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967A - 칫솔 및 전동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및 전동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967A
KR19980702967A KR1019970706375A KR19970706375A KR19980702967A KR 19980702967 A KR19980702967 A KR 19980702967A KR 1019970706375 A KR1019970706375 A KR 1019970706375A KR 19970706375 A KR19970706375 A KR 19970706375A KR 19980702967 A KR19980702967 A KR 19980702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toothbrush
brush
handle
brush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6404B1 (ko
Inventor
마사노리 사토
Original Assignee
마사노리 사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6113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334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45559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334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60533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334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3202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781861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사노리 사토 filed Critical 마사노리 사토
Publication of KR1998070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4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2Brush body details, e.g. the shape thereof or connection to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08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not intended for simultaneous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2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 A61C17/2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0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characterized by the movement of the brush body
    • A61C17/3445Translation along the axis of the toothbrus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with multiple brush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0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characterized by the movement of the brush body
    • A61C17/3418Rotation around the axis of the toothbrus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2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25Preventing defects on the moulded article, e.g. weld lines, shrinkag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9/00Use of polyacetals, e.g. POM, i.e. polyoxymethylene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칫솔 및 전동칫솔
[발명의 상세한 설명]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치아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크(plaque)(치구), 치석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칫솔 및 전동칫솔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사람의 치아는 음식물의 저작(咀嚼)과 발음에는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조직이며, 그의 기능을 충분히 완수하기 위해서는 치주질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식사후나 취침전에 이를 닦아 플라크나 치석이 치경부(齒頸部) 등에 침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부터, 이를 닦기 위한 기구로서는 손잡이 단부에 브러시부를 식모한 칫솔이 사용되고 있는데, 근래에는 소위 전동칫솔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칫솔 및 전동칫솔은 수조작과 자동의 차이는 있어도, 일반적으로는 모두 브러시부를 축둘레방향으로 반복 요동시켜 사용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점]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칫솔 또는 전동칫솔에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즉, 사용에 있어서 자루부를 축둘레방향으로 요동운동시키면 브러시부가 윗방향 및 아랫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요동한다. 즉, 예를 들면 전동칫솔의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통을 보유한 채 브러시부를 치아의 측면이나 치경부에 맞닿게 하고 브러시부를 축둘레방향으로 요동운동시켜 사용하면, 브러시부의 아랫방향으로의 회전요동에 의해 잇몸의 단부가 치경부로부터 벗겨지고, 이 벗겨진 잇몸과 치경부 사이의 잇몸홈내에, 치아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가 브러시부에 의해 끼어 들어가게 된다. 이 경우, 이를 닦음으로써 오히려 플라크나 치석이 침착되어 치조농루 등의 치주질환의 원인이 될 염려가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과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강구된 본 발명의 수단은 다음과 같다.
제1발명에 있어서는, 손잡이와, 그 손잡이의 앞끝부분에 설치되고 단면형상이 거의 L자 형상이며 소정 길이로 형성된 크라운 캡(crown cap)과, 그 크라운 캡의 수직편 및 수평편의 내면에, 끝쪽이 상기 크라운 캡의 절곡부쪽으로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심어 설치한 브러시부를 구비한 칫솔이다.
제2발명에 있어서는, 손잡이 베이스와, 그 손잡이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베이스에 내장된 전동구동수단에 의해 적어도 출둘레방향으로 반복요동하는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의 앞끝부분에 설치되고 단면형상이 거의 L자 형상이며 소정길이로 형성된 크라운 캡과, 상기 크라운 캡의 수직편 및 수평면의 내면에, 끝쪽이 상기 크라운 캡의 절곡부쪽으로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심어 설치한 브러시부를 구비한 전동칫솔이다.
제3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또는 제2 발명에 따른 칫솔 또는 전동칫솔에서, 상기 크라운 캡에는, 상기 브러시부들중 한쪽의 돌출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수단과, 상기 손잡이 또는 상기 자루부의 앞끝부분이 상기 크라운 캡의 길이방향의 한쪽 또는 다른 쪽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하는 장착수단이 구비된 칫솔 또는 전동칫솔이다.
손잡이 또는 자루부와 크라운 캡을 분리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수단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크라운 캡의 양단부에 결합구멍을 형성하고, 한쪽의 결합구멍에 손잡이 또는 자루부의 앞끝부분에 마련된 결합체를 걸어맞추는 구조, 혹은 크라운 캡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구멍을 형성하고, 그 결합구멍에 손잡이 또는 자루부의 앞끝부분에 마련된 결합축을 삽입하는 구조 등, 공지의 수단이 이용된다.
브러시부의 경사각도는, 예를 들면 크라운 캡의 내면에 대하여 45° 이지만, 그 각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브러시부의 길이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같은 길이의 것, 혹은 단계적으로 길이를 바꾼 것 등, 적당히 설정된다.
브러시부의 돌출높이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브러시부를 심어 설치한 베이스를 나사를 사용하여 이동시키도록 한 구조 등, 공지의 수단이 이용된다.
제4발명에 있어서는, 손잡이와, 그 손잡이의 앞끝부분에 설치되고, 치아면과 대응하는 내벽부를 가지는 어금니용 감입부(嵌入部) 및 앞니용 감입부를 구비한 크라운 캡과, 그 크라운 캡의 상기 어금니용 감입부 및 앞니용 감입부의 상기 내벽부에, 끼워 넣어진 어금니 및 앞니의 치아의 끝으로 향하여 치아면과 30°에서 60°의 각도를 이루도록 심어 설치된 브러시부를 포함하는 칫솔이다.
제5 발명에 있어서는, 손잡이 베이스와, 그 손잡이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베이스에 내장된 전동구동수단에 의해 축돌레방향 또는 치아축방향 또는 치아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반복요동하도록 한 자루부와, 그 자루부의 앞끝부분에 설치되고, 치아면과 대응하는 내벽부를 가지는 어금니용 감입부 및 앞니용 감입부를 구비한 크라운 캡과, 그 크라운 캡의 상기 어금니용 감입부 및 앞니용 감입부의 상기 내벽부에, 끼워 넣어진 어금니 및 앞니의 치아의 끝으로 향하여 치아면과 30°에서 60°의 각도를 이루도록 심어 설치된 브러시부를 포함하는 전동칫솔이다.
제6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4 또는 제5 발명에 따른 칫솔 또는 전동칫솔에서, 상기 크라운 캡에는 어금니용 감입부 및 그것에 대응하는 브러시부만이 형성되어 있는 칫솔 또는 전동칫솔이다.
제7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4 또는 제5 발명에 따른 칫솔 또는 전동칫솔에서, 상기 크라운 캡에는 앞니용 감입부 및 그것에 대응하는 브러시부만이 형성되어 있는 칫솔 또는 전동칫솔이다.
상기한 발명들에서, 전동구동수단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모터와 캠기구의 조합 등, 공지수단이 이용된다.
브러시부의 경사각도는 각 감입부에 끼워 넣어지는 어금니 또는 앞니의 치아면에 대해 4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각도에 한정되지 않고 30°에서 60°의 범위내에서 적당히 설정된다. 또한, 브러시부의 길이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같은 길이의 것, 혹은 단계적으로 길이를 바꾼 것 등, 적당히 설정된다.
제8 발명에 있어서는, 손잡이부와, 그 손잡이부의 앞끝부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칫솔체로 이루어지고, 그 칫솔체에는, 브러시부가 사용할 때에 치아끝으로 향하여 치아 측면과 30°에서 60°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는 칫솔이다.
제9 발명에 있어서는, 손잡이 베이스와, 그 손잡이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베이스에 내장된 전동구동수단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한 진동부와, 그 진동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칫솔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칫솔체에는, 브러시부가 사용시에 치아의 끝으로 향하여 치아 측면과 30°에서 60°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동칫솔이다.
전동구동수단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모터와 캠기구의 조합 등, 공지수단이 이용된다.
칫솔체의 설치는 삽입되는 치아의 측면에 대해 브러시부의 각도가 4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30°에서 60°의 범위내에서 적당히 설정된다.
칫솔체의 갯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2∼3개 설치된다. 2개의 경우는, 치아의 양측면에 대응하여 설치되거나, 또는 1개는 치아의 교합면(咬合面)에 대응시키고 다른 1개는 치아의 한쪽면에 대응시켜 설치된다. 또한, 3개의 경우는, 1개를 치아의 교합면에 대응시키고 다른 2개는 치아의 양측명에 대응시켜 배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30° 미만 및 60°를 넘는 경우는, 브러시부 앞부분의 요동시의 치아면에의 접촉압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음식물 찌꺼기 등을 충분히 긁어 낼 수가 없다.
또한, 브러시부의 길이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같은 길이의 것, 혹은 단계적으로 길이를 바꾼 것 등, 적당히 설정된다.
제10 내지 제16 발명에 있어서는, 치아측면 또는 그 근방에 맞닿아 접하고, 그 치아측면을 따라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 치켜올리도록 반복요동하는 브러시부와, 그 브러시부를 반복요동시키는 반복요동부와, 그 반복요동부에 연계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는 전동칫솔이다.
또한, 상기 브러시부는 대략 역L자 형상의 케이싱의 일변측에 배치되고, 그 케이싱의 다른변측에는, 치아측면에 맞물리는 상기 브러시부의 맞닿음 위치를 가결정(假決定)하기 위한 가결정부재가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가결정부재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고, 또한, 강모(剛毛)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가결정부재는 높이 조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브러시부의 강모는 상하 2단으로 설치되고, 아래쪽으로 강모는 위쪽의 강모보다 길게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고, 또한, 상, 중, 하의 3단으로 설치되고 아래쪽으로부터 장(長), 단(短), 중(中)의 순서로 길이가 설정되어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작용]
제1 내지 제3 발명에 있어서, 칫솔을 사용할 때에는, 브러시부의 한쪽을 치아의 교합부에 맞닿아 접하게 하고, 다른쪽 브러시부를 치아측부와 잇몸과의 경계부(치경부)에 맞닿아 접하게 하고, 수조작의 칫솔에 있어서는 수조작에 의해 손잡이를 축둘레방향으로 반복요동시키고, 전동칫솔에서는 전동구동수단에 의해 자루부를 축둘레방향으로 반복요동시킨다.
한쪽의 브러시부의 돌출높이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가지는 것에서는, 먼저 조정측의 브러시부를 치아의 교합부에 맞닿아 접하게 하고, 다른쪽 브러시부가 치아측부의 잇몸과의 경계부(치경부)에 확실하게 맞닿아 접하도록 조정수단으로 조정한다.
또한, 조정수단을 가지는 것은, 조정측의 브러시부를 치아의 교합부에 항상 접하도록 하기 위해 방향성(方向性)이 있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크라운 캡을 다른 방향으로 갈아 끼워 방향을 바꾸어, 각 치열의 모든 면을 브러싱할 수 있도록 한다.
제4 내지 제7 발명에 있어서, 칫솔을 사용할 때에는, 먼저 어금니용 감입부에 어금니를 끼워넣거나, 혹은 앞니용 감입부에 앞니를 끼워넣으면, 각 브러시부는 각 치아의 치아면과 30°에서 60°의 범위내의 각도를 가지고 접한다. 이 상태에서 수조작의 칫솔에 있어서는, 수조작으로 손잡이를 축둘레방향 또는 치아축방향 또는 치아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반복요동시킨다. 또한, 전동칫솔에서는 전동구동수단으로 자루부를 축둘레방향 또는 치아축방향 또는 치아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반복요동시킨다.
제8 및 제9 발명에 있어서, 칫솔을 사용할 때에는, 브러시부로 둘러싸인 부분에 치아를 끼워넣는다. 그리하여, 치아의 측면에 위치하는 브러시부는 치아측면과 30°에서 60°의 범위내의 각도를 가지고 접한다. 이 상태에서, 수조작 칫솔에서는 수조작으로 손잡이부를 축둘레방향 또는 치아축방향 또는 치아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진동시킨다. 또한, 전동칫솔에서는 전동구동수단으로 자루부를 축둘레방향 또는 치아축방향 또는 치아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진동시킨다.
제10 내지 제16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동칫솔을 이용하여 이를 닦을 때에는, 브러시부를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치아측면이나 치경부에 브러시부를 맞닿아 접하게 하고, 상기 브러시부를 구동부와 연계한 반복요동부에 의해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해 치켜올리도록 반복요동시킨다.
또한, 상기 브러시부는 대략 역L자 형상의 케이싱의 일변측에 배치되고, 그 케이싱의 다른변측에는 치아측면에 맞물리는 상기 브러시부의 맞닿음 위치를 가결정하기 위한 가결정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리하여, 가결정부재를 치아의 크라운의 교합면 등에 맞닿아 접하게 하고 브러시부를 치아측면이나 치경부에 정확히 맞닿아 접하게 하여,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를 긁어내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결정부재는 탄성부재나 강모 등으로 구성되며, 또한 높이 조절이 자유롭게 설치해도 된다. 그리하여, 가결정부재가 치아의 크라운의 교합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브러시부를 치아측면으로부터 치경부로 적절히 맞닿아 접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브러시부의 강모는 상하 2단으로 설치하여 아래쪽의 강모를 위쪽의 강모보다 길게 형성하거나, 혹은 상, 중, 하의 3단으로 설치하여 아래쪽으로부터 장, 단, 중의 순서로 길이를 설정해도 된다. 그리하여, 브러시부의 강모가 치아의 치아측면으로부터 치경부에 따른 곡면에 접할 수 있어, 음식물 찌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16 발명들중 어떤 발명에 있어서도, 이때, 브러시부는 반복요동하고는 있지만, 브러시부의 설치방향을 치아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였기 때문에, 치아끝으로 향한 운동에서는 마찰력이 강하고, 반대측으로 향해서는 마찰력이 약하다. 그리하여, 치아의 교합부와 치아측부, 치경부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크, 치석은 각 감입부의 중앙부에 자연히 모아진다. 또한, 같은 이유로, 잇몸부가 치경부로부터 벗겨지지 않고, 치경부 등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크 등은 벗겨진 부분에 들어가지 않고 제거된다.
[실시예]
제1 내지 제3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브러시부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3도는 브러시부의 끝부분의 확대설명도이다.
부호 A1은 수조작으로 사용하는 칫솔을 나타낸다. 이 칫솔(A1)은 손잡이(1)와 크라운 캡(2)과 브러시부(3, 3a)를 갖추고 있다. 손잡이(1)는 플라스틱제의 봉형상체이며, 그의 선단부에는 장착수단인 결합체(10)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체(10)의 구조는 외측면이 만곡되어 뻗은 결합부를 가지는 가요편(可撓片)(11, 11)을 약간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한 것이다.
크라운 캡(2)은 플라스틱에 의해 필요한 길이로 단면형상이 거의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치아의 측면에 대응하는 수직편(垂直片)(21)과 치아의 교합부에 대응하는 수평편(水平片)(22)을 갖추고 있다. 크라운 캡(2)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각진 절곡부에는, 손잡이(1)의 결합체(10)가 끼워져 결합할 수 있는 장착수단인 결합구멍(20, 20)(제1도에서 안쪽의 것은 보이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결합체(10)와 결합구멍(20)은 약간의 힘으로 간단히 착탈할 수 있고, 또한 결합부는 고정된다.
크라운 캡(2)의 수직편(21)과 수평편(22)의 내면에는 브러시부(3, 3a)가 설치되어 있다. 수직편(21)측에 설치되어 있는 브러시부(3)는 끝쪽이 크라운 캡(2)의 절곡부쪽을 향하여 거의 45°의 각도로 경사지게 내면에 직접 심어져 설치되어 있다.
제2도를 참조한다. 수평편(22)에 설치되어 있는 브러시부(3a)는 조정수단에 의해 내면으로부터의 돌출높이가 일정한 범위로 조정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부호 30은 조정수단인 브러시 베이스이며,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 베이스(30)는 수평편(22)에 형성된 장방형의 가이드 구멍(24)내에 출입할 수 있게 수용되어 있다.
브러시 베이스(30)의 내부벽의 중앙부에는, 가이드 구멍(24)의 천장부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된 조정나사(25)의 선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조정나사(25)를 돌리면 브러시 베이스(30)가 가이드 구멍(24)내에서 출입함으로써, 브러시부(3a)의 돌출높이가 일정한 범위에서 조정가능하다.
또한, 브러시부(3a)는 브러시부(3)와 마찬가지로 끝쪽이 크라운 캡(2)의 절곡부쪽을 향하여 거의 45°의 각도로 경사지게 브러시 베이스(30)에 심어져 설치되어 있다.
제3도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러시부(3, 3a)의 브러시섬유의 선단측은 크라운 캡(2)의 절곡부쪽을 향하여 구부러져 있으며, 선단부는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브러싱할 때에 잇몸을 다치게 하지 않으며, 또한 치아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는 데에는 충분히 효과적이다.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칫솔의 사용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① 잇몸에서 나온 부분의 치아의 길이에는 개인차가 있다. 칫솔을 사용할 때에는 그것에 대응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정을 행한다.
먼저, 조정가능한 쪽의 브러시부(3a)의 선단을 치아의 교합부에 맞닿아 접하게 하고, 다른쪽의 브러시부(3)가 치아측부와 잇몸과의 경계부(치경부)에 확실히 맞닿아 접하도록, 브러시부(3a)의 돌출높이를 조정나사(25)를 돌림으로써 조정한다.
② 브러시부(3a)의 선단을 치아의 교합부에, 또한 브러시부(3)의 선단을 치아측부와 치경부에 맞닿아 접하게 하여 수조작으로 손잡이(1)를 축둘레방향으로 반복요동시킨다. 이때, 브러시부(3, 3a)는 반복 요동하고 있지만, 브러시부(3, 3a)는 끝쪽이 크라운 캡(2)의 절곡부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심어져 있기 때문에, 절곡부쪽으로 향한 요동에서는 마찰력이 강하고, 반대쪽으로 향해서는 마찰력이 약하다. 그리하여, 치아의 교합부와 치아측부, 치경부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크, 치석은 크라운 캡(2)의 내면측의 절곡부 구석에 자연히 모아진다. 또한, 같은 이유로, 잇몸부가 치경부로부터 벗겨지지 않고, 치경부 등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크 등은 치아부와 잇몸 사이로 들어가지 않고 제거된다.
③ 크라운 캡(2)의 한 방향으로 브러싱가능한 부분의 브러싱이 종료되면, 크라운 캡(2)을 손잡이(1)로부터 분리하여, 손잡이(1)의 결합체(10)를 크라운 캡(2)의 반대측의 결합구멍(20)에 끼워 결합시킨다. 그리하여, 크라운 캡(2)의 수직편(21)과 수평편(22)이 역방향으로 되어, 브러싱할 수 없었던 나머지 부분이 브러싱가능하게 된다.
구체예를 들어 설명하면, 예를 들면 크라운 캡(2)과 손잡이(1)를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한 경우, 아래턱의 치열에서는 왼쪽의 안쪽 치아로부터 앞니에 걸친 외면측과, 오른쪽의 안쪽 치아로부터 앞니에 걸친 내면측의 브러싱이 가능하다. 또한, 위턱의 치열에서는 왼쪽의 안쪽 치아로부터 앞니에 걸친 내면측과, 오른쪽의 안쪽 치아로부터 앞니에 걸친 외면측의 브러싱이 가능하다.
그리고, 크라운 캡(2)을 역방향으로 바꿔 끼우면, 나머지 부분인 아래턱의 치열에서 오른쪽의 안쪽 치아로부터 앞니에 걸친 외면측과, 왼쪽의 안쪽 치아로부터 앞니에 걸친 내면측 및 위턱의 치열에서 오른쪽의 안쪽 치아로부터 앞니에 걸친 내면측과, 왼쪽의 안쪽 치아로부터 앞니에 걸친 외면측의 브러싱이 가능해진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전동칫솔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 전동칫솔(A2)은 손잡이 베이스(5)를 갖추고 있다. 손잡이 베이스(5)의 앞부분에는 자루부(1a)가 설치되어 있다. 자루부(1a)는 손잡이 베이스(5)에 내장되어 있는 전동구동수단인 모터(51)에 의해 구동되고, 변환기구부(53)를 통해 축둘레방향으로 반복요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변환기구부(53)의 구조는 공지수단이 사용되고 있어,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루부(1a)의 움직임은 축둘레방향으로 반복요동하는 것이지만, 임의적으로는 축방향으로의 반복미끄럼운동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부호 52는 배터리이고, 54는 스위치이다.
또한, 자루부(1a)의 끝부분의 구조와, 자루부(1a)에 장착되는 크라운 캡(2) 및 브러시부(3, 3a)의 구조는 상기한 칫솔(A1)과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상기한 칫솔(A1)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이 실시예의 전동칫솔의 사용방법, 작용에 대해서는, 브러시부(3, 3a)의 반복요동이 전동에 의해 행해져 보다 효율적이다는 점이 상이할 뿐, 전술한 실시예의 칫솔(A1)과 대체로 동일하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의 칫솔(A3)은 상기한 칫솔(A1)과 마찬가지로 수조작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칫솔(A3)의 구조는 칫솔(A1)과는 달리 손잡이(1)가 크라운 캡(2a)의 한쪽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조정수단인 브러시 베이스(30) 등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브러시부(3a)가 수평편(22)에 직접 심어져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부분의 구조는 상기한 칫솔(A1)과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칫솔(A1)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사용방법, 작용에 대해서는 상기한 칫솔(A1)과 거의 같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칫솔(A3)은 칫솔(A1)과는 다르게 브러시부의 조정수단을 생략하고 있다. 즉, 브러시부의 돌출높이의 조정은 불가능하지만, 크라운 캡(2a)의 수직편과 수평편의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방향성이 없고, 사용에 있어서 크라운 캡(2a)을 바꿔 끼우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보다 사용하기 쉽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도] 브러시부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3도] 브러시부의 끝부분의 확대 설명도,
[제4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5도]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 제6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내지 제7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브러시부의 구조 및 치아면이 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8도는 브러시부의 끝부분의 확대 설명도이다.
부호 A4는 수조작으로 사용하는 이 실시예의 칫솔을 나타낸다. 이 칫솔(A4)은 손잡이(101)와 크라운 캡(102)을 갖추고 있다. 손잡이(101)는 플라스틱제의 봉형상체이며, 그의 선단부에 크라운 캡(102)이 고착되어 있다.
크라운 캡(102)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단면형상이 거의 하트형상으로 형성된 어금니용 감입부(121)와, 단면형상이 거의 V자 형상으로 형성된 앞니용 감입부(122)를 갖추고 있다. 또한, 앞니용 감입부(122)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중앙부측이 약간 좁은 폭이 되도록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크라운 캡(102)의 외형은 둥글게 형성되어 있어, 사용할 때 입안을 다치지 않게 한다.
어금니용 감입부(121)의 내면(121a)에는, 수용된 어금니의 치아면과 거의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거의 전체 면에 걸쳐 브러시부(103)가 심어져 설치되어 있고, 또한, 앞니용 감입부(122)의 내면(122a)에는, 수용된 앞니의 치아면과 거의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거의 전체 면에 걸쳐 브러시부(103a)가 심어져 설치되어 있다.
제8도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러시부(103, 103a)의 브러시섬유의 선단측은 크라운 캡(102)의 각 감입부의 중앙부쪽을 향하여 구부러져 있고, 선단부는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브러싱시에 잇몸을 다치지 않게 하고, 또한 치아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는데에 충분히 효과적이다.
제6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사용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① 먼저, 어금니용 감입부(121)를 어금니(T1)에 끼워 넣고, 브러시부(103)가 어금니(T1)의 치아측면과 거의 45°를 이루도록 하고, 수조작으로 손잡이(101)를 축둘레방향 또는 치아축방향 또는 치아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반복요동시켜 브러싱을 행한다. 이때, 브러시부(103)는 반복 요동하고 있는데, 브러시부(103)는 치아면에 대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치아 끝쪽으로 향한 운동에서는 마찰력이 강하고, 반대측으로 향해서는 마찰력이 약하다. 그리하여, 어금니(T1)의 교합부와 치아측부, 치경부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크, 치석은 어금니용 감입부(121)의 중앙부에 자연히 모인다. 또한, 같은 이유로, 브러시부(103)에 닿아도 잇몸부가 치경부로부터 벗겨지지 않고, 치경부 등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크 등은 치아부와 잇몸부와의 사이로 들어가지 않고 제거된다.
② 어금니(T1)의 브러싱이 종료되면, 이어서 앞니용 감입부(122)를 앞니(T2)에 끼워넣고, 어금니(T1)와 마찬가지로 브러싱을 행하면,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크, 치석은 앞니용 감입부(122)의 중앙부로 자연히 모이며, 치아부와 잇몸부와의 사이로 들어가지 않고 제거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의 전동칫솔(A5)은 손잡이 베이스(5)를 갖추고 있고, 손잡이 베이스(5)의 앞부분에는 자루부(101a)가 설치되어 있다.
자루부(101a)는 손잡이 베이스(5)에 내장되어 있는 전동구동수단인 모터(51)에 의해 구동되고, 변환기구부(53)를 통해 축둘레방향(화살표 a) 및 치아축방향(화살표 b)으로 반복요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변환기구부(53)의 구조는 공지수단이 사용되고 있어, 그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루부(101a)의 움직임은 전환스위치(도시 생략)에 의해 축둘레방향과 치아축방향 및 치아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부호 52는 배터리이고, 54는 스위치이다.
또한, 자루부(101a)의 선단부에 고착되어 있는 크라운 캡(102) 및 브러시부(103, 103a)의 구조는 상기한 제4 실시예의 칫솔(A4)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칫솔(A4)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시한다.
이 실시예의 전동칫솔의 사용방법, 작용에 대해서는, 크라운 캡(102)의 브러시부(103, 103a)의 반복요동이 전동으로 행해져, 보다 효율적이라는 점이 상기한 제4실시예의 칫솔(A4)과 상이할 뿐, 그 칫솔(A4)과 대체로 같다.
제10도 및 제11도는 각각, 다른 구조의 크라운 캡을 가지는 제6 및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10도의 크라운 캡(102a)은 어금니용 감입부(121) 및 브러시부(103)만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어금니 브러싱 전용이고, 제11도의 크라운 캡(102b)은 앞니용 감입부(122) 및 브러시부(103a)만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앞니 브러싱 전용이다.
또한, 제10도 및 제11도에 있어서, 상기한 칫솔(A4) 및 전동칫솔(A5)의 크라운 캡(102)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작용에 대해서는, 상기한 제4 및 제5 실시예와 거의 비슷한데, 크라운 캡(102a, 102b)의 구조가 보다 심플해지고, 또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입안에서 움직이기 쉽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6도]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 브러시부의 구조 및 치아면이 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8도] 브러시부의 끝부분의 확대 설명도,
[제9도]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0도] 크라운 캡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1도] 크라운 캡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 도면 제12도 내지 제2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내지 제14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13도는 브러시부와 치아면이 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14도는 브러시부의 끝부분의 확대 설명도이다.
부호 A6은 수조작으로 사용되는 제8실시예에 따른 칫솔이다. 이 칫솔(A6)은 손잡이부(201)와 3개의 칫솔체(202a, 202b, 202c)를 갖추고 있다. 손잡이부(201)는 플라스틱제의 봉형상체이고, 그의 선단부에 칫솔체(202a, 202b, 202c)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칫솔체(202a, 202b, 202c)는 자루부(220)를 가지며, 그의 앞부분에는 브러시부(221)가 심어져 설치되어 있다. 자루부(220)의 앞부분의 외형은 둥글게 형성되어 있어, 사용할 때 입안을 다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칫솔체(202a, 202b, 202c)의 설치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손잡이부(201)의 앞끝면에는 3개소에 고정구멍(211a, 211b, 211c)이 형성되어 있다. 그 고정구멍(211a, 211b, 211c)과 손잡이부(201)의 외면 사이에는 나사구멍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고, 각 나사구멍에는 조임나사(212)가 나사결합하여 있다. 그리하여, 조임나사(212)를 조임으로써, 칫솔체(202a, 202b, 202c)를 고정구멍(211a, 211g, 211c)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멍(211a, 211b, 211c)의 단면형상은 자루부(220)의 단면형상과 같으며 거의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끼워 넣음으로써 자동적으로 각 칫솔체(202a, 202b, 202c)의 축둘레방향의 각도가 설정된다.
제13도를 참조하여, 각 칫솔체(202a, 202b 202c)의 설정각도를 설명한다. 칫솔체(202a)는 치아의 교합면과 대응하고, 브러시부(221)는 치아의 교합면에 거의 수직으로 맞닿는다. 칫솔체(202b 202c)는 치아의 양측면에 대응하고 있다. 칫솔체(202b 202c)의 브러시부(221)는, 각 브러시부(221)로 둘러싸인 부분에 끼어지는 치아의 치아 끝을 향해 치아 측면과 거의 45°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제14도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러시부(221)의 브러시섬유(210)의 선단측은 치아 끝쪽으로 향하여 약간 만곡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는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브러싱시에 잇몸을 다치게 하지 않고, 또한 치아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는데에 충분히 효과적이다.
제12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칫솔의 사용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브러시부(221)로 둘러싸인 공간부를 치아(T)에 끼워 넣고, 상기한 바와 같이 치아측면에 대응한 브러시부(221)가 치아측면과 거의 45°를 이루도록 하여, 수조작으로 손잡이부(201)를 축둘레방향 또는 치아축방향 또는 치아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진동시켜 브러싱을 행한다.
이때 브러시부(221)는 진동하고 있는데, 브러시부(221)는 치아측면에 대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치아 끝쪽으로 향한 운동에 있어서는 마찰력이 강하고, 치아의 뿌리쪽으로 향해서는 마찰력이 약하다. 그리하여, 치아(T)의 교합면과 치아측면 및 치경부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크, 치석은 치아 끝부분으로 자연히 모인다. 또한, 같은 이유로, 잇몸부가 브러시부(221)에 닿아도 치경부로부터 벗겨지지 않고, 치경부 등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크 등은 치아부와 잇몸부 사이로 들어가지 않고 게거된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전동칫솔(A7)은 손잡이 베이스(5)를 갖추고 있고, 그 손잡이 베이스(5)의 앞부분에는 설치부(55)가 설치되어 있다. 그 설치부(55)에는, 상기한 제8 실시예의 칫솔(A6)과 마찬가지로 3개의 칫솔체(202a, 202b, 202c)가 설치되어 있다.
설치부(55)는 손잡이 베이스(5)에 내장되어 있는 전동구동수단인 모터(51)에 의해 구동되고, 변환기기부(53)를 통해 축둘레방향(화살표 a) 및 치아축방향(화살표 b)으로 진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변환기구부(53)의 구조는 공지수단이 사용되고 있어, 그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부(55)(자루부(220))의 움직임은 전환 스위치(54)에 의해 축둘레방향과 치아축방향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덧붙여, 치아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진동(설치부(55)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부호 52는 배터리이다.
또한, 도면에서 칫솔(A6)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에서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의 전동칫솔의 사용방법, 작용에 대해서는, 칫솔체(202a, 202b, 202c)(브러시부(221))의 진동이 전동에 의해 행해져, 보다 효율적이라는 점이 다를뿐, 상기한 제8실시예의 칫솔(A6)과 대체로 같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진동칫솔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동칫솔(A8)은 설치부(55a)에 자루부(56a, 56b, 56c)가 설치되어 있다. 그 자루부(56a, 56b, 56c)는 각각 독립되어 변환기구부(53)에 의해 축둘레방향으로 진동한다. 자루부(56a, 56b, 56c)의 선단부에는, 단면이 사각형상인 결합부(57)가 설치되어 있다.
각 결합부(57)에는, 칫솔체(202a1, 202b1, 202c1)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칫솔체(202a1, 202b1, 202c1)의 자루부(220)의 기단부(基端部)에는, 결합부(57)가 끼워져 결합하는 결합구멍(201a)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57)와 결합구멍(201a)은 공지수단에 의해 원터치로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칫솔체(202a1, 202b1, 202c1)의 축둘레방향의 설치각도는 상기한 제8 및 제9 실시예와 같이 설정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상기한 전동칫솔(A7)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전동칫솔의 사용방법, 작용에 대해서는, 칫솔체(202a1, 202b1, 202c1)의 착탈이 쉽고, 칫솔체(202a1, 202b1, 202c1)(브러시부(221))의 진동이 각각 축 둘레방향으로 전동에 의해 행해지는 점이 다를 뿐으로 상기한 전동칫솔(A7)과 대체로 같다.
제17도는 제11실시예에 따른 칫솔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칫솔체(202a2)만이 자루부(220)를 가지며, 브러시부(221)와 거의 가은 길이로 형성된 칫솔체(202b2, 202c2)는, 칫솔체(202a2)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만곡된 스테인리스제의 아암 핀(arm pin)(228)에 의해 양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N은, 아암 핀(228)을 조여 고정하는 너트로, 이것을 풀어 칫솔체(202b2, 202c2)만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칫솔체(202a2, 202b2, 202c2)의 축둘레방향의 설치각도는 상기한 제8 내지 제10 실시예와 같이 설정된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치솔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고, 제19도는 그 칫솔체의 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칫솔체(202b3, 202c3)는 칫솔체(202a3)의 자루부(220)의 목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아암 핀(229)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제19도를 참조한다. 칫솔체(202a3)의 자루부(220)의 앞끝부분 근처의 상면에는, 조정나사(60)가 빠지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조정나사(60)의 하부에는, 나사구멍(61)이 마련되어 있다.
자루부(220)의 앞끝부분 근처의 하면에는, 수용 오목부(20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수용 오목부(202)에는 승강체(昇降體)(203)가 수용되어 있다. 그 승강체(203)의 상면에는 나사(204)가 수직방향으로 고착되어 있고, 그 나사(204)는 상기한 나사구멍(61)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승강체(203)의 하면에는 브러시부(22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조정나사(60)를 돌림으로써 승강체(203)가 승강되어, 사용할 때에 칫솔체(202a3)의 브러시부(221a)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칫솔체(202a3, 202b3, 202c3)의 축둘레방향의 설치각도는 상기한 제8 내지 제11 실시예와 같이 설정된다.
제20도는 제13 실시예에 따른 칫솔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칫솔체(202a4, 202b4, 202c4)의 외면에 수용 홈부분(205)을 형성하고, 그 수용 홈부분(205)에, 정면에서 보았을 때 _형상으로 된 스테인리스제의 연결부재(33)를 끼워 넣고, 나사(34)로 고정하여, 칫솔체(202a4, 202b4, 202c4)를 일체화하고 있다. 또한, 칫솔체(202a4, 202b4, 202c4)의 축둘레방향의 설치각도는 상기한 제8 내지 제12 실시예와 같이 설정된다.
제21도는 제14 실시예에 따른 칫솔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칫솔체(202a5, 202b5, 202c5)는, 스테인리스제의 만곡된 판(35)에 나사(36)로 고정함으로써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칫솔체(202a5)의 하면에는, 브러시체 대신에 경질의 스폰지로 형성된 쿠션(221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7도 내지 제21도에 있어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2도]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13도] 브러시부와 치아면이 접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14도] 브러시부의 끝부분의 확대 설명도,
[제15도]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6도]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17도] 제11 실시예에 따른 칫솔체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제18도] 제12 실시예에 따른 칫솔체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제19도] 제12 실시예에 따른 칫솔체의 요부 단면도,
[제20도] 제13 실시예에 따른 칫솔체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제21도] 제14 실시예에 따른 칫솔체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다음, 도면 제22도 내지 제2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2도, 제23도, 제24도에는, 이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310)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전동칫솔(310)은 한쪽 끝에 손잡이(312)가 돌출하여 설치된 케이싱(314)을 갖추고 있다. 이 케이싱(314)내에는, 치아의 치아측면 또는 그 근방에 맞닿아 접한 채 그 치아측면을 따라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치켜 올리도록 반복요동하는 브러시부(316)와, 이 브러시부(316)를 반복요동시키기 위한 반복요동부(318)가 설치되어 있다.
제22도, 제23도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케이싱(314)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 역 L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일변측의 세로형 케이스체(320)와, 이 세로형 케이스체(320)의 상단에 돌출하는 형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타변측의 가로형 케이스체(322)로 구성된다.
세로형 케이스체(320) 및 가로형 케이스체(322)는 경질 합성수지 등을 소재로 하여 형성되고, 세로형 케이스체(320)의 내면측의 판면에는, 브러시부(316)를 배치시키기 위한 구멍(324)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공(325)이 형성되어 있다.
제23도, 제24도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반복요동부(318)는 세로형 케이스체(320)내의 상부위치를 따라 축받이된 회전축(326)과, 세로형 케이스체(320)내의 양단 근처 위치에 세로형으로 베치된 요동축(328, 328)을 가지고 있다.
회전축(326)은 세로형 케이스체(320)내의 상부위치에 설치된 베어링(330, 330)에 축받이되고, 이 회전축(326)에는, 그의 양단 근처 위치에 요동축(328, 328)의 상단에 접하여 슬라이딩하는 플레이트 캠(332, 332)이 고정되어 있다.
요동축(328,328)은, 세로형 케이스체(320)내의 상부위치에 횡으로 설치된 2개의 상부 받침판(334, 334)과, 하부위치에 횡으로 설치된 하부 받침판(336)에 상하로 연통하여 형성된 구멍내에 축받이되어 있다. 또한, 상부 받침판(334, 334)의 간격내에서 요동축(328, 328)에는, 그 요동축(328, 328)을 위쪽으로 힘을 가하여 지지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338, 338)이 장착되고, 또한 상부 받침판(334)과 하부 받침판(336)과의 사이에서 요동축(328, 328)에는, 브러시부(316)를 피벗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피벗 지지구(340)가 상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반복요동부(318)의 회전축(326)이 회전하면, 이 회전축(326)에 고정된 플레이트 캠(332, 332)의 로브(lobe)의 1회전마다 요동축(328, 328)은 코일 스프링(338, 338)의 탄력에 대항하여 눌려 하강되고, 그리하여 요동축(328, 328)은 상하방향으로 반복요동한다. 이 반복요동부(318)는, 반드시 회전하는 플레이트 캠(33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축(326)에 크랭크기구 등을 설치하여 요동축(328, 328)에 연계시켜 상하운동시켜도 된다.
제24도, 제25도, 제26도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브러시부(316)는, 반복요동부(318)의 좌우 요동축(328, 328)의 간격으로부터 세로형 케이싱(320)의 내면측의 구멍(324)을 향하여 위쪽으로 비스듬히 상하단으로 배치된 2개 내지 3개의 브러시 베이스(342)를 갖추고 있다. 각각의 브러시 베이스(324)는 편평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의 하단부에는 긴 방향으로 지지축(344)이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단면에는 강모(剛毛)(346)가 심어져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브러시 베이스(342)는 그의 지지축(344)의 양단이 반복요동부(318)의 요동축(328, 328)에 상하단으로 끼워져 고정된 피벗 지지구(340, 340)에 의해 피벗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브러시 베이스(342)의 양끝면과 요동축(328, 328)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48, 348)가 연결되어 있고, 각 브러시 베이스(342)는 세로형 케이스체(320)내로부터 내면측의 구멍(324)을 향해 위쪽으로 비스듬히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25도, 제26도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각 브러시 베이스(342)는, 요동축(328)의 피벗 지지점으로부터 위쪽에 대한 경사각이 대략 45도가 되도록 경사지고, 이 경사위치로부터 상하각이 대략 15도인 범위내에서 브러시 베이스(342)가 상하요동할 수 있도록 좌우의 요동축(328, 328)의 피벗 지지구(340, 340)에 상부 스톱퍼(350)와 하부 스톱퍼(352)가 횡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브러시 베이스(342)의 선단의 강모(346)를 치아측면에 맏닿게 한채, 요동축(328, 328)이 하강되면, 브러시 베이스(342)는 위쪽으로 폐쇄되면서 상부스톱퍼(350)에 연결되어 하강하고, 요동축(328, 328)의 상승시에 하부 스톱퍼(352)에 받혀진 상태로 확개되어 상승하며, 도중에서 탄성부재(348)의 탄력으로 브러시 베이스(342)는 폐쇄되면서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이때의 강모(346)의 선단의 궤적은 제2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b(하강하여 강모 선단이 대략 치경부 위치에 배치된다), b-c(치경부 위치에 강모 선단이 접합하여 강모를 확개시킨다), c-d(확개상태로 치아측면을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긁어 내는 상태로 닦으면서 상승한다.), d-a(강모 선단이 폐쇄된다)로 변화하고, 좌우의 요동축(328, 328)의 상하작동과 연동하면서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치겨올리도록 반복요동하게 된다.
그리고, 강모(346)는 폐쇄하면서 하강하기 때문에 잇몸부의 단부가 치경부로부터 벗겨지지 않고, 또한 강모(346)의 상승작동시에 치경부나 치아측면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를 긁어내는 상태로 제거할 수 있다.
제23도, 제24도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브러시 베이스(342)가 상, 중, 하의 3단으로 설치된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 강모(346)의 길이는 아래쪽으로부터 장, 단, 중의 순서로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브러시부(316)의 강모(346)를 치아의 치아측면으로부터 치경부에 따른 곡면에 맞닿아 접할 수 있고, 부착된 음식물 찌거기를 긁어내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 베이스(342)는 상하 2단으로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아래쪽의 강모(346)는 위쪽의 강모(346)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찬가지로 강모(346)가 치아의 치아측면으로부터 치경부에 따른 곡면에 맞닿아 접합하며,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를 긁어내는 형태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강모(346)는 브러시 베이스(342)상에 교체될 수 있도록 결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22도, 제24도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케이싱(314)의 타변측의 가로형 케이스체(322)에는, 상기 브러시부(316)의 강모(346)가 치아측면이나 치경부에 맞닿는 결합위치를 가결정하기 위한 가결정부재(3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결정부재(354)는, 가로형 케이스체(322)의 하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분(356)내에 끼워 맞추어진 베이스 판(358)을 가지며, 이 베이스 판(358)의 하면에 강모(346)가 심어져 설치되어 있다. 강모(346) 대신에 스폰지와 같은 탄성부재를 고정시켜도 된다.
또한, 홈부분(356)내에 끼워 맞추어진 베이스 판(358)에는, 가로형 케이스체(322)의 상면으로부터 개구된 나사구멍(360)에 나사결합된 조정나사(362)의 하단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조정나사(36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베이스 판(358)을 홈부분(356)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시켜 강모(346)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갸결정부재(354)의 강모(346)를 치아의 크라운의 교합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세로형 케이스체(320)의 내면측으로부터 돌출된 브러시부(316)의 각 강모(346)를 치아측면이나 치경부에 정확히 접하게 할 수 있으며, 브러시부(316)의 반복요동으로 효율적인 이닦기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제22도, 제23도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케이싱(314)의 양단부의 상부 위치에는, 손잡이(312)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접속통(364, 36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통(364, 364)내에 반복요동부(318)의 회전축(326)의 양단부가 돌출하여 설치되고 그 단부에 연동용(連動用) 기어(366, 366)가 고정되어 있다.
손잡이(312)는, 한쪽의 접속통(364)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부(368)가 내장된 통부(370)와, 이 통부(37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지(372), 혹은 교류/직류 변환용 부스터 등이 내장된 손잡이통(374)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368)는 소형 모터(376)로 구성되고, 이 소형 모터(376)의 회전축에 고정된 기어(378)와, 상기 접속통(364)내의 회전축(326)에 고정된 기어(366)가 맞물려 있다. 그리고 통부(370)의 상면에 설치한 스위치(380)을 온(ON)으로 함으로써, 소형모터(376)가 회전하여 케이싱(314)내의 반복요동부(318)가 연동된다. 또한, 접속통(364)과 통부(370)의 연결부에는 보강 밴드(382)를 장착하여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전동칫솔(310)은, 손잡이(312)를 잡고 예를 들어 제2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아(T)의 크라운의 교합면에 가결정부재(354)를 맞닿아 접하게 하고, 이때 브러시부(316)의 각 강모(346)의 선단부가 치아(T)의 치아측면으로부터 치경부에 맞닿아 접하도록 위치결정한다.
따라서, 손잡이(312)의 스위치(380)를 온으로 하여 구동부(368)의 소형 모터(376)로 케이싱(314)내의 회전축(326)을 연동 회전시켜 반복요동부(318)의 좌우의 요동축(328, 328)이 상하로 작동하면서 이 요동축(328, 328)에 연결된 브러시부(316)의 각 브러시 베이스(342)가 반복요동한다.
그리고, 각 강모(346)의 선단은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치켜올리도록 반복 요동하여 치아측면이나 치경부 등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를 잇몸홈내로 들어가지 않고 강모(346)의 치켜올림으로 긁어내어 제거하며, 또한 각 강모(346)로 잇몸부를 마사지하게 된다. 이 케이싱(314)의 가결정부재(354)를 상하 치열의 교합면을 따라 접합 이동시키면서 각 치아(T)의 치아측면이나 치경부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해 간다.
또한, 치아(T)의 뒷쪽이나 치열의 반대측에 사용할 때에는, 케이싱(314)의 반대쪽 끝면에 접속통(364)에 손잡이(312)의 통부(370)를 끼워 사용한다.
따라서, 이 전동칫솔(310)을 사용함으로써, 잇몸부가 치경부로부터 벗겨지지 않고 잇몸부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치주질환이나 충치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형 케이스체(320)내의 요동축(328)에 브러시 베이스(342)의 하단부를 피벗가능하게 부착함과 동시에, 세로형 케이스체(320)의 내면측에 가로구멍(384)을 형성하여 브러시 베이스(342)의 측면을 피벗가능하게 하여도 좋으며, 요동축(328)의 상하 작동으로 브러시 베이스(342)가 요동하고, 이 브러시 베이스(342)의 단부의 강모(346)로 치아(T)의 치아측면이나 치경부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크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동칫솔(310)에서는, 케이싱(314)은 반드시 역 L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둔각형으로 확개시킨 형상으로 형성해도 되며, 또한 가로형 케이스체(320)만으로 케이싱을 형성하여 브러시부(316)를 내장시켜도 좋으며, 그리하여 사용이 쉬어진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22도]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의 사시도,
[제23도] 제22도의 A-A선 단면도,
[제24도] 제23도의 B-B선 단면도,
[제25도] 브러시부의 일부 확대 종단면도,
[제26도] 브러시부의 일부 확대 정면도,
[제27도] 브러시부가 반복 요동할 때의 강모의 선단의 궤적도,
[제28도] 브러시부의 개조예를 나타낸 일부 종단면도,
[제29도] 치아의 형태설명도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을 갖추며 하기의 효과를 가진다.
(a) 칫솔체의 브러시부는, 브러시부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각 치아의 치아 끝으로 향하여 치아측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감입부를 각 치아에 끼워 넣고, 브러시부 선단을 치아면에 맞닿아 접하게 하여 브러시부를 반복요동시킨 경우, 치아 끝쪽으로 향한 요동에 있어서는 브러시부의 마찰력이 강하고, 반대쪽으로 향해서는 마찰력이 약하다. 그리하여, 치아의 교합부와 치아측부, 치경부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크, 치석은 브러시부에 의해 각 감입부의 중앙부에 자연히 모아져 효율적으로 제거된다.
(b) 상기한 바와 같이, 브러시부를 반복요동시킨 경우, 치아 끝쪽으로 향한 요동에서는 브러시부의 마찰력이 강하고, 반대측으로 향해서는 마찰력이 약하다. 따라서, 치경부를 브러싱해도 잇몸부가 벗겨지지 않아, 종래와 같이 치경부 등에 부착된 음식물 찌꺼기나 플라크 등이 치아부와 잇몸부 사이에 끼워져 치주질환의 원인이 될 염려가 없다.
(c) 전동칫솔은, 칫솔을 수조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브러시부를 고속으로 반복요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브러싱을 행할 수 있다.
(d) 조정수단을 갖춘 것에서는, 조정수단으로 조정가능한 브러시부를 치아의 교합부에 맞닿아 접하게 하고, 다른쪽 브러시부가 치아측부와 잇몸과의 경계부(치경부)에 확실하게 맞닿아 접하도록 브러시부의 돌출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잇몸으로부터 나온 부분의 치아의 길이가 개인마다 치이가 있어도 확실히 대응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맞는 보다 효과적인 브러싱을 행할 수 있다.
(e)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은, 치아의 치아측면 또는 그 근방에 맞닿아 접하여, 그 치아측면을 따라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치겨올리도록 반복 요동하는 브러시부와, 이 브러시부를 반복요동시키는 반복요동부와, 이 반복요동부에 연결된 구동부를 포함함으로써, 치아의 치아측면이나 치경부에 맞닿게 된 브러시부는 위쪽으로 치겨올리는 작동을 반복하면서 치경부로부터 잇몸부가 벗기지 않고, 잇몸부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차아측면이나 치경부를 따라 위족으로 움식물 찌꺼기를 효율적으로 긁어낼 수 있어 치주질환이나 충치 등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6)

  1. 손잡이와, 그 손잡이의 앞끝부분에 설치되고, 사용시 치아의 측면 및 그 부근에 배치되는 제1 부분과 치아의 교합면 및 그 부근에 배치되는 제2 부분을 가진 크라운 캡과, 그 크라운 캡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내면에 심어져 설치된 브러시부로 이루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브러시부는, 털끝을 치아의 내면 또는 외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털끝이 치근측으로부터 교합면측으로 향하여 움직일 때 털끝이 교합면측을 향하면서 잇몸과 치아의 내면 또는 외면을 문지르고, 털끝이 치아의 교합면측으로부터 치근측으로 향하여 움직일 때도 털끝은 교합면측을 향하면서 치아의 외면 또는 내면과 잇몸을 문지르도록 하는 경사각도를 치아의 측면에 대하여 형성하도록 심어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손잡이 베이스와, 그 손잡이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베이스에 내장된 전기 구동수단에 의해 치아축선방향으로 반복운동하는 자루부와, 그 자루부의 앞끝부분에 설치되고, 사용시 치아의 측면 및 그 부근에 배치되는 제1 부분과 치아의 교합면 및 그 부분에 배치되는 제2 부분을 가진 크라운 캡과, 그 크라운 캡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내면에 심어져 설치된 브러시부로 이루어진 전동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브러시부는, 털끝을 치아의 내면 또는 외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털끝이 치근측으로부터 교합면측으로 향하여 움직일 때 털끝이 교합면측을 향하면서 잇몸과 치아의 내면 또는 외면을 문지르고, 털끝이 치아의 교합면측으로부터 치근측으로 향하여 움직일 때도 털끝은 교합면측을 향하면서 치아의 외면 또는 내면과 잇몸을 문지르도록 하는 경사각도를 치아의 측면에 대하여 형성하도록 심어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의 브러시부는, 털끝이 치아 측면에 대하여 30° 내지 60°의 범위내의 각도를 가지고 교합면으로 향하여 경사지도록 심어져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앞끝부분이 상기 크라운 캡의 길이방향의 한쪽 또는 다른쪽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하는 장착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브러시부는, 털끝이 치아 측면에 30°내지 60°의 범위내의 각도를 가지고 교합면으로 향하여 경사지도록 심어져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칫솔.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의 앞끝부분이 상기 크라운 캡의 길이방향의 한쪽 또는 다른쪽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하는 장착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칫솔.
KR1019970706375A 1992-10-31 1993-10-28 칫솔 및 전동칫솔 KR100236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611392A JP2533441B2 (ja) 1992-10-31 1992-10-31 電動歯ブラシ
JP92-316113 1992-10-31
JP34555992A JP2533443B2 (ja) 1992-11-30 1992-11-30 歯ブラシ
JP92-345559 1992-11-30
JP92-360533 1992-12-29
JP36053392A JP2533445B2 (ja) 1992-12-29 1992-12-29 歯ブラシおよび電動歯ブラシ
JP93-273202 1993-10-04
JP27320293A JP2781861B2 (ja) 1993-10-04 1993-10-04 歯ブラシおよび電動歯ブラシ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1677A Division KR950703881A (ko) 1992-10-31 1993-10-28 칫솔 및 전동칫솔(toothbrush and electric tooth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967A true KR19980702967A (ko) 1998-09-05
KR100236404B1 KR100236404B1 (ko) 1999-12-15

Family

ID=2747898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375A KR100236404B1 (ko) 1992-10-31 1993-10-28 칫솔 및 전동칫솔
KR1019950701677A KR950703881A (ko) 1992-10-31 1993-10-28 칫솔 및 전동칫솔(toothbrush and electric toothbrush)
KR1019950701677A KR0127992B1 (ko) 1992-10-31 1993-10-28 치솔 및 전동치솔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1677A KR950703881A (ko) 1992-10-31 1993-10-28 칫솔 및 전동칫솔(toothbrush and electric toothbrush)
KR1019950701677A KR0127992B1 (ko) 1992-10-31 1993-10-28 치솔 및 전동치솔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5842249A (ko)
EP (1) EP0669091B1 (ko)
KR (3) KR100236404B1 (ko)
AT (1) ATE178468T1 (ko)
AU (1) AU674714B2 (ko)
CA (1) CA2147465C (ko)
DE (1) DE69324373T2 (ko)
DK (1) DK0669091T3 (ko)
ES (1) ES2129523T3 (ko)
GR (1) GR3030423T3 (ko)
HK (1) HK1017804A1 (ko)
WO (1) WO1994009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7688A (en) 1995-11-09 1999-11-23 Gillette Canada Inc. Gum-massaging oral brush
US6564940B2 (en) 1998-09-30 2003-05-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ectric toothbrush
US6178579B1 (en) 1998-09-30 2001-01-30 Dr. Johns Products, Ltd. Electric toothbrush
USD456998S1 (en) 1999-01-25 2002-05-14 Lawrence A. Blaustein Head portion of an electric toothbrush
US6401288B1 (en) * 1999-04-23 2002-06-11 Robert P. Porper Mechanical toothbrush with opposed dual heads and having oscillatory movement
US6381794B1 (en) * 1999-04-23 2002-05-07 Robert P. Porper Electric toothbrush having dual heads with oscillatory movement
US6574820B1 (en) 1999-10-22 2003-06-10 The Gillette Company Brush head for toothbrush
US6553604B1 (en) 2000-03-16 2003-04-29 Gillette Canada Company Toothbrush
US6823554B1 (en) 2000-10-05 2004-11-30 Gillette Canada Company Oral devices
US6453501B1 (en) 2000-12-29 2002-09-24 Theresa Della Bella Animal toothbrush
US6536065B2 (en) * 2001-02-26 2003-03-25 Andrea Forrest Multi-brush ultrasonic nail cleaner
GB2377167A (en) * 2001-07-04 2003-01-08 Kais As-Sultany Toothbrush
US6625834B2 (en) 2001-10-09 2003-09-30 Peter W. Dean Manual toothbrush for gingival tissue stimulation
JP2005507738A (ja) * 2001-11-06 2005-03-2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複数運動歯ブラシ
US20030084526A1 (en) * 2001-11-06 2003-05-08 The Procter & Gamble Co. Multi-motion toothbrush
US6725490B2 (en) 2001-11-06 2004-04-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lex motion toothbrush
US20030084527A1 (en) * 2001-11-06 2003-05-08 The Procter & Gamble Co. Multi-motion toothbrush
GB0129780D0 (en) * 2001-12-13 2002-01-30 Daniels Seymour C Perfect polisher/hany hairbrush/super sweeper
USD499884S1 (en) 2002-03-15 2004-1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ectric toothbrush
WO2003086141A2 (en) * 2002-04-08 2003-10-23 Verifresh Ltd. Gum massager device
US20030196283A1 (en) * 2002-04-23 2003-10-23 Eyal Eliav Powered toothbrush
US6785926B2 (en) * 2002-05-09 2004-09-07 Carl Green Mechanically-driven toothbrush with improved brushing action
US20110308024A1 (en) * 2002-06-03 2011-12-22 Hegemann Kenneth J Oral Brushing Devices and/or Methods
US6931688B2 (en) 2002-08-09 2005-08-23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7055531B2 (en) 2004-07-07 2006-06-06 Rehco, Llc Electronic oral cleaning device
US20040177458A1 (en) 2003-03-10 2004-09-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ectric toothbrushes
US20040177462A1 (en) * 2003-03-14 2004-09-16 The Gillette Company Toothbrush head
US20060272112A9 (en) 2003-03-14 2006-12-07 The Gillette Company Toothbrush
AU2008200508B2 (en) * 2003-03-14 2011-03-31 The Gillette Company Llc Toothbrush head
US20090044357A1 (en) * 2007-08-16 2009-0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ectric toothbrushes
JP4396992B2 (ja) 2003-04-23 2010-01-1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電動歯ブラシ
US7941886B2 (en) 2003-09-19 2011-05-17 Braun Gmbh Toothbrushes
US7044737B2 (en) * 2004-03-05 2006-05-16 Liang Fu Ultrasound oral hygiene and therapeutic device
CN1878511A (zh) * 2004-03-18 2006-12-13 瓦列里·弗拉基米罗维奇·库兹涅特索夫 电动牙刷的清洁头部
DE102004036812A1 (de) * 2004-07-29 2006-03-23 Braun Gmbh Elektrische Zahnbürste
US7694419B2 (en) * 2005-04-27 2010-04-13 The Gillette Company Battery-operated appliances
US20070079459A1 (en) * 2005-10-06 2007-04-12 Bradford Brian W Multi base contact device
DE102005059775A1 (de) * 2005-12-14 2007-06-28 Schaaf, Gunnar, Dr. med. dent.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Zähnen
US20080250583A1 (en) * 2007-04-10 2008-10-16 Carl Green Motor-powered toothbrush with improved brushing action
CH699069A2 (de) * 2008-07-02 2010-01-15 Hasan Hueseyin Isik Zahnbürste.
US20100263150A1 (en) * 2009-04-17 2010-10-21 Tessema Dosho Shifferaw Toothbrush
US8117707B1 (en) * 2009-05-26 2012-02-21 Ruh Ii Gary Robert Pool cage beam brush
US8745804B2 (en) * 2009-08-27 2014-06-10 Steven Jaksha Stainless steel toothbrush with thermochromic display
US20110078867A1 (en) * 2009-10-01 2011-04-07 Michael Liangco Flexible toothbrush
US20130067670A1 (en) * 2009-10-01 2013-03-21 Michael Liangco FlexibleToothbrush
US20110113576A1 (en) * 2009-11-17 2011-05-19 Yankell Samuel L Toothbrush with movable head
US20110191971A1 (en) * 2010-02-07 2011-08-11 Pin Zeng H Shape Toothbrush
TWM417831U (en) * 2011-01-20 2011-12-11 jia-xiang Zhang Toothbrush with large area of bristle
KR20140046025A (ko) 2011-07-12 2014-04-17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진동 및 요동 칫솔 및 이를 위한 리필 헤드
EP2793740B1 (en) * 2011-12-22 2018-02-28 Koninklijke Philips N.V. Power toothbrush with moving paddle members
US8938841B1 (en) 2012-10-10 2015-01-27 Jose A. Ramirez Tooth brushing system
US9339357B1 (en) * 2014-02-07 2016-05-17 Maxim Babiner Multi-headed toothbrush
US9648942B2 (en) 2014-08-19 2017-05-16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Toothbrush
US10245720B2 (en) 2014-09-12 2019-04-02 Chris Ptak Elastic vibrating appliance handle
CN105167873B (zh) * 2015-09-30 2017-03-22 李海军 一种双凹槽旋转式牙刷
US10477838B2 (en) * 2016-03-28 2019-11-19 Peter Dertsakyan Pet chew toy for dental self-cleaning by domestic pets
USD826568S1 (en) * 2017-05-11 2018-08-28 Gene Sheinkman Toothbrush
US11957231B2 (en) * 2017-11-08 2024-04-16 Ingenious Inventions, Inc. Cosmetic applicator and method of using same
CA3091191A1 (en) * 2018-02-13 2019-08-22 Eht Llc Apparatus for dental irrigation
USD917174S1 (en) * 2019-04-18 2021-04-27 Anthony Christian Clark Toothbrush
CN110640967A (zh) * 2019-08-30 2020-01-03 福清市华天广告有限公司 教学用牙周外科模型成形器及其使用方法
USD959842S1 (en) 2020-08-26 2022-08-09 Daniel Powell Toothbrush
US11930918B1 (en) * 2023-06-27 2024-03-19 John R. Boren Personal care imp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209632A (en) * 1902-04-25 1902-05-29 Elisabeth Gaitzsch-Nee-Morenz Improvements in Tooth Brushes.
US887181A (en) * 1907-07-22 1908-05-12 Elias D Barnes Tooth-brush.
US1270233A (en) * 1918-03-02 1918-06-18 Max Stoorman Rotary tooth-brush.
FR588348A (fr) * 1924-10-31 1925-05-05 Double brosse à dents
US1709262A (en) * 1927-09-02 1929-04-16 Vincent H Henderhan Toothbrush
US1707118A (en) * 1927-10-10 1929-03-26 Goldberg Abraham Toothbrush
US1830995A (en) * 1929-10-05 1931-11-10 Benjamin H Genn Toothbrush
US1868368A (en) * 1931-07-25 1932-07-19 Weston B Reese Toothbrush
GB402293A (en) * 1932-12-13 1933-11-30 Emil Rudolph Walter Hebbel Tooth brush
CH175862A (fr) * 1933-12-06 1935-03-15 Vachoux William Outillage pour se brosser les dents.
US2066241A (en) * 1935-06-17 1936-12-29 Trattner Tooth brush
US2093383A (en) * 1935-10-15 1937-09-14 Rudof Tooth brush
US2214407A (en) * 1936-12-05 1940-09-10 Wilhelm Ernst Reeser Toothbrush with brush head made in three parts
GB483939A (en) * 1937-02-17 1938-04-28 August Andreas Deutsch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ooth-brushes
US2588601A (en) * 1950-02-06 1952-03-11 Alfred E Zavagno Spring pressed toothbrush
DE825536C (de) * 1950-06-02 1951-12-20 Hans Haeusser Zahnbuerste
US2701380A (en) * 1950-07-14 1955-02-08 Sophia T Ripper Attachment for toothbrushes
US2682066A (en) * 1953-01-27 1954-06-29 Clifford D Keely Mechanical toothbrush with opposed oscillatory brushes
US2771624A (en) * 1955-02-23 1956-11-27 Tri Dent Corp Toothbrush
FR1126824A (fr) * 1955-06-29 1956-12-03 Brosse à dents
US3065479A (en) * 1962-01-19 1962-11-27 Joseph E Mcgee Toothbrushes
US3683442A (en) * 1971-04-05 1972-08-15 Hollymatic Corp Toothbrush
US4131967A (en) * 1976-02-03 1979-01-02 Northemann Karl Heinz Toothbrush
JPS5548978Y2 (ko) * 1977-11-25 1980-11-15
JPS5483976A (en) * 1977-12-19 1979-07-04 Bridgestone Tire Co Ltd Method of repair ununiformity of tire
US4223417A (en) * 1979-01-31 1980-09-23 Solow Terry S Gliding, mechanized toothbrush
FR2489119A1 (fr) * 1980-08-29 1982-03-05 Pelosse Andre Brosse a dents a usage domestique
JPS5786307A (en) * 1980-11-15 1982-05-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omotive tooth brush
US4375115A (en) * 1981-10-07 1983-03-01 Zimmerman Robert W Exhaust stack cleaning and polishing implement
CA1216714A (fr) * 1982-08-24 1987-01-20 Frederic Barth Appareil d'hygiene dentaire comprenant plusieurs brosses rotatives
DE3301668A1 (de) 1983-01-20 1984-07-26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Regelverfahren fuer eine entstaubungsanlage
JPS6155963A (ja) * 1984-08-28 1986-03-20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JPS6186038A (ja) * 1984-10-04 1986-05-01 Enbishi Arumihoiile Kk 組立式ホイ−ルにおけるリムの製造方法
JPS6186038U (ko) * 1984-11-09 1986-06-05
JPS61156526A (ja) * 1984-12-28 1986-07-16 Fujitsu Ltd 磁気デイスクの製造方法
JPS63500848A (ja) * 1985-06-18 1988-03-31 ホイサ−、マンフレ−ト 歯の両面を同事に清掃する為の歯ブラシ
JPS6235525U (ko) * 1985-08-22 1987-03-02
JPS62136826A (ja) * 1985-12-11 1987-06-19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2136826U (ko) * 1986-02-22 1987-08-28
US5137039A (en) * 1991-03-04 1992-08-11 Focus Development Corporation, Inc. Tooth cleaning device
MX169377B (es) * 1986-12-04 1993-06-30 Ronald William Klinkhammer Dispositivo y metodo para la limpieza de dientes
DE8890088U1 (ko) * 1987-08-21 1990-08-02 Haeusser, Manfred, 7506 Bad Herrenalb, De
USD315450S (en) * 1988-11-25 1991-03-19 Wagner Eugene C Toothbrush
US5072481A (en) * 1989-11-13 1991-12-17 Frank Weyer Multi-surface toothbrush
CA2056858C (en) * 1991-11-07 2000-07-18 Kenneth J. Hegemann Self-adjusting three sided toothbrush and method of manufacture
GB9200154D0 (en) * 1992-01-06 1992-02-26 Chung Angelika Y B A toothbrush
US5499421A (en) * 1993-06-15 1996-03-19 Brice; Michael F. Twin-headed tooth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69091B1 (en) 1999-04-07
AU674714B2 (en) 1997-01-09
AU5344694A (en) 1994-05-24
DK0669091T3 (da) 1999-10-18
US5842249A (en) 1998-12-01
DE69324373D1 (de) 1999-05-12
ATE178468T1 (de) 1999-04-15
HK1017804A1 (en) 1999-11-26
US6334232B1 (en) 2002-01-01
CA2147465A1 (en) 1994-05-01
CA2147465C (en) 2003-03-18
GR3030423T3 (en) 1999-09-30
ES2129523T3 (es) 1999-06-16
EP0669091A4 (en) 1997-10-01
WO1994009676A1 (en) 1994-05-11
KR100236404B1 (ko) 1999-12-15
EP0669091A1 (en) 1995-08-30
US6209164B1 (en) 2001-04-03
KR950703881A (ko) 1995-11-17
DE69324373T2 (de) 1999-08-26
KR0127992B1 (ko) 199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6404B1 (ko) 칫솔 및 전동칫솔
AU2009202357B2 (en) Powered Toothbrush
US3978852A (en) Plaque jack toothbrush
US7784136B2 (en) Toothbrush with kinetic plate
US7757328B2 (en) Oral brushing devices and/or methods
US8636677B2 (en) Intraoral appliance for cleaning teeth
US20020152563A1 (en) Toothbrush and electric toothbrush
US7757329B2 (en) Oral brushing devices and/or methods
MXPA05004279A (es) Cepillo de dientes.
US20040068811A1 (en) Manual and electronic orthodontic toothbrushes
AU2004216121B2 (en) Powered toothbrush with improved ergonomics
US20050022322A1 (en) Powered toothbrush with curved neck and flexible shaft and single battery
US11278385B2 (en) Toothbrush conforming to dental arch and corresponding devices and methods
JP2781861B2 (ja) 歯ブラシおよび電動歯ブラシ
CA2522998C (en) Powered toothbrush with curved neck and flexible shaft
JP2533443B2 (ja) 歯ブラシ
JP2533441B2 (ja) 電動歯ブラシ
JP2676335B2 (ja) 歯ブラシ
CN115517800A (zh) 牙列缺隙侧专用清洁刷头
JP2533445B2 (ja) 歯ブラシおよび電動歯ブラシ
US20040226120A1 (en) Powered toothbrush with curved neck, flexible shaft and tapered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