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012A - 이미지 프로세서 - Google Patents

이미지 프로세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012A
KR19980702012A KR1019970705407A KR19970705407A KR19980702012A KR 19980702012 A KR19980702012 A KR 19980702012A KR 1019970705407 A KR1019970705407 A KR 1019970705407A KR 19970705407 A KR19970705407 A KR 19970705407A KR 19980702012 A KR19980702012 A KR 19980702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keyword
image data
pictur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9183B1 (ko
Inventor
야스유키 시라이
치하루 와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19980702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20Processor architectures; Processor configuration, e.g. pipel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4Object-oriented database structure
    • Y10S707/99945Object-oriented database structur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8Application of database or data structure, e.g. distributed, multimedia, or i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이미지 프로세서는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출력한다.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연상시키게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이미지 프로세서는 입력된 키워드에 근거하여 조합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이 때문에, 그림파트 키워드표는 복수의 키워드와 각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그림파트 코드를 포함한다. 파트배열표는 그림파트 코드에 대응하여 복수의 이미지 포인터값과 배열정보를 포함한다. CPU는 입력된 키워드의 대조를 위해 그림파트 키워드표와 배열표를 탐색하고 키워드 형식과 대응하는 복수의 그림 이미지 데이터를 그림파트 이미지 파일로부터 판독하고 대응하는 배열정보에 따라 각 그림이미지를 배열한다.

Description

이미지 프로세서
종래에, 문서내용과 관련되고 미리 준비된 다양한 그림(illustration) 중에서 선택된 문서 그림이미지를 삽입함으로써 향상된 설득력 및/또는 즐거움을 주는 초대장이 만들어지고 있다. 그림이미지는 각 파일에 하나씩 기억된다. 이경우에 그림파일은 파일명으로 표시된 목록중에서 원하는 파일명을 선택하여 불러진다.
사용자는 그림이미지를 부를 때, 그림을 문서에 삽입하기에 가장 효과적인 것을 미리 결정하였다. 그러나 파일명에서 그림이미지를 직관적으로 상상하는 것이 어렵다. 원하는 그림이미지가 검색될 때까지 많은 그림이미지가 자주 불러져야 한다. 그 결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원하는 그림이미지가 반드시 기억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는 어느 정도 만족하는 그림이미지를 어쩔수 없이 선택해야 한다.
이미지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선택시 복수의 그림이미지를 선택하여 원하는 그림이미지로 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역시 그림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림이미지의 조합순서와 이들 그림의 배열위치가 각각의 그림파일로 지정될 필요가 있다. 이런 조합 역시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연상시키게 하는 키워드(keyword)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이 입력된 키워드에 근거하여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된 조합이미지를 내보이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미리 준비한 다양한 이미지 데이터 가운데 어느 특정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출력하는 워드프로세서 혹은 퍼스컬 컴퓨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세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한 실시예에서 워드프로세서의 기본구조 블록도이다.
도 2는 RAM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기억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그림파트 키워드표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5는 표시형식 변환표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6은 파트이미지 배열표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7A-7C는 문자열-그림변환 모드가 지정될 때 워드프로세서의 동작을 지시하는 일련의 흐름도이다.
도 8A 및 8B는 문자열-그림변환에서 입력문자열로부터 변환된 합성 그림이미지를 각각 도시하며, 도 8A는 문자열 유럽 스타일 결혼 피로연이 입력될 때 변환되는 그림이미지를 나타내고 도 8B는 문자열 도너츠 먹기 경주가 입력될 때 변환되는 그림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9A 및 9B는 표현형식이 바뀌기 전후의 그림이미지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10A-10C는 표현형식이 바뀌었을 때, 본 그림이미지가 미리 바뀌어진 표현형식에 기초한 표현 스타일로 표시되고 출력되는, 즉 도 10A는 바뀌기 전 상태의 그림이미지, 도 10B는 바뀐 그림이미지, 도 10C는 새로운 문자열이 입력될 때, 바뀐 그림이미지가 변환되는 그림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용으로서 합성 그림이미지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CPU 2: 입력장치 3: 입력제어기 4: 표시제어기
5: 표시장치 6: RAM 7: 기억장치 9: 기억매체
9: 텍스트메모리 10: 그림변환 문자열 메모리 11: 프로그램 키워드표
12: 그림파트 키워드표 13: 표현형식 변환표 14: 파트이미지 배열표
15: 그림파트 이미지파일 16: 그림패턴 합성 배열 메모리
17: 표현형식 학습 메모리
본 발명에 따라서,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출력하는 이미지 프로세서는:
복수의 키워드, 각각의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배열하기 위한 배열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억수단과;
이미지 프로세서에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와 배열정보를 상기 이미지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기 위한 판독수단과;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복수의 이미지를 배열정보에 따라 배열 및 조합하고 이 결과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연상시키게 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이 입력된 키워드에 근거하여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로 구성된 조합된 이미지가 생기고 출력된다. 따라서 원하는 이미지가 간단한 동작으로 얻어진다.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가장 좋은 모드
이하 도 1-11를 참고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기술한다.
도 1은 이미지 처리기능을 갖는 워드프로세서의 기본구조 블록도이다. 워드프로세서는 CPU(1), 입력장치(2), 입력제어기(3), 표시제어기(4), 표시장치(5), RAM(6), 기억장치(7)를 포함한다.
CPU(1)는 기억장치(7)에 포함된 다양한 프로그램에 따라 워드프로세서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CPU(1)는 입력장치(2)에서 입력된 문자열 데이터를 입력제어기(3)를 통해 수신하고 이 데이터를 표시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표시제어기(4)에 보낸다. 표시제어기(4)는 표시장치(5)의 텍스트 스크린상에 데이터를 번갈아 표시하고 일본가나-중국문자 변환에 의해 고정된 대응하는 문자열상의 데이터를 RAM의 텍스트메모리(6)에 기억시킨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RAM(6)은 텍스트메모리(9)는 물론 그림변환 문자열 메모리(10)를 포함하고, 문자열-그림변환 모드가 입력장치(2)로부터 지정될 때, 그림문자로 변환되는 것으로서 일본가나-중국문자 변환에 의해 고정된 문자열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만일, 그림이미지가 문서에 삽입되어야 할 때, 문서내용과 관련되는 그림을 직관적으로 연상시키게 하는 문자열이 키입력장치(2)에서 입력된다면, CPU(1)는 그림변환 문자열 메모리(10)에 고정된 문자열을 일시적으로 기억시키고, 그림변환 문자열 메모리(10)의 내용에 근거하여 기억장치(7)의 그림파트 키워드표(12), 표현형식 변환표(13), 파트이미지 배열표(14)를 참조하고, 그림파트 이미지파일(15)에서 그림이미지를 불러오고 조합한다. 다시말하면, CPU(1)는 후에 기술되는 배열정보에 따라 그림패턴 합성 배열 메모리(16)에 있는 그림파트 이미지를 조합하고, 이 결과의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억장치(7)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파일(11), 그림파트 키워드표(12), 표현형식 변환표(13), 파트이미지 배열표(14), 그림파트 이미지파일(15), 그림패턴 합성 배열 메모리(16), 표현형식 학습 메모리(17)를 갖는다.
기억장치(7)는 이들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포함하며 기억장치(7)에서 고정적으로 혹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된 자기 혹은 광 기억매체나 반도체 메모리일 수 있는 기억매체(8)를 포함한다.
기억매체(8)에 기억되는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회선망을 통해 다른장치에서 수신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기억매체(8)를 포함하는 기억장치(7)는 이 기억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가 통신회선망을 통해 사용되도록 이 망을 통해 본 워드프로세서에 접속된 또다른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그림을 각각 표현하는 복수의 다른 키워드를 포함하는 그림파트 키워드표(12)의 일부와, 키워드에 의해 표현된 그림을 구성하는 그림파트 이미지를 지정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파트코드; 예를 들어 키워드 결혼 피로연에 대한 표준그림파트 이미지 골든 병풍 A, 신부 A, 신랑 A를 지정하는 표준파트 코드를 지정한다. 게다가, 표(12)는 복수의 다른 그룹파트를 포함하며, 파트코드의 각 그룹은 각 그림코드에 대해 대응하는 복수의 그림파트 이미지를 대응하는 표준그림파트 코드와 기본구조에서 같지만 표현형식에서는 다른 대응하는 복수의 그림파트 이미지를 지정한다. 좀더 자세히 말하면, 표현형식은 각 키워드에 대한 애니메이션 스타일, 장엄한 스타일, 일본 스타일, 유럽 스타일이다.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다른 표현형식이 각 키워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키워드 도너츠 먹기 경주에 대한 표현형식은 표준형 이외에도 애니메이션 스타일, 여성용, 성인용 등일 수 있다. 즉 어떤 표현형식이라도 각 키워드로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대응관계에 있는 입력 문자열 및 표현형식을 포함하는 표현형식 변환표(13)의 일부를 도시한다. 예를들어 입력문자열 귀여운(cute). 팝(pop), 애니메이션(animation) 스타일, 카툰(cartoon) 스타일 모두는 단일 표현형식 애니메이션 스타일과 대응한다. 만일 이들 문자열 중의 어느 하나가 입력될 때, CPU(1)는 문자열을 대응하는 표현형식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변환시키기 위해 표현형식 변환표(13)를 참조한 다음 그림파트 키워드표(12)를 액세스한다. 유사하게, 각 입력문자열 일본 스타일, 고전 스타일, 닛폰 스타일, 니홍 스타일은 단일 표현양식 일본 스타일과 대응한다. 다시말하면, 장엄한 스타일이나 일본 스타일 혹은 유럽 스타일을 포함하는 문자열이 키워드 결혼 피로연을 변경하는 워드로 입력된다면 문자열은 변경워드와 대응하는 표현형식으로 변환되고 그림파트 키워드표(12)가 액세스된다. 만일, 키워드를 제외한 문자열, 예를들어 변경워드가 입력되지 않으면, CPU(1)는 표현형식 학습 메모리(17)를 참조하고 이것(17)에 기억된 문자열 데이터를 근거로 그림파트 키워드표(12)를 액세스 한다. 학습 메모리(17)는 이전의 문자열-그림변환에서 입력된 변경워드와 같은 문자열을 학습하고 기억한다. 예를 들어, 만일 이전 입력문자열이 문자열 귀여운을 포함한다면, CPU(1)는 표현형식 학습메모리(17)에 이 데이터를 기억시킨다. 입력문자열이 이때 실행되는 문자열 그림변환에서 데이터 귀여운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CPU(1)는 학습 메모리(17)를 참조하고, 표현형식 변환표(13)를 액세스하고 앞의 경우와 같이 입력문자열을 표현형식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변환시킨 다음 이 변환결과에 따라 표(12)를 액세스한다.
도 6은 다양한 그림파트 이미지의 배열장소 및 위치상의 데이터와 이미지 포인터값이 각 그림파트 코드와 대응하여 기억되는 파트 이미지 배열표(14) 일부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키워드 결혼 피로연에 대하여, 골든 병풍 앞에 신부와 신랑이 참가한 그림에서 그림파트 이미지의 조합이다. 따라서 그림파트 이미지 골든 병풍의 배열순서는 1(st)이고, 이것의 배열위치는 가운데인 반면, 그림파트 이미지의 배열 이미지 신부, 신랑는 둘 모두 2(nd)이다. 이들의 배열위치는 신부, 신랑이 각각 왼쪽 및 오른쪽이라는 것이다. CPU(1)는 각 그림파일 이미지의 배열 순서 및 위치에 따라 그림패턴 합성 배열 메모리(16)에서 대응하는 그림파트 이미지를 판독하고 기록하도록 각 그림파트 코드에 대응하는 이미지 포인터값에 따라 그림파트 이미지 파일(15)을 액세스 한다.
이하 도 7A-7C를 참고로 문자열-그림변환에 대해 기술한다. 도 7A-7C의 흐름도에 기술한 각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CPU(1)가 판독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형태로 기억장치(7)의 기억매체(8)에 기억된다. 문자열 그림변환 모드가 입력장치(2)의 지정된 키 조작으로 지정될 때, CPU(1)는 도 7A-7C의 흐름도에 따라 처리를 시작하고 입력장치(2)에서 문자열의 입력을 기다린다(단계 S1). 원하는 그림이미지를 연상시키게 하는 어떤 가나문자열이 입력될 때, 중국문자변환 및 변환후보의 선택이 입력된 가나문자열에 대해 수행된다. 입력문자열이 고정될 때(단계 C2), CPU(1)는 이 고정된 문자열을 그림변환 문자열 메모리(10)에 표시하고 기억한다(단계 S3). 양자택일로, 입력문자열이 고정된 후에 문자열 그림변환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그 다음에 CPU(1)는 그림변환 문자열 메모리(10)의 내용을 분석하고(단계 S4), 분석결과에 따라 그림파트 키워드표(12)를 탐색한다(단계 S5). 이 경우에서 문자열의 분석은 예를 들어, 형용사 및/또는 수식어구를 제외한 문자열의 추출과 문자열의 분해를 단어 및 숙어 단위로 연관시킨다. 고정문자열이 유럽 스타일 결혼 피로연일 때, CPU(1)는 수식어구 유럽 스타일을 제외한 결혼 피로연을 추출하고 키워드 결혼 피로연에 대한 그림파트 키워드표(12)를 탐색한다. CPU(1)는 적당한 키워드가 없다는 것을 검파할 때, 입력문자열이 변환될 수 없다는 의미를 갖는 메시지를 표시하고(단계 C7), 그림변환 문자열 메모리(10)를 지운다(clear)(단계 S8). 역으로, 만일 키워드표(12)에 세트된 적당한 키워드가 있다면, 제어는 CPU(1)가 그림변환 문자열 메모리(10)에서 키워드를 제외한 표현에 대한 데이터인지를 검사하는 단계 C9로 간다. 유럽 스타일이 키워드 결혼 피로연에 포함된다고 가정하면, 그 수식어구를 표현형식 변환표(13)에서 탐색한다. 그 결과 CPU(1)는 표현형식 변환표(13)에 적당한 표현형식이 있는 지를 검사한다(단계 S11). 문자열 유럽 스타일이 표(13)에서 설정되므로 CPU(1)는 유럽 스타일과 대응하는 표현형식으로서 데이터 유럽 스타일을 표(13)에서 판독하고 그 표현형식 및 그 키워드와 대응하는 그림파트 코드를 키워드표(12)로부터 검색한다(단계 S12).
이 경우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워드 결혼 피로연과 유럽 스타일 파트 이미지에 대응하는 골든 병풍 E, 신부 E, 신랑 E를 지정하는 그림파트 코드가 판독된다. 그 다음에 CPU(1)는 이들 각각의 그림파트 코드에 대한 파트이미지 배열표(14)를 탐색하여 대응하는 이미지 포인터값과 각각의 그림파트 이미지의 배열 장소 및 위치를 판독한다(단계 S17). 다음에, CPU(1)는 각 이미지 포인터값에 따라 원하는 그림파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그림파트 이미지파일(15)을 탐색한다. 이 경우, CPU(1)는 배열의 내림순으로 원하는 그림파트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들을 그림파트 이미지의 배열위치에 따라 그림패턴 합성배열 메모리(16)에 기록한다. 그림패턴 합성 배열 메모리(16)에서 얻어진 합성이미지가 표시장치(5)상에 표시된다(단계 S19). 도 8A는 입력 문자열 유럽 스타일 결혼 피로연을 조합된 다른 그림파트 이미지로 구성된 합성그림 이미지로 변환한 것을 도시한다. 도 8B는 문자열 도너츠 먹기 경주와 대응하고 표준파트 이미지에 대해 그림파트 이미지파일(15)에서 판독된 5개의 조합된 그림파트 이미지로 구성된 합성그림 이미지를 도시한다.
제어는 CPU(1)가 키워드를 제외한 입력문자열 예를들어 유럽 스타일이 바뀌었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S20으로 간다. 그렇지 않으면, CPU(1)는 단계 S17에서 얻어진 파트이미지의 이미지 포인터값과 배열순서 및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텍스트메모리(9)에서 이미지 삽입위치에 기억시킨다(단계 S22). 만일 그림변환 문자열 메모리(10)에 기억된 문자열에 표현형식을 나타내는 수식어구가 있다면, CPU(1)는 표현형식 학습 메모리(17)에 표현형식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기억시킨다(단계 S23).
CPU(1)는 단계 S20에서 변경된 문자열을 검파할 때 변경된 문자열에 근거하여 표현형식을 변경하고 이미지 배열, 합성, 표시처리를 다시 수행한다(단계 S21). 도 9A 및 9B는 이런 처리 과정을 보여준다. 예를들어, 만일 문자열 유럽 스타일이 신부와 신랑은 각각 일본 스타일로 차려 입습니다로 변경될 때, CPU(1)는 변경된 문자열에 대한 그림파트 키워드표(12), 표현형식 변환표(13), 파트이미지 배열표(14), 그림파트 이미지파일(15)을 탐색하고 이것에 의해 도 9A의 이전 그림파트 이미지를 일본 스타일로 차려입은 신부와 신랑의 새로운 그림파트 이미지로 대체하고, 그림패턴 합성배열 메모리(16)에 이들 새로운 그림이미지를 배열하고 그림패턴 합성배열 메모리(16) 내용을 표시한다. 따라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롭거나 변경된 그림파트 이미지가 일본 스타일로 차려입은 것으로 표시된다.
CPU(1)가 키워드를 제외한 표현이 그림변환 문자열 메모리(10)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단계 C9에서 검파할 때 예를들어, 키워드 결혼피로연이 그림변환 문자열 메모리(10)에서 홀로 설정되고 유럽 스타일과 같은 표현형식을 지시하는 어떤 문자열도 포함되지 않을 때, 제어는 CPU(1)가 표현형식 학습 메모리(17)에서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S13으로 간다. 표현형식 학습메모리(17)는 마지막 혹은 그 마지막 전에 수행된 문자열-그림변환에서 입력된 표현형식을 지시하는 문자열을 학습하고 기억한다. 시스템 시작시에 어떤 데이터도 표현형식 학습메모리(17)에 기억되지 않으므로 CPU(1)는 단계 S14에서 그 사실을 검파한다. 이 동작에 응답하여 제어는 CPU(1)가 이때 입력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표준파트 코드를 그림파트 키워드표(12)에서 판독하는 단계 S16으로 간다. 만일 표현형식 학습 메모리(17)에 데이터가 있다면, CPU(1)는 표현형식 학습 메모리(17)에 있는 데이터와 대응하는 표현형식의 파트코드를 그림파트 키워드표(12)로부터 판독한다(단계 S15).
유사하게, CPU(1)는 그림파트 키워드표(12)에서 판독된 그림 파트코드에 기초하여 파트이미지 배열표(14)로부터 이미지 포인터값과 배열정보를 판독하고, 배열정보에 따라 그림패턴 합성 배열 메모리(16)에서, 판독된 포인터값에 따라 그림파트 파일(15)로부터 판독된 그림파트 이미지 데이터를 배열 및 합성하고, 이 결과의 데이터를 표시한다(단계 S18, S19). 도 10A-10C는 이 경우의 표시스크린을 보여준다. 예를들어, 이전의 문자열-그림변환에서, 문자열 동물원에 있는 올빼미가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준파트 이미지로 구성된 합성 그림 이미지로 변환된 다음에 표현 스타일을 지시하는 문자열 귀여운이 도 10A의 그림이미지 표현형식을 변경하도록 입력된다고 가정하면(단계 S20),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표준파트 이미지로 구성된 합성이미지는 변경문자열에 기초하여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변환된다(단계 S21). 그 다음에 표현형식에 대한 데이터 귀여운이 표현형식 학습 메모리(17)에 기억된다. 따라서, 만일 예들들어 동물원에 있는 악어가 이때 수행되는 문자열-그림변환에서 입력되면, CPU(11)는 표현형식 학습 메모리(17)에 데이터가 있다는 것을 단계 S14에서 검파한다. 따라서,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0)는 표현형식의 귀여운스타일로 동물원에 있는 악어를 표시한다. 그러므로, 예를들면 복수의 합성그림이 문서에 삽입될 때 합성그림 이미지 표현의 각 스타일은 표현형식을 각각 지시하는 각 문자열이 입력되지 않을 때라도 단일화된다. 이전 것과 다른 합성그림 이미지의 표현 스타일을 얻기 위해서는 이전과 다른 변경문자열이 위 경우와 같이 입력될 필요가 있다(단계 S21).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각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그림파트 코드를 포함하는 그림파트 키워드표(12) 및 그림파트 이미지 배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파트 이미지 배열표(14) 및 그림파트 코드와 대응한 이들의 포인터값이 제공된다. CPU(11)는 입력문자열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그림파트 키워드표(12) 및 파트이미지 배열표(14)를 탐색하고 키워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림파트 이미지를 그림파트 이미지파일(15)로부터 판독하고, 배열정보에 따라 그림패턴 합성배열 메모리(16)에서 각 그림파트 이미지를 배열 및 조합하고 이 결과의 합성이미지를 표시한다. 따라서 원하는 합성그림 이미지가 간단한 동작으로 쉽게 얻어진다.
또다른 것과 표현형식에서 다르고 표현 스타일이 다른 복수의 그림파트 이미지가 대응하는 표준그림파트 이미지 외에도 그림파트 키워드표(12)에 기억되기 때문에, 표현형식을 지시하는 문자열이 입력문자열에 포함될 때 표현형식에 달려있는 표현 스타일을 갖는 그림파트 이미지가 선택되고 조합 및 표시된다. 따라서, 키워드와 함께 표현형식을 지시하는 문자열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표현 스타일을 갖는 합성그림 이미지가 얻어진다.
만일 어떤 표현 스타일을 가지는 합성그림 이미지가 표시되고 이것의 표현형식을 변경하는 문자열이 입력되면, 합성이미지의 표현형식은 변경문자열에 달려있는 표현 스타일을 갖는 것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키워드를 포함하는 새로운 문자열을 새로이 입력할 필요는 없지만 문자열의 일부만을 변경하는 문자열은 원하는 표현 스타일을 갖는 합성그림 이미지를 얻기 위해 입력할 필요가 있다.
표현형식 학습 메모리(17)가 제공되므로 이 시간에 생성되는 합성그림 이미지는 문자열 입력 마지막 혹은 그 전에 포함된 것과 비슷한 표현 스타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합성그림 이미지가 문서에 삽입되어야 할 때 각 합성이미지는 표현형식을 지시하는 문자열이 각 합성그림 이미지가 입력되는 시간마다 입력될 필요가 없을 때라도 표현 스타일로 단일화된다.
표현형식 데이터가 입력될 때 입력된 데이터는 표현형식 변환표(13)가 제공되기 때문에 마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표현형식 변환표(13)에 기억된 어느 표현형식 데이터라도 대응하는 선결된 것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 결과 입력동작이 더욱 간단해진다.
방금 기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어떤 마진이 표현형식 변환표(13)의 제공으로 인해 입력되는 표현형식에 주어지는 동안, 마진은 입력되는 키워드와 마찬가지로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젠테이션, 프리젠테이션 장면, 계획설명 회의, 회의 중의 어느 하나가 도 11의 합성그림 이미지 프리젠테이션 장면을 얻기위한 키워드로 입력된다면, 알맞은 그림이미지가 생성되고 출력될 수 있다.

Claims (6)

  1.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출력하는 이미지 프로세서에 있어서:
    복수의 키워드, 각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배열하기 위한 배열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기억수단과;
    이미지 프로세서에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와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및 배열정보를 상기 이미지 기억수단에서 판독하기 위한 판독수단과;
    배열정보에 따라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배열 및 조합하고 이 결과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프로세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정보는 각 이미지 데이터의 장소 및 위치를 나타내며, 상기 출력수단은 배열순서에 따라 배열위치에 각각의 이미지 데이터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프로세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기억수단은 복수의 표현형식과, 각 표현형식 및 각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미지의 표현형식을 지시하는 문자열이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키워드 중의 어느 특정 하나와 함께 입력될 때, 상기 판독수단은 입력된 키워드와 표현형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프로세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기억수단은 이미지의 각 표현형식 및 각 키워드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한 그룹과 서로 다른 복수의 그룹을 포함하며,
    조합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조합이미지가 출력되고 조합이미지의 표현형식을 바꾸는 문자열이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될 때, 상기 판독수단은 조합이미지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와 같은 키워드이지만 바뀐 표현형식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프로세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기억수단은 각 표현형식 및 각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고, 그 표현형식을 기억하기 위한 이미지 표현형식을 지시하는 키워드 및 문자열을 입력하는 상기 입력수단에 응답하는 학습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출력이 새로운 입력 키워드로 지정될 때, 상기 판독수단은 상기 학습메모리에 기억된 새로운 키워드 및 표현형식과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기억수단에서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포로세서.
  6.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 코드를 포함하는 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키워드, 각 키워드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배열하기 위한 배열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코드와;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와, 입력된 키워드에 대해 대응하는 배열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제2프로그램 코드와;
    배열정보에 따라 판독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배열하고 출력하기 위한 제3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KR1019970705407A 1995-12-07 1996-12-02 이미지프로세서 KR100279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44707 1995-12-07
JP34470795A JP3648577B2 (ja) 1995-12-07 1995-12-07 画像処理装置
PCT/JP1996/003519 WO1997021193A1 (en) 1995-12-07 1996-12-02 Image process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012A true KR19980702012A (ko) 1998-07-15
KR100279183B1 KR100279183B1 (ko) 2001-01-15

Family

ID=1837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407A KR100279183B1 (ko) 1995-12-07 1996-12-02 이미지프로세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178465B1 (ko)
EP (1) EP0808491B1 (ko)
JP (1) JP3648577B2 (ko)
KR (1) KR100279183B1 (ko)
CN (1) CN1110019C (ko)
AU (1) AU7655696A (ko)
DE (1) DE69628735T2 (ko)
HK (1) HK1009191A1 (ko)
WO (1) WO19970211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62589A4 (en) * 1998-03-13 2002-06-19 Digital Imagin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RINTED DOCUMENTS WITH CUSTOM GRAPHICS AND CUSTOM TEXT
FR2829261B1 (fr) * 2001-09-04 2004-08-27 Documents Arts Graphiques Procede et dispositif d'attribution d'un contenu visuel a un objet
JP2004260273A (ja) * 2003-02-24 2004-09-16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CN101268494B (zh) * 2005-09-21 2012-01-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视频制作装置以及视频制作方法
US20070146787A1 (en) * 2005-12-21 2007-06-28 Fuji Xerox Co., Ltd. Image processing history management apparatus
JP2011107899A (ja) * 2009-11-16 2011-06-0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設定変更方法及び設定変更プログラム
JP5473646B2 (ja) * 2010-02-05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検索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0395276B1 (en) * 2012-09-07 2019-08-27 Groupon, Inc. Pull-type searching system
US20140315163A1 (en) * 2013-03-14 2014-10-2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group reading environment
US10970900B2 (en) * 2018-03-12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89638B1 (ko) * 2019-12-11 2022-04-2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데이터 그룹에 포함된 데이터들의 자동 배치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1866A (en) * 1979-10-25 1981-05-27 Toshiba Corp Variable scanning system
JP2993673B2 (ja) * 1989-01-27 1999-1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ファイル装置
US5126933A (en) * 1990-02-07 1992-06-30 White Iii Charles A Self-learning memory unit for process controller and self-updating function generator
JPH0457570A (ja) * 1990-06-27 1992-02-25 Dainippon Screen Mfg Co Ltd 画像処理装置
US5317508A (en) * 1991-10-24 1994-05-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editing apparatus
US5181653A (en) * 1992-03-03 1993-01-26 Foster Glenn D Residential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US5701500A (en) * 1992-06-02 1997-12-23 Fuji Xerox Co., Ltd. Document processor
JP3480971B2 (ja) * 1993-10-17 2003-12-22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カンパニー 画像データの生成方法及び復元方法
JP3067966B2 (ja) * 1993-12-06 2000-07-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部品を検索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US5600767A (en) * 1994-02-25 1997-02-04 Casio Computer Co., Ltd. Image creation device
JPH07275511A (ja) * 1994-04-06 1995-10-24 Sega Enterp Ltd 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システムのアトラクション展開方法
US5612742A (en) * 1994-10-19 1997-03-18 Ime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formatting data representing a video program to provide multiple overlapping presentations of the video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48577B2 (ja) 2005-05-18
JPH09161090A (ja) 1997-06-20
AU7655696A (en) 1997-06-27
EP0808491A1 (en) 1997-11-26
KR100279183B1 (ko) 2001-01-15
EP0808491B1 (en) 2003-06-18
WO1997021193A1 (en) 1997-06-12
HK1009191A1 (en) 1999-09-03
CN1173934A (zh) 1998-02-18
US6178465B1 (en) 2001-01-23
DE69628735T2 (de) 2003-12-18
DE69628735D1 (de) 2003-07-24
CN1110019C (zh) 200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4118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help for operations and concepts matching skill level
CN101213542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US20090077056A1 (en) Customization of search results
KR100279183B1 (ko) 이미지프로세서
WO1999033009A1 (en) Publication file conversion and display
JPWO2018235326A1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フォント切替装置及びフォント切替方法
CN110888975A (zh) 文本可视化
KR102613143B1 (ko) 텍스트-비디오 생성 방법, 장치, 설비 및 매체
WO2018225968A1 (ko) 동영상 템플릿의 조합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7121565A (ja) 情報提示装置
JP2009042841A (ja) コンテンツ管理装置
CN110837307A (zh) 一种输入法及其系统
JP7082438B1 (ja) コンテンツ生成システム、コンテンツ生成方法及びコンテンツ生成プログラム
JP2015179399A (ja) テキスト生成装置、テキスト生成プログラム及びテキスト生成方法
JPH05135054A (ja) 文書処理方法
CN110851628A (zh) 一种输入法及其客户端和提供候选图片/视频的方法
JP200729389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van Lit Philology: Standards for Digital Editing
JP5288569B2 (ja) 電子出版処理装置、電子出版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170626A (zh) 视频编辑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H10255064A (ja) デジタルデータとして用意された素材の割付装置
JPH1011454A (ja) 映像素材検索方法及び装置
JP2006338598A (ja) 情報検索装置及び検索条件表示プログラム
Dilligan Computing in the Web Age: A Web-interactive Introduction
CN110865833A (zh) 一种应用客户端、服务端及更新用户状态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