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719A -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생산한 플렉시블 인쇄 회로 기판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생산한 플렉시블 인쇄 회로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7719A
KR19980087719A KR1019980037599A KR19980037599A KR19980087719A KR 19980087719 A KR19980087719 A KR 19980087719A KR 1019980037599 A KR1019980037599 A KR 1019980037599A KR 19980037599 A KR19980037599 A KR 19980037599A KR 19980087719 A KR19980087719 A KR 19980087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upport membe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adhesiv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2652B1 (ko
Inventor
이성규
김형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37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652B1/ko
Publication of KR19980087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719A/ko
Priority to TW088109753A priority patent/TW451607B/zh
Priority to US09/332,080 priority patent/US6210518B1/en
Priority to JP17796099A priority patent/JP3187789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97Processing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simultaneously, e.g. made from a common substrate, or temporarily stack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7Manufacture or processing of a substrat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supported by a temporary or sacrificial carri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47Carriers and holders
    • H05K2203/0156Temporary polymeric carrier or foil, e.g. for processing or transfer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1Treatm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e.g. heating, cooling, roughening
    • H05K2203/1147Sealing or impregnating, e.g. of po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5Position of the PCB during processing
    • H05K2203/1536Temporarily stacked PC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05K3/0052Depaneling, i.e. dividing a panel into circuit boards; Working of the edges of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ing removed chemically or electrolytically, e.g. by photo-etch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생산한 플렉시블 회로 기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질 회로기판을 제조하는 장비를 사용하여 보다 높은 생산성과 수율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하나의 프리프레그(12)의 양면에 이형제(14)를 개재한 상태로 원단(10,10')을 접착시켜 경질 보드화된 프리프레그의 양면에 부착된 플렉시블 원단(10,10')공정을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2매의 완성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이 프리프레그(12)의 양단에 원단(10,10')을 어느 정도 텐션을 가질 정도로 부착하여 공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공정중에 원단(10,10')이 휘거나 비틀어지지 않게 되어 보다 정확한 회로형성을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으며, 동시에 2매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높아져 가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생산한 플렉시블 인쇄 회로 기판
본 발명은 플렉시블 베이스(Flexible base)의 기질(substrate), 즉 인쇄회로기판( Printed circuit board; PCB), 볼 그리드 어레이(Ball grid array; BGA)등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을 경질 회로기판의 제조장비를 사용하여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질 회로기판(Rigid PCB)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제시되어 있는데, 대략 경질의 원재료를 컨베이어 등으로 이동시키면서, 적층공정, 회로형성공정, 금도금공정 및 세정공정을 거쳐 생산하게 된다.
한편,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Flexible PCB)은 연성의 원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원재료의 특성상,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투-릴(Reel-to-Reel)(혹은 롤-투-롤(Roll-to-Roll)방식이라 불리우는 제조공정을 통해 생산된다. 즉, 공급측 릴(S)에서부터 권취측 릴(T)로 플렉시블 원재료(1)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제조장비(2)를 지나게 하여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Flexible PCB)를 제조하게 된다.
하지만,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을 만들기 위한 플렉시블 원재료(1)는 제조공정중에 휨이나 비틀림이 잘 발생하여 그 생산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경질 회로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장비와는 별도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에 적합한 장비를 새로이 마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를 위해 새로운 장비를 마련하지 않고 경질 회로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장비를 사용하여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을 제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즉, 도 2a 및 도 2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을 만들기 위한 플렉시블 원단(6)을 접착제(7)를 사용하여 지지판(8)에 부착한 후, 경질 회로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장비에서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을 만들기 위한 원단(6)을 지지판(8)에 접착제(7)로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상기 플렉시블 원단(6)의 이면 전체를 접착제(7)를 사용하여 지지판(8)에 부착시키기 때문에 플렉시블 원단(6)을 지지판(8)으로부터 떼어내는 과정에서 플렉시블한 원단(6)이 휘거나 구겨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접착제(7)가 원단(6)의 이면에 약간 남아 있게 되어 별도의 공정을 통해 이를 제거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지판(8)에 원단(6)을 접착하는 과정에서 원단(6)의 편평도가 나쁘면 회로를 정확하게 형성할 수 없어 불량이 발생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 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서는 원단(6)의 편평도를 유지하면서 지지판(8)에 부착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불량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질 회로기판을 제조하는 장비를 사용하여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을 생산하여 보다 높은 생산성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원단을 경질 회로기판 제조장비에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경질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원단에 보다 높은 편평도를 부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플렉시블 원단을 상하면에 고정시켜 동시에 2매의 완성된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을 생산하여 두배의 생산성을 가지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생산공정중에 발생되는 열에나 수분에 의해 플렉시블 원단이 수축 또는 팽창되는 현상을 방지 또는 억제하여 치수 안정성을 높여주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공정도.
도 2a는 종래에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을 경질회로기판장비에서 제조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A-A' 선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공정흐름을 보인 제작공정순서도.
도 5a,5b,5c,5d는 본 발명 실시예의 공정순서를 설명하는 공정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원단 12: 프리프레그
14: 이형제 16: 상적층판
16': 하적층판 18: 이형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재료가 되는 원단과 상기 원단을 부착시켜 지지하는 접착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이형수단을 개재시켜 공정을 진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형수단이 위치되는 영역은 상기 원단중 완성된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에 해당되는 부분이고, 상기 원단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단은 상기 접착지지부재의 상하 양면에 각각 이형수단을 개재한 상태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지지부재의 상하 양면에 원단을 부착시키기 위해 상기 접착지지부재, 이형수단 및 원단을 적층한 상태에서 압력과 열을 가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진공을 형성하여 원단에 텐션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접착지지부재의 일측면에 이형수단과 원단을 순차적으로 적층한후 접착지지부재와 원단을 접착하는 적층 단계와, 상기 원단을 상기 접착지지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형성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적층단계에서는 상기 접착지지부재의 상하면에 상기 이형수단과 원단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은 대략 동일한 크기이며, 상기 이형수단은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적층 단계에서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은 대략 동일한 크기이며, 상기 이형수단은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하여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은 상기 원단의 외곽(가장자리)부분만 접착되고, 상기 이형수단이 개재된 부분의 원단은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접착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적층 단계에서 적층된 기판에 열과 압력을 부여하여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을 접착시키며, 동시에 진공상태로 하여 상기 원단을 외곽측으로 잡아당기며 접착시키게 된다.
상기 분리 단계는 상기 이형수단의 경계부 내지 이형수단의 내측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원단을 상기 접착지지부재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상기 적층단계는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이형수단과 원단이 적층된 기판의 상하에 이형수단을 개재한 상,하적층판을 적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경질 회로기판을 제조하는 장비를 사용하여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을 제작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더해 동시에 2매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이 생산되어 그 생산성이 크게 좋아지고 수율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20)을 경질 회로기판을 제조하는 장비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20)을 만들기 위한 재료인 원단(10,10')을 이형제(14)를 개재한 상태로 경질의 프리프레그(prepreg)(12)에 접착하여 경질 회로기판을 제조하는 장비에서 공정을 진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리프레그(12)는 일종의 접착성 있는 절연 고분자재료로서 고분자 및 중합반응을 하기전의 재료를 얇고 균일한 두께로 1차로 건조시켜 만든 것이다.
즉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12)의 상하면에 이형제(14)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원단(10,10')을 접착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이형제(14)가 위치되는 영역(B)은 상기 원단(10,10')에 회로가 형성되는 영역(CR)보다 넓은 영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의 A 영역은 원단(10,10')과 프리프레그(12)가 접착되는 영역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프리프레그(12)는 열과 압력에 의해 경화된 상태로서 플렉시블한 재료인 원단(10,10')이 휘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것은 하나의 경질 회로기판과 같이 휘어지거나 비틀어지지 않아, 그 상태에서 경질회로기판을 제조하는 장비에서 공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원단(10,10')을 프리프레그(12)의 일면에만 접착시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하적층판(16')상에 이형제(18), 프리프레그(12), 이형제(14), 원단(10)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다시 이형제(18)와 상 적층판(16)을 적층한다.
이때, 상기 이형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는 호일(foil) 형태, 액상 형태, 분말 형태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이형제는 원단(10,10')이 프리프레그(12)와 접착되지 않도록 하여 완성된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20)이 쉽게 프리프레그(12)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형제와 관련된 분야의 당업자라면 누구라도 쉽게 알 수 있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20)을 제조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적층공정 단계를 수행한다. 적층공정이란 원단(10,10'), 프리프레그(12), 이형제(14)를 상,하적층판(16,16') 사이에 차례로 적층하는 공정을 말한다. 즉, 하적층판(16') 상에 이형제(18)를 위치시키고, 원단(10')이 놓여지게 한다. 이때 이형제(18)의 크기는 하적층판(16')보다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원단(10') 상에 다시 이형제(18)가 위치되게 한다. 이때, 상기 원단(10') 하면의 이형제(18)는 상기 원단(10')의 전면과 접촉할 수 있는 영역만큼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단(10') 상면의 이형제(14)는 상기 원단(10')의 소정 영역과 접촉되도록 특정 영역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형제(14)와 원단(10') 상에 프리프레그(12)가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프리프레그(12)는 상기 원단(10')과 거의 동일한 크기이며 유사한 모양이다. 그리고, 상기 프리프레그(12) 상에는 이형제(14)와 원단(10)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놓여진다. 즉, 상기 원단(10)의 소정 영역에서만 접촉하도록 이형제(14)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원단(10)상에 이형제(18)를 개재한 상태로 상적층판(16)이 위치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적층판(16,16')의 상하에서 평판형 프레스로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열을 가해, 상기 프리프레그(12)가 녹아 상기 원단(10,10')이 접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형제(14)가 위치한 부분의 원단(10,10')은 상기 프리프레그(12)와 직접 접촉되지 않아 원단(10,10')은 상기 프리프레그(12)는 접착이 되지않은 상태로 되며, 상기 이형제(14)가 위치하지 않은 외곽 부분의 원단(10,10')은 상기 프리프레그(12)와 직접 접촉하여 상기 원단(10,10')과 상기 프리프레그(12)는 그 가장자리부분에서 접착되도록 한다. 동시에, 상기 원단(10,1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영역(V)에는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원단(10,10')을 외곽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원단(10,10')이 최대한 텐션을 가지면서 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원단(10,10')이 어느 정도의 텐션을 가지게 되면 그 편평도가 소정의 값으로 유지되면서, 공정중에서 발생되는 수분이나 열 등에 의해 원단(10,10')이 휘거나 비틀림, 수축 또는 팽창 되는 것이 방지되어 치수가 안정되어 보다 정확하게 회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원단(10,10')과 프리프레그(12)가 접착되고 나면 프리프레그(12)를 경화시켜 적층공정을 완성한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플렉시블 원단(10,10')에 회로를 형성하는 공정을 행한다. 상기 회로 형성 공정 단계에서는 외형가공과 드릴링공정을 수행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공정 단계에서 프리프레그(12)가 녹아 원단(10,10')의 가장자리 쪽으로 흘러내려 경화된 것을 커팅(선 C를 따라)한다. 물론, 이때, 상기 상,하적층판(16,16')은 제거한 상태이다. 여기서 상,하적층판(16,16')은 상기 이형제(18)의 존재에 의해 상기 원단(10,10')으로부터 쉽게 제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외형가공을 하고나서는, 회로형성을 위한 가이드홀을 천공하는 드릴링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드릴링 공정까지 마친 상태가 도 5c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부터는 일반적인 경질 회로기판 제조공정과 동일 또는 유사한 공정을 경질 회로기판 제조장비에서 진행하게 된다.
즉, 상기 원단(10,10')의 표면에 회로를 형성하는 회로형성공정을 먼저 수행한다. 그리고는 절연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절연공정은 회로의 절연특성을 향상시키고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납이 번져 회로가 인접회로와 도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 잉크를 도포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도금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반도체등의 패키지공정에서 실행하는 와이어 본딩력을 강화하기 위한 공정이다. 이와 같은 회로형성공정, 절연공정 및 도금공정은 만들어지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종류에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원단(10,10')에 회로가 완성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공정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커팅선(C,C')은 상기 원단(10,10')과 프리프레그(12,12')가 접착되어 있는 부분과 이형제(14)가 개재되어 있는 부분의 경계를 따라 이루어지거나 이형제(14)의 내측부분에서 행하여 진다. 이처럼 커팅이 이루어지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20)이 완성된다.
그리고, 커팅공정을 마친 후에는 수세공정을 진행하여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20)에 묻어 있는 이물을 제거하기위해 금도금 표면을 세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20)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커팅공정과 수세 공정은 필요에 따라 순서를 바꾸어 행 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을 제조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먼저, 기존의 경질 회로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장비를 그대로 사용하여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초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경질 회로기판을 제조하는 장비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원단(10,10')이 상기 프리프레그(12)와 특정 부분에서만 부착된다. 다시 말해 상기 원단(10,10')의 가장자리에서만 프리프레그(12)에 부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이형제가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완성된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20)을 쉽게 프리프레그(12)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완성된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20)을 떼어내는 과정에서의 불량이 거의 없어지게 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원단(10,10')을 한 층의 프리프레그(12)에 접착시켜 한번에 2장의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20)을 제조하므로 그 생산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20)의 제작중에 상기 원단(10,10')은 프리프레그(12)에 접착되어 있고 어느 정도의 텐션을 가지고 당겨져 있어 공정중에 편평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열이나 수분 등에 의해 비틀어지거나 휘는 일이 없으며, 수축, 팽창이 방지되어 치수안정성이 좋아지게 되어 보다 정밀한 회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로 상기 원단(10,1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좋아지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은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재료인 원단을 프리프레그 상에 이형제를 개재한 상태로 접착시켜 경질 회로기판의 제조장비에서 공정을 진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착과정에서 원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원단의 편평도를 유지시켜 주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한번의 공정 흐름에서 동시에 2매의 플렉시블 회로 기판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의 경질 회로기판 생산장비를 사용하면서도 보다 정밀한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을 보다 높은 생산성과 높은 수율로 만들어 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5)

  1.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재료가 되는 원단과 상기 원단을 부착시켜 지지하는 접착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이형수단을 개재시켜 공정을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수단이 위치되는 영역은 상기 원단중 완성된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에 해당되는 부분이고, 상기 원단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은 대략 동일한 크기이며, 상기 이형 수단은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상기 접착지지부재의 상하 양면에 각각 이형수단을 개재한 상태로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은 대략 동일한 크기이며, 상기 이형제는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하여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은 상기 원단의 외곽(가장자리)부분만 접착되고, 상기 이형제가 개재된 부분의 원단은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접착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이형수단이 설치된 상,하적층판의 사이에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을 배치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지지부재의 상하 양면에 원단을 부착시키기 위해 상기 접착지지부재, 이형수단 및 원단을 적층한 상태에서 압력과 열을 가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진공을 형성하여 원단에 텐션을 줌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8. 접착지지부재의 일측면에 이형수단과 원단을 순차적으로 적층한후 접착지지부재와 원단을 접착하는 적층 단계;
    상기 원단을 상기 접착지지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형성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단계는 상기 접착지지부재의 상하면에 상기 이형수단과 원단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은 대략 동일한 크기이며, 상기 이형수단은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단계에서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은 대략 동일한 크기이며, 상기 이형수단은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하여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은 상기 원단의 외곽(가장자리)부분만 접착되고, 상기 이형수단이 개재된 부분의 원단은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접착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단계에서 적층된 기판에 열과 압력을 부여하여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상기 원단을 접착시키며, 동시에 진공상태로 하여 상기 원단을 외곽측으로 잡아당기며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단계는 상기 이형수단의 경계부 내지 이형수단의 내측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원단을 상기 접착지지부재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단계는 상기 접착지지부재와 이형수단과 원단이 적층된 기판의 상하에 이형수단을 개재한 상,하적층판을 적층하는 것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의 제조방법.
  15. 상기 제 1항 또는 제8항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플렉시블 인쇄 회로기판.
KR1019980037599A 1998-09-11 1998-09-11 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의제조방법및그방법으로생산한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 KR100302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599A KR100302652B1 (ko) 1998-09-11 1998-09-11 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의제조방법및그방법으로생산한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
TW088109753A TW451607B (en) 1998-09-11 1999-06-11 Method and fixture for manufactur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09/332,080 US6210518B1 (en) 1998-09-11 1999-06-14 Method and fixture for manufactur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17796099A JP3187789B2 (ja) 1998-09-11 1999-06-24 フレキシブル印刷回路基板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599A KR100302652B1 (ko) 1998-09-11 1998-09-11 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의제조방법및그방법으로생산한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719A true KR19980087719A (ko) 1998-12-05
KR100302652B1 KR100302652B1 (ko) 2001-11-30

Family

ID=19550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599A KR100302652B1 (ko) 1998-09-11 1998-09-11 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의제조방법및그방법으로생산한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10518B1 (ko)
JP (1) JP3187789B2 (ko)
KR (1) KR100302652B1 (ko)
TW (1) TW45160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059B1 (ko) * 1998-09-12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의제조방법및그방법으로생산한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715B1 (ko) * 2001-07-18 2004-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열부재를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CN101330800B (zh) * 2001-07-19 2011-03-23 东丽株式会社 电路基板的制造方法
US6808866B2 (en) * 2002-05-01 2004-10-26 Mektec Corporation Process for massively producing tape type flexible printed circuits
US7320173B2 (en) * 2003-02-06 2008-01-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interconnecting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JP4050682B2 (ja) * 2003-09-29 2008-02-20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4541763B2 (ja) * 2004-01-19 2010-09-08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回路基板の製造方法
US7300820B2 (en) * 2004-03-16 2007-11-27 Temic Automotive Of North America, Inc. Adhesive assembly for a circuit board
JP4403049B2 (ja) * 2004-10-13 2010-01-20 日東電工株式会社 配線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2007173727A (ja) * 2005-12-26 2007-07-05 Shinko Electric Ind Co Ltd 配線基板の製造方法
FI121909B (fi) * 2008-04-18 2011-05-31 Imbera Electronics Oy Piirilevy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KR101095211B1 (ko) * 2008-12-17 2011-12-16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제조용 캐리어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제조방법
KR101051959B1 (ko) 2009-10-07 2011-07-26 이성규 반도체 패키지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39337B1 (ko) 2009-10-27 2011-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양면 접착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KR101255106B1 (ko) * 2011-01-27 2013-04-19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웹 처리 시스템
US9230899B2 (en) * 2011-09-30 2016-01-05 Unimicron Technology Corporation Packaging substrate having a holder, method of fabricating the packaging substrate, package structure having a hold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package structure
US9320149B2 (en) * 2012-12-21 2016-04-19 Intel Corporation Bumpless build-up layer package including a release layer
CN103209544A (zh) * 2013-03-14 2013-07-17 东莞市升力智能科技有限公司 设置双工位取料假贴机构的fpc假贴机
CN103391683B (zh) * 2013-08-05 2016-04-06 昆山市华新电路板有限公司 可实现电路板膜体湿贴的装置
CN112672523A (zh) * 2021-01-31 2021-04-16 惠州中京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薄铜细线单面软板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3998A (ja) * 1985-02-12 1986-08-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H05218616A (ja) * 1992-02-05 1993-08-27 Cmk Corp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059B1 (ko) * 1998-09-12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의제조방법및그방법으로생산한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2652B1 (ko) 2001-11-30
JP3187789B2 (ja) 2001-07-11
US6210518B1 (en) 2001-04-03
JP2000091732A (ja) 2000-03-31
TW451607B (en) 2001-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2652B1 (ko) 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의제조방법및그방법으로생산한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
KR101751232B1 (ko) 일체식 구조적 요소를 갖는 다층 전자 구조체의 제조방법
US8926785B2 (en) Multi-piece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229293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160895B2 (ja) 電子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8547702B2 (en) Multi-piece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140502A (ja) 半導体パッケージ用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822717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 board
KR100509059B1 (ko) 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의제조방법및그방법으로생산한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
KR100440605B1 (ko) 양면구조의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KR100643334B1 (ko) 소자 내장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487891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보강재 부착방법
KR20020087643A (ko)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방법
TWI393494B (zh) 具有線路的基板條及其製造方法
KR20050031288A (ko)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접합구조 및 제조방법
CN110650591B (zh) 一种制作柔性电路板的工艺
JP4525170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2005123493A (ja) 配線基板及び素子実装基板
JP4320841B2 (ja) 複合リードフレー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4080681B2 (ja) 電子部品実装用フィルムキャリア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76584B1 (ko) 테이프 비지에이 기판용 캐리어 프레임 및 그의 제작방법
TW499750B (en) Substrate strip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17255487A (zh) 一种带补强fpc的一次成形的制作方法
JP2000138307A (ja) 半導体装置用中間製品
KR20130074974A (ko) 비아홀을 구비하지 않은 회로 기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