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587U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587U
KR19980066587U KR2019970011040U KR19970011040U KR19980066587U KR 19980066587 U KR19980066587 U KR 19980066587U KR 2019970011040 U KR2019970011040 U KR 2019970011040U KR 19970011040 U KR19970011040 U KR 19970011040U KR 19980066587 U KR19980066587 U KR 199800665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se
housing
switch
rubber plate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9591Y1 (ko
Inventor
조경원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11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591Y1/ko
Priority to AU42719/97A priority patent/AU4271997A/en
Priority to CN97125923A priority patent/CN1199915A/zh
Priority to JP10016974A priority patent/JP2916127B2/ja
Publication of KR199800665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5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5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기등 물에 관련된 기기에 사용되는 스위치에 있어서 단자 내부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단자의 부식과 쇼트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함과 함께 조립성을 향상시켜 생산성도 증대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하우징 베이스(1)와 하우징 케이스(8) 사이에 고무판(6)을 위치시키고, 상기 하우징 베이스(1) 상부면에는 전둘레에 걸쳐 일체화되게 하부돌기(9)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 케이스(8) 하부면에는 전둘레에 걸쳐 일체화되게 상부돌기(10)를 형성하여 하우징 케이스(8)를 하우징 베이스(1)에 결합할 때 상기 하부돌기(9) 및 상부돌기(10)가 고무판(6)에 기밀접촉됨을 특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위치
본 고안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기등과 같이 물을 사용하는 기기에 적합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라 함은 전로를 끊거나 있는데 사용하는 기구물로서,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스위치에서 세탁기 등과 같이 물을 사용하는 기기에 적합한 스위치는 기기의 사용시 접점으로 수분이 침투될 경우의 여러가지 문제점 때문에 상기 접점으로의 수분 침투 방지를 구조적으로 해결하고 있어야 한다.
종래 스위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수개의 리드(102)가 구비된 하우징 베이스(101) 내에 서로 이격되게 제1고정접점(103)과 제2고정접점(104)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베이스(101) 내의 접점 상부에는 제1고정접점(103)과 제2고정접점(104)을 선택적으로 서로 연결시켜 주거나 단락시켜 주도록 가동접점(105)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베이스(101)의 상부면에는 하우징 베이스 내부를 폐쇄하도록 방수필름(106)과 고무판(107)이 씌워져 있고, 상기 고무판의 상부면 중심부에는 가동접점(105)으로 하부이동력을 부여하도록 이동편(108)이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베이스(101)의 상부에는 이동편(108)을 안정시켜 주면서 방수필름(106)과 고무판(107)을 하우징 베이스(101)에 밀착시켜 주도록 하우징 케이스(109)가 열융착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먼저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스위치의 조립과정을 참고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복수개의 리드(102)가 구비된 하우징 베이스(101) 내로 가동접점(105)을 올려 놓으면 상기 가동접점이 하우징 베이스(101) 내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제1고정접점(103)과 제2고정접점(104)중 제2고정접점(104)에만 접촉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하우징 베이스(101) 상부면으로 방수필름(106)을 올려놓고 상기 방수필름을 사방에서 일단 잡아당겨 방수필름(106)의 하우징 베이스(101) 접착면이 평평해 지도록 한 다음 상기 방수필름(106)을 하우징 베이스(101)에 접착시키고 그 다음 방수필름 위로 고무판(107)을 올려 놓으면 하우징 베이스(101) 내부가 방수필름(106) 및 고무판(107)에 의해 폐쇄된다.
계속해서 고무판(107)의 중심에 접촉되도록 이동편(108)을 지지시킴과 함께 상기 지지된 이동편이 안정되도록 하우징 베이스(101) 위로 하우징 케이스(109)를 올려놓은 다음 상기 하우징 케이스를 하우징 베이스(101) 쪽으로 가압시키면 고무판(107) 및 방수필름(106)이 하우징 베이스(101) 쪽으로 밀착되므로 상기 하우징 베이스(101)와 하우징 케이스(109) 사이가 방수필름(106)과 고무판(107)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케이스(108)를 하우징 베이스(101)에 열융착시켜 일체화 하면 스위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스위치를 기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스위치를 동작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이동편(108)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눌러주면 된다.
즉, 사용자가 이동편(108)을 도면상 하부로 눌러주면 상기 이동편이 하부로 이동하고 이 이동력은 고무판(107)과 방수필름(106)을 통해 가동접점(105)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가동접점도 하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하부로 이동되는 가동접점은 어느순간 하우징 베이스(101) 내에 고정된 제2고정접점(104)은 물론 제1고정접점(103)에도 접촉되면서 상기 제1고정접점(103)과 제2고정접점(104)을 서로 연결시켜 주므로 스위칭이 행하여 지고 이 스위칭 신호는 리드(102)를 통해 기기의 제어부로 입력된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 목적을 달성한 후 이동편(108)의 누르는 힘을 제거하여 주면 상기 이동편의 하부이동력이 고무판(107)과 방수필름(106)을 통해 가동단자(105)로 더 이상 전달되지 않음에 따라 방수필름(106), 고무판(107), 이동편(108)은 가동접점(105)의 복원력을 받으면서 원상태로 되돌아 가므로 결국 가동접점에 의한 제1고정단자(103)와 제2고정단자(104)의 연결은 단락되어 스위칭이 더 이상 행하여지지 않게된다.
한편 기기를 사용하는 도중 사용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스위치 장착 부분으로 물이 묻게되면 이 물은 이동편(108)과 상기 이동편을 안정시켜 주는 하우징 케이스(109)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하우징 케이스 내부로 스며든 다음 계속해서 하우징 베이스(101) 내부로 스며들려고 하거나 하우징 케이스(109)와 고무판(107) 사이를 통해 하우징 케이스(109) 내부로 스며든 다음 계속해서 하우징 베이스(101) 내부로 스며들려고 하거나 고무판(107)과 방수필름(106) 사이 및 방수필름과 하우징 베이스(101) 사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 베이스 내부로 스며들려고 하지만 상기 하우징 베이스(101)의 상부면에는 방수필름(106)과 함께 고무판(107)이 씌워져 하우징 베이스(101) 내부를 폐쇄하고 있고, 상기 상기 방수필름(106)과 고무판(107)은 하우징 베이스(101)에 열융착되어 일체화된 하우징 케이스(109)에 의해 상기 하우징 케이스와 하우징 베이스(101) 사이를 기밀유지시키고 있으므로 결국 하우징 베이스(101) 내부로의 수분 침투는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조의 종래 스위치는 외부의 수분 및 공기가 하우징 베이스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방수필름과 고무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조립과정에서 방수필름을 하우징 베이스의 상부면에 접착시킬 때 접착면이 구겨질 경우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방수필름과 하우징 베이스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되므로 방수필름의 접착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함에 따라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방수필름의 성분이 부직포 계통으로 밀폐성은 없으면서 흡습성은 있는 재질이기 때문에 기기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방수필름의 접착기능이 떨어짐에 따라 외부의 수분 및 공기가 방수필름과 하우징 베이스 사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 베이스 내부로 침투되므로 접점이 부식되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쇼트(Short)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하우징 케이스에 의해 고무판 및 방수필름을 하우징 베이스에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시킨 다음 상기 하우징 케이스를 하우징 베이스에 열융착에 의해 일체화시키므로 작업성이 저하되어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상기 하우징 케이스가 하우징 베이스에 일체화되는 과정에서 반력이 작용하여 고무판 및 방수필름의 밀착력을 저하시키므로 하우징 베이스 내부로의 수분 및 공기의 침투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방수필름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외부의 수분 및 공기가 하우징 베이스 내부로 침투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수분 및 공기의 침투에 따른 접점의 부식과 상기 접점의 쇼트 등의 문제를 미연에 해결함과 함께 하우징 케이스가 하우징 베이스에 훅크결합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구조를 변경하여 조립성 향상에 따른 생산성 증대에도 기여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하우징 베이스와 하우징 케이스 사이에 고무판을 위치시키고, 상기 하우징 베이스 상부면에는 전 둘레에 걸쳐 일체화되게 하부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 케이스 하부면에는 전둘레에 걸쳐 일체화되게 상부돌기를 형성하여 하우징 케이스를 하우징 베이스에 결합할 때 상기 하부돌기 및 상부돌기가 고무판에 기밀접촉된 본 고안 스위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스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 스위치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스위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A부분을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우징 베이스6. 고무판
8. 하우징 케이스9. 하부돌기
10. 상부돌기11. 걸림돌기
12. 걸림공13. 걸림편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 스위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확대도로서, 본 고안은 복수개의 리드(2)가 구비된 하우징 베이스(1) 내에 서로 이격되게 제1고정접점(3)과 제2고정접점(4)을 고정하고, 상기 하우징 베이스(1) 내의 각 접점 상부에는 제1고정접점(3)과 제2고정접점(4)을 서로 연결시켜 주거나 단락시켜 주도록 가동접점(5)을 내장하며, 상기 하우징 베이스(1)의 상부면에는 하우징 베이스 내부를 폐쇄하여 주도록 고무판(6)을 씌우며, 상기 고무판의 상부면 중심부에는 가동접점(5)에 가압력을 부여하도록 이동편(7)을 지지시키고, 상기 하우징 베이스(1)의 상부에는 이동편(7)을 안정되게 하여 주면서 고무판(6)을 하우징 베이스(1)에 밀착시켜 주도록 하우징 케이스(8)를 훅크결합하며, 상기 하우징 베이스(1)의 고무판(6) 접촉면에는 하우징 케이스(8)를 하우징 베이스(1)에 결합할 때 상기 고무판(6)에 기밀접촉되도록 끝단이 뾰쪽한 삼각형 형상의 하부돌기(9)를 전둘레에 걸쳐 일체화되게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케이스(8)의 고무판(6) 접촉면에는 하우징 케이스(8)를 하우징 베이스(1)에 결합할 때 상기 고무판(6)에 기밀접촉되도록 끝단이 뾰쪽한 삼각형 형상의 상부돌기(10)를 전둘레에 걸쳐 일체화되게 형성한다.
상기에서 하우징 케이스(8)를 하우징 베이스(1)에 훅크결합하여 주기 위해, 상기 하우징 베이스(1)의 외측면 상부에 상부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져 있는 걸림돌기(11)를 복수개 형성하고, 하우징 케이스(8)의 외측면 하부에는 걸림공(12)을 갖는 걸림편(13)을 복수개 형성하여 하우징 케이스(8)를 하우징 베이스(1) 쪽으로 가압시킬 때 상기 각 걸림돌기(11)가 각 걸림편(13)의 걸림공(12)으로 끼워져 걸리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스위치의 조립과정에 대해서 먼저 참고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복수개의 리드(2)가 구비된 하우징 베이스(1) 내로 가동접점(5)을 올려 놓으면 상기 가동접점이 하우징 베이스(1) 내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제1고정접점(3)과 제2고정접점(4)중 제2고정접점(4)에만 접촉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하우징 베이스(1) 상부면으로 고무판(6)을 씌워 상기 고무판이 하우징 베이스(1) 내부를 폐쇄토록 하는데, 이때 하우징 베이스의 고무판(6) 접촉면에 전둘레에 결쳐 일체로 형성된 하부돌기(9) 끝단이 상기 고무판(6)에 접촉된다.
계속해서 고무판(6)의 중심에 접촉되도록 이동편(7)을 지지시킴과 함께 상기 이동편이 안정되도록 하우징 베이스(1) 위로 하우징 케이스(8)를 올려놓으면 상기 하우징 케이스의 고무판(6) 접촉면에 전둘레에 걸쳐 일체로 형성된 상부돌기(10) 끝단이 상기 고무판(6)에 접촉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케이스(8)를 하우징 베이스(1) 쪽으로 가압시켜 주면 이 가압력에 의해 상기 고무판(6)이 하우징 베이스(1) 쪽으로 밀착된다.
이와같이 하우징 케이스(8)의 가압에 따라 고무판(6)이 하우징 베이스(1)에 밀착될 때 하우징 케이스(8)의 외측 하부에 형성된 각 걸림편(13)의 걸림공(12)으로 하우징 베이스(1)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1)가 끼워지므로 결국 하우징 케이스(8)는 하우징 베이스(1)에 훅크결합되면서 일체화되어 스위치의 조립이 완료되는데, 상기 스위치가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는 하우징 베이스(1)에 형성된 하부돌기(9)가 그 끝단이 뾰쪽한 삼각형 형상임에 따라 고무판(6)에 기밀접촉되면서 하우징 베이스(1)와 고무판(6) 사이의 씰링을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 줌과 함께 하우징 케이스(8)에 형성된 상부돌기(10)가 그 끝단이 뾰쪽한 삼각형 형상임에 따라 고무판(6)에 기밀접촉되면서 하우징 케이스(8)와 고무판(6) 사이의 씰링도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 준다.
상기에서 하부돌기(9)와 상부돌기(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하나의 열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두열 이상인 복수열로 하면 씰링 효과는 더욱 커지리라 생각되고, 또한 하부돌기(9)와 상부돌기(10)를 그 개수에 상관없이 끝단을 서로 마주보게 하여도 되고 아니면 서로 엇갈리게 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한 조립과정에서 하우징 케이스(8)가 하우징 베이스(1)에 훅크결합될 때 상기 하우징 베이스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11)의 상부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걸립돌기가 하우징 케이스(8)에 형성된 각 걸림편(13)의 걸림공(12)으로 원활히 끼워져 걸림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조립 완료된 본 고안 스위치를 기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스위치를 동작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이동편(7)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눌러주면 된다.
즉, 사용자가 이동편(7)을 눌러주면 상기 이동편이 도면상 하부로 이동하고 이 이동력은 고무판(6)을 통해 가동접점(5)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가동접점이 하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하부로 이동되는 가동접점(5)은 어느순간 하우징 베이스(1) 내에 고정된 제2고정접점(4)은 물론 제1고정접점(3)에도 접촉되면서 상기 제1고정접점(3)과 제2고정접점(4)을 서로 연결시켜 주므로 스위칭이 행하여 짐에 따라 이 스위칭 신호가 리드(2)를 통해 기기의 제어부로 입력된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 목적을 달성한 후 이동편(7)의 누르는 힘을 제거하여 주면 상기 이동편의 가압력이 고무판(6)을 통해 가동접점(5)으로 더 이상 전달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고무판(6)과 이동편(7)은 가동접점(5)의 복원력을 받으면서 원상태로 되돌아 가므로 결국 가동접점(5)에 의한 제1고정단자(3)와 제2고정단자(4)의 연결은 단락되어 스위칭이 더 이상 행하여지지 않게된다.
한편 기기를 사용하는 도중 사용자의 부주에 의해 스위치 장착 부분으로 물이 묻게되면 이 물은 이동편(7)과 상기 이동편을 안정화시켜 주는 하우징 케이스(8)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우징 케이스 내부로 스며든 다음 계속해서 하우징 베이스(1) 내부로 스며들려고 하거나 하우징 케이스(8)와 고무판(6) 사이를 통해 하우징 케이스(8) 내부로 스며든 다음 계속해서 하우징 베이스(1) 내부로 스며들려고 하거나 하우징 베이스(1)와 고무판(6)을 통해 하우징 베이스(1) 내부로 스며들려고 하지만 상기 하우징 베이스(1)의 고무판(6) 접촉부분에 형성된 하부돌기(9)가 상기 고무판(6)에 기밀접촉되어 있고, 하우징 케이스(8)의 고무판(6) 접촉부분에 형성된 상부돌기(10)가 상기 고무판(6)에 기밀접촉되어 있으므로 결국 하우징 베이스(1) 내부로의 수분 침투는 방지되는데, 상기 하부돌기(9)와 상부돌기(10)는 삼각형 형상으로서 그 끝단이 뾰쪽함을 감안할 때 상기 하부돌기(9)와 상부돌기(10)는 고무판(6)에 선접촉된 상태이고 이는 하우징 베이스(1)와 고무판(6) 사이 및 하우징 케이스(8)와 고무판(6) 사이가 더욱 확실하게 씰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종래에 사용되던 방수필름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하우징 베이스 내부로의 수분 및 공기 침투가 완벽하게 방지되므로 기기의 사용시 접점이 부식되거나 쇼트가 일어나는 일이 절대로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하우징 케이스가 하우징 베이스에 보다 견고하고 간단하게 일체화되므로 조립작업성의 향상에 따라 생산성도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하우징 베이스와 하우징 케이스 사이에 고무판을 위치시키고, 상기 하우징 베이스 상부면에는 전 둘레에 걸쳐 일체화되게 하부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 케이스 하부면에는 전둘레에 걸쳐 일체화되게 상부돌기를 형성하여 하우징 케이스를 하우징 베이스에 결합할 때 상기 하부돌기 및 상부돌기가 고무판에 기밀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 케이스를 하우징 베이스에 결합할 때 하부돌기 및 상부돌기가 고무판에 기밀접촉됨에 따라 방수필름이 필요없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돌기와 상부돌기가 각각 복수열을 이루며 일체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하부돌기와 상부돌기의 끝단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하부돌기와 상부돌기의 끝단이 서로 엇갈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하부돌기와 상부돌기의 끝단이 각각 뾰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7. 제 6 항에 있어서,
    하부돌기와 상부돌기를 삼각형 형상으로 함에 따라 상기 하부돌기와 상부돌기의 끝단이 뾰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 베이스의 외측면 상부에 걸림돌기를 복수개 형성하고, 하우징 케이스의 외측면 하부에는 걸림공을 갖는 걸림편을 복수개 형성하여 상기 각 걸림돌기가 각 걸림편의 걸림공으로 끼워져 걸림에 따라 하우징 케이스가 하우징 베이스에 훅크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9. 제 8 항에 있어서,
    걸림돌기의 상부면을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하여 상기 각 걸림돌기가 각 걸림편의 걸림공으로 원활히 끼워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2019970011040U 1997-05-19 1997-05-19 스위치 KR200169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040U KR200169591Y1 (ko) 1997-05-19 1997-05-19 스위치
AU42719/97A AU4271997A (en) 1997-05-19 1997-10-20 Waterproof push switch
CN97125923A CN1199915A (zh) 1997-05-19 1997-12-25 防水按钮开关
JP10016974A JP2916127B2 (ja) 1997-05-19 1998-01-29 防水用のプッシュスイッ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040U KR200169591Y1 (ko) 1997-05-19 1997-05-19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587U true KR19980066587U (ko) 1998-12-05
KR200169591Y1 KR200169591Y1 (ko) 2000-02-01

Family

ID=19501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040U KR200169591Y1 (ko) 1997-05-19 1997-05-19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916127B2 (ko)
KR (1) KR200169591Y1 (ko)
CN (1) CN1199915A (ko)
AU (1) AU42719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8199B2 (ja) 2006-02-14 2011-08-03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4206411B2 (ja) * 2006-05-26 2009-01-14 創曉有限公司 携帯用防犯ブザー
US7329822B1 (en) * 2006-06-08 2008-02-12 Illinois Tool Works Inc Safety switch assembly
DE102006026910B4 (de) * 2006-06-09 2020-04-02 BSH Hausgeräte GmbH Bedieneinheit für ein Hausgerät
US8089014B2 (en) 2006-09-29 2012-01-03 Hokuriku Electric Industry Co., Ltd. Waterproof push button switch
CN101950701B (zh) * 2010-09-16 2012-1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防水防尘按钮及应用该按钮的电子装置
CN101937789A (zh) * 2010-09-16 2011-0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按钮及应用该按钮的电子装置
JP5545672B2 (ja) * 2011-06-09 2014-07-09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防水性スイッチ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CN103165309A (zh) * 2011-12-11 2013-06-19 湖北港源电气有限公司 防水、防尘轻触开关
JP6312511B2 (ja) * 2014-04-21 2018-04-18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用操作つまみの防滴構造
KR101715258B1 (ko) * 2015-05-29 2017-03-10 전영환 양면형 스템 및 이를 구비한 택트 스위치
JP6627451B2 (ja) * 2015-11-20 2020-01-08 マックス株式会社 工具
KR102296034B1 (ko) * 2017-08-25 2021-08-3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도어벨 버튼 구조
CN114093701B (zh) * 2021-11-18 2023-01-20 歌尔科技有限公司 防水按键结构和可穿戴设备
CN114783806A (zh) * 2022-05-25 2022-07-22 浙江春生电子有限公司 一种防水的轻触开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271997A (en) 1998-11-19
KR200169591Y1 (ko) 2000-02-01
JP2916127B2 (ja) 1999-07-05
JPH10334759A (ja) 1998-12-18
CN1199915A (zh)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9591Y1 (ko) 스위치
US10916388B2 (en) Switch device
US6326571B1 (en) Button switch
US11170952B2 (en) Elastic switch device having vent cavity
KR101038622B1 (ko) 피씨비 택트 스위치
US6018127A (en) Wire connection structure
CN210167292U (zh) 一种防水防尘编带结构开关
KR100322777B1 (ko) 푸시버튼스위치
KR100379390B1 (ko) 세탁기 컨트롤러 어셈블리의 방수장치
KR100223800B1 (ko) 세탁기의 스위치
CN211016857U (zh) 一种具有防水结构的按钮
KR19980054193U (ko) 푸시버튼 스위치
KR19990030602U (ko) 방수형 택트 스위치
JP2005129301A (ja) 押釦スイッチ
KR20029537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
JPH0722821Y2 (ja) 押釦スイッチ
CN210535548U (zh) 一种防水带灯贴片按键结构开关
KR200317058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수구조
KR200275846Y1 (ko) 방수 키보드
KR200166227Y1 (ko) 푸쉬보턴스위치의 방수장치
KR200333617Y1 (ko) 마우스용 택트 스위치 구조
KR200161897Y1 (ko) 사무용기기의 일체형 키이버튼 장치
KR960002205B1 (ko) 자동카메라용 릴리즈 버튼 작동구조
JPH0351864Y2 (ko)
JPH06275335A (ja) Acジ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