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1022A - 칼라감열 프린터 및 칼라감열 프린트방법 - Google Patents

칼라감열 프린터 및 칼라감열 프린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1022A
KR19980081022A KR1019980011612A KR19980011612A KR19980081022A KR 19980081022 A KR19980081022 A KR 19980081022A KR 1019980011612 A KR1019980011612 A KR 1019980011612A KR 19980011612 A KR19980011612 A KR 19980011612A KR 19980081022 A KR19980081022 A KR 19980081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aterial
thermal
light
recording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사키히데미
타카토리나오키
카야아키마사
Original Assignee
무네유키마사유키
후지샤신휘루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499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783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8499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7832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3666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78080A/ja
Application filed by 무네유키마사유키, 후지샤신휘루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무네유키마사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81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02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41J11/0021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using irradiation
    • B41J11/00214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using ir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3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rmal heads
    • B41J2202/32Thermal head for perforating stenc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3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rmal heads
    • B41J2202/34Thermal printer with pre-coating or post-proces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감열프린터는 감열기록지와 함께 사용되고, 그 기록지는 지지체와, 지지체상에 형성되고 열에 의해 발색가능하고 자색광 또는 자외선에 의해 정착가능한 최소한 하나의 감열발색층으로 이루어진다. 기록지는 기록영역과, 그 사이에 기록영역이 형성된 제1 및 제2 측면부를 가진다. 감열프린터는 반송경로를 따라 기록지를 반송하는 반송롤러세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는 반송경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설정된다. 반송경로를 따라 기록지가 반송되는 동안, 서멀헤드는 발색층에 열을 가하여 회상을 기록하고, 정착기는 기록지에 자색광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발색층을 정착한다. 최소한 2개의 가이드톱니부, 즉 제1 및 제2 톱니부가 정착기와 기록지 사이에 배치되고, 반송경로를 따라 각각 제1 및 제2 측면부를 가이드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톱니부에 인접하여 각각 제1 및 제2 갭이 형성되고, 이 갭들은 자색광 또는 자외선이 정착기와 기록지 사이를 통과하여 제1 및 제2 측면부를 정착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칼라감열 프린터 및 칼라감열 프린트방법
본 발명은 칼라감열프린터 및 칼라감열 프린트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록 후의 칼라감열 기록재료의 전표면이 정착되고 표백될 수 있는 칼라감열프린터 및 칼라감열 프린트방법에 관한 것이다.
직접방식의 칼라감열프린터는 감열기록분야에서 공지이고, 3색 프레임순차방법으로 풀칼라(full-collor)화상을 기록하기 위해 작동된다. 직접방식의 풀칼라 감열기록재료는, 지지체를 포함하여, 시안(cyan)감열발색측, 마젠타(magenta)감열발색층, 옐로우(yellow)감열발색층이 순차적층으로 형성되어 있고, 최상층을 이루는 옐로우감열발생층의 열감도가 가장 높고, 최하층을 이루는 시안감열발색층의 열감도가 가장 낮다. 3색 화상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순번으로 기록되지만, 마젠타 감열발색층의 기록의 경우에, 옐로우 감열발색층내의 미발색성분이 발색하지 않도록, 옐로우화상의 기록 후에 옐로우용 정착램프에 의해 420nm의 보라색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정착한다. 마찬가지로, 마젠타 감열발색층의 기록 후에, 마젠타용 정착램프에 의해 365nm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마젠타 감열발색층을 정착한다. 또한, 칼라감열기록재료의 미기록부분은 담황녹색을 띠고 있으므로, 시안 감열기록의 후에, 마젠타용 정착램프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미기록부분을 표백한다.
이와 같이, 직접방식의 감열기록에서는 칼라감열기록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멜트형(melt-type) 또는 왁스전사형(wax transfer type) 열전사 프린터와 같이 잉크리본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리본 반송기구 등이 필요치 않게 되고, 그 만큼 구성이 간단하게 되는 반면, 상기와 같이 옐로우 및 마젠타용의 정착램프에 의해 각각의 색을 열기록한 후에 그 열기록한 감열발색층이 다음의 색을 열기록할 때 발색하는 일이 없도록, 정착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 정착은 상기 소정의 파장영역을 가지는 자외선램프 등이 사용된다.
그런데, 칼라감열 기록재료에 대하여 정착램프를 위쪽으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기록재료의 전면에 걸쳐 조사할 수 있으나, 정착램프를 기록재료의 아래쪽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기록재료를 그 저면과 접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이 가이드부재는 광정착이 충분히 행해지도록 기록재료의 폭방향 양단부만을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재에 의해 기록재료의 폭방향 양단부에 미정착영역이 띠모양(belt-shape)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 미정착영역을 표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들 가이드부재로부터 송출된 기록재료에 대하여 별도로 형성된 자외선램프에 의해 표백할 필요가 있고, 정착램프의 다른 표백용램프가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 후의 기록재료의 전체표면을 확실히 정착하고 표백할 수 있도록 한 칼라감열프린터 및 칼라감열 프린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프린팅조작의 종료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칼라감열프린터 및 칼라감열 프린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열기록지의 여백이 향상된 효율로 정착되고 표백되는 칼라감열프린터 및 칼라감열 프린트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칼라감열 프린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b는 칼라감열 기록지의 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급지유닛과 프린트유닛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급지유닛과 프린트유닛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급지유닛의 평면도.
도 5는 급지유닛의 배면도.
도 6은 급지유닛의 중간 가이드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 4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급지플레이트의 조립상태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급지롤러와 내측 가이드메커니즘을 예시하는 도 4의 VIII-VIII선을 따르는 확대단면도.
도 9는 급지유닛의 좌측면도.
도 10은 급지유닛의 클러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급지모터에 의해 플래튼 승강캠을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급지유닛의 우측면도.
도 12는 급지카세트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4에서의 XII-XII선에 따르는 확대한 단면도.
도 13은 기록지의 급지도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프린트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페이퍼가이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기록재료의 후단부를 표백하기 위하여 일시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정착기를 구비한 레일유닛을 나타내는, 도 16의 XVII-XVII선을 따라 확대한 단면도.
도 18은 칼라감열 프린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9a 및 19b는 칼라감열 프린터의 처리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도 20은 기록재료 후단부의 표백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도 21은 기록지가 겹쳐서 공급된 우발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2a는 직사각형의 톱니를 가지는 또 다른 바람직한 레일의 측면도.
도 22b는 봉모양의 톱니를 가지는 또 다른 바람직한 레일의 측면도.
도 22c는 삼각프리즘형의 톱니를 가지는 또 다른 바람직한 레일의 측면도.
도 23은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기록재료 후단부의 표백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도 24는 기록지공급의 상태에 있는 또 다른 바람직한 칼라감열 프린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5는 감열기록의 스타트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6은 감열프린터의 조작을 나타내는 플로챠트.
도 27은 기록영역의 정착의 스타트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8은 선단부의 정착의 스타트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9는 선단부의 연속정착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0은 기록지가 경사지게 반송되는 또 다른 바람직한 감열프린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1은 기록지공급의 상태에 있는 또 다른 바람직한 칼라감열 프린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2는 감열기록의 스타트상태를 내타내는 개략도.
도 33은 기록영역의 정착의 스타트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4는 칼라감열 기록지의 평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칼라감열 프린터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챠트.
도 36은 선단부의 연속정착시의 칼라감열 프린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7은 배지시의 칼라감열 프린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8은 감열기록지가 경사지게 반송되는 또 다른 바람직한 감열프린터를 설명하는 개략도.
상기 목적과 본 발명의 장점을 성취하기 위하여, 감열프린터는 감열기록재료와 함께 사용되며, 상기 기록재료는 지지체와, 그 지지체상에 형성되고 열에 의하여 발색가능하고 전자(電磁)광에 의하여 정착가능한 최소한 하나의 감열발색층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기록재료는 기록영역과 그 기록영역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측면부를 가진다. 감열프린터는 반송경로를 따라 기록재료를 반송하는 반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는 반송경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성정된다. 기록재료가 반송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동안, 서멀헤드는 발색층에 열을 가하여 화상을 기록하고, 정착기는 기록재료에 전자광을 조사하여 발색층을 정착한다. 최소한 2개, 즉 제1 및 제2 가이드톱니부는 정착기와 기록재료의 사이에 배치되어, 반송경로를 따라 각각 제1 및 제2 측면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톱니부에 인접한 위치에 제1 및 제2 갭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갭은 정착기와 기록재료 사이로 전자광이 통과하여 제1 및 제2 측면을 정착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톱니부는 투명하다.
서멀헤드와 정착기는 반송경로 밑에 배치되고, 기록재료는 지지체가 상향으로 놓인 상태로 반송된다.
기록재료는 제1 및 제2 여백을 포함하고, 기록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측면과 제1 및 제2 여백에 의해 둘러싸인다. 반송유닛은 반송경로를 따라 제1 및 제2 여백중의 하나를 전진시킴으로써 기록재료를 반송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반송유닛과 정착기를 제어하고, 컨트롤러는 반송유닛를 제어하여 기록영역이 정착기를 지나서 반송되도록 하고, 기록영역이 반송되는 동안 정착기를 제어하여 기록영역에 전자광을 조사하도록 하여 기록영역을 정착하고, 이어서 반송유닛을 제어하여 제1 여백이 정착기를 지나서 반송되도록 하고, 제1 여백이 반송되는 동안 정착리를 제어하여 제1 여백에 전자광을 조사하여 정착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측면부가 제1 및 제2 갭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정착된다.
최소한 하나의 발색층은 서로 상이한 색으로 발색가능한 최소한 제1 내지 제3 발색층으로 이루어지고, 제1 발색층은 기록표면에 형성되고, 제3 발색층은 기록표면으로부터 가장 깊은 위치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발색층은 각각 제1 및 제2 파장범위의 전자광에 의해 정착가능하다. 정착기는 제1 파장범위의 전자광을 방출하여 제1 발색층을 정착하는 제1 정착램프를 포함한다. 제2 정착램프는 제2 파장범위의 전자광을 방출하여 제2 발색층을 정착하고, 제2 정착램프는 기록영역과 그에 이어서 제1 여백에 제2 파장범위의 전자광을 조사함으로써, 제1 여백은 정착되고 표백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톱니부는 각각 빗살(comb)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톱니들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갭을 구성한다.
컨트롤러는 반송유닛을 제어하여 기록영역을 제1 속도로 정착기를 지나 반송하여 기록영역을 정착하도록 하고, 또한 반송유닛을 제어하여 제1 속도보다 작은 제2 속도로 정착기를 지나 제1 여백을 반송하여 제1 여백을 정착하고 표백하도록 한다.
컨트롤러는 반송유닛을 제어하여 제1 여백을 간헐적으로 정착기를 지나 반송하여 제1 여백을 정착하고 표백하도록 한다.
감열프린터는 프린터본체를 더 포함한다. 그 프린터본체에는 기록재료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구가 형성된다. 반송유닛은 제1 여백을 전진시킴으로써 프린터본체에 기록재료를 공급하고, 기록재료의 기록 및 정착 후에, 제2 여백을 전진시킴으로써 출입구로부터 기록재료를 배출한다.
반송경로는 제1 여백이 통과하여 전진하도록 개록재료를 공급하는 급지통로를 포함한다. 프린트 통로는 상기 급지통로로부터 하류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서멀헤드와, 정착기와 제1 및 제2 가이드톱니부를 포함하고, 반송유닛은 그 사이를 통과하여 기록재료를 왕복으로 반송한다. 배출통로는 프린트 통로로부터 연장하여 급지통로와 프린트 통로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고, 기록재료가 상기 프린트 통로를 통하여 반송된 후, 제2 여백의 전진에 따라 기록재료를 배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전자광이 기록영역에 조사된 후, 반송유닛을 제어하여 제1 여백이 정착기에 마주 대하도록 하고, 반송유닛을 제어하여 소정의 스트로크 범위내에서 기록재료를 왕복으로 반송하도록 하고, 정착기를 제어하여 제1 여백에 전자광을 조사하여 정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전자광이 기록영역에 조사된 후, 반송유닛을 제어하여 제1 여백이 정착기에 마주 대하도록 하고, 반송유닛을 제어하여 기록재료를 간헐적으로 반송하도록 하고, 기록재료가 간헐적으로 반송되는 동안, 정착기를 제어하여 제1 여백에 전자광을 조사하여 제1 여백을 정착시키도록 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발색층에 열이 가해지기 전에, 반송유닛을 정지시키고 기록재료가 제1 여백과 함께 정착기에 마주 대하도록 하고, 제1 여백이 정착기와 마주 대하고 있는 동안, 정착기를 제어하여 제1 여백에 전자광을 조사하여 제1 여백을 정착시키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애 의한 칼라감열프린터 9는 급지유닛 10과 프린트유닛 11과 캐비넷 즉 프린터본체 12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트유닛 11의 급지측에는 급지유닛 10이 장착되어 일체화된다. 급지유닛 10 및 프린트유닛 11은 캐비넷 12 내에 조립된다. 급지유닛 10에는 수동으로 하나의 칼라감열 기록지 13을 세트한다. 또한 기록지 13의 수동삽입 대신에 급지카셋 14를 사용할 수 있다. 뒤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밖에 급지카셋 14를 사용하여 여러장의 기록지 13을 프린터유닛 11로 자동급지할 수 있다.
기록지 13으로서는 광정착형 직접감열 풀칼라 감열기록지가 사용되고 공지되어 있다. 도 1b에서, 기록지 13은, 지지체 13d에 대하여 시안 감열발색층 13g, 마젠타 감열발색층 13f, 옐로우 감열발색층 13e가 차례로 층을 형성하고 있고, 가장 바깥쪽의 옐로우 감열발색층의 열감도가 가장 높다. 시안 감열발색층 13g는 가장 낮은 열감도를 가진다. 옐로우 감열발색층 13e는 420nm의 보라색 가시광선에 의해 발색능력이 소실되고, 마젠타 감열발식층 13f는 365nm의 자외선으로 발색능력이 소실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유닛 10은 급지프레임 15와, 급지프레임 15내에 조립되는 급지플레이트 16과, 급지롤러 17과, 급지가이드유닛 18과, 배지부(ejector) 19로 구성되어 있다. 급지플레이트 16은 반송경로에 포함되어 있는 급지통로로서 작용한다. 급지프레임 15는 한 쌍의 측판 15a, 15b와, 이들 측판을 연결하는 기판 15c로 구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프레임 15내에는 지지축 16a를 중심으로 하여 급지플레이트 16이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급지플레이트 16은 코일스프링 10에 의해 상방으로 바이어스되어 있고, 이에 따라 급지플레이트 16에 탑재된 기록지 13을 급지롤러 17에 밀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플레이트 16의 지지축 16a는 그 중심이 급지플레이트 16의 기록지적재면에 일치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이로써 지지축 16a의 상반분(上半分)이 급지플레이트 16의 적재면 위로 돌출해 있다. 지지축 16a는 원통형의 봉상을 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 16a는 지지축의 상반분을 삭제한 절반 원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지지축 16a은 급지프레임 15에 형성한 축공 15d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넣지만, 그 대신에 급지프레임 15측에 지지축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축수용부(axial receiving portion)를 형성할 수도 있다. 축수용부는 지지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면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통체나 절반 원통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지플레이트 16의 기록지 적재면에 일치하도록 지지축 16a를 형성함으로써, 기록지의 사용과 함께 급재플레이트 16상의 기록지의 매수가 적어져도 기록지를 급지롤러에 확실히 밀어줄 수가 있고, 급지롤러로부터 기록지가 탈락할 염려가 없어진다.
급지롤러 17은 급지플레이트 16의 선단부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급지롤러 17은 롤러축 17a와, 급지롤러 17상에 서로 거리를 두고 고정되어 있는 2개의 고무 롤러 17b, 17c로 구성되어 있다. 급지롤로 17은 급지플레이트 16 상의 최상층의 기록지 13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급지가이드유닛 18을 향하여 기록지 13을 송출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가이드유닛 18은 급지프레임 15 내에 세로형으로 배치된 5매의 가이드플레이트 22∼26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상단면이 기록지 13의 가이드면 22a∼26a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5매의 가이드플레이트는 급지플레이트 16의 중심선의 연장선상에 배치한 1매의 중앙부 가이드플레이트 22와, 이 중앙부 가이드플레이트 22로부터 양측에 거리를 두고 배치된 내측 가이드플레이트 23, 24와, 그 외축에 배치된 외측 가이드플레이트 25, 26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 가이드플레이트 22에는 스토퍼블록 3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스토퍼블록 30은 급지플레이트 16으로부터 송출된 기록지 13의 선단이 닿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블록 30은 고무로 만든 대략 장방형체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플레이트 22의 가이드면 22a에 대하여 그 규제면(표면) 30a가 경사를 이루어 교차하도록 그 하류측 상단부 30b가 가이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스토퍼블록 30은 중앙부 가이드플레이트 22에 형성된 컷아웃 22b내에 장착되어, 도 4에 나타낸 지지 브라켓 31에 의해 컷아웃 22b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도록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블록 30의 상단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규제면 30a을 이루고 있으나, 그 대안으로서, 직사각형의 스토퍼블록을 그대로 사용하고, 상단면이 가이드면 22a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중앙부 가이드플레이트 22상에 경사지게 장착할 수도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가이드플레이트 23, 24는 급지롤러 17의 고무 롤러 17b, 17c의 하측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가이드플레이트 23의 상단에지 23a와 급지롤러 17과의 간극 G는, 기록지 13의 두께를 t라 할 때,
t ≤ G 2t, 즉. 1매 이상 2매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내측 가이드플레이트 23의 급지플레이트측의 단면 23b에 의해 최상층 기록지를 제거하고 2매째 이하의 기록지 13의 이송이 규제됨으로써, 다중 이송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단 에지 23a와 급지플레이트측의 단면 23b이 만드는 코너 23c는 45도의 각도로 절취하여 면취가공(faceting)이 되어 있고, 이 면취량 C1은 기록지의 두께 t에서 1.5매분(C1 = 1.5t)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급지플레이트로부터 가이드플레이트 23으로의 기록지 13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 이 면취가공은 실행하지 않아도 좋고, 또한 면취량 C1은 1.5t에 한정됨이 없이 적절하게 증감하면 된다.
외측 가이드플레이트 25, 26은 중앙부 가이드플레이트 22와 동 형상의 가이드면 25a, 26a를 각각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중앙부 가이드플레이트 22와 같이, 스토퍼블록 30을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착용 컷아웃 22b 및 지지 브라켓 31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중앙부 가이드플레이트 22 및 외측 가이드플레이트 25, 26은 급지플레이트 16으로부터 가이드플레이트 22, 25, 26에 기록지 13이 원활하게 반송되도록, 원형으로 절단되어 있다. 중앙부 가이드플레이트 22 및 외측 가이드플레이트 25, 26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단 에지와 급지롤러의 간극 G가 t ≤ G 2t 의 구조를 갖지 않는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 플레이트 16의 선단부에는 각 가이드플레이트 22∼26이 삽입되는 컷아웃 16c가 형성되어 있고, 급지 플레이트 16으로부터 가이드플레이트 22∼26으로의 기록지 13의 반송이 가일층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지부 19는 배지롤러 33과 경로선택기구 34로 구성되어 있다. 배지롤러 33은 급지롤러 17에 대하여 급지측의 경사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지롤러축 33a의 축단부에는 구동기어 35가 배치되어 있고, 이 기어 35는 중간기어 36, 37을 거쳐 프린트유닛 11 측의 구동기어 38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구동기어 35는 코일스프링 39를 사용하여 배지롤러축 33a에 마찰결합되어 있고, 배지롤러 33 측으로 소정치 이상의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배지롤러축 33a를 중심으로 구동기어 35가 회전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롤러 17의 롤러축 17a의 축단부에는 기어 40이 고정되어 있다. 이 기어 40에는 유성(遊星)클러치 41 즉 유성기어메커니즘을 거쳐 급지모터 42의 구동축 42a가 연결되어 있다. 급지모터 42의 구동축 42a에는 웜(worm) 43이 고정되어 있고, 여기에 웜휠(worm wheel) 44가 맞물리게 되어 있다. 웜휠축 44a에는 중간기어 45가 고정되어 있고, 이 중간기어 45에 유성클러치 41의 태양기어(sun gear) 46이 맞물려 있다.
유성클러치 41은 태양기어 46과 동축으로 장착된 스윙암(swing arm) 47과, 이 스윙암 47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태양기어 46에 맞물리는 유성기어 4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윙암 47과 태양기어 46의 사이는 약하게 마찰결합되어 있고, 그 마찰력으로 태양기어 46의 회전방향으로 스윙암 47이 연동된다. 이로써, 유성기어 48이 태양기어 46의 회전방향으로 운동하여 각각의 구동기어 40, 49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스토퍼 53에 맞닿으면, 태양기어 46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마찰결합으로 인해 스윙암 47은 정지한다. 이와 같이, 태양기어 46이 급지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회전에 의해 스윙암 47이 급지측 구동기어 40에 맞물리게 되고, 급지모터 42의 회전이 급지롤러17에 전달되어, 이것을 급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태양기어 46이 급지방향과 반대측으로 회전하면, 스윙암 4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유성기어 48이 플래튼 승강캠(platen lifter cam)측 구동기어 49에 맞물리게 되고, 플래튼 승강캠 50을 회전시킨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 승강캠 50에는 중앙부 가이드플레이트 22의 스윙프레임 68의 캠폴로워(cam follower) 85가 접촉하고 있다. 스윙프레임 68은 플래튼 승강캠 50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고,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플래튼롤러 51을 승강시킨다. 이렇게 하여, 플래튼롤러 51은 기록지 13을 서멀헤드 52의 발열소자어레이 52a에 압착시키는 압착위치(도 1의 실선표시)와 이 압착을 개방하는 리트랙트위치(도 1의 2점쇄선표시)의 사이에서 변위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지롤러축 33a에는 경로선택기구 3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배지롤러축 33a를 중심으로 하여 경로선택기구 34는 피봇가능하게 되어 있다. 경로선택기구 34의 선단에는 컷아웃 34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컷아웃 34a에 급지 가이드유닛 18의 각 가이드플레이트 22∼26의 상단부가 삽입된다. 따라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지 13의 급지를 종료한 후에, 급지방향과는 반대의 프린트방향(화살표 B)으로 기록지 13이 이송될 때, 급지 가이드유닛 18상의 기록지 13의 후단이 바로 취해지고, 배지롤러 33측으로 안내된다. 경로선택기구 34는 바이어스 브라켓 55에 의해 기록지 13에 대한 가이드위치쪽으로 바이어스된다. 또는 경로선택기구 34는 바이어스브라켓 55에 의해 스윙을 저항하는 방삭으로 가이드 위치에 유지된다.
바이어스 브라켓 55의 선단은 급지롤러축 17a상에 유지된다. 그리고 급지시에는, 도 13에서와 같이, 기록지 13의 선단으로 경로선택기구 34가 위쪽으로 밀려서 열리고, 기록지 13이 프린트유닛 11측으로 이송된다. 또, 바이어스 브라켓 55 대신에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거나, 경로선택기구 34의 자중을 이용하거나 하여 경로선택기구 34를 가이드위치로 바이어스할 수도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프레임 15 내에는, 급지 플레이트 16의 위쪽에서 배지롤러 33의 기록지 출구측 위치에서, 배지가이드유닛 56이 장착되어 있고, 이 배지 가이드유닛 56에 의해 배지통로 5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지통로 57의 아래쪽 플레이트 56a는 수동급지시의 상부 가이드유닛으로서도 기능한다.
여러장의 기록지 13을 자동급지하는 경우에는, 급지카세트 14를 급지구 61에 삽입함으로써 장착한다. 급지 카세트 14는 각통형(角筒形)으로 되어 있고, 최대로 20매의 기록지 13이 수납가능하게 되어 있다. 급지카세트 14는 물론 상이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지 카세트 14는 기록지 13이 자외선에 노출되어 발색능력이 저하하는 일이 없도록 광차단상태로 기록지 13을 유지한다. 이 때문에 급지카세트 14에는 도시되지 않은 캡이 부착되어 있고, 급지유닛 10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는 이 캡에 의해 기록지 13이 광차단상태로 유지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유닛 11은 크게 나누어서, 프린트기판 63, 섀시 64, 드라이브유닛 65 헤드지지판 66, 컨베어프레임 67 즉 프린트통로, 스윙프레임 68, 헤드커버 69 및 용지가이드유닛 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컨베어프레임 67은 반송경로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본체 12는 높이가 낮은 박스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에는 조작패널 71이 장착되어 있다. 조작패널 71은 디스플레이 및 키입력부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터본체 12 내에는 그 하부에 프린트기판 63이 설치된다. 프린트기판 63에는 각부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가 조립되어 있고, 그 회로를 구성하는 IC, 트랜지스터, 저항, 콘덴서 등의 각종 전장부품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린트기판 63에는 옐로우 및 마젠타 정착램프 72, 73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린트기판 63의 정착램프 72, 73을 덮도록 상기 섀시 64가 장착되어 있다.
정착램프 72는 옐로우용이고, 420nm의 파장영역의 보라색 가시광선을 방출하여 기록지 13의 옐로우 감열발색층 13e를 정착하고, 다음의 마젠타 기록시에 옐로우성분이 발색하지 않도록 한다. 정착램프 73은 마젠타용이고, 365nm의 파장영역의 자외선을 방출하고, 마젠타 감열발색층 13f를 정착하여 다음의 시안기록시에 마젠타성분이 방색하지 않도록 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착램프 72, 73은 실질적으로 봉(棒)모양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봉형상의 정착램프 72, 73은 단부 72a, 73a를 제외한 중앙부분에서 정착광량이 일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그 중앙부분의 정착광량 일정영역을 사용하여 기록지 13의 정착이 이루어진다. 또, 정착광량이 저하하는 양단부를 그대로 연장하면, 정착램프 72, 73의 길이에 의해 칼라감열 프린터본체 12의 폭이 증가하고, 프린터본체 12의 소형화가 방해를 받는다. 그러나 큰 길이를 갖는 정착램프 72, 73를 L자형으로 구부려서 양단부 72a 및 73a가 직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정착광량 일정영역을 확보한 상태에서 정착램프의 칼라감열 프린터에서의 폭방향 길이를 억제할 수 있다.
섀시 64는 1매의 금속판을 채널형상으로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정착램프 72, 73의 조사용 개구 6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사용 개구 64a의 양측은 반송프레임의 장착브라켓 64b, 64c로 되어 있다. 또한 급지측에는 급지유닛 장착브라켓 64d가, 반대측에는 헤드 장착브라켓 64e가 형성되어 있다.
컨베어프레임 67에는 반송롤러세트 75 및 플래튼롤러 51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반송롤러세트 75는 캡스턴롤러(capstan roller) 75a와 닙(nip)롤러 75b로 구성되어 있다. 캡스턴롤러 75a의 축단에는 기어(도시되지 않음)가 고정되어 있고, 이 기어에 드라이브유닛 65의 롤러구동기어 78이 맞물림으로써, 캡스턴롤러 75a를 화살표 A로 나타낸 금지방향과, 급지방향과는 반대인 화살표 B로 나타낸 프린트방향으로 회전한다.
반송롤러세트 75의 급지측인 컨베어프레임 67에는, 한 쌍의 페이퍼가이드 80이 설치되어 있다. 페이퍼가이드 80은 기록지 13의 폭방향 양단부 13a를 유지하고, 기록지 13을 반송롤러세트 75로 안내한다. 이 페이퍼가이드 80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홈 80a를 가진 단면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페이퍼가이드 80의 아래쪽 레일저부 81은 일정피치로 정착광조사용 갭 82를 가지는 빗살(comb)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이퍼가이드 80에서 가이드되는 기록지 13의 폭방향 양단부가 이 광조사 갭 82를 거쳐 확실하게 정착된다. 이렇게 해서 기록지 13의 폭방향 양단부에 미표백부가 벨트모양으로 남는 일이 없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 레일저부 81의 각 레일톱니(rail teeth) 81a는 그 상단면의 각진 부분이 면취(面取)되어 있고, 그 면취부(facet) 81b에 의해 정착램프 73의 조사광이 기록지 13에 충분히 조사된다.
페이퍼가이드 80의 부분가운데에는, 양단부 13a에 대한 광조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최소한 레일저부는 투명재료로 형성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롤러 51은 컨베어프레임 67의 슬롯 67a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축단부는 스윙프레임 6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윙프레임 68의 1단부는 컨베어프레임 67의 단부에 지지축 67b를 이용하여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윙프레임 68의 타단부에는 코일스프링 83이 장착되어 있고, 스윙프레임 68을 아래쪽으로 바이어스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 83의 타단은 급지유닛 10의 급지프레임 15로부터 이어서 설치한 스프링장착 브라켓 84에 장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윙프레임 68에는 캠폴로워 85가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구부려서 형성되고, 이 캠폴러어부 85에 상기 플래튼승강캠 50이 접촉한다.
도 1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롤러 51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서멀헤드 52가 헤드장착판 66을 거쳐 섀시 64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장착판 66에는 방열 핀(fin) 86이 설치되어 있어서, 서멀헤드 52에서 발생한 열이 방열된다. 또한, 서멀헤드 52에는 헤드커버 69가 설치되어 있고, 이 헤드커버 69는 기록지 13을 가이드한다. 또한 정착램프 72, 73의 위쪽에는 상부 용지가이드유닛 70이 컨베어프레임 67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부 용지가이드유닛 70에는 센서설치기판 89가 장착되어 있다. 이 센서설치기판 89에는 램프조도센서, 기록지의 후단검출센서, 캡스턴롤러의 회전을 검출하는 센서 등이 배치되어 있다.
드라이브유닛 65는 드라이브프레임 92에 기어트레인 93과 컨베어모터 94를 조립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어트레인 93은 캡스턴롤러 75a의 기어에 맞물려 이것을 회전하는 롤러구동기어 78과, 배지롤러 33을 회전하기 위한 배지측 중간기어 37(도 9 참조)과 맞물리는 배지구동기어 38을 구비하고 있다. 기어트레인 93은 컨베어모터 94의 구동을 각 롤러 75a, 33에 전달하고, 이들 롤러 75a, 33의 원주속도를 일정하게 하고, 도 1 및 도 14의 화살표 A로 표시한 급지방향 또는 화살표 B로 표시한 프린트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스윙프레임 68, 플래튼승강캠 50에 의해, 승강기구 97(도 18 참조)이 구성된다. 이 승강기구 97에 의해 플래튼롤러 51이 압착위치와 리트랙트위치의 사이에서 변위된다. 압착위치에서는, 서멀헤드 52의 발열소자어레이 52a에 의해 기록지 13이 압착된다. 발열소자어레이 52a는 플래튼롤러 51의 축방향으로 다수의 발열소자가 라인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열기록시에는 화상데이터에 대응하여 각 발열소자가 구동됨으로써, 3색면 순차적으로 풀칼라화상을 기록지 13에 기록한다.
각 정착램프 72, 73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고,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정착램프 72, 73의 사이에는 조도센서 98이 배치되어 있고, 각 정착램프 72, 73의 조도를 측정한다. 이 조도센서 98의 신호는 램프인버터회로 99에 보내어져 조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정착램프 72, 73의 전압이 조정된다.
도 18은 칼라감열프린터 9의 전기적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컨트롤러 100은 공지의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고, 디지털스틸카메라, 비디오레코더, 텔레비전, 퍼스널컴퓨터 등의 비디오기기 101로부터의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작패널 71로부터의 프린트조작 지령신호 및 기록지 선후단검출센서 102의 검출신호에 의해, 드라이버 103, 104, 승강기구 97, 프린트제어부 105, 램프인버터회로 99, 카운터 107을 제어하여, 기록지 13에 전 칼라화상을 기록한다.
컨트롤러 100은 드라이버 103을 거쳐 급지모터 4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급지모터 42의 정회전에서는 유성클러치 41의 유성기어 48이 급지롤러측 구동기어 40과 맞물리고, 급지롤러 17을 급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급지모터 42의 역회전에서는, 유성기어 48이 플래튼승강캠측 구동기어 49에 맞물리고, 플래튼승강캠 50을 플래튼압착위치 또는 플래튼 리트리트(retreat)위치에 설정한다.
또한, 컨트롤러 100은, 드라이버 104를 거쳐 컨베어모터 94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정회전에서는 캡스턴롤러 75a를 제1방향 A로 회전시키고, 기록지 13을 급지방향으로 보낸다. 또한 역회전에서는 캡스턴롤러 75a를 제2방향 B로 회전시켜, 기록지 13을 급지방향과는 반대인 프린트방향으로 보낸다. 상기 컨베어모터 94에 의한 기록지 13의 이송시에는, 컨트롤러 100은 카운터 107을 거쳐 롤러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회전량센서 108로부터의 펄스를 카운트한다. 이 카운트는 선후단센서 102의 기록지 후단검출신호에 기초하여 개시된다. 기록지 13을 프린트방향으로 보낼 때에는 상기 펄스를 업카운트하고, 기록지 13을 급지방향으로 보낼 때에는 펄스를 다운카운트한다. 이렇게 하여 이송중의 기록지 13과 서멀헤드 52의 발열소자어레이 52a의 상대위치관계가 검출된다. 그리고, 기록지의 이송정지위치, 이송개시위치, 발열소자어레이에 대한 기록지의 압착개시위치나 압착해제위치, 기록개시위치나 기록종료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선후단센서 102는 중간기어들 36 및 37의 사이에서 중간기어 37 부근에 배치되어 있고, 기록지 13의 제1단 즉 후단통과를 검출하는 외에, 기록지 13의 제2단 즉 선단통과도 검출한다.
물론 회전량센서 108은 한 번에 하나의 펄스를 발생하여, 캡스턴롤러 75a는 유닛회전량 만큼 회전한다.
프린트제어부 105는 1프레임분의 3색화상데이터를 기억한 메모리와 헤드드라이버로 구성되고, 각 색의 회상데이터에 대응하여 발열소자어레이 52a의 각 발열소자를 구동한다. 상기 발열소자는 화상데이터 및 기록할 색에 대응하여 발열하고, 기록지 13을 소망의 농도로 발색시킨다. 램프인버터회로 99는 옐로우용 정착램프 72와 마젠타용 정착램프 73을 조도센서 98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일정한 발광량으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1 프레임분의 용량을 구비할 필요는 없고, 단지 몇 라인분을 기억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비디오기기 101측으로부터 프린트의 진행상태에 맞추어 축차(逐次)화상데이터를 감열프린터 9로 수 라인단위로 전송하도록 한다.
다음에,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플로챠트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을 간단히 설명한다. 조작패널 71을 조작하여 프린트를 지시하면, 급지모터 42 및 컨베어모터 94가 급지방향으로 회전된다. 급지플레이트 16 상에 기록지 13이 없는 경우에는, 급지지시가 조작패널 71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수동의 경우에는 기록지 13을 급지플레이트 16에 세트하여 급지롤러 17와의 사이에 삽입한다. 이로써 기록지 13은 급지롤러 17의 회전에 의해 프린트유닛 12로 이송된다.
기록지 13의 제2단 즉 선단이 반송롤러세트 75를 통과한 시점에서 급지모터 42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 통과의 검출은 선후단센서 102가 기록지 13의 선단통과를 검출한 때부터 소정시간(선단검출하고 나서 기록지의 선단이 반송롤러세트 75로 이송될 때까지의 시간)을 경과하였는가로 판정된다. 또, 이러한 검출 대신에 기록지의 제2단 즉 선단을 직접 검출하는 센서를 반송롤러세트 75 근처에 별도로 장착해도 된다. 그 후는 반송롤러세트 75에 의해 기록지 13이 급지방향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기록지 13의 제1단 즉 후단이 선후단센서 102를 통과하면, 컨베어모터 94의 회전이 정지되어 급지를 종료한다.
다음에, 컨베어모터 94가 프린트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이송중에 프린트가 행하여진다. 이 프린트처리에서는 상기 카운터 107의 카운트값에 기초하여, 컨트롤러 100은 서멀헤드 52의 압착재시위치, 열기록재시위치, 열기록정지위치, 서멀헤드 52의 리트리트(retreat)개시위치, 기록지 13의 이송정지위치 등을 결정한다. 우선, 압착개시위치가 결정된다. 이 압착개시위치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모터 42가 급지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역방향회전에 의해 유성클러치 41의 유성기어 48이 플래튼승강캠측 구동기어 49에 맞물리고, 플래튼승강캠 50을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해 플래튼승강캠 50이 리프트위치로부터 하강위치로 설정되므로, 스윙프레임 68이 하강하고, 플래튼롤러 51이 압착위치에 설정된다. 플래튼롤러 51이 압착위치에 오면 유성클러치 41이 정지된다.
다음에, 서멀헤드 52의 발열소자어레이 52a에 기록지 13의 기록개시위치가 도달한 시점에서 옐로우화상의 열기록이 개시된다. 그리고, 상기 옐로우화상의 기록중에는 옐로우용 정착램프 72가 온되고, 옐로우 감열발색층 13e가 광정착되고, 다음의 마젠타 또는 시안기록시에 이 감열기록층이 발색하는 일이 없게된다. 옐로우화상의 기록을 종료하고, 플래튼롤러 51이 압착해제위치에 오게 되면, 급지모터 42의 반급지방향회전에 의해 플래튼승강캠 50이 반(半)회전한다. 이로써, 플래튼롤러 51이 리트리트위치로 설정된다. 그 후, 컨베어모터 94의 프린트방향의 회전이 정지된 후에, 컨베어모터 94가 급지방향으로 회전되고, 기록지 13이 프린트개시위치까지 되돌려진다.
이하에서 마찬가지로, 마젠타, 시안의 순으로 열기록이 행하여지고, 3색면 순차기록에 의해 풀칼라화상이 기록된다. 그리고, 마젠타열기록시에는 마젠타용 정착램프 73가 온으로 되고, 마젠타 감열기록층이 광정착된다. 또한, 시안감열기록시에도, 마젠타용 정착램프 73이 온으로 되고, 거의 황록색을 띠고 있는 미기록부분이 표백된다. 시안감열기록을 종료하면, 기록지 13은 그대로 배지구 62(도 1 참조)로 송출된다.
기록재료 13의 제1단 즉 후단이 마젠타용 정착램프 73의 조사영역을 통과할 때에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재료 후단부의 표백처리가 행해진다. 이 표백처리에서는 우선, 기록재료 13의 배출중에 기록재료의 후단이 마젠타용 정착램프 73의 조사영역으로 들어갔는가 여부가 검출된다. 이 검출은 예를 들면, 시안기록을 종료한 후의 기록재료 13의 이송량을 검출하고, 그 이송량이 미리 구해 놓은 수정치(정상적으로 기록재료 후단부가 정착광량 조사영역에 도달한 때의 기록재료 이송량에 상당하는 값)에 도달하였는가 여부에 따라 행한다. 후단이 마젠타용 정착램프의 조사영역에 도달한 때에는, 컨베어모터가 일시정지되고, 이 정지중에 마젠타정착램프 73으로부터의 조사에 의해 기록재료의 후단부가 충분히 표백된다. 다음에, 상기 정착광 조사용 갭 82의 이송방향 길이만큼만 기록재료 13이 이송된 후에 정지한다. 이러한 간헐적인 이송에 의해, 전회의 일시정지중에 기록재료 13의 폭방향 양단부 13a의 레일톱니 81a로 정착광이 차단된 부분이 정착광 조사용 갭 82에 위치하므로, 이 부분도 확실히 표백된다. 상기 일시정지 후에, 컨베어모터가 소정량 회전하고, 기록재료가 배출된다. 또, 일시정지는 표백광량에 도달할 때까지 행하여진다.
여러장의 프린트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지구 61에 급지카세트 14를 장착한다. 급지카세트 14는 수납한 기록지 13을 광에 대해 기밀하게 유지한다. 급지모터 42가 급지방향으로 회전하면 급지가 개시된다. 이러한 급지시에 도 8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가이드플레이트 23, 24의 가이드면 23a, 24a와 급지롤러 17과의 간극 G가 기록지 13의 두께를 t라 할 때,
t ≤ G 2t,
즉 1매이상 2매미만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최상층의 기록지 13 이외는 그 내측 가이드플레이트 23, 24의 규제면 23a, 24a에서 이송이 규제되기 때문에, 다중이송이 발샐할 수가 없다.
또 감열프린터 9의 규정된 종이 두께보다 얇은 기록지를 사용한 경우나, 어떤 이유에서 2매째의 기록지 13이 최상층의 기록지와 동시에 급지가이드측으로 이송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도,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블록 30의 규제면 30a에 2매째의 기록지 13의 선단이 걸려서 이송이 정지되므로, 최상층의 기록지 13만이 프린트유닛 11로 이송되어, 다중 이송이 확실히 방지된다.
서멀헤드 52나 반송롤러세트 75의 위치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순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옐로우기록 후의 급지방향 이송시에 옐로우 발색층 13e를 정착하도록 하거나, 옐로우기록시의 프린트방향 이송과 그 후의 급지방향 이송과의 양쪽에서 정착을 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래튼롤러 51을 승강시켰으나, 그 대신에 서멀헤드 52측을 승강시키는 반면에 플래튼롤러 51은 정지형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캡스턴롤러 75a의 실제 회전을 회전량센서 108로 검출하도록 하였으나, 대안으로서 컨베어모터 94로서 펄스모터를 사용하고, 이 펄스모터의 구동펄스수를 카운트함으로써 기록지 13의 프린트 내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급지플레이트를 스윙가능하게 하고 여러장의 기록지를 수납하도록 하였으나, 대안으로서 급지플레이트를 평행이동시켜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페이퍼가이드 80의 레일톱니 81a와 조사용 갭 82와의 기록재료 이송방향에서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였으나, 이것은 적절히 변경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레일톱니 81a의 기록재료 이송방향에서의 길이를 조사용 갭 82의 기록재료 이송방향에서의 길이와 비교하여 크게 취함으로써, 기록재료의 양단부 13a의 표백을 좋은 효율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레일톱니 81a의 형상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이 사각형의 박판형 레일톱니 120을 가지는 가이드 즉 레일유닛 121이나,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상 즉 원통형의 레일톱니 122를 가지는 가이드유닛 123이나, 도 2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각프리즘형의 레일톱니 124를 가지는 가이드유닛 125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록재료 13을 일시정지함으로써 기록재료 후단부 13b를 표백하도록 하였으나, 그 밖에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재료 후단부 13b가 마젠타용 정착램프 73의 조사영역에 도달했을 때에 기록재료 13의 이송속도를 감속하고, 이 감속에 의해 기록재료의 후단부 13b 및 양단부 13a를 표백하기에 충분한 정착광량으로 조사해도 된다. 이 경우에, 도 15에서 기록재료 13의 후단 13c가 마젠타용 정착램프 73의 조사영역을 통과하여 표백이 종료한 후는 초기의 이송속도로 되돌아가서 기록재료 13을 배출한다. 또, 이와 같이 후단부 13b의 표백완료 후에 기록재료 13의 이송속도를 초기의 이송속도로 되돌리는 대신에 감속한 상태로 기록재료 13을 배출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급지플레이트 16의 지지축 16a를 기록지 적재면에 일치시켰으나, 그 밖에 지지축 16a를 급지플레이트 16의 후단부의 적절한 위치, 예를 들면 기록지 적재면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배치하여도 된다. 또한, 급지플레이트 16을 지지축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설치하는 외에, 레일 등의 가이드부재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시프트가능하게 설치하여도 된다.
이하에서 도 24∼도 30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프린트종료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일본국 특개평 8-17488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칼라감열 프린터는, 단순화 구조의 급지기구를 구비한 소형화된 프린터본체를 특징으로 한다. 이 프린터의 경우, 열기록중에 칼라감열기록지의 일부가 칼라감열프린터 외부로 노출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칼라감열프린터에 의한 프린터상황을 칼라감열기록지의 이동에 의해 확인할 수 있게 되지만, 칼라감열기록지의 이동이 정지하는 미정착부의 표백시에, 프린트동작이 종료한 것으로 오해하여, 기록지의 처리가 종료되지 않았을 때에도 칼라감열기록지를 무리하게 칼라감열프린터로부터 꺼내게 된다.
상기 문제점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칼라감열프린터 202에서 해소된다. 프린터본체 203은 감열프린터 202의 여러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감열프린터 202의 전면패널에는 사용되지 않은 칼라감열기록지 204가 수동삽입되고, 프린트가 끝난 칼라감열기록지가 배출되는 기록지출입구 205가 배치된다. 이 기록지출입구 205의 반대쪽에는 프린트중에 칼라감열기록지 204의 일부를 프린터본체 203 외부로 돌출시키는 보조구 206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칼라감열기록지 204의 일부를 프린트중에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프린터본체 203 내의 칼라감열기록지 204의 반송경로를 단축하고, 칼라감열프린터 202의 크기를 축소한다.
기록지출입구 205의 내부에는, 기록지출입구 205에 삽입된 칼라감열기록지 204의 1단 204a를 검출하는 반사형 포토센서 208이 배치되고, 드 내부에는 제1 반송롤러세트 즉 배출롤러세트 209와, 광정착기 210과, 제2 반송롤러세트 즉 반송롤러세트 211과, 서멀헤드 212 및 플래튼롤러 213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롤러세트 209는 기록지출입구 205로부터 기록지 204를 끼워넣어 프린터본체 203으로 공급한다. 또한 프린트완료 후, 배출롤러세트 209는 기록지를 상기 출입구 205를 통해 배출한다. 배출롤러세트 209는 직접구동되는 캡스턴롤러 215와, 캡스턴롤러 215와 함께 회전구동되는 닙(nip)롤러 216으로 구성된다. 닙롤러 216은 도시되지 않은 약한 바이어스력을 가지는 스프링에 의해 캡스턴롤러 215에 항상 압접하고 있다.
상기 반송롤러세트 211은 열기록시에 서멀헤드 212에 대하여 칼라감열기록지를 상대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구동되는 캡스턴롤러 218과, 이 캡스턴롤러 218과 함께 회전하는 직경이 작은 닙롤러 219로 구성되어 있다. 닙롤러 219는 도시되지 않은 바이어스력이 강한 스프링에 의해 캡스턴롤러 218에 항상 압접하고, 칼라감열기록지 204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반송한다.
배출롤러세트 209의 캡스턴롤러 215와 반송롤러세트 211의 캡스턴롤러 218은 스테핑모터 221에 의해 구동되고, 이 스테핑모터 221의 회전은 각각 동축의 풀리 222, 223, 224와, 이들 풀리에 채워진 벨트 225 및 236에 의하여 각각의 캡스턴롤러 215, 218에 전달된다.
상기 광정착기 210은 배출롤러세트 209 및 반송롤러세트 211의 사이에 배치된다. 광정착기 210은 옐로우 정착램프 226, 마젠타 정착램프 227 및 반사기(reflector) 228로 구성된다. 옐로우 정착램프 226은 피크파장이 420nm인 자색(紫色)가시광선 또는 근자외선을 조사하여 옐로우 발색층을 정착한다. 마젠타정착램프 227은 피크파장이 365nm인 자외선을 조사하여 마젠타발색층을 정착한다. 반사기 228은 상기 정칙램프 226 및 227의 상면과 측면을 덮고 자외선을 감열기록지 204를 향해 반사한다.
서멀헤드 212는 다수의 발열소자가 칼라감열기록지 204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라인형으로 배열된 발열소자어레이 212a를 구비하고, 도시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발열소자어레이 212a는 칼라감열기록지 204의 각 감열발색층에 적합한 열에너지를 발생한다.
서멀헤드 212는 도시되지 않은 회전운동기구에 의해 축 23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지레버 23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열기록시에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으로 회전하여 서멀헤드 212의 발열소자어레이 212a와의 사이에 칼라감열기록지 204를 끼워 넣는다.
감열기록지 204는 지지체상에 시안 감열발색층, 마젠타 감열발색층 및 옐로우 감열발색층을 포함한다. 상기 기록지 204의 3색 발색층에 블랙(black) 감열발색층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작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감열프린터 202는 예를 들면 컴퓨터와 같은 비디오기기에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가 컴퓨터를 통하여 프린트개시명령을 내리면, 프린트데이터는 컴퓨터에 의해 감열프린터 202로 전달되고, 감열프린터 202는 프린트준비를 행하게 된다.
감열프린터 202가 프린트준비를 완료하면, 예를 들면 프린터본체 203의 전면에 형성된 기록지 삽입램프(도시되지 않음)을 점멸시켜서 프린트준비의 완료를 알려주는 동시에, 칼라감열기록지 204의 공급을 촉구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칼라감열기록지 204를 기록지출입구 205에 삽입하면, 칼라감열기록지 204의 제1단 204a가 배출롤러세트 209를 밀게 된다. 그 도중에 칼라감열기록지 204의 제1단 204a가 반사형 포토센서 208에 검지된다. 반사형 포토센서 208이 칼라감열기록지 204의 제1단 204a를 검출하면, 그 검출신호에 응담하여 스테핑모터 221이 도면상의 시계방향으로 정회전을 개시하고, 풀리 222, 223, 224, 벨트 225, 226을 거쳐 캡스턴롤러 215를 도면상의 시계방향을 향하여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여 캡스턴롤러 215에 맞닿게 된 닙롤러 216이 반시계방향으로 종속회전하고, 칼라감열기록지 204의 제1단 204a를 물게된다.
배출롤러세트 209가 이송한 감열기록지 204는 제1단 204a가 반송롤러세트 211에 의해 물릴 때까지 광정착기 210 아래로 이동한다. 감열기록지 204는 제1 및 제2 반송롤러세트 209 및 211에 의해 서멀헤드 212와 플래튼롤러 213의 사이로 오게 되고, 보조개구 206로부터 돌출하게 된다(도 25 참조). 스테핑모터 221은 정지하는 한편, 감열기록지 204의 제2단 204b는 반송롤러세트 211에 의해 스퀴즈된 상태를 유지한다.
감열기록지 204의 반송이 정지하면, 회전기구(도시되지 않음)는 지지레버 231을 회전시켜 플래튼롤러 213을 서멀헤드 212로 움직이게 한다. 감열기록지 204는 플래튼롤러 213과 서멀헤드 212의 발열소자어레이 212a와의 사이에 스퀴즈된다.
스테핑모터 221이 역회전하면, 반송롤러세트 211은 제2단 204b를 전진시킴으로써 감열기록지 204를 반송한다. 플래튼롤러 213은 감열기록지 204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반송도중에 기록영역의 개시위치가 발열소자어레이 212a에 도달하면, 발열소자는 옐로우발색층에 라인순차적으로 기록되는 옐로우화상의 각 화소에 대응하여 열에너지를 발생한다.
옐로우기록이 행해진 후 감열기록지 204는 배출롤러세트 209에 의해 다시 물리고, 기록지출입구 205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감열기록지 204에 옐로우기록이 종료하면, 서멀헤드 212는 구동을 정지한다. 플래튼롤러 213은 서멀헤드 212로부터 멀리 떨어진 리트랙트위치로 회전한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핑모터 221은 감열기록지 204의 제1단 204a가 반송롤러세트 211에 의해 물린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스테핑모터 221이 정지한 직후, 옐로우 정착램프 226이 온된다. 스테핑모터 221은 다시 정회전을 개시하여 제1단 204a를 전진시킴으로써 감열기록지 204를 보조개구 206 방향으로 반송한다. 상기 반송도중 옐로우 정착램프 226은 420nm의 근자외선을 감열기록지 204에 조사함으로써, 옐로우발색층을 정착하여 마젠타기록 과정에서 더 이상의 옐로우 발색을 방지한다. 도면에서, L자는 감열기록지 204상의 단부영역을 나타낸다. 옐로우정착 과정중에 옐로우 정착램프 226은 단부영역 L로 광을 조사하지 않는다.
감열기록지 204의 기록영역의 프론트에지는 반송되어 발열소자어레이 212a로 되돌아 온다. 스테핑모터 221은 정지하여 옐로우정착램프 226을 오프시킨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롤러 213은 다시 서멀헤드 212로 밀려난다. 스테핑모터 221은 역회전하여 제2단 204b를 전진시킴으로써 감열기록지 204를 반송한다. 서멀헤드 212는 마젠타발색층에 열에너지를 가하여 마젠타색을 감열기록지에 기록한다.
감열기록지 204의 제1단 204a의 기록영역의 말단위치에 마젠타화상이 기록된 후, 플래튼롤러 213은 다시 리트리트위치로 변위되고, 감열기록지 204를 압력으로부터 해제시키고(도 27 참조), 스테핑모터 221는 정지한다. 다음에, 마젠타정착램프 227이 온된다. 스테핑모터 221은 다시 정회전을 개시하여 제1단 204a를 전진시킴으로써 감열기록지 204를 보조개구 206 방향으로 반송한다. 반송중에 마젠타정착램프 227은 365nm의 자외선을 감열기록지 204에 조사하여 마젠타발색층을 정착함으로써, 시안기록과정에서 더 이상의 마젠타발색을 방지한다.
감열기록기 204의 기록영역의 프론트에지는 발열소자어레이 212a로 반송된다. 플래튼롤러 213은 감열기록을 위해 서멀헤드 212를 향하여 다시 밀려난다. 스테핑모터 221은 역회전하여 제2단 204b를 전진시킴으로써 감열기록지 204를 반송한다. 서멀헤드 212는 감열기록지에 시안칼라를 기록한다.
세가지 발색층에 대한 감열기록이 완료된 후, 플래튼롤러 213은 리트리트위치로 되돌아 간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핑모터 221은 역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단부영역 L이 마젠타정착램프 27과 맞닿기 전에 감열기록지의 일부를 기록지출입구 205로부터 돌출시키고 정지한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젠타 정착램프 227은 상기 스테핑모터 221이 정지한 직후 점등된다. 다음에 스테핑모터 221은 감열기록지 204의 단부영역 L이 마젠타 정착램프 227의 조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정방향 및 역방향회전을 번갈아하게 된다. 따라서 감열기록지 204의 단부영역 L은 광학적으로 정착되고 표백된다.
사용자는 감열기록지 204의 왕복운동을 보고 프린트조작의 종료상태를 확인한다. 단부영역 L이 표백되는 동안에는 감열기록지 204가 정지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표백공정을 잘못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감열기록지 204는 기록지출입구 205로부터 꺼내지지 않고 유지된다. 단부영역 L은 정착되고 적절히 표백된다.
단부영역 L의 정착을 위해 감열기록지 204가 왕복반송된 후에, 스테핑모터 221은 역방향으로 계속 회전한다. 감열기록지는 출입구 205로부터 배출된다.
상기한 설시예에서, 감열기록지 204는 수평방향으로 반송된다. 대안으로서, 감열기록지 204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진 방향으로 반송될 수 있다. 칼라감열프린터 240은 감열기록지 204가 공급되는 기록지출입구 241를 가진다. 서멀헤드 242는 감열기록지 204에 3색의 프린트를 행하고, 이 기록지는 광정착기 243에 의해 정착된다. 감열기록지 204의 일부는 보조개구 245를 통하여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감열기록지 204는 프린트조작 후에 기록지출입구 241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감열기록지 204는 단부영역 L을 표백하기 위해 좁은 범위내에서 왕복반송된다. 대안으로서 감열기록지 204는 더 좁게 설정된 단위길이 만큼 좁은 범위내에서 간헐적으로 반송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서멀헤드는 단일 서멀헤드로서 3회의 감열기록에 사용되는 1-헤드 3-패스형이다. 물론 본 발명의 서멀프린터는 3개의 서멀헤드가 하나의 풀칼라화상의 1회의 감열기록을 위해 사용되는 3-헤드 1-패스형이 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감열프린터는 풀칼라화상을 기록하는 칼라프린터이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감열프린터는 단색프린터일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감열기록지는 낱장으로 프린트조작에 사용된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타입의 감열프린터에서 기록지가 연속으로 이어져서 프린터에 공급되는 연속된 감열기록지의 롤이 사용될 수 있다. 연속기록지는 프린트 후에 낱장으로 절단될 수 있다.
도 31∼37에 나타낸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감열기록지의 여백은 감열기록 전, 기록지의 공급 직후에 정착되고 표백된다.
기록지출입구 305의 안쪽 위치에 반사형 포토센서 308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것은 기록지출입구 305내로 삽입되는 칼라감열기록지 304의 제1단 304a의 라인을 검출한다. 프린터의 내측에는 컨베어유닛으로서 제1 컨베어롤러세트 즉 급지롤러세트 309와, 광정착기 310과, 마이크로스위치 314와, 제2의 컨베어롤러세트 즉 반송롤러세트 311과, 서멀헤드 312와, 플래튼롤러 313이 장착된다. 칼라감열프린터 302는 컴퓨터로 구성된 컨트롤러 322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포토센서 308이 감열기록지 304의 제1단 304a의 라인을 검출하면, 포토센서 308은 검출신호를 출력하여 컨트롤러 322로 보낸다.
급지롤러세트 309의 캡스턴롤러 315와 반송롤러세트 311의 캡스턴롤러 318은 스테핑모터 321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스테핑모터 321은 컨트롤러 322에 의해 제어되는 드라이버 323에 의해 구동된다.
도 32에서, 감열기록지 304는 제2단 304b를 도면상의 왼쪽으로 전진시킴으로써 반송되고, 이 때 서멀헤드 312는 3색 화상을 감열기록한다. 도 33에서, 감열기록지 304는 제1단 304a를 도면상의 오른쪽으로 전진시킴으로써 반송되고, 이 때 광정착기 310는 발색층을 광학적으로 정착한다. 도 34에서, 화상이 없이 형성되어 있는 공백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한 기록영역상에 풀칼라화상이 기록된다. 감열기록지 304의 제1단 304a상에 형성된 단부영역 L은 프린트조작중에 광정착기 310와 접하게 되는 일이 없다. 상기 단부영역 L에 포함되어 있는 영역 L1이 반사기 328로부터 반사된 광에 의해 정착되지만, 단부영역 L내의 영역 L2는 반송롤러세트 311에 의해 물려있으므로 정착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마이크로스위치 314는 감열기록지 304의 제1단 304a의 라인과 접하는 플런저 314a를 포함한다. 제1단 304a의 접촉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 314가 온된다. 마이크로스위치 314는 검출신호를 발생하여 컨트롤러 322로 보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행에 있어서, 감열기록지 304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급지구 305로 삽입된다. 감열기록지 304의 제1단 304a는 급지롤러세트 309에 의해 접촉이 이루어진다. 감열기록지 304가 삽입되는 동안, 제1단 304a의 라인은 상기 포토센서 308에 의해 감지되고 그 검출신호는 컨트롤러 322로 보내진다.
상기 포토센서 308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컨트롤러 322는 드라이버 323이 스테핑모터 321을 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여 캡스턴롤러 315 및 31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핀치롤러(pinch roller) 316이 캡스턴롤러 315와 접속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감열기록지 304의 제1단 304a를 물게된다.
급지롤러세트 309에 의해 반송된 감열기록지 304는 광정착기 310 밑으로 이송된다.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단 304a는 마이크로스위치 314의 플런저 314a와 접촉하게 된다. 마이크로스위치 314가 온되면 그 스위치로부터 컨트롤러 322로 신호가 송신되고, 신호에 응답하여 스테핑모터 321이 정지한다. 결과적으로 감열기록지 304의 제1단 304a의 단부영역 L은 정지되고 마젠타 정착램프 327에 마주 대하게 된다(도 34 참조).
스테핑모터 321이 정지함과 동시에 컨트롤러 322는 광정착기 310의 마젠타 정착램프 327을 점등하여 제1단 304a와 도 34에 나타낸 곡선쇄선 335 사이에 형성된 영역을 표백한다. 이 표백영역은 프린트공정중에 표백될 영역 L1과 중첩된다. 결과적으로 단부영역 L의 전체가 표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감열기록지 304의 단부영역은 프린트개시 전에 감열기록기가 급지되면서 표백된다. 프린트가 종료된 후 감열기록지는 즉시 배출될 수 있다. 감열기록지는 감열기록에 뒤이은 표백공정중에 프린터본체로부터 강제로 빼내어 지지않도록 방지될 수 있다. 프린트를 위한 대기단계는 프린트 총 소요시간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어 왔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전 표백공정을 활용함으로써 풀칼라화상을 얻는 데 필요한 총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컨트롤러 322에 의해 마젠타 정착램프 327이 소정의 시간동안 점등상태를 유지한 후, 컨트롤러 322는 마젠타 정착램프 327을 소등한다. 프린터가 다시 프린트동작을 위해 대기상태로 오게되면, 컨트롤러 322는 다시 스테핑모터 321을 회전시킨다.
감열기록지 304는 제1단 304a가 전진하는 상태에서 급지롤러세트 309에 의해 서멀헤드 312 방향으로 반송된다. 감열기록지 304는 반송롤러세트 311에 의해 물린다. 감열기록지 304는 급지롤러세트 309 및 반송롤러세트 311에 의해 서멀헤드 312와 플래튼롤러 313 사이로 반송된다.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열기록지 304는 보조개구 306을 통해 감열프린터 302의 내부로부터 돌출된다. 컨트롤러 322는 감열기록지 304의 제2단 304b가 반송롤러세트 311에 의해 물려 있는 상태에서 스테핑모터 321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참고번호 303은 프린터본체를 나타내고, 312a는 발열소자어레이, 319는 닙롤러, 326은 옐로우 정착램프, 330은 축, 그리고 331은 지지레버를 나타낸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감열기록지 304는 수평방향으로 반송된다. 대안으로서 감열기록지는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방향으로 반송될 수 있다. 칼라감열프린터 340은 감열기록지 304가 공급되는 기록지출입구 341를 가진다. 서멀헤드 342는 감열기록지 304에 3색의 프린트를 행하고, 이 기록지는 광정착기 343에 의해 정착된다. 감열기록지 304의 일부는 보조개구 345를 통하여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감열기록지 304는 프린트조작 후에 기록지출입구 341을 통하여 배출된다. 감열프린터 340은 물론 감열기록지 304의 하나의 단부 라인을 검출하는 마이크로스위치 346을 가진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감열기록지는 프린트 동작중에 프린터의 내부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감열프린터는 프린트 동작중에 감열기록지 전체가 프린터본체 내에 포함되는 형태의 것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0 및 도 38에 나타낸 실시예는 정착기와 서멀헤드 사이에 반송롤러가 없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한 직립형 감열프린터는 정착기와 서멀헤드 사이에 반송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는 다양한 변경과 변형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함이 없는 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 개시된 바와 같다.

Claims (26)

  1. 감열기록재료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감열프린터로서, 상기 기록재료는 지지체와, 그 지지체상에 형성되고 열에 의해 발색가능하며 전자(電磁)광에 의해 정착가능한 최소한 하나의 감열발색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기록재료는 실질적으로 상호 평행한 제1 및 제2 측면부를 가지는 감열프린터에 있어서,
    반송경로를 따라 상기 기록재료를 반송하는 페이퍼공급기와,
    상기 기록재료가 상기 반송경로를 따라 반송되는 동안, 가열하여 상기 발색층을 발색하는 서멀헤드와,
    발색된 상기 기록재료가 광조사영역을 지나서 반송되는 동안 상기 기록재료에 상기 전자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발색층을 정착하는 정착기와,
    상기 반송경로상에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를 각각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페이퍼가이드와,
    상기 광조사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페이퍼가이드의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측면부를 향하여 상기 전자광을 통과시키는 제1 및 제2 갭을 포함하는 복수의 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페이퍼가이드는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페이퍼가이드는 채널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멀헤드 및 상기 정착기는 상기 반송경로 밑에 배치되고, 상기 기록재료는 상향하여 배치된 상기 지지체와 함께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색층중의 최소한 하나는 상기 지지체상에 순차적으로 중첩된 최소한 제1 내지 제3 발색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발색층은 제1 및 제2 파장범위를 각각 가지는 상기 전자광에 의해 정착가능하고, 상기 제3, 제2 및 제1 발색층은 프레임순차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발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기는 상기 반송경로의 방향에 교차하여 연장하는 제1 및 제2 정착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제1 정착램프는 상기 제1 파장범위를 가지는 상기 전자광을 상기 기록재료에 조사하여 상기 제3 발색재료를 정착하고,
    상기 제2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제2 정착램프는 상기 제2 파장범위를 가지는 상기 전자광을 상기 기록재료에 조사하여 상기 제2 발색재료를 정착하고,
    상기 제1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제2 정착램프는 상기 제2 파장범위를 가지는 상기 전자광을 상기 기록재료에 조사하여 상기 화상의 외부에 위치한 단부영역을 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페이퍼가이드는 빗살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갭은 상기 복수의 톱니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톱니는 단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톱니는 봉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톱니는 다각형 프리즘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공급기는, 발색되고 정착될 상기 기록재료를 그 사이에 물로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롤러의 쌍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캡스턴롤러와, 핀치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롤러, 상기 정착기, 상기 반송롤러의 쌍, 그리고 상기 서멀헤드는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반송롤러의 쌍은, 제1 및 제2의 방향으로 상기 기록재료를 왕복 반송하고, 상기 제1의 방향은 상기 서멀헤드로부터 상기 정착기 방향이며 상기 제2의 방향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역방향이고, 상기 반송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의 방향 사이에서 상기 반송롤러가 상기 기록재료의 제1 또는 제2 단부영역을 물었을 때 전환되고,
    상기 서멀헤드는, 상기 제1단을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기록재료가 반송되는 동안 상기 화상을 기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정착램프는, 상기 제1 또는 제2의 방향으로의 전진에 의해 상기 기록재료가 반송되는 동안 상기 기록재료를 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반송롤러의 쌍은 회전하여 상기 단부영역을 상기 반송롤러의 쌍을 지나가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제2 단부영역이 상기 반송롤러의 쌍을 통과하여 이동된 후에, 상기 배출롤러는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상기 기록재료를 반송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착램프는, 상기 기록재료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반송되어 상기 제1 발색층을 발색한 후 상기 기록재료를 배출하는 동안, 상기 단부영역에 상기 제2 파장범위를 가지는 상기 전자광을 조사하여 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롤러의 배출속도는, 상기 단부영역이 상기 제2 정착램프의 광조사영역을 지나서 이동할 때,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롤러는, 상기 제2 단부영역이 상기 제2 정착램프의 광조사영역을 지나서 이동할 때, 상기 제1의 방향에서의 상기 갭의 폭인 단위길이만큼 상기 기록재료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착램프는 상기 반송롤러의 쌍에 더 근접하고, 상기 제2 정착램프는 상기 배출롤러에 더 근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19. 감열기록재료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감열프린터로서, 상기 기록재료는 제1 및 제2 단부를 구비한 시트형상을 하고, 지지체와, 그 지지체상에 순차적으로 중첩되고 열에 의해 서로 상이한 색으로 발색가능한 최소한 제1 내지 제3 발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2 발색층은 각각 제1 및 제2 파장범위의 전자광에 의해 정착가능한 감열프린터에 있어서,
    반송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서멀헤드와, 한 쌍의 반송롤러와, 정착기와, 최소한 하나의 배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롤러의 쌍은 상기 기록재료를 물고 제1 및 제2의 방향으로 왕복하여 반송하고, 상기 제1의 방향은 상기 서멀헤드로부터 상기 정착기를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의 방향은 상기 제1의 방향의 반대방향이고, 상기 반송롤러의 쌍은 상기 기록재료의 제1단부 또는 제2단부를 상기 반송롤러가 물고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의 방향 사이에서 전환되고,
    상기 제1단부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기록재료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연속하여 3회 반송되는 동안, 상기 서멀헤드가 가열되어 상기 제3, 제2 및 제1 발색층을 프레임순차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발색하고,
    상기 제3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제1 또는 제2의 방향으로 상기 기록재료가 반송되는 동안, 상기 정착기는 상기 기록재료의 광조사영역내에 상기 제1 파장범위의 전자광을 조사하여 상기 제3 발색층을 정착하고, 상기 제2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제1 또는 제2의 방향으로 상기 기록재료가 반송되는 동안, 상기 정착기는 상기 기록재료의 광조사영역내에 상기 제2 파장범위의 전자광을 조사하여 상기 제2 발색층을 정착하고, 상기 기록재료가 상기 제1 또는 제2의 방향으로 반송되어 상기 제1 발색층을 발색하고 상기 기록재료를 배출하는 동안, 상기 정착기는 상기 기록재료의 광조사영역내에 상기 제2 파장범위의 전자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반송롤러의 쌍을 통과하여 반송된 후, 상기 배출롤러와 상기 반송롤러의 쌍 사이의 범위내에서 상기 배출롤러가 상기 제2 단부를 왕복으로 복수회 반송하고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상기 기록재료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롤러는 상기 광조사영역에서 상기 제2단부를 왕복하여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21. 감열기록재료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감열프린터로서, 상기 기록재료는 제1 및 제2 단부를 구비한 시트형상을 하고, 지지체와, 그 지지체상에 순차적으로 중첩되고 열에 의해 서로 상이한 색으로 발색가능한 최소한 제1 내지 제3 발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2 발색층은 각각 제1 및 제2 파장범위의 전자광에 의해 정착가능한 감열프린터에 있어서,
    반송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서멀헤드와, 한 쌍의 반송롤러와, 정착기와, 최소한 하나의 배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롤러의 쌍은 상기 기록재료를 물고 제1 및 제2의 방향으로 왕복하여 반송하고, 상기 제1의 방향은 상기 서멀헤드로부터 상기 정착기를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의 방향은 상기 제1의 방향의 반대방향이고, 상기 반송롤러의 쌍은 상기 기록재료의 제1단부 또는 제2단부를 상기 반송롤러가 물고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의 방향 사이에서 전환되고,
    상기 제1단부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기록재료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연속하여 3회 반송되는 동안, 상기 서멀헤드가 가열되어 상기 제3, 제2 및 제1 발색층을 프레임순차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발색하고,
    상기 제3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제1 또는 제2의 방향으로 상기 기록재료가 반송되는 동안, 상기 정착기는 상기 기록재료의 광조사영역내에 상기 제1 파장범위의 전자광을 조사하여 상기 제3 발색층을 정착하고, 상기 제2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제1 또는 제2의 방향으로 상기 기록재료가 반송되는 동안, 상기 정착기는 상기 기록재료의 광조사영역내에 상기 제2 파장범위의 전자광을 조사하여 상기 제2 발색층을 정착하고, 상기 기록재료가 상기 제1 또는 제2의 방향으로 반송되어 상기 제1 발색층을 발색하고 상기 기록재료를 배출하는 동안, 상기 정착기는 상기 기록재료의 광조사영역내에 상기 제2 파장범위의 전자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2단부가 상기 반송롤러의 쌍을 통과하여 반송된 후, 상기 배출롤러는 상기 기록재료를 상기 제1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반송하여 상기 기록재료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22. 감열기록재료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감열프린터로서, 상기 기록재료는 제1 및 제2 단부를 구비한 시트형상을 하고, 지지체와, 그 지지체상에 순차적으로 중첩되고 열에 의해 서로 상이한 색으로 발색가능한 최소한 제1 내지 제3 발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2 발색층은 각각 제1 및 제2 파장범위의 전자광에 의해 정착가능한 감열프린터에 있어서,
    반송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서멀헤드와, 한 쌍의 반송롤러와, 정착기와, 최소한 하나의 배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급지롤러는 상기 제2단부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반송롤러의 쌍을 향하여 상기 기록재료를 반송하고, 상기 제2단부가 상기 정착기와 마주 대하게 될 때 소정의 시간동안 정지하고,
    상기 반송롤러의 쌍은 상기 급지롤러로부터 상기 기록재료를 물고, 그 기록재료를 제1 및 제2의 방향으로 왕복하여 반송하고, 상기 제1의 방향은 상기 서멀헤드로부터 상기 정착기를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의 방향은 상기 제1의 방향의 반대방향이고, 상기 반송롤러의 쌍은 상기 기록재료의 제1단부 또는 제2단부를 상기 반송롤러가 물고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의 방향 사이에서 전환되고,
    상기 제1단부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기록재료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연속하여 3회 반송되는 동안, 상기 서멀헤드가 가열되어 상기 제3, 제2 및 제1 발색층을 프레임순차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발색하고,
    상기 제3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제1 또는 제2의 방향으로 상기 기록재료가 반송되는 동안, 상기 정착기는 상기 기록재료의 광조사영역내에 상기 제1 파장범위의 전자광을 조사하여 상기 제3 발색층을 정착하고, 상기 제2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제1 또는 제2의 방향으로 상기 기록재료가 반송되는 동안, 상기 정착기는 상기 기록재료의 광조사영역내에 상기 제2 파장범위의 전자광을 조사하여 상기 제2 발색층을 정착하고, 상기 기록재료가 공급되는 동안 상기 제2단부가 상기 광조사영역내에서 정지할 때, 상기 정착기는 상기 제2 파장범위의 상기 전자광을 상기 기록재료에 조사하여 상기 제2단부를 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급지롤러는 상기 기록재료를 상기 반송롤러의 쌍으로부터 상기 제1의 방향으로 반송하여 상기 기록재료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터.
  24. 감열기록재료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감열프린트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재료는 제1 및 제2 단부를 구비한 시트형상을 하고, 지지체와, 그 지지체상에 순차적으로 중첩되고 열에 의해 서로 상이한 색으로 발색가능한 최소한 제1 내지 제3 발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2 발색층은 각각 제1 및 제2 파장범위의 전자광에 의해 정착가능한 감열프린터를 사용하는 감열프린트 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반송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재료를 제1 및 제2의 방향으로 왕복하여 반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의 방향은 상기 제1의 방향의 반대방향이고 상기 반송롤러의 쌍은 상기 기록재료의 제1단부 또는 제2단부를 상기 반송롤러가 물고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의 방향 사이에서 전환되는 단계와,
    상기 제1단부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기록재료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연속하여 3회 반송되는 동안, 서멀헤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3, 제2 및 제1 발색층을 프레임순차방식으로 순차적으로 가열하여 발색하는 단계와,
    상기 제3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기록재료에 상기 제1 파장범위의 전자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2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기록재료에 상기 제2 파장범위의 상기 전자광을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기록재료를 상기 제1의 방향으로 반송하여 배출하는 단계와,
    배출을 위하여 상기 기록재료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반송되는 동안에, 상기 제2 파장범위의 상기 전자광을 상기 기록재료에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파장범위의 상기 전자광의 광조사영역내에서 상기 제2단부를 왕복으로 반송하고, 뒤이어 상기 기록재료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트 방법.
  25. 감열기록재료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감열프린트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재료는 제1 및 제2 단부를 구비한 시트형상을 하고, 지지체와, 그 지지체상에 순차적으로 중첩되고 열에 의해 서로 상이한 색으로 발색가능한 최소한 제1 내지 제3 발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2 발색층은 각각 제1 및 제2 파장범위의 전자광에 의해 정착가능한 감열프린터를 사용하는 감열프린트 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반송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재료를 제1 및 제2의 방향으로 왕복하여 반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의 방향은 상기 제1의 방향의 반대방향이고 상기 반송롤러의 쌍은 상기 기록재료의 제1단부 또는 제2단부를 상기 반송롤러가 물고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의 방향 사이에서 전환되는 단계와,
    상기 제1단부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기록재료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연속하여 3회 반송되는 동안, 서멀헤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3, 제2 및 제1 발색층을 프레임순차방식으로 순차적으로 가열하여 발색하는 단계와,
    상기 제3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기록재료에 상기 제1 파장범위의 전자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2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기록재료에 상기 제2 파장범위의 상기 전자광을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기록재료를 상기 제1의 방향으로 반송하여 배출하는 단계와,
    배출을 위하여 상기 기록재료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반송되는 동안에, 상기 제2 파장범위의 상기 전자광을 상기 기록재료에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제2단부가 상기 제2 파장범위의 상기 전자광의 광조사영역을 통과하는 동안에, 상기 기록재료를 간헐적으로 반송하고, 뒤이어 상기 기록재료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트 방법.
  26. 감열기록재료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감열프린트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재료는 제1 및 제2 단부를 구비한 시트형상을 하고, 지지체와, 그 지지체상에 순차적으로 중첩되고 열에 의해 서로 상이한 색으로 발색가능한 최소한 제1 내지 제3 발색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2 발색층은 각각 제1 및 제2 파장범위의 전자광에 의해 정착가능한 감열프린터를 사용하는 감열프린트 방법에 있어서,
    급지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제2단부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기록재료를 반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단부가 정착기와 마주 대할 때, 상기 급지롤러를 소정의 시간동안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급지롤러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 상기 제2 파장범위의 상기 전자광을 상기 기록재료에 조사하여 상기 제2단부를 정착하는 단계와,
    한 쌍의 반송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재료를 제1 및 제2의 방향으로 왕복하여 반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반송롤러는 상기 급지롤러로부터의 상기 기록재료를 물고, 상기 제2의 방향은 상기 제1의 방향의 반대방향이고 상기 반송롤러의 쌍은 상기 기록재료의 제1단부 또는 제2단부를 상기 반송롤러가 물고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의 방향 사이에서 전환되는 단계와,
    상기 제1단부를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기록재료가 상기 제1의 방향으로 연속하여 3회 반송되는 동안, 서멀헤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3, 제2 및 제1 발색층을 프레임순차방식으로 순차적으로 가열하여 발색하는 단계와,
    상기 제3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기록재료에 상기 제1 파장범위의 전자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2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기록재료에 상기 제2 파장범위의 상기 전자광을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발색층이 발색된 후, 상기 기록재료를 상기 제1의 방향으로 반송하여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프린트 방법.
KR1019980011612A 1997-04-03 1998-04-02 칼라감열 프린터 및 칼라감열 프린트방법 KR199800810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84997 1997-04-03
JP97-84996 1997-04-03
JP8499797A JPH10278325A (ja) 1997-04-03 1997-04-03 カラー感熱プリンタ及びカラー感熱プリント方法
JP8499697A JPH10278324A (ja) 1997-04-03 1997-04-03 カラー感熱プリンタ
JP97-236666 1997-09-02
JP23666697A JPH1178080A (ja) 1997-09-02 1997-09-02 カラー感熱プリン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022A true KR19980081022A (ko) 1998-11-25

Family

ID=2730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612A KR19980081022A (ko) 1997-04-03 1998-04-02 칼라감열 프린터 및 칼라감열 프린트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22571B1 (ko)
KR (1) KR199800810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8673B2 (ja) * 2003-08-29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4367A (ja) * 1982-10-05 1984-04-12 Fuji Xerox Co Ltd 転写型感熱記録装置における紙剥離装置
JPH06155777A (ja) * 1992-11-17 1994-06-03 Fuji Photo Film Co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H07314805A (ja) * 1994-05-27 1995-12-05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ー感熱プリンタ
JPH08224900A (ja) * 1995-02-22 1996-09-03 Seiko Instr Inc カラー感熱記録装置
US5629729A (en) * 1995-06-19 1997-05-13 Fuji Photo Film Co., Ltd. Thermal printer and optical fixing device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4158B2 (ja) 1993-09-01 2000-04-1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感熱記録材料の漂白方法
JP3084198B2 (ja) 1994-12-27 2000-09-04 京セラ株式会社 カラー感熱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4367A (ja) * 1982-10-05 1984-04-12 Fuji Xerox Co Ltd 転写型感熱記録装置における紙剥離装置
JPH06155777A (ja) * 1992-11-17 1994-06-03 Fuji Photo Film Co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H07314805A (ja) * 1994-05-27 1995-12-05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ー感熱プリンタ
JPH08224900A (ja) * 1995-02-22 1996-09-03 Seiko Instr Inc カラー感熱記録装置
US5629729A (en) * 1995-06-19 1997-05-13 Fuji Photo Film Co., Ltd. Thermal printer and optical fixing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22571B1 (en) 2001-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3663A (en) Record medium feeding in a color thermal printer
US6305856B1 (en)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7938588B2 (en) Thermal printer having first and second ring-like conveyance paths
JP3590202B2 (ja) カラー感熱記録方法及びカラー感熱プリンタ
US5268707A (en) Direct thermal printer
EP0845365B1 (en) Paper transport device for color thermal printer
US20040145717A1 (en) Paper lateral edge detector for printer
US6900823B2 (en) Thermal printer and method of cleaning thermal head
US6664993B2 (en) Image transfer apparatus and image transfer method
KR19980081022A (ko) 칼라감열 프린터 및 칼라감열 프린트방법
US5463417A (en) Bleaching method for thermosensitive recording medium
JP2001328303A (ja) プリンタ
JP2004098696A (ja) カラーサーマルプリンタ
JPH1178080A (ja) カラー感熱プリンタ
JPH1178142A (ja) 給紙装置及びプリンタ
JP2853937B2 (ja) 感熱記録紙の包装体
JPH10278325A (ja) カラー感熱プリンタ及びカラー感熱プリント方法
JPH10278324A (ja) カラー感熱プリンタ
JP3681495B2 (ja) カラー感熱プリンタ
JP3494790B2 (ja) カラー感熱プリンタ
JP2004042669A (ja) カラー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2292953A (ja) 感熱プリンタ
JPH01161963A (ja) 書画像読取装置
JP3369002B2 (ja) カラー感熱プリンタ
JPH07314805A (ja) カラー感熱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