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3056A - 진공 청소기 및 그 흡입 노즐체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및 그 흡입 노즐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3056A
KR19980703056A KR1019970706465A KR19970706465A KR19980703056A KR 19980703056 A KR19980703056 A KR 19980703056A KR 1019970706465 A KR1019970706465 A KR 1019970706465A KR 19970706465 A KR19970706465 A KR 19970706465A KR 19980703056 A KR19980703056 A KR 19980703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ody
suction nozzle
impeller
vacuum clean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지마다이지
고마쯔시게사부로오
사또오시게노리
시노자끼도시야
이와세유끼지
스나가와마사오
야마모또와따루
사또오스스무
Original Assignee
가나이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쯔도무
Publication of KR1998070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0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8Combinations or arrangements of several tools, e.g. edg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Abstract

본 발명에서, 임펠러 및 브러시 부재는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임펠러는 흡입력에 의해 회전되고 브러시 부재 또는 블레이드 부재는 임펠러 전체 또는 그 일부에 나선형으로 설치되어 피소제 표면에 접촉한다. 회전 브러시는 임펠러와 동축 상에서 일체로 회전하며 임펠러와 회전 브러시 사이에는 격벽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소형이고 경량이며 저소음인 흡입 노즐체 및 이 흡입 노즐체를 사용하는 진공 청소기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및 그 흡입 노즐체
종래의 진공 청소기 중에서, 특히 흡입력이 구동원으로서 작용하도록 된 회전 브러시를 갖는 흡입 노즐체에서는 임펠러의 회전이 풀리 부재 또는 벨트 부재를 거쳐 회전 브러시에 전달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임펠러 및 회전 브러시가 별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흡입 노즐체가 크고 무겁다.
따라서, 일본 특허 공개 (소)63-214217호 및 (소)64-58223호에 개시된 것처럼, 임펠러에 동축으로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브러시를 설치하고 상기 임펠러를 격벽으로 둘러싸는 터빈 챔버를 형성하는 흡입 노즐체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 설명한 종류의 장치와 관련한 문헌으로서는 일본 실용 공개 (소)54-177170호 및 (소)57-69665호 등이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 중에서, 흡입 노즐체의 회전 브러시가 또 다른 축을 갖는 임펠러에 의해 구동되도록 된 장치에서는 임펠러의 크기가 크며, 이로써 흡입 노즐체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임펠러가 회전 브러시의 회전수의 약 3배 내지 4배인 회전수로 회전하기 때문에 소음이 크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임펠러와 회전 브러시가 동일 축에 구성된 장치에서는 흡입 노즐체의 외측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피소제 표면을 통과해야 한다. 이 공기는 흡입 노즐체를 통과한 후에 회전 브러시의 브러시 부재 또는 블레이드 부재를 사용하여 쓸어 낸 먼지를 이송한다. 이 공기는 격벽으로 둘러싸인 터빈 챔버 안에 도입되고 임펠러에 충돌하여 토오크를 발생한다.
흡입 노즐체가 상승되면, 회전 브러시의 저항이 작아지고 회전 브러시가 비정상적인 고속 회전 상태로 회전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우연하게 자신의 손가락을 흡입 노즐체 안에 넣게 되면 위험이 따른다.
또한, 플로어 상의 먼지가 노즐을 통과하기 때문에 노즐 출구의 단면적을 작게 만들 수 없어서 임펠러와의 충돌을 위한 공기류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없으며, 이로써 회전 브러시의 회전에 충분한 토오크를 발생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 및 그 흡입 노즐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력이 구동원으로서 작용하도록 된 회전 브러시(특히, 브러시 부재 및 블레이드가 나선형으로 권선된 봉형 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및 그 흡입 노즐체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외관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상부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상부면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3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상부면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4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상부면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상부면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 흡입 노즐체를 도시한 상부면 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 청소기에 사용하기 위한 소형, 경량 및 저소음인 흡입 노즐체 및 이를 사용하는 진공 청소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흡입력에 따라 회전되는 임펠러(소위 런너라 칭함) 및 임펠러 전체 또는 그 일부에 대한 흡입 노즐체의 일부 내부 부분에 있는 피소제 표면에 접촉하는 브러시 부재 또는 블레이드 부재(소위, 예를 들어 상기에 설명한 임펠러의 재료에 비해 가요성을 갖는 고무 주걱 모양의 블레이드 부재 등의 연질 블레이드라 칭함)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은 임펠러와 동축으로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 브러시를 마련하고 임펠러와 회전 브러시 사이에는 격벽을 마련하지 않음으로써도 얻어지며, 흡입 노즐체의 외측부로부터 흡입되는 유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유체가 피소제 표면을 통과하여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흡입된 후에 임펠러를 회전시키도록 임펠러에 충돌하여 이에 힘을 가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하는 전기 송풍 모터, 전기 송풍 모터를 수납하는 케이스, 전기 송풍 모터의 흡입측에서 케이스에 형성된 먼지 수집부, 먼지 수집부에 대하여 개방된 케이스의 개구부에 연결된 호스 및/또는 연장관,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중간에 위치하거나 호스 및 연장관의 연결부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전기 송풍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조작 유닛,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팁단부에 연결된 흡입 노즐체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기는 피소제 표면을 청소하기 위해 전기 송풍 모터의 흡입력을 사용하며 다음과 같은 바람직한 작동 모드를 갖고 있다.
(1) 임펠러가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에 마련되어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며, 브러시 부재 및/또는 블레이드 부재가 임펠러 전체 또는 그 일부에 부착되어 피소제 표면에 접촉하며, 임펠러 전체 또는 그 일부는 회전 브러시 부재 및/또는 회전 블레이드 부재로서 작용한다.
(2) 상기 (1)에서, 브러시 부재 및/또는 블레이드 부재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 하나의 블레이드 부재 또는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 또는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와 블레이드 부재가 조합된 형상으로 임펠러에 나선형으로 부착된다.
(3) 상기 (1) 또는 (2)에서, 임펠러의 길이는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의 종방향 반부 길이보다 길다.
(4) 상기 (1) 내지 (3)중 하나에서, 브러시 부재 및/또는 블레이드 부재는 임펠러의 베인으로부터 외주연 측으로 연장된다.
(5) 상기 (1) 내지 (4)중 하나에서, 케이스는 임펠러의 외측에 마련되고 플로어 표면측에 대하여 개방된다.
(6) 상기 (1) 내지 (5)중 하나에서, 흡입 노즐체의 양단부 근처에서 피소제 표면에 면한 개방면과는 별개로 되고 외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입구 노즐이 마련되고, 출구 노즐은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팁단부가 흡입 노즐체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출구 노즐의 연장 축선에 대하여 상기 양단부 근처에서 입구 노즐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7) 상기 (6)에서, 임펠러의 직경은 양단부에서는 크고 중심부에서는 작다.
(8) 상기 (1) 내지 (5)중 하나에서, 흡입 노즐체의 중심부에서 피소제 표면에 면한 개방면과는 별개로 되고 외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입구 노즐이 마련되고, 공기류 통로는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에서 임펠러의 수용 구역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출구 노즐은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팁단부가 흡입 노즐체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9) 상기 (1) 내지 (8)중 하나에서, 임펠러의 직경은 회전 토오크가 카페트 상에서 50 gr·cm보다 크고 200 gr·cm보다 작게, 바람직하게는 80 gr·cm보다 크고 100 gr·cm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된다.
(10) 임펠러는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에 마련되어 흡입력에 따라 회전하게 되며, 회전 브러시는 임펠러와 동축으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임펠러와 회전 브러시 사이에는 격벽 등이 마련되지 않는다(즉, 축방향 공기류 통로가 격벽 등의 장애물 없이 형성된다).
(11) 상기 (10)에서, 회전 브러시의 하부면은 플로어 표면에 대하여 개방되지만 임펠러가 존재하는 부분은 개방되지 않는다.
(12) 상기 (10) 또는 (11)에서, 브러시 부재 또는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브러시의 축 직경은 임펠러의 직경보다 크다.
(13) 상기 (10) 내지 (12)중 하나에서, 브러시 부재 또는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회전 브러시의 축 직경은 임펠러의 직경보다 작다.
(14) 상기 (10) 내지 (13)중 하나에서, 블레이드 부재는 회전 브러시의 축에 부착되어 있다.
(15) 흡입 노즐체의 외측부를 통해서 흡입된 유체 전체 또는 그 일부가 임펠러에 먼저 충돌한 후에 상기 유체가 피소제 표면을 통과하여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흡입되는 공기류 정상 통로가 형성된다.
(16) 상기 (15)에서, 임펠러의 회전 방향 쪽으로 유체를 송풍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노즐이 마련된다.
(17) 상기 (15) 또는 (16)에서,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에 있는 공기 입구와 출구는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18) 상기 (10) 내지 (17)중 하나에서, 스위치 조작 유닛은 전원용 온-오프 및 흡입력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그룹과, 작동 신호를 스위치 조작 유닛으로부터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무선 방식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19) 상기 (1) 내지 (18)중 하나에서, 임펠러의 회전수는 1,000 r/min보다 크고 10,000 r/min보다 작다.
(20) 상기 (1) 내지 (19)중 하나에서, 흡입 노즐체의 외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입구 노즐의 면적은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의 정압이 카페트 상에서 -3,000 Pa보다 크고 -200 Pa보다 작도록 설정된다.
(21) 상기 (1) 내지 (20)중 하나에서, 임펠러 자체의 베인은 비틀린 구조를 취한다.
(22) 상기 (1) 내지 (21)중 하나에서, 휠들은 케이스의 바닥부 및 측면부에 부착되고, 피소제 표면에서 침입차를 이용하여 적어도 카페트 및 플로어 등의 플로어 표면에 반응하여 임펠러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기능이 제공되어 있다.
(23) 상기 (1) 내지 (22)중 하나에서, 카페트 상에서의 회전수는 1,000 r/min보다 크고 10,000 r/min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3,000 r/min보다 크고 4,000 r/min 보다 작으며, 플로어 상에서의 회전수는 카페트 상에서의 회전수보다 작다.
(24) 상기 (23)에서, 카페트 상에서의 회전수는 흡입 노즐체의 상승 기간중의 회전수보다 크거나 플로어 상에서의 회전수보다 크며, 플로어 상에서의 회전수는 흡입 노즐체의 상승 기간중의 회전수보다 크며, 카페트 상에서의 임펠러의 회전 토오크는 흡입 노즐체의 상승 기간중의 임펠러의 회전 토오크보다 크다.
(25) 상기 (1) 내지 (24)중 하나에서, 흡입 노즐체가 상승되는 경우에 임펠러의 회전을 자동적으로 약화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26) 상기 (1) 내지 (25)중 하나에서, 플로어 표면의 개방부 폐쇄 특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노즐체는 전기 송풍 모터의 흡입력을 사용하여 피소제 표면 주위를 청소하며, 흡입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는 임펠러는 내부 부분에 설치되고 다음과 같은 모드를 갖는다.
(A) 임펠러 전체 또는 그 일부에 대하여 브러시 부재 및/또는 블레이드 부재가 피소제 표면에 접촉하도록 부착되고, 임펠러 전체 또는 그 일부는 회전 브러시 부재 및/또는 회전 블레이드 부재로서 작용한다.
(B) 상기 (A)에서, 브러시 부재 및/또는 블레이드 부재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 하나 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 부재, 또는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와 블레이드 부재가 조합된 형상으로 임펠러에 나선형으로 부착된다.
(C) 상기 (A) 또는 (B)에서, 임펠러의 길이는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의 종방향 반부 길이보다 길다.
(D) 상기 (A) 내지 (C)중 하나에서, 브러시 부재 및/또는 블레이드 부재는 임펠러의 블레이드로부터 외주연 측으로 연장된다.
(E) 상기 (A) 내지 (D)중 하나에서, 케이스는 임펠러의 외측에 마련되고 플로어 표면측에 대하여 개방된다.
(F) 상기 (A) 내지 (E)중 하나에서, 흡입 노즐체의 양단부 근처에서 피소제 표면에 면한 개방면과는 별개로 되고 외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입구 노즐이 마련되고, 출구 노즐은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팁단부가 흡입 노즐체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출구 노즐의 연장 축선에 대하여 상기 양단부 근처에서 입구 노즐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G) 상기 (F)에서, 임펠러의 직경은 양단부에서는 크고 중심부에서는 작다.
(H) 상기 (A) 내지 (E)중 하나에서, 흡입 노즐체의 중심부에서 피소제 표면에 면한 개방면과는 별개로 되고 외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입구 노즐이 마련되고, 공기류 통로는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에서 임펠러의 수용 구역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출구 노즐은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팁단부가 흡입 노즐체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I) 상기 (A) 내지 (H)중 하나에서, 임펠러의 직경은 회전 토오크가 카페트 상에서 50 gr·cm보다 크고 200 gr·cm보다 작게, 바람직하게는 80 gr·cm보다 크고 100 gr·cm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된다.
(J) 회전 브러시가 임펠러와 동축으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임펠러와 회전 브러시 사이에는 격벽 등이 마련되지 않는다.
(K) 상기 (J)에서, 회전 브러시의 하부면은 플로어 표면에 대하여 개방되지만 임펠러가 존재하는 부분은 개방되지 않는다.
(L) 상기 (J) 또는 (K)에서, 브러시 부재 또는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브러시의 직경은 임펠러의 직경보다 크다.
(M) 상기 (J) 내지 (L)중 하나에서, 브러시 부재 또는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회전 브러시의 축 직경은 임펠러의 직경보다 작다.
(N) 상기 (J) 내지 (M)중 하나에서, 블레이드 부재는 회전 브러시의 축에 부착되어 있다.
(O) 흡입 노즐체의 외측부를 통해서 흡입된 유체 전체 또는 그 일부가 임펠러에 먼저 충돌한 후에 상기 유체가 피소제 표면을 통과하여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흡입되는 공기류 정상 통로가 형성된다.
(P) 상기 (O)에서, 임펠러의 회전 방향 쪽으로 유체를 송풍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노즐이 마련된다.
(Q) 상기 (O) 또는 (P)에서,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에 있는 공기 입구와 출구는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R) 상기 (A) 내지 (Q)중 하나에서, 임펠러의 회전수는 1,000 r/min보다 크고 10,000 r/min보다 작다.
(S) 상기 (A) 내지 (R)중 하나에서, 흡입 노즐체의 외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입구 노즐의 면적은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의 정압이 카페트 상에서 -3,000 Pa보다 크고 -200 Pa보다 작도록 설정된다.
(T) 상기 (A) 내지 (S)중 하나에서, 임펠러 자체의 베인은 비틀린 구조를 취한다.
(U) 상기 (A) 내지 (T)중 하나에서, 휠들은 케이스의 바닥부 및 측면부에 부착되고, 피소제 표면에서 침입차를 이용하여 적어도 카페트 및 플로어 등의 플로어 표면에 반응하여 임펠러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기능이 제공되어 있다.
(V) 상기 (A) 내지 (U)중 하나에서, 카페트 상에서의 회전수는 1,000 r/min보다 크고 10,000 r/min보다 작고, 플로어 상에서의 회전수는 카페트 상에서의 회전수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3,000 r/min보다 크고 4,000 r/min 보다 작다. 이 경우에, 카페트 상에서의 회전수는 흡입 노즐체의 상승 기간중의 회전수보다 크거나 바람직하게는 플로어 상에서의 회전수보다 크며, 플로어 상에서의 회전수는 흡입 노즐체의 상승 기간중의 회전수보다 크다.
(W) 상기 (A) 내지 (V)중 하나에서, 흡입 노즐체가 상승되는 경우에 임펠러의 회전을 자동적으로 약화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X) 상기 (A) 내지 (V)중 하나에서, 플로어 표면의 개방부의 폐쇄 특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페트는 소위 표준형 카페트를 의미한다. 즉, 표준형 카페트는 1983년 8월 31일자로 사단법인 일본전기공업회의 청소기 기술 전문 위원회가 발행한 국제 전기 표준 회의(IEC) 발간 번호 312의 제2판(1981년)에 기재된 부록 A의 제51면에 기재된 것이다.
즉, IEC-SC59F(Secretariat) 26의 진공 청소기의 성능 측정 방법 부록 A, 소색인 A, 1.1.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카페트는 다음 상태 및 중량을 갖는 것을 채용하였다. 다시 말해서, 윌톤 카페트는 순모 윌톤형으로서 6 내지 7 mm의 파일 높이와 1.40 내지 1.55 kg/m2인 파일 중량 및 m2당 140,000 내지 175,000인 V터프트형 파일 및 터프트 수를 갖고 있다. 이 시험용 카페트는 일본공업규격(JIS)에도 JIS-L-4404(섬유 카페트)로서 규정되어 있다.
또한, 플로어는 목재 플로어를 의미하지만 특별하게 지정하지 않더라도 다다미에도 적용할 수 있다. 플로어에 대해서는 상기에 언급한 부록 A에 표준 플로어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임펠러는 방향성을 갖는 공기류를 제어함으로써 토오크(회전력)를 직접 발생하며 이는 금속 재료(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수지 주형 재료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베인부는 브러시 부재(일반적인 용어로는 브러시 부재 및 블레이드 부재임)의 강성보다 큰 강성을 갖는다. 또한, 브러시 부재는 일반적인 카페트로서의 스폰지형 부재를 포함하고, 블레이드부는 블레이드 부재 단독으로 그리고 블레이드 부재와 브러시 부재와의 조합 형태로 구성된다. 블레이드 부재의 강성은 상기에 설명한 블레이드부 강성보다 작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입 노즐체의 외측부로부터 흡입된 유체 전체 또는 그 일부가 임펠러에 먼저 충돌하기 때문에 임펠러를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토오크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임펠러와 회전 브러시 사이에 격벽이 없기 때문에 흡입 노즐체가 상승되는 경우에 공기는 플로어 표면의 개구부로부터 대부분 흡입되고 노즐로부터의 흡입은 거의 일어나지 않아서 임펠러가 거의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우연하게 자신의 손가락을 흡입 노즐체에 넣더라도 안전이 보장된다.
임펠러의 길이를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의 종방향 길이의 반부 길이보다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기술에서 임펠러 및 브러시 부재는 동일 축 상에 구성되어 있으나, 블레이드 설치부 및 임펠러 설치부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블레이드 설치부에서 먼지를 쓸어 내는 것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블레이드 설치부를 짧게 하고 소제 가능 범위를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임펠러 및 브러시 부재가 일체로 구성되고 임펠러의 길이도 비교적 길게 할 수 있다.
임펠러의 회전수는 1,000 r/min보다 크고 10,000 r/min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임펠러가 1,000 r/min보다 작은 회전수로 회전하는 경우에 먼지를 효과적으로 쓸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임펠러의 회전수가 큰 경우에 먼지 수집 능력은 높아지지만, 임펠러의 회전수가 10,000 r/min을 초과하게 되면 먼지 수집 능력은 포화 상태로 되고 임펠러의 회전수에 따른 소음이 커지게 된다.
또한, 흡입 노즐체의 외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노즐의 단면적은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의 정압이 카페트 상에서 -3,000 Pa보다 크고 -200 Pa보다 작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 노즐의 단면적은 흡입 노즐체의 정압에 따라 결정되지만, 정압의 절대값이 낮아서(부압이 작아서) -200 Pa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 노즐을 통해서 임펠러에 충돌하기 위한 공기류의 속도가 낮아져서 소정의 토오크를 발생시킬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정압의 절대값이 높아서(부압이 커서) -3,000 P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흡입 노즐체가 카페트에 고착되어 흡입 노즐체의 작동을 수행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고, 또한 플로어 표면으로부터의 공기 누설이 커져서 토오크가 포화 상태로 된다.
임펠러의 직경은 필요한 회전 토오크가 얻어지는 상태에서 가능한 한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카페트 상에서 50 gr·cm(바람직하게는 80 gr·cm)보다 크고 200 gr·cm(바람직하게는 100 gr·cm)보다 작은 토오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에 설명한 범위 내에서 임펠러의 직경을 결정하는 데 유용하다.
카페트에 대하여, 피소제 표면에 적합한 최적 회전수는 1,000 r/min(바람직하게는 3,000 r/min)보다 크고 10,000 r/min(바람직하게는 4,000 r/min)보다 작은 회전수이다. 목재 플로어 및 다다미에 대해서는 브러시 부재가 플로어 및 다다미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최적 회전수에 대한 개념이 존재하지 않지만 소음의 관점에서 보면 낮은(50 dB미만)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회전수는 카페트 상의 회전수 > 상승 기간중의 회전수인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카페트 상의 회전수 < 상승 기간중의 회전수인 관계로 되어 있다. 바람직한 토오크는 카페트 상의 토오크 > 상승 기간중의 토오크인 관계로 되어 있으나, 종래 기술에서는 토오크가 카페트 상에서 상승 기간중에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 노즐체의 외측부로부터 흡입된 유체 전체 및 그 일부가 먼저 임펠러에 충돌하고 나서 임펠러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 후의 공기의 유동 순서는 진공 청소기의 본체로부터 피소제 표면을 통해서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흡입 노즐체의 외측부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먼저 피소제 표면을 통과하고, 수집된 먼지를 포함한 상태로 공기가 노즐체를 통해서 임펠러에 충돌하도록 되어 있다. 임펠러가 공기에 의해 회전된 후에 공기가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흡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러시 부재가 임펠러에 동일 축 상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형 및 경량이고 저소음인 흡입 노즐체 및 이 노즐체를 사용하는 진공 청소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흡입 노즐체의 상승중에 임펠러의 회전이 자동적으로 약화되거나 정지되기 때문에 회전 브러시의 고속 회전에 기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우연하게 흡입 노즐체 안에 넣더라도 안전이 보장된다.
또한, 브러시 부재가 플로어 표면에 접촉하는 부분에서는 고속 공기류도 플로어 표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플로어 표면으로부터 먼지를 쓸어 내는 작동이 용이하게 수행되고 쓸린 먼지가 출구 노즐에 용이하게 이송되며, 따라서 먼지 수집 성능이 개선된다.
또한, 신호선을 사용하지 않고 적외선, 초음파 및 전파를 사용하여 스위치 조작 유닛으로부터의 신호를 진공 청소기 본체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호스 및 연장관의 내부에 코어 와이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연장관 및 호스를 경량 구조로 할 수 있고 작동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호스를 커플링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용 전압이 인가되는 전기 와이어가 호스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최악의 경우에 호스가 파손되더라도 사용자의 안전이 보장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흡입 노즐체의 사시도이다. 101은 흡입 노즐체 본체, 102는 플로어 표면, 103은 임펠러, 104는 임펠러의 외주연에서 나선형으로 권선된 브러시 부재, 105 내지 106은 흡입 노즐체의 외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입구 노즐이다.
도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외관도이다. 201은 진공 청소기 본체, 203은 호스 파지부에 배열된 스위치 조작 유닛, 204는 연장관, 101은 흡입 노즐체 본체이다.
도3은 흡입 노즐체 본체(101)의 상부면 사시도이다. 도3에서, 301은 흡입 노즐체 본체의 출구 노즐, 302 내지 303은 나선형 공기류이다.
도4는 흡입 노즐체 본체(101)의 A-A'선 단면도이다. 401은 카페트, 402는 플로어 표면의 개방부, 403 및 405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 화살표이다.
도5는 흡입 노즐체 본체(101)의 B-B'선 단면도이다. 501은 흡입 노즐체 본체의 커플링부, 502는 출구 노즐, 503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도시한 화살표, 504는 흡입 노즐체의 커플링부(501)가 상하로 이동가능한 것을 도시한 화살표이다.
도6은 흡입 노즐체 본체(101)의 C-C'선 단면도이다. 601은 흡입 노즐체 본체의 측면, 602 내지 603은 플로어에서 사용하기 위한 휠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공 청소기 사용자가 호스 파지부의 스위치 조작 유닛(203)을 조작하면, 진공 청소기 본체(201)의 전기 송풍 모터가 조작 스위치에 따른 작동 모드로 구동된다. 전기 송풍 모터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은 호스(202) 및 연장관(204)을 통과하여 흡입 노즐체 본체(101)에 도달한다.
도4에 도시된 것처럼 플로어 표면 개방부(402)가 카페트(401)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흡입 노즐체 본체(101) 내의 공기는 입구 노즐(106, 105)로부터 흡입되어 임펠러(103)에 충돌되며, 이로써 토오크가 발생하고 임펠러(103)가 회전하게 된다. 그 후에 공기는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의 벽 표면(404)에 충돌하여 그 속도가 회전 각속도로 변경되며, 화살표(405) 방향으로 고속 회전 상태로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도3에 도시된 것처럼 공기가 출구 노즐(301)로부터 흡입되기 때문에 축방향(304, 305)으로의 속도가 발생하여 나선형 공기류(302, 303)가 발생하며, 이들 공기류에서 중심축은 플로어 표면(40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갖는다. 나선형 공기류(302, 303)가 임펠러(103)의 주연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임펠러는 토오크를 더 받게 된다.
카페트 상의 먼지는 브러시 부재(104)에 의해 플로어 표면 개방부(402)로부터 쓸려서 나선형 공기류(302, 303)에 의해 이송된다. 이 공기는 출구 노즐(502)을 통과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201) 안에 흡입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것처럼 휠(602 내지 603)이 카페트에 침입하기 때문에 플로어 표면 개방부(402)와 플로어 표면(401) 사이에 형성된 갭이 사라지고, 이로써 대부분의 공기가 입구 노즐(105 내지 106)을 통해서 흡입된다. 따라서, 임펠러(103)는 고속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도7에 도시된 것처럼 휠(602 내지 603)은 플로어 또는 다다미에서는 거의 침입하지 않으며 플로어 표면 개방부(402)와 플로어 표면(401) 사이에 형성된 갭이 나타나며, 이로써 입구 노즐(105 내지 106)을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가 감소된다. 따라서, 임펠러(103)의 회전 속도가 작아지게 되고, 플로어 또는 다다미에 적합한 회전수를 자동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흡입 노즐체가 상승되면 대부분의 공기가 플로어 표면 개방부(402)로부터 흡입되기 때문에 임펠러(103)가 거의 회전하지 않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우연하게 자신의 손가락을 흡입 노즐체 안에 넣더라도 안전이 보장된다.
또한, 도8에 도시된 것처럼 임펠러(801)는 비틀린 구조를 취하며, 흡입 노즐체 내의 나선형 공기류의 양측면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는 축방향 기류(804, 805)의 에너지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임펠러(801)의 회전 토오크를 개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임펠러(801)의 좌우측 반부에서 축방향 기류(804, 805)가 역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비틀린 방향들이 역으로 된 구조를 취한다.
또한, 임펠러의 축 상의 브러시 부재(802, 803)를 블레이드 부재의 비틀림을 따라 배열할 수도 있다. 또한, 고무 재료(902 내지 903) 및 판 재료(904, 905)를 플로어 표면 접촉부에 설치할 수 있어서 플로어 표면 개방부(402)의 폐쇄각을 증가시킴으로써 입구 노즐(105 내지 106)을 통해서 흡입된 공기량을 크게 할 수 있어서 임펠러의 회전 토오크를 개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노즐이 마련되고 공기가 흡입 노즐체의 양측면으로부터 흡입되도록 되어 있으나, 항상 두 부분을 마련할 필요는 없고 흡입 노즐체의 전방면 전체를 노즐로 형성함으로써 흡입 노즐체를 개방할 수도 있다. 또한, 노즐을 흡입 노즐체의 후방면에 마련할 수 있으며, 이는 임펠러의 회전 방향을 역으로 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도10에 도시된 것처럼 두개의 임펠러를 마련하고 흡입 노즐체 전방부 및 후방부에 임펠러의 각 회전 방향에 대하여 입구 노즐들을 마련함으로써 먼지 수집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11에 도시된 것처럼 입구 노즐(111)을 흡입 노즐체의 중심부에 마련할 수 있으며, 출구 노즐(114, 115)을 흡입 노즐체의 양단부에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공기류의 축방향 유동(114, 115)이 역으로 되기 때문에 임펠러(116)의 비틀림 구조가 역으로 된다.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이 실시예에 따르면, 임펠러 및 브러시 부재가 동일 축 상에 구성되며, 소형이고 경량이며 저소음인 진공 청소기용 흡입 노즐체 및 이러한 흡입 노즐체를 갖는 진공 청소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흡입 노즐체의 상승중에는 임펠러의 회전이 자동적으로 약화되거나 정지하기 때문에 회전 브러시의 고속 회전에 기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가 우연하게 자신의 손가락을 흡입 노즐체 안에 넣더라도 안전이 보장된다.
또한, 브러시 부재가 플로어 표면에 접촉하는 부분에서는 고속 공기류도 플로어 표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플로어 표면으로부터 먼지를 쓸어 내는 작동이 용이하게 수행되고 이렇게 쓸린 먼지가 출구 노즐에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으므로 먼지 수집 성능이 개선된다.
또한, 신호선을 사용하지 않고 적외선, 초음파 및 전파를 사용하여 스위치 조작 유닛으로부터의 신호를 진공 청소기 본체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호스 및 연장관의 내부에 코어 와이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연장관 및 호스를 경량 구조로 할 수 있고 작동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호스를 커플링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으며, 상용 전압이 인가되는 전기 와이어가 호스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최악의 경우에 호스가 파손되더라도 사용자의 안전이 보장된다.
〈제2실시예〉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2는 흡입 노즐체의 상부면 사시도이다. 도12에서, 121 내지 122는 대경 임펠러, 123은 소경 임펠러, 124는 브러시 부재, 125 내지 126은 흡입 노즐체의 외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 노즐, 127은 흡입 노즐체의 입구 노즐, 128 내지 129는 나선형 공기류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공 청소기 사용자가 호스 파지부의 스위치 조작 유닛(203)을 조작하면, 진공 청소기 본체(201)의 전기 송풍 모터가 조작 스위치에 따른 작동 모드로 구동된다. 전기 송풍 모터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은 호스(202) 및 연장관(204)을 통과하여 흡입 노즐체 본체(101)에 도달한다.
플로어 표면 개방부(129)가 카페트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공기가 입구 노즐(125, 126)을 통해서 흡입되어 임펠러(121, 122)에 충돌하며, 이로써 토오크가 발생하고 그 후에 공기가 나선형 공기류(128)로 된다. 나선형 공기류(128)가 소경 임펠러(123)의 주연 주위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임펠러가 토오크를 더 받게 된다.
카페트 상의 먼지는 브러시 부재(124)에 의해 쓸려서 나선형 공기류(128)에 의해 이송된다. 이 공기는 출구 노즐(127)을 통과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201) 안에 흡입된다.
또한, 흡입 노즐체가 상승되면 대부분의 공기가 플로어 표면 개방부(129)로부터 흡입되기 때문에 임펠러(123)가 거의 회전하지 않고, 따라서 사용자가 우연하게 자신의 손가락을 흡입 노즐체 안에 넣더라도 안전이 보장된다.
또한, 도13에 도시된 것처럼 대경 임펠러(125, 126)에 의해 발생한 토오크가 충분한 경우에는 중심부(131)를 축으로서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브러시 부재(132)를 설치해도 지장이 없다.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이 실시예에 따르면, 임펠러 및 브러시 부재가 동일 축 상에 구성되며, 소형이고 경량이며 저소음인 진공 청소기용 흡입 노즐체 및 이러한 흡입 노즐체를 갖는 진공 청소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르면 임펠러의 중심부를 얇게 형성할 수 있고 더욱 소형이고 경량인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플로어 표면 개방부의 대경 임펠러의 하부 부분 아래의 부분이 폐쇄되며, 거친 카페트 등의 침입 정도가 큰 카페트의 경우에는 카페트가 흡입 노즐체 안에는 도입되지만 임펠러에는 충돌하지 않게 되며, 이로써 임펠러의 회전이 정지되지 않는다.
또한, 흡입 노즐체의 상승중에 임펠러의 회전이 자동적으로 약화되거나 정지되기 때문에 회전 브러시의 고속 회전에 기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가 우연하게 자신의 손가락을 흡입 노즐체 안에 넣더라도 안전이 보장된다.
또한, 브러시 부재가 플로어 표면에 접촉하는 부분에서는 고속 공기류도 플로어 표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플로어 표면으로부터 먼지를 쓸어 내는 작동이 용이하게 수행되고 쓸린 먼지가 출구 노즐에 용이하게 이송되며, 따라서 먼지 수집 성능이 개선된다.
또한, 신호선을 사용하지 않고 적외선, 초음파 및 전파를 사용하여 스위치 조작 유닛으로부터의 신호를 진공 청소기 본체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호스 및 연장관의 내부에 코어 와이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연장관 및 호스를 경량 구조로 할 수 있고 작동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호스를 커플링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으며, 상용 전압이 인가되는 전기 와이어가 호스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최악의 경우에 호스가 파손되더라도 사용자의 안전이 보장된다.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이 실시예에 따르면, 임펠러 및 브러시 부재가 동일 축 상에 구성되며, 소형이고 경량이며 저소음인 진공 청소기용 흡입 노즐체 및 이러한 흡입 노즐체를 갖는 진공 청소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흡입 노즐체의 상승중에는 임펠러의 회전이 자동적으로 약화되거나 정지하기 때문에 회전 브러시의 고속 회전에 기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가 우연하게 자신의 손가락을 흡입 노즐체 안에 넣더라도 안전이 보장된다.
또한, 브러시 부재가 플로어 표면에 접촉하는 부분에서는 고속 공기류도 플로어 표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플로어 표면으로부터 먼지를 쓸어 내는 작동이 용이하게 수행되고 이렇게 쓸린 먼지가 출구 노즐에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으므로 먼지 수집 성능이 개선된다.
또한, 신호선을 사용하지 않고 적외선, 초음파 및 전파를 사용하여 스위치 조작 유닛으로부터의 신호를 진공 청소기 본체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호스 및 연장관의 내부에 코어 와이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연장관 및 호스를 경량 구조로 할 수 있고 작동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호스를 커플링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으며, 상용 전압이 인가되는 전기 와이어가 호스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최악의 경우에 호스가 파손되더라도 사용자의 안전이 보장된다.

Claims (58)

  1. 흡입력을 발생하는 전기 송풍 모터, 전기 송풍 모터를 수납하는 케이스, 전기 송풍 모터의 흡입측에서 케이스에 형성된 먼지 수집부, 먼지 수집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케이스의 개방부에 연결된 호스 및/또는 연장관,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중간에 위치하거나 호스 및 연장관의 연결부 근처에 위치하여 전기 송풍 모터의 구동 작동을 수행하는 스위치 조작 유닛,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팁단부에 연결된 흡입 노즐체를 포함하며, 전기 송풍 모터의 흡입력을 사용하여 피소제 표면을 소제하도록 구성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임펠러가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에 마련되어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고,
    브러시 부재 및/또는 블레이드 부재가 임펠러 전체 또는 그 일부에 부착되어 피소제 표면에 접촉하고,
    상기 임펠러 전체 또는 그 일부가 회전 브러시 부재 및/또는 회전 블레이드 부재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브러시 부재 및/또는 블레이드 부재가 하나 또는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 하나의 블레이드 부재 또는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 또는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와 블레이드 부재가 조합된 형상으로 임펠러에 나선형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임펠러의 길이가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의 종방향 반부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한 항에 있어서, 브러시 부재 및/또는 블레이드 부재가 임펠러의 베인으로부터 외주연 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5. 제1항 내지 제4항중 한 항에 있어서, 케이스가 임펠러의 외측에 마련되고 플로어 표면측에 대하여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6. 제1항 내지 제5항중 한 항에 있어서, 흡입 노즐체의 양단부 근처에서 피소제 표면에 면한 개방면과는 별개로 되고 외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입구 노즐이 마련되고, 출구 노즐이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팁단부가 흡입 노즐체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출구 노즐의 연장 축선에 대하여 상기 양단부 근처에서 입구 노즐이 대칭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임펠러의 직경이 양단부에서는 크고 중심부에서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8. 제1항 내지 제5항중 한 항에 있어서, 흡입 노즐체의 중심부에서 피소제 표면에 면한 개방면과는 별개로 되고 외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입구 노즐이 마련되고, 공기류 통로가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에서 임펠러의 수용 구역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출구 노즐이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팁단부가 흡입 노즐체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9. 제1항 내지 제8항중 한 항에 있어서, 임펠러의 직경이 카페트 상에서 50 gr·cm보다 크고 200 gr·cm보다 작은 회전 토오크를 갖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가 80 gr·cm보다 크고 100 gr·cm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1. 흡입력을 발생하는 전기 송풍 모터, 전기 송풍 모터를 수납하는 케이스, 전기 송풍 모터의 흡입측에서 케이스에 형성된 먼지 수집부, 먼지 수집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케이스의 개방부에 연결된 호스 및/또는 연장관,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중간에 위치하거나 호스 및 연장관의 연결부 근처에 위치하여 전기 송풍 모터의 구동 작동을 수행하는 스위치 조작 유닛,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팁단부에 연결된 흡입 노즐체를 포함하며, 전기 송풍 모터의 흡입력을 사용하여 피소제 표면을 소제하도록 구성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임펠러가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에 마련되어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 브러시가 임펠러와 동축으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임펠러와 회전 브러시 사이에 격벽 등이 마련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회전 브러시의 하부면이 플로어 표면에 대하여 개방되지만 임펠러가 존재하는 부분은 개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브러시 부재 또는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브러시의 직경이 임펠러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4. 제11항 내지 제13항중 한 항에 있어서, 브러시 부재 또는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회전 브러시의 축 직경이 임펠러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5. 제11항 내지 제14항중 한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 부재가 회전 브러시의 축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6. 흡입력을 발생하는 전기 송풍 모터, 전기 송풍 모터를 수납하는 케이스, 전기 송풍 모터의 흡입측에서 케이스에 형성된 먼지 수집부, 먼지 수집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케이스의 개방부에 연결된 호스 및/또는 연장관,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중간에 위치하거나 호스 및 연장관의 연결부 근처에 위치하여 전기 송풍 모터의 구동 작동을 수행하는 스위치 조작 유닛,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팁단부에 연결된 흡입 노즐체를 포함하며, 전기 송풍 모터의 흡입력을 사용하여 피소제 표면을 소제하도록 구성된 진공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 노즐체의 외측부를 통해서 흡입된 유체 전체 또는 그 일부가 임펠러에 먼저 충돌한 후에 상기 유체가 피소제 표면을 통과하여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흡입되는 공기류 정상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임펠러의 회전 방향 쪽으로 유체를 송풍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노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에 있는 공기 입구와 출구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19. 제1항 내지 제18항중 한 항에 있어서, 스위치 조작 유닛이 전원용 온-오프 및 흡입력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그룹과, 작동 신호를 스위치 조작 유닛으로부터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무선 방식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0. 제1항 내지 제19항중 한 항에 있어서, 임펠러의 회전수가 1,000 r/min보다 크고 10,000 r/min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1. 제1항 내지 제20항중 한 항에 있어서, 흡입 노즐체의 외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입구 노즐의 면적이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의 정압이 카페트 상에서 -3,000 Pa보다 크고 -200 Pa보다 작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2. 제1항 내지 제21항중 한 항에 있어서, 임펠러 자체의 베인이 비틀린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3. 제1항 내지 제22항중 한 항에 있어서, 휠들이 케이스의 바닥부 및 측면부에 부착되고, 피소제 표면에서 침입차를 이용하여 적어도 카페트 및 플로어 등의 플로어 표면에 반응하여 임펠러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기능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4. 제1항 내지 제23항중 한 항에 있어서, 카페트 상에서의 회전수가 1,000 r/min보다 크고 10,000 r/min보다 작으며, 플로어 상에서의 회전수가 카페트 상에서의 회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카페트 상에서의 회전수가 3,000 r/min보다 크고 4,000 r/min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6. 제24항에 있어서, 카페트 상에서의 회전수가 흡입 노즐체의 상승 기간중의 회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7. 제24항에 있어서, 카페트 상에서의 회전수가 플로어 상에서의 회전수보다 크고, 플로어 상에서의 회전수가 흡입 노즐체의 상승 기간중의 회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8. 제24항에 있어서, 카페트 상에서의 임펠러의 회전 토오크가 흡입 노즐체의 상승 기간중의 임펠러의 회전 토오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29. 제1항 내지 제23항중 한 항에 있어서, 흡입 노즐체가 상승되는 경우에 임펠러의 회전을 자동적으로 약화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기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30. 제1항 내지 제29항중 한 항에 있어서, 플로어 표면의 개방부 폐쇄 특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31. 전기 송풍 모터에 의한 흡입력을 사용하여 피소제 표면을 소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흡입력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를 내부 부분에 설치하고 있는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에 있어서,
    임펠러 전체 또는 그 일부에 대하여 브러시 부재 및/또는 블레이드 부재가 피소제 표면에 접촉하도록 부착되고,
    임펠러 전체 또는 그 일부가 회전 브러시 부재 및/또는 회전 블레이드 부재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32. 제31항에 있어서, 브러시 부재 및/또는 블레이드 부재가 하나 또는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 하나 또는 복수개의 블레이드 부재, 또는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와 블레이드 부재가 조합된 형상으로 임펠러에 나선형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임펠러의 길이가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의 종방향 반부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34. 제31항 내지 제33항중 한 항에 있어서, 브러시 부재 및/또는 블레이드 부재가 임펠러의 블레이드로부터 외주연 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35. 제31항 내지 제34항중 한 항에 있어서, 케이스가 임펠러의 외측에 마련되고 플로어 표면측에 대하여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36. 제31항 내지 제35항중 한 항에 있어서, 흡입 노즐체의 양단부 근처에서 피소제 표면에 면한 개방면과는 별개로 되고 외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입구 노즐이 마련되고, 출구 노즐이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팁단부가 흡입 노즐체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출구 노즐의 연장 축선에 대하여 상기 양단부 근처에서 입구 노즐이 대칭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37. 제36항에 있어서, 임펠러의 직경이 양단부에서는 크고 중심부에서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38. 제31항 내지 제35항중 한 항에 있어서, 흡입 노즐체의 중심부에서 피소제 표면에 면한 개방면과는 별개로 되고 외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입구 노즐이 마련되고, 공기류 통로가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에서 임펠러의 수용 구역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출구 노즐이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팁단부가 흡입 노즐체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39. 제31항 내지 제38항중 한 항에 있어서, 임펠러의 직경이 카페트 상에서 50 gr·cm보다 크고 200 gr·cm보다 작은 회전 토오크를 갖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가 80 gr·cm보다 크고 100 gr·cm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41. 흡입력을 발생하는 전기 송풍 모터, 전기 송풍 모터를 수납하는 케이스, 전기 송풍 모터의 흡입측에서 케이스에 형성된 먼지 수집부, 먼지 수집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케이스의 개방부에 연결된 호스 및/또는 연장관,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중간에 위치하거나 호스 및 연장관의 연결부 근처에 위치하여 전기 송풍 모터의 구동 작동을 수행하는 스위치 조작 유닛,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팁단부에 연결된 흡입 노즐체를 포함하며, 전기 송풍 모터의 흡입력을 사용하여 피소제 표면을 소제하도록 구성된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에 있어서,
    임펠러가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에 마련되어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 브러시가 임펠러와 동축으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임펠러와 회전 브러시 사이에 격벽 등이 마련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42. 제41항에 있어서, 회전 브러시의 하부면이 플로어 표면에 대하여 개방되지만 임펠러가 존재하는 부분은 개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브러시 부재 또는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브러시의 직경이 임펠러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44. 제41항 내지 제43항중 한 항에 있어서, 브러시 부재 또는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회전 브러시의 축 직경이 임펠러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45. 제41항 내지 제44항중 한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 부재가 회전 브러시의 축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46. 흡입력을 발생하는 전기 송풍 모터, 전기 송풍 모터를 수납하는 케이스, 전기 송풍 모터의 흡입측에서 케이스에 형성된 먼지 수집부, 먼지 수집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케이스의 개방부에 연결된 호스 및/또는 연장관,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중간에 위치하거나 호스 및 연장관의 연결부 근처에 위치하여 전기 송풍 모터의 구동 작동을 수행하는 스위치 조작 유닛, 호스 및/또는 연장관의 팁단부에 연결된 흡입 노즐체를 포함하며, 전기 송풍 모터의 흡입력을 사용하여 피소제 표면을 소제하도록 구성된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체에 있어서,
    흡입 노즐체의 외측부를 통해서 흡입된 유체 전체 또는 그 일부가 임펠러에 먼저 충돌한 후에 상기 유체가 피소제 표면을 통과하여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흡입되는 공기류 정상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47. 제46항에 있어서, 임펠러의 회전 방향 쪽으로 유체를 송풍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노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48.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에 있는 공기 입구와 출구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49. 제31항 내지 제48항중 한 항에 있어서, 임펠러의 회전수가 1,000 r/min보다 크고 10,000 r/min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50. 제31항 내지 제49항중 한 항에 있어서, 흡입 노즐체의 외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입구 노즐의 면적이 흡입 노즐체의 내부 부분의 정압이 카페트 상에서 -3,000 Pa보다 크고 -200 Pa보다 작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51. 제31항 내지 제50항중 한 항에 있어서, 임펠러 자체의 베인이 비틀린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52. 제31항 내지 제51항중 한 항에 있어서, 휠들이 케이스의 바닥부 및 측면부에 부착되고, 피소제 표면에서 침입차를 이용하여 적어도 카페트 및 플로어 등의 플로어 표면에 반응하여 임펠러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기능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53. 제31항 내지 제52항중 한 항에 있어서, 카페트 상에서의 회전수가 1,000 r/min보다 크고 10,000 r/min보다 작으며, 플로어 상에서의 회전수가 카페트 상에서의 회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54. 제53항에 있어서, 카페트 상에서의 회전수가 3,000 r/min보다 크고 4,000 r/min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55. 제53항에 있어서, 카페트 상에서의 회전수가 흡입 노즐체의 상승 기간중의 회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56. 제53항에 있어서, 카페트 상에서의 회전수가 플로어 상에서의 회전수보다 크고, 플로어 상에서의 회전수가 흡입 노즐체의 상승 기간중의 회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57. 제31항 내지 제52항중 한 항에 있어서, 흡입 노즐체가 상승되는 경우에 임펠러의 회전을 자동적으로 약화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기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58. 제31항 내지 제57항중 한 항에 있어서, 플로어 표면의 개방부 폐쇄 특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노즐체.
KR1019970706465A 1995-03-15 1995-03-15 진공 청소기 및 그 흡입 노즐체 KR199807030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5/000427 WO1996028081A1 (fr) 1995-03-15 1995-03-15 Aspirateur et suceur pour cet aspirate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056A true KR19980703056A (ko) 1998-09-05

Family

ID=14125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465A KR19980703056A (ko) 1995-03-15 1995-03-15 진공 청소기 및 그 흡입 노즐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12732B1 (ko)
EP (1) EP0815787B1 (ko)
JP (1) JP3080406B2 (ko)
KR (1) KR19980703056A (ko)
CN (1) CN1284499C (ko)
DE (1) DE69529176T2 (ko)
TW (1) TW400728U (ko)
WO (1) WO19960280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166B1 (ko) * 1999-10-05 2006-02-2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충전식 진공탱크를 구비한 청소기
KR100612207B1 (ko) * 1999-12-06 2006-08-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압축공기탱크를 갖는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39273B (en) * 1997-01-23 1998-09-01 Hitachi Taga Kogyo Kagi Kk A vacuum cleaner
TW410593U (en) * 1997-08-29 2000-11-01 Sanyo Electric Co Suction head for electric vacuum cleaner
JP3381695B2 (ja) * 1997-12-26 2003-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3381697B2 (ja) * 1997-12-26 2003-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NO20044535L (no) * 2004-10-22 2006-04-24 Odd Arvid Johansen Anordning ved sugemunnstykke
JP4993756B2 (ja) * 2008-03-27 2012-08-08 シャープ株式会社 掃除機用吸口体および掃除機
AU2012249245B2 (en) 2011-04-29 2015-05-14 Irobot Corporation Resilient and compressible roller and autonomous coverage robot
US11471020B2 (en) 2011-04-29 2022-10-18 Irobot Corporation Robotic vacuum cleaning system
JP5960823B2 (ja) * 2011-08-23 2016-08-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表面を清掃するための清掃装置
JP6067718B2 (ja) 2011-10-03 2017-01-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真空掃除機の床面ノズル
US9326654B2 (en) 2013-03-15 2016-05-03 Irobot Corporation Roller brush for surface cleaning robots
CN103494582A (zh) * 2013-09-30 2014-01-08 樊书印 一种微型吸尘器
JP6424461B2 (ja) * 2014-05-16 2018-11-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清掃部材、帯電装置、画像形成装置
US10375901B2 (en) 2014-12-09 2019-08-13 Mtd Products Inc Blower/vacuum
US10512384B2 (en) 2016-12-15 2019-12-24 Irobot Corporation Cleaning roller for cleaning robots
US10595624B2 (en) 2017-07-25 2020-03-24 Irobot Corporation Cleaning roller for cleaning robots
CN108355840B (zh) * 2018-04-12 2024-03-08 陈镇宇 静电式空气净化设备中集尘器的清理装置
US11109727B2 (en) 2019-02-28 2021-09-07 Irobot Corporation Cleaning rollers for cleaning robots
KR20210033849A (ko) * 2019-09-19 2021-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청소 노즐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415A (en) * 1893-06-27 Lewis p
US1323925A (en) * 1919-12-02 Vacuum cleaning device
US1209721A (en) * 1913-11-15 1916-12-26 James Blaine Kirby Vacuum cleaning device.
US1209722A (en) * 1914-03-28 1916-12-26 James B Kirby Vacuum cleaning-machine.
NL29156C (ko) * 1929-12-24
US2063253A (en) * 1933-11-25 1936-12-08 Siemens Ag Vacuum cleaning device
US2777152A (en) 1951-07-20 1957-01-15 Victor M Cosentino Suction operated cleaning brush
US2993224A (en) * 1956-10-01 1961-07-25 Ivan C Child Brush type vacuum cleaner nozzle of air motor type
SE363941B (ko) * 1971-12-28 1974-02-04 Electrolux Ab
JPS52122574A (en) 1976-04-02 1977-10-14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erbivorous solid fodder
JPS54177170U (ko) * 1978-06-02 1979-12-14
JPS5769665A (en) 1980-10-17 1982-04-28 Toshiba Corp Positive electrode for solid electrolyte battert
US4664343A (en) 1984-08-29 1987-05-12 Scott Science & Technology, Inc. Satelite transfer vehicle
US4733532A (en) * 1985-08-09 1988-03-29 The Scott Fetzer Company Fluid power train for small appliances
JPS63214217A (ja) * 1987-03-02 1988-09-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床ノズル
DE4035411A1 (de) 1990-11-07 1992-05-14 Siemens Ag Staubsaugermundstueck mit einem drehbar angeordneten, hohlen walzenkoerper
DE4105012C2 (de) * 1991-02-19 1994-09-29 Fedag Romanshorn Fa Staubsaugermundstück
JP2833312B2 (ja) 1992-01-07 1998-1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口体
JP3256791B2 (ja) * 1993-06-28 2002-02-12 株式会社コーワ 掃除機用吸入ノズル
TW242560B (en) 1993-08-30 1995-03-11 Hitachi Seisakusyo Kk Suction body of vacuum cleaner and the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such a suction body
KR19980023805A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166B1 (ko) * 1999-10-05 2006-02-2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충전식 진공탱크를 구비한 청소기
KR100612207B1 (ko) * 1999-12-06 2006-08-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압축공기탱크를 갖는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4499C (zh) 2006-11-15
JP3080406B2 (ja) 2000-08-28
DE69529176T2 (de) 2003-08-21
US6212732B1 (en) 2001-04-10
WO1996028081A1 (fr) 1996-09-19
EP0815787A1 (en) 1998-01-07
DE69529176D1 (de) 2003-01-23
CN1410025A (zh) 2003-04-16
TW400728U (en) 2000-08-01
EP0815787B1 (en) 2002-12-11
EP0815787A4 (en) 1998-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3056A (ko) 진공 청소기 및 그 흡입 노즐체
JP2008000382A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の吸口体を用いた電気掃除機
US6282749B1 (en) Vacuum cleaner and suction nozzle body thereof cross 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CA2254569C (en) Vacuum cleaner including ventilation fan for forming air current flow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rotary brush to suction member
EP1121044B1 (en) Cyclone dust collector
WO2016096037A1 (en) Vacuum cleaner nozzle and vacuum cleaner
KR100439007B1 (ko) 전기청소기의 마루용 흡입구
JP4051777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US20220273146A1 (en) Handheld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comprising a handheld vacuum cleaner
WO2015035545A1 (zh) 吸尘器吸嘴以及吸尘器具
JP3434184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3187346B2 (ja) 電気掃除機用吸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910760B2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口体
JPH11187988A (ja) 気流循環式掃除機
WO1996008192A1 (fr) Aspirateur et procede de nettoyage
JPH1156712A (ja) 電気掃除機
KR100282221B1 (ko) 바닥용 흡입기구
KR100199933B1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JP2894484B2 (ja) 電気掃除機
JPH1147051A (ja) 電気掃除機用吸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1198053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JPH1075920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および電気掃除機
JPH0928629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
JPH1119010A (ja) 床用吸込具
JPH07236601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