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971Y1 -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971Y1
KR200166971Y1 KR2019970015318U KR19970015318U KR200166971Y1 KR 200166971 Y1 KR200166971 Y1 KR 200166971Y1 KR 2019970015318 U KR2019970015318 U KR 2019970015318U KR 19970015318 U KR19970015318 U KR 19970015318U KR 200166971 Y1 KR200166971 Y1 KR 200166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ar
connection bar
button device
tele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828U (ko
Inventor
정재영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15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97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18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8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9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6Radio; TV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요지는, 프론트 마스크(101)의 전면에 형성된 버튼장착홈(102)에 삽착되는 버튼(103)의 중앙에 돌설되고 스프링(109)이 탄설되는 작동바아(104)의 양측에는 고정훅크(105)가 설치되며, 상기 버튼장착홈(102)의 후방으로 결합된 고정리브(106)의 중앙 및 모서리에는 관통홈(107) 및 고정턱(108)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작동바아(104)의 중앙 양측에 형성된 요홈(111)에는 제 1 연결바아(110)의 고정훅크(112)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작동바아(104)의 상단부 및 제 1 연결바아(110)의 하단부에는 서로 끼워지는 요철부(120) (120')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따라서, 텔레비젼의 기종에 따라 버튼장치의 작동거리를 용이하게 조정하게 되어 텔레비젼 버튼장치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다양한 텔레비젼의 기종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 부품비용이 절감되는 한편, 이로 인하여 전체 생산성이 향상되고, 간단한 구조로써 제작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
본 고안은 텔레비젼에 있어서, 텔레비젼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누름작동되는 버튼장치의 작동거리가 텔레비젼의 기종에 호환될 수 있는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프론트 마스크의 전면에 형성된 버튼장착홈에 삽착되는 버튼의 중앙에 돌설되고 스프링이 탄설되는 작동바아의 양측에는 고정훅크가 설치되며, 상기 버튼장착홈의 후방으로 결합된 고징리브의 중앙 및 모서리에는 관통홈 및 고정턱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작동바아의 중앙 양측에 형성된 요홈에는 제 1연결바아의 고정훅크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작동바아의 상단부 및 제 1연결바아의 하단부에는 서로 끼워지는 요철부가 일체로 형성토록 된다.
이에따라, 텔레비젼의 기종에 따라 버튼장치의 작동거리를 용이하게 조정하게 되어 텔레비젼의 버튼장치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다양한 텔레비젼의 기종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 부품비용이 절감되는 한편, 이로 인하여 전체 생산성이 향상되고, 간단한 구조로써 제작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종래의 텔레비젼 버튼장치에 있어서는,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마스크(2)의 전면에 형성된 버튼장착홈(3)에는 버튼(4)이 일체로 삽입되고, 상기 버튼(4)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작동바아(5)의 양단부에는 고정훅크(6)가 각각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버튼장착홈(3)의 후방으로 프론트 마스크(2)에 일체로 결합된 고정리브(7)의 중앙 및 모서리에는 관통홈(8) 및 고정턱(9)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작동바아(5)에는 상기 버튼(4)의 전후작동을 가능토록 스프링(10)이 탄설되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조로 된 종래의 텔레비젼 버튼장치(1)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상기 버튼(4)을 누르면, 상기 버튼(4)의 작동바아(5)는 스프링(10)의 탄성으로 전후 작동되며, 상기 버튼(4)의 양측 고정훅크(6)도 고정턱(9)의 후방으로 일체로 전후 작동되고, 상기 전후 작동되는 작동바아(5)가 내부 인쇄화로기판(미도시)상에 설치된 텍트스위치(미도시)와 접촉하여 이를 작동시키고, 이때 텔레비젼은 사용자의 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2도는 버튼장치(10)의 작동바아(5)의 작동거리와 텔레비젼의 기종에 따른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텔레비젼의 기종에 따라 브라운관이 내설되는 프론트 마스크(2) (2')의 곡률(R) (R')이 다르게 된다. 즉, 텔레비젼의 기종이 클수록 텔레비젼 프론트 마스크(2')의 곡률(R')은 작게 되며, 이는 텔레비젼의 기종이 클수록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11')이 프론트 마스크(2')의 내측으로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큰 기종의 기판(11')과 작은 기종의 기판(11)간에는 거리(L)차이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버튼(4) 작동바아(5)도 기종에 따라 그 길이가 변경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텔레비젼 파워버튼에 있어서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장치(1) 작동바아(5)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 텔레비젼의 기종에 따라 별도의 버튼장치를 설치하게 됨으로 인하여, 텔레비젼의 조립작업이 어렵게 되고, 부품비용이 상승되며, 이에따라 전체 생산성이 저하되는 한편, 작업자의 오작업시 버튼장치의 작동불량으로 제품 신뢰성이 저하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텔레비젼의 기종에 따라 버튼장치의 작동거리를 용이하게 조정하게 되어 텔레비젼 버튼장치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다양한 텔레비젼의 기종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 부품비용이 절감되는 한편, 이로 인하여 전체 생산성이 향상되고, 간단한 구조로써 제작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인 수단은, 프론트 마스크의 전면에 형성된 버튼장착홈에 삽입되는 버튼의 중앙 및 양단부에는 작동바아와 고정훅크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버튼장착홈의 후방으로 일체로 결합된 고정리브의 중앙 및 모서리에는 관통홈 및 고정턱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작동바아의 외측에는 버튼 전후작동을 가능토록 스프링이 탄설되는 텔레비젼의 버튼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아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요홈에는 제 1연결바아의 하부 양측에 일체로 결합된 고정훅크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작동바아의 상단부 및 제 1 연결바아의 하단부에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토록 요철부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연결바아의 전방에는 제 2연결바아가 연설되는 구조로 이루어 진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제1도의 (a)는 종래의 텔레비젼 버튼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b)는 종래 텔레비젼 버튼장치의 작동바아를 도시한 요부도
제2도는 일반적인 텔레비젼 버튼장치의 작동바아와 기종에 따른 관계를 설명하기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인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버튼장치 101 : 프론트 마스크
103 : 버튼 104 : 작동바아
105, 112, 131 : 고정훅크 106 : 고정리브
109 : 스프링 110 : 제 1연결바아
111, 111' : 요홈 120, 120', 140, 140' : 요철부
130 : 제 2연결바아 150 : 제 3연결바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인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조도이다. 텔레비젼 프론트 마스크(101)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누름작동시 전후작동되어 텔레비젼을 작동토록 하는 버튼장치(100)가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마스크(101)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버튼장착홈(102)에는 버튼(103)이 일체로 삽입되고, 상기 버튼(103)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작동바아(104)의 양측에는 고정훅크(105)가 각각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버튼장착홈(102)의 후방으로 케이스(101)에 일체로 결합된 고정리브(106)의 중앙 및 모서리에는 관통홈(107) 및 고정턱(108)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작동바아(104)에는 상기 버튼(103)의 전후작동을 가능토록 스프링(109)이 탄설된다. 상기 작동바아(104)의 중앙으로 양측에 형성된 요홈(111)에는 제 1연결바아(110)의 하부 양측에 일체로 결합된 고정훅크(112)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작동바아(104)의 상단부 및 상기 제 1연결바아(110)의 하단부에는 서로 끼워지어 작동바아와 제 1연결바아를 긴밀하게 연결토록 하는 요철부(120) (12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연결바아(110)의 중앙 양측에 형성된 요홈(111')에는 제 2연결바아(130)의 하단부에 결합된 고정훅크(131)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 1연결바아(110)의 상단부 및 제 2연결바아(130)의 하단부에는 서로 긴밀하게 끼워지어 제 1, 2연결바아(110) (130)를 긴밀하게 연결토록 하는 요철부(140) (140')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작동바아(104)와 연결되는 제 1, 2연결바아(110) (130)에는 상단부가 평면으로 이루어 진 제 3연결바아(150)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텔레비젼의 여러기능을 수행토록 프론트 마스크(101)에 돌출 설치된 버튼장치(100)의 버튼(103)를 눌러서 사용한다. 이때, 상기 버튼(103)은 프론트 마스크(101)에 형성된 버튼장착홈(102)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버튼장착홈(52)의 후방에는 관통홈(107)과 고정턱(108)이 중앙 및 양측에 형성된 고정리브(106)가 결합되어 상기 버튼(103)의 양 고정훅크(105)와 중앙에 설치된 작동바아(104)는 상기 관통홈(107)과 고정턱(108)을 통하여 삽입된다.
또한, 상기 작동바아(104)에는 스프링(109)이 탄설됨으로써, 사용자가 버튼(103)을 누르면 상기 스프링(109)의 탄성으로 상기 버튼(103)은 전후 작동되며, 작동바아(104)와 고정훅크(105)는 고정리브(106)의 후방에서 일체로 전후 작동된다. 이때, 텔레비젼의 기종에 따라서 상기 프론트 마스크(101)의 곡률이 다르게 되므로, 상기 버튼 작동바아(104)와 접촉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상의 텍트스위치도 그 설치위치가 다르게 되어 기종에 따라 상기 파워버튼(100)의 작동바아(104)의 길이를 변경시킬 필요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바아(104)의 중앙으로 양측에는 형성된 요홈(111)의 내측에는 제 1연결바아(110)의 하부 양측에 결합된 고정턱(112)이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작동바아(104)에는 별도의 제 1연결바아(110)가 연결되어 상기 작동바아(104)의 작동거리는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바아(104)의 상단부 및 연결바아(110)의 하단부에는 요철부(120) (1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작동바아(104)와 제 1연결바아(110)는 상기 요철부(120) (120')가 서로 끼워지면서 긴밀하게 연결토록 된다.
이에더하여, 상기 제 1연결바아(110)의 중앙 양측에 형성된 요홈(111')에는 제 2 연결바아(130)의 하단부에 결합된 고정훅크(131)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 1연결바아(110)의 상단부 및 제 2연결바아(130)의 하단부에는 요철부(140) (14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1, 2연결바아(110) (130)도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2 연결바아(130)에는 상단부가 평면인 제 3연결바아(150)가 연결되어 상기 작동바아(104)에는 제 1, 2 및 제 3연결바아(110) (130) (150)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상기 버튼장치(100)의 작동바아(104)의 작동거리는 조정된다.
따라서, 텔레비젼의 기종에 따른 텍트스위치의 접촉거리를 용이하게 조정하게 되어 텔레비젼의 기종에 따라 버튼장치(100)를 호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에 의하면, 텔레비젼의 기종에 따라 버튼장치의 작동거리를 용이하게 조정하게 되어 텔레비젼 버튼장치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다양한 텔레비젼의 기종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 부품비용이 절감되는 한편, 이로 인하여 전체 생산성이 향상되고, 간단한 구조로써 제작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프론트 마스크(101)의 전면에 형성된 버튼장착홈(102)에 삽입되는 버튼(103)의 중앙 및 양단부에는 작동바아(104)와 고정훅크(105)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버튼장착홈(102)의 후방으로 일체로 결합된 고정리브(106)의 중앙 및 모서리에는 관통홈(107) 및 고정턱(108)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작동바아(104)의 외측에는 버튼(103) 전후작동을 가능토록 스프링(109)이 탄설되는 텔레비젼의 버튼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아(104)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요홈(111)에는 제 1연결바아(110)의 하부 양측에 일체로 결합된 고정훅크(112)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작동바아(104)의 상단부 및 제 1연결바아의 하단부에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토록 요철부(120) (12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연결바아(110)의 전방에는 제 2연결바아(130)가 연설되는 구조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바아(110)의 중앙 양측에 형성된 요홈(111')에는 제 2연결바아(130)의 하단부에 결합된 고정훅크(131)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 1연결바아(110)의 상단부 및 제 2연결바아(130)의 하단부에는 요철부(140) (140')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아(104)와 연결되는 제 1, 2연결바아(110) (130)에는 상단부가 평면으로 이루어 지는 제 3연결바아(150)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
KR2019970015318U 1997-06-23 1997-06-23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 KR200166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318U KR200166971Y1 (ko) 1997-06-23 1997-06-23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318U KR200166971Y1 (ko) 1997-06-23 1997-06-23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828U KR19990001828U (ko) 1999-01-15
KR200166971Y1 true KR200166971Y1 (ko) 2000-01-15

Family

ID=19503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318U KR200166971Y1 (ko) 1997-06-23 1997-06-23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9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0453B (zh) * 2018-01-16 2024-04-12 深圳市彩易达光电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前维护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828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82687A1 (en) Electronic equipment and pushbutton used therein
KR200166971Y1 (ko)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
US5708242A (en) Automotive lever switch assembly
JPH05308195A (ja) ボタン取付構造
JPH0635305Y2 (ja) スイツチ操作装置
KR200161360Y1 (ko) 조립이 용이한 전자제품용 파워버튼
KR200161897Y1 (ko) 사무용기기의 일체형 키이버튼 장치
KR200187269Y1 (ko)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JP3943236B2 (ja) スイッチのコード端子接続構造
KR100354138B1 (ko) 에어컨 조작스위치와 일체로 형성하는 송풍기 조작스위치
JPS6343707Y2 (ko)
JP2645594B2 (ja) 押ボタン機構
KR200325905Y1 (ko) Tv의 전원버튼 어셈블리
KR19990038741U (ko) 전자제품의 가변형 버튼장치
JPH0119296Y2 (ko)
JPH0241597Y2 (ko)
KR19980023257U (ko) 비에스티브이용 방향성 버튼스위치
KR0126453Y1 (ko) 원형노브
KR890009071Y1 (ko) Led표시 장치용 버튼 장치
KR100442311B1 (ko) 소형 디지털제어기기의 스위치 배치 및 구조
JPH0238504Y2 (ko)
KR19990001908U (ko) 노브 스위치
KR19980061759U (ko) 전자제품 작동용 버튼스위치와 텍트스위치의 일체형구조
KR19990024785U (ko) 택트스위치용 버튼패널
JPH0656937U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