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785U - 택트스위치용 버튼패널 - Google Patents

택트스위치용 버튼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785U
KR19990024785U KR2019970037265U KR19970037265U KR19990024785U KR 19990024785 U KR19990024785 U KR 19990024785U KR 2019970037265 U KR2019970037265 U KR 2019970037265U KR 19970037265 U KR19970037265 U KR 19970037265U KR 19990024785 U KR19990024785 U KR 199900247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act switch
button panel
cas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7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785U/ko
Publication of KR199900247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785U/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장된 회로에 설치된 택트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케이스의 일부를 착탈식으로 분리 형성하여 이를 이용하여 내장된 택트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부품수의 절감과 이에 따른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고안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은, 케이스(1)의 일면을 착탈식으로 분리 형성한 버튼패널(20)과, 상기 버튼패널(20)을 설치하기 위한 케이스의 안착부(10)로 구성되되, 상기 버튼패널(20)에는 일정형태로 절결되어 탄성을 갖는 가압버튼(25)을 구비하고, 가압버튼(25) 후방에는 내장된 택트스위치의 접점부(36) 전방까지 연장된 가동레버(26)를 구비하여, 상기 가압버튼(25)을 누르게 되면 가동레버(26)가 택트스위치의 접점부(36)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택트스위치용 버튼패널
본 고안은 내부의 회로에 설치된 택트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잡한 구조의 택트스위치용 버튼 조립체를 단순한 구조의 버튼패널로 대체시켜 제품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택트스위치용 버튼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가전제품들은 전자 부품의 소형화로 인해 자체의 무게와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내장되는 부품들을 경량화 및 최소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각종 가전제품에 내장되는 각종 부품 예를 들어, 각종 기능을 회로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택트스위치(Tact Switch) 역시 매우 최소화되어 그 부피를 매우 작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택트스위치를 소비자가 직접 손으로 조작하기는 매우 어려우며, 이러한 택트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해서 별도의 버튼 조립체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택트스위치용 버튼 조립체의 대표적인 예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튼 조립체(40)는 케이스(50)의 내벽에 결합되는 몸통(41)과, 몸통에서 비교적 가늘게 연장된 가압버튼(43) 및 이러한 가압버튼(43)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제작된 가압버튼(45)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압버튼(45) 후방에는 택트스위치의 접점(36) 전방까지 연장된 가동레버(4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버튼(45)을 누르게 되면 후방으로 연장된 가동레버(46)가 택트스위치의 접점(36)을 누르게 되어 회로를 작동(ON 혹은 OFF)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케이스(50) 내부에는 상기한 버튼 조립체(40)를 설치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형합구조 또는 스크류 체결구조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케이스(50) 벽면에는 상기한 버튼 조립체의 가압버튼(45)이 케이스(50) 외부로 돌출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홈(55)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택트스위치용 버튼 조립체(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잡한 구조의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를 조립하기 위한 케이스(50)에도 관통홈(55)과 형합구조 또는 스크류 체결구조 등이 구비되어야 함으로, 부품수의 증가와 이에 따른 제품의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하게 되었으며,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별도의 택트스위치용 버튼 조립체를 구비하지 않고, 케이스의 일부를 분리 구성하여 이를 이용하여 내장된 택트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택트스위치용 버튼패널을 구성함으로써, 부품수의 절감과 이에 따른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버튼 조립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튼패널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버튼패널이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요부 측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 10 : 안착부
11 : 개방부 13 : 관통홈
20 : 버튼패널 23 : 후크
25 : 가압버튼 26 : 가동레버
30 : 택트스위치 36 : 접점부
40 : 버튼 조립체 41 : 몸통
43 : 가압버튼 45 : 가압버튼
46 : 가동레버 50 : 케이스
55 : 관통홈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 수단은, 일정길이를 갖는 판상 부재의 양측 후방에 일정 형태의 후크를 형성하고, 부재의 중앙부에는 연결부를 갖도록 일정형태로 절결된 가압버튼을 구비하되, 상기 가압버튼의 자유단측 후방에는 조립시 상기 택트스위치 접점 전방에 위치되도록 일정길이 연장된 가동레버를 갖는 버튼패널과;
케이스 일면에 상기 가동레버가 케이스 내부로 연장 설치될 수 있도록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 인접부에는 상기 버튼패널의 후크가 결합되는 관통홈을 구비하고 있는 버튼패널 안착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 안착부에 결합된 버튼패널의 가압버튼을 누르게 되면, 가압버튼 후방에 구비된 가동레버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택트스위치의 접점을 가압하여 회로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튼패널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로서, 참조번호 10은 케이스(1) 일면에 일정형태의 요홈으로 형성된 안착부이며, 20은 상기한 안착부(10)에 결합되어 내장된 택트스위치(30)를 작동시키는 버튼패널이다.
안착부(10)는 후술할 버튼패널(20)을 케이스(1) 일면에 조립하기 위해 형성된 일정형태의 요홈으로서, 이러한 안착부(10) 중앙에는 후술할 버튼패널의 가동레버(26)가 케이스(1) 내측으로 연장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일정 형태의 개방부(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안착부(10)의 양측 단부에는 후술할 버튼패널(20)이 후크(23)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패널(20)은 상기한 케이스의 안착부(10)에 형합 설치되어 케이스(1)와 동일면을 이루는 판상 부재로서, 이러한 버튼패널(20)의 양측 후방에는 상기한 안착부의 관통홈(13)에 결합되는 후크(23)가 구비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다수개의 절결된 가압버튼(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한 가압버튼(25)은 패널면을 `∪` 자 형태로 절결시켜 패널면에 연결된 연결부와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자유단 배면에는 내장된 택트스위치의 접점부(36) 전방까지 연장된 가동레버(26)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예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케이스의 안착부(10)에 버튼패널(20)을 결합시키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패널(20)은 케이스(1)와 동일면을 이루면서 케이스(1)의 일면으로 작용하게 되고, 동시에 버튼패널의 가동레버(26)는 내장된 택트스위치 접점부(36) 전방에 위치되도록 조립되게 된다.
이렇게 결합된 버튼패널의 가압버튼(25)을 누르게 되면, 가압버튼(25) 후방에 구비된 가동레버(26)가 택트스위치의 접점부(36)를 가압하여 회로를 작동(ON 혹은 OFF)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버튼패널(20)은 케이스(1)의 일면을 착탈식으로 분리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내장된 택트스위치(3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복잡한 구조의 버튼 조립체(40)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부품수의 절감과 이에 따른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버튼패널(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일면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버튼패널(20)을 다양한 형태 또는 칼라로 구성함으로써, 케이스(1)의 장식적인 의미로서도 사용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택트스위치(30)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 조립체(40)에 있어서,
    일정길이를 갖는 판상 부재의 양측 후방에 일정 형태의 후크(23)를 형성하고, 부재의 중앙부에는 연결부를 갖도록 일정형태로 절결된 가압버튼(25)을 구비하되, 상기 가압버튼(25)의 자유단측 후방에는 조립시 상기 택트스위치 접점부(36) 전방에 위치되도록 일정길이 연장된 가동레버(26)를 갖는 버튼패널(20)과;
    케이스(1) 일면에 상기 가동레버(26)가 케이스(1) 내부로 연장 설치될 수 있도록 개방부(11)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11) 인접부에는 상기 버튼패널의 후크(23)가 결합되는 관통홈(13)을 구비하고 있는 버튼패널 안착부(1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용 버튼패널.
KR2019970037265U 1997-12-15 1997-12-15 택트스위치용 버튼패널 KR199900247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265U KR19990024785U (ko) 1997-12-15 1997-12-15 택트스위치용 버튼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265U KR19990024785U (ko) 1997-12-15 1997-12-15 택트스위치용 버튼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785U true KR19990024785U (ko) 1999-07-05

Family

ID=6969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265U KR19990024785U (ko) 1997-12-15 1997-12-15 택트스위치용 버튼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7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00Y1 (ko) * 2008-12-31 2011-03-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트립 버튼을 갖는 배선용 차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00Y1 (ko) * 2008-12-31 2011-03-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트립 버튼을 갖는 배선용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4785U (ko) 택트스위치용 버튼패널
JPH06124740A (ja)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KR19990025929U (ko) 기능선택 스위치와 버튼을 일체화시킨 오퍼레이팅 패널조립체
CN209880444U (zh) 按键开关及车载冰箱
KR200161360Y1 (ko) 조립이 용이한 전자제품용 파워버튼
KR19990024779U (ko) 호환성을 갖는 버튼
KR19980018324U (ko) 스위치용 버튼조립체 및 그 결합 구조물
KR200166971Y1 (ko) 텔레비젼의 가변형 버튼장치
KR200255261Y1 (ko)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KR200325905Y1 (ko) Tv의 전원버튼 어셈블리
KR100520194B1 (ko) 키패드용 키버튼구조
JPS6343707Y2 (ko)
KR0133489Y1 (ko) Tv의 버튼 연결 구조
KR100601438B1 (ko) 영상장치의 버튼채널 체결구조
KR0117507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 조작노브 장착구조
KR200161362Y1 (ko) 전자제품용 파워버튼
KR100432750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조립체 및 그의 택트스위치 장착구조
KR940003278Y1 (ko) 텍트(tact)스위치의 작동구조
JPH035060Y2 (ko)
KR20050120054A (ko) 전자제품의 버튼구조
KR19980031836U (ko) 택트스위치의 복원력을 이용한 푸쉬버튼 조립체
KR19990019892U (ko) 전자제품용 버튼장치
KR19980031847U (ko) 판스프링이 일체화된 푸쉬버튼
JPH08321226A (ja) スイッチ構造
KR20000075040A (ko) 전자제품 버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