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122A - 개폐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7122A
KR19980087122A KR1019980017599A KR19980017599A KR19980087122A KR 19980087122 A KR19980087122 A KR 19980087122A KR 1019980017599 A KR1019980017599 A KR 1019980017599A KR 19980017599 A KR19980017599 A KR 19980017599A KR 19980087122 A KR19980087122 A KR 19980087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uide plate
cleat
flange portion
cl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4295B1 (ko
Inventor
히데오 가토오
Original Assignee
야마다 미쯔요시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미쯔요시,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다 미쯔요시
Publication of KR19980087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6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on hinges or pivo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7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axial friction, e.g. friction dis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종래의 것보다 소형이면서 소정의 개방각도에서 개폐체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휴대용 전화기 또는 소형 OA기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하기 적합한 개폐체의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플랜지부를 지니며 개폐체측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플랜지부와 대향하는 측에 회전가능하게 계지되고 장치본체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가이드플레이트와, 그 가이드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그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1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1 클리크플레이트에 당접하여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지 아니하지만 축방향으로는 미끄럼운동가능하게 회전축에 취부된 제 2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2 클리크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클리크플레이트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개폐체의 개폐장치
본 발명은 노트북컴퓨터, 기타 예를 들면 휴대용 전화기 등의 소형 OA기기 또는 전자기기에 사용되기 적합한 개폐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노트북컴퓨터 등의 소형 OA기기의 디스플레이체를 키보드본체에 대해 개폐할 수 있고, 소정의 개방각도에서 디스플레이체를 키보드본체에 대해 안정적으로 정지,유지시킬 수 있는 개폐장치로서, 장치본체측에 취부된 취부부재에 개폐체를 지지하는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취부하고, 그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중심부에 삽입,관통시켜 캠부를 지니는 고정캠부재를 상기 취부부재에 고정시키며, 그 고정캠부재의 캠부재에 당접하는 캠부를 구비하여 그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지만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되도록 회전축에 취부된 회전슬라이드캠부재와, 그 회전슬라이드캠부재를 고정캠부재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 공지된 종래의 개폐장치는, 그것만으로 충분하게 디스플레이체 등의 개폐체를 소정의 개방각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기능은 하지만, 캠부재에 캠부를 형성하기 위해 약간 두껍게 할 필요가 있어 장치의 소형화에 그 한계가 있다.
또, 캠부재를 성행하기 위한 금형을 필요로 하는 등으로 제조비용이 높아지지 않을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것보다 소형이면서 소정의 개방각도에서 개폐체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휴대용전화기 또는 소형 OA기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하기 적합한 개폐체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체의 개폐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폐체의 개폐장치의 정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폐체의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선 A-A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선 B-B 단면도,
도 6은 가이드 플레이트를 150도 회전시켜 도 3의 선 B-B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회전축 2: 플랜지부
3: 가이드플레이트 4: E링
5: 제 1 클리크플레이트 6: 제 2 클리크플레이트
7: 탄성수단 8,8…: 접시스프링
9: 캡 10: 개폐체
12: 장치본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체의 개폐장치는, 플랜지부를 지니며 개폐체측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플랜지부와 대향하는 측에 회전가능하게 계지되고 장치본체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가이드플레이트와, 그 가이드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그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1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1 클리크플레이트에 당접하여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지 아니하지만 축방향으로는 미끄럼운동가능하게 회전축에 취부된 제 2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2 클리크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클리크플레이트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플랜지부를 지니며 개폐체측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플랜지부와 대향하는 측에 회전가능하게 계지되고 장치본체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가이드플레이트와, 그 가이드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그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1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1 클리크플레이트에 당접하여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지 아니하지만 축방향으로는 미끄럼운동가능하게 회전축에 취부된 제 2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2 클리크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클리크플레이트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과, 상기 회전축의 가이드플레이트측에 취부된 캡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클리크플레이트에 단수 또는 복수의 절결홈 또는 소공을 설치한 것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 2 클리크플레이트에 상기 절결홈 또는 소공에 삽입되는 돌기를 설치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회전축에 계지하는 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계합시킨 E링 또는 푸쉬너트로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서 회전축(1)은 그 일측부에 플랜지부(2)가 형성된다. 그 회전축(1)은, 플랜지부(2)에 인접하여 전후부를 제거시킴으로써 대략 타원단면형상의 취부부(1a)가 형성되고, 그 취부부(1a)를 상상선으로 도시한 개폐체(10)의 취부부(11)에 형성된 대략 타원단면형상의 변형취부공(11a)에 삽입시킴으로써 개폐체(10)측에 고정된다. 가이드플레이트(3)는 그 중심부에 설치한 원형단면의 축받침공(3a)에 회전축(1)을 회전가능하게 삽입,관통시키고, 회전축(1)에 설치한 원주홈(1b)에 E링(4)을 결합시킴으로써 플랜지부(2)와 대향하는 측에 결합된다. 그 가이드플레이트(3)는, 전후부를 제거시켜 대략 타원단면형상으로 하고, 상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본체(12)의 취부부(13)의 대략 타원단면형상의 변형취부공(13a)에 삽입시킴으로써 장치본체(12)측에 고정되게 된다. 그 가이드플레이트(3)의 플랜지부(2)측의 단면에는, 대략 원형단면형상의 제 1 클리크플레이트(5)가, 그 대향 외주부에서 절곡된 한쌍의 계지편(5a,5a)을 가이드플레이트(3)의 외주에 설치한 계지홈(3b,3b)에 계지시킴으로써 취부되게 되고, 또한, 그 중심부에 설치한 원형단면의 삽입관통공(5b)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1)을 삽입,관통시키고 있다.
그 제 1 클리크플레이트(5)에는, 그 외주의 대향위치에 절결홈(5c,5c)이 설치되고, 내면의 대향위치에는 삽입관통공(5b)에 접하여 절결홈(5d,5d)이 설치된다.
제 1 클리크플레이트(5)의 측면에 접하여 대략 원형의 제 2 클리크플레이트(6)가, 그 중심부에 설치한 대략 타원 측면형상의 변형삽입관통공(6a)에 회전축(1)을 삽입,관통시켜 설치되고, 그 제 2 클리크플레이트(6)는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회전축(1)에 계지되어 있다. 그 제 2 클리크플레이트(6)의 제 1 클리크플레이트(5)와 대향하는 측에는, 그 외주부와 내면부의 각각 대향위치에 각각 한쌍의 돌기(6b,6b)(6c,6c)가 프레스가공에 의해 돌설되어 있고, 제 1 클리크플레이트(5)에 대한 제 2 클리크플레이트(6)의 회전에 의해 돌기(6b,6b)는 절결홈(5c,5c)에, 돌기(6c,6c)는 절결홈(5d,5d)과 각각 계합하도록 그 설치위치가 정하여져 있다.
7은 다수(실시예에서는 4매이나, 그 수에 한정은 없다)의 접시스프링(8,8...)으로 구성되는 탄성수단이고, 그 중심부에 설치한 대략 타원단면형상의 변형관통공(8a,8a...)에 회전축(1)을 삽입,관통시켜 플랜지부(2)와 제 2 클리크플레이트(6)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 도시되지는 않지만, 제 1 클리크플레이트(5)와 제 2 클리크플레이트(6)와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실리콘그리스와 같은 윤활제가 도포된다. 또한, 접시스프링(8,8...)은 스프링와셔도 대체하여도 된다.
캡(9)은 일단부 중심에서 축방향으로 설치한 계지공(9a)에 회전축(1)의 단부를 압입시킴으로써 그 회전축(1)에 취부된다.
도 5와 같이 개폐체(10)를 장치본체(12)에 대해 폐쇄하고 있는 때에는, 제 1 클리크플레이트(5)의 외주부의 절결홈(5c,5c)에 제 2 클리크플레이트(6)의 돌기(6b,6b)가 그 일부를 삽입시키고, 또 탄성수단(7)이 제 2 클리크플레이트(6)를 제 1 클리크플레이트(5)측에 가압시킴으로써 개폐체(10)가 장치본체(12)에 대해 안정된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자연적으로 개방되어 버리지는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개폐체(10)를 개방시키면, 제 2 클리크플레이트(6)의 돌기(6b,6b)가 제 1 클리크플레이트(5)의 절결홈(5c,5c)으로부터 탄성수단(7)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탈하면서, 개방되게 된다. 그 뒤의 개방각도에서는, 탄성수단(7)이 제 2 클리크플레이트(6)를 제 1 클리크플레이트(5)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서 창출되는 프리쿠션 토크(free cushion torque)에 의해 프리스톱(free stop)으로 개폐되고, 자연적으로 양자가 개폐되는 일은 없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각도가 150도가 되면, 이 때에는 제 2 클리크플레이트(6)의 돌기(6c,6c)가 제 1 클리크플레이트(5)의 절결홈(5d,5d)으로 삽입됨으로써 클리크 정지하게 되고, 그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정지되게 된다. 개폐체(10)와 장치본체(12)는 클리크정지위취를 넘어 더욱 개방될 수도 있다. 개폐체(10)를 폐쇄하면, 제 2 클리크플레이트(6)의 돌기(6c,6c)는, 제 1 클리크플레이트(5)의 절결홈(5d,5d)을 탈출하여 프리스톱으로 정지가 가능하도록 폐쇄되고, 완전 폐쇄위치근처에서는 제 2 클리크플레이트(6)의 돌기(6b,6b)가 제 1 클리크플레이트(5)의 절결홈(5c,5c)으로 삽입되려고 하는 힘에 의해 빨려들어가는 것처럼 폐쇄되고, 그 폐쇄위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또, 본원 발명에 관한 제 1 클리크플레이트(5)와 제 2 클리크플레이트(6)는, 그것이 플레이트 형상인 점을 제외하면, 절결홈은 이를 소공 또는 요홈부로 할 수도 있으며, 돌기를 포함하여 그 설치위치, 수 등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접시스프링은 이를 스프링와셔로 하고, E링은 푸쉬너트(push nut)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를 한쌍으로 하는 경우에는 클리크력을 증대시키거나, 클리크 위치가 증가시키거나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개폐장치의 클리크플레이트의 설치위치를 원주방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흔들거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실시예에서는 회전축과 가이드플레이트가 사용할 때에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어느 일방을 고정상태로 하고 다른 일방을 회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폐체의 개폐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캠부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조금형이 불필요하는 등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소요되며, 종래의 것보다 소형화가 가능하면서도 소정의 개방각도에서 개폐체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플랜지부를 지니며 개폐체측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플랜지부와 대향하는 측에 회전가능하게 계지되고 장치본체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가이드플레이트와, 그 가이드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그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1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1 클리크플레이트에 당접하여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지 아니하지만 축방향으로는 미끄럼운동가능하게 회전축에 취부된 제 2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2 클리크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클리크플레이트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2. 플랜지부를 지니며 개폐체측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플랜지부와 대향하는 측에 회전가능하게 계지되고 장치본체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가이드플레이트와, 그 가이드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그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1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1 클리크플레이트에 당접하여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지 아니하지만 축방향으로는 미끄럼운동가능하게 회전축에 취부된 제 2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2 클리크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클리크플레이트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과, 상기 회전축의 가이드플레이트측에 취부된 캡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3. 플랜지부를 지니며 개폐체측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플랜지부와 대향하는 측에 회전가능하게 계지되고 장치본체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가이드플레이트와, 그 가이드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그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1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1 클리크플레이트에 당접하여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지 아니하지만 축방향으로는 미끄럼운동가능하게 회전축에 취부된 제 2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2 클리크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클리크플레이트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과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클리크플레이트에 단수 또는 복수의 절결홈 또는 소공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클리크플레이트에 상기 절결홈 또는 소공에 삽입되는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4. 플랜지부를 지니며 개폐체측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플랜지부와 대향하는 측에 회전가능하게 계지되고 장치본체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가이드플레이트와, 그 가이드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그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1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1 클리크플레이트에 당접하여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지 아니하지만 축방향으로는 미끄럼운동가능하게 회전축에 취부된 제 2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2 클리크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클리크플레이트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과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회전축에 계지하는 수단을, 상기 회전축에 계합시킨 E링 또는 푸쉬너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5. 플랜지부를 지니며 개폐체측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플랜지부와 대향하는 측에 회전가능하게 계지되고 장치본체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가이드플레이트와, 그 가이드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그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1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1 클리크플레이트에 당접하여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지 아니하지만 축방향으로는 미끄럼운동가능하게 회전축에 취부된 제 2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2 클리크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클리크플레이트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과, 상기 회전축의 가이드플레이트측에 취부된 캡과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클리크플레이트에 단수 또는 복수의 절결홈 또는 소공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클리크플레이트에 상기 절결홈 또는 소공에 삽입되는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6. 플랜지부를 지니며 개폐체측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플랜지부와 대향하는 측에 회전가능하게 계지되고 장치본체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가이드플레이트와, 그 가이드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그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1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1 클리크플레이트에 당접하여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지 아니하지만 축방향으로는 미끄럼운동가능하게 회전축에 취부된 제 2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2 클리크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클리크플레이트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과, 상기 회전축의 가이드플레이트측에 취부된 캡과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회전축에 계지하는 수단을, 상기 회전축에 계합시킨 E링 또는 푸쉬너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7. 플랜지부를 지니며 개폐체측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플랜지부와 대향하는 측에 회전가능하게 계지되고 장치본체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가이드플레이트와, 그 가이드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그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1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1 클리크플레이트에 당접하여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지 아니하지만 축방향으로는 미끄럼운동가능하게 회전축에 취부된 제 2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2 클리크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클리크플레이트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과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클리크플레이트에 단수 또는 복수의 절결홈 또는 소공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클리크플레이트에 상기 절결홈 또는 소공에 삽입되는 돌기를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회전축에 계지하는 수단을, 상기 회전축에 계합시킨 E링 또는 푸쉬너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8. 플랜지부를 지니며 개폐체측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회전축과, 그 회전축의 플랜지부와 대향하는 측에 회전가능하게 계지되고 장치본체에 고정되는 수단을 지니는 가이드플레이트와, 그 가이드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회전축의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그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1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1 클리크플레이트에 당접하여 상기 회전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지 아니하지만 축방향으로는 미끄럼운동가능하게 회전축에 취부된 제 2 클리크플레이트와, 그 제 2 클리크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클리크플레이트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과, 상기 회전축의 가이드플레이트측에 취부된 캡과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클리크플레이트에 단수 또는 복수의 절결홈 또는 소공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클리크플레이트에 상기 절결홈 또는 소공에 삽입되는 돌기를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회전축에 계지하는 수단을, 상기 회전축에 계합시킨 E링 또는 푸쉬너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개폐장치.
KR1019980017599A 1997-05-15 1998-05-15 개폐체의개폐장치 KR100294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5888 1997-05-15
JP12588897A JP3721244B2 (ja) 1997-05-15 1997-05-15 開閉体の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122A true KR19980087122A (ko) 1998-12-05
KR100294295B1 KR100294295B1 (ko) 2001-09-17

Family

ID=1492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599A KR100294295B1 (ko) 1997-05-15 1998-05-15 개폐체의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25507A (ko)
JP (1) JP3721244B2 (ko)
KR (1) KR100294295B1 (ko)
TW (1) TW43797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4645B2 (en) * 2000-09-18 2003-07-01 Agostino Ferrari S.P.A. Breaking device for furniture doors with a horizontal pivotal mounting
JP3825627B2 (ja) 2000-12-14 2006-09-27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話器
JP4141651B2 (ja) * 2001-02-28 2008-08-27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KR100727384B1 (ko) * 2001-09-11 200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EP1790901B1 (en) 2001-11-19 2018-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tilting monitor
JP4094937B2 (ja) * 2001-11-19 2008-06-04 三星電子株式会社 モニタ装置
KR100414670B1 (ko) * 2001-11-28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TW531019U (en) * 2001-12-31 2003-05-01 Hinge Basestrong Co Ltd Improved LCD seat
KR100443866B1 (ko) * 2002-01-21 2004-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력 조절 가능한 힌지 장치
CN100370156C (zh) * 2002-09-17 2008-02-20 日本发条株式会社 铰链装置
KR100482007B1 (ko) 2002-09-28 200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100547726B1 (ko) * 2003-04-25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 폴더의 회전 멈춤 장치
US20050039301A1 (en) * 2003-08-22 2005-02-24 Lu Sheng-Nan Hinge assembly
US7013532B2 (en) * 2003-10-31 2006-03-21 Shin Zu Shing Co., Ltd. Hinge
JP4397225B2 (ja) * 2003-12-04 2010-01-13 日本発條株式会社 ヒンジ装置
US6862779B1 (en) * 2004-06-14 2005-03-08 Shin Zu Shing Co., Ltd. Hinge with an anti-bump feature
US7082643B2 (en) * 2004-06-22 2006-08-01 Shin Zu Shing Co., Ltd. Hinge
TWM273755U (en) * 2005-03-10 2005-08-21 Shin Zu Shing Co Ltd Pivot
JP2006258116A (ja) * 2005-03-15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開閉装置
KR100663445B1 (ko) * 2005-11-3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CN100467891C (zh) * 2005-12-01 2009-03-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装置
US20070174997A1 (en) * 2006-01-27 2007-08-02 Shin Zu Shing Co., Ltd. Suspension hinge
TWM295419U (en) * 2006-02-09 2006-08-01 Lian Hong Art Co Ltd Pivot device with automatic closing function
US20090271948A1 (en) * 2006-02-28 2009-11-05 Ting-Hsien Wang Hinge with less noise
US20070199179A1 (en) * 2006-02-28 2007-08-30 Ting-Hsien Wang Hinge with less noise
US20070204437A1 (en) * 2006-03-01 2007-09-06 Hartmann Richard Jr Folding assist handle assembly
TW200739182A (en) * 2006-04-14 2007-10-16 Benq Corp Rotary mechanisms
TW200809305A (en) * 2006-08-09 2008-02-16 Benq Corp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n object
US20080172836A1 (en) * 2007-01-24 2008-07-24 Shin Zu Shing Co., Ltd. Positioning device for a laptop computer hinge
US20080244868A1 (en) * 2007-04-03 2008-10-09 Shin Zu Shing Co., Ltd. Hinge with multiple stay positions
TW200848629A (en) * 2007-06-11 2008-12-16 Jarllytec Co Ltd Revolving axle structure with position-locking engagement means
KR20080109108A (ko) * 2007-06-12 2008-12-17 (주)엘티엠에이피 휴대단말기용 스텝 힌지
US7584524B2 (en) * 2007-07-25 2009-09-08 Shin Zu Shing Co., Ltd. Hinge for a notebook extension pad
US20090089975A1 (en) * 2007-10-09 2009-04-09 Jr-Jiun Chern Hinge Assembly
US7743465B2 (en) * 2007-12-17 2010-06-2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Damping hinge apparatus
CN101666352B (zh) * 2008-09-03 2012-08-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CN101672321B (zh) * 2008-09-10 2012-06-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CN101684837B (zh) * 2008-09-22 2012-10-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TW201137253A (en) * 2010-04-23 2011-11-01 Hon Hai Prec Ind Co Ltd Hinge
JP5228003B2 (ja) * 2010-07-20 2013-07-03 森六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車両用物入れ装置のヒンジ構造
KR101690794B1 (ko) * 2010-10-11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형 휴대 장치의 스냅 힌지 장치
KR101775155B1 (ko) * 2010-12-01 201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스위블 힌지 장치
US8261412B1 (en) * 2011-04-27 2012-09-11 Leohab Enterprise Co., Ltd. Hinge assembly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3796460A (zh) * 2012-10-30 2014-05-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支撑装置
CN107061437B (zh) * 2017-06-12 2022-12-30 湖南明和光电设备有限公司 模块连接结构及led显示屏
KR20230003948A (ko) 2021-06-30 2023-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류 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호스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1186A (en) * 1915-05-11 1917-01-02 Charles A Lee Adjustable friction-hinge.
US1180669A (en) * 1916-02-09 1916-04-25 William J Oellrich Hinge.
US2635281A (en) * 1950-03-14 1953-04-21 Morris F Feldberg Indexing hinge
JP2663591B2 (ja) * 1988-12-12 1997-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回転部の接続構造
KR920002749Y1 (ko) * 1989-09-23 1992-04-30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워드 프로세서의 액정 표시판 경사각도 조절장치
EP0445635B1 (en) * 1990-03-07 1995-08-16 TOFUJI E.M.I. Co.,Ltd. Opening/closing mechanism
US5075929A (en) * 1990-07-02 1991-12-3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Hinge mechanism for a portable apparatus
US5269047A (en) * 1992-06-10 1993-12-14 Lu Sheng N Hinge device for casings
US5208944A (en) * 1992-06-16 1993-05-11 Lu Sheng N Hinge device for casings
US5772351A (en) * 1995-01-24 1998-06-30 Chih Ching Industry Ltd. Pivot joint
JPH1026128A (ja) * 1996-07-10 1998-01-27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チルトヒン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4295B1 (ko) 2001-09-17
JPH10319856A (ja) 1998-12-04
TW437972U (en) 2001-05-28
JP3721244B2 (ja) 2005-11-30
US6125507A (en) 2000-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295B1 (ko) 개폐체의개폐장치
KR100388596B1 (ko) 틸트힌지
KR200187046Y1 (ko) 틸트힌지
US5918348A (en) Friction hinge with detent capability
US6038739A (en) Tilt hinge
KR200212843Y1 (ko) 틸트힌지
JP3739250B2 (ja) ヒンジ
KR100348824B1 (ko) 틸트힌지
KR0154253B1 (ko) 회전조작형 스위치 및 다방향입력장치
JPH116519A (ja) ヒンジ装置
JPH10299760A (ja) 開閉体の開閉装置
US6775884B2 (en) Clip-type friction hinge device
KR20020021641A (ko) 힌지장치
KR100216046B1 (ko) 틸팅 힌지
KR20040089542A (ko) 개폐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KR100397358B1 (ko) 힌지
US4419546A (en) Rotary switch
JP2001032823A (ja) チルトヒンジ
KR200279159Y1 (ko) 마찰 힌지장치
KR100457547B1 (ko) 플랜지 타입 파이프 스프링 및 이를 이용한 힌지장치
KR970061024A (ko) 힌지구조
KR100383730B1 (ko) 클립형 마찰 힌지장치
JP3856669B2 (ja) ヒンジ機構
JPH0673280U (ja) チルトヒンジ
KR200212842Y1 (ko) 틸트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