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1288A - 회전무화두(Rotary Atomizing Head Assembly) - Google Patents

회전무화두(Rotary Atomizing Head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1288A
KR19980701288A KR1019970704677A KR19970704677A KR19980701288A KR 19980701288 A KR19980701288 A KR 19980701288A KR 1019970704677 A KR1019970704677 A KR 1019970704677A KR 19970704677 A KR19970704677 A KR 19970704677A KR 19980701288 A KR19980701288 A KR 19980701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ring
hub member
atomized
hea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4973B1 (ko
Inventor
마사도시 곤
히데쓰구 마쓰다
Original Assignee
스즈키 이사무
에이비비인더스트리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 이사무, 에이비비인더스트리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키 이사무
Publication of KR1998070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6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sprayed being axially supplied to the rotating member through a hollow rotating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4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5/0403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 B05B5/0407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with a spraying edge, e.g. like a cup or a bell

Landscapes

  • Nozzles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무화두(霧化頭)본체(2)와 허브부재(5)를 용이하게 분해, 세정(洗淨), 조립할 수 있는 회전무화두(1)에 관한 것이다. 무화두본체(2)의 허브결합요부(3) 내주측에 링계합면(4)을 배설하고, 허브부재(5)의 통부(筒部)(7) 외주측에 링결착홈(8)을 배설한다. 링결착홈(8)에 O링(11)을 결착한 상태에서 허브결합요부(3)에 허브부재(5)의 통부(7)를 결합함으로써, O링(11)의 탄성력에 의하여 허브부재(5)를 무화두본체(2)에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O링(11)에는 링계합면(4)이 계합하여, 허브부재(5)의 이탈방지를 도모하고 있다. 한편, 허브부재(5)를 축방향으로 압동(押動)하여 O링(11)을 탄성변형시킴으로써, 허브부재(5)를 무화두본체(2)로부터 분해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무화두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 등의 피도물에 도장을 행하는 도장기로서는, 회전무화두를 사용한 도장기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회전무화두는 통형(筒形) 내지 벨형을 이루고, 고속회전함으로써 도장기 본체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무화(霧化)하여, 피도물에 도착(塗着)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이 벨형 회전무화두를 사용한 도장기 (이하, 회전무화두형 도장기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6에 제1의 종래기술을 나타낸다. (100)은 회전무화두이고, 이 회전무화두(100)는 무화두본체(101)와, 이 무화두본체(101)내에 배설된 허브(hub)부재(102)와로 대략 구성되고, 이 무화두본체(101)와 허브부재(102)와는 고정나사(10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104)는 도장기의 하우징, (105)는 회전축을 나타내고, 이 회전축(105)의 선단에 회전무화두(100)가 장착되고, 이 회전무화두(100)에는 도료튜브(106)로부터 됴료가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도 17은 제2의 종래기술을 나타낸다. (200)은 회전무화두를 나타내고, 이 회전무화두(200)는 무화두본체(201)와, 이 무화두본체(201)내에 배설된 허브부재(202)와로 구성되고, 이 무화두본체(201)와 허브부재(202)와는 나사부(20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204)는 도장기의 하우징, (205)는 회전축을 나타내고, 이 회전축(205)의 선단에 회전무화두(200)가 장착되고, 이 회전무화두(200)에는 상기 회전축(205)내를 신장하여 배설된 도료튜브(206)로부터 도료가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 종류의 회전무화두는, 다수색의 도료의 색을 바꾸면서 도장하는 것이므로, 무화두본체와 허브부재를 분해하여 세정(洗淨)하고, 다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제1의 종래기술에 의한 것에서는, 무화두본체(101)와 허브부재(102)와를 고정나사(103)에 의하여 고정하고, 제2의 종래기술에서는, 무화두본체(201)와 허브부재(202)와를 나사부(203)에 의하여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무화두(100, 200)의 세정시에는, 고정나사(103), 나사부(203)를 풀거나 조이거나 함으로써, 무화두본체(101, 201)와 허브부재(102, 202)를 분해하고, 세정이 끝나면 재조립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종래기술에 있어서도 고정나사(103)나 나사부(203)를 풀거나 조이기 위해서는, 별도 공구가 필요하게 되는데다, 분해, 조립에 시간을 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작금의 회전무화두형 도장기에서는, 도장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회전무화두를 예를 들면 20000rpm 이상의 고속으로 회전하여, 분무도료의 미세화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무화두에는, 항상 축선에 대하여 심진동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고정밀도의 회전밸런스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각 종래기술과 같이, 무화두본체(101, 201)와 허브부재(102, 202)와를 착탈가능하게 하면, 미리 회전무화두(100, 200)의 회전밸런스를 조정해도, 재조립시에는, 나사의 체결강도 등에 의하여 회전밸런스에 차이가 생겨 버린다. 그러므로, 회전무화두(100, 200)의 회전밸런스를 재조정하지 않으면 안되어, 많은 시간이나 비용을 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무화두본체와 허브부재와를, 핀이나 압입(壓入) 등의 수단에 의하여 분해불가능하게 고정하여, 회전무화두의 회전밸런스를 제조시의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회전무화두에 도료가 부착하여, 굳어져 버려도 각 부에 부착한 도료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무화두본체와 허브부재를 용이하게 분해, 세정, 조립할 수 있고, 또 재조립의 후에도 회전무화두의 회전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회전무화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차체 등의 피도물(被塗物)에 도장을 행하는 도장기(塗裝機)에 사용하여 적합한 회전무화두(霧化頭)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중의 화살표시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무화두본체와 허브부재를 분해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중의 화살표시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중의 화살표시 C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중의 화살표시 D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중의 화살표시 E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도 12중의 화살표시 F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제1의 종래기술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제2의 종래기술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낸 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회전무화두는, 통형 내지 벨형으로 형성되고, 뒷부측이 회전축에 장착되기 위한 회전축장착부로 되는 동시에, 앞부측의 내주면이 방출단에지에 향하여 도료를 박막화(薄膜化)하는 도료박막화면으로 되고, 이 도료박막화면의 안쪽에 허브결합요부가 배설된 무화두본체와, 뒷면측이 도료받이면으로 된 덮개부와 이 덮개부로부터 통형으로 뻗어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통부(筒部)와로 유개(有蓋)통형체를 이루고, 상기 도료받이면에 공급된 도료를 상기 무화두본체의 도료박막화면에 유출하는 도료유출공이 천공된 허브부재와,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과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중의 한쪽의 면에 배설된 링결착홈과, 이 링결착홈에 결착되고,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에 상기 허브부재의 통체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 허브부재를 탄성력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링과, 이 탄성링에 의하여 상기 허브부재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 허브부재의 이탈방지를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링결착홈과 대향하여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과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중의 다른 쪽의 면에 배설된 링계합면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내에 허브부재의 통부를 결합시켰을 때에는, 링결착홈내에 결착된 탄성링이 허브결합요부와 통부와의 사이에서 탄성변형하여 무화두본체에 대하여 허브부재를 탄성력으로 이탈방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별도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무화두본체와 허브부재를 분해하고, 재조립할 수 있다. 또,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에 허브부재의 통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링계합면이 탄성링에 계합하므로, 이 탄성링의 저항력에 의하여, 이 허브부재의 이탈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에 허브부재의 통부를 탄성링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회전무화두를 고속회전한 경우에, 무화두본체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허브부재의 회전중심을 맞출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링계합면을,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에 환상확경(環狀擴徑)홈부를 배설함으로써, 당해 내주면과 환상확경홈부와의 사이의 경사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 링계합면을,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에 환상축경(環狀縮徑)홈부를 배설함으로써, 당해 외주면과 환상축경홈부와의 사이의 경사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내에 허브부재의 통부가 결합하면, 환상축경홈부내에 탄성링이 결합하고, 이 탄성링이 경사면으로서 형성된 링계합면에 압접, 계합하므로, 이 탄성링의 저항력으로 허브부재를 이탈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는 그 저면을 회전중심에 향하여 경사진 경사저면으로서 형성하고, 허브부재의 통부는 그 후단면을 이 경사저면에 대응한 경사후단면으로서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에 허브부재의 통부를 결합시키고, 이 허브결합요부의 경사저면에 상기 통부의 경사후단면을 맞닿게 하면, 허브부재는 그 경사후단면에 의하여 무화두본체의 회전중심에 배향되므로, 이 허브부재를 무화두본체의 회전중심에 자동적으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는 그 내주면을 회전중심에 향하여 경사진 경사내주면으로서 형성하고, 허브부재의 통부는 그 외주면을 이 경사내주면에 대응한 경사외주면으로서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에 허브부재의 통부를 결합시키고, 이 허브결합요부의 경사내주면에 상기 통부의 경사외주면을 맞닿게 하면, 허브부재는 그 경사외주면에 의하여 무화두본체의 회전중심에 배향되므로, 이 허브부재를 무화두본체의 회전중심에 자동적으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에 링결착홈을 배설하고,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에 링계합면을 배설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에 링결착홈을 배설하고,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에 링계합면을 배설해도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에 링결착홈을 배설하고,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에 링계합면을 배설하는 동시에,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는 그 저면을 회전중심에 향하여 경사진 경사저면으로서 형성하고, 허브부재의 통부는 그 후단면을 이 경사저면에 대응한 경사후단면으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에 링결착홈을 배설하고,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에 링계합면을 배설하는 동시에,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는 그 저면을 회전중심에 향하여 경사진 경사저면으로서 형성하고, 허브부재의 통부는 그 후단면을 이 경사저면에 대응한 경사후단면으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에 링결착홈을 배설하고,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에 링계합면을 배설하는 동시에,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는 그 내주면을 회전중심에 향하여 경사진 경사내주면으로서 형성하고, 허브부재의 통부는 그 외주면을 이 경사내주면에 대응한 경사외주면으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에 링결착홈을 배설하고,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에 링계합면을 배설하는 동시에,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는 그 내주면을 회전중심에 향하여 경사진 경사내주면으로서 형성하고, 허브부재의 통부는 그 외주면을 이 경사내주면에 대응한 경사외주면으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형 내지 벨형으로 형성되어, 뒷부측이 회전축에 장착하기 위한 회전축장착부로 되는 동시에, 앞부측의 내주면이 방출단에지에 향하여 도료를 박막화하는 도료박막화면으로 되고, 이 도료박막화면의 안쪽에 허브결합요부가 배설된 무화두본체와, 뒷면측이 도료받이면으로 된 덮개부와 이 덮개부로부터 통형으로 뻗어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통부와로 유개통형체를 이루고, 상기 도료받이면에 공급된 도료를 상기 무화두본체의 도료박막화면에 유출하는 도료유출공이 천공된 허브부재와,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 또는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에 배설된 링결착홈과, 이 링결착홈에 결착되고,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에 상기 허브부재의 통체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 허브부재를 탄성력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링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회전무화두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내고, 이 회전무화두(1)는, 후술하는 무화두본체(2), 허브부재(5) 및 O링(11)으로 구성되어 있다.
(2)는 회전무화두(1)의 외형을 이루는 무화두본체이고, 이 무화두본체(2)는 회전중심으로 되는 축선 O­O을 가지고, 그 뒷부측이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에 나착(螺着)되는 회전축장착부(2A)로 되고, 앞부측이 점차 확개(擴開)됨으로써 전체로서 벨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무화두본체(2)의 앞부측 내주(內周)는, 전단에 향하여 점차 확개되는 도료박막화면(2B)으로 되고, 또 무화두본체(2)의 전단은 도료박막화면(2B)에 연속된 방출단에지(2C)로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무화두(1)가 고속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후술하는 제1의 허브공(9)으로부터 도료박막화면(2B)에 공급된 도료는, 이 도료박막화면(2B)에서 박막화된 후, 방출단에지(2C)로부터 액사(液絲)로서 방출되고, 이 액사는 도료입자로서 분무된다.
또, (3)은 도료박막화면(2B)의 안쪽에 위치하고, 축선 O­O을 중심으로 하여무화두본체(2)내에 형성된 허브결합요부를 나타내고, 이 허브결합요부(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면(3A)과 저면(3B)으로부터 앞부측에 향하여 개구되는 유저(有底)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3A)의 내경크기는 후술하는 통부(7)의 외경크기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내주면(3A)에는 저면(3B) 가까이에 환상확경홈부(3C)가 형성되고, 이 환상확경홈부(3C)와 내주면(3A)과의 사이는 후술의 링계합면(4)으로 되어 있다.
(4)는 상기 허브결합요부(3)의 내주면(3A)에 배설된 링계합면이고, 이 링계합면(4)은, 상기 내주면(3A)과 환상확경홈부(3C)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뒷부측 (저면(3B)측)에 향하여 점차 확경되는 경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링계합면(4)에 O링(11)이 압접(壓接)되었을 때에는, 이 O링(11)의 탄성력에 의하여 허브부재(5)의 통부(7)를 저면(3B)측에 압착하여, 허브부재(5)의 이탈방지를 도모하는 것이다.
(5)는 무화두본체(3)내에 축선 O­O을 가지고 배설된 허브부재를 나타내고, 이 허브부재(5)는, 앞부측에 위치한 대략 평판형의 덮개부(6)와, 이 덮개부(6)의 외주측으로부터 뒷부측에 연설된 통부(7)와로 유개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6)는 앞면(6A)이 평탄면으로 되고, 그 뒷면측은 도료튜브(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토출, 공급되는 도료를 무화두본체(2)의 도료박막화면(2B)에 향하여 공급하는 도료받이면(6B)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통부(7)는 외주면(7A)과 후단면(7B)과로 이루어지는 통형체를 이루고, 허브결합요부(3)내에 결합되었을 때에 외주면(7A)이 허브결합요부(3)의 내주면(3A)과 약간의 간극을 가진 상태에서, 후단면(7B)이 허브결합요부(3)의 저면(3B)에 맞닿는 것이다.
(8)은 허브부재(5)를 구성하는 통부(7)의 외주면(7A)에 배설된 링결착홈을 나타내고, 이 링결착홈(8)은 링계합면(4)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직경방향 외향으로 개구되도록 환상으로 요설(凹設)되어 있다. 그리고, 링결착홈(8)에는 후술의 O링(11)이 결착되어 있다.
(9, 9, …)는 덮개부(6) 가까이에 위치하여 통부(7)를 경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둘레방향에 다수개 천공된 도료유출공으로 되는 제1의 허브공(2개만 도시)이고, 이 각 제1의 허브공(9)은 도료튜브로부터 도료받이면(6B)에 토출, 공급된 도료를 무화두본체(2)의 도료박막화면(2B)측에 유출하는 것이다.
(10, 10, …)은 허브부재(5)의 덮개부(6) 중앙에 복수 배설된 제2의 허브공 (2개만 도시)이고, 이 각 제2의 허브공(10)은, 도료받이면(6B)으로부터 앞면(6A)에연통하여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2의 허브공(10)은 앞면(6A)에 부착한 도료를 세정할 때에, 세정액으로 되는 신너를 앞면(6A)측에 공급하는 통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2의 허브공(10)은 덮개부(6)의 앞면(6A)을 세정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배설되는 것이고, 이 제2의 허브공(10)은 생략해도 된다.
(11)은 허브부재(5)의 통부(7) 외주측에 위치하여 링결착홈(8)내에 결착된 탄성링을 이루는 O링을 나타내고, 이 O링(11)은,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료로 단면 원형상의 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O링(11)은 링결착홈(8)에 결착된 상태에서는 그 일부가 이 링결착홈(8)으로부터 외부에 돌출하는 크기의 직경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O링(11)은, 링결착홈(8)내에 결착된 상태에서, 허브부재(5)의 통부(7)가 무화두본체(2)의 허브결합요부(3)내에 압입되었을 때에, 탄성변형하여 이 허브결합요부(3)내에 통부(7)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동시에, 링계합면(4)과 압접함으로써 허브부재(5)를 허브결합요부(3)내에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또, O링(11)은, 허브결합요부(3)내에 허브부재(5)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무화두본체(2)의 회전중심(축선 O­O)에 대한 허브부재(5)의 위치어긋남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1)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고, 다음에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피도물을 도장하는 경우에는, 회전축과 함께 회전무화두(1)를 회전구동한 상태에서, 도료튜브로부터 허브부재(5)의 도료받이면(6B)에 도료를 공급한다. 이 도료받이면(6B)에 공급된 도료는, 원심력에 의하여 제1의 허브공(9)으로부터 무화두본체(2)의 도료박막화면(2B)에 유출되고, 이 도료박막화면(2B)에서 균일한 박막형으로 되고, 방출단에지(2C)로부터 액사로서 분무된 후, 도료입자로 되어 피도물에 도착(塗着)한다.
한편, 색을 바꾸는 경우에는, 도료에 대신하여 신너를 회전무화두(1)에 공급하고, 제1의 허브공(9)으로부터 유출된 신너에 의하여 무화두본체(2)의 도료박막화면(2B), 방출단에지(2C)에 부착한 도료를 세정하는 동시에, 제2의 허브공(10)으로부터 유출된 신너에 의하여 덮개부(6)의 앞면(6A)을 세정한다.
다음에, 예를 들면 회전무화두(1)를 철저하게 세정하기 위하여, 무화두본체(2)로부터 허브부재(5)를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회전무화두(1)를 분해하는 경우에는, O링(11)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허브부재(5)를 앞부측에 향하여 압출함(잡아당김)으로써, 이 O링(11)을 탄성변형시켜, 허브부재(5)의 통부(7)를 무화두본체(2)의 허브결합요부(3)로부터 힘을 가하여 빼낼 수 있다.
다음에, 무화두본체(2), 허브부재(5), O링(11)의 세정 후에, 회전무화두(1)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허브부재(5)의 링결착홈(8)에 O링(11)을 끼워넣는다. 그리고, 통부(7)를 무화두본체(2)의 허브결합요부(3)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이 허브부재(5)를 무화두본체(2)에 향하여 압착함으로써, O링(11)을 탄성변형시켜 통부(7)를 허브결합요부(3)내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허브부재(5)를 삽입한 상태에서는, O링(11)은, 링계합면(4)에 의하여 허브결합요부(3)의 저면(B)측에 압압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허브부재(5)는, 그 통부(7)의 후단면(7B)이 허브결합요부(3)의 저면(3B)에 압착된 상태로 지지되어, 이 허브부재(5)를 인발하려고 해도 O링(11)의 저항력에 의하여 무화두본체(2)에 대하여 이탈방지된다.
또한, 허브부재(5)는 허브결합요부(3)내에 O링(11)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무화두본체(2)의 회전중심 (축선 O­O)에 대한 허브부재(5)의 위치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어, 회전무화두(1)를 고속회전시켜도 회전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리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허브부재(5)의 통부(7) 외주측에 형성된 링결착홈(8)에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료로 이루어지는 O링(11)을 결착하고, 이 허브부재(5)의 통부(7)를 무화두본체(2)의 허브결합요부(3)내에 O링(11)을 사용하여 결합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기술과 같이 나사를 풀거나, 조이거나 하는 작업을 행하지 않고, 원터치로 무화두본체(2)로부터 허브부재(5)를 착탈할 수 있다.
이 결과, 회전무화두(1)의 분해,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제조시의 조립성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무화두(1)를 철저하게 세정할 경우에는, 이 회전무화두(1)를 분해함으로써 구석구석까지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어, 세정작업 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허브부재(5)의 통부(7)를 무화두본체(2)의 허브결합요부(3)내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O링(11)이 링계합면(4)에서 압압되고, 이 O링(11)에 의하여 이 허브부재(5)를 허브결합요부(3)의 저면(3B)측에 압압할 수 있다. 그러므로, O링(11)의 저항력에 의하여, 회전무화두(1)의 회전시에 있어서 허브부재(5)가 무화두본체(2)로부터 인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회전무화두(1)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허브부재(5)를 허브결합요부(3)내에 O링(11)의 탄력성으로 지지함으로써, 회전무화두(1)를 고속회전할 경우에, 무화두본체(2)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허브부재(5)의 회전중심을 맞출 수 있다. 즉, 허브부재(5)를 무화두본체(2)에 대하여 조심(調芯)할 수 있다. 그러므로, 회전무화두(1)의 재조립후에도 회전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고, 회전밸런스의 재조정작업을 생략하여 조립작업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링으로서 시판의 O링(11)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은 열화나 손상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어, 성능의 유지나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 및 도 5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의 특징은, O링을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측에 배설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중, (2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내고, 이 회전무화두(21)는, 후술하는 무화두본체(22), 허브부재(25) 및 O링(29)으로 구성되어 있다.
(22)는 회전무화두(21)의 외형을 이루고, 축선 O­O을 가지는 무화두본체, (23)은 이 무화두본체(22)의 내주측에 축선 O­O을 중심으로 하여 배설된 허브결합요부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무화두본체(22)는, 제1의 실시예에 의한 무화두본체(2)와 동일하게, 뒷부측이 회전축장착부(22A)로 되고, 앞부 내주측이 도료박막화면(22B)으로 되는 동시에, 전단이 방출단에지(22C)로 되고, 전체로서 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허브결합요부(2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허브결합요부(3)와 대략 동일하게, 내주면(23A)과 저면(23B)으로부터 앞부측에 향하여 개구되는 유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허브결합요부(23)는, 그 내주면(23A)에 후술의 링결착홈(24)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의 실시예에 의한 것과 상위하다.
(24)는 허브결합요부(23)의 내주면(23A)에 배설된 링결착홈을 나타내고, 이 링결착홈(24)은 후술의 링계합면(28)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경방향 내향으로개구되도록 환상으로 요설되어 있다. 그리고, 링결착홈(24)에는 후술의 O링(29)이 결착되어 있다.
(25)는 무화두본체(22)내에 축선 O­O을 가지고 배설된 허브부재를 나타내고, 이 허브부재(25)는,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허브부재(5)와 동일하게, 앞부측에 위치한 대략 평판형의 덮개부(26)와, 이 덮개부(26)의 외주측으로부터 뒷부측에 연설된 통부(27)와로 유개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26)는 앞면(26A)이 평탄면으로 되고, 그 뒷면측이 도료받이면(26B)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통부(27)는, 허브결합요부(23)의 내주면(23A)내에 삽입되는 외주면(27A)과, 허브결합요부(23)의 저면(23B)에 맞닿는 후단면(27B)과로 통형체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통부(27)의 외주면(27A)에는 링결착홈(24)에 대향하도록 환상축경홈부(27C)가 형성되어 있다.
(28)은 상기 통부(27)의 외주면(27A)에 배설된 링계합면이고, 이 링계합면(28)은, 상기 외주면(27A)과 환상축경홈부(27C)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뒷부측(후단면(27B)측)에 향하여 점차 확경되는 경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링계합면(28)에 O링(29)이 압접되었을 때에는, 이 O링(29)의 탄성력에 의하여 허브부재(25)의 통부(27)를 허브결합요부(23)의 저면(23B)측에 압착하여, 이 허브부재(25)의 이탈방지를 도모하는 것이다.
(29)는 허브결합요부(23)의 내주측에 위치하여 링결착홈(24)내에 결착된 탄성링으로서의 O링을 나타내고, 이 O링(29)은, 상기 제1의 실시예에 의한 O링(11)과 동일하게,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료로 단면 원형상의 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O링(29)은, 링결착홈(24)내에 결착된 상태에서, 허브부재(25)의 통부(27)가 무화두본체(22)의 허브결합요부(23)내에 압입되었을 때에, 탄성변형하여 이 허브결합요부(23)내에 통부(27)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동시에, 링계합면(28)과 압접함으로써 허브부재(25)를 허브결합요부(23)내에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또, O링(29)은, 허브결합요부(23)내에 허브부재(25)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무화두본체(22)의 회전중심(축선 O­O)에 대하여 허브부재(25)의 위치어긋남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6 및 도 7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의 특징은, 허브결합요부의 저면을 경사면으로 하는 동시에 허브부재의 통부 후단면에 허브결합요부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형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중, (3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내고, 이 회전무화두(31)는, 후술하는 무화두본체(32), 허브부재(35) 및 O링(39)으로 구성되어 있다.
(32)는 회전무화두(31)의 외형을 이루고, 축선 O­O을 가지는 무화두본체, (33)은 이 무화두본체(32)의 내주측에 축선 O­O을 중심으로 하여 배설된 허브결합요부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무화두본체(32)는, 제1의 실시예에 의한 무화두본체(2)와 동일하게, 뒷부측이 회전축장착부(32A)로 되고, 앞부 내주측이 도료박막화면(32B)으로 되는 동시에, 전단이 방출단에지(32C)로 되고, 전체로서 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허브결합요부(3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허브결합요부(3)와 대략 동일하게, 내주면(33A)과 저면(33B)으로부터 앞부측에 향하여 개구되는 유저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내주면(33A)에는 환상확경홈부(33C)가 형성되고, 이 환상확경홈부(33C)와 내주면(33A)과의 사이에는 링계합면(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허브결합요부(33)는, 그 저면(33B)이 무화두본체(32)의 회전중심으로 되는 축선 O­O에 향하여 형성된 경사저면(33B)으로 되어 있다.
(35)는 무화두본체(32)내에 축선 O­O을 가지고 배설된 허브부재를 나타내고, 이 허브부재(35)는,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허브부재(5)와 동일하게, 앞부측에 위치한 대략 평판형의 덮개부(36)와, 이 덮개부(36)의 외주측으로부터 뒷부측에 연설된 통부(37)와로 유개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36)는 앞면(36A)이 평탄면으로 되고, 그 뒷면측이 도료받이면(36B)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통부(37)는, 상기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통부(7)와 대략 동일하게, 외주면(37A)과 후단면(37B)과로 통형체를 이루고 있다. 또, 외주면(37A)에는 후술의 O링(39)이 결착되는 링결착홈(38)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통부(37)는, 그 후단면(37B)이 허브부재(35)의 회전중심으로 되는 축선 O­O에 향하고, 또한 허브결합요부(33)의 경사저면(33B)에 대응하는 경사후단면(37B)으로 되어 있다.
(39)는 링결착홈(38)내에 결착된 탄성링으로서의 O링을 나타내고, 이 O링(39)은, 상기 제1의 실시예에 의한 O링(11)과 동일하게,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료로단면 원형상의 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O링(39)은, 링결착홈(38)내에 결착된 상태에서, 허브부재(35)의 통부(37)가 무화두본체(32)의 허브결합요부(33)내에 압입되었을 때에, 탄성변형하여 이 허브결합요부(33)내에 통부(37)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동시에, 링계합면(34)과 압접함으로써 탄성력에 의하여 허브부재(35)의 통부(37)를 허브결합요부(33)내에 향하여 압압하고, 그 저항력으로 이 허브부재(35)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여기서, O링(39)에 의하여 통부(37)를 허브결합요부(33)내에 압압했을 때에는, 이 통부(37)의 경사후단면(37B)이 허브결합요부(33)의 경사저면(33B)에 압착된다. 따라서, 경사후단면(37B)은 경사저면(33B)에 의하여 무화두본체(32)의 회전중심(축선 O­O)에 배향되므로, 허브부재(35)는 무화두본체(32)의 회전중심에 자동적으로 위치결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허브결합요부(33)의 저면(33B)을 무화두본체(32)의 회전중심에 향하여 형성된 경사저면(33B)으로 하는 동시에, 통부(37)의 후단면(37B)을 허브부재(35)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경사후단면(37B)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화두본체(32)의 허브결합요부(33)에 허브부재(35)의 통부(37)를 결합시키고, 이 허브결합요부(33)의 경사저면(33B)에 상기 통부(37)의 경사후단면(37B)을 맞닿게 함으로써, 허브부재(35)는, 그 경사후단면(37B)에 의하여 무화두본체(32)의 회전중심에 배향된다. 이로써, 허브부재(35)는, 무화두본체(32)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조심된다.
따라서, O링(39)으로 허브부재(35)를 허브결합요부(33)에 압착함으로써, 통부(37)를 허브결합요부(33)의 중심 (축선 O­O)에 자동적으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무화두본체(32)와 허브부재(35)를 분해하여 세정하고, 회전무화두(31)를 재조립한 후에도, 당해 회전무화두(31)의 회전밸런스를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고, 회전무화두(31)의 밸런스재조정을 생략하여, 분해, 조립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8 및 도 9에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의 특징은, 허브결합요부의 저면을 경사면으로 하는 동시에 허브부재의 통부 후단면을 허브결합요부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하고, 또한 O링을 허브결합요부측에 배설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중, (4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내고, 이 회전무화두(41)는, 후술하는 무화두본체(42), 허브부재(45) 및 O링(49)으로 구성되어 있다.
(42)는 회전무화두(41)의 외형을 이루고, 축선 O­O을 가지는 무화두본체, (43)은 이 무화두본체(42)의 내주측에 축선 O­O을 중심으로 하여 배설된 허브결합요부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무화두본체(42)는, 제1의 실시예에 의한 무화두본체(2)와 동일하게, 뒷부측이 회전축장착부(42A)로 되고, 앞부 내주측이 도료박막화면(42B)으로 되는 동시에, 전단이 방출단에지(42C)로 되고, 전체로서 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허브결합요부(43)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3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허브결합요부(33)와 대략 동일하게, 내주면(43A)과 경사저면(43B)으로부터 앞부측에 향하여 개구되는 유저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허브결합요부(43)는, 그 내주면(43A)에 안쪽에 향하여 개구되도록 링결착홈(44)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3의 실시예에 의한 것과 상위하다.
(45)는 무화두본체(42)내에 축선 O­O을 가지고 배설된 허브부재를 나타내고, 이 허브부재(45)는, 앞부측에 위치한 대략 평판형의 덮개부(46)와, 이 덮개부(46)의 외주측으로부터 뒷부측에 연설된 통부(47)와로 유개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46)는 앞면(46A)이 평탄면으로 되고, 그 뒷면측이 도료받이면(46B)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통부(47)는, 상기 제3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통부(37)와 대략 동일하게, 외주면(47A)과 경사후단면(47B)과로 통형체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통부(47)는, 그 외주면(47A)에 링결착홈(44)에 대향하도록 환상축경홈부(47C)가 형성되고, 이 환상축경홈부(47C)와 외주면(47A)과의 사이에 링계합면(48)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3의 실시예에 의한 것과 상위하다.
(49)는 링결착홈(44)내에 결착된 탄성링으로서의 O링을 나타내고, 이 O링(49)은, 상기 제1의 실시예에 의한 O링(11)과 동일하게,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료로단면 원형상의 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3의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10 및 도 11에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의 특징은, 허브결합요부의 내주면을 경사면으로 하는 동시에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을 허브결합요부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중, (5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내고, 이 회전무화두(51)는, 후술하는 무화두본체(52), 허브부재(55) 및 O링(59)으로 구성되어 있다.
(52)는 회전무화두(51)의 외형을 이루고, 축선 O­O을 가지는 무화두본체, (53)은 이 무화두본체(52)의 내주측에 축선 O­O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된 허브결합요부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무화두본체(52)는, 제1의 실시예에 의한 무화두본체(2)와 동일하게, 뒷부측이 회전축장착부(52A)로 되고, 앞부 내주측이 도료박막화면(52B)으로 되는 동시에, 전단이 방출단에지(52C)로 되고, 전체로서 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허브결합요부(53)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3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허브결합요부(33)와 대략 동일하게, 내주면(53A)과 저면(53B)으로부터 앞부측에 향하여 개구되는 유저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내주면(53A)에는 환상확경홈부(53C)가 배설되고, 이 환상확경홈부(53C)와 내주면(53A)과의 사이에는 링계합면(5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허브결합요부(53)는, 그 내주면(53A)이 무화두본체(52)의 회전중심으로 되는 축선 O­O에 향하여 형성된 경사내주면(53A)으로 되어 있다.
(55)는 무화두본체(52)내에 축선 O­O을 가지고 배설된 허브부재를 나타내고, 이 허브부재(55)는,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허브부재(5)와 동일하게, 앞부측에 위치한 대략 평판형의 덮개부(56)와, 이 덮개부(56)의 외주측으로부터 뒷부측에 연설된 통부(57)와로 유개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56)는 앞면(56A)이 평탄면으로 되고, 그 뒷면측이 도료받이면(56B)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통부(57)는, 상기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통부(7)와 대략 동일하게, 외주면(57A)과 후단면(57B)과로 통형체를 이루고 있다. 또, 외주면(57A)에는 후술의 O링(59)이 결착되는 링결착홈(58)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통부(57)는, 그 외주면(57A)이 허브부재(55)의 회전중심으로 되는 축선 O­O에 향하고, 또한 허브결합요부(53)의 경사내주면(53A)에 대응하는 경사외주면(57A)으로 되어 있다.
(59)는 링결착홈(58)내에 결착된 탄성링으로서의 O링을 나타내고, 이 O링(59)은, 상기 제1의 실시예에 의한 O링(11)과 동일하게,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료로단면 원형상의 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허브결합요부(53)의 내주면(53A)을 무화두본체(52)의 회전중심에 향하여 형성된 경사내주면(53A)으로 하는 동시에, 통부(57)의 외주면(57A)을 허브부재(55)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경사외주면(57A)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화두본체(52)의 허브결합요부(53)에 허브부재(55)의 통부(57)를 결합시키고, 이 허브결합요부(53)의 경사내주면(53A)에 상기 통부(57)의 경사외주면(57A)을 맞닿게 함으로써, 허브부재(55)는, 그 경사외주면(57A)에 의하여 무화두본체(52)의 회전중심에 배향된다. 이로써, 허브부재(55)는, 무화두본체(52)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조심된다.
따라서, O링(59)으로 허브부재(55)를 허브결합요부(53)에 압착함으로써, 통부(57)를 허브결합요부(53)의 중심(축선 O­O)에 자동적으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무화두본체(52)와 허브부재(55)를 분해하여 세정하고, 회전무화두(51)를 재조립한 후에도, 당해 회전무화두(51)의 회전밸런스를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고, 회전무화두(51)의 밸런스재조정을 생략하여, 분해, 조립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12 및 도 13에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의 특징은, 허브결합요부의 내주면을 경사면으로 하는 동시에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을 허브결합요부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하고, 또 O링을 허브결합요부측에 배설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중, (6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내고, 이 회전무화두(61)는, 후술하는 무화두본체(62), 허브부재(65) 및 O링(69)으로 구성되어 있다.
(62)는 회전무화두(61)의 외형을 이루고, 축선 O­O을 가지는 무화두본체, (63)은 이 무화두본체(62)의 내주측에 축선 O­O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된 허브결합요부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무화두본체(62)는, 제1의 실시예에 의한 무화두본체(2)와 동일하게, 뒷부측이 회전축장착부(62A)로 되고, 앞부 내주측이 도료박막화면(62B)으로 되는 동시에, 전단이 방출단에지(62C)로 되고, 전체로서 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허브결합요부(63)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5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허브결합요부(53)와 대략 동일하게, 경사내주면(63A)과 저면(63B)으로부터 앞부측에 향하여 개구되는 유저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허브결합요부(63)는, 그 경사내주면(63A)에 안쪽에 향하여 개구되도록 링결착홈(64)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제5의 실시예에 의한 것과 상위하다.
(65)는 무화두본체(62)내에 축선 O­O을 가지고 배설된 허브부재를 나타내고, 이 허브부재(65)는,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허브부재(5)와 동일하게, 앞부측에 위치한 대략 평판형의 덮개부(66)와, 이 덮개부(66)의 외주측으로부터 뒷부측에 연설된 통부(67)와로 유개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66)는 앞면(66A)이 평탄면으로 되고, 그 뒷면측이 도료받이면(66B)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통부(67)는, 상기 제5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통부(57)와 대략 동일하게, 경사외주면(67A)과 후단면(67B)과로 통형체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통부(67)는, 그 경사외주면(67A)에 링결착홈(64)에 대향하도록 환상축경홈부(67C)가 형성되고, 이 환상축경홈부(67C)와 경사외주면(67A)과의 사이에 링계합면(68)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제5의 실시예에 의한 것과 상위하다.
(69)는 링결착홈(64)내에 결착된 탄성링으로서의 O링을 나타내고, 이 O링(69)은, 상기 제1의 실시예에 의한 O링(11)과 동일하게,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료로단면 원형상의 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5의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14에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의 특징은, 허브결합요부내에 O링의 탄성력에 의한 저항력만으로 허브부재를 이탈방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중, (7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내고, 이 회전무화두(71)는, 후술하는 무화두본체(72), 허브부재(74) 및 O링(78)으로 구성되어 있다.
(72)는 회전무화두(71)의 외형을 이루고, 축선 O­O을 가지는 무화두본체, (73)은 이 무화두본체(72)의 내주측에 축선 O­O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된 허브결합요부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무화두본체(72)는, 제1의 실시예에 의한 무화두본체(2)와 동일하게, 뒷부측이 회전축장착부(72A)로 되고, 앞부 내주측이 도료박막화면(72B)으로 되는 동시에, 전단이 방출단에지(72C)로 되고, 전체로서 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허브결합요부(73)는, 상기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허브결합요부(3)와 대략 동일하게, 내주면(73A)과 저면(73B)으로부터 앞부측에 향하여 개구되는 유저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74)는 무화두본체(72)내에 축선 O­O을 가지고 배설된 허브부재를 나타내고, 이 허브부재(74)는,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허브부재(5)와 동일하게, 앞부측에 위치한 대략 평판형의 덮개부(75)와, 이 덮개부(75)의 외주측으로부터 뒷부측에 연설된 통부(76)와로 유개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75)는 앞면(75A)이 평탄면으로 되고, 그 뒷면측이 도료받이면(75B)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통부(76)는, 상기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통부(7)와 대략 동일하게, 외주면(76A)과 후단면(76B)과로 통형체를 이루고 있다. 또, 외주면(76A)에는 후술의 O링(78)이 결착되는 링결착홈(77)이 형성되어 있다.
(78)은 허브부재(74)의 통부(76) 외주측에 위치하여 링결착홈(77)내에 결착된 탄성지지부재로서의 O링을 나타내고, 이 O링(78)은, 상기 제1의 실시예에 의한 O링(11)과 동일하게,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료로 단면 원형상의 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O링(78)은, 링결착홈(77)내에 결착된 형태에서, 허브부재(74)의 통부(76)가 무화두본체(72)의 허브결합요부(73)내에 압입되었을 때에, 탄성변형하여 이 허브결합요부(73)내에 통부(76)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동시에, 허브결합요부(73)의 내주면(73A)에 탄성력에 의한 저항력(마찰력)에 의하여 허브부재(74)를 이 허브결합요부(73)내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15에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의 특징은, 허브결합요부측에 배설된 링결착홈내에 O링을 결착하고, 이 O링의 탄성력에 의한 저항력만으로 허브부재를 허브결합요부내에 이탈방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중, (8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무화두를 나타내고, 이 회전무화두(81)는, 후술하는 무화두본체(82), 허브부재(85) 및 O링(88)으로 구성되어 있다.
(82)는 회전무화두(81)의 외형을 이루고, 축선 O­O을 가지는 무화두본체, (83)은 이 무화두본체(82)의 내주측에 축선 O­O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된 허브결합요부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무화두본체(82)는, 제1의 실시예에 의한 무화두본체(2)와 동일하게, 뒷부측이 회전축장착부(82A)로 되고, 앞부 내주측이 도료박막화면(82B)으로 되는 동시에, 전단이 방출단에지(82C)로 되고, 전체로서 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허브결합요부(83)는, 상기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허브결합요부(3)와 대략 동일하게, 내주면(83A)과 저면(83B)으로부터 앞부측에 향하여 개구되는 유저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허브결합요부(83)는, 그 내주면(83A)에 후술의 O링(88)이 결착되는 링결착홈(84)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7의 실시예에 의한 것과 상위하다.
(85)는 무화두본체(82)내에 축선 O­O을 가지고 배설된 허브부재를 나타내고, 이 허브부재(85)는, 제1의 실시예에 의한 허브부재(5)와 동일하게, 앞부측에 위치한 대략 평판형의 덮개부(86)와, 이 덮개부(86)의 외주측으로부터 뒷부측에 연설된 통부(87)와로 유개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86)는 앞면(86A)이 평탄면으로 되고, 그 뒷면측이 도료받이면(86B)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통부(87)는, 상기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통부(7)와 대략 동일하게, 외주면(87A)과 후단면(87B)과로 통형체를 이루고 있다.
(88)은 허브결합요부(83)의 내주면(83A)측에 위치하여 링결착홈(84)내에 결착된 탄성지지부재로서의 O링을 나타내고, 이 O링(88)은, 상기 제1의 실시예에 의한 O링(11)과 동일하게,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료로 단면 원형상의 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탄성지지부재로서 단면 원형상의 O링(11, 29, 39, 49, 59, 69, 78, 88)을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탄성지지부재를 단면 타원형상이나 다각형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무화두본체(2, 22, 32, 42, 52, 62, 72, 82)를 벨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무화두본체는 회전축장착부로부터 방출단에지에 향하여 대경으로 이루어진 통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내에 허브부재의 통부를 결합시켰을 때에는, 링결착홈내에 결착된 탄성링을 허브결합요부와 통부와의 사이에서 탄성변형시킴으로써, 무화두본체에 대하여 허브부재를 탄성링의 탄성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과 같이 별도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무화두본체와 허브부재와의 분해, 조립을 행할 수 있고, 제조시의 조립성을 높여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회전무화두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므로, 이 회전무화두를 세정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에 허브부재의 통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링계합면을 탄성링에 계합시킬 수 있으므로, 탄성링의 저항력에 의하여 이 허브부재의 이탈방지를 도모할 수 있고, 이 허브부재가 무화두본체로부터 인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당해 회전무화두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에 허브부재의 통부를 탄성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무화두본체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허브부재의 회전중심을 맞출 수 있다. 이로써, 회전무화두의 재조립후의 회전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고, 회전밸런스의 재조정작업을 생략하여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통형(筒形) 내지 벨형으로 형성되어, 뒷부측이 회전축에 장착하기 위한 회전축장착부로 되는 동시에, 앞부측의 내주면이 방출단에지에 향하여 도료를 박막화(薄膜化)하는 도료박막화면으로 되고, 이 도료박막화면의 안쪽에 허브결합요부가 배설된 무화두(霧化頭)본체와,
    뒷면측이 도료받이면으로 된 덮개부와 이 덮개부로부터 통형으로 뻗어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통부(筒部)와로 유개(有蓋)통형체를 이루고, 상기 도료받이면에 공급된 도료를 상기 무화두본체의 도료박막화면에 유출하는 도료유출공이 천공된 허브부재와,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과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중의 한쪽의 면에 배설된 링결착홈과,
    이 링결착홈에 결착되고,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에 상기 허브부재의 통체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 허브부재를 탄성력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링과,
    이 탄성링에 의하여 상기 허브부재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 허브부재의 이탈방지를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링결착홈과 대향하여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과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중의 다른 쪽의 면에 배설된 링계합면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회전무화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계합면은,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에 환상확경(環狀擴徑)홈부를 배설함으로써, 당해 내주면과 환상확경홈부와의 사이에 경사면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회전무화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계합면은,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에 환상축경(環狀縮徑)홈부를 배설함으로써, 당해 외주면과 환상축경홈부와의 사이에 경사면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회전무화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는 그 저면을 회전중심에 향하여 경사진 경사저면으로서 형성하고,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는 그 후단면을 이 경사저면에 대응한 경사후단면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회전무화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는 그 내주면을 회전중심에 향하여 경사진 경사내주면으로서 형성하고,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는 그 외주면을 이 경사내주면에 대응한 경사외주면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회전무화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에 상기 링결착홈을 배설하고,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에 상기 링계합면을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회전무화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에 상기 링결착홈을 배설하고,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에 상기 링계합면을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회전무화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에 상기 링결착홈을 배설하고,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에 상기 링계합면을 배설하는 동시에,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는 그 저면을 회전중심에 향하여 경사진 경사저면으로서 형성하고,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는 그 후단면을 이 경사저면에 대응한 경사후단면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회전무화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에 상기 링결착홈을 배설하고,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에 상기 링계합면을 배설하는 동시에,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는 그 저면을 회전중심에 향하여 경사진 경사저면으로서 형성하고,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는 그 후단면을 이 경사저면에 대응한 경사후단면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회전무화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에 상기 링결착홈을 배설하고,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에 상기 링계합면을 배설하는 동시에,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는 그 내주면을 회전중심에 향하여 경사진 경사내주면으로서 형성하고,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는 그 외주면을 이 경사내주면에 대응한 경사외주면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회전무화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에 상기 링결착홈을 배설하고,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에 상기 링계합면을 배설하는 동시에,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는 그 내주면을 회전중심에 향하여 경사진 경사내주면으로서 형성하고,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는 그 외주면을 이 경사내주면에 대응한 경사외주면으로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회전무화두.
  12. 통형 내지 벨형으로 형성되어, 뒷부측이 회전축에 장착하기 위한 회전축장착부로 되는 동시에, 앞부측의 내주면이 방출단에지에 향하여 도료를 박막화하는 도료박막화면으로 되고, 이 도료박막화면의 안쪽에 허브결합요부가 배설된 무화두본체와,
    뒷면측이 도료받이면으로 된 덮개부와 이 덮개부로부터 통형으로 뻗어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통부와로 유개통형체를 이루고, 상기 도료받이면에 공급된 도료를 상기 무화두본체의 도료박막화면에 유출하는 도료유출공이 천공된 허브부재와,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 내주면 또는 상기 허브부재의 통부 외주면에 배설된 링결착홈과,
    이 링결착홈에 결착되고, 상기 무화두본체의 허브결합요부에 상기 허브부재의 통체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 허브부재를 탄성력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링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회전무화두.
KR1019970704677A 1995-12-28 1996-12-19 회전무화두 KR100204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406095 1995-12-28
JP95-354060 1995-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288A true KR19980701288A (ko) 1998-05-15
KR100204973B1 KR100204973B1 (ko) 1999-06-15

Family

ID=1843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677A KR100204973B1 (ko) 1995-12-28 1996-12-19 회전무화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97060A (ko)
EP (1) EP0803293A4 (ko)
KR (1) KR100204973B1 (ko)
WO (1) WO19970241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3785A (en) * 1997-05-27 1999-12-21 Sames Electrostatic, Inc. Composite material bell cup
DE10015911B4 (de) * 2000-03-30 2006-06-29 Zf Sachs Ag Axiale Sicherung zweier Bauteile mit einem Sicherungsring
ES2217197T3 (es) * 2000-11-30 2004-11-01 Abb K.K. Pulverizador rotativo.
US6568658B2 (en) 2000-12-22 2003-05-27 Craneveyor Corporation Quick-connect railing connector
US6896211B2 (en) * 2001-10-31 2005-05-24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ating buildup on feed tubes
US6916378B2 (en) * 2002-01-08 2005-07-12 Precision Valve & Automation, Inc. Rotary dispenser and method for use
US7721976B2 (en) * 2002-07-22 2010-05-25 Durr Systems, Inc. High speed rotating atomizer assembly
US20050050707A1 (en) * 2003-09-05 2005-03-10 Scott Joshua Lynn Tip tool
US8602326B2 (en) * 2007-07-03 2013-12-10 David M. Seitz Spray device having a parabolic flow surface
US10155233B2 (en) * 2008-04-09 2018-12-18 Carlisle Fluid Technologies, Inc. Splash plate retention method and apparatus
EP2537593B1 (en) * 2010-01-06 2015-03-11 Ransburg Industrial Finishing KK Rotary atomizing head for electrostatic coating machine
JP5504100B2 (ja) * 2010-08-25 2014-05-28 ランズバーグ・インダストリー株式会社 静電塗装機用の回転霧化頭
DE102015007356A1 (de) * 2015-03-30 2016-10-06 Wabco Gmbh Steckbare Verbind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Vorbereitung einer steckbaren Verbindungsanordnung
CN107708876A (zh) * 2015-06-30 2018-02-1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喷涂方法及其装置
KR101634298B1 (ko) * 2016-01-20 2016-06-30 박상은 더블 벨컵
JP7220730B2 (ja) * 2021-01-15 2023-02-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回転霧化式塗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2958A (en) * 1955-11-07 1957-11-12 Stile Craft Mfg Inc Cam release pipe coupler
US3637239A (en) * 1969-10-30 1972-01-25 Johns Manville Thrust-resistant pipe joint
JPS5935268B2 (ja) * 1980-09-11 1984-08-28 俊行 門脇 静電塗装装置
US4407482A (en) * 1980-11-25 1983-10-04 Mueller Co. Coupling joint for telescoping tubular members
JPS57171460A (en) * 1981-04-11 1982-10-22 Nippon Ranzubaagu Kk Rotary atomizer head of sprayer
US4781487A (en) * 1985-07-10 1988-11-01 Scientific Industries, Inc. Quick disconnect coupling
US5080521A (en) * 1988-03-30 1992-01-14 Aeroquip Corporation "O" ring locking mechanism
JP2626194B2 (ja) * 1990-07-11 1997-07-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
DE9319555U1 (de) * 1992-12-21 1994-04-07 Dürr GmbH, 70435 Stuttgart Rotationszerstäuber mit einem Glockenkör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03293A4 (en) 2000-05-24
US5897060A (en) 1999-04-27
KR100204973B1 (ko) 1999-06-15
EP0803293A1 (en) 1997-10-29
WO1997024188A1 (fr) 199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4973B1 (ko) 회전무화두
CA2359300C (en) Rotary atomizer and bell cup and methods thereof
US6811094B2 (en) Rotary atomizing head type coater
JPH08503416A (ja) 回転噴霧部材を有する被覆剤噴射装置及び回転噴霧部材着脱用工具
JP5504100B2 (ja) 静電塗装機用の回転霧化頭
KR100470156B1 (ko) 회전무화헤드
JP4971327B2 (ja) 回転霧化頭型塗装機
JP5677323B2 (ja) 静電塗装機の回転霧化頭
US5727735A (en) Rotary atomizer for a coating arrangement
JP3266531B2 (ja) 回転霧化頭
JP3433056B2 (ja)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
JP2002166199A (ja)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
JP6113569B2 (ja) 回転霧化式塗装装置
JPH03221166A (ja) 回転霧化静電塗装機
JP3128469U (ja) 回転霧化塗装機の霧化ヘッド
JP3548060B2 (ja) 回転霧化頭
JPH08112559A (ja) 塗装機
US20200238325A1 (en) Coating device
JPH041219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