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331A - 광학픽업 및 광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광학픽업 및 광디스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87331A KR19980087331A KR1019980018760A KR19980018760A KR19980087331A KR 19980087331 A KR19980087331 A KR 19980087331A KR 1019980018760 A KR1019980018760 A KR 1019980018760A KR 19980018760 A KR19980018760 A KR 19980018760A KR 19980087331 A KR19980087331 A KR 199800873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bjective lens
- spherical
- optical
- driving mechanism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2—Aligning the head or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otherwise than during transducing, e.g. adjusting tilt set screw during assembly of head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2007/0003—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 G11B2007/0006—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ype of the carrier adapted for scanning different types of carrier, e.g. CD & DVD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3—Details of stationary par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eccentricity of the disc or disc track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22—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optical heads, e.g.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대물렌즈의 경사의 조정을 용이하고, 또한 양호하게 행할 수 있으면서, 대물렌즈의 광축방향에 대해서의 소형화 및 광축에 수직인 평면내의 투영면적의 축소화가 가능하게 이루어진 광학픽업 및 광디스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광학픽업은, 광빔을 발사하는 광원과, 입사된 광빔을 수광(受光)하는 광검출기가 설치된 프레임과, 대물렌즈를 최소한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대물렌즈구동기구와, 상기 대물렌즈구동기구를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과를 구비하고, 상기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대물렌즈구동기구에 지지된 대물렌즈의 측방에 위치하는 구면형(球面形) 조정부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고, 이 구면형 조정부에 따라서 위치조정 및/또는 각도조정이 이루어진 후에 이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디스크나 광자기디스크와 같은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에 대한 정보신호의 기입 및 독출(讀出)을 행하는 광학픽업 및 광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보신호의 기록매체로서 광디스크나 광자기디스크와 같은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가 제안되고, 또, 이와 같은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입 및 독출을 행하는 광학픽업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투명재료로 이루어지는 투명기판과, 이 투명기판의 일주면부(主面部)상에 피착형성된 신호기록층과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광학픽업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01)을 가지고, 이 프레임(201)내에, 광원으로 되는 반도체레이저(202) 및 포토디텍터(207)를 내장하여 구성되어 있다. 반도체레이저로부터 발해진 광속(光束)은, 빔스프리터(203) 및 콜리메이터렌즈(204)를 거쳐, 대물렌즈(205)에 입사(入射)된다. 이 대물렌즈(205)는, 프레임(201)에 장착된 지지판(210)에 지지된 2축 액튜에이터(20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대물렌즈(205)에 입사된 광속은, 이 대물렌즈(205)에 의해,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의 신호기록면상에 집광하여 조사된다. 이때, 이 광속은,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의 투명기판측으로부터 이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에 대하여 조사되고, 이 투명기판을 투과하여 신호기록층의 표면부인 신호기록면상에 집광된다. 이 대물렌즈(205)는, 2축 액튜에이터(206)에 지지되어 이동조작됨으로써, 항상, 신호기록면상의 정보신호가 기록되는 개소(個所), 즉 기록트랙상에 광속을 집광시킨다. 이 기록트랙은, 디스크상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의 주면부상에 있어서,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에 있어서는, 대물렌즈(205)를 거친 광속이 집광되어 조사됨으로써, 이 광속이 조사된 개소에 있어서 정보신호의 기입, 또는 독출이 행해진다.
신호기록면상에 조사된 광속은, 이 신호기록면상에 기록된 정보신호에 따라서, 광량, 또는 편광방향이 변조되어 이 신호기록면에 의해 반사되어, 대물렌즈(205)로 귀환한다.
신호기록면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속은, 대물렌즈(205), 콜리메이터렌즈(204) 및 빔스프리터(203)를 거쳐, 포토디텍터(207)에 의해 수광된다. 이 포토디텍터(207)는, 포토다이오드와 같은 수광소자로서, 대물렌즈(205)를 거친 반사광속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이 포토디텍터(207)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서,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재생이 행해진다.
또, 포토디텍터(207)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서, 대물렌즈(205)에 의한 광속의 집광점과 신호기록면과의 이 대물렌즈(205)의 광축방향의 거리를 나타내는 포커스에러신호, 및 이 집광점과 이 신호기록면상의 기록트랙과의 이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의 직경방향의 거리를 나타내는 트래킹에러신호가 생성된다. 2축 액튜에이터(206)는, 이들 포커스에러신호 및 트래킹에러신호에 따라서 제어되고, 이들 각 에러신호가 0으로 수속(收束)되도록 대물렌즈(205)를 이동조작한다.
이와 같은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에 있어서는, 컴퓨터용의 보조기억장치로서, 또 음성 및 화상신호의 기록매체로서 이용하기 위해, 정보신호의 기록밀도의 고밀도화가 진행되어 있다.
기록밀도가 고밀도화된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입 및 독출을 행하는 데는, 대물렌즈(205)를 보다 개구수가 큰 것으로 하는 동시에, 광원의 발광파장을 보다 단파장화하여, 이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상에 광속이 집광됨으로써 형성되는 빔스폿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대물렌즈(205)의 개구수가 커지면,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에 대한 대물렌즈(205)의 경사, 이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의 투명기판의 두께의 불균일함, 및 이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상에 있어서의 광속의 집점(集点)의 어긋남에 대한 허용도가 감소하게 되어, 이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에 대한 정보신호의 기입 및 독출이 곤란하게 된다.
예를 들면,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에 대한 대물렌즈(205)의 경사, 즉 스큐가 생기면, 신호기록면상에 집광되는 광속에 있어서 파면(波面)수차가 생기고, 포토디텍터(207)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인 RF출력에 영향이 나타난다. 이 파면수차는, 대물렌즈(205)의 개구수의 3승(乘)과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에 대한 경사각의 약 1승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3차의 코마수차가 지배적이다. 따라서, 대물렌즈(205)의 경사에 대한 허용치는, 대물렌즈의 개구수의 3승에 반비례하고, 이 개구수가 커지면 작아진다.
그러므로, 광학픽업에 있어서는, 광원을 내장한 프레임(201)에 대한 2축 액튜에이터(206)의 장착각도를 조정하여,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에 대한 대물렌즈(205)의 경사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착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기구로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01)에 접촉되는 지지판(210)의 저면부에 형성된 구면형(球面形) 철부(凸部)(208)와, 지지판(210)이 접촉하는 프레임(201)의 상면부에 형성되고 구면형 철부(208)가 결합되는 구면형 요부(凹部)(209)와로 이루어지는 구면형 조정부가 제안되어 있다. 구면형 철부(208)의 곡률중심은, 대물렌즈(205)의 광축상으로서 대물렌즈(205)가 이 곡률중심 주위로 경사졌을 때에 이 대물렌즈(205)를 투과한 광속의 집광점의 이동이 가장 적어지는 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판(210)의 프레임(201)에 대한 장착각도의 조정을 할 때에는, 이 지지판(210)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프레임(201)에 압접(壓接)되고, 구면형 철부(208)의 구면형 요부(209)에 대한 결합을 유지한 채, 이 구면형 요부(209)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지지판(210)은, 프레임(201)에 대한 각도조정이 완료되면, 나사 등에 의해, 프레임(201)에 대하여 고정된다.
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10)상에 돌조부(突條部)(211)를 형성하고, 이 돌조부(211)에 의해 지지판(210)을 이 지지판(210)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지지하도록 한 각도조정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이 각도조정기구에 있어서는, 지지판(210)에는, 지지나사(213) 및 조정나사(212)가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끼워져 있다. 지지나사(213) 및 조정나사(212)는, 각각 프레임(201)에 끼워져 있다. 지지나사(213)의 헤드부와 지지판(210)과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214)이 배설되어 있다. 이 압축스프링(214)은, 도 15중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판(210)을 프레임(201)측에 압압하고 있다. 조정나사(212)의 헤드부는, 지지판(210)에 접촉하고 있다. 조정나사(212)의 프레임(201)에의 나사삽입량을 조정함으로써, 지지판(201)은, 도 15중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돌조부(211)를 지점으로 하여, 프레임(201)에 대한 경사가 조정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구면형 조정부를 가지는 광학픽업에 있어서는, 광학픽업의 두께의 축소, 즉 대물렌즈(205)의 광축방향에 대해서의 소형화가 곤란하다. 이 광학픽업에 있어서 두께를 축소하면, 구면형 철부(208)가 측방부분에 있어서 하방측으로부터 지지되는 상태로 되고, 도 14중 화살표 r로 나타낸 구면형 철부(208)의 곡률반경에 오차가 있으면, 대물렌즈(205)의 광축방향에 대해서의 위치에 오차를 발생시켜 버리기 때문이다.
또, 지지판(210)을 돌조부(211)에 의해 지지한 각도조정기구를 가지는 광학픽업에 있어서는, 수평방향, 즉 대물렌즈(205)의 광축에 수직인 평면내에 있어서의 투영면적이 증대되어 버린다. 이것은, 조정나사(212) 및 지지나사(213)를 형성하는 장소를 프레임(201)상에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각도조정기구에 있어서는, 각도조정이 돌조부(211)에 평행한 일축 주위의 방향에 대해서밖에 행할 수 없는 동시에, 이 회동축이 대물렌즈(205)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각도조정에 따라, 대물렌즈(205)에 입사된 광속의 집광점이 크게 이동한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대물렌즈의 경사의 조정을 용이하고, 또한 양호하게 행할 수 있으면서, 대물렌즈의 광축방향에 대해서의 소형화 및 광축에 수직인 평면내의 투영면적의 축소화가 가능하게 이루어진 광학픽업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광학픽업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광학픽업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광학픽업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광학픽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광학픽업에 있어서의 광학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광학픽업에 형성된 2축 액튜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광학픽업의 구면형 조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구면형 조정부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상기 구면형 조정부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구면형 조정부의 요부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구면형 조정부의 구성의 제2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구면형 조정부의 구성의 제3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구면형 조정부의 구성의 제4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광학픽업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광학픽업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프레임, 2:제1의 2축 액튜에이터, 6,9:조정편부, 20:구면부, 23: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 38:반도체레이저
본 발명에 관한 광학픽업은, 광원을 내장한 프레임에 장착된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과, 이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에 고정된 대물렌즈구동기구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은, 프레임에 대하여, 대물렌즈구동기구에 지지된 대물렌즈의 측방에 위치하는 구면형 조정부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고, 이 구면형 조정부에 따라 위치조정이 이루어진 후에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면형 조정부가 대물렌즈의 측방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구면형 조정부에 있어서의 구면의 곡률반경에 오차가 있어도, 대물렌즈의 광축방향에 대해서의 위치에 오차가 생기지 않는다. 대물렌즈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의 위치의 오차는, 대물렌즈구동기구의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에 대한 고정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흡수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다음의 순차에 의해 설명한다.
〔1〕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의 종류
〔2〕광학픽업의 지지
〔3〕2축 액튜에이터(대물렌즈구동기구)의 구성
〔4〕구면형 조정부의 구성
〔5〕프레임내의 구성
〔6〕디스크플레이어의 구성
〔1〕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의 종류
이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에 관한 광학픽업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기판의 두께가 0.6㎜의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인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와, 투명기판의 두께가 1.2㎜의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인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와의 쌍방에 대하여, 레이저광속을 조사함으로써 정보신호의 기입 및 독출을 행하는 장치로서 구성한 것이다.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는, 두께 0.6㎜, 직경 120㎜의 원반형의 폴리카보네이트에 의해 형성된 투명기판과, 이 투명기판의 일주면부상에 형성된 신호기록층과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는, 2매의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가 신호기록층측끼리가 서로 붙여져, 두께 1.2㎜의 원반체, 즉 양면형 광디스크를 구성하고 있다.
이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는, 제1의 파장인 파장 635㎚(또는, 650㎚)의 레이저광속에 의해, 개구수(NA)가 0.6의 대물렌즈를 통하여, 정보신호의 기입 및 독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호기록층에 있어서, 정보신호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기록트랙에 따라 기록된다.
이와 같은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에 해당하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른바 「디지털·비디오·디스크(DVD)」(상표명)가 제안되어 있다.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는, 두께 1.2㎜, 직경 80㎜ 또는 120㎜의 원반형의 폴리카보네이트에 의해 형성된 투명기판과, 이 투명기판의 일주면부상에 형성된 신호기록층과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이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는, 제2의 파장인 파장 780㎚의 레이저광속에 의해, 개구수가 0.45의 대물렌즈를 통하여, 정보신호의 기입 및 독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호기록층에 있어서, 정보신호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기록트랙에 따라 기록된다.
이와 같은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에 해당하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른바 「콤팩트·디스크(CD)」(상표명)이나 이른바 「CD-ROM」, 「CD-R」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제1 종류 또는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1,102)는, 본 발명에 관한 광학픽업을 구비한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섀시에 장착된 스핀들모터(17)에 의해 회전조작된다. 스핀들모터(17)의 구동축(42)에는, 회전조작기구를 구성하는 디스크테이블(40)이 장착되어 있다. 이 디스크테이블(40)은, 대략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상면부의 중앙에 대략 원추대형의 돌기(41)를 가지고 있다. 이 디스크테이블(40)은, 각 광디스크(101,102)의 중심부분이 위에 놓이면, 이 광디스크(101,102)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처킹공(103)에 돌기(41)를 결합시키고, 이 광디스크(101,102)의 중심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광디스크(101,102)는,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있어서 지지되고, 스핀들모터(17)에 의해, 이 디스크테이블(40)과 함께 회전조작된다.
〔2〕광학픽업의 지지
광학픽업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섀시상에 배설된 가이드샤프트(18) 및 지지샤프트(19)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레임(1)을 가지고 구성된다. 가이드샤프트(18) 및 지지샤프트(19)는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또 디스크테이블(40)의 상면부에 평행하게 이루어져 배설되어 있다.
프레임(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샤프트(18)가 삽통되는 가이드공(13)과, 지지샤프트(19)가 삽입되는 지지홈부(15)를 가지고 있다. 이 프레임(1)은, 가이드샤프트(18) 및 지지샤프트(19)에 따라 이동조작됨으로써, 상면부를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된 광디스크(101,102)의 주면부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스핀들모터(17)에 대한 접리(接離)방향, 즉 이 광디스크(101,102)의 직경방향으로이동된다. 이 프레임(1)은, 새시상에 배설된 슬레드모터에 의해 이동조작된다.
그리고, 프레임(1)과 스핀들모터(17)와의 위치관계, 즉 이 프레임(1)과 광디스크(101,102)와의 위치관계는, 스핀들모터(17)를 고정하여 프레임(1)을 이동조작함으로써 변동하는 것이라도 되며, 역으로, 프레임(1)을 고정하여 스핀들모터(17)를 이동조작함으로써 변동하는 것이라도 되며, 또한, 이들 프레임(1) 및 스핀들모터(17)의 쌍방이 각각 이동조작됨으로써 변동하는 것이라도 된다.
〔3〕2축 액튜에이터의 구성
그런데, 광디스크(101,102)의 투명기판은,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약간의 일그러짐을 가지는 일이 있고, 이로 인해, 중앙부분이 디스크테이블(40)에 지지되어 회전조작될 때, 이른바 면편차를 일으킨다. 즉, 광디스크(101,102)의 신호기록층은, 이 광디스크(101,102)가 중앙부분이 지지되어 회전조작될 때, 광학픽업에 대하여 접리하는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이동한다. 또, 광디스크(101,102)의 기록트랙은, 곡률중심이 투명기판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약간의 편심을 가지는 일이 있고, 그러므로, 이 투명기판이 중앙부분이 지지되어 회전조작될 때, 이 광디스크(101,102)의 직경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광디스크(101,102)의 면편차나 편심에 의한 기록트랙의 이동에 대하여, 이들 광디스크(101,102)에 대한 정보신호의 기입 및 독출을 행하기 위한 레이저광속을 추종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광학픽업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물렌즈구동기구인 제1 및 제2의 2축 액튜에이터(2,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2축 액튜에이터(2,3)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상에 배설되어 있다.
제1의 2축 액튜에이터(2)는, 제1의 대물렌즈(4)를, 이 제1의 대물렌즈(4)의 광축방향, 즉 도 1중 화살표 F로 나타낸 포커스방향 및 이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 즉 도 1중 화살표 T1으로 나타낸 제1의 트래킹방향으로 이동조작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1의 대물렌즈(4)는, 개구수가 0.6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제2의 2축 액튜에이터(3)는, 제2의 대물렌즈(5)를, 이 제2의 대물렌즈(5)의 광축방향, 즉 도 1중 화살표 F로 나타낸 포커스방향 및 이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 즉 도 1중 화살표 T2로 나타낸 제2의 트래킹방향으로 이동조작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2의 대물렌즈(5)는, 개구수가 0.45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대물렌즈(4,5)는,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된 광디스크(101,102)의 신호기록층에 대향시켜지는 동시에, 프레임(1)이 가이드샤프트(18) 및 지지샤프트(19)에 따라 이동조작됨으로써, 도 2중 화살표 S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광디스크(101,102)의 내외주에 걸쳐 이동조작된다. 제1 및 제2의 대물렌즈(4,5)는, 가이드샤프트(18)의 길이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 즉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된 광디스크(101,102)의 주위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의 대물렌즈(4,5)는, 서로 광축을 평행하게 하여 지지되어 있다.
제1의 2축 액튜에이터(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상에, 후술하는 구면형 조정부를 통하여 장착되는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을 가지고 있다. 또, 제2의 2축 액튜에이터(3)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상에 고정되어 배설되는 요크부(25)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2축 액튜에이터(2,3)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물렌즈(4,5)가 장착된 가동부로 되는 렌즈보빈 본체부(69)를 가지고 있다. 이 렌즈보빈 본체부(69)는,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틀형의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고, 전단(前端)측부분에, 대물렌즈(4,5)가 결합되는 대물렌즈 장착공(7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대물렌즈 장착공(70)에는, 대물렌즈(4,5)가 상방측으로부터 결합되어 장착된다. 이 렌즈보빈 본체부(69)는, 양측부분이, 탄성부재로 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부재(65,66)를 통하여, 상측 고정블록(59)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들 판스프링부재(65,66)는, 인청동과 같은 적절한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료에 의해, 얇고 가늘며 긴 판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렌즈보빈 본체부(69) 및 상측 고정블록(59)과 각 판스프링부재(65,66)와는, 이른바 아웃서트성형에 의해, 이 각 판스프링부재(65,66)의 선단측부분 및 기단(基端)측부분이 이 렌즈보빈 본체부(69) 및 이 상측 고정블록(59)의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판스프링부재(65,66)의 기단부분은, 상측 고정블록(59)의 후단(後端)면으로부터, 접속단자로서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이들 판스프링부재(65,66)의 선단부분은, 렌즈보빈 본체부(69)내에 매몰되고 후단부를 이 렌즈보빈 본체부(69)의 후단면으로부터 접속단자(81)로서 후방측으로 돌출시킨 단자판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또, 렌즈보빈 본체부(69)의 하면부에는, 보빈지지틀(64)이 장착되어 있다. 이 보빈지지틀(64)은, 렌즈보빈 본체부(69)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이 렌즈보빈 본체부(69)의 양측부분을 지지하는 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보빈지지틀(64)은, 상면부에 한 쌍의 위치결정돌기(83,83)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들 위치결정돌기(83,83)에 의해 렌즈보빈 본체부(69)에 대하여 위치결정되고, 이 렌즈보빈 본체부(69)에 대하여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된다. 이 보빈지지틀(64)은, 양측부분이, 탄성부재로 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부재(60,61)를 통하여, 하측 고정블록(58)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들 판스프링부재(60,61)는, 인청동과 같은 적절한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료에 의해, 얇고 가늘며 긴 판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보빈지지틀(64) 및 하측 고정블록(58)과 각 판스프링부재(60,61)와는, 이른바 아웃서트성형에 의해, 이 각 판스프링부재(60,61)의 선단측부분 및 기단측부분이 이 보빈지지틀(64) 및 이 하측 고정블록(58)의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판스프링부재(60,61)의 기단부분은, 하측 고정블록(58)의 후단면으로부터, 접속단자로서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이들 판스프링부재(60,61)의 선단측부분은, 보빈지지틀(64)내에 매몰되고, 이 선단측부분의 후단부를 이 보빈지지틀(64)의 후단면으로부터 접속단자(81)로서 후방측으로 돌출시킨 단자판에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하측 고정블록(58) 및 상측 고정블록(59)은, 고정판(56)을 통하여,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 및 요크부(25)상에 고정되어 배설된다. 즉, 하측 고정블록(58)이 고정판(56)상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되고, 이 하측 고정블록(58)상에 상측 고정블록(59)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되고, 또한, 이 고정판(56)이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 및 요크부(25)에 대하여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거나, 또는 납땜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고정부가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판(56)의 양측부분에는, 하측 고정블록(58)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돌출편(57,57)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하측 고정블록(58)의 상면부에는, 상측 고정블록(59)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돌기(82)가 형성되어 있다.
각 판스프링부재(60,61,65,66)는, 각각, 직선부분과 크랭크부(62,63,67,68)와를 가지고, 기단측이 각 고정블록(58,59)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에 장착되고, 선단측이 렌즈보빈 본체부(69) 또는 보빈지지틀(64)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판스프링부재(60,61,65,66)는, 각 직선부분을 서로 대략 평행하게 하고, 렌즈보빈 본체부(69) 및 보빈지지틀(64)을 고정부에 대하여 변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크랭크부(62,63,67,68)는, 각 판스프링부재(60,61,65,66)의 기단측부분에 형성되고, 2개소의 서로 반대방향의 90。의 굴절부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판스프링부재(60,61,65,66)에 있어서는, 크랭크부(62,63,67,68)의 기단측 및 중도부분의 양측을 둘러싸도록 하여, 변위규제편부(7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빈지지틀(64) 및 렌즈보빈 본체부(69)에는, 코일보빈(72)이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일보빈(72)은, 상방측 및 하방측이 개방된 중공의 사각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코일보빈(72)은, 렌즈보빈 본체부(69) 및 보빈지지틀(64)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투공부(透孔部)내에 결합되는 동시에, 이 보빈지지틀(64)의 상면부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위치결정돌출편(79,79)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이 렌즈보빈 본체부(69) 및 이 보빈지지틀(64)에 대하여,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코일보빈(72)에는, 포커스코일(73) 및 트래킹코일(74,74)이 장착되어 있다. 포커스코일(73)은, 코일보빈(72)의 측면부(외주부)에 대하여 감기고, 코일의 중심축을 대물렌즈(4,5)의 광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하고 있다. 트래킹코일(74,74)은, 각각 트래킹코일보빈(75,75)에 감겨 구성되고, 이들 트래킹코일보빈(75,75)이 코일보빈(72)의 전단면부에 장착됨으로써, 이 코일보빈(72)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트래킹코일(74,74)은, 코일의 중심축을 서로 평행하게 이루는 동시에, 이 중심축을 각 판스프링부재(60,61,65,66)의 직선부분에 평행하게 이루고, 이 중심축을 대물렌즈(4,5)의 광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고 있다.
각 코일(73,74,74)의 감김시작 및 감김끝의 인출선은, 코일보빈(72)의 후방측에 돌출형성된 4개의 단자봉(80,80,80,80)에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단자봉(80,80,80,80)은, 렌즈보빈 본체부(69)내 및 보빈지지틀(64)내에 매설된 단자판의 이들 렌즈보빈 본체부(69) 및 보빈지지틀(64)의 후단면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된 각 접속단자(81,81,81,81)에 대응하여, 납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렌즈보빈 본체부(69), 보빈지지틀(64) 및 코일보빈(72)은, 이 2축 액튜에이터(2,3)의 렌즈보빈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 및 요크부(25)상에는, 전후 한 쌍의 요크(24,24,26,26)가 이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 및 요크부(25)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 요크부(25) 및 각 요크(24,24,26,26)는, 철과 같은 자성재료(고투자율(高透磁率)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후측의 요크(24,26)는, 코일보빈(72)내의 중공부에, 하방측으로부터 진입되어 있다. 이 후측의 요크(24,26)의 전면부에는, 마그네트(54)가,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전측(前側)의 요크(24,26)는, 보빈지지틀(64) 및 렌즈보빈 본체부(69)의 중앙부의 투공내에 하방측으로부터 진입되고, 코일보빈(72)의 전방측, 즉 각 트래킹코일(74,74)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각 요크(24,24,26,26)의 상단부끼리는, 연결판(55)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판(55)은, 각 요크(24,24,26,26)와 동일하게, 철과 같은 자성재료(고투자율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의 2축 액튜에이터(2)에 있어서는, 제1의 대물렌즈(4)는, 이 제1의 대물렌즈(4)의 광축방향, 즉 도 6중 화살표 F로 나타낸 포커스방향, 및 이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 즉 도 1중 화살표 T1으로 나타낸 제1의 트래킹방향의 2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각 코일(73,74,74) 및 마그네트(54)간에 생기는 전자력에 의해, 이 2방향으로 이동조작된다.
또, 제2의 2축 액튜에이터(3)에 있어서는, 제2의 대물렌즈(5)는, 이 제2의 대물렌즈(5)의 광축방향, 즉 도 6중 화살표 F로 나타낸 포커스방향, 및 이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 즉 도 1중 화살표 T2로 나타낸 제2의 트래킹방향의 2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각 코일(73,74,74) 및 마그네트(54)간에 생기는 전자력에 의해, 이 2방향으로 이동조작된다.
기록트랙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101,102)에 있어서, 신호기록층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광디스크(101,102)에 있어서, 정보신호는, 기록트랙에 따라 기입된다. 이들 2축 액튜에이터(2,3)는, 대물렌즈(4,5)를 광디스크(101,102)의 변위에 추종시키는 위해 이 대물렌즈(4,5)를 이동조작한다. 즉, 광학픽업은, 광디스크의 신호기록층상의 정보신호가 기입되는 위치에 대하여, 항상, 대물렌즈(4,5)를 투과한 광속을 집광시키게 된다.
이 광학픽업은, 처킹공(103)에 있어서 디스크테이블(40)상에 지지되어 스핀들모터(17)에 의해 회전조작되는 광디스크(101,102)에 대향되어, 이 광디스크(101,102)의 직경방향으로 이동조작됨으로써, 이 광디스크(101,102)와의 상대적인 위치로서는 기록트랙에 따라 이동되면서, 이 기록트랙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입 또는 독출을 행한다. 따라서, 이 광학픽업은, 대물렌즈(4,5)에 의한 레이저광속의 집광위치를, 광디스크의 면편차 및 편심에 의한 기록트랙의 위치의 변위에 추종시켜야만 한다. 그러므로, 각 2축 액튜에이터(2,3)는, 대물렌즈(4,5)를 포커스방향과 각 트래킹방향과로 이동조작한다.
이들 2축 액튜에이터(2,3)에 있어서는, 포커스코일(73)에, 각 고정블록(58,59)의 후단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속단자 및 각 판스프링부재(60,61,65,66) 및 각 단자판을 통하여, 포커스구동전류가 공급됨으로써, 렌즈보빈 본체부(69)는, 도 6중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포커스방향으로 이동조작된다. 또, 이들 2축 액튜에이터(2,3)에 있어서는, 트래킹코일(74,74)에, 각 고정블록(58,59)의 후단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속단자 및 각 판스프링부재(60,61,65,66) 및 각 단자판을 통하여, 트래킹구동전류가 공급됨으로써, 렌즈보빈 본체부(69)는, 도 6중 화살표 T1,T2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트래킹방향으로 이동조작된다.
이들 2축 액튜에이터에 있어서, 포커스구동전류 및 트래킹구동전류는, 대물렌즈(4,5)에 의한 레이저광속의 집광위치와 기록트랙과의 어긋난 양을 나타내는 포커스에러신호 및 트래킹에러신호에 따라서 공급된다. 따라서, 이들 2축 액튜에이터(2,3)는, 광디스크(101,102)의 회전주기에 동기하여, 대물렌즈(4,5)에 대하여 주기적인 이동조작을 행하게 된다.
신호기록층상에 집광된 레이저광속은, 이 신호기록층에 있어서, 이 신호기록층에 기입되어 있는 정보신호에 따라 반사강도 또는 편광방향이 변조되어, 반사된다. 이 신호기록층에 있어서 반사된 반사광속은, 대물렌즈(4,5)에 귀환하고, 이 대물렌즈(4,5)를 거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내에 배설된 광검출기에 의해 수광된다. 이 광검출기는, 복수의 포토디텍터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이 광검출기로부터의 출력신호로부터는, 광디스크(101,102)로부터의 정보신호의 독취신호, 포커스에러신호 및 트래킹에러신호가 생성된다.
〔4〕구면형 조정부의 구성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은, 프레임(1)에 대하여, 제1의 2축 액튜에이터(2)에 지지된 제1의 대물렌즈(4)의 측방에 위치하는 구면형 조정부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 구면형 조정부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의 측면부의 2개소에 형성된 돌출형의 구면부(20a,20b)와,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으로부터 제1의 대물렌즈(4)의 광축방향으로 형성되고 각 구면부(20a,20b)에 대응하여 프레임(1)의 외방측으로부터 접촉되는 조정편(6,9)과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대물랜즈구동기구 지지판(23)은, 프레임(1)의 저면측으로부터 이 프레임(1)에 장착되고, 각 조정편(6,9)을 각 구면부(20a,20b)에 접촉시킨다. 프레임(1)은,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의 제1의 액튜에이터(2)가 장착된 부분을 상방측에 임하게 하기 위한 투공(21)을 가지고 있다.
각 구면부(20a,20b)는, 서로 곡률중심을 일치시킨 구면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은, 각 조정편(6,9)을 각 구면부(20a,20b)상에 따르게 한 상태로 이동조작됨으로써, 이 구면부(20a,20b)의 곡률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구면상을 이동되게 된다.
각 구면부(20a,20b)의 곡률중심은,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이 곡률중심 주위로 회동되었을 때에, 제1의 대물렌즈(4)에 입사된 제1의 레이저광속이 이 제1의 대물렌즈(4)에 의해 집광되어 형성하는 빔스폿의 이동량이 가장 작아지는 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즉, 각 구면부(20a,20b)의 곡률중심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대물렌즈(4)의 광축상에 있고,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1의 대물렌즈(4)의 렌즈보빈 본체부(69)에 대한 장착기준면상에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각 구면부(20a,20b)의 곡률중심은, 이 곡률중심을 통하고 제1의 대물렌즈(4)의 광축에 수직인 평면이 이 각 구면부(20a,20b)와 교차하게 되는 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1의 대물렌즈(4)와 각 구면부(20a,20b)와의 위치관계는, 제1의 대물렌즈(4)의 광축에 수직이고, 각 구면부(20a,20b)와 교차하고, 또한, 제1의 대물렌즈(4)내를 통하는 평면이 존재하는 위치관계로 되어 있다. 즉, 제1의 대물렌즈(4)는, 중립위치에 있을 때에, 도 7중 화살표 H로 나타내는 각 구면부(20a,20b)의 높이범위내에, 최소한 일부를 존재시키고 있는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은, 이 구면형 조정부의 구면부(20a,20b)에 따라 위치조정이 이루어진 후에, 프레임(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즉, 각 구면부(20a,20b)에는, 대략 중앙부에 나사공(14,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조정편(6,9)에는, 대략 중앙부에 나사삽통공(11,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면형 조정부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과 프레임(1)과를 각 구면부(20a,20b)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서로 압접시키는 임시고정부재로 되는 스프링와셔(7,7)와,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과 프레임(1)과를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되는 고정나사(8,8)와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나사(8,8)는, 각 조정편(6,9)의 나사삽통공(11,12)에 삽통되고, 각 구면부(20a,20b)의 나사공(14,14)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와셔(7,7)는, 각 고정나사(8,8)가 삽통되고, 각 고정나사(8,8)의 헤드부와 각 조정편(6,9)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면형 조정부에 있어서는, 각 고정나사(8,8)를 약간 풀고, 스프링와셔(7,7)가 각 조정편(6,9)을 각 구면부(20a,20b)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압접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을 이동시켜, 제1의 2축 액튜에이터(2)의 프레임(1)에 대한 경사를 조정하고, 이 조정의 완료후에, 각 고정나사(8,8)를 조여,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을 프레임(1)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1의 2축 액튜에이터(2)의 프레임(1)에 대한 경사의 조정은,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로부터 정보신호의 독출을 행하면서, 이 독출신호의 상태가 가장 양호하게 되는 위치를 찾음으로써 행한다.
이 구면형 조정부에 있어서는, 프레임(1)에 대한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의 경사를 조정함에 따른 제1의 대물렌즈(4)의 스큐조정의 기준으로 되는 각 구면부(20a,20b)가 제1의 대물렌즈(4)의 측방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구면부(20a,20b)의 곡률반경(R)에 오차가 있는 경우라도, 제1의 대물렌즈(4)의 광축방향에 대해서의 위치에 오차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제1의 대물렌즈(4)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의 위치의 오차는, 제1의 2축 액튜에이터(2)의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에 대한 고정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흡수할 수 있다.
또, 이 구면형 조정부에 있어서는,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은, 각 조정편(6,9)을 각 구면부(20a,20b)에 대하여 직접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들 조정편(6,9)에 있어서 고정되므로, 프레임(1)에 대하여 단단히 고정될 수 있고, 고정후에 충격 등에 의한 위치어긋남이 생길 우려가 없다.
그리고, 구면형 조정부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상의 3개소 이상에 형성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구면형 조정부는, 전술한 구면부(20) 대신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에 형성된 오목형의 구면부(20d,20e)를 가지는 것이라도 된다. 이들 구면부(20d,20e)에는,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의 외측에지부가 접촉된다. 또, 구면형 조정부는, 전술한 구면부(20d,20e) 대신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에 형성된 오목형의 구면부(20f,20g)를 가지는 것이라도 된다. 이들 구면부(20f,20g)에는, 프레임(1)의 외측에지부가 접촉된다. 그리고, 구면형 조정부는, 전술한 구면부(20f,20g) 대신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23)에 형성된 돌출형의 구면부(20h,20i)를 가지는 것이라도 된다. 이들 구면부(20h,20i)에는, 프레임(1)의 외측에 형성된 측벽부가 외방측으로부터 접촉된다.
〔5〕프레임내의 구성
프레임(1)내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광원으로 되는 반도체레이저(38) 및 제2의 광원으로 되는 반도체레이저칩을 가지는 발광수광(發光受光)복합소자, 즉 레이저커플러(33)가 내장되어 있다. 반도체레이저(38) 및 레이저커플러(33)의 반도체레이저칩은, 각각 직선 편광의 코히런트광인 제1 및 제2의 레이저광속을 발한다. 이들 레이저광속은, 발산광속이다. 반도체레이저(38)가 발하는 제1의 레이저광속의 파장은, 제1의 파장인 635㎚, 또는 650㎚이다. 또, 레이저커플러(33)의 반도체레이저칩이 발하는 제2의 레이저광속의 파장은, 제2의 파장인 780㎚이다.
반도체레이저(38)에는, 고주파 모듈기판(37)이 접속된다. 이 고주파 모듈기판(37)에는, 반도체레이저(38)에 있어서의 귀환광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이 반도체레이저(38)를 300mHz 내지 400MHz 정도의 주파수에서 고주파 구동하는 고주파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반도체레이저(38)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에 형성된 장착공내에 결합되어, 이 프레임(1)에 대하여 고정되어 배설되어 있다. 이 반도체레이저(38)로부터 발해진 제1의 레이저광속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절격자, 즉 그레이팅(39)을 거쳐, 평판형의 빔스프리터(28)에 입사한다. 그레이팅(39)은, 제1의 레이저광속을, 0차 광(光) 및 ±1차 광의 3개의 레이저광속으로 분기시킨다. 빔스프리터(28)는, 주면부를 제1의 레이저광속의 광축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이루어 배설되어 있다. 이 빔스프리터(28)는, 제1의 레이저광속의 일부를 투과시키지만, 잔부(殘部)를 반사한다. 이 빔스프리터(28)에 의해 반사된 제1의 레이저광속은, 콜리메이터렌즈(29)에 입사되고, 이 콜리메이터렌즈(29)에 의해 제1의 평행 레이저광속으로 이루어진다.
콜리메이터렌즈(29)를 거친 제1의 평행 레이저광속은, 제1의 돌출미러(30)에 의해 반사되어 90。 편향되고, 제1의 대물렌즈(4)에 입사된다. 이 제1의 대물렌즈(4)는, 제1의 평행 레이저광속을,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신호기록층상에 집광시킨다.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신호기록층상에 집광된 제1의 레이저광속은, 이 신호기록층에 의해 반사되고, 제1의 대물렌즈(4), 제1의 돌출미러(30), 콜리메이터렌즈(29)를 거쳐, 빔스프리터(28)를 투과하여, 광검출기(32)에 의해 수광된다.
레이저커플러(33)는, 반도체레이저칩 및 제1, 제2의 광검출기가 동일한 반도체 기재부(基材部)상에 배설되어 구성되어 있다. 반도체레이저칩은, 반도체 기재부상에, 히트싱크를 개재하여 배설되어 있다. 각 광검출기는, 각각 복수의 수광면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반도체 기재부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레이저커플러(33)에 있어서는, 각 광검출기상에 위치하여, 빔스프리터 프리즘이 배설되어 있다. 이 빔스프리터 프리즘은, 반도체 기재부의 상면부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사면부(斜面部)인 빔스프리터면이, 반도체레이저칩측을 향하고 있다.
이 레이저커플러(33)에 있어서, 반도체레이저칩은, 빔스프리터면을 향하여 제2의 레이저광속을 발한다. 이 반도체레이저칩으로부터 발해진 제2의 레이저광속은, 빔스프리터면에 의해 반사되고, 반도체 기재부에 대한 수직상방으로 사출(射出)된다,
레이저커플러(33)로부터 사출된 제2의 레이저광속은, 절곡미러(10)에 의해 반사되어 90。 편향되고, 또한, 제2의 돌출미러(34)에 의해 반사되어 90。 편향되고, 제2의 대물렌즈(5)에 입사된다. 제2의 대물렌즈(5)에 입사된 제2의 레이저광속은, 이 제2의 대물렌즈(5)에 의해,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의 투명기판을 투과하여, 이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의 신호기록층의 표면부상에 집광된다.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의 신호기록층상에 집광된 제2의 레이저광속은, 이 신호기록층에 의해 반사되고, 제2의 대물렌즈(5), 제2의 돌출미러(34), 절곡미러(10)를 거쳐, 레이저커플러(33)의 광검출기에 의해 수광된다.
그리고, 이 광학픽업에 있어서는, 반도체레이저(38)로부터 제1의 대물렌즈(4)에 이르는 제1의 광로와 레이저커플러(33)의 레이저칩으로부터 제2의 대물렌즈(5)에 이르는 제2의 광로와는, 프레임(1)내에 있어서, 교점에 있어서 서로 교차한다. 이 교점은, 제1의 광로상에 있어서는, 콜리메이터렌즈(29) 및 제1의 돌출미러(30)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 이 교점은, 제2의 광로상에 있어서는, 절곡미러(10) 및 제2의 돌출미러(34)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광학픽업에 있어서는, 각 광로가 서로 교차되어 있음으로써, 이들 광로가 점유하는 체적의 총계가, 이 각 광로가 서로 겹쳐져 있는 분만큼 감소되어 있다.
〔6〕디스크플레이어의 구성
본 발명에 관한 광학픽업을 구비한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는,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된 디스크형 광학기록매체의 종별을 판별하는 판별회로, 제어회로 및 이 제어회로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따라서 각종의 제어를 행하는 콘트롤러가 형성된다.
제어회로는, 이송되는 여러 종류의 신호에 따라, 픽업, 스핀들모터(17) 및 슬레드모터를 제어한다. 즉, 제어회로는, 광학픽업에 있어서의 각 2축 액튜에이터(2,3)의 구동, 반도체레이저 및 반도체레이저칩의 발광, 소광(消光)을 제어한다. 또, 제어회로는, 스핀들모터(17) 및 슬레드모터의 회전구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회로는,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1의 반도체레이저(38)를 발광시키고, 레이저커플러(33)의 반도체레이저칩을 소광시킨다. 이때, 제1의 대물렌즈(4)를 거친 제1의 레이저광속은,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투명기판측으로부터 이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에 대하여 조사되고, 이 투명기판을 투과하여, 신호기록층상에 집광된다. 제1의 대물렌즈(4)는, 제1의 2축 액튜에이터(2)에 의해 이 제1의 대물렌즈(4)의 광축방향 및 이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조작된다. 이 제1의 대물렌즈(4)는, 제1의 2축 액튜에이터(2)에 의해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이 제1의 대물렌즈(4)의 광축방향에의 변위, 이른바 면편차에 추종하여 이동조작됨으로써, 레이저광속의 집광점을, 항상, 신호기록층상에 위치시킨다. 또, 이 제1의 대물렌즈(4)는, 제1의 2축 액튜에이터(2)에 의해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기록트랙의 이 제1의 대물렌즈(4)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의 변위에 추종하여 이동조작됨으로써, 제1의 레이저광속의 집광점을, 항상, 이 기록트랙상에 위치시킨다.
이 광학픽업은,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신호기록층상에 제1의 레이저광속을 집광하여 조사함으로써, 이 신호기록층에 대한 정보신호의 기입 및 독출을 행한다. 이 정보신호의 기입에 있어서,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가 광자기디스크인경우에는, 이 광자기디스크에는, 제1의 레이저광속이 조사되는 동시에, 이 제1의 레이저광속의 조사위치에 외부자계가 인가된다. 제1의 레이저광속의 광(光)출력, 또는 외부자계의 강도의 어느 것을 기록하는 정보신호에 따라 변조시킴으로써, 광자기디스크에 대한 정보신호의 기입이 행해진다. 또,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가 상(相)변화형 디스크인 경우에는, 제1의 레이저광속의 광출력을 기록하는 정보신호에 따라 변조시킴으로써, 이 상변화형 디스크에 대한 정보신호의 기입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 광학픽업에 있어서는,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신호기록층상에 제1의 레이저광속을 집광하여 조사하고, 이 레이저광속의 이 신호기록층에 의한 반사광속을 검출함으로써, 이 신호기록층으로부터의 정보신호의 독출이 행해진다.
이 정보신호의 독출에 있어서,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가 광자기디스크인 경우에는, 반사광속의 편광방향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광자기디스크로부터의 정보신호의 독출이 행해진다. 또,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가 상변화형 디스크, 또는 이른바 피트디스크인 경우에는, 반사광속의 반사광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이 상변화형 디스크로부터의 정보신호의 독출이 행해진다.
즉, 신호기록층상에 집광된 제1의 레이저광속은, 이 신호기록층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광속으로서, 제1의 대물렌즈(4)로 귀환한다. 이 제1의 대물렌즈(4)로 귀환한 반사광속은, 이 제1의 대물렌즈(4)에 의해 평행광속으로 이루어져, 콜리메이터렌즈(29)를 거쳐, 빔스프리터(28)로 귀환한다. 이 빔스프리터(28)로 귀환한 반사광속은, 이 빔스프리터(28)를 투과하여, 반도체레이저(38)로 귀환하는 광로에 대하여 분기되어, 광검출기(32)를 향한다.
빔스프리터(28)는, 반사광속의 광축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가지고 경사진 평행평면판이므로, 이 반사광속에 비점수차를 발생시킨다. 또,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가 광자기디스크인 경우에는, 빔스프리터(28)를 거친 반사광속은, 도시하지 않은 월라스톤 프리즘(Wollaston prism)을 거쳐, 광검출기(32)에 입사한다. 월라스톤 프리즘은, 반사광속을, 이 반사광속의 편광방향의 편광인 제1의 편광성분과, 이 반사광속의 편광방향에 대하여 +45。의 방향의 편광인 제2의 편광성분과, 이 반사광속의 편광방향에 대하여 -45。의 방향의 편광인 제3의 편광성분과의, 3개의 광속으로 분기시킨다.
광검출기(32)는, 그레이팅(39) 및 월라스톤 프리즘에 의해 분기된 복수의 광속에 대응하는 복수의 포토다이오드를 가지고 구성되고, 이 각 광속을 각각에 대응하는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수광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광검출기(32)의 각 포토다이오드로부터의 광검출 출력을 연산처리함으로써, 광자기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독출신호, 포커스에러신호 및 트래킹에러신호가 생성된다. 포커스에러신호는, 제1의 대물렌즈(4)에 의한 제1의 레이저광속의 집광점과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신호기록층의 표면부와의, 이 제1의 대물렌즈(4)의 광축방향의 위치어긋남의 양 및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트래킹에러신호는, 제1의 대물렌즈(4)에 의한 제1의 레이저광속의 집광점과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기록트랙과의, 이 제1의 대물렌즈(4)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어긋남의 양 및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제1의 2축 액튜에이터(2)는, 이들 포커스에러신호 및 트래킹에러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광검출기(32)에 있어서, 제1의 레이저광속의 0차 광의 신호기록층으로부터의 반사광속을 수광하는 포토다이오드는, 이 반사광속의 광축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열된 4개의 수광면부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사광속이 이들 4개의 포토다이오드의 수광면상에 형성하는 빔스폿은, 장경(長徑)방향을 빔스프리터(28)에 의해 생기는 비점수차의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한 타원의 빔스폿으로 된다. 여기에서, 4개의 수광면부로부터의 광검출 출력을, 각각 a, b, c, d라고 하면,
Fe=(a+c)-(b+d)
는, 반사광속의 비점수차의 방향 및 양을 나타내는 신호로 되어 있다. 이 Fe는 포커스에러신호이고, 제1의 대물렌즈(4)에 의한 제1의 레이저광속의 집광점과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신호기록면과의 사이의 거리 및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로 되어 있다.
제1의 2축 액튜에이터(2)는, 포커스에러신호(Fe)에 따라 구동되어 제1의 대물렌즈(4)를 이동조작함으로써, 이 제1의 대물렌즈(4)에 의한 제1의 레이저광속의 집광점을 항상 신호기록면에 위치시키는 포커스서보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광검출기(32)에 있어서, 제1의 레이저광속의 ±1차 광의 신호기록층으로부터의 반사광속을 수광하는 포토다이오드는, 서로 독립된 2개의 수광면부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1차 광의 반사광속의 광량은, 제1의 레이저광속의 0차 광의 제1의 대물렌즈(4)에 의한 집광점이 기록트랙상에 있을 때에, 서로 동일하게 된다. 여기에서, 2개의 수광면부로부터의 광검출 출력을, 각각 e, f로 하면,
Te=e-f
는, ±1차 광의 반사광속의 광량의 차를 나타내는 신호로 되어 있다. 이 Te는 트래킹에러신호이고, 제1의 대물렌즈(4)에 의한 제1의 레이저광속의 0차 광의 집광점과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기록트랙과의 사이의 거리 및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로 되어 있다.
제1의 2축 액튜에이터(2)는, 트래킹에러신호(Te)에 따라 구동되어 제1의 대물렌즈(4)를 이동조작함으로써, 이 제1의 대물렌즈(4)에 의한 제1의 레이저광속의 0차 광의 집광점을 항상 기록트랙상에 위치시키는 트래킹서보동작을 실행한다.
또, 이 광학픽업은, 가이드샤프트(18) 및 지지샤프트(19)에 따라 이동조작됨으로써, 제1의 대물렌즈(4)가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신호기록영역의 전역에 걸쳐 대향하도록 이동조작됨으로써, 이 신호기록영역의 전역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입 및 독출을 행할 수 있다. 즉, 이 광학픽업은,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내외주에 걸쳐 이동조작되는 동시에, 이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가 회전조작됨으로써, 이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신호기록영역의 전역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기입 및 독출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광학픽업에 있어서는,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에 대해서의 트래킹에러신호의 검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른바 3빔법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 광학픽업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대물렌즈(4)는,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중심, 즉 디스크테이블(40)의 중심을 통하는 직선에 대향한 상태, 즉 이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중심을 통하는 직선에 광축을 교차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이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내외주에 걸쳐 이동조작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1의 레이저광속에 대하여, 이른바 1빔법에 의해 트래킹에러신호를 검출하는 것이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그레이팅(39)을 형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트래킹에러신호의 검출은, 이른바 푸시풀법이나, 이른바 V-DPD방식을 포함하는 위상차(位相差)법, 워브링법 등을 채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의 대물렌즈(4)는, 프레임(1)이 이동조작될 때, 제1 종류의 광디스크(101)의 중심을 통하는 직선에 대향한 상태를 유지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제어회로는, 디스크테이블(40)상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레이저커플러(33)의 반도체레이저칩을 발광시키고, 반도체레이저(38)를 소광시킨다. 이때, 제2의 대물렌즈(5)를 거친 제2의 레이저광속은,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의 투명기판측으로부터 이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에 대하여 조사되고, 이 투명기판을 투과하여, 신호기록층상에 집광된다. 제2의 대물렌즈(5)는, 제2의 2축 액튜에이터(3)에 의해 이 제2의 대물렌즈(5)의 광축방향 및 이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조작된다. 이 제2의 대물렌즈(5)는, 제2의 2축 액튜에이터(3)에 의해,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의 이 제2의 대물렌즈(5)의 광축방향에의 변위, 이른바 면편차에 추종하여 이동조작됨으로써, 제2의 레이저광속의 집광점을, 항상, 신호기록층상에 위치시킨다. 또, 이 제2의 대물렌즈(5)는, 제2의 2축 액튜에이터(3)에 의해,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의 기록트랙의 이 제2의 대물렌즈(5)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의 변위에 추종하여 이동조작됨으로써, 제2의 레이저광속의 집광점을, 항상, 기록트랙상에 위치시킨다.
이 광학픽업은,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의 신호기록층상에 제2의 레이저광속을 집광하여 조사함으로써, 이 신호기록층으로부터의 정보신호의 독출을 행한다. 즉, 이 광학픽업에 있어서는,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의 신호기록층상에 제2의 레이저광속을 집광하여 조사하고, 이 제2의 레이저광속의 이 신호기록층에 의한 반사광속을 검출함으로써, 이 신호기록층으로부터의 정보신호의 독출이 행해진다. 이 정보신호의 독출은, 반사광속의 반사광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행해진다.
즉, 신호기록층의 표면부상에 집광된 제2의 레이저광속은, 이 신호기록층에 의해 반사되어, 제2의 대물렌즈(5)로 귀환한다. 제2의 대물렌즈(5)로 귀환한 반사광속은, 제2의 돌출미러(34) 및 절곡미러(10)를 거쳐, 레이저커플러(33)내의 빔스프리터면으로 귀환한다.
빔스프리터면에 귀환한 반사광속은, 이 빔스프리터면을 투과하여 빔스프리터 프리즘내에 입사함으로써, 반도체레이저칩에 귀환하는 광로로부터 분기되고, 제1의 광검출기에 의해 수광된다. 또, 이 반사광속은, 제1의 광검출기의 표면부 및 빔스프리터 프리즘의 내면부에 의해 반사되어, 제2의 광검출기에도 수광된다.
각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광검출 출력에 따라,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독출신호, 이른바 RF신호, 제2의 대물렌즈(5)에 의한 제2의 레이저광속의 집광점과 신호기록층의 표면부와의 광축방향의 어긋남, 즉 포커스에러를 나타내는 포커스에러신호(Fe), 및 이 집광점과 이 신호기록층의 표면부에 형성된 기록트랙과의 이 광축 및 이 기록트랙에 직교하는 방향의 어긋남, 즉 트래킹에러를 나타내는 트래킹에러신호(Te)가 산출된다.
즉, 독출신호는, 각 광검출기의 각 광검출 출력의 합으로서 얻어진다. 또, 포커스에러신호(Fe)는, 각 광검출기의 각 광검출 출력의 차로서 얻어진다.
또한, 트래킹에러신호(Te)는, 제1의 광검출기의 일측의 수광면으로부터의 광검출 출력(A) 및 제2의 광검출기의 타측의 수광면으로부터의 광검출 출력(D)의 합과, 이 제1의 광검출기의 타측의 수광면으로부터의 광검출 출력(B) 및 이 제2의 광검출기의 일측의 수광면으로부터의 광검출 출력(C)의 합과의 차, 즉 (A+D)-(B+C)로서 얻어진다.
그리고, 각 광검출기에 있어서, 일측의 수광면과 타측의 수광면과의 분할선은,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에 있어서의 기록트랙의 접선방향에 대하여, 45。의각도를 이루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이 광학픽업에 있어서는,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에 대해서는, 트래킹에러신호의 검출은, 이른바 1빔방식의 이른바 푸시풀법에 의해 검출된다.
그리고, 이 광학픽업은, 가이드샤프트(18) 및 지지샤프트(19)에 따라 이동조작됨으로써, 제2의 대물렌즈(5)가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의 신호기록영역의 전역에 걸쳐 대향하도록 이동조작됨으로써, 이 신호기록영역의 전역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독출을 행할 수 있다. 즉, 이 광학픽업은,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의 내외주에 걸쳐 이동조작되는 동시에, 이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가 회전조작됨으로써, 이 제2 종류의 광디스크(102)의 신호기록영역의 전역에 대하여 정보신호의 독출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광학픽업에 있어서는, 프레임에 대한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의 경사를 조정함에 따른 대물렌즈의 스큐조정의 기준으로 되는 구면형 조정부가, 대물렌즈의 측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구면형 조정부에 있어서의 구면의 곡률반경에 오차가 있는 경우라도, 대물렌즈의 광축방향에 대해서의 위치에 오차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대물렌즈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의 위치의 오차는, 대물렌즈구동기구의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에 대한 고정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흡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대물렌즈의 경사의 조정을 용이하고, 또한 양호하게 행할 수 있으면서, 대물렌즈의 광축방향에 대해서의 소형화 및 광축에 수직인 평면내의 투영면적의 축소화가 가능하게 이루어진 광학픽업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2)
- 광빔을 발사하는 광원과, 입사(入射)된 광빔을 수광(受光)하는 광검출기가 설치된 프레임과, 대물렌즈를 최소한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대물렌즈구동기구와, 상기 대물렌즈구동기구를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과를 구비하고, 상기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대물렌즈구동기구에 지지된 대물렌즈의 측방에 위치하는 구면형(球面形) 조정부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고, 이 구면형 조정부에 따라서 위치조정 및/또는 각도조정이 이루어진 후에 이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 제1항에 있어서, 구면형 조정부에 있어서의 구면의 곡률중심은,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이 이 곡률중심 주위로 회동되었을 때에, 대물렌즈에 입사된 광속(光束)이 이 대물렌즈에 의해 집광(集光)되어 형성하는 빔스폿의 이동량이 가장 작아지는 위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 제2항에 있어서, 구면형 조정부에 있어서의 구면의 곡률중심은, 대물렌즈의 광축상에 있고, 이 곡률중심을 통하고 이 광축에 수직인 평면이 이 구면과 교차하게 되는 위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 제2항에 있어서, 대물렌즈와 구면형 조정부와의 위치관계는, 이 대물렌즈의 광축에 수직이고, 이 구면형 조정부에 있어서의 구면과 교차하고, 또한 이 대물렌즈내를 통하는 평면이 존재하는 위치관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 제1항에 있어서, 구면형 조정부는, 프레임상의 최소한 2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 제5항에 있어서, 구면형 조정부는, 프레임상의 2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과 프레임과를 상기 구면형 조정부의 구면부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서로 압접(壓接)시키는 임시고정부재와,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과 프레임과를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구동기구는, 대물렌즈를 지지하는 렌즈홀더와, 이 렌즈홀더에 감긴 코일과, 렌즈홀더를 변위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와, 상기 코일을 향하여 자계를 발생하는 자계발생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 제1의 대물렌즈를 최소한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의 대물렌즈구동기구와, 제2의 대물렌즈를 최소한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의 대물렌즈구동기구와, 상기 제1의 대물렌즈구동기구와 제2의 대물렌즈구동기구가 장착되는 프레임과를 구비하고, 최소한 상기 제1의 대물렌즈구동기구는,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의 대물렌즈구동기구에 지지된 대물렌즈의 측방에 위치하는 구면형 조정부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고, 이 구면형 조정부에 따라서 위치조정 및/또는 각도조정이 이루어진 후에 이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 제8항에 있어서, 구면형 조정부에 있어서의 구면의 곡률중심은, 상기 제1의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이 이 곡률중심 주위로 회동되었을 때에, 대물렌즈에 입사된 광속이 이 대물렌즈에 의해 집광되어 형성하는 빔스폿의 이동량이 가장 작아지는 위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 제9항에 있어서, 구면형 조정부에 있어서의 구면의 곡률중심은, 대물렌즈의 광축상에 있고, 이 곡률중심을 통하고 이 광축에 수직인 평면이 이 구면과 교차하게 되는 위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 제9항에 있어서, 대물렌즈와 구면형 조정부와의 위치관계는, 이 대물렌즈의 광축에 수직이고, 이 구면형 조정부에 있어서의 구면과 교차하고, 또한 이 대물렌즈내를 통하는 평면이 존재하는 위치관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 제8항에 있어서, 구면형 조정부는, 프레임상의 최소한 2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 제12항에 있어서, 구면형 조정부는, 프레임상의 2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과 프레임과를 상기 구면형 조정부의 구면부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서로 압접시키는 임시고정부재와,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과 프레임과를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의 대물렌즈구동기구는, 대물렌즈를 지지 하는 렌즈홀더와, 이 렌즈홀더에 감긴 코일과, 렌즈홀더를 변위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와, 상기 코일을 향하여 자계를 발생하는 자계발생수단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픽업은, 상기 프레임에 제1의 대물렌즈를 향하여 제1의 파장의 광빔을 출사(出射)하는 제1의 광원과, 제2의 대물렌즈를 향하여 제2의 파장의 광빔을 출사하는 제2의 광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대물렌즈의 개구수는 상기 제2의 대물렌즈의 개구수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1의 광원의 파장은 상기 제2의 광원의 파장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픽업.
- 광디스크에 대하여 광빔을 조사(照射)하고, 광디스크로부터의 귀환광을 받는 광학픽업과, 상기 광학픽업을 상기 광디스크의 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광디스크를 회전구동하는 회전수단과를 구비한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픽업은 광빔을 발사하는 광원과, 입사된 광빔을 수광하는 광검출기가 설치된 프레임과, 대물렌즈를 최소한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대물렌즈구동기구와, 상기 대물렌즈구동기구를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과를 구비하고, 상기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은,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대물렌즈구동기구에 지지된 대물렌즈의 측방에 위치하는 구면형 조정부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고, 이 구면형 조정부에 따라서 위치조정 및/또는 각도조정이 이루어진 후에 이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구면형 조정부에 있어서의 구면의 곡률중심은, 대물렌즈구동기구 지지판이 이 곡률중심 주위로 회동되었을 때에, 대물렌즈에 입사된 광속이 이 대물렌즈에 의해 집광되어 형성하는 빔스폿의 이동량이 가장 작아지는 위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구면형 조정부에 있어서의 구면의 곡률중심은, 대물렌즈의 광축상에 있고, 이 곡률중심을 통하고 이 광축에 수직인 평면이 이 구면과 교차하게 되는 위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대물렌즈와 구면형 조정부와의 위치관계는, 이 대물렌즈의 광축에 수직이고, 이 구면형 조정부에 있어서의 구면과 교차하고, 또한 이 대물렌즈내를 통하는 평면이 존재하는 위치관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구면형 조정부는, 프레임상의 최소한 2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광디스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장치는 또한, 상기 프레임에 또 하나의 대물렌즈구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7-135620 | 1997-05-26 | ||
JP9135620A JPH10326421A (ja) | 1997-05-26 | 1997-05-26 | 光学ピックアップ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87331A true KR19980087331A (ko) | 1998-12-05 |
Family
ID=1515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18760A KR19980087331A (ko) | 1997-05-26 | 1998-05-25 | 광학픽업 및 광디스크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6111827A (ko) |
JP (1) | JPH10326421A (ko) |
KR (1) | KR19980087331A (ko) |
CN (1) | CN1127725C (ko) |
ID (1) | ID20330A (ko) |
SG (1) | SG6449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8966B1 (ko) * | 2001-07-17 | 2011-06-03 | 소니 주식회사 | 광픽업의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0022616A1 (fr) * | 1998-10-09 | 2000-04-20 | Sony Corporation | Appareil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
WO2000030082A1 (fr) * | 1998-11-17 | 2000-05-25 | Fujitsu Limited | Support optique |
US6549504B2 (en) * | 1999-06-04 | 2003-04-15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Dual optical pickup head for accessing both DVD and CD disc |
JP2001056952A (ja) | 1999-08-19 | 2001-02-27 | Hitachi Ltd | 光ヘッ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7016292B1 (en) * | 2003-03-21 | 2006-03-21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 Geometry for optical data storage |
TWI346952B (en) * | 2003-07-07 | 2011-08-11 | Panasonic Corp | Objective lens,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k device |
KR100624861B1 (ko) | 2004-09-07 | 2006-09-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광 픽업 엑츄에이터 |
WO2007122848A1 (ja) * | 2006-03-29 | 2007-11-01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レンズ駆動装置、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取付調整方法 |
KR100806062B1 (ko) | 2006-07-27 | 2008-02-21 |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 광픽업 장치 및 상기 광픽업 장치를 채용한 광기록/재생시스템 |
JP2008071392A (ja) * | 2006-09-13 | 2008-03-27 | Funai Electric Co Ltd | 対物レンズのチルト調整機構 |
JP5069893B2 (ja) | 2006-10-18 | 2012-11-07 |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アエレクトロニクス | 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03029A (ja) * | 1989-12-28 | 1991-09-04 | Pioneer Electron Corp | 情報読取装置 |
US5724337A (en) * | 1993-10-29 | 1998-03-03 | Tdk Corporation | Optical pickup with a compact design |
JPH08203110A (ja) * | 1995-01-31 | 1996-08-09 | Sony Corp | 光ディスクのスキュー補正機構 |
KR100373673B1 (ko) * | 1995-05-08 | 2003-05-09 |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광학기록·재생장치및광픽업 |
JPH08315389A (ja) * | 1995-05-19 | 1996-11-29 | Sony Corp | 光学式記録再生装置 |
US5777959A (en) * | 1995-06-28 | 1998-07-07 | Nec Corporation | Optical disk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objective lenses |
JPH0950637A (ja) * | 1995-08-03 | 1997-02-18 | Sony Corp | 光学ピックアップのスキュー調整装置 |
JPH0991732A (ja) * | 1995-09-20 | 1997-04-04 | Sony Corp |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
-
1997
- 1997-05-26 JP JP9135620A patent/JPH10326421A/ja active Pending
-
1998
- 1998-05-20 US US09/081,633 patent/US6111827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5-21 SG SG1998001108A patent/SG64490A1/en unknown
- 1998-05-25 KR KR1019980018760A patent/KR1998008733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8-05-25 CN CN98115401A patent/CN1127725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5-25 ID IDP980766A patent/ID20330A/id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8966B1 (ko) * | 2001-07-17 | 2011-06-03 | 소니 주식회사 | 광픽업의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ID20330A (id) | 1998-11-26 |
CN1206908A (zh) | 1999-02-03 |
SG64490A1 (en) | 1999-04-27 |
US6111827A (en) | 2000-08-29 |
JPH10326421A (ja) | 1998-12-08 |
CN1127725C (zh) | 2003-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72958B1 (en) | Optical pick-up and disk player | |
US6314064B1 (en) |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c device | |
KR100467378B1 (ko) | 광학픽업및디스크플레이어 | |
KR100691661B1 (ko) | 광 헤드, 수발광 소자 및 광 기록 매체 기록 재생 장치 | |
JP3547038B2 (ja) | 光ピックアップ装置 | |
JP4171378B2 (ja) | 記録用光ディスクの球面収差補正方法,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 |
KR19990030260A (ko) | 광픽업장치 | |
KR19980087331A (ko) | 광학픽업 및 광디스크장치 | |
US20060077809A1 (en) | Optical pickup and disc drive apparatus | |
JPH11120587A (ja) | 光ピックアップ装置 | |
JP2001067700A (ja) | 光学ヘッド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 |
KR100303053B1 (ko) | 광픽업 | |
JP3438482B2 (ja) | 受発光素子とこれを用いた光学ピックアップ | |
US5898653A (en) | Optical head unit for use in an information read/write apparatus | |
JP3624624B2 (ja) | 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プレーヤ | |
JPH09330532A (ja) |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 |
JP4193868B2 (ja) | 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プレーヤ | |
JP2006331475A (ja) |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的情報再生装置ならびに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 |
JPH1027367A (ja) |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 |
JPH1011780A (ja) |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 |
JPH1116186A (ja) | 光ピックアップ装置 | |
US4868821A (en) | Optical pickup which includes a single objective lens having magnifica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3 and equal to or smaller than 5 | |
JP2004055071A (ja) |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の製造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 |
JPH06167677A (ja) | 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その組立調整方法 | |
JPH1011790A (ja) |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