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530Y1 -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530Y1
KR200177530Y1 KR2019990019045U KR19990019045U KR200177530Y1 KR 200177530 Y1 KR200177530 Y1 KR 200177530Y1 KR 2019990019045 U KR2019990019045 U KR 2019990019045U KR 19990019045 U KR19990019045 U KR 19990019045U KR 200177530 Y1 KR200177530 Y1 KR 200177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ase
circuit board
light emitting
cor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겸
Original Assignee
한국하이테크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하이테크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하이테크전자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5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상에 발광소자를 구비하여 버튼부에 표시된 건물의 층수나 이동방향을 조명하는 기능이 있는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버튼부(10)의 저면 네 귀퉁이에 각각 가압돌기(12)를 하방으로 형성하고, 케이스(30)의 중앙에는 중앙공(31)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압돌기(12)가 통과되도록 상기 케이스(30)의 네귀퉁이에 가이드공(32)을 각각 형성하며,상기 버튼부(10)의 저면과 상기 케이스(30)의 상면에는 코일스프링(50)을 개재하여 접점간극을 유지토록 하고, 상기 케이스(30)의 저면에는 패턴 인쇄된 인쇄회로기판(60)을 결합시키되, 이 인쇄회로기판(60)의 네 귀퉁이에는 각각 고정접점(61)을 패턴 인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60)의 고정접점(61) 상에는 가동접점(71)을 갖는 고무패드(70)를 안착시켜 상기 가압돌기(12)의 하강동작으로 상기 가동접점(71)이 고정접점(61)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60)의 중앙에는 발광소자(40)를 패턴 인쇄된 회로와 접속시켜 상기 중앙공(31)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Button switch for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상에 발광소자를 구비하여 버튼부에 표시된 건물의 층수나 이동방향을 조명하는 기능이 있는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이하, '스위치'라고 함)는 엘리베이터 탑승구의 벽면 및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건물의 층수와 상당하는 개수로 설치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발광소자를 소자를 구비하여 스위칭 동작시 발광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용한 종래의 스위치는 접점이 중앙에 1조만 구비되어 있으므로 버튼부의 귀퉁이를 누를 경우에 접점이 감응되지 않고 오작동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가동접점을 스프링 접속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스위칭 동작시 전기 스파크가 발생할 때 나는 듯한 소음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불안감을 초래하였다. 또한, 종래의 스위치에 구비되는 발광소자의 불빛이 다방면으로 방사되지 않아서 버튼부의 부호 표시창이 선명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어둡게 조명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 지점에 접점을 구비하여 다방향 감응식으로 스위칭을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고무패드를 이용하여 가동접점을 구비함으로서 스위칭시 소음이 없고 접점의 수명도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하며, 발광소자의 불빛이 다방면으로 방사되도록 렌즈를 갖는 캡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버튼부 11; 부호 표시창 12; 가압돌기
20; 결합테 30; 케이스 31; 중앙공
32; 가이드공 33; 고정홈 40; 발광소자
41; 리드 50; 코일스프링 60; 인쇄회로기판
61; 고정접점 70; 고무패드 71; 가동접점
72; 절결홈 73; 금박 80; 캡
81; 렌즈 82; 보조기판 90; 코드
본 고안의 구성상 특징은, 상면에 부호 표시창(11)이 일체로 결합된 사각의 버튼부(10)와, 결합테(20)에 의하여 상기 버튼부(10)가 유동적으로 결합되는 사각의 케이스(30)와 상기 케이스(30) 내부에는 발광소자(40)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10)의 저면 네 귀퉁이에 각각 가압돌기(12)를 하방으로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30)의 중앙에는 중앙공(31)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압돌기(12)가 통과되도록 상기 케이스(30)의 네귀퉁이에 가이드공(32)을 각각 형성하며,상기 버튼부(10)의 저면과 상기 케이스(30)의 상면에는 코일스프링(50)을 개재하여 접점간극을 유지토록 하고, 상기 케이스(30)의 저면에는 패턴 인쇄된 인쇄회로기판(60)을 결합시키되, 이 인쇄회로기판(60)의 네 귀퉁이에는 각각 고정접점(61)을 패턴 인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60)의 고정접점(61) 상에는 가동접점(71)을 갖는 고무패드(70)를 안착시켜 상기 가압돌기(12)의 하강동작으로 상기 가동접점(71)이 고정접점(61)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60)의 중앙에는 상기 발광소자(40)를 패턴 인쇄된 회로와 접속시켜 상기 중앙공(31)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버튼부(10)는 사각형으로서 그 상면에는 부호 표시창(11)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저면 네귀퉁이 형성된 가압돌기(12)는 원기둥형으로서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무패드(70)의 가동접점(71) 위치에 접촉된다. 이 버튼부(10)는 통상적인 결합구조를 갖는 결합테(20)를 이용하여 케이스(30)에 결합한다.
케이스(30)는 사각형으로서 중앙에는 중앙공(31)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가이드공(32)은 원형으로서 중앙공(31)의 둘레에 형성된다.
코일스프링(50)은 2개를 구비하며, 버튼부(10)의 저면 양쪽에는 고정돌기(도시 생략)를 케이스(30)의 상면 양쪽에는 고정홈(33)을 형성하여 코일스프링(50)의 양단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0)은 케이스(30)의 저면에 나사로 체결하여 결합되는 바, 인쇄회로기판(60)의 네 귀퉁이에는 각각 고정접점(61)이 패턴 인쇄되어 있으며, 인쇄회로기판(60)의 고정접점(61)에는 1;1 대응하여 가동접점(71)을 갖는 고무패드(70)가 안착되고, 인쇄회로기판(60)의 중앙에는 발광소자(40)를 패턴 인쇄된 회로와 접속시켜 중앙공(31)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미설명 부호 90은 인쇄회로기판(60)에 접속된 '컨넥터용 코드'이다.
상기한 가동접점(7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무패드(70)의 저면에 형성되는 링형의 절결홈(72)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하고 이 절결홈(72)의 중앙에 금박(金箔;73)을 접착제로 부착시켜서 된 것이다. 이 금박(73)은 카본과 같은 전도체에 비하여 전기 전도율이 좋고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접점소재로 적합하다.
상기한 발광소자(40)는 별체로 마련되는 보조기판(82)상에 배치된 상태로 상부에 난반사용 렌즈(81)를 갖는 캡(80)에 내장시켰다. 보조기판(82)을 캡(80)에 내장시킬 때에는 확산 에폭시를 보조기판(82)의 하측으로 캡(80)의 하부에 충진하여 고정시킨 후, 발광소자(40)로부터 인출된 리드(41)를 회로기판(60)상의 회로에 납땜하여 접속시킨다.
이와같이 발광소자(40)에 캡(80)을 구비함으로서 발광소자(40)의 소손됨 없이 방광소자를 케이스(30)에 형성된 중앙공(31)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으며, 예시한 바와같이 캡(80)의 하단에는 4개의 다리를 형성함으로서 발광소자(40)를 인쇄회로기판(60)에 접속시킬 때 리드(41)가 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고안의 사용할 때, 버튼부(10)를 누르면 코일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가압돌기(12)가 케이스(30)의 가이드공(32)에서 하강하게 되고, 가압돌기(12)의 하단이 고무패드(70)를 가압함으로 저면에 금박(73)이 부착된 된 4개의 가동접점(71)가 대응되는 위치의 고정접점(61)에 접촉된다. 이때 발광소자(40)가 점등되어 불빛이 렌즈(81)를 통과하게 되고, 렌즈(81)는 불빛을 난반사시켜 버튼부(10)의 부호 표시창(11)을 환하게 조명하여 준다.
한편, 버튼부(10)에서 힘을 제거하면 코일스프링(50)이 복원되면서 가압돌기(12)가 초기위치로 상승되고, 고무패드(70)의 가동접점(71)은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형태로 상승됨으로 접점이 해리(解離)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네 지점에 접점을 구비함으로 버튼부(10)의 한족 귀퉁이를 누르더라도 오작동됨 없이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 지고, 고무패드(70)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가동접점(71)을 스위칭동작을 함으로 스위치의 조작시 소음이 없다.
그리고 가동접점(71)이 전기 전도율이 높은 금박(73)으로 되어 있으므로 응답성이 양호하며 접점의 수명도 오래 지속된다.
또한, 발광소자(40)에 렌즈(81)를 갖는 캡(80)을 구비함으로 불빛이 다방면으로 방사되어 부호 표시창(11)을 전면적으로 환하게 조명하여 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부호 표시창(11)에 표시된 부호를 확연하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상면에 부호 표시창(11)이 일체로 결합된 사각의 버튼부(10)와, 결합테(20)에 의하여 상기 버튼부(10)가 유동적으로 결합되는 사각의 케이스(30)와 상기 케이스(30) 내부에는 발광소자(40)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10)의 저면 네 귀퉁이에 각각 가압돌기(12)를 하방으로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30)의 중앙에는 중앙공(31)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가압돌기(12)가 통과되도록 상기 케이스(30)의 네귀퉁이에 가이드공(32)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버튼부(10)의 저면과 상기 케이스(30)의 상면에는 코일스프링(50)을 개재하여 접점간극을 유지토록 하고,
    상기 케이스(30)의 저면에는 패턴 인쇄된 인쇄회로기판(60)을 결합시키되, 이 인쇄회로기판(60)의 네 귀퉁이에는 각각 고정접점(61)을 패턴 인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60)의 고정접점(61) 상에는 가동접점(71)을 갖는 고무패드(70)를 안착시켜 상기 가압돌기(12)의 하강동작으로 상기 가동접점(71)이 상기 고정접점(61)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60)의 중앙에는 상기 발광소자(40)를 패턴 인쇄된 회로와 접속시켜 상기 중앙공(31)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40)를 보조기판(82)에 배치함 동시에, 이를 난반사용 렌즈(81)를 갖는 캡(80)에 내장시킨 후, 상기 발광소자(40)를 상기 인쇄회로기판(60)상의 패턴회로에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70)의 가동접점(71)이 금박(7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KR2019990019045U 1998-12-11 1999-09-08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KR20017753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766 1998-12-1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766 Division 1998-12-11 1998-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530Y1 true KR200177530Y1 (ko) 2000-04-15

Family

ID=1954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045U KR200177530Y1 (ko) 1998-12-11 1999-09-08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5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781B1 (ko) * 2003-10-01 2005-09-16 (주)이엘에스 엘리베이터용 스위치
KR102432459B1 (ko) * 2022-04-27 2022-08-16 김종범 방수기능을 갖는 엘레베이터 버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781B1 (ko) * 2003-10-01 2005-09-16 (주)이엘에스 엘리베이터용 스위치
KR102432459B1 (ko) * 2022-04-27 2022-08-16 김종범 방수기능을 갖는 엘레베이터 버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8362A (en) Push-button switch with display device
JP2002289058A (ja) キースイッチ
US20050098416A1 (en) Steering switch device
US5743384A (en) Self-leveling key switch
KR100358425B1 (ko) 전원 스위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시스템 및전원 스위치 입력 처리 방법
KR200177530Y1 (ko)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US73124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key assembly thereof
KR101341338B1 (ko) 키보드
JP2870210B2 (ja) 発光素子付薄型キーボードと発光素子実装方法
JP2876570B2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JP4151513B2 (ja) 照光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5044521A (ja) スイッチ
JP2004221078A (ja) Ledインジケータ付き押しボタンスイッチ
CN213584458U (zh) 按键开关和插座
JP4762853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
KR200230066Y1 (ko) 승강기용 버튼
JPH0132256Y2 (ko)
KR960008350Y1 (ko) 엘리베이터용 푸쉬버튼 스위치
NL1022408C2 (nl) Druktoets met inwendige lichtgever.
JP3214064B2 (ja) 照光押ボタンスイッチ
KR930008164Y1 (ko) 전자기기의 키이 버튼
KR19980034160U (ko) 엘레베이터 스위치
KR920000703Y1 (ko) 전자기기용 키이보오드의 보턴장치
JPH0218495Y2 (ko)
KR900004309Y1 (ko) 전자기기의 푸쉬 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3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