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950A -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950A
KR19980086950A KR1019980016862A KR19980016862A KR19980086950A KR 19980086950 A KR19980086950 A KR 19980086950A KR 1019980016862 A KR1019980016862 A KR 1019980016862A KR 19980016862 A KR19980016862 A KR 19980016862A KR 19980086950 A KR19980086950 A KR 19980086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lders
coil
hold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9220B1 (ko
Inventor
신타로 미우라
켄 수우이토우
마사히로 가와구치
데츠히코 후카누마
히로시 쿠보
료오 마츠바라
마사토시 히라마츠
미치야수 노사카
가즈히토 미야가와
신야 미우라
뮤츠미 요시노
Original Assignee
오카베 히로무
덴소 주식회사
이소가이 치세이
도요다 지도숏키 세사쿠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124559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31840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455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150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455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261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12455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318404A/ja
Application filed by 오카베 히로무, 덴소 주식회사, 이소가이 치세이, 도요다 지도숏키 세사쿠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카베 히로무
Publication of KR19980086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개량된 용량 제어 밸브(49)가 가변 용량 압축기안에 통합된다. 제어 밸브(49)는 밸브 몸체부(54), 밸브 몸체부(54)를 작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52)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52)의 코일(92)은 절연 합성 수지로 제조된 보빈(91)에 관해 감겨진다. 베이스 플레이트(93)는 보빈(91)으로 부터 통합되게 돌출된다. 한 쌍의 전도성 플레이트(94, 95)는 베이스 플레이트(93)에 고정된다. 각 플레이트(94, 95)는 클램핑 블록(94a, 95a)을 갖는다. 코일(92)은 한 쌍의 터미널 와이어(92b, 92c)를 갖는다. 각 터미널 와이어(92b, 92c)는 클램핑 블록(94a, 95a)들 중 하나에 고정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 터미널 와이어(92b, 92c)는 보빈(91)과 대응하는 클램핑 블록(94a, 95a) 사이의 각 플레이트(94, 95)안에 형성된 홀더(97, 98)에 관해 감긴다. 다이오드(100)는 홀더(97, 98)에 고정되며 코일(92)과 평행하게 연결된다. 다이오드(100)의 한 쌍의 터미널(100a, 100b)은 솔더링과 크림핑에 의해 대응하는 홀더(97, 98)에 고정된다. 홀더(97, 98)는 밸브를 더욱 신뢰성 있게 하는 와이어(92b, 92c)와 클램핑 블록(94a, 95a) 사이에 형성된 전기적 조인트에 터미널 와이어(92b, 92c)의 인장력이 적용되는 것을 막아준다.

Description

제어 밸브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가변 용량 압축기에서 용량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밸브 몸체부와 밸브 몸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가지며 솔레노이드의 만족스런 전도율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가변 용량 압축기는 통상 배기 챔버와 크랭크 챔버에 연결된 공급 통로안에 배열된 용량 제어 밸브를 갖는다. 제어 밸브는 백 챔버로 부터 크랭크 챔버로 보내지는 냉동가스의 양을 제어하기 위하여 공급 통로의 개구 량을 변경해주기 때문에 크랭크 챔버안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것은 피스톤 세트 상에서 작용하는 대향되게 유도되는 압력 사이의 차이, 즉, 크랭크 챔버안의 압력과 실린더 보어안의 압력 사이의 차이를 변경시킨다. 압력 차이는 회전 경사판의 경사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압축기 용량을 변화시키게 된다.
제어 밸브는 공급 통로의 개구 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몸체부와 밸브 몸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갖는다. 정류기는 압축기에 적용되는 냉방 부하와 같은 다양한 작동 조건 상에 기초하는 구동 회로 수단에 의하여 솔레노이드를 여자 및 비-여자시킨다. 밸브 몸체부는 솔레노이드의 여자 및 비-여자에 기초하여 공급 통로의 개구 량을 변경시키도록 이동된다. 이것은 배기 챔버로 부터 크랭크 챔버로 보내지는 냉동 가스의 양을 조절한다.
도 15 및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밸브의 솔레노이드는 코일 유닛(112)을 갖는다. 코일 유닛(112)은 절연 합성 수지로 제조된 원통형 보빈(113)과 보빈(113)에 관해 감겨진 코일(114)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5)는 보빈(113)의 하부로 부터 측방으로 확장된다. 동력 공급 플레이트(116)와 접지 플레이트(117)는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코일(114)은 동력 공급 플레이트(116)로 이어지는 터미널 와이어(114a)를 형성하는 단부와 접지 플레이트(117)로 이어지는 터미널 외이어(114b)를 형성하는 다른 단부를 갖는다. 동력 공급 플레이트(116)는 터미널 와이어(114a)를 죄기 위한 클램핑 블록(116a)을 포함한다. 접지 플레이트(117)는 터미널 와이어(114b)를 죄기 위한 클램핑 블록(117a)을 포함한다. 접지 플레이트(117)는 접지된 부재에 연결된다.
클램핑 블록(116a, 117a)은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원거리 단부에 위치된다. 이것은 터미널 와이어(114a, 114b)가 관련되는 클램핑 블록(116a, 117a)에 부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커미널 와이어(114a, 114b)는 보빈(113)으로 부터 관련되는 클램핑 블록(116a, 117a)에연결된 플레이트(116, 117)를 지나서 베이스 플레이트(115)의 하부를 향해 확장된다.
동력 공급 플레이트(116)는 캐소드 홀더(116b) 및 핀 홀더(116c)를 포함한다. 접지 플레이트(117b)는 애노드 홀더(117b)를 포함한다. 커넥터 핀(118)은 솔더(121)에 의하여 핀 홀더(116c)에 고정된다. 그것의 원거리 단부에서 커넥터가 구비된 동력 공급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는 솔레노이드를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 회로로 부터 확장된다. 커넥터는 커넥터 핀(118)과 결합되기 때문에 커넥터 핀(118)은 동력 공급 와이어 수단에 의해 구동 회로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이오드(119)는 캐소드 홀더(116b)와 애노드 홀더(117b)에 고정된다. 다이오드(119)는 솔더(122)에 의해 캐소드 홀더(116b)에 고정된 캐소드 터미널(119a)과 솔더(122)에 의해 애노드 홀더(117b)에 고정된 애노드 터미널(119b)을 갖는다. 다이오드(119)는 구동 회로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구동 회로로 부터 전기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 자기 유도는 코일(114) 안에서 역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역기전력으로 부터의 전류는 코일(114)과 다이오드(119) 사이에 형성된 밀폐된 회로에 의해 소비되며 구동 회로로는 들어가지 않는다. 이것은 역기전력에 이해 발생된 과도한 전기 로드가 구동 회로에 적용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유닛(112)은 합성 수지로 제조된 절연 코팅(120)으로 둘러싸여 있다. 코일(114), 베이스 플레이트(115), 플레이트(116, 117) 및, 디이오드(119)는 코팅(120)안에 묻힌다. 이것은 절연 특성과 코일 유닛(112)의 날씨 저항을 향상시킨다.
베이스 플레이트(115)는 보빈(113)과 통합되게 형성된다. 보빈(113), 베이스 플레이트(115) 및, 코팅(120)은 금속 보다 큰 열팽창계수를 갖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다. 솔레노이드 여자에 의해 발생된 열은 수지 부재를 팽창시킨다. 열팽창은 플레이트(116, 117)의 클램핑 블록(116a, 117a)과 보빈(113)에 관해 감겨진 코일(114) 사이의 공간을 확대시킨다. 코일(114)은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되며 수지 부재와 같이 열에 의해 팽칭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지 부재의 열팽창은 클램핑 블록(116a, 117a)에 의해 고정된 코일의 터미널 와이어(114a, 114b) 상에서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이것은 비교적 작은 인장강도를 갖는 터미널 와이어(114a, 114b)를 파괴할 수 있다.
도 17a 및 1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와이어(114b)는 접지 플레이트(117)의 엣지(117c)에 직접 접촉되며, 터미널 와이어(114a)는 동력 공급 플레이트(117)의 엣지(116d)에 직접 접촉한다. 따라서, 인장력을 받을 때, 또는 스트레치될 때, 터미널 와이어(114a, 114b)는 엔시(116d, 117c)에 대해 프레스된다. 또한, 코일 유닛의 어셈블리(112)는 터미널 와이어(114a, 114b)가 엣지(116d, 117c)에 대해 프레스된다. 그 결과, 터미널 와이어(114a, 114b)는 손상을 입거나 파괴되게 된다.
열 변화는 베이스 플레이트(115)와 코팅(120)을 팽창시키거나 수축시킨다. 플레이트(115)와 코팅(120)의 팽창 및 수축은 동력 공급 플레이트(116)의 캐소드 홀더(116b)와 접지 플레이트(117)의 애노드 홀더(117b)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킨다. 그러나, 코일(114)과 같이, 다이오드(119)의 터미널(119a, 119b)은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따라서, 다이오드(119)의 길이는 열 변화에 의해 약간 변하게 된다. 캐소드 홀더(116b)와 애노드 홀더(117b) 사이의 거리의 변화는 터미널(119a, 119b)를 홀더(116b, 117b)에 고정하는 솔더(122)에 반작용력을 적용한다. 반작용력은 솔더(122)를 마모시키며 터미널(119a, 119b)과 홀더(116b, 117b) 사이의 본딩 강도를 저하시킨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터미널(119a, 119b)과 홀더(116b)(117b) 사이에서의 만족스럽지 못한 전기 전도성을 가져온다. 압축기를 차량에 설치하는 중이나 또는 압축기를 정비하는 중에, 구동 회로로 부터 확장되는 동력 공급 와이어의 원거리 단부에 부착된 커넥터가 연결되고 그리고 솔레노이드의 커넥터 핀(118)으로 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연결 및 분리는 커넥터 핀(118)과 핀 홀더(116c)를 고정하는 솔더(121)에 반작용력을 적용시킨다. 반작용력은 솔더(121)를 마모시키며 커넥터 핌(118)과 핀 홀더(116c) 사이의 본딩 강도를 저하시킨다. 이것은 커넥터 핀(118)과 홀더(116c) 사이의 만족스럽지 못한 전기 전도성을 가져오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솔레노이드의 만족스런 전도성을 유지하는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솔레노이드, 특히 코일의 터미널 와이어에서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가 제공된다. 밸브는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 몸체부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는 코일을 포함하며 코일에 공급된 전기 전류 상에 기초한 밸브 몸체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밸브는 절연 합성 수지로 제조된 지지대와 전도성 장착 부재 및 홀딩 부재를 포함한다. 지지대는 코일을 지지한다. 코일은 지지대로 부터 확장되는 터미널 와이어를 포함한다. 장착 부재는 지지대에 고정된다. 장착 부재는 이것에 터미널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고정된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홀딩 부재는 지지대와 연결 부재 사이에서 터미널 와이어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장착 부재상에 형성된다.
지지대는 코일을 감기위한 보빈과 보빈으로 부터 확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는 장착 부재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보빈과 장착 부재의 연결 부재 사이에서 터미널 와이어가 장착 부재의 엣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 부재를 포함한다.
밸브는 전기를 솔레노이드에 공급하기 위해서 또는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장착 부재를 통해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적 요소를 포함한다. 장착 부재는 홀더를 포함한다. 전기적 요소는 납땜되고 그리고 홀더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이것은 솔레노이드 특히, 다이오드와 커넥터 핀이 이것에 고정되는 부분에서 손상을 입게 되는 전기적 조인트를 방지해 준다.
다이오드와 같은 전기적 요소의 부착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개조된다. 장착 부재는 그 각각이 홀더를 갖는 한 쌍의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홀더는 소정의 거리로 공간지게 이격되어 있다. 전기적 요소의 각 터미널은 홀더들 중 하나에 고정된다. 하나 이상의 터미널은 변화되는 홀더 사이에서 전기적 요소의 효과적인 길이를 허락하도록 구부려진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다이오드와 같은 전기적 요소가 고정되는 부분이 손상을 입는 것으로 부터 보호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내용들에 의해 명확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회전 경사판의 경사가 최대가 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용량 압축기의 횡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압축기를 도시하는 확대 부분 단면도.
도 3 은 회전 경사판의 각도가 최소가 될 때 도 1 의 압축기를 도시하는 확대 부분 단면도.
도 4 는 도 1 의 압축기에 통합된 제어 밸브를 도시하는 확대 부분 단면도.
도 5 는 도 4 의 제어 밸브에서 코일을 도시하는 확대 도면.
도 6 은 도 5 의 코일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
도 7 은 도 5 의 코일 유닛에서 홀더에 관하여 코일 터미널 와이어의 감기를 도시하는 일부 절개된 확대 부분 도면.
도 8 은 도 5 의 코일 유닛에서 홀더에 키넥터 핀과 다이오드의 부착을 도시하는 확대 부분 도면.
도 9a 는 도 7 의 9A-9A 선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도 9b 는 도7 의 9B-9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홀더에 다이오드의 구조를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홀더에 다이오드의 구조를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는 확대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홀더에 다이오드의 구조를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는 확대 도면.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홀더에 다이오드의 구조를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는 확대 도면.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홀더에 다이오드의 구조를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는 확대 도면.
도 15 는 종래 기술의 솔레노이드의 코일 유잇을 도시하는 확대 도면.
도 16 은 도 15 의 코일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a 는 도 16의 17A-17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7b 는 도 16 의 17B-17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실린더 블록 14 : 밸브 플레이트
15 : 크랭크 챔버 16 : 구동축
17 : 풀리 19 : 벨트
20 : 엔진 23 : 회전 경사판
25 : 안내 핀 26 : 코일 스프링
목적 및 장점을 갖는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이하의 내용으로 부터 최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용량 압축기가 도 1 내지 9 를 참조로 하여 이하에 기술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하우징(11)은 실린더 블록(12)의 정면 단부면에 고정된다. 후방 하우징(13)은 실린더 블록(12)의 후방 단부면이 고정되며, 밸브 플레이트(14)는 후방 하우징(13)과 후방 단부면 사이에 위치된다. 크랭크 챔버(15)는 정면 하우징(11)의 내부 벽과 실린더 블록(12)의 정면 단부면에 의해 형성된다.
구동축(16)은 정면 하우징(11)과 실린더 블록(12) 안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크랭크 챔버(15)를 통해 확장된다. 정면 하우징(12)은 전방으로 확장되는 원통형 벽을 갖는다. 구동축(16)의 정면 단부는 원통형 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풀리(17)에 고정된다. 풀리(17)는 앵귤러 베어링(18)과 함께 원통형 벽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풀리(17)는 벨트(19)에 의해 외부 구동원(본 실시예에서의 차량 엔진(20))에 직접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압축기는 클러치로 온 및 오프가 조작되지 않기 때문에 클러치가 없는 형태의 가변 용량 압축기가 된다.
구동 플레이트 또는 회전 경사판(23)은 축(16)의 축 L 을 따르며 경사지도록 크랭크 챔버(15)안의 구동축(16)에 의해 지지된다. 한 쌍의 안내 핀(25)은 회전 경사판(23)에 고정된다. 각 안내 핀(25)은 그것의 원거리 단부에서 안내 볼(25a)를 갖는다. 로우터(22)는 구동축(16)과 통합되어 회전하기 위해서 크랭크 챔버(15) 안에서 구동축(16)에 고정된다. 로우터(22)는 회전 경사판(23)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 아암(24)을 갖는다. 한 쌍의 안내 구멍(24a)이 지지아암(24)안에 형성된다. 각 안내 핀(25)은 대응하는 안내 구멍(24a) 안으로 미끄럼가능하게 조합된다. 아암(24)과 안내 부재(25)의 협동은 회전 경사판(23)이 구동축(16)과 함께 협동하여 회전하도록 허락한다. 상기 협동은 또한 회전 경사판(23)의 경사 및 구동축(16)의 축 L 을 따라 회전 경사판의 미끄럼 운동을 안내한다. 회전 경사판(23)이 실린더 블록(12)을 향해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 회전 경사판(23)의 경사가 감소되게 된다.
코일 스프링(26)은 로우터(22)와 회전 경사판(23) 사이에 위치된다. 스프링(26)은 회전 경사판(23)을 후방으로 밀어주며, 또한 회전 경사판(23)의 경사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밀어준다. 로우터(22)는 그것으 후방 단부면상에 돌출부(22a)가 제공된다. 돌출부(22a)에 대한 회전 경사판(23)의 인접부는 회전 경사판(23)의 초대 경사를 제한한다.
도 1 내지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2)은 그것의 중앙부에 셔터 챔버(27)를 갖는다. 셔터 챔버(27)는 구동축(16)의 축 L 을 따라 확장된다. 컵-형태의 셔터(28)는 셔터 챔버(27) 안에 수용된다. 셔터(28)는 구동축(16)의 축 L 을 따라 미끄러진다. 코일 스프링(29)은 셔터(28) 주변에 형성된 스텝과 셔터 챔버(27)안에 형성된 스텝 사이에 위치된다. 코일 스프링(29)은 셔터(28)를 회전 경사판(23)을 향해 밀어준다.
구동축(16)의 후방 단부는 셔터(28) 안으로 삽입된다. 래디얼 베어링(30)은 셔터(28)의 내부 벽에 고정된다. 래디얼 베어링(30)은 구동축(16)에 관해 셔터(28)와 함께 미끄러진다. 구동축(16)의 후방 단부는 그사이에 있는 래디얼 베어링(30)과 셔터(28)가 구비된 셔터 챔버(27)의 내부 벽에 의해 지지된다.
흡입 통로(32)는 후방 하우징(13)과 밸브 플레이트(14)의 중앙부에서 형성된다. 통로(32)는 구동축(16)의 축 L 을 따라 확장되며 셔터 챔버(27)와 교류한다. 포지션잉 표면(33)은 흡입 통로(32)의내부 개구에 관해 밸브 플레이트(14)상에 형성된다. 셔터(28)의 후방 단부는 포지션잉 표면(33)에 대해 인접한 셔팅 표면(34)으로서 기능을 한다. 포지션잉 표면(33)에 대한 셔팅 표면(34)의 인접부는 셔터(28)가 로우터(22)로 부터 후방으로 멀리 추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인접부는 또한 흡입 통로(32)를 셔터 챔버(27)로 부터 분리해준다.
스러스트 베어링(35)은 구동축(16)상에 지지되며 회전 경사판(23)과 셔터(28) 사이에 위치된다. 스러스트 베어링(35)은 구동축(16)의 축 L 을 따라 미끄러진다. 코일 스프링(29)의 힘은 회전 경사판(23)과 셔터(28) 사이에서 스러스트 베어링(35)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준다.
회전 경사판(23)은 그것의 경사가 감소될 때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것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 회전경사판(23)은 스러스트 베어링(35)이 구비된 셔터(28)를 후방으로 밀어준다. 따라서, 셔터(28)는 코일 스프링(29)의 힘에 대해 포지션잉 표면(33)을 향해 이동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28)의 셔팅 표면(34)이 포지션잉 표면(33)에 대해 인접할 때, 회전 경사판(23)이 최소 경사에 도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셔터(28)는 흡입 통로(32)로 부터 셔터 챔버(27)를 분리하기 위해 폐쇄된 위치에 위치된다. 회전 경사판(23)의 최소 경사는 0 도 보다 조금 크다. 0 도의 각도는 회전축(16)의 축 L 까지의 수직면에 대한 회전 경사판의 각도를 나타낸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12a)는 실린더 블록(12)을 통해 확장된다. 실린더 보어(12a)는 구동축(16)의 축 L 에 평행하게 확장되며 축 L 에 관해 동일한 간격으로 각도지고 공간지게 이격되어 있다. 단일-헤드 피스톤(36)은 각 실린더 보어(12a) 안에 수용된다. 각 피스톤(36)은 한 쌍의 슈(37)에 의해 회전 경사판(23)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경사판(23)은 로우터(22)를 통해 회전축(16)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 경사판(23)의 회전은 슈(37)를 통해 각 피스톤(36)에 전달되며 관련된 실린더 보어(12a) 안에서 각 피스톤(36)의 선형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환형 흡입 챔버(38)는 흡입 통로(32)에 관해 후방 하우징(13)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환형 배기 챔버(39)는 후방 하우징(13) 안에서 흡입 챔버(37)에 관해 형성된다. 흡입 포트(40)와 배기 포트(42)는 밸브 플레이트(14)안에 형성된다. 각 흡입 포트(40)와 각 배기 포트(42)는 실린더 보어(12a)들 중 하나에 대응한다. 흡입 밸브 플랩(41)은 밸브 플레이트(14)상에 형성된다. 각 흡입 밸브 플랩(41)은 밸브 플레이트(14)상에 형성된다. 배기 밸브 플랩(43)은 밸브 플레이트(14)상에 형성된다. 각 배기 밸브 플랩(43)은 배기 포트(42)들 중 하나에 대응한다.
각 피스톤(36)은 관련 실린더 보어(12a) 안에서 상사점으로 부터 하사점까지 이동하며, 흡입 챔버(38)안의 냉동 가스는 관련 흡입 포트(40)를 통해 각 실린더 보버(12a) 안으로 들어가며, 이 때 관련 흡입 밸브 플랩(41)이 개구 위치가 되도록 구부려진다. 각 피스톤(36)이 관련 실린더 보어(12a) 안에서 하사점으로 부터 상사점까지 이동할 때, 냉동 가스가 실린더 보어(12a) 안에서 압축되며 관련 배기 밸브 플랩(43)이 개구 위치기 되도록 구부려지계 되는 동안 관련 배기 포트(42)를 통해 배기 챔버(39)로 배출된다.
도 1 내지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챔버(38)는 교류 구멍(45)에 의해 셔터 챔버(27)와 연결된다. 포지션잉 표면(33)이 접촉할 때, 셔팅 표면(34)은 흡입 통로(32)로 부터 구멍(45)을 분리한다. 구동축(16)은 축 방향 통로(46)를 갖는다. 축 방향 통로(46)는 크랭크 챔버(15)를 셔터(28)의 내부와 연결시킨다. 압력 해제 구멍(47)은 셔터(28)의 내부와 셔터 챔버(27)를 연결하기 위해 셔터(28)의 후방 단부 근방의 셔터 벽안에 형성된다. 축 방향 통로(46), 해제 구멍(47) 및, 구멍(45)은 크랭크 챔버(15)안의 냉동 가스를 흡입 통로(38)로 빼기 위한 배출 통로를 구성한다.
공급 통로(48)는 배기 챔버(39)를 크랭크 챔버(15)에 연걸하기 위해 후방 하우징(13), 밸브 플레이트(14) 및, 실린더 블록(12)안에 형성된다. 용량 제어 밸브(49)는 공급 통로(48)를 조절하기 위해 후방 하우징(13)안에 수용된다. 압력 도입 통로(50)는 제어 밸브(49)를 흡입 통로(32)에 연결하기 위해 후방 하우징(13)안에 형성된다.
도 2 및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밸브(49)는 하우징(51)과 서로 결합되는 솔레노이드(52)를 포함한다. 밸브 챔버(53)는 하우징(51)과 소레노이드(52) 사이에 형성된다. 밸브 챔버(53)는 제 1 포트(57)와 공급 통로(48)의 상류 포트에 의해 배기 챔버(39)에 연결된다. 밸브 챔버(53)는 밸브 몸체부(54)를 수용한다. 하우징(51)은 또한 촉 방향으로 확장되는 밸브 구멍(55)을 갖는다. 밸브 구멍(55)의 하부 개구는 밸브 챔버(53)와 교류하며 밸브 몸체부(54)와 대응한다. 개구 스프링(56)은 밸브 몸체부(54)와 밸브 챔버(53)의 벽 사이에서 확장된다. 스프링(56)은 밸브 몸체부(54)를 밸브 구멍(55)이 개구되는 방향으로 밀어준다.
캡(51a)은 하우징(51)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캡(51a)과하우징(51)은 압력 감지 챔버(58)를 형성한다. 감지 챔버(58)는 벨로우(60)(bellow)를 수용하며 제 2 포트(59)와 압력 도입 통로(50)에 의해 흡입 통로(32)에 연결된다. 제 1 안내 구멍(61)은 감지 챔버(58)와 밸브 구멍(55) 사이의 하우징(51)안에 형성된다. 압력 감지 로드(62)는 제 1 안내 구멍(61)을 통해서 확장되며 그리고 그것에 관하여 미끄러진다. 로드(62)는 밸브 구멍(55)을 통해 확장되는 작은 직경으로 된 부분을 갖는다. 작은 직경 부분과 밸브구멍(55) 사이의 틈은 냉동 가스가 흐르게 한다.
제 3 포트(63)는 밸브 챔버(53)와 감지 챔버(58) 사이의 하우징(51) 안에 형성된다. 제 3 포트(63)는 밸브 구멍(55)을 교차할 때 까지 가로로 확장된다. 밸브 구멍(55)은 공급 통로(48)의 하류부와 제 3 포트(63)에 의해 크랭크 챔버(15)에 연결된다.
솔레노이드(52)는 원통형 외부 케이싱(71)과 플런저 컵(72)을 포함한다. 고정된 고정 코어(64)는 플런저 컵(72)의 상부 개구에 맞게 된다. 고정 코어(64)와 컵(72)은 플런저 챔버(65)를 형성한다. 컵-형태의 플런저(67)는 플런저 챔버(65) 안에서 상호적으로 수용된다. 종동 스프링(68)은 플런저(67)와 컵(72)의 바닥 사이에서 확장된다. 종동 스프링(68)의 힘은 개구 스프링(56)이 힘 보다 작다.
고정 코어(64)는 플런저 챔버(65)와 밸브 챔버(53) 사이로 확장되는 제 2 안내 구멍(69)을 갖는다. 솔레노이드 로드(70)는 밸브 몸체부(54)와 통합되도록 형성되며 밸브 몸체부(54)의 바닥으로 부터 하방으로 돌출된다. 로드(70)는 제 2 안내 구멍(69)을 통해 확장되며 그리고 그것에 관해 미끄러진다. 스프링(56, 58)은 로드(70)의 하부 단부가 플런저(67)와 일정하게 접촉하도록 한다. 다르게는, 밸브 몸체부(54)는 그 사이에 있는 로드(70)와 함께 플런저(67)와 통합되어 이동한다.
도 4 는 제어 밸브(49)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및 6 은 솔레노이드(52)안에 수용된 코일 유닛(90)을 도시한다. 코일 유닛(90)은 절연 합성 수지로 제조된 원통형 보빈(91)을 포함한다. 보빈(91)은 플런저 컵(72)에 관해 조립되며 플런저(67)와 고정 코어(64)의 외부에 방사상으로 위치된다. 코일(92)은 보빈(91)에 관해 감겨있다. 코일(92)은 공급 터미널 와이어(92b)를 형성하는 단부와 접지 터미널 와이어(92c)를 형성하는 다른 단부를 갖는다. 베이스 플레이트(93)는 보빈(91)에 관해 통합되게 형성되며 보빈(91)의 하부로 부터 측방으로 확장된다. 베이스 플레이트(93)는 제 1 베이스 표면(93a)과 제 2 베이스 표면(93b)을 포함한다. 베이스 표면(93a, 93b)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으로 치환된다.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된 동력 공급 플레이트(94)는 베이스 플레이트(93)의 제 1 베이스 표면(93a)에 고정된다. 이와 유사하게,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된 접지 플레이트(95)는 제 2 베이스 표면(93b)에 고정된다. 동력 공급 플레이트(94)는 코일(92)의 공급 터미널 와이어(92b)를 죄기 위한 클램핑 블록(94b)을 포함한다. 클램핑 블록(94a)은, 예를 들면, 저항 용접에 의해 플레이트(94)에 고정된다. 접지 플레이트(95)는 코일(92)의 접지 터미널 와이어(92c)를 죄기 위한 클램핑 블록(95a)을 포함한다. 클램핑 블록(95)은, 예를 들면, 저항 용적에 의해 플레이트(95)에 고정된다. 브래킷(66)은 솔레노이드(52)(도 1 내지 3 에 도시됨)의 상부에 부착된다. 접지 플레이트(95)는 브래킷(66)에 의해 압축기의 후방 하우징(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접지 터미널 와이어(92c)는 후방 하우징(13) 수단에 의해 접지된다.
동력 공급 플레이트(94)는 핀 홀더(96)와 캐소드 홀더(97)를 갖는다. 홀더(96, 97)는 플레이트(94)의 일부를 하방으로 구부려 줌으로서 형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애노드 홀더(98)는 접지 플레이트(95)의 일부를 하방으로 구부려 줌으로서 형성된다. 캐소드 홀더(97)와 애노드 홀더(98)는 각각 평행판에 위치되며, 소정의 거리로 공간지게 이격된다.
커넥터 핀(99)은 핀 홀더(96)에 고정된다. 핀(99)은 동력 공급 플레이트(94)에 의해 코일(92)의 공급 터미널 와이어(9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이오드(100)는 캐소드 홀더(97)와 애노드 홀더(98)에 고정된다. 다이오드(100)는 캐소드 홀더(97)에 고정된 캐소드 터미널(100a)와 애노드 홀더(98)에 고정된 애노드 터미널(100b)을 갖는다. 다르게는, 다이오드(100)는 플레이트(94, 95)에 의해 코일(92)과 함께 평행하게 연결된다.
코일 유닛(90)은 합성 수지로 제조된 절연 코팅(10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코일(92), 베이스 플레이트(93)상에 형성된 플레이트(94, 95) 및, 다이오드(100)는 코팅(102)안에 묻힌다. 코팅(102)은 코일 유닛(90) 안에서의 부분들의 날씨 저항과 절연 특성을 향상시킨다.
원통형 소켓(102a)은 코팅(102)과 통합되게 형성되며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102)으로 부터 측면으로 돌출된다. 커넥터 핀(99)의 원거리 단부는 소켓(102)의 내부 공간 안으로 돌출된다. 커넥터 핀(99)은 공급 라인(74a)에 의해 구동 회로(74)에 연결된다. 구동 회로(74)는, 예를 들면, 차량 밧데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공급 라인(74a)은 구동 회로로 부터 확장되며 그것의 원거리 단부에서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커넥터는 커넥터 핀(99)을 구동 회로(74)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소켓(102a) 안에 조합된다.
플레이트(94, 95)의 클램핑 블록(94a, 95a)은 보빈(91)으로 부터의 거리를 최대로 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93)의 원거리 단부로 부터 확장된다. 이러한 구조는 터미널 와이어(92b, 92c)를 클램핑 블록(94a, 95a)에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도 7 및 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93)는 제 1 베이스 표면(93a)까지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 1 안내부(106)를 포함한다. 제 1 안내부(106)는 동력 공급 플레이트(94)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 1 베이스 표면(93a)으로 부터 제 1 안내부(106)의 높이는 동력 공급 플레이트(94)의 두께 보다 크다.
도 7 및 9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93)는 제 2 베이스 표면(93b)으로 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 2 안내부(107)를 포함한다. 제 2 안내부(107)는 접지 플레이트(95)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 2 베이스 표면(93b)까지의 제 2 안내부(107)의 높이는 접지 플레이트(95)의 두께 보다 크다. 안내부(106, 107)는 베이스 플레이트(93)와 통합되게 형성된다. 도 9a 및 9b 에서, 도면의 상부는 코일 유닛의 바닥부를 나타낸다. 따라서, 안내부(106, 107)의 하부측상에 형성된 안내 표면(106b, 107b)은 대응하는 플레이트(94, 95) 아래에 위치된다. 제 1 안내부(106)는 노치(106a)를 가지며 제 2 안내부(107)는 노치(107a)를 갖는다. 노치(106a)에 관한 가장자리(106c)는 도 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노치(107a)의 가장자리(107c)는 도 9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되어 있다.
코일(92)의 공급 터미널 와이어(92b)는 보빈(91)으로 부터 확장되며 노치(106a)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93)의 바닥면을 향해 통과한다. 터미널 와이어(92b)는 그 때 가장자리(106c)를 따라 구부려지며 클램핑 블록(94a)에 도달하도록 동력 공급 플레이트(94)와 안내 표면(106b)에 의해 통과된다. 코일(92)의 접지 터미널 와이어(92c)는 보빈(91)으로 부터 확장되며 베이스 플레이트(93)의 바닥면을 향해 노치(107a)를 통해 통과한다. 터미널 와이어(92c)는 그 때 가장자리(107c)를 따라 구부려지며 클램핑 블록(95a)에 도달하도록 접지 플레이트(95)와 안내 표면(107b)에 의해 통과된다.
도 4, 5 및,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소드 홀더(97)는 그것의 근접 단부 근방에서 좁아진 부분(104)을 갖는다. 이와 유사하게, 애노드 홀더(98)는 그것의 근접 단부에서 좁아진 부분(105)을 갖는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아진 부분(104, 105)은 직사각형의 크로스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좁아진 부분(104)은 4 개의 구석(104a 내지 104d)을 가지며 좁아진 부분(105)은 4 개의 구석(105a 내지 105d)을 갖는다.
클램핑 블록(94a)로 가는 길목에서, 공급 터미널 와이어(92b)는 캐소드 홀더(97)의 좁아진 부분(104)에 관해 감겨진다. 이와 유사하게, 접지 터미널 와이어(92c)는 클램핑 블록(95a)로 가는 길목에서 애노드 홀더(98)의 좁아진 부분(105)에 관해 감겨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일(92)의 터미널 와이어(92b, 92c)는 클램핑 블록(94a, 95a)으로 가는 통로에서 홀더 또는 플레이트(94, 95)에 의해 지지된다.
플레이트(94, 95)는 펀칭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저렴하게 제조된다. 보텅 펀치된 제조물일 때, 플레이트(94, 95) 일 측면의 엣지는 침하되고 또는 둘글게 되며, 다른 측면의 엣지는 날카롭게 거칠게 된다. 이러한 침하 및 거칠어짐은 또한, 플레이트(94, 95)를 프레스할 때 홀더(97, 98)의 좁아진 부분(104, 105)상에 형성된다. 도 7 은 이러한 좁아진 부분(104, 105)상에 형성된 침하 및 거칠어짐을 확대 도시한다. 좁아진 부분(104, 105)의 내부 구석(104a, 104b, 105a, 105b)은 침하되거나 둥글게 된다. 외부 구석(104c, 104d, 105c, 105d)은 날카롭게 거칠어진다.
좁아진 부(104,105)분에 대해 감겨질 때, 터미널 와이어(92b, 92c)는 침하된 구석(104b, 105b)을 따라 초기에 구부려진다. 터미널 와이어(92b, 92c)는 그 때 클램핑 블록(94a, 95a)이 도달하기 전에 침하된 구석(104c, 104d, 105c, 105d)과 거칠게된 구석(104c, 104d, 105c, 105d)을 따라 구부려진다. 다르게는, 터미널 와이어(92b)는 보빈(91)으로 부터 좁아진 부분(104)을 향해 확장되며, 터미널 와이어(92c)는 보빈(91)으로 부터 좁아진 부분(105)을 향해 확장되며, 이것은 각각 먼저 둥글게 된 구석(104b, 105b)을 따라 구부려진다. 유사하게는, 클램핑 블록(94a)과 좁아진 부분(104) 사이로 확장되는 터미널 와이어(92b) 부분과 클램핑 블록(95a)과 좁아진 부분(105)을 향해 확장되는 터미널 와이어(92c)는 각각 둥글게 된 구석(104a, 105b)과 접촉한다.
다음으로, 홀더(96)에의 커넥터 핀(99)의 부착 구조물과 홀더(97, 98)에의 다이오드(100)의 부착 구조물이 후술된다. 도 4, 5 및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96)는 커넥터 핀(99)을 지지하기 위해 그것의 원거리 단부에서 노치(96a)를 갖는다. 다르게는, 홀더(96)의 원가리 단부는 노치(96a)에 의해 2 개의 브랜치로 분할된다. 각 브랜치는 180도 구부려진다. 이것은 브랜치가 홀더(96)의 나머지와 같이 대략 2 배 두껍게 되도록 한다. 홀더(96)의 원거리 단부와 각 브랜치는 노치(96a)안에 삽입되는 커넥터 핀(99)의 원거리 단부가 있는 양 측면으로 부터 죄어지게 된다. 그 결과, 커넥터 핀(99)은 노치(96a)안에 확살하게 고정된다. 핀(99)의 근접 단부는 또한 홀더(96)에 납땜되거나 솔더된다. 커넥터 핀(99)과 핀 홀더(96) 사이의 솔더(101)는 핀(99)과 홀더(96) 사이의 접촉 영역의 전도성이 향상되게 한다.
홀더(96)에의 다이오드(100)의 각 단부의 부착물은 커넥터 핀(99)의 그것과 동일하다. 즉, 도 4, 5 및,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소드 홀더(97)는 그것의 원거리 단부에서 노치(97a)를 가지며, 애노드 홀더(98)는 그것의 원거리 단부에서 노치(98a)를 갖는다. 유사하게는, 홀더(96)의 원거리 단부는 노치(97a, 98a)에 의해 2 개의 브랜치로 분할된다. 각 브랜치는 180도 구부려진다. 이것은 브랜치가 홀더(97, 98)의 나머지와 같이 대략 2 배 두껍게 되도록 한다. 홀더(96)의 원거리 단부 또는 브랜치는 노치(97a, 98a)안에 삽입되는 다이오드(100)의 터미널(100a, 100b)이 있는 각 측면으로 부터 죄어지게 된다. 그 결과, 터미널(100a, 100b)이 노치(97a, 98a) 안에서 확실하게 고정된다. 터미널(100a, 100b)은 또한 홀더(97, 98)에 납땜되거나 솔더된다. 터미널(100a, 100b)과 홀더(97, 98) 사이의 솔더(103)는 터미널(100a, 100b)과 홀더(97, 98) 사이의 접촉 영역의 전도성을 향상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핀(99)과 다이오드 터미널(100a, 100b)은 홀더(96, 97, 98)에 솔더되며, 클램핑에 의해 홀더(96, 97, 98)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포트(75)는 실린더 블록(12)안에 형성되며 배기 챔버(39)와 교류한다. 출구 포트(75)는 외부 냉방 회로(76)에 의해 흡입 통로(32)에 의해 연결된다. 냉방 회로(76)는 컨덴서(77), 팽창 밸브(78) 및, 증발기(79)를 포함한다. 압축기, 컨덴서(77), 팽창 밸브(78) 및, 증발기(79)는 차량 공기조절장치를 구성한다.
다양한 장치와 연결되는 제어기(85)는 온도 센서(81), 칸막이 온도 센서(82), 공기조절장치 작동 스위치(83) 및, 온도 조절기(84)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81)는 증발기(79)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증발기(79) 근방에 위치된다. 칸막이 온도 센서(82)는 차량 승객 칸막이 안의 온도를 검출한다. 승객은 온도 조절기(84)에 의해 원하는 온도 또는 목표 온도상태에서 탈 수 있다. 제어기(85)는 온도 조절기(84)에 의해 세트된 목표 온도, 온도 센서(81)에 의해 검출된 온도, 온도 센서(82)에 의해 검출된 칸막이 온도 및, 공기조절장치 작동 스위치(83)으로 부터의 온 또는 오프 신호를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에 기초하는 총효율 비율을 계산한다. 제어기(85)는 그 때 계산된 총효율 비율을 구동 회로(74)에 전달한다. 구동 회로(74)는 전류를 전달하며, 그것의 움직임은 입력된 총효율 비율 및 제어 밸브(49)의 코일(92)에 대응한다. 밸브(49)의 솔레노이드(52)는 총효율 비율에 따락서 여자 및 비-여자를 반복한다. 고정 코어(64)와 플런저(67) 사이의 솔레노이드(52)에 의해 보다 큰 총효율 비율이 되며, 보다 큰 부착력이 발생된다.
밸브(49)를 갖는 압축기의 작동이 이하 후술된다.
스위치(83)가 온 될 때, 온도센서(82)에 의해 검출된 칸막이 온도가 온도 조절기(84)에 의해 세트된 밸브 보다 크거나 동일할 경우, 제어기(85)는 구동 회로(74)사 솔레노이드(52)를 여자시키도록 한다. 특히, 제어기(85)는 0% 보다 큰 소정의 총효율 비율을 구동 회로(74)에 전달한다. 구동 회로(74)는 전류를 공급하며, 그것의 움직임은 입력된 총효율 비율 및 솔레노이드(52)의 코일(92)에 대응한다.
전류를 코일(92)에 공급하는 것은 코어(64)와 플런저(67) 사이의 총효율 비율에 따라 자기 유도력을 발생시킨다. 유도력은 솔레노이드 로드(70)에 의해 밸브 몸체부(54)에 전달되며, 따라서 밸브 몸체부(54)가 스프링(56)력에 대해 밸브 구멍(55)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밀어준다. 다르게는, 벨로우(60)의 길이는 통로(50)를 통해 압력 감지 챔버(58)로 도입되는 흡입 통로(32)안의 흡입 압력에 따라 변화한다. 벨로우(60) 길이의 변화는 감지 로드(62)에 의해 밸브 몸체부(54)에 전달된다. 밸브 몸체부(54)와 밸브 구멍(55) 사이의 개구 영역은 밸브 몸체부(54) 상에서 작용하는 다수의 힘의 균형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개구 영역은 솔레노이드(52)의 힘, 벨로우(60)의 힘 및, 스프링(56)의 힘에 의해 영향을 받는 몸체부(54)으 균형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냉각 로드가 커지게될 때, 센서(82)에 의해 검출되는 승객 칸막이안의 온도는 온도 조절기(84)에 의해 세트된 목표 온도보다 높게 된다. 제어기(85)는 검출된 칸막이 온도와 목표 온도 사이에 큰 차이가 있을 때 구동 회로(74)로 전달되는 보다 높은 총효율 비율을 세트한다. 보다 높은 총효율 비율은 고정 코어(64)와 플런저(67) 사이의 유도력의 크기를 보다 증대시키기 때문에 밸브 몸체부(54)를 밸브 구멍(55)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합성력을 증대시킨다. 이것은 밸브 구멍(55)을 폐쇄하기위해 필요한 흡입 압력이 값을 하락시킨다. 따라서, 밸브 몸체부(54)는 보다 낮아진 흡입 압력에 기초하여 밸브 구멍(55)의 개구를 제어한다. 유사하게는, 총효율 비율의 증대는 밸브(49)가 보다 낮은 흡입 압력(이것은 목표 압력과 동일하다)을 유지하도록 한다.
밸브 몸체부(54)와 밸브 구멍(55) 사이의 부다 작은 개구 영역은 배기 챔버(39)로 부터 공급 통로(48)를 경유하여 크랭크 챔버(15)까지의 냉동 가스의흐름의 양을 줄여준다. 크랭크 챔버(15)안의 냉동 가스는 축방향 통로(46)와 압력 해제 구멍(47)을 통해 흡입 챔버(38) 안으로 흘러들어 간다. 그 결과, 크랭크 챔버(15)안의 압력이 낮아진다. 게다가, 냉동 로드가 커질 때, 흡입 압력은 높아 진다. 따라서, 각 실린더 보어(12a)안의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 챔버(15)안의 압력과 각 실린더 보어(12a)안의 압력의 차이는 작게된다. 이것이 회전 경사판(23)의 경사도를 증대시기기 때문에 압축기가 보다 큰 용량을 가지고 작동할 수 있게 한다.
밸브 구멍(55)이 밸브 몸체부(54)에 의해 완전히 폐쇄될 때, 공급 통로(48)는 폐쇄된다. 이것은 배기 챔버(39) 안에서 높은 압력으로 가압된 냉동 가스가 크랭크 챔버(15)로 공급되는 것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크랭트 챔버(15)안의 압력은 흡입 챔버(38) 안에서의 압력과 실제적으로 같다. 회전 경사판(23)의 경사는 따라서 도 1 및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가 되며, 압축기는 최대 용량에서 작동한다.
냉동 로드가 작을 때, 센서(82)에 의해 검출된 칸막이 온도와 온도 조절기(84)에 의해 세트된 목표 온도 사이의 차이가 작게된다. 제어기는 검출된 칸막이 온도와 목표 온도 사이의 차이가 보다 작게 될 때 구동 회로(74)로 전달되는 보다 낮은 총효율 비율을 세트한다. 보다 낮은 총효율 비율은 고정 코어(64)와 플런저(67) 사이의 유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밸브 몸체부(54)를 밸브 구멍(55)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합성력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밸브 구멍(55)을 폐쇄하는데 필요한 흡입 얍력의 값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밸브 몸체부(54)는 보다 높은 흡입 압력에 기초하여 밸브 구멍(55)의 개구를 제어한다. 유사하게는, 감소된 총효율 비율은 밸브(49)가 보다 높은 흡입 압력(이것은 목표 압력과 동일하다)을 유시시키도록 한다.
벨브 몸체부(54)와 밸브 구멍(55) 사이의 보다 큰 개구 영역은 배기 챔버(39)로 부터 크랭크 챔버(15)로 흐르는 냉동 가스의 양을 증대시킨다. 그 결과, 크랭크 챔버(15)안의 압력은 증대된다. 게다가, 냉동 로드가 작을 때, 흡입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각 실린더 보어(12a)안의 압력은 낮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 챔버(15)안의 압력과 각 실린더 보어(12a)안의 압력의 차이가 커지게 된다. 보다 큰 압력은 회전 경사판(23)의 경사를 작게 하기 때문에, 압축기가 작은 용량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냉동 로드가 제로에 도달할 때, 냉동 회로(76)안의 증발기(79)의 온도는 결빙 형성 온도까지 하락한다. 온도 센서(81)가 결빙 형성 온도 이하이거나 같은 온도인 온도가 검출될 때, 제어기(85)는 솔레노이드(52)를 비-여자시키고 구동 회로(74)에 전달되는 0%의 총효율 비율을 변화시킨다. 구동 회로(74)는 그 때 전류가 코일(92)에 흐르는 것을 중단시킨다. 이것은 코어(64)와 플런저(67) 사이의 자기 유도력을 제거한다. 밸브 몸체부(54)는 그 때 플런저(67)아 솔레노이드 로드(70)에 의해 전달되는 종동 스프링(68)의 힘에 대해 개구 스프링(56)의 힘에 의해 밸브 구멍(55)을 개구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밸브 몸체부(54)와 밸브 구멍(55) 사이의 개구 영역은 최대가 된다. 배기 챔버(39)로 부터 크랭크 챔버(15)로 흐르는 가스 흐름은 따라서 증대된다. 이것은 추가적으로 크랭크 챔버(15)안의 압력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경사판(23)의 경사가 최소화되게 된다. 압축기는 따라서 최소 용량으로 작동한다.
스위치(83)가 턴 오프될 때, 제어기(85)는 구동 회로(74)가 솔레노이드(52)를 비-여자시키도록 한다. 이것은 또한 회전 경사판(23)의 경사를 최소화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총효율 비율이 증대될 때, 밸브(49)의 밸브 몸체부(54)는 밸브 구멍(55)의 개구 영역이 보다 낮은 흡입 압력에기초하여 제어되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총효율 비율이 감소될 때, 밸브 몸체부(54)는 밸브 구멍(55)의 개구 영역이 보다 높은 흡입 압력에 기초하여 제어되게 한다. 압축기는 그것의 용량을 조졸하기 위하여 회전 경사판(23)의 경사를 제어하기 때문에 목표 흡입 압력을 유지시킨다. 즉, 밸브(49)는 총효율 비율에 따라 흡입 압력의 목표 값을 변화시킨다. 제어 밸브(49)가 구비된 압축기는 공기조절장치의 냉동 수준을 변화시킨다.
회전 경사판(23)의 경사가 최소가 될 때, 셔터(28)의셔팅 표면(34)은 포지션잉 표면(33)에 대해 인접한다. 인접부는 회전 경사판(23)의 최소 경사를 제한한다. 인접부는 또한 흡입 통로(32)를 흡입 챔버(38)로 부터 단절시킨다. 이것은 냉동 회로(76)로 부터 흡입 챔버(38)로의 가스 흐름을 중단시키기 때문에 회로(76)와 압축기 사이의 냉동 가스 흐름이 중단된다.
회전 경사판(23)의 최소 경사는 0 도 보다 약간 크게 된다. 따라서, 회전 경사판(23)의 경사가 최소가 된다고 할 지라도, 실린더 보어(12a)안의 냉동 가스는 배기 챔버(39)로 배기되며 압축기는 최소 용량으로 작동한다. 실린더 보어(12a)로 부터 배기 챔버(39)로 배기된 냉동 가스는 공급 통로(48)를 통해 크랭크 챔버(15) 안으로 들어간다. 크랭크 챔버(15)안의 냉동 가스는 축방향 통로(46), 압력 해제 구멍(47) 및, 흡입 챔버(38)를 통해 실린더 보어(12a) 안으로 들어간다. 즉, 회전 경사판(23)의 경사가 최소가 될 때, 냉동 가스는 배기 챔버(39), 공급 통로(48), 크랭크 챔버(15), 축 방향 통로(46), 압력 해제 구멍(47), 흡입 챔버(38) 및, 실린더 보어(12a) 를 통해 이동되어 압축기 안으로 순환된다. 이와같은 냉동 가스의 순환은 압축기의 이동 부분을 윤활시키기 위해 가스안에 포함된 윤활유를 순환시킨다.
여자된 상태로 부터 비-여자된 코일(92)은 코일(74)의 자기-유도상에 기초한 역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역기전력에 기초한 전류는 코일(92)과 다이오드(100) 사이에 형성된 폐쇄된 회로를 통해 통과할 때 소비된다. 전류는 따라서 구동 회로(74)에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코일(92)에 발생된 역기전력은 구동 회로(74)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르게는, 다이오드(100)는 구동 회로(74)를 보호하는 전기적 용소로서의 기능을 하며 구동 회로(74)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그 결과, 전체 공기조절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게 된다.
다이오드(100)는 저렴하다. 구동 회로(74)를 보호하는 회로는 따라서 저렴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것은 압축기의 제조 단가를보다 저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보빈(91), 베이스 플레이트(93) 및, 절연 코팅(102)은 큰 열팽창계수를 갖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다. 솔레노이드(52)의 여자에 의해 발생된 열은 수지 부재를 팽창시킨다. 열 팽창은 플레이트(94, 95)의 클램핑 블록(94a, 95a)과 보빈(91)상의 코일(92) 사이의 공간을 확대시킨다. 그러나,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된 코일(92)은 수지 부재와 같이 열에 의해 팽창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지 부재의 열 팽창은 클램핑 블록(94a, 95a)에 의해 지지된 코일의 터미널 와이어(92b, 92c)상에서 작용하는 인장력이 된다.
클램핑 블록(94a, 95a)까지의 경로 상에서, 터미널 와이어(92b, 92c)는 홀더(97, 98)에 관해 감겨있다. 다르게는, 터미널 와이어(92b, 92c)는 홀더(97, 98)에 의해 지지된다. 홀더(97, 98)는 터미널 와이어(92b, 92c) 상에서 작용하는 인장력의 일부를 수용한다. 다르게는, 홀더(97)는 터미널 와이어(92b)가 클램핑 블록(94a)에 연결된 조인트 상에서 작용하는 인장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며, 홀더(98)는 터미널 와이어(92c)가 클램핑 블록(95a)에 연결된 조인트 상에서 작용하는 인장력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터미널 와이어(92b, 92c)와 클램핑 블록(94a, 95a) 사이의 조인트는 비교적 약한 인장강도를 갖는다. 그러나, 홀더(97, 98)는 인장력으로 인해 각 조인트로 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부터 터미널 와이어(92b, 92c)를 보호하며, 따라서 터미널 와이어(92b, 92c)와 클램핑 블록(94a, 95a) 사이의 전도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향상된 제어 밸브(49)의 신뢰성은 압축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터미널 와이어(92b, 92c)는 홀더(97, 98)에 의해서, 홀더(97, 98)에 관해 단순히 감긴 부분(92b, 92c)에 의해 지지된다. 게다가, 홀더(97, 98)는 터미널 와이어(92b, 92c)를 지지할 뿐 만 아니라 다이오드(100)를 지지한다. 따라서, 터미널 와이어(92b, 92c)를 지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부분이나 구조물이 불필요하게 된다. 홀더(97, 98)는 터미널 와이어(92b, 92c)를 지지하기 위한 간단한 구조물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와이어(92b, 92c)는 보빈(91)으로 부터 좁아진 부분(104, 105)의 침하된 구석(104b, 105b)까지 확장된다. 유사하게는, 터미널 와이어(92b, 92c)는 클램핑 블록(94a, 95a)으로 부터 침하된 구석(104a, 105a)까지 확장된다. 따라서, 터미널 와이어(92b, 92c) 상에서 작용하는 인장력은 좁아진 부분(104, 105)의 침하되고 둥근 구석(104a, 104b, 105a, 105b)에 의해 우선적으로 수용된다. 다르게는, 터미널 와이어(92b, 92c)는 인장력에 의해 거칠게 된 구석(104c, 104d, 105c, 105d)에 대해 프레스되지 않는다. 따라서, 거칠게된 구석(104c, 104d, 105c, 105d)을 갖는 좁아진 부분(104, 105)에 관해 터미널 와이어(92b, 92c)를 감는 것은 터미널 와이어(92b, 92c)에 손상을 주지 않게 된다. 거칠게 되거나 침하된 부분은 그것이 금속 플레이트로 부터 펀칭되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플레이트(94)상에 형성된다. 그러나, 침하된 부분은 터미널 와이어(92b, 92c) 상에서 작용하는 인장력을 수용하기 위해 이용된다. 따라서, 좁아진 부분(104, 105)의 구석이 둥글게될 필요가 없게 된다. 게다가, 좁아진 부분(104, 105) 상에서 거칠 된 부분을 제거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도 9a 및 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93)는 플레이트(94, 95)로 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안내부(106, 107)을 포함한다. 안내부(106, 107)는 보빈(91)으로 부터 베이스 플레이트(93)의 하부측까지, 플레이트(94, 95)의 접촉 엣지(94b, 95b)로 부터 터미널 와이어(92b, 92c)를 보호한다. 안내부(106, 107)는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터미널 와이어(92b, 92c)와 접하는 둥근 가장자리(106c, 107c)를 갖는다.
따라서, 코일 유닛(90)을 조립할 때, 터미널 와이어(92b, 95b)는 플레이트(94, 95)의 엣지(94b, 95b)에 대해 프레스되지 않는다. 게다가, 터미널 와이어(92b, 92c)가 인장력을 수용하면, 터미널 와이어(92b, 92c)는 엣지(94b, 95b)에 대해 프레스되지 않는다. 인장력은 그 대신에 가장자리(106c, 107c)에 대해 터미널(92b, 92c)을 프레스한다. 그러나, 둥근 가장자리(106c, 107c)는 터미널 와이너(92b, 92c)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내부(106, 197)는 터미널 와이너(92b, 92c)가 손상을 입거나 깨지는 것으로 부터 보호한다. 다르게는, 안내부(106, 107)는 터미널 와이어(92b, 92c)의 전도성을 향상시킨다.
안내부(106, 107)는 베이스 플레이트(93)와 통합되게 형성된다. 안내부(106, 107)는 따라서 부품의 수를 증대시키지 않는다.
온도 변화는 베이스 플레이트(93)과 코팅(102)가 수축하거나 팽창한다. 플레이트(93)와 코팅(102)의 수축가 팽창은 캐소드 홀더(97)와 베이스 플레이트(93)상에 형성된 애노드 홀더(98)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킨다. 이것은 홀더(97)와 다이오드의 캐소드 터미널(100a) 사이의 조인트 및 홀더(98)와 다이오드의 애노드 터미널(100b) 사이의 조인트 상에서 작용하는 반작용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터미널(100a, 100b)은 솔더링과 클램핑에 의해 홀더(97, 98)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조인트 상에서 작용하는 반작용력은 홀더(97, 98)의 죄어진 부분에 의해 수용되며 따라서 솔더(103)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다. 홀더(97, 98)는 따라서 솔더의 피로 실패를 방지하며 터미널(100a, 100b)과 홀더(97, 98) 사이의 만족스런 전도성을 보장한다.
압축기를 차량에 설치하는 중에, 또는 압축기를 유지하는 중에, 동력 공급 와이어(74a)의 원거리 단부에서의 커넥터는 솔레노이드(52)의 커넥터 핀(99)으로 부터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이러한 연결 및 분리는 커넥터 핀(99)의 조인트와 핀 홀더(96)에 반작용력이 적용되도록 한다. 커넥터 핀(99)은 솔더링가 클램핑에 의해 홀더(96)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핀(99)의 조인트와 홀더(96)상에 작용하는 반작용력은 죄어진 부분에 의해 수용되며 솔더(101)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다. 홀더(96)는 따라서 솔더(101)의 피로 실패를 보호하며 핀(99)과 홀더(96) 사이의 만족스런 전도성을 보장한다.
클램핑은 쉽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 핀(99)과 다이오드(100)의 터미널(100a, 100b)은 홀더(96, 97, 98)에 쉽게 고정된다.
홀더(96, 97, 98)는 노치(96a, 97a, 98a)를 각각 갖는다. 홀더(96, 97, 98)는 커넥터 핀(99)과 노치(96a, 97a, 98a)안에 지지된 다이오드 터미널(100a, 100b)과 함께 죄어진다. 노치(96a, 97a, 98a)는 홀더(96, 97, 98)의 클램핑을 용이하게 한다.
홀더(96, 97, 98)의 원거리 단부는 180도 구부려지며, 따라서 홀더(96, 97, 98)의 나머지 두께와 같이 대략 2 배로 두꺼워진다. 따라서, 핀(99)과 홀더(96a)의 접촉 영역과 터미널(100a, 100b)과 홀더(97a, 98a)의 접촉 영역은 증대된다. 접촉 영역이 커질수록, 클램핑에 의해 발생된 힘은 더욱 분산된다. 따라서, 비교적 큰 힘으로 홀더(96, 97, 98)를 주름지게 하는 것은 핀(99)과 터미널(100a, 100b)를 변형시키게 하거나 손상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홀더(96, 97, 98)는 커넥터 핀(99)과 다이오드(100)의 부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큰 힘에 의해 주름지게 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93)은 보빈(91)과 통합되게 형성된다. 코일(92)의 터미널 와이어(92b, 92c), 커넥터 핀(99) 및, 다이오드(100)는 유닛 또는 코일 유닛(90)을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93)에 부착된다. 코일 유닛(90)은 쉽게 조작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밸브(49)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도 10 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 기술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홀더(97, 98)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고 이격지게 공간진다. 홀더(97, 98)의 원거리 단부는 다이오드(100)의 터미널(100a, 100b)을 지지하도록 구부려진다. 이러한 구조는 터미널(100a, 100b)을 지지하기 위해 노치가 형성될 필요를 제거시킨다. 따라서, 도 1 내지 9 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면, 도 10 의 실시예는 홀더(97, 98)에 다이오드(100)를 부착하기 위한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이렇나 구조는 또한 커넥터 핀(99)을 핀 홀더(96)에 부착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가 도 11 을 참조로 하여 이하 기술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다이오드 터미널(100a, 100b)은 솔더(103)에 의해 단지 홀더(97, 98)에 고정된다. 즉, 터미널(100a, 100b)은 홀더(97, 98)의 길이방향으로 구부려진다. 특히, 터미널(100a, 100b)은 크랭크와 같이 형성된다. 터미널(100a, 100b)의 형태는 다이오드(100)를 홀더(97, 98)의 근접 단부에 가깝게 위치시키거나 또는 도 1 내지 9 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베이스 플레이트(93)에 근접되게 위치시킨다. 다이오드(100)는 따라서 홀더(97, 98)와 도 1 내지 9 의 실시예 사이에 형성된 공간안에 수용된다.
온도 변화는 베이스 플레이트(93)와 코팅(102)을 팽창시키거나 수축시킨다.플레이트(93)와 코팅(102)의 팽창 및 수축은 홀더(97, 98)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킨다. 도 11 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형태 다이오드 터미널(100a, 100b)은 홀더(97, 98)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 다이오드(100) 길이의 변화가 일어나게 한다. 터미널(100a, 100b)의 변형은 다이오드(100)와 홀더(97, 98) 상에서 작용하는 힘을 흡수한다. 따라서, 솔더(103) 상에서 작용하는 반작용력은 최소화되게 된다. 이것은 솔더(103)의 피로 실패를 방지해주며 터미널(100a, 100b)과 홀더(97, 98) 사이의 만족스런 전도성을 보장한다.
도 11 의 실시예는 다이오드 터미널(100a, 100b)을 크랭크-형태 안으로 간단히 구부려 줌으로서 쉽게 실행할 수 있다.
전체 다이오드(100)는 홀더(97, 98)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다르게는, 홀더(97, 98)는 다이오드(100)를 보호한다. 예를 들면, 홀더(97, 98)는 조립 중에 다이오드(100)가 다른 부분으로 부터 간섭되는 것을 방지해주며 그리고 다이오드(100)를 접촉하는 것으로 부터 작업자 및 공구를 보호해준다. 따라서, 다이오드(100a)는 조립중에 손상을 입지 않는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다이오드 터미널(100a, 100b)은 홀더(97, 98)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구부려진다. 도 1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터미널(100a, 100b)은 크랭크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다이오드(100)는 홀더(97, 98) 사이에 형성된 거리 외부에 위치된다. 그러나, 베이스 플레이트(93)와 다이오드(100) 사이의 거리는 터미널(100a, 100b)이 열팽창력에 의해 구부려질 때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홀더(97, 98)의 길이가 도 11 의 실시예의 길이 이하라고 해도, 다이오드(100)는 베이스 플레이트(93) 상에서 다른 부분들을 간섭하지 않는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 의 실시예와 같이, 홀더(97, 98)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며 공간지게 이격된다. 그러나, 터미널(100a, 100b)은 직각으로 구부려지며 홀더(97, 98)에 솔더된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에서, 홀더(97, 98)는 평행항 평면에 배치되지만 서로 배열되지는 않는다. 터미널(100a, 100b)은 대향되는 방향에서 직각으로 구부려지며 홀더(97, 98)에 솔더된다.
도 13 및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 터미널(100a, 100b)은 홀더(97, 098)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어떤 방향으로도 구부려질 수 있다. 어떤 경우이건 간에, 터미널(100a, 100b)은 열팽창력에 의해 구부려지며 홀더(97, 98)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다이오드(100)의 효과적인 길이를 변화시킨다. 다르게는, 구부려진 터미널(100a, 100b)은 솔더(103) 상에서 작용하는 힘을 흡수한다.
도 11 내지 14 의 실시예에서, 터미널(100a, 100b)이 구부려진다. 그러나, 터미널(100a, 100b) 중의 단지 하나가 구부려진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양태로 다르게 구체화된다:
도 1 내지 9 의 실시예에서, 홀더(97, 98)는 다이오드(100)와 코일(92)의 터미널 와이어(92b, 92c)을 지지한다. 그러나, 플레이트(94, 95)는 터미널 와이어(92b, 92c)를 지지하기 위해 홀더(97, 98)로 부터 분리되게 형성된 홀더를 가질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급 터미널 와이어(92b)를 감기 위해 좁아진 부분(104)은 캐소드 홀더(97)상에 형성된다. 그러나, 좁아진 부분(104)은 핀 홀더(96)상에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핀(99)과 다이오드 터미널(100a, 100b)을 홀더(96, 97, 98)에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방법은 크림핑하는데 제한을 주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핀(99)과 터미널(100a, 100b)은 볼트로 홀더(96, 97, 98)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 커넥터 핀(99)의 근접 단부와 터미널(100a, 100b)은 홀더(96, 97, 98)에 관해 감겨질 수 있다.
커넥터 핀(99)과 다이오드 터미널(100a, 100b)을 홀더(96, 97, 98)에 고정하기 위한 솔더는 연한 솔더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핀(99)과 터미널(100a, 100b)은 경한 솔더에 의해 홀더(96, 97, 98)에 납땜될 수 있다.
구동 회로(74)를 보호하는 전기적 요소는 다이오드(100)에 제한을 주지 않는다. 양극이 있는 트랜지스터 또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MOS)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압축기의 용량은 제어 밸브(49)에 의해 크랭크 챔버(15)에 공급되는 냉동 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제어된다. 그러나, 압축기의 용량은 다른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량은 크랭크 챔버(15)로 부터 배기되는 냉동 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르게는, 배기는 크랭크 챔버(15)에 공급된 냉동 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그리고 크랭크 챔버(15)로 부터 배기된 냉동 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제어될 수 있다. 게다가, 용량은 실린더 보어(12a)안의 압력을 조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1 의 압축기는 클러치 없이 차량 엔진(20)에 직접 연결된다. 그러나, 압축기는 클러치에 의해 차량 엔진(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내용에 의해 제한을 받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의 영역 안에서 개조될 수 있다.

Claims (16)

  1. 코일(52)을 갖는 솔레노이드(92); 코일(92)에 공급된 전기 전류에 기초한 밸브 몸체부(54)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52)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 몸체부(54); 지지대(91, 93)로 부터 확장되는 터미널 와이어(92b, 92c)를 포함하는 코일(92)을 지지하기 위해 절연 합성 수지로 제조된 지지대(91, 93) 및; 터미널 와이어(92b, 92c)가 전기적으로 고정되는 연결 부재(94a, 95a)를 포함하며 지지대(91, 93)에 고정된 장착 부재(94, 95)를 포함하는 밸브에 있어서, 홀딩 부재(97, 98)는 지지대(91, 93)와 연결 부재(94a, 95a) 사이에서 터미널 와이어(92b, 92c) 부분을 홀딩하기 위해 장착 부재(94, 95)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홀딩 부재(97, 98)는 장착 부재(94, 95)로 부터 돌출되며, 터미널 와이어(92b, 92c)는 홀딩 부재(97, 98)에 관해 감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적 요소(99, 100)는 장착 부재(94, 95)를 통해 코일(9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장착 부재(94, 95)는 홀더(97, 98)를 포함하며, 전기적 요소(99, 100)는 홀더(97, 98)에 납땜되고 기계적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전기적 요소는 코일(92)에의 전기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74)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커넥터 핀(9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5. 제 3 항에 있어서, 전기적 요소는 코일(92)에 평행하게 연결된 전기적 요소(100)를 포함하며, 코일(92)의 자기-유도에 기초하는 역기전력에 의해 발생된 전기 전류는 전기적 요소(100)를 통해 통과하며, 전기적 요소(100)는 한 쌍의 터미널(100a, 100b)을 포함하며, 장착 부재는 공간지게 이격되며 그 각각이 홀더(97, 98)를 갖는 한 쌍의 장착 플레이트(94, 95)를 포함하며, 전기적 요소(100)의 각 터미널(100a, 100b)은 홀더(97, 98)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6. 제 3 항에 있어서, 홀더(97, 98)는 전기적 요소(99, 100)가 홀더(97, 98)에 기계적으로 고정되도록 주름이 잡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홀더(97, 98)는 홀딩 리세스(97a, 98a)를 가지며, 홀딩 리세스(97a, 98a)안에 위치된 전기적 요소(99, 100)와 함께 주름이 잡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8. 제 7 항에 있어서, 홀더(97, 98)는 홀딩 리세스(97a, 98a)에 근접한 부분의 두께를 증대시키기 위해 접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9. 제 3 항에 있어서, 홀더(97, 98)는 또한 홀딩 부재(97, 98)로서의 기능을 하며, 터미널 와이어(92b, 92c)는 홀더(97, 98)에 관해 감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0.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적 요소(100)는 솔레노이드(52)의 작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착 부재(94, 95)를 통해 코일(9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적 요소(100)는 한 쌍의 터미널(100a, 100b) 및 그 각각이 홀더(97, 98)를 포함하는 한 쌍의 장착 플레이트(94, 95)를 포함하는 장착 부재를 포함하며, 홀더(97, 98)는 소정의 거리로 공간지게 이격되며, 전기적 요소(100)의 각 터미널(100a, 100b)은 홀더(97, 98)중 하나에 고정되며, 하나 이상의 터미널(100a, 100b)은 홀더(97, 98) 사이에서 전기적 요소(100)의 효과적인 길이가 변화될 수 있도록 구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전기적 요소(100)는 전기 요소(100)를 통해 통과되는 코일(92)의 자기-유도상에 기초하는 역기전력에 의해 발생된 전기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코일(92)과 평행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2. 제 1 내지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대는 코일(92)을 감기 위한 보빈(91)과 보빈(91)으로 부터 확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93)을 포함하며, 장착 부재(94, 95)는 베이스 플레이트(93)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3. 제 12 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93)는 보빈(91)과 장착 부재(94, 95)의 연결 부재(94a, 95a) 사이에서 장착 부재(94, 95)의 엣지(94b, 95b)와 접촉하는 것으로 부터 터미널 와이어(92b, 92c)를 보호하기 위한 안내 부재(106, 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4. 제 13 항에 있어서, 안내 부재(106, 107)는 장착 부재(94, 95)의 두께 보다 큰 거리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93)로 부터 돌출되며, 터미널 와이어(92b, 92c)와 접촉하는 둥근 가장자리(106c, 107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5. 제 1 내지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 코팅(102)은 코일(92)과 장착 부재(94, 95)를 커버하기 위해 합성 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6. 제 1 내지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밸브를 통합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에 있어서, 구동 플레이트(23)는 크랭크 챔버(15)안에 위치되며, 피스톤(36)은 구동 플레이트(23)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피스톤(36)은 실린더 보어(12a)안에 위치되며, 피스톤(36)은 흡입 챔버(38)로 부터 실린더 보어(12a)로 공급된 가스를 압축하며, 실린더 보어(12a)로 부터 배기 챔버(39)로 압축된 가스를 배기시키며, 구동 플레이트(23)의 경사는 압축기의 용량을 변화시키기 위해 크랭크 챔버(15)안의 압력과 실린더 보어(12a)안의 압력 차이에 따라 가변적이며, 압축기는 크랭크 챔버(15)안의 압력과 실린더 보어(12a)안의 압력과의 차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를 부가로 포함하며, 조절 장치는 제어 밸브(49)와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가스 통로(48)를 포함하며, 제어 밸브(49)는 가스 통로(48)안에 흐르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 압축기.
KR1019980016862A 1997-05-14 1998-05-12 제어밸브 KR100279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24558 1997-05-14
JP97-124556 1997-05-14
JP97-124559 1997-05-14
JP9124559A JPH10318406A (ja) 1997-05-14 1997-05-14 圧縮機の制御弁
JP12455697A JP3715074B2 (ja) 1997-05-14 1997-05-14 圧縮機の制御弁
JP97-124557 1997-05-14
JP12455897A JP3726114B2 (ja) 1997-05-14 1997-05-14 圧縮機の制御弁
JP9124557A JPH10318404A (ja) 1997-05-14 1997-05-14 圧縮機の制御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950A true KR19980086950A (ko) 1998-12-05
KR100279220B1 KR100279220B1 (ko) 2001-10-27

Family

ID=2747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862A KR100279220B1 (ko) 1997-05-14 1998-05-12 제어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33189A (ko)
KR (1) KR100279220B1 (ko)
DE (1) DE19821495C2 (ko)
FR (1) FR2763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018B1 (ko) * 2006-03-16 2007-10-31 장분선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7863A (ja) * 1996-07-22 1998-02-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
DE19727414A1 (de) * 1997-06-27 1999-01-0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agnetspule für ein Ventil und Ventil mit einer Magnetspule
JP4000694B2 (ja) * 1997-12-26 2007-10-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弁
JP4392631B2 (ja) * 1999-06-24 2010-01-06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冷凍サイクルの可変容量制御装置
JP2001165055A (ja) * 1999-12-09 2001-06-1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制御弁及び容量可変型圧縮機
JP2002048068A (ja) 2000-07-31 2002-02-15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
JP2002122070A (ja) * 2000-10-17 2002-04-26 Fuji Koki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DE10211798A1 (de) * 2002-03-16 2004-05-19 Festo Ag & Co. Kontaktierungseinrichtung für Ventilantriebe und damit ausgestattete Ventilanordnung
JP4121785B2 (ja) * 2002-06-12 2008-07-23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の制御装置
JP4636335B2 (ja) 2006-10-10 2011-02-23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路素子内蔵コネクタ
JP6668726B2 (ja) * 2015-12-10 2020-03-1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弁
US10851754B2 (en) * 2017-07-11 2020-12-01 Borgwarner Inc. Starter solenoid with dual coils and axial diodes
US11502445B2 (en) * 2020-08-10 2022-11-15 Pass & Seymour, Inc. Tamper-resistant electrical wir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28116A (fr) * 1965-02-15 1966-02-11 Westfalische Metall Ind Komman électro-aimant de levage pour l'actionnement de soupapes hydrauliques
DE3200023C2 (de) * 1982-01-02 1994-09-29 Staiger Steuerungstech Magnetkopf
JPH0819904B2 (ja) * 1987-01-27 1996-03-04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容量可変斜板式コンプレツサ
US5257639A (en) * 1988-12-23 1993-11-02 Dresser Industries, Inc. Electropneumatic positioner
DE4001017A1 (de) * 1990-01-16 1991-07-18 Bosch Gmbh Robert Montageeinheit aus einem ventilblockaggregat sowie einem steuergeraet
US5584670A (en) * 1994-04-15 1996-12-17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Piston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2932952B2 (ja) * 1994-12-07 1999-08-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クラッチレス可変容量型圧縮機
US5558311A (en) * 1994-12-08 1996-09-24 Borg-Warner Automotive, Inc. Solenoid valve harness
US5645435A (en) * 1995-08-02 1997-07-08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018B1 (ko) * 2006-03-16 2007-10-31 장분선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9220B1 (ko) 2001-10-27
FR2763376A1 (fr) 1998-11-20
DE19821495A1 (de) 1998-11-19
US6033189A (en) 2000-03-07
FR2763376B1 (fr) 2002-11-01
DE19821495C2 (de) 200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6950A (ko) 제어 밸브
US6672101B2 (en) Electrically driven compressors and methods for circulating lubrication oil through the same
KR100270471B1 (ko) 제어 밸브
EP1953388A1 (en) Multistage compressor
US7059344B2 (en) Discharge valve mechanism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9482229B2 (en) Motor-driven compressor
KR20070086908A (ko) 냉동 사이클 장치와 로터리식 밀폐형 압축기
US8777594B2 (en) Compressor having wire retainer
US6203284B1 (en) Valve arrangement at the discharge chamber of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EP1666728A1 (en) Freezer device
US20030102729A1 (en) Motor device for electrical compressor
KR100215608B1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
JP3726114B2 (ja) 圧縮機の制御弁
KR102328761B1 (ko)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CN111033052B (zh) 压缩机以及制冷循环装置
JP3758399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弁取り付け構造
JP3715074B2 (ja) 圧縮機の制御弁
KR101992586B1 (ko)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CN113464437B (zh) 电动压缩机
US6379121B1 (en) Suction valve i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6870553B2 (ja) 車両用可変容量型圧縮機
JPH10318404A (ja) 圧縮機の制御弁
JPH11108471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