 접합부가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될 경우 인쇄회로기판 상의 접점부와 상기 접합부의 도전성 고무가 정확히 접촉되지 않아 접촉불량을 일으킨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별도로 접합부에 도전성 고무를 부착시켜 사용함으로써 키이버튼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도전성 고무와 접합부 간의 접착력 저하로 키이버튼 의 사용중 도전성 고무가 접합부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도전성 고무를 접합부에 접착 고정시키는 과정을 조립자가 고무삽입판을 이용하여 수작업해야 하므로써 조립공수가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접촉불량 및 사용중 접점부분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키이버튼 접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공수를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키이버튼 접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단말기 패널 밖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키이버튼과, 상기 키이버튼의 하측에 설치된 형성된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하부 양측에서 연장되어 접합부를 탄성지지하는 스커트와, 상기 접합부의 하측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부착되고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접점들이 형성된 접점부로 구성된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 접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하부에 일체화된 접점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접점돌기 밑면을 도전성 잉크로 표면처리하여, 상기 키이버튼을 누르면 상기 접점돌기가 인쇄회로기판 상의 접점부에 형성된 접접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삽입판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삽입판을 이용해 도전성 고무를 접점부에 접착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 접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 접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이버튼이 눌러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0 : 접합부 22 : 스커트(Skirt)
23 : 키이버튼(Key-Button) 41 : 접점부
60 : 접점돌기 61 : 도전성 잉크
71 : 탄소인쇄처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사무용기기에 있어서, 단말기 패널상에 장착된 키이버튼을 회로와 연결시키기 위한 키이버튼 접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이버튼 접점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패널(30) 밖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키이버튼(23)과, 상기 키이버튼의 하측에 설치된 형성된 접합부(20)와, 상기 접합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단부의 밑면이 도전성 잉크(CONDUCTIVE PAINT, 61)로 표면처리된 접점돌기(60)와, 상기 접합부의 하부 양측에서 연장되어 접합부를 탄성지지하는 스커트(22)와, 상기 접합부의 하측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40)과, 상기 접합부의 접점돌기 밑에 설치되고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접점(42)들이 설치된 접점부(41)로 구성된다. 상기 도전성 잉크(61)는 미국특허출원번호 07/831,553 인 Paul E. Thoma 의 명세서 등 다수의 문헌에 공지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 접점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키이버튼을 누르면, 상기 키이버튼이 아래에 위치한 접합부를 압박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20)를 탄성지지하고 있던 스커트(Skirt, 22)가 휘게 되고, 상기 접점돌기(60)가 인쇄회로기판(40) 상의 접점부(41)와 접촉한다. 이때, 밑면이 도전성 잉크(61)로 표면처리된 접점돌기(60)가 접점부의 접점(4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즉, 단락되어 있던 접점부의 접점들이 전기가 통하는 도전성 잉크에 의해 연결된다. 이어서, 이미 키이버튼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기능에 의해 회로가 작동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누르고 있던 키이버튼에서 손을 떼면, 상기 스커트(22)의 복원력에 의해 접합부(20)는 상승하고, 상기 접합부의 접점돌기(60)가 인쇄회로기판(40) 상의 접점부(41)와 단락되고, 이어 상기 접합부 상측에 위치한 키이버튼이 원상태대로 단말기의 패널 상에 돌출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이버튼 접점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패널(30) 밖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키이버튼(23)과, 상기 키이버튼의 하측에 설치된 형성된 접합부(20)와, 상기 접합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단부의 밑면이 탄소인쇄처리(CARBON BLACK PRINTING, 71)된 접점돌기(60)와, 상기 접합부의 하부 양측에서 연장되어 접합부를 탄성지지하는 스커트(22)와, 상기 접합부의 하측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40)과, 상기 접합부의 접점돌기 밑에 설치되고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접점(42)들이 설치된 접점부(41)로 구성된다. 상기한 탄소인쇄처리(71)는 미국특허번호 3,446,770 의 ` ZINC-RICH COATINGS CONTAINING CONDUCTIVE CARBON BLACK ` 이나 미국특허번호 5,372,750 의 ` ELECTRICAL CONDUCTIVE SCREEN PRINTABLE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SKING THE SAME ` 등 다수의 문헌에 공지된 바 있다.
사용자가 상기 키이버튼을 누르면, 상기 키이버튼이 아래에 위치한 접합부를 압박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20)를 탄성지지하고 있던 스커트(Skirt,22)가 휘게 되고, 상기 접점돌기(60)가 인쇄회로기판(40) 상의 접점부(41)와 접촉한다. 이때, 밑면이 탄소인쇄처리된 접점돌기(60)가 접점부의 접점(4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즉, 단락되어 있던 접점부의 접점들이 전기가 통하는 탄소인쇄처리면에 의해 연결된다. 이어서, 이미 키이버튼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기능에 의해 회로가 작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 접점장치는 접합부에 접점돌기를 일체화시켜 성형하고, 상기 접점돌기의 밑면에 도전이 가능하도록 표면처리함으로써 조립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키이버튼을 사용할 때 접합부의 접점돌기가 이탈할 염려가 없으며, 조립공정에서 야기되는 접점 부위의 접촉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단말기 패널 밖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키이버튼과, 상기 키이버튼의 하측에 설치된 형성된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하부 양측에서 연장되어 접합부를 탄성지지하는 스커트와, 상기 접합부의 하측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부착되고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접점들이 형성된 접점부로 구성된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 접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하부에 일체화된 접점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접점돌기 밑면을 도전성 잉크로 표면처리하여, 상기 키이버튼을 누르면 상기 접점돌기가 인쇄회로기판 상의 접점부에 형성된 접접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
  2. 단말기 패널 밖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키이버튼과, 상기 키이버튼의 하측에 설치된 형성된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하부 양측에서 연장되어 접합부를 탄성지지하는 스커트와, 상기 접합부의 하측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부착되고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접점들이 형성된 접점부로 구성된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 접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하부에 일체화된 접점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접점돌기 밑면을 탄소인쇄처리하여, 상기 키이버튼을 누르면 상기 접점돌기가 인쇄회로기판 상의 접점부에 형성된 접접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
KR2019970011971U 1997-05-27 1997-05-27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 접점장치 KR199800674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971U KR19980067404U (ko) 1997-05-27 1997-05-27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 접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971U KR19980067404U (ko) 1997-05-27 1997-05-27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 접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404U true KR19980067404U (ko) 1998-12-05

Family

ID=6967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971U KR19980067404U (ko) 1997-05-27 1997-05-27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 접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740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502B1 (ko) * 2004-05-18 2011-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격 흡수형 버튼장치
KR101043694B1 (ko) * 2004-05-18 2011-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격 흡수형 버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502B1 (ko) * 2004-05-18 2011-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격 흡수형 버튼장치
KR101043694B1 (ko) * 2004-05-18 2011-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격 흡수형 버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4067B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inted circuit board and flexible circuit board
US4658104A (en) Printed wiring board
KR19980067404U (ko)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 접점장치
US4826453A (en) Backplane wiring for electrical assemblies
EP1662530A1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operation button
CN208027946U (zh) 碳膜按键、pcb板及电子装置
KR200161897Y1 (ko) 사무용기기의 일체형 키이버튼 장치
JPH08102342A (ja) 回路基板と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との接続構造
JPH0715105Y2 (ja) 分離可能な電子機器
KR19990003542U (ko) 사무용기기의 키이버튼장치
KR100520194B1 (ko) 키패드용 키버튼구조
JP3768587B2 (ja) 機構部品
JP4275197B2 (ja) ソケット
KR200333728Y1 (ko) 무선전화기용 안테나의 접속구조
JPH087435Y2 (ja) 電子鍵盤楽器のスイッチ取付構造
JPS6339993Y2 (ko)
KR850002820Y1 (ko) 컴퓨터용 프린터
JPH0720864Y2 (ja) 挟持型コネクタ
JPH0569987U (ja) コネクタホルダ
JPH11153782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554963Y2 (ja) コネクタ
JP2000299152A (ja)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基板用コネクタ
KR100700696B1 (ko) 버튼과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
JPH10269001A (ja) 電気・電子機器の操作部
KR200161360Y1 (ko) 조립이 용이한 전자제품용 파워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