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1514A - 그라프트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그리고 이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그라프트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그리고 이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1514A
KR19980701514A KR1019970704905A KR19970704905A KR19980701514A KR 19980701514 A KR19980701514 A KR 19980701514A KR 1019970704905 A KR1019970704905 A KR 1019970704905A KR 19970704905 A KR19970704905 A KR 19970704905A KR 19980701514 A KR19980701514 A KR 19980701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polymer
propylene
propylene homopolymer
e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아노 단테
마스시아 프란체스코
Original Assignee
씨아노 지오반니
콤머 에스.페.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아노 지오반니, 콤머 에스.페.아. filed Critical 씨아노 지오반니
Publication of KR19980701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51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폴리알케닐렌(1 내지 30 중량%) 및 EP(D)M 중합체(5 내지 65 중량%),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그라프트 단위체와 그라프트시키고, 임의로 비닐 폴리부타디엔 그라프트 단위체(0.01 내지 10 중량%)와 그라프트시켜서 제조되는, 연질감과 유동학적 특성이 양호하고 사출성형에 적합하며, 점착성을 나타내지 않는 수지 재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라프트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그리고 이것의 제조방법
자동차 도어의 내측 패널, 계기반(dash-board) 부재, 내장용 부재, 콘솔 및 이와 유사한 부품들의 제조는 합성 피혁층을 지지 부재에 결합시켜서 수행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주된 2가지 결합 방법은, 상기 합성 피혁을 지지체에 접착(glueing)시키는 방법과, 상기 합성 피혁을 가열된 열가소성 지지부재와 함께 모울드내에 가압 성형시켜서 제조하는 방법이다.
근래에, 본 발명자는 외피(합성 피혁을 의미함)와, 필요한 강도를 최종 부재 제품에 부여하게 되는 내부 지지층을 동시-사출하여 패널 또는 이와 유사한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상기 기술을 사용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중의 한가지는, 표피 재료의 물성에 관한 것이다. 표피 재료는 양호한 유동성(양호한 사출성형을 위함)과 함께 쾌적한 감촉(부드러움) 특성을 겸비해야 한다는 점이다. 양호한 유동성-태양이나 쾌적한 감촉 특성중의 어느 한가지를 구비한 재료는 당해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쾌적한 감촉(부드러움) 특성을 가지는 중합체는, 특성이 고무와 아주 흡사한 예컨대 폴리올레핀을 기초로 하는 EP 또는 EPDM 배합물, 또는 그 자체가 열가소성 에라스토머로서 기능을 하는 신규한 TPO(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재료이다.
불행하게도, 상기 재료들은 쾌적한 감촉 특성을 제공하지만, 양호한 유동성-태양을 결여하고 있어서 사출성형 공정에는 사용할 수가 없다.
상기와 같은 양호한 유동성 태양은 반응성 분해, 즉 중합체의 분자량(분자의 사슬 길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라디칼 개시제로서의 과산화물 또는 비-과산화물에 의해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선택적 분해를 수행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디쿠밀 과산화물(DCUP) 또는 디(3차 부틸) 과산화물과 같은 과산화물 라디칼 개시제, 또는 예컨대 2,3-디메틸-2, 3-디페닐에탄 또는 3,4-디메틸-3,4-디페닐헥산과 같은 비-과산화물 라디칼 개시제를 0.1 내지 1.0 중량부의 농도로 사용하면, 프로필렌 중합체의 유동학적(rheological) 특성(양호한 유동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 방법의 결점은, 중합체의 기계적 특성(모듈 및 충격 강도)을 저하시킬 수 있고, 저분자량 사슬 구조를 가지는 분자가 부산물로서 생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상기 생성물들은 용융점이 낮고 저온에서는 점성 액체로 되며, 이것이 성형품의 표면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품에 점착성을 부여하고 사용하기에 부적합해진다.
결정성 프로필렌을 150 내지 300℃ 범위의 온도에서 과산화물 라디칼 개시제(EP 261.786) 또는 비-과산화물 라디칼 개시제(EP 542.253)의 존재하에 예컨대 1-부텐과 같은 α-올레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처리하여 상기 결정성 프로필렌을 변성(그라프트화)시키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2가지의 경우 모두에 있어서, 저분자량 중합체 사슬의 재결합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아주 저온일 경우(온도 60℃ 미만)에도 최종 제품의 점성은 전혀 감소되지 않는다.
프로필렌에 그라프트화된 폴리알케닐렌도 또한 공지되어 있다(플라스틱, 고무 및 복합재의 가공 및 적용, 18, p47~58, 1992; 및 EP 642.622). 이 경우에, 제조된 수지는 점성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예컨대 사출 및 동시 사출 성형 방법에 있어서의 자체의 가공성을 저해하는 것과 같은 실질적 용융유동성의 감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그라프트화된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그리고 이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라프 단위체는 1,2 폴리디엔류, 폴리알케닐렌류, 및 에틸렌-프로필렌(EP)의 공중합 반응, 또는 에틸렌-프로펠렌과 비-콘주게이트 디엔 단량체(EPDM)의 공중합 반응에 의해 얻어진 비결정형 에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예컨대 자동차 도어의 내부 패널과 같은 물품에 사용하기 위한 합성 피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수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한 특성을 가진 프로필렌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 제 1항에 따른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및 공중합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 제 8항에 따른 상기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 15항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패널이나 기타 내부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중합체의 제조에 상기 중합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EP)의 공중합 반응,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채(EPDM)의 공중합 반응에 의해 얻어진 5 내지 65%의 그라프트화된 비결정형 에라스토머를 포함한다. EMP 및 EPDM은 모두 나프텐/파라핀 오일을 사용하여 중량(excend)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또한 0.1 내지 5%의 비닐 폴리부타디엔을 그라프트 단위로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에 있어서는, 과산화물 개시제의 존재하에 열분해시킴으로써 (공)중합체를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예컨대 자체의 유동성으로 인해 사출 또는 공동사출 성형 공정에 적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조된 최종 제품에서는 점착성을 나타내지 않게 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또한, 점성이 전혀 없이 양호한 연성, 즉 쾌적한 촉감을 가지는 합성 피혁 또는 기타 제품의 제조에도 적합하다. 이와 같이 해서 제조된 본 발명의 합성 피혁을 사용하여 전술한 접착 또는 열-가압(pressing)방법으로 자동차의 내장용 판넬(trim pannel)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의 설명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폴리알케닐렌, EPM 및 EPDM 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그라프트 단위체를,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폴리알케닐렌의 경우에는 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그리고 EPM 및/또는 EPDM의 경우에는 5 내지 6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하여 그라프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는, 비닐부타디엔, 즉 α-올레핀 중합체를 그라프트 단위체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0.01 내지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출발 중합체는 프로필렌 중합체이지만, 다른 출발 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 제품은 예컨대 압출기내에서, 또는 사출 성형이나 동시-사출성형 과정중에 직접 반응성 변형(분해)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재료의 유동성은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고,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도 있는 한편, 자체의 연성은, 표면 경도의 관점에서, 상기 재료가 열가소성 에라스토머와 유사하게 되도록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필렌 중합체를, 160 내지 310℃ 범위의 온도에서 폴리알케닐렌 및/또는 비결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폴리머와 함께 혼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며,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 α-올레핀 중합체와 혼합시키는 것이 가장 적합하지만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모두 프로필렌 중합체로 부르기로 한다. 특히, 적당한 프로필렌 중합체는 0.1%보다 높은 이소택틱(isoctatic) 계수를 가지는 공중합체로서, 상기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에틸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과 같이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α-올레핀류; 프로필렌 및 이것의 혼합물과 에틸렌 및/또는 α-올레핀의 순서에 따른 중합반응을 거쳐서 얻어진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신디오택틱(syndioctatic) 프로필렌 중합체; 프로필렌 (공)중합체와 EP(D)M의 배합물(여기에서 상기 EP(D)M은 그라프트 단위체로서 작용하지 않는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230℃/21.6N에서 0.1 내지 1000g/10분,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60 사이의 용융 흐름 지수(MFI)를 가진다(ASTM 1238). 프로필렌 중합체의 양은 10 중량% 이상이 보통이다.
비닐 폴리부타디엔, 즉 부타디엔의 액체 중합체는 예컨대 톨루엔과 같은 용매내에서 유기 리튬 촉매를 사용하여 부타디엔을 음이온성 중합반응 시킴으로써 제조하는 것이 보통이고, 상기 용매는 반응 종료시에 제거하게 된다. 기초 구성 단위체인 부타디엔 단량체는 다음 화학식을 가진다:
CH2=CH-CH=CH2
부타디엔의 음이온성 중합반응에 따라, 기본적으로 3가지 상이한 유형의 구조를 포함하는 중합체 사슬이 유도된다:
사용된 폴리부타디엔(본 명세서에서는 비닐 폴리부타디엔으로 정의됨)은 1,2-구조의 함량이 20% 이상이고 분자량 900 내지 10,000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비닐부타디엔의 양은 수지 총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5%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바람직한 폴리알케닐렌은 폴리옥테일렌으로서, 이것은 소위 복분해(metathesis) 중합반응에 의해 시클로-옥텐으로부터 제조된다. 이것은 분지되지 않고 8개 탄소 원자 당 1개의 2중 결합을 포함하고 있는 고리형 및 선형 거대 분자를 포함하고 있다. 2중 결합은 트랜스(TRANS) 또는 시스(CIS)-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결정 등급은 상기 트랜스 구조의 함량에 따라 좌우된다.
상기 중합체의 실례로서는 Huels AG에서 시판중인 Vestenamer 8012 및 6213(TM)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폴리알케닐렌의 양은 광범위하게 다양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양은 총 조성물의 30 중량% 미만이며 1 내지 20 중량% 사이가 바람직하다.
EPM 및 EPDM 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의 공중합 반응을 거쳐 제조되어, 다음의 기본 단위체를 제공하거나,
에틸렌-프로필렌과 비-콘주게이트 디엔 단량체의 공중합 반응을 거쳐 제조되어, 다음의 기본 단위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종류의 재료들의 실례로서는 Enichem Elastomeri사에서 제조 및 시판하는 Dutral CO 및 Dural TER(TM)이 있다. EPM과 EPDM 중합체는 건조 형태로, 또는 오일로 중량시켜서, 즉 파라핀/나프텐 오일을 첨가하여 자체의 연성을 증가시킨후에 사용한다. 첨가된 오일의 양은 EP(D)M 중합체의 90 내지 100 중량%에 달할 수 있다. 건조 상태의 EPM 또는 EPDM의 양은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5 내지 65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 중량% 범위이내이다. EP(D)M 중합체에 오일을 첨가하면 연성이 증가되고 최종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비용을 낯출 수 있다.
라디칼 개시제는 예를 들어 디쿠밀-과산화물(Akzo Noble사의 Perkadox BC-FF(TM)으로, 또는 Peroxid Chemie GmbH의 DCUP(TM)으로 시판됨), 2,5-비스(3차 부틸퍼옥시)-2,5-디메틸헥산(Akzo Noble사의 Trigonox 101(TM)으로, 또는 Peroxid Chemie GmbH의 CCDFH(TM)으로 시판됨)과 같은 과산화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과산화물 계열이 아닌 것으로는, 예컨대 2,3-디메틸-3,4-디페닐 헥산(Akzo Noble사의 Perkadox 58(TM)으로, 또는 Peroxid Chemie GmbH의 CCDFH(TM)으로 시판됨), 2,3-디메틸-2,3-디페닐 부탄(Akzo Noble사의 Perk adox 30(TM)으로, 또는 Peroxid Chemie GmbH의 CCDFH(TM)으로 시판됨)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개시제의 함량은 필요한 효과에 따라 광범위하게 다양할 수 있는데, 즉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05 내지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 중량%이다.
반응 공정중의 산화적 열분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산화방지제와 안정제가 사용된다. 1차 산화제로서는 예컨대 2,6-디-3차-부틸-4-메틸페놀(BHT)과 같이 입체적으로 차단된 페놀류 및 2차 아민류를 들수 있다. 적합한 2차 산화방지제로서는 티오에테르, 아인산염 및 포스폰산염이 있다. 산화반지제의 함량은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을 더욱 구제적으로 설명할 것인 바, 이는 조금이라도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다.
다음의 실시예에서는, 흐림 값(fogging value)을 점착성에 대한 비교값으로 사용하였다(이는 중합체의 표면으로 이동되는 중합체 단쇄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상기 흐림 값은, 가열시에 물질이 시편의 표면으로 이동된 다음, 유리 시이트에 침착되는 것에 대한, 비교값으로서의 완전 투명한 유리 시이트를 투과하는 양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투과값이 낮을수록 표면 이동량이 많다.
(실시예)
실시예 1
Montell상에서 시판(상표명; HiFax CA10A(TM))하는, 용융흐름 지수(ASTM1238/L에 따라 측정)가 0.6dg/min이고 쇼어(Shore) 경도 D(ASTM D 2240에 따라 측정)가 323이며, 흐림 값(DIN 75201에 따라 측정)가 95%인 500 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0.75 중량부의 산화방지제(Ciba-Geigy사에서 제조 및 판매하는 Irganox 1035(TM)), 및 실리카 상에 지지된 과산화물 중합 개시제로서의 1.15 중량부의 2,5-비스(3차-부틸퍼옥시)-2,5-디메틸헥산(Akzo Nobel사 Trignox 101-50d-pd(TM))과 함께 혼합시켰다.
이 혼합물을, 나사선이 30mm이고 L/D 비율이 19인, Bausano사제 양날 압출기 MD30의 호퍼에 넣었다. 그 다음에는 이 혼합물을, 스크루우 실린더내 온도 200 내지 200℃, 흐름 속도 20kg/h, 스크루우 속도 25 rpm 및 체류 시간 60 내지 180초로 조작하여 압출시켰다. 상기 중합체를 스트링(string) 형상으로 압출시켜낸 후, 이것을 과립으로 형성시켰다.
이렇게 해서 제조된, ASTM1238/L(MFI)에 따른 특성을 가지는 펠릿은 16dg/min의 값, 쇼어 경도 D=35, 흐림 값 75% 이하(DIN 75201)를 나타내었다. 상기 특성확인에서는, 시편 표면의 과도한 점착성을 수반하는 흐림값의 극적 감소가 관찰되었다.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상기 현상들은 모두, 중합체 사슬의 분해(분자량의 감소)에 기인하는 것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혼합물에, 1.15 중량부의 Trignox 101/50(TM)을 더 첨가하였다.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압출 및 과립화를 수행하였다.
ASTM 1238L에 따른 용융 흐름지수는 100 dg/min이었고, 쇼어 경도 D(ASTMD2240)는 38이며 흐림값은 70% 미만이었다.
실시예 3
평균 분자량이 2600이고 25℃에서의 점도가 85 포이즈(poise)인 5 중량부의 액체 비닐 폴리부타디엔(Revertex사에서 제조 및 Lithene PH(TM)으로 시판중임)을, 실시예 2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펠릿의 제조 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행하였다. 용융흐름 지수는 20 dg/min이었고, 쇼어 경도 D=35, 흐림값은 85%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의 혼합물에 15 중량부의 폴리알케닐렌(Huels AG에서 제조 및 Vestenamer 8012(TM)로 시판중임)을 첨가하였다. 압출 및 펠릿의 제조 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행하였다.
특성확인 값은 다음과 같다:
- MFI = 13 dg/min;
- 쇼어 경도 D = 25;
- 흐림값 93%
실시예 5
실시예 2의 혼합물에 25 중량부의 Vestenamer 8012(TM)을 첨가하였다. 펠릿의 제조 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행하였다.
특성확인 값은 다음과 같다:
- MFI = 16 dg/min;
- 쇼어 경도 D = 25;
- 흐림값 95%
실시예 6
PCD polymer에서 제조 및 USC 1012A로 시판중인, 용융흐름 지수가 45g/10분에서 230℃/2.16N이고(ISO 1133에 따라 측정), 유동 계수가 1350 MPa이며(DIN 53457에 따라 측정) 흐림 값이 95% 이상인 225 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중량 오일 함량이 50 중량%이고 무우니(Mooney)점도 ML(1+4)가 125℃에서 31이며 Enichem Elastomeri 사에서 제조 및 Dutral CO 554(TM)으로 시판중인, 270 중량부의 비결정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M), 및 0.75 중량부의 페놀성 산화방지제(Ciba-Geigy사에서 제조 및 Irganox 1035(TM)로 시판중임), 그리고 Peroxid Chemie GmbH에서 제조 및 DHBP-45 IC/G로 시판중인 과산화물 라디칼 개시제로서의 2,5-디메틸-2,5-디(테르부틸 퍼옥시(헥산(chalk 와 함께 45 중량%)과 함께 혼합시켰다. 그 다음에는 이 혼합물을, 스크루우 실린더내 온도 170 내지 210℃, 흐름 속도 40kg/h, 스크루우 속도 20 rpm 및 체류 시간 60 내지 180초로 조작하여 압출시켰다. 상기 중합체를 스트링(string) 형상으로 압출시켜낸 후, 이것을 과립으로 형성시켰다.
이렇게 해서 제조된 펠릿은, ASTM1238/L(MFI)에 따른 값 34dg/min, 및 흐림 값 95% 이하(DIN 75201)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7
167.5 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USC 1012A를 332.5 중량부의 Dutral CO 554, 0.75 중량부의 Irganox 및 1.75 중량부의 DHBP-45 IC/G와 함께 혼합시켰다.
펠릿의 제조 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행하였다. 특성확인 값은 다음과 같다:
- MFI = 13 dg/min;
- 쇼어 경도 D = 68;
- 흐림값 95%
실시예 8
164.5 중량부의 프로필렌 공중합체 USC 1012A를, 325.5 중량부의 Dutral CO 554, 10 중량부의 비닐 폴리부타디엔(Revertex Ltd.의 Lithene PH(TM)), 및 1.75 중량부의 DHBP-46 IC/G와 함께 혼합시켰다.
펠릿의 제조 공정은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실행하였다. 특성확인 값은 다음과 같다:
- MFI = 18.5 dg/min;
- 쇼어 경도 A = 68;
- 흐림값 90%

Claims (17)

  1. 그라프트 단위를 포함하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로서, 상기 그라프트 단위체가 폴리알케닐렌, EPM 및 EPDM 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알케닐렌의 양은 1 내지 30 중량%이고, EPM 및/또는 EPDM 중합체의 양은 5 내지 6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그라프트 단위체로서 비닐폴리부타디엔을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EPM 및/또는 EPDM 중합체를 EPM/EPDM 중합체 총량을 기준으로 1 내지 60 중량%에 달하는 추가량의 오일로 증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4. 제 1항 내지 제 3항둥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1 내지 5.0 중량%의 비닐 폴리부타디엔 및 1.5 내지 20 중량%의 폴리알케닐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닐부타디엔이 20 중량%이상의 1,2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케닐렌이 폴리옥테닐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발물질인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8. 라디칼 개시제와 그라프트 단위체의 존재하에 선택적 분해에 의해서 그라프트화된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에 및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리알케닐렌, EPM 및 EPDM 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그라프트 단위체를 사용하며, 수지 총량을 기준으로, 폴리알케닐렌의 양은 1 내지 30 중량%이고, EPM/EPDM 중합체의 양은 5 내지 6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프트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그라프트 단위체로서 비닐폴리부타디엔을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프트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EPM 및/또는 EPDM 중합체를 EPM/EPDM 중합체 총량을 기준으로 1 내지 60 중량%에 달하는 추가량의 오일로 증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프트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1. 제 8항 내지 제 10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1 내지 5.0 중량%의 비닐 폴리부타디엔 및 1.5 내지 20 중량%의 폴리알케닐렌을 그라프트 단위체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프트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2. 제 8항 내지 제 11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부타디엔이 20 중량% 이상의 1,2 구조체를 포함하고/또는 상기 폴리알킬렌이 폴리옥테닐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13. 제 8항 내지 제 1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개시제가 과산화물 라디칼 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14. 제 1항 내지 제 7항중의 어느 한항에 따른 조성을 가지는 그라프트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제조용 배합물.
  15. 제 1항 내지 제 7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을 가지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제조용 배합물을 자동차 도어의 내측 패널 또는 자동차 외장용 부재를 제조하는 외피 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용도.
  16. 자동차 도어의 내측 패널 부재 또는 자동차 외장용 부재로서, 제 1항 내지 제 7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을 가지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로 제조된 외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17. 제 16항에 있어서, 동시적 사출성형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내측 패널 부재 또는 자동차 외장용 부재.
KR1019970704905A 1995-01-20 1996-01-15 그라프트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그리고 이것의 제조방법 KR199807015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95A000083 1995-01-20
ITMI950083A IT1272915B (it) 1995-01-20 1995-01-20 Polimeri e copolimeri propilenici graffati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514A true KR19980701514A (ko) 1998-05-15

Family

ID=1137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905A KR19980701514A (ko) 1995-01-20 1996-01-15 그라프트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그리고 이것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454980B1 (ko)
EP (1) EP0804504B1 (ko)
JP (1) JP4132072B2 (ko)
KR (1) KR19980701514A (ko)
AT (1) ATE194371T1 (ko)
BR (1) BR9606773A (ko)
DE (1) DE69609160T2 (ko)
ES (1) ES2150098T3 (ko)
IT (1) IT1272915B (ko)
WO (1) WO19960223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09707B (en) 1997-02-21 2002-11-11 Montell Technology Company Bv Soft elastomeric thermoplastic polyolefin compositions
EP1057864A1 (en) * 1999-06-04 2000-12-06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r.l. A functionalized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DE60319336T2 (de) 2003-01-30 2009-02-19 Key Safety Systems, Inc., Sterling Heights Lenkrad mit thermoplastischen Verbundmaterialien
PL1753813T3 (pl) 2004-06-08 2008-03-31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Kompozycja poliolefinowa mająca wysokie zrównoważenie sztywności, udarności i wydłużenia przy zerwaniu oraz niskiego skurczu termicznego
US9758656B2 (en) 2013-08-28 2017-09-12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Soft touch compositions and articles thereof
CN107075209B (zh) 2014-09-30 2020-05-19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低乙烯的无定形丙烯-乙烯-二烯三元共聚物组合物
FR3037588B1 (fr) * 2015-06-19 2017-05-19 Michelin & Cie Copolymere elastomere thermoplastique a base d'elastomere dienique et de polypropylene, compositions le comprenant et procede de preparation
CN108026680B (zh) * 2015-10-02 2020-12-08 博里利斯股份公司 具有改进性能的熔喷网
DK3257988T3 (da) * 2016-06-13 2019-11-04 Borealis Ag Smelteblæste baner af høj kvalitet med forbedrede barriereegenskab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6038A (en) * 1967-07-13 1969-07-15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Blends of ethylene-propylene rubber and atactic polypropylene
US3806558A (en) * 1971-08-12 1974-04-23 Uniroyal Inc Dynamically partially cured thermoplastic blend of monoolefin copolymer rubber and polyolefin plastic
US3935136A (en) * 1972-02-07 1976-01-27 Phillips Petroleum Company Preparation of impact plastic compositions
JPS5556143A (en) * 1978-10-19 1980-04-24 Asahi Chem Ind Co Ltd Polyethylene composition for rotational molding with high gloss releas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DE3219331C1 (de) * 1982-05-22 1983-12-29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netzten Polyolefinschaumstoffen
CA1261505A (en) * 1984-05-02 1989-09-26 Akira Uchiyam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JPS61152753A (ja) * 1984-12-27 1986-07-11 Nippon Oil Co Ltd 架橋樹脂組成物
GB8620502D0 (en) * 1986-08-22 1986-10-01 Du Pont Canada Modification of crystalline propylene polymers
IT1216719B (it) * 1988-01-28 1990-03-08 Milano Composizioni termodegradabili abase di omo o copolimeri cristallini del propilene eprocedimento per effettuare la degradazione selettiva di tali omo e copolimeri.
DE68913482T2 (de) * 1988-12-23 1994-09-01 Showa Denko Kk Thermoplastischer Elastomer.
US4948840A (en) * 1989-11-14 1990-08-14 Himont Incorporated Thermoplastic elastomer of propylene polymer material and crosslinked ethylene-propylene rubber
IT1252388B (it) * 1991-11-12 1995-06-12 Sviluppo Settori Impiego Srl Polimeri e copolimeri del propilene aggraffati con vinilpolibutadiene e procedimento di preparazione
IT1252239B (it) * 1991-12-10 1995-06-05 Commer Sp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pannelli interni per autoveicoli
US5376743A (en) * 1993-03-11 1994-12-27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ticky polymers
JP3328360B2 (ja) * 1993-03-31 2002-09-24 三井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
JP2882235B2 (ja) * 1993-04-27 1999-04-12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ンドイッチ成形品
US5503923A (en) * 1993-04-27 1996-04-02 Toyoda Gosei Co., Ltd. Molded sandwich article
IT1264437B1 (it) * 1993-05-13 1996-09-23 Spherilene Srl Polimeri del propilene aggraffati con polialchenileni e processo per la loro preparazione
KR970006388A (ko) * 1995-07-19 1997-02-19 조규향 열가소성 에라스토머 (elastomer)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09160T2 (de) 2000-11-16
EP0804504B1 (en) 2000-07-05
US6454980B1 (en) 2002-09-24
ES2150098T3 (es) 2000-11-16
EP0804504A1 (en) 1997-11-05
IT1272915B (it) 1997-07-01
BR9606773A (pt) 1998-01-06
WO1996022327A1 (en) 1996-07-25
ITMI950083A0 (it) 1995-01-20
JPH11501338A (ja) 1999-02-02
ATE194371T1 (de) 2000-07-15
ITMI950083A1 (it) 1996-07-20
DE69609160D1 (de) 2000-08-10
JP4132072B2 (ja)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4502B1 (en) A tpe composition that exhibits excellent adhesion to textile fibers
EP2757131B1 (en) Cross-linked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cross-linked composition, and molding
EP0895526B1 (en) Soft elastomeric thermoplastic polyolefin compositions
EP0336780B1 (en) Thermoplastic resin or elastomer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paint adhesion and laminate comprising layer of said thermoplastic elastomer and polyurethane layer
CN107383583B (zh) 一种高刚性低开启力的外盖材料及制备方法与应用
KR20010023370A (ko) 폴리올레핀의 동일 반응계 유동성 개질 방법
WO1996012745A1 (en) Preparation of polyolefin based thermoplastic elastomers
EP1198513B1 (en) Mixtures of thermoplastic elastomers and polar polymers
EP1391482A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AU740319B2 (en) Partially cross-linked elastomeric polyolefin mixtures
WO1989007624A1 (en) Polymer composition
EP0804504B1 (en) Grafted propylene homo and copolymers and a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U2017332755B2 (en) Enhancing bond strength of medical devices
JPS626585B2 (ko)
KR100269835B1 (ko) 내충격성 폴리올레핀 성형 조성물
EP1306405B1 (en) Thermoplastic olefin elastomer composition
JPS6022016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組成物
JP6792522B2 (ja) 柔らかい触感の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H01295818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製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0072885A (ja) 機械的強度に優れた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07160610A (ja)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積層体
JP2000044692A (ja) 自動車内装部品
JPH0453861A (ja) プロピレン重合体樹脂組成物
MXPA98006861A (en) Process for elaborating polypropylene grafting pools that contain anhydr grou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