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2912A - 시분할 디지탈 데이터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시분할 디지탈 데이터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2912A
KR19980082912A KR1019970018018A KR19970018018A KR19980082912A KR 19980082912 A KR19980082912 A KR 19980082912A KR 1019970018018 A KR1019970018018 A KR 1019970018018A KR 19970018018 A KR19970018018 A KR 19970018018A KR 19980082912 A KR19980082912 A KR 19980082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outputting
encoding
receiv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8338B1 (ko
Inventor
홍정일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1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338B1/ko
Publication of KR1998008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G11C11/41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 G11C11/41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19Read-write [R-W]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2Bit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equalising circuits, for bit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반도체 설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블럭간 신호 전송시 전달 신호 각각에 신호 전송 라인을 하나씩 할당하여 전송하거나, 전달 신호를 다중화하여 다수의 전달 신호를 하나의 전송 라인으로 전송함으로써 각각 라우팅이 복잡하여 칩의 크기가 커지거나 전송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시분할을 이용하여, 하나의 전송라인으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라우팅의 수를 감소시키고, 고속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음.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반도체 설계

Description

시분할 디지탈 데이터 전송장치
본 발명은 디지탈 데이터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분할방식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고집적 회로, 고 밀도 블럭간 라우팅(routing)이 칩 크기를 결정하며 서브마이크론(submicron)이하에서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즉 라인간 크로스토크 노이즈(CrossTalk Noise)에 강하고 고속 전송이 가능한 디지탈 데이터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블럭간 인터페이스 방식(신호 전달방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달신호 각각에 대하여 인터페이스 라인(신호 전송 라인) 하나씩 할당한다.
둘째, 전달신호를 다중화하여 몇 개의 전달 신호에 대하여 하나의 인터페이스 라인을 할당한다.
위 방식은 각각 다음과 같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방식은 둘째 방식에 비해 칩 크기는 상대적으로 많이 요구하고 속도는 빠르다. 그러나, 라우팅(routing)이 복잡해짐으로 서브마이크론에서 강하게 대두되는 크로스토크 노이즈에 취약하다.
둘째 방식은 첫째방식에 비해 라우팅 크기는 작은 반면, 타이밍(timing) 측면에서 바라볼 때 만일 3×1 먹스(mux)를 사용한다면 첫째 방식에 비해 3배의 시간을 요구할 것이다. 그리고 라우팅이 간단해짐으로서 크로스토크 노이즈에 의한 영향이 첫째 방식에 비해 상당히 줄어 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첫째 방식은 속도는 빠른 반면 라우팅이 복잡해져 칩 크기는 커지나 크로스토크 잡음에 약하고, 둘째 방식은 라우팅이 간단해 짐으로써 크로스토크 노이즈에 강하고 칩 크기는 작아지나 속도는 느리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브마이크론 이하의 프로세서에서 라우팅 수를 줄임으로써 칩 크기를 감소시키고, 크로스토크 노이즈에 강하며 고속 전송이 가능한 전송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분할방식을 사용하여, 서브마이크론 이하(0.35 마이크론이하)로 설계시 회로의 라우팅 수를 줄임으로서 칩 크기를 줄이고 크로스토크 노이즈에 강하고 고속 전송이 가능한 시분할 디지탈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디지탈 데이터 전송 장치의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디지탈 데이터 전송 장치의 세부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디지탈 데이터 전송 장치의 타이밍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디지탈 데이터 전송 장치.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인코딩 펄스 발생기2: 인코더
3: 디코딩 펄스 발생기4: 디코더
5: 프리차지 펄스 발생기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탈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2개의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인코딩 펄스 발생 수단; 상기 인코딩 펄스 발생 수단으로부터 상기 클럭 펄스를 입력받아 두 신호를 하나의 전송 라인으로 출력하는 인코딩 수단; 상기 인코딩 펄스 발생 수단으로부터 상기 클럭 펄스를 입력받아 2개의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디코딩 펄스 발생 수단; 외부로부터 상기 클럭 펄스를 입력받아 프리차지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프리차지 펄스 발생 수단; 및 상기 디코딩 펄스 발생 수단 및 상기 프리차지 펄스 발생 수단으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인코딩 수단으로부터 하나의 전송라인으로 입력된 신호를 2개의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디코딩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디지탈 데이터 전송 장치의 블럭도로서, 도면 부호 1은 인코딩 펄스 발생기, 2는 인코더, 3은 디코딩 펄스 발생기, 4는 디코더, 5는 프리차지 펄스 발생기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디지탈 데이터 전송 장치의 세부도이다.
인코딩 펄스 발생기(1)를 우선 살펴보면, 도면부호 6 및 10은 지연 소자, 7은 인버터, 8은 NOR 게이트, 9는 인버터이다. 외부에서 클럭 신호(clk)을 입력받아 클럭신호(clk)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전이되는 순간을 감지하여 펄스1(pulse1)을 출력한다. 지연 소자(6)는 펄스1의 폭을 결정한다. 지연소자(10)는 펄스1을 입력받아 펄스2를 출력한다. 또 펄스1을 버퍼링(11)하여 디코딩 펄스 발생기(3)로 전달한다.
인코더(2)에서 스위칭 소자(12)는 비트0가 하이인 경우 펄스1 신호를 통과시키며 이 통과된 신호는 풀다운(pulldown) 트랜지스터(14)의 값을 이겨내고 NOR 게이트의 입력값으로 전달된다. 또 로우(low)인 경우 펄스1 신호를 통과시키지 않으며 노드F를 풀다운 트랜지스터(14)에 의해 로우로 유지한다. 스위칭 소자(13)는 비트1이 하이인 경우 펄스2 신호를 통과시키며 이 통과된 신호는 풀다운 트랜지스터(15)의 값을 이겨내고 NOR 게이트(16)의 입력값으로 전달된다. 또 로우인 경우 펄스2 신호를 통과시키지 않으며 노드 G를 풀다운 트랜지스터(14)에 의해 로우로 유지한다. 비트0, 비트1은 최소한 클럭 신호가 하이인 동안 유지되어야만 한다. NOR 게이트(16)는 노드 F, 노드 G의 값을 입력으로 받아 펄스1이 하이인 구간에는 노드 F의 값을, 로우인 구간에는 노드 G의 값을 출력한다. 인버터(17)는 NOR 게이트(16)의 값을 입력으로 받아 출력을 디코더(4)에 전달한다.
디코딩 펄스 발생기(3)에서 버퍼(18)는 인코딩 펄스 발생기(1)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펄스3으로 출력한다(펄스3은 비트0/1 신호에서 비트0 값으로 분리하기 위한 신호임). 지연 소자(19)는 펄스3을 지연시켜 펄스4를 출력한다(펄스4는 비트0/1 신호로부터 비트1을 분리하기 위한 신호임). 펄스1, 펄스2 사이의 시간 지연만큼 펄스3, 펄스4 사이에서 유지하기 위해 지연소자(10, 19)의 크기는 일치해야만 한다.
디코더(4)에서 트랜지스터(25, 26)는 펄스5를 게이트 입력으로 받아 노드 A, 노드 B를 프리차지시킨 다음 버퍼(20)가 인코더(2)의 출력을 입력받아 비트0/1을 출력한다. AND 게이트(21)는 비트0/1, 펄스3을 논리곱(AND) 연산하여 비트0/1으로부터 bit0가 실린 부분만을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AND 게이트(22)는 비트0/1, 펄스4를 논리곱 연산하여 비트0/1으로부터 비트1이 실린 부분만을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트랜지스터(23)는 AND 게이트(21)의 출력을 입력받아 입력이 로우인 경우 노드A값을 하이로 유지하고, 입력이 하이 펄스인 경우 노드 A의 값이 로우로 변한다. 노드 A의 값은 인버터(31)로 입력되어 디코더(4)의 일출력신호(dcoBit0)로 출력된다. 트랜지스터(24)는 AND 게이트(22)의 출력을 입력받아 입력이 로우인 경우 노드 B값을 하이로 유지하고, 입력이 하이 펄스인 경우 노드 B의 값이 로우로 변한다. 노드 B의 값은 인버터(32)의 입력으로 들어가 디코더(4)의 일출력신호(dcoBit1)로 출력된다.
프리차지 펄스 발생기(5)에서는 클럭 신호(clk)중 로우에서 하이로 전이되는 부분을 감지하여 노드 A, 노드 B를 프리차지시키기 위하여 펄스5를 만들어낸다. 펄스5의 폭은 지연소자(27)에 의해 결정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디지탈 데이터 전송 장치의 타이밍도로서,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 설명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도1과 구성이 유사하지만 인코더(2) 및 디코더(4)를 다수개 연결한 것이며, 동작은 상기한 것과 동일하게 동작된다.
본 실시예는 8비트의 신호라인을 4비트로 줄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N 비트 전송라인을 N/2로 줄이는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디지탈 전송 장치는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 및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칩 설계시 블럭간 라우팅 수를 줄임으로서 라인간 스페이스를 확보하여 서브마이크론에서 발생하는 크로스토크 노이즈를 방지하여 칩의 속도 개선 및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디지탈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2개의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인코딩 펄스 발생 수단;
    상기 인코딩 펄스 발생 수단으로부터 상기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두 신호를 하나의 전송 라인으로 출력하는 인코딩 수단;
    상기 인코딩 펄스 발생 수단으로부터 상기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2개의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디코딩 펄스 발생 수단;
    외부로부터 상기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프리차지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프리차지 펄스 발생 수단; 및
    상기 디코딩 펄스 발생 수단 및 상기 프리차지 펄스 발생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인코딩 수단으로부터 하나의 전송라인으로 입력된 신호를 2개의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시분할 디지탈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펄스 발생 수단은,
    상기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펄스 발생 수단;
    상기 펄스 발생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링 수단; 및
    상기 펄스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펄스 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하는 제1 지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디지탈 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수단은,
    상기 인코딩 펄스 발생 수단으로부터 펄스를 입력받아 값이 하이이면 출력하는 제1 및 제2 스위칭 수단;
    상기 제1 스위칭 수단이 도통되면 제1 전송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제1 풀다운 수단; 및
    상기 제2 스위칭 수단이 도통되면 제2 전송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제2 풀다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디지탈 전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펄스 발생 수단은,
    상기 인코딩 펄스 발생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입력를 입력받아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버퍼링 수단;
    상기 버퍼링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디지탈 전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수단은,
    상기 인코딩 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버퍼링하는 버퍼링 수단;
    상기 디코딩 펄스 발생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를 상기 버퍼링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제1 및 제2 논리곱 연산 수단;
    상기 프리차지 펄스 발생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프리차지시키는 제1 및 제2 프리차징 수단;
    상기 제1 프리차징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논리곱 연산 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풀다운 수단;
    상기 제2 프리차징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논리곱 연산 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풀다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디지탈 전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펄스 발생 수단 및 상기 디코딩 펄스 발생 수단은 동일한 시간 간격의 지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시분할 데이터 전송 장치.
  7. 디지탈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2개의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인코딩 펄스 발생 수단;
    상기 인코딩 펄스 발생 수단으로부터 상기 클럭 펄스를 입력받아 두 신호를 하나의 전송 라인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인코딩 수단;
    상기 인코딩 펄스 발생 수단으로부터 상기 클럭 펄스를 입력받아 2개의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디코딩 펄스 발생 수단;
    외부로부터 상기 클럭 펄스를 입력받아 프리차지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프리차지 펄스 발생 수단; 및
    상기 디코딩 펄스 발생 수단 및 상기 프리차지 펄스 발생 수단으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인코딩 수단으로부터 하나의 전송라인으로 입력된 신호를 2개의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시분할 디지탈 전송 장치.
KR1019970018018A 1997-05-09 1997-05-09 시분할 디지탈 데이터 전송장치 KR100228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018A KR100228338B1 (ko) 1997-05-09 1997-05-09 시분할 디지탈 데이터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018A KR100228338B1 (ko) 1997-05-09 1997-05-09 시분할 디지탈 데이터 전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912A true KR19980082912A (ko) 1998-12-05
KR100228338B1 KR100228338B1 (ko) 1999-11-01

Family

ID=1950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018A KR100228338B1 (ko) 1997-05-09 1997-05-09 시분할 디지탈 데이터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3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8338B1 (ko)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605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전력소모 방지 장치
EP0822663B1 (en) Separate set/reset paths for time critical signals
US6518792B2 (en) Method and circuitry for a pre-emphasis scheme for single-ended center taped terminated high speed digital signaling
KR100789195B1 (ko)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반도체 집적 회로
US6163545A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across multiple clock domains
US5522048A (en) Low-power area-efficient and robust asynchronous-to-synchronous interface
KR100209224B1 (ko) 고속 다중화기
US5818366A (en) Reduced transistor-count data storage and multiplexing system
US5306959A (en) Electrical circuit for generating pulse strings
KR0147197B1 (ko) 다수채널의 펄스폭 변조회로
KR100228338B1 (ko) 시분할 디지탈 데이터 전송장치
US5113187A (en) CMI encoder circuit
EP0839424B1 (en) Extended chip select reset apparatus and method
KR100873159B1 (ko) 전송선과 스위칭수를 줄이는 하이브리드 터너리 인코딩전송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는 래퍼 회로
KR100810800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송신기 회로, 수신기 회로, 정보 전송 방법
JPS63167496A (ja) 半導体メモリ装置
KR100281141B1 (ko) 입/출력인터페이스장치
KR0157880B1 (ko) 클럭 스큐 제거장치
KR0166834B1 (ko) 노이즈 제거 입력회로
KR100273308B1 (ko) 데이터 입/출력 회로
KR10024066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어드레스 천이 검출회로
US6822486B1 (en) Multiplexer methods and apparatus
KR100249176B1 (ko) 출력 버퍼 회로
US20020158668A1 (en) CMOS bus pulsing
JPH08204128A (ja) 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lsi装置とその機能切換方法、及び演算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