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329A - 지연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발진 회로 - Google Patents

지연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발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329A
KR19980080329A KR1019980008926A KR19980008926A KR19980080329A KR 19980080329 A KR19980080329 A KR 19980080329A KR 1019980008926 A KR1019980008926 A KR 1019980008926A KR 19980008926 A KR19980008926 A KR 19980008926A KR 19980080329 A KR19980080329 A KR 19980080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ode
delay
leve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4050B1 (ko
Inventor
이치로 구마타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키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키,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80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0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5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time reference signals, e.g. 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logic circuit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03Astable circuits
    • H03K3/0315Ring oscill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using a chain of active delay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Arrangements in which pulses are delivered at different times at several outputs, i.e. pulse distributors
    • H03K5/15013Arrangements in which pulses are delivered at different times at several outputs, i.e. pulse distributors with more than two outputs
    • H03K5/15026Arrangements in which pulses are delivered at different times at several outputs, i.e. pulse distributors with more than two outputs with asynchronously driven series connected output stages
    • H03K5/1504Arrangements in which pulses are delivered at different times at several outputs, i.e. pulse distributors with more than two outputs with asynchronously driven series connected output stages using a chain of active delay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2005/00013Delay, i.e. output pulse is delayed after input pulse and pulse length of output pulse is dependent on pulse length of input pulse
    • H03K2005/00019Variable delay
    • H03K2005/00058Variable delay controlled by a digital setting

Abstract

본 발명은 지연 시간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디지털 신호로 제어 가능한 지연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발진 회로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지연 소자를 직렬 접속하여 지연 회로를 구성하고, 각 지연 소자를 트랜지스터(P1)와 이것보다 구동 능력이 큰 트랜지스터(N1), 트랜지스터(N2)와 이것보다 구동 능력이 큰 트랜지스터(P2)로 구성하고, 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고, 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에 선행충전 신호를 인가하며, 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에 선행충전 신호의 반전 신호를 인가하고,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는 중간 노드(A)에 접속하고, 입력 신호(SIN)을 선행충전 신호로서 각 지연 소자에 입력하고, 입력 신호(SIN)가 하이 레벨일 때, 노드(A)가 로우 레벨, 출력 단자(OUT)가 하이 레벨의 상태이고 입력 신호(SIN)의 하강 에지를 각 지연 소자에 의해 순차 전파하여, 지연 신호가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지연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발진 회로
본 발명은 입력 신호를 소정의 지연 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 회로 및 지연 회로를 이용하여 구성된 발진 회로, 특히 디지털 신호에 따라서 지연 시간 및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지연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발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지연 시간을 디지털 제어 신호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지연 회로의 일례를 도 32에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연 회로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n개의 단의 지연 소자(DLY1, DLY2, …, DLYn)와 이들의 지연 소자로부터의 n개의 출력 신호로부터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n 대 1 선택 회로(SEL)로 이루어진다.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n개의 단의 지연 소자는, 입력 신호를 소정의 시간으로 지연한 지연 신호를 다음 단의 지연 소자에 출력한다. 선택 회로(SEL)는 디지털 제어 신호에 따라서 n개의 단의 지연 소자의 출력 신호로부터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각 지연 소자가 입력 신호에 동일하게 지연 시간(t)을 부여한다고 하면, 도 32와 같이 구성된 지연 회로에 의해, 입력 신호에 대하여 t의 스텝으로 t내지 nt의 지연 시간을 임의로 줄일 수 있다.
지연 회로를 이용하여 구성한 발진 회로의 일례를 도 33에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32에 나타내는 지연 회로에 인버터(INV1)가 설치되고, 선택 회로(SEL)의 출력 신호가 인버터(INV1)에 입력되고, 인버터(INV1)의 출력 신호는 지연 회로의 입력 신호로서 처음 단(初段)의 지연 소자(DLY1)에 입력된다. 선택 회로(SEL)의 출력 회로 단자로부터 발진 신호(클록 신호: CLK)가 얻어진다.
즉, 인버터를 통해 링 모양으로 접속된 지연 회로에 의해 발진 회로가 구성된다.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는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디지털 제어 신호에 의해 지연 시간을 제어하는 것으로 클록 신호(CLK)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로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발진 회로의 또하나의 예는, 도 34에 나타낸다. 본 예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 컨버터: DAC)와 전압 제어 발진기(VCO)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에 의해 디지털 제어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제어 전압 신호(VC)로 변환되고, 제어 전압 신호(VC)에 의해 전압 제어 발진기(VCO)의 발진 주파수가 제어된다. 이것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VCO)에 의해 생성된 클록 신호(CLK)의 주파수는 디지털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도 35는 디지털 신호로 용량을 변화시켜, 용량 변화에 따라서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발진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에 따라서 스위치 SW0, SW1, SW2, …, SWn의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이것에 따라서 발진 회로(OSC)에 접속되어 있는 용량 소자의 전체 용량 값이 제어된다. 발진 회로(OSC)의 발진 주파수는 접속되어 있는 용량 소자의 용량에 따라서 설정되기 때문에, 발진 회로(OSC)에서 얻은 클록 신호(CLK)의 주파수는 디지털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디지털 제어 발진 회로, 예를 들면 도 34과 35에 나타내는 발진 회로에서는, 아날로그적인 설계 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발진 회로의 사양이나 LSI(대규모 집적 회로)의 프로세스마다 발진 주파수 범위와 리니어티(선형 특성), 회로 규모 등의 트레이드 오프를 고려한 번거로운 회로의 설계나 수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한편, 지연 소자로서 인버터나 버퍼라는 통상의 게이트 회로를 이용하고,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 회로와 함께 구성된 디지털 제어 발진 회로에서는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또한 아날로그적인 요소가 없기 때문에, 발진 신호의 주파수의 제어나 회로 동작의 안정성이 좋다. 그러나, 통상의 지연 소자 1단(段)에서 지연되는 지연 시간은 크기 때문에, 주파수의 스텝 폭이 커서, 발진 주파수의 세밀한 설정이 곤란하다.
예를 들면, 지연 소자는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단의 인버터에 의해 구성된 경우, pMOS 트랜지스터(PT1)와 nMOS 트랜지스터(NT)에 의해 구성된 앞의 단(前段)의 인버터의 출력 단자(A)는, 후의 단(後段)의 인버터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PT2) 및 nMOS 트랜지스터(NT2)의 양쪽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인버터의 부하가 커져, 동작 속도가 저하한다. 또한, 도 37의 파형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인버터의 임계값 전압은 전원 전압(VDD)의 반이고, 즉, 입력 신호의 레벨이 대략 VDD/2가 된 부근에서 인버터의 출력 신호 레벨이 변화하기 때문에, 인버터 1단에서 지연되는 지연 시간(t)이 커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지연 시간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의 스텝 폭을 감소할 수 있고, 또한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디지털 신호로 제어 가능한 지연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발진 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 또는 제2 레벨을 가지는 입력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 회로에 있어서, 제어 신호를 받아서,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1 노드를 제1 레벨로 유지하는 제1 유지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2 노드를 제2 레벨로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과, 입력 신호를 받아서, 해당 입력 신호가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노드를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전환하는 제1 전환 수단과, 상기 제1 노드의 레벨 변화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를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하고, 해당 제2 노드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전환 수단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합하게는 상기 제1 유지 수단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도통시에 상기 제1 노드를 제1 레벨로 유지하는 제1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 유지 수단은, 상기 제2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도통시에 상기 제2 노드를 제2 레벨로 유지하는 제1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1 전환 수단은, 상기 제2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입력 신호를 받아서, 해당 입력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될 때,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노드를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전환하는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 전환 수단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노드의 레벨 변화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변화하였을 때,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2 노드를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하는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1 유지 수단을 이루는 제1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구동 능력이 상기 제1 전환 수단을 이루는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유지 수단을 이루는 제1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구동 능력이 상기 제2 전환 수단을 이루는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합하게는 상기 제1 유지 수단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도통시에 상기 제1 노드를 제1 레벨로 유지하는 제1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 유지 수단은, 상기 제2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도통시에 상기 제2 노드를 제2 레벨로 유지하는 제1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1 전환 수단은, 상기 제2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제3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입력 신호를 받아서, 해당 입력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제1 레벨로 유지되어 있는 때 도통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3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제1 유지 수단을 이루는 상기 제1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반대의 온/오프 상태로 설정되고, 해당 제2 및 제3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가 도통 상태로 설정되었을 때,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전환되고, 상기 제2 전환 수단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제3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노드의 레벨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제2 레벨로 유지되어 있는 때 도통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3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제2 유지 수단을 이루는 상기 제1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반대의 온/오프 상태로 설정되고, 해당 제2 및 제3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가 도통 상태로 설정되었을 때,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두개의 지연 소자가 직렬로 접속되고, 제1 또는 제2 레벨을 가지는 지연 입력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 회로에 있어서, 상기 각 지연 소자는 제어 신호를 받아서,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1 노드를 제1 레벨로 유지하는 제1 유지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2 노드를 제2 레벨로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과, 입력 신호를 받아서, 해당 입력 신호가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노드를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전환하는 제1 전환 수단과, 상기 제1 노드의 레벨 변화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를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하고, 해당 제2 노드의 신호를 후의 단의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로서 후의 단의 지연 소자로 출력하는 제2 전환 수단을 가지며, 상기 지연 입력 신호는 처음 단의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로서 처음 단의 지연 소자에 입력되고, 또한 각 지연 소자의 상기 제어 신호로서 각 지연 소자에 입력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지연 시간이 설정되는 지연 회로에 있어서, 제1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에 소정의 지연 시간을 주어 제1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제1 지연 소자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 지연 소자의 출력 신호와 제2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중 어느것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의 출력 신호에 소정의 지연 시간을 주어 제2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제2 지연 소자로 이루어지는 기본 회로를 복수단(複數段) 가지며, 전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1 출력 단자는, 후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전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2 입력 단자는, 후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지연 시간이 설정되는 지연 회로에 있어서, 제1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를 반전하여 제1 노드로 출력하는 제1 반전 수단과, 상기 제1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제1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제2 반전 수단과, 제2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를 반전하여 제2 노드로 출력하는 제3 반전 수단과, 상기 제2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4 반전 수단과, 상기 제1 입력 단자와 제2 출력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고, 제1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과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제2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제2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지연 소자를 복수단 가지며, 전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1 출력 단자는, 후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전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2 입력 단자는, 후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입력측으로 귀환시켜, 해당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에 따른 발진 주파수로 발진하는 발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지연 회로는 복수의 지연 소자가 직렬로 접속되어 구성되고, 각 지연 소자는 제어 신호를 받아서,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1 노드를 제1 레벨로 유지하는 제1 유지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2 노드를 제2 레벨로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과, 입력 신호를 받아서, 해당 입력 신호가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노드를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전환하는 제1 전환 수단과, 상기 제1 노드의 레벨 변화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를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하고, 해당 제2 노드의 신호를 후단의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로서 후단의 지연 소자로 출력하는 제2 전환 수단에 의해 구성되고, 최종 단의 지연 소자의 출력 신호를 반전하고, 반전 신호를 처음 단의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로서 처음 단의 지연 소자에 입력하는 반전 수단을 가지며, 해당 처음의 단의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는, 각 지연 소자의 상기 제어 신호로서, 각 지연 소자에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입력측으로 귀환시켜, 제어 신호에 따라서 발진 주파수가 제어되는 발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지연 회로는 복수의 기본 회로가 직렬 접속하여 구성되고, 각 기본 회로는, 제1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에 소정의 지연 시간을 주어 제1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제1 지연 소자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 지연 소자의 출력 신호와 제2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중 어느것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의 출력 신호에 소정의 지연 시간을 주어 제2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제2 지연 소자를 가지며, 전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1 출력 단자는, 후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전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2 입력 단자는, 후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최종 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1 출력 단자는, 상기 제2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처음 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2 출력 단자의 출력 신호를 반전하고, 반전 신호를 상기 처음 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입력하는 반전 수단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입력측으로 귀환시켜, 제어 신호에 따라서 발진 주파수가 제어되는 발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지연 회로는 복수의 지연 소자가 직렬 접속하여 구성되고, 각 지연 소자는, 제1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를 반전하여 제1 노드로 출력하는 제1 반전 수단과, 상기 제1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제1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제2 반전 수단과, 제2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를 반전하여 제2 노드로 출력하는 제3 반전 수단과, 상기 제2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4 반전 수단과, 상기 제1 입력 단자와 제2 출력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고, 제1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과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제2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제2 스위치를 가지며, 전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1 출력 단자는, 후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전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2 입력 단자는, 후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처음 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2 출력 단자의 출력 신호를 반전하고, 반전 신호를 상기 처음 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입력하는 반전 수단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제어 신호에 따라서 발진 주파수와 듀티비가 제어되는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 회로에 있어서, 제1 제어 신호에 따라서 입력 신호에 제1 지연 시간을 주어 출력하는 제1 지연 회로와, 상기 제1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제2 제어 신호에 따라서 입력 신호에 제2 지연 시간을 주어 출력하는 제2 지연 회로와, 상기 제2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반전하고, 반전 신호를 상기 제1 지연 회로의 입력 신호로서 상기 제1 지연 회로에 출력하는 반전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발진 신호로서 외부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지연 소자가 직렬 접속하여 지연 회로가 구성되고, 지연 소자는 선행충전 제어 신호에 따라서 미리 선행충전 상태로 설정되고, 입력 신호의 레벨 변화에 따라서 각 지연 소자의 상태가 순차 변화하고, 신호 레벨의 변화가 각 지연 소자에 의해 순차 지연 회로의 출력측에 전달된다. 지연 소자의 지연 시간이 작기 때문에, 이것에 의하여 구성된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 조정을 세밀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하 2개의 단의 지연 소자로 이루어지는 기본 회로에 의해, 진행과 귀환의 두개의 신호 전파 경로를 형성하고 그 전파 경로 사이에 선택 수단을 설치하여, 사다리 모양 지연 회로가 구성된다. 입력되는 지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선택 수단에 의해 신호의 전파 경로가 설정되고, 이것에 따라서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이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기본 회로의 수를 증감함에 의해 지연 시간의 증감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고, 또한 최대 지연 단(段)의 수가 최소 지연 시간에 영향을 주는 일없이, 지연 제어 신호에 대하여 지연량의 선형 특성이 계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연 경로를 제어하는 선택 수단은, 지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고, 실제의 회로에서는, 하나의 트랜지스터에 의해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의 규모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선택 수단에서의 불필요한 지연 시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연 회로를 이용하여,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입력측으로 귀환시키는 것에 의해 환상 발진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진 회로에서, 세밀한 변화 스텝으로 발진 주파수 및 듀티비의 다른 복수의 발진 신호가 얻어지고, 또한, 지연 회로를 구성하는 기본 회로의 수를 증감함에 의해 광범위한 발진 주파수에 대처할 수 있고, 최소 발진 가능 주파수를 낮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발진 회로의 최대 발진 가능 주파수는 최소 발진 주파수의 조정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제어 신호에 대하여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의 선형 특성이 좋고, 발진 회로의 발진 가능한 주파수 범위를 넓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연 시간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제1과 제2 지연 회로를 직렬로 접속하고, 제2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반전하여 제1 지연 회로에 입력함에 의해 환상 발진 회로가 구성되고, 제1 및 제2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함에 의해, 제1 지연 회로의 출력측에서 발진 주파수 및 듀티비가 제어 가능한 발진 신호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지연 회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제1 실시예의 지연 소자의 회로도.
도 3은 제1 실시예의 지연 회로의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지연 회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제2 실시예의 지연 소자의 회로도.
도 6은 제2 실시예의 지연 회로의 파형도.
도 7은 지연 소자의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지연 회로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지연 회로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지연 회로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1은 제5 실시예의 지연 회로를 구성하는 지연 소자의 회로도.
도 12는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의 회로도.
도 13은 지연 신호 생성 소자의 회로도.
도 14는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의 파형도.
도 15는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의 다른 회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래치 회로와 NAND 게이트로 이루어지는 지연 제어 신호 생성 소자의 회로도.
도 17은 래치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18은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의 파형도.
도 19는 지연 신호 생성 소자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0은 지연 신호 생성 소자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1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발진 회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2는 발진 회로의 파형도.
도 23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발진 회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4는 본 발명과 관계되는 발진 회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5는 본 발명과 관계되는 발진 회로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6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발진 회로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7은 도미노 인버터로 이루어지는 지연 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8은 도미노 인버터로 이루어지는 지연 소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9는 도미노 인버터로 이루어지는 상하 2개의 단(段)의 지연 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0은 도미노 인버터로 이루어지는 상하 2개의 단의 지연 소자의 개량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1은 도미노 인버터로 이루어지는 상하 2개의 단의 지연 소자의 다른 개량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2는 종래의 가변 지연 회로의 회로도.
도 33은 종래의 주파수 가변 발진 회로의 회로도.
도 34는 DAC과 VCO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주파수 가변 발진 회로의 회로도.
도 35는 스위치와 용량 소자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주파수 가변 발진 회로의 회로도.
도 36은 인버터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지연 소자의 회로도.
도 37은 종래의 지연 소자의 지연 시간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LY1,DLY2, … ,DLYn,DLY1A,DLY2A, … ,DLYnA,DLY1B,DLY2B, … ,DLYnB : 지연 소자
SEL1, SEL2, … , SELn : 선택기
DLY1a,DLY1b,DLY2a, DLY2b, …, DLYna,DLYnb,DLYW1, DLYW2, …,DLYWn : 지연 소자
C1, C2, …, Cn, CS1, CS2, …, CSn: 지연 제어 신호 생성 소자
SRLAT1, SRLAT2: 래치 회로
P1, P2, P3. P4, P5, P6, P7 …: pMOS 트랜지스터
N1, N2, N3, N4, N5, N6, N7, N8 …: nMOS 트랜지스터
VDD: 전원 전압 GND: 접지 전위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지연 회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연 회로는 n단의 지연 소자(DLY1, DLY2, …, DLYn)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지연 소자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즉, 각 지연 소자의 입력 단자(IN)는 전단의 지연 소자의 출력 단자(OUT)에 접속되어 있다. 처음 단의 지연 소자(DLY1)의 입력 단자(IN)는 신호(SIN)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지연 소자(DLY1, DLY2, …, DLYn)에 선행충전 신호 및 그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PR, XPR)가 설치되어 있고, 각 지연 소자의 선행충전 신호의 입력 단자(PR)는 신호(SIN)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선행충전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XPR)는, 신호(SIN)의 반전 신호(SXIN)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지연 회로를 구성하는 지연 소자의 일례를 도 2에 나타내고 있다. 지연 소자는 pMOS 트랜지스터(P1, P2) 및 nMOS 트랜지스터(N1, N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는 지연 소자의 입력 단자(IN)에 접속되고, 소스는 전원 전압(VDD)의 공급선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노드(A)에 접속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는 선행충전 신호의 입력 단자(PR)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노드(A)에 접속되고, 소스는 접지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는 선행충전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XPR)에 접속되고, 소스는 전원 전압(VDD)의 공급선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지연 소자의 출력 단자(OUT)에 접속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는 노드(A)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출력 단자(OUT)에 접속되고, 소스는 접지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트랜지스터의 부호의 크기는 그 트랜지스터의 구동 능력을 나타내고 있다. 즉, nMOS 트랜지스터(N1)의 구동 능력은 pMOS 트랜지스터(P1)의 구동 능력보다 크게 설정되고, pMOS 트랜지스터(P2)의 구동 능력은, nMOS 트랜지스터(N2)의 구동 능력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에 있어서, 입력 단자(IN)에 하이 레벨, 예를 들면 전원 전압(VDD)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고, 선행충전 신호 입력 단자(PR)에 동일하게 하이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고, 그 반전 신호 입력 단자(XPR)에 로우 레벨의 신호, 예를 들면 접지 전위(GND)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어 있을 때, nMOS 트랜지스터(N1)과 pMOS 트랜지스터(P2)가 도통 상태에 있고, 노드(A)가 접지 전위(GND)로 유지되고, 출력 단자(OUT)가 전원 전압(VDD)의 레벨로 유지된다. 이 때, pMOS 트랜지스터(P1) 및 nMOS 트랜지스터(N2)가 동시에 비도통 상태에 있으므로, 선행충전 신호의 레벨이 변화한 경우라도 노드(A) 및 출력 단자(OUT)의 레벨이 전하에 의해 유지된다.
선행충전 신호가 로우 레벨에 있고, 또한 입력 단자(IN)에 인가되어 있는 입력 신호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변화하였을 때, pMOS 트랜지스터(P1)가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노드(A)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레벨 변화하고, 이것에 따라서 nMOS 트랜지스터(N2)가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지연 소자의 출력 단자(OUT)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지연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고, 입력 신호(SIN) 및 그 반전 신호(SXIN), 각 지연 소자(DLY1, DLY2, …, DLYn)의 입출력 단자 및 각 지연 소자의 노드(A)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초기 상태에서는, 입력 신호(SIN)는 하이 레벨, 예를 들면, 전원 전압(VDD)으로 유지되고, 그 반전 신호(SXIN)는 로우 레벨, 예를 들면 접지 전위(GND)로 유지되어 있다. 각 지연 소자(DLY1, DLY2, …, DLYn)에서, 노드(A)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고, 출력 신호(OUT1, OUT2, …, OUTn)는 전원 전압(VDD) 레벨로 유지되어 있다.
시간(t0)에 있어서, 입력 신호(SIN)는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되고, 이것과 동시에, 반전 신호(SXIN)는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된다. 지연 소자(DLY1)에서, 입력 신호(SIN)의 레벨이 하강하여 pMOS 트랜지스터(P1)의 임계값 전압(Vthp)을 초과하면, pMOS 트랜지스터(P1)가 도통 상태가 되고, 노드(A)의 전위가 상승한다. 노드(A)의 전위가 nMOS 트랜지스터(N2)의 임계값 전압(Vthn)을 초과하면, nMOS 트랜지스터(N2)가 도통 상태가 되고, 지연 소자(DLY1)의 출력 신호(OUT1)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된다. 즉, 입력 신호(SIN)의 하강 에지로부터 일정한 지연 소자 시간을 거쳐서, 지연 소자(DLY1)의 출력 신호(OUT1)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된다.
지연 소자(DLY1)의 후단에 접속되어 있는 각 지연 소자(DLY2, DLY3, …, DLYn)에서는, 상술한 지연 소자(DLY1)와 같은 동작이 행하여지고, 각 지연 소자는 입력 신호의 하강 에지에 대하여 일정한 지연 시간을 부여한 지연 신호가 출력 단자로 출력된다.
여기에서, 각 지연 소자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동일하게 지연 시간(t)을 부여한다고 하면, 지연 소자(DLY1, DLY2, …, DLYn)의 출력 신호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각각 t, 2t, …, nt의 지연 시간이 주어진다. n단의 지연 소자에 의해 입력 신호(SIN)에 대하여 최대(nt)의 지연 시간이 주어진다.
시간(t1)에 있어서, 입력 신호(SIN)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된다. 이것에 따라서 지연 소자(DLY1)에서는 nMOS 트랜지스터(N1)는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노드(A)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된다. 이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N2)가 도통 상태로부터 비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또한, 선행충전 신호의 반전 신호 단자에서 입력된 신호는 로우 레벨이 되기 때문에, pMOS 트랜지스터(P2)가 도통 상태가 되고, 지연 소자(DLY1)의 출력 신호(OUT1)가 하이 레벨이 된다.
다른 지연 소자(DLY2, DLY3, …, DLYn)에서, 입력 신호(SIN)가 하이 레벨로, 그 반전 신호(SXIN)가 로우 레벨로 전환된 순간, 모든 트랜지스터(P1, P2, N1, N2)가 도통 상태가 되고, 이들의 트랜지스터에 일순간 관통 전류가 흐른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트랜지스터의 크기가 다르도록 형성되고, 이것에 따라서 이들의 트랜지스터의 구동 능력도 다르다. 예를 들면, nMOS 트랜지스터(N1)의 구동 능력은 pMOS 트랜지스터(P1)의 구동 능력보다 크고, pMOS 트랜지스터(P2)는 nMOS 트랜지스터(N2)의 구동 능력보다 크게 된다. 이 때문에, 처음 단의 지연 소자(DLY1)의 상태 변화의 순차 전파(傳播)를 기다리지 않고서 각 지연 소자(DLY2, DLY3, …, DLYn)에서 노드(A)의 전위가 강하하고, 출력 단자의 전위가 상승한다. 그리고 이 상태 변화는 또한 pMOS 트랜지스터(P1)와 nMOS 트랜지스터(N2)의 구동 능력을 약하게 하게 되고, 그 결과, 처음 단의 지연 소자(DLY1)의 입력 신호(SIN)의 변화의 순차 전파를 기다리지 않고서 모든 지연 소자(DLY1, DLY2, …, DLYn)가 거의 동시에 변화하고, 출력 신호(OUT1, OUT2, …, OUTn)는 거의 동시에 하이 레벨로 전환된다.
입력 신호(SIN)가 하이 레벨, 그 반전 신호(SXIN)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각 지연 소자(DLY1, DLY2, …, DLYn)의 노드(A)가 로우 레벨, 출력 단자가 하이 레벨의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시간(t2)에 있어서 입력 신호(SIN)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내려가서, 각 지연 소자의 출력 신호(OUT1, OUT2, …, OUTn)는, 각각의 지연 시간을 거쳐서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변화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지연 소자를 직렬 접속하여 지연 회로를 구성하고, 각 지연 소자는 pMOS 트랜지스터(P1)와 이것보다 구동 능력이 큰 nMOS 트랜지스터(N1), nMOS 트랜지스터(N2)와 이것보다 구동 능력이 큰 pMOS 트랜지스터(P2)에 의해 구성하고, pMOS 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고, nMOS 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는 선행충전 신호 단자(PR)에 접속하고, pMOS 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는 선행충전 신호의 반전 신호 단자(XPR)에 접속하고, nMOS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는 P1과 N1의 드레인으로 이루어지는 중간 노드(A)에 접속하고, 입력 신호(SIN)를 선행충전 신호로서 각 지연 소자에 입력하고, 이것이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노드(A)가 로우 레벨, 출력 단자(OUT)가 하이 레벨의 선행충전 상태에 있고, 입력 신호(SIN)의 하강 에지를 각 지연 소자에 의해 순차 전파하고, 지연 회로의 출력 단자로부터 지연 신호(OUTn)가 얻어지기 때문에,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스텝폭이 작은 지연 시간이 얻어진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지연 회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연 회로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예와 거의 마찬가지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n단의 지연 소자(DLY1A, DLY2A, …, DLYn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지연 소자의 입력 단자(IN)는 전단의 지연 소자의 출력 단자(OUT)에 접속되어 있다. 처음 단의 지연 소자(DLY1A)의 입력 단자(IN)는 신호(SIN)의 반전 신호(SXlN)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지연 소자(DLY1A, DLY2A, …, DLYnA)에 선행충전 신호 및 그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PR, XPR)가 설치되어 있고, 각 지연 소자의 선행충전 신호의 입력 단자(PR)는 신호(SIN)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선행충전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XPR)는, 신호(SIN)의 반전 신호(SXIN)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도 4의 지연 회로를 구성하는 지연 소자의 일례를 도 5에 나타내고 있다. 지연 소자는 pMOS 트랜지스터(P1, P2) 및 nMOS 트랜지스터(N1, N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는 선행충전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XPR)에 접속되고, 소스는 전원 전압(VDD)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노드(A)에 접속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는 입력 신호 단자(IN)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노드(A)에 접속되고, 소스는 접지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는 노드(A)에 접속되고, 소스는 전원 전압(VDD)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출력 단자(OUT)에 접속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는 선행충전 신호의 입력 단자(PR)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출력 단자(OUT)에 접속되고, 소스는 접지되어 있다.
또한, pMOS 트랜지스터(P2)는 nMOS 트랜지스터(N2)보다 구동 능력이 크고, nMOS 트랜지스터(N1)는 pMOS 트랜지스터(P1)보다 구동 능력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 단자(IN)에 로우 레벨의 신호, 선행충전 신호의 입력 단자(PR)에 하이 레벨의 신호, 그 반전 신호 단자(XPR)에 로우 레벨의 신호가 각각 입력되어 있을 때, pMOS 트랜지스터(P2), nMOS 트랜지스터(N1)가 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nMOS 트랜지스터(N2), pMOS 트랜지스터(P1)가 비도통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노드(A)가 전원 전압(VDD)에 의해 선행충전 되어, 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출력 단자(OUT)는 접지 전위(GND)로 유지된다.
입력 단자(IN)의 신호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변화하고, 또한 선행충전 신호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변화하고, 그 반전 신호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변화하는 경우에, nMOS 트랜지스터(N2)가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pMOS 트랜지스터(P2)가 비도통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노드(A)는 디스챠지되어,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변화한다. 노드(A)의 전위 변화에 따라서 pMOS 트랜지스터(P1)는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또한 nMOS 트랜지스터(N1)가 로우 레벨의 선행충전 신호에 의해 비도통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지연 소자의 출력 단자(OUT)는 전원 전압(VDD)에 의해 챠지되어,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된다.
지연 소자(DLY1A)에서 후단로 이러한 변화가 순차 전파하고, 입력 신호의 하강 에지가 일정한 지연 시간을 거쳐서, 말단의 지연 소자의 출력 신호(OUTn)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상승한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지연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지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는 입력 신호(SIN)는 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그 반전 신호(SXIN)는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다. 각 지연(DLY1A, DLY2A, …, DLYnA)에서, 노드(A)는 전원 전압(VDD) 레벨로 선행충전되고, 출력 신호(OUT1, OUT2, …, OUTn)는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다.
시간(t0)에서 입력 신호(SIN)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전환되고, 이것과 동시에, 반전 신호(SXIN)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전환된다. 지연 소자(DLY1A)에서, nMOS 트랜지스터(N2)는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노드(A)는 디스챠지되고, 로우 레벨로 전환된다. 이것에 따라서 pMOS 트랜지스터(P1)가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출력 단자는 전원 전압(VDD)에 의해 챠지되어,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된다. 즉, 입력 신호(SIN)의 하강 에지, 즉, 그 반전 신호(SXIN)의 상승 에지로부터 일정한 지연 시간을 거쳐서, 지연 소자(DLY1A)의 출력 신호(OUT1)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상승한다. 지연 소자(DLY1A)의 후단에 있는 각 지연 소자(DLY2A, DLY3A, …, DLYnA)에서, 마찬가지로 입력 단자(IN)에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지연 시간을 부여하여 지연 신호가 출력된다.
여기서, 각 지연 소자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동일하게 지연 시간(t)를 부여한다고 하면, 지연 소자(DLY1A, DLY2A, …, DLYnA)의 출력 신호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각각 t, 2t, …, nt의 지연 시간이 주어진다. n단의 지연 소자에 의해 입력 신호(SIN)에 대하여 최대(nt)의 지연 시간이 주어진다.
시간(t1)에서, 입력 신호(SIN)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되고, 그 반전 신호(SXIN)는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된다. 이것에 따라서 지연 소자(DLY1A)에서 노드(A)는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변화하고, 출력 단자(OUT)는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변화한다.
다른 지연 소자(DLY2A, DLY3A, …, DLYnA)에서, 입력 신호(SIN)가 하이 레벨로, 그 반전 신호(SXIN)가 로우 레벨로 전환된 순간, 모든 트랜지스터(P1, P2, N1, N2)가 도통 상태가 되고, 이들의 트랜지스터에 일순간 관통 전류가 흐른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트랜지스터의 크기가 다르도록 형성되고, 구동 능력이 다르기 때문에, 처음 단의 지연 소자(DLY1A)의 상태 변화의 순차 전파를 기다리지 않고서 각 지연 소자(DLY2A, DLY3A, …, DLYnA)에서 노드(A)의 전위가 상승하고, 출력 단자의 전위가 강하하다. 이 전위의 변화는 또한 nMOS 트랜지스터(N2)와 pMOS 트랜지스터(P1)의 구동 능력을 약하게 하게 되고, 그 결과, 처음 단의 지연 소자(DLY1A)의 신호 변화를 기다리지 않고서 모든 지연 소자(DLY1A, DLY2A, …, DLYnA)가 거의 동시에 변화하여, 출력 신호(OUT1, OUT2, …, OUTn)는 거의 동시에 로우 레벨로 전환된다.
그리고 시간(t2)에서, 입력 신호(SIN)는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변화하고 이것에 따라서 각 지연 소자에 의해, 각각 소정의 지연 시간을 거쳐서 출력 신호(OUT1, OUT2, …, OUTn)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변화한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의 상태 변화시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은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변화할 때, 노드(A) 및 출력 단자(OUT)의 레벨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지연 소자의 선행충전 신호 입력 단자(PR)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고, 그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XPR)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 7의 파형도는, 노드(A)는 전원 전압(VDD)에 의해 선행충전되어, 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출력 단자(OUT)는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다, 이른바 선행충전 상태를 초기 상태로 하여 지연 소자의 지연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하는 것같이, 입력 단자(IN)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노드(A)가 하이 레벨, 출력 단자(OUT)가 로우 레벨로 각각 유지되어 있다. 입력 단자(IN)에 인가된 신호의 레벨이 상승하고, 도시한 nMOS 트랜지스터(N1)의 임계값 전압(Vthn)을 초과한 경우, 노드(A)의 전위는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변화한다. 노드(A)의 전위가 pMOS 트랜지스터(P1)의 임계값 전압(Vthp)보다 낮게 되면, pMOS 트랜지스터(P1)가 도통 상태가 되어, 출력 단자(OUT)의 전위가 상승하고, 최종적으로 전원 전압(VDD) 레벨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지연 소자의 지연 시간(t)는, 도 7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도 37에 나타내는 종래의 인버터가 2단 직렬하여 구성된 지연 소자의 동작 파형과 비교하면, 본 실시예의 지연 소자의 지연 시간이 짧은 결과를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연 소자에서는 전단의 출력 단자에 후단의 지연 소자의 하나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만 접속되어, 각 지연 소자의 출력 단자의 부하 용량이 작다. 종래의 지연 소자에서는 전단의 출력 단자에 후단의 지연 소자의 두개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접속되어, 지연 소자의 부하 용량이 크다. 또한, 통상의 인버터에서는 입력 신호 전압이 거의 전원 전압(VDD)의 반의 레벨에 도달할 때 출력 신호 레벨이 변화하지만, 본 실시예의 지연 소자에서는, 트랜지스터의 임계값 전압(Vthp, Vthn)에서 출력 단자의 레벨이 변화한다. 이러한 이유들로 본 실시예의 지연 소자의 지연 시간이 종래의 인버터에 의해 구성된 지연 소자의 지연 시간보다 작고, 이것에 따라서 지연 시간의 세밀한 조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지연 소자를 직렬 접속하여 지연 회로를 구성하고, 각 지연 소자를 pMOS 트랜지스터(P1)와 이것보다 구동 능력이 큰 nMOS 트랜지스터(N1), nMOS 트랜지스터(N2)와 이것보다 구동 능력이 큰 pMOS 트랜지스터(P2)에 의해 구성하고, nMOS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고, pMOS 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는 선행충전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XPR)에 접속하고, nMOS 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는 선행충전 신호의 입력 단자(PR)에 접속하고, pMOS 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는 P2과 N2의 드레인으로 이루어지는 중간 노드(A)에 접속하고, 입력 신호의 반전 신호(SXIN)를 선행충전 신호의 반전 신호로서 각 지연 소자에 입력하고, 입력 신호(SIN)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노드(A)가 하이 레벨, 출력 단자(OUT)가 로우 레벨의 상태에 있고, 입력 신호(SIN)의 하강 에지, 즉 반전 신호(SXIN)의 상승 에지를 각 지연 소자에 의해 순차 전파하고, 지연 회로의 출력 단자로부터 지연 신호(OUTn)가 얻어지기 때문에,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지연 회로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지연 스텝폭이 작은 지연 시간이 얻어진다.
(제 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지연 회로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는 지연 소자(DLY1B, DLY2B, …, DLYnB)와 선택기(SEL1, SEL2, …, SELn)에 의해 사다리 모양의 가변 지연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각 지연 소자(DLY1B, DLY2B, …, DLYnB)는, 예를 들면 증폭 작용을 가지고 또한 입력과 출력의 논리 신호값이 반전하지 않는 지연 소자로 이루어진다. 각 선택기(SEL1, SEL2, …, SELn)는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에 따라서 입력 단자(A, B)에 입력되는 2개의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단자(OUT)로 출력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연 소자(DLY1B, DLY2B, …, DLYnB)와 선택기(SEL1, SEL2, …, SELn)에 의해, 진행과 귀환의 두개의 경로가 구성되어 있다. 선택기(SEL1)의 입력 단자(A)는 신호(SIN)의 입력 단자((TIN))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B)는 지연 소자(DLY1B)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지연 소자(DLY1B)의 입력 단자는 선택기(SEL2)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선택기(SEL2)의 입력 단자(A)는 입력 단자(TIN)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B)는 선택기(SEL3)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지연 소자(DLY2B)의 입력 단자는 선택기(SEL2)의 입력 단자(A)와 함께 입력 단자(TIN)에 접속되어 있다. 선택기(SEL3)의 입력 단자(A)는 지연 소자(DLY2B)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B)는 지연 소자(DLY3B)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지연 소자(DLY3B)의 입력 단자는 선택기(SEL4)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선택기(SEL5)의 입력 단자(A)는 지연 소자(DLY4B)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B)는 지연 소자(DLY5B)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지연 회로의 이후의 부분도 마찬가지로 지연 소자와 선택기가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선택기(SEL1, SEL2, …, SELn)는,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가 로우 레벨일 때 입력 단자(A)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 단자(OUT)로 출력하고, 하이 레벨일 때 입력 단자(B)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 단자(OUT)로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지연 회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인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에 따라서 입력 신호(SIN)의 반환 지점이 결정되고, 입력 신호(SIN)에 대하여 출력 신호(SOUT)의 지연 시간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지연 제어 신호(S1 내지 S3)가 하이 레벨, S4가 로우 레벨인 경우, 입력 신호(SIN)는 지연 소자(DLY2B)에서 지연되고, 선택기(SEL4)의 입력 단자(A)에 입력된다. 선택기(SEL4)에 의해, 지연 소자(DLY2B)의 출력 신호가 선택되어 지연 소자(DLY3B)에 입력된다. 또한, 선택기(SEL3, SEL2), 지연 소자(DLY1B), 선택기(SEL1)의 경로로 출력 신호(SOUT)로서, 출력 단자(TOUT)로 출력된다. 또한, 지연 제어 신호(S6) 이후의 각 신호(S6 내지 Sn)는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의 각 비트를 설정함에 의해,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은 지연 소자(DLY1B, DLY2B, DLY3B, DLY4B)의 각각의 지연 시간의 합계가 된다.
필요한 지연 시간에 따라서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의 각 비트를 설정함에 의해, 출력 단자(TOUT)에서 소정의 지연 시간이 부여된 지연 신호(SOUT)가 얻어진다. 예를 들면, m단의 지연 소자의 지연 시간이 필요한 경우, 지연 제어 신호 중, S1 내지 Sm을 하이 레벨로 설정하고, Sm+1을 로우 레벨로 설정하면, 지연 회로의 출력 단자(TOUT)에서의 출력 신호(SOUT)는, 입력 신호(SIN)에 대하여 m단의 지연 소자의 합계 지연 시간으로 지연된 지연 신호가 된다.
도 32에 나타내는 종래의 가변 지연 회로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의 가변 지연 회로는 최소 지연 시간이 지연 단의 수에 영향을 받는 일이 없고, 또한 지연 제어 신호와 지연 시간의 선형 특성이 좋다. 예를 들면, 종래의 가변 지연 회로와 같이 n입력 1출력의 선택기로 지연 시간 시간을 제어하는 경우 최대 지연 단의 수(n)를 크게하면 선택기 부분의 회로 구성이나 지연량이 변하고, 최소 지연 시간이 커져버린다. 최소 지연 시간을 바꾸지 않는 회로로 만들기 위해서는, 최대 지연 단의 수(n)를 크게함에 따라서 처음 단의 지연 선택 경로와 후단의 지연 선택 경로에서 배선 길이나 선택기에 필요한 게이트 단의 수가 달라져 버려, 지연 제어 신호에 대한 지연 시간의 선형 특성이 떨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연 소자(DLY1B, DLY2B, …, DLYnB)와 선택기(SEL1, SEL2, …, SELn)를 사다리 모양으로 접속하고, 각 선택기에 입력하는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에 의해 선택기를 제어하고, 신호 전파의 경로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제어하기 때문에, 동일한 회로의 반복으로 지연 단의 수 증감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또한, 최대 지연 단의 수(n)가 최소 지연 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지연 제어 신호에 대하여 지연 시간의 선형 특성이 동일하게 유지된다. 또한, 칩 위의 신호의 입출력 위치가 고정되어, 회로의 설계 및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지연 회로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연 소자(DLY1A, DLY1b, DLY2a, DLY2b, …, DLYna, DLYnb)와 선택기(SEL1, SEL2, …, SELn)에 의해 사다리 모양의 가변 지연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각 지연 소자(DLY1a, DLY1b, …, DLYna, DLYnb)는, 예를 들면 증폭 작용을 가지며 또한 입력과 출력의 논리 신호값이 반전하는 지연 소자로 이루어진다. 각 선택기(SEL1, SEL2. …, SELn)는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에 따라서 입력 단자(A, B)에 입력되는 2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단자(OUT)로 출력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연 소자(DLY1a, DLY1b, DLY2a, DLY2b, …, DLYna, DLYnb)와 선택기(SEL1, SEL2, …, SELn)에 의해, 진행과 귀환의 두개의 경로가 구성되어 있다. 선택기(SEL1)의 입력 단자(A)는 지연 소자(DLY1a)의 입력 단자와 함께 신호(SIN)의 입력 단자(TIN)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B)는 지연 소자(DLY1b)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지연 소자(DLY1b)의 입력 단자는 선택기(SEL2)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선택기(SEL2)의 입력 단자(A)는 지연 소자(DLY1a)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B)는 지연 소자(DLY2b)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지연 회로의 이후의 각 단(段)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각 지연 소자와 선택기에 의해, 사다리 모양의 지연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선택기(SEL1, SEL2, …, SELn)는,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가 로우 레벨일 때 입력 단자(A)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 단자(OUT)로 출력하고, 하이 레벨일 때 입력 단자(B)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 단자(OUT)로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지연 회로에서, 디지털 신호인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에 따라서 입력 신호(SIN)의 반환 지점이 결정되고, 입력 신호(SIN)에 대하여 출력 신호(SOUT)의 지연 시간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지연 소자 4단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이 필요한 경우,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 중, S1, S2을 하이 레벨로 설정하고, 신호(S3)를 로우 레벨로 설정함에 의해, 입력 단자(TIN)에 입력한 신호(SIN)는 지연 소자(DLY1a, DLY2a)를 통해, 선택기(SEL3)에 의해 되돌려지고, 출력 단자(TOUT)로 출력되기 때문에,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은 지연 소자(DLY1a, DLY2a, DLY2b, DLY1b)의 각각의 지연 시간의 합계가 된다.
일반적으로, 지연 소자 2m단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지연 제어 신호(S1 내지 Sm)까지는 하이 레벨로 설정하고, 지연 제어 신호(Sm+1)를 로우 레벨로 설정함에 의해, 지연 회로에 의해 원하는 지연 시간이 얻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연 소자(DLY1a, DLY1b, DLY2a, DLY2b, …, DLYna, DLYnb)와 선택기(SEL1, SEL2, …, SELn)를 사다리 모양으로 접속하고, 각 선택기에 입력하는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에 의해 선택기를 제어하고, 신호 전파의 경로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제어하기 때문에, 같은 회로의 반복으로 지연 단의 수 증감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또한, 최대 지연 단의 수(n)가 최소 지연 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지연 제어 신호에 대하여 지연 시간의 선형 특성이 동일하게 유지되고, 칩 위의 비지연 신호의 입출력 위치도 고정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지연 회로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의 지연 회로는 n개의 단에 해당하는 지연 소자(DLYW1, DLYW2, …, DLYWn)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지연 소자(DLYW1, DLYW2, …, DLYWn)에는 선행충전 신호 입력 단자(PR), 그 반전 신호 입력 단자(XPR), 신호 입력 단자(IN1, IN2), 지연 신호 출력 단자(OUT1, OUT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지연 소자의 선행충전 신호 입력 단자(PR)는 지연 회로의 입력 단자(TIN)에 접속되고, 그 반전 신호 입력 단자(XPR)는 인버터(INV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INV1)의 입력 단자는 지연 회로의 입력 단자(TIN)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버퍼(BUF1, BUF2)는 입력 신호(SIN) 및 그 반전 신호를 증폭하고, 입력 단자(TIN) 및 인버터(INV1)의 출력 단자로부터 멀리 배치되어 있는 지연 소자로 공급되고 있는 선행충전 신호 및 그 반전 신호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지연 소자(DLYW1)의 출력 단자(OUT1)는 지연 소자(DLYW2)의 입력 단자(IN1)에 접속되고, 지연 소자(DLYW1)의 입력 단자(IN2)는 지연 소자(DLYW2)의 출력 단자(OUT2)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OUT2)는 지연 회로의 출력 단자(TOUT)에 접속되어 있다.
지연 소자(DLYW2)의 출력 단자(OUT1)는 지연 소자(DLYW3)의 입력 단자(IN1)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IN2)는 지연 소자(DLYW3)의 출력 단자(OUT2)에 접속되어 있다.
지연 소자(DLYW3) 이후의 각 지연 단의 지연 소자도 마찬가지로 접속되어 있다. 최종 단을 구성하는 지연 소자(DLYWn)에서, 출력 단자(OUT1)는 입력 단자(IN2)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연 소자(DLYW1, DLYW2, …, DLYWn)에 의해 지연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지연 회로는 상하 두개의 신호 전파 경로를 가지며, 상방의 전파 경로에서 신호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하방의 전파 경로에서 신호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전파되어 간다. 각 지연 소자에 지연 제어 신호(S1, S2, S3, S4, …, S2n-1, S2n)가 입력되고, 이 지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지연 회로에서의 신호의 반환 지점이 설정되고, 신호의 전파 경로가 제어되고, 입력 신호(SIN)에 대한 출력 신호(SOUT)의 지연 시간이 제어된다.
도 11은 지연 소자의 1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지연 소자는 도 2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지연 소자를 상하 2단으로 배열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단의 부분에서, 입력 단자(IN1)에 입력된 신호에 소정의 지연 시간을 주어 출력 단자(OUT1)로 출력하고, 하단의 부분에서, 입력 단자(IN2)에 입력된 신호에 소정의 지연 시간을 주어 출력 단자(OUT2)로 출력한다. 또한, 상단의 입력 단자와 하단의 출력 단자(OUT2)의 사이에 nMOS 트랜지스터(N1)가 접속되고, 상단의 중간 노드(A)와 하단의 중간 노드(B)의 사이에 pMOS 트랜지스터(P1)가 접속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는 인버터(INVA)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인버터(INVA)의 입력 단자는 지연 제어 신호(SA)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P1)의 게이트는 지연 제어 신호(SB)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지연 제어 신호(SA)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nMOS 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에 로우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고, nMOS 트랜지스터(N1)가 비도통 상태에 있고, 입력 단자(IN1)에 입력된 신호는 중간 노드(A)를 통해 소정의 지연 시간으로 지연되어 출력 단자(OUT1)로 전파된다.
한편, 지연 제어 신호(SA)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nMOS 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에 하이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고, nMOS 트랜지스터(N1)가 도통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입력 단자(IN1)에 입력된 신호는 지연 소자를 통하지 않고서 그대로 출력 단자(OUT2)로 출력된다.
지연 제어 신호(SB)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pMOS 트랜지스터(P1)가 비도통 상태에 있고, 상단의 회로에 있어서 노드(A)의 신호는 출력 단자(OUT1)로 출력되고, 하단의 회로에서 입력 단자(IN2)에 입력된 신호가 중간 노드(B)를 통해 출력 단자(OUT2)로 출력된다.
한편, 지연 제어 신호(SB)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pMOS 트랜지스터(P1)가 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상단의 중간 노드(A)와 하단의 중간 노드(B)가 도통되고, 상단의 중간 노드(A)의 신호는 하단의 중간 노드(B)로 전파되고, 하단의 출력 단자(OUT2)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지연 소자에 입력되는 지연 제어 신호(SA, SB)의 레벨을 설정함에 의해 지연 소자에 있어서의 신호의 전파 혹은 반환 동작이 제어되고, 하나의 지연 소자는 신호 지연과 선택의 양쪽의 기능을 공유한다. 이하, 도 10, 1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지연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지연 회로가 동작하기 전에, 상단 및 하단의 회로가 각각 입력되는 선행충전 신호 및 그 반전 신호에 따라서 선행충전 된다.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의 하강 에지가 각각 소정의 지연 시간을 거쳐서 출력 단자로 전파되어 간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에 있어서, 지연 제어 신호(SA, SB)가 동시에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상단의 회로에서 입력 단자(IN1)에 입력된 신호가 지연 시간를 거쳐서 출력 단자(OUT1)로 출력된다. 디스챠지시의 신호의 레벨의 변화는 상단의 입력 단자(IN1)로부터 출력 단자(OUT1)로 전달되고, 신호의 변화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의 회로를 통해 되돌아와서, 하단의 입력 단자(IN2)에 입력되고, 하단의 회로에서 입력 단자(IN2)에 입력된 신호가 소정의 지연 시간을 거쳐서 출력 단자(OUT2)로 출력된다.
지연 제어 신호(SA)가 하이 레벨, (SB)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상단의 중간 노드(A)와 하단의 중간 노드(B)가 접속된다. 이 경우, 상단의 입력 단자(IN1)에 입력되는 신호의 하강 에지에 따라서 상단 회로의 중간 노드(A)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되고, 하단의 회로의 중간 노드(B)도 이것에 따라서 마찬가지로 레벨이 변화한다. 중간 노드(B)의 레벨 변화에 따라서 하단의 출력 단자(OUT2)가 선행충전 상태의 하이 레벨로부터 디스챠지 상태의 로우 레벨로 변화한다. 상기의 경우, 하단의 회로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P4)와 상단의 회로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P5), 하단의 회로를 구성하는 nMOS 트랜지스터(N3)와 상단의 회로를 구성하는 nMOS 트랜지스터(N5)가 각각 같은 크기로 형성된 경우, 출력 단자(OUT2)로 출력된 지연 신호의 지연 시간은 도 2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 하나분의 지연 시간과 같게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의 지연 시간을 t로 하면, 이 경우, 입력 단자(IN1)에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출력 단자(OUT2)로부터 출력되는 지연 신호의 지연 시간은 t이다.
그 후 상단의 중간 노드(A)의 레벨 변화가 출력 단자(OUT1)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의 회로를 거쳐서 하단의 입력 단자(IN2)에 입력된다. 그러나 이 때 이미 하단의 중간 노드(B)가 하이 레벨로 되어 있어, 노드(B)의 레벨은 변화하지 않는다.
지연 제어 신호(SA)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상단의 입력 단자(IN1)와 하단의 출력 단자(OUT2)가 접속되고, 입력 단자(IN1)에 입력된 신호가 지연하지 않고 출력 단자(OUT2)로 출력된다.
즉, 지연 제어 신호(SA, SB)가 동시에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상단과 하단의 회로는 각각 지연 소자로서 동작하므로, 입력 신호에 대하여 도 2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 두개분의 지연 시간을 부여한다.
지연 제어 신호(SA)가 하이 레벨, SB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상단의 입력 단자(IN1)에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지연 소자 하나분의 지연 시간을 부여하고, 지연 신호가 하단의 출력 단자(OUT2)로 출력된다.
지연 제어 신호(SA)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상단의 입력 단자(IN1)에 입력된 신호가 지연되는 일없이, 하단의 출력 단자(OUT2)로 출력된다.
이러한 지연 소자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하여 구성된 지연 회로에서, 각 지연 소자(DLYW1, DLYW2, …, DLYWn)에 입력된 지연 제어 신호(S1, S2, S3, S4, …, S2n-1, S2n)를 제어함에 의해,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연 소자(DLYW1, DLYW2, …, DLYWn)에서, 신호의 전파 경로를 제어하는 신호 선택 부분은 하나의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회로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하 2개의 단으로 배열하여 구성된 지연 소자를 n개의 단으로 지연 회로를 구성하고, 각 지연 소자에 입력되는 지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지연 회로에서의 신호의 전파 경로를 변화시켜,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제어하고, 각 지연 소자에 있어서의 신호 선택 회로는 하나의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지연 소자 및 선택 회로의 양쪽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고, 회로 규모의 축소화를 실현할 수 있어, 논리 회로에 의해 구성된 선택 회로에 비교하여, 선택 회로에서의 신호의 지연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지연 제어 신호와 지연 시간의 선형 특성이 우수한 지연 회로를 실현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지연 회로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3, 제4 및 제5 실시예의 가변 지연 회로에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를 공급하는 회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변 지연 회로에 공급되는 지연 제어 신호의 각 비트의 값에 의해, 지연 회로에서의 신호의 전파 경로가 변화하여 지연 시간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의 순서로 보아 최초의 로우 레벨의 비트에 의해 신호의 반환 지점이 결정되고, 이것에 따라 지연 시간이 설정된다.
또한, 실제의 응용에서는 지연 시간의 증감을 지시하는 업다운 신호(SUD)에 의해서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를 생성하는 일이 종종 있다. 도 12는 이러한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생성 회로는 업다운 신호(SUD), 클록 신호(CLK)를 받고, 업다운 신호(SUD)의 지시에 따라서 가변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제어하는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를 생성한다.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는 래치 회로(C1, C2, …, Cn)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래치 회로는 업다운 신호(SUD), 클록 신호(CLK)를 받고, 또한 PXQ 단자로부터 전단의 래치 회로의 출력 신호(Q)의 반전 신호(XQ)를 받고, NXQ 단자로부터 후단의 래치 회로의 반전 신호(XQ)를 받고, 이들의 신호에 대하여 논리 연산을 행한 결과로 다음 출력을 결정하고, 클록 신호(CLK)의 1주기마다 지연 제어 신호의 지연 단의 수를 1단만큼 증감한다. 또한, 처음 단의 래치 회로(C1)의 PXQ 단자가 로우 레벨, 예를 들면 접지 전위(GND)로 유지되고, 최후단의 래치 회로(Cn)의 단자(NXQ)가 하이 레벨, 예를 들면 전원 전압(VDD) 레벨로 유지되어 있다.
도 13은 래치 회로의 1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치 회로는 AND 게이트(G1), NOR 게이트(G2), D 플립플롭(D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AND 게이트(G1)의 한쪽의 입력 단자는 업다운 신호(SUD)의 입력 단자(UP)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입력 단자는 후단의 래치 회로의 반전 출력 신호의 입력 단자(NXQ)에 접속되고, NOR 게이트(G2)의 한쪽의 입력 단자는 전단의 래치 회로의 반전 출력 신호의 입력 단자(PXQ)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입력 단자는 AND 게이트(G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D 플립플롭의 신호 입력 단자(D)는 NOR 게이트(G2)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클록 신호 입력 단자는 클록 신호(CLK)의 입력 단자(CK)에 접속되어 있다. D 플립플롭의 출력 단자(Q)에서 지연 제어 신호의 1비트가 출력되고, 출력 단자(XQ)에서 그 반전 신호가 출력된다.
여기에서,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외부 제어 회로에 의해 업다운 신호(SUD)가 로우 레벨로 설정되고,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는 경우에 업다운 신호(SUD)가 하이 레벨로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에서, 하나의 래치 회로만은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다른 래치 회로는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초기 상태로서,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 중 S1 내지 Sx는 하이 레벨, Sx+1 내지 Sn은 로우 레벨로 한다. 지연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외부 제어 회로에 의해 업다운 신호(SUD)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는 경우에, 클록 신호(CLK)의 변화 타이밍, 예를 들면 상승 에지에 있어서, 래치 회로(Cx+1)의 출력 신호(Q)는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된다. 이것에 따라서 가변 지연 회로에서의 신호 전파 경로가 변화하고, 지연 단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지연 시간은 지연 소자의 1단에 해당하는 시간이 증가한다.
한편, 동일한 초기 상태에 있어서, 지연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외부 제어 회로에 의해 업다운 신호(SUD)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 클록 신호(CLK)의 상승 에지에 있어서, 래치 회로(Cx-1)의 출력 신호(Q)는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된다. 이것에 따라서 가변 지연 회로에서의 지연 단의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지연 시간은 지연 소자 1단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이 감소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래치 회로에 있어서, 외부 제어 회로에 의해 업다운 신호(SUD)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 전단의 래치 회로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D 플립플롭(D1)에의 입력 신호 레벨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전단의 래치 회로에서 하이 레벨의 지연 제어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경우, PXQ 단자로부터 로우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고, NOR 게이트(G2)의 출력 단자는 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클록 신호(CLK)의 상승 에지에서 D 플립플롭(D1)의 출력 단자(Q)가 하이 레벨로 전환된다. 이것에 따라, 가변 지연 회로에서의 신호 전파 경로의 지연 소자의 단의 수가 증가하고, 지연 시간이 증가한다.
한편, 외부 제어 회로에 의해 업다운 신호(SUD)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 후단의 래치 회로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D 플립플롭(D1)의 출력 신호 레벨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후단의 래치 회로에서 로우 레벨의 지연 제어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 단자(NXQ)에서 하이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고, AND 게이트(G1)로부터 하이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에, NOR 게이트(G2)의 출력 단자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고, 클록 신호(CLK)의 상승 에지에서 D 플립플롭(D1)의 출력 단자(Q)가 로우 레벨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가변 지연 회로에서의 신호 전파 경로의 지연 소자 단의 수가 감소하고 지연 시간이 감소한다.
또한, 상술한 지연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래치 회로는 다수 존재하고, 도 13에 그 일례만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을 논리곱, +을 논리합, INV(x)를 신호(x)의 논리 반전을 나타낸다고 하면, 다음 식에 나타내는 신호(y)를 생성하여, D 플립플롭(D1)에 공급하는 논리 회로를 가지는 것이면 무방하다.
도 14는 업다운 신호(SUD), 클록 신호(CLK)에 따라서 도 12에 나타내는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 중, S1, S2, S3가 하이 레벨, S4 내지 Sn이 로우 레벨의 초기 상태로부터 시작된다. 시간(t1)에서 클록 신호(CLK)가 상승하고, 이 때 업다운 신호(SUD)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지연 제어 신호(S3)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된다. 또한 시간(t2)에 있어서 지연 제어 신호(S2)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된다. 이것에 따라서 도 12에 나타내는 가변 지연 회로의 신호 전파 경로의 지연 소자수가 하나씩 감소하고, 지연 시간이 지연 소자 2개의 단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이 감소한다.
시간(t3)에 있어서, 업다운 신호(SUD)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되고, 이것에 따라서 시간(t4)에서 클록 신호(CLK)가 상승하고, 지연 제어 신호(S2)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된다. 또한, 시간(t5)에서 클록 신호(CLK)의 상승 에지에 따라서 지연 제어 신호(S3)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가변 지연 회로의 신호 전파 경로의 지연 소자수가 하나씩 증가하고, 지연 시간이 지연 소자 2개의 단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이 증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AND 게이트(G1), NOR 게이트(G2)로 이루어지는 논리 회로와 D 플립플롭(D1)에 의해 구성한 래치 회로(C1, C2, …, Cn)를 이용하여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를 구성하고, 각 래치 회로의 논리 회로는 전후단의 래치 회로의 출력 신호 및 지연 시간의 증감을 제어하는 업다운 신호(SUD),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록 신호(CLK)에 따라서 동작하고, 업다운 신호(SUD)의 레벨에 따라서 각 래치 회로의 출력 신호를 제어하고, 이것을 받은 가변 지연 회로에서의 신호의 전파 경로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지연 시간을 제어하기 때문에, 업다운 신호(SUD)를 설정하는 것으로 가변 지연 회로에 의해 원하는 지연 시간이 얻어진다.
(제 7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지연 회로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와 같이 가변 지연 회로에 지연 제어 신호(S1, S2, …, Sm)를 공급하는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이지만, 제6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SR 래치(SRLAT1, SRLAT2)와 NAND 게이트(G1, G2, G3, G4)에 의해 구성된 래치 회로(CS1, CS2, …, CSm)를 이용하여, 지연 제어 신호(S1, S2, …, S2m-1, S2m)를 생성한다.
도 16은 래치 회로의 1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래치 회로는 SR 래치(SRLAT1, SRLAT2)와 NAND 게이트(G1, G2, G3, G4)에 의해 구성되고, 외부에서 지연 시간의 증감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CLA, PRA, CLB, PRB) 및 전단과 후단의 래치 회로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출력 신호(QA, QB)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 신호(CLA, PRA, CLB, PRB)는 외부의 제어 회로에 의해 공급되고, 예를 들면, 가변 지연 회로에서 지연 소자의 단의 수가 우수이고 그곳으로부터 1개의 단의 지연 소자를 증가시키는 경우는 PRA에 펄스를 주고, 지연 단의 수가 우수 단이고 그곳으로부터 1단의 지연 소자를 감소시키는 경우는 CLB에 펄스를 주고, 지연 소자 단의 수가 기수의 단이고 그곳으로부터 1단의 지연 소자를 증가시키는 경우는 PRB에 펄스를 주고, 지연 소자 단의 수가 기수 단이고 그곳으로부터 1단의 지연 소자를 감소시키는 경우는 CLA에 펄스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의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는 이러한 제어 신호(CLA, PRA, CLB, PRB)에 따라서 지연 제어 신호(S1, S2, …, S2m-1, S2m)를 생성하고, 가변 지연 회로에서의 지연 소자 단의 수를 증감시킨다.
NAND 게이트(G1, G2, G3, G4)는 각각 2개의 입력(A1, A2)을 가지는 NAND 게이트로서, NAND 게이트(G1)의 입력 단자(A1)는 래치 회로의 입력 단자(PQ)에 접속되고, 또 입력 단자(PQ)는 전단의 래치 회로의 출력 단자(QB)에 접속되어 있다. NAND 게이트(G1)의 입력 단자(A2)는 제어 신호(PRA)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NAND 게이트(G2)의 입력 단자(A1)는 제어 신호(CLA)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A2)는 SR 래치(SRLAT2)의 출력 단자(XQ)에 접속되어 있다. NAND 게이트(G1, G2)의 출력 단자는 각각 SR 래치(SRLAT1)의 입력 단자(XR, XS)에 접속되어 있다.
NAND 게이트(G3)의 입력 단자(A1)는 SR 래치(SRLAT1)의 출력 단자(Q)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A2)는 제어 신호(PRB)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NAND 게이트(G4)의 입력 단자(A1)는 제어 신호(CLB)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입력 단자(A2)는 래치 회로의 입력 단자(NXQ)에 접속되어 있다. NAND 게이트(G3, G4)의 출력 단자는 각각 SR 래치(SRLAT2)의 입력 단자(XR, XS)에 접속되어 있다.
SR 래치(SRLAT1, SRLAT2)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도 17은 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SR 래치는 두개의 NAND 게이트(S1, S2)에 의해 구성되고, NAND 게이트(S1)의 한쪽의 입력 단자는 XR 단자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입력 단자는 NAND 게이트(S2)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NAND 게이트(S2)의 한쪽의 입력 단자는 XS 단자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입력 단자는 NAND 게이트(S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SR 래치에 있어서, 입력 단자(XR, XS)에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 변화, 여기에서는 하강 에지에서 출력 단자(XQ, Q)의 신호가 설정된다. 여기에서, 하이 레벨의 신호를 1, 로우 레벨의 신호를 0으로 하여, 입력 신호(XR, XS)가 10 및 1인 경우, 출력 신호(XQ, Q)는 각각 1 및 10로 설정되고, 입력 신호가 11인 경우, 출력 신호는 전의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입력 신호가 0인 경우, 출력 신호는 부정이 되므로, 이것은 금지 상태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SR 래치 회로는 두개의 NAND 게이트(S1, S2)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도 16에 나타내는 래치 회로 전체는, 8개의 NAND 게이트에 의해 구성된다. 하나의 NAND 게이트를 4개의 MOS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6에 나타내는 하나의 래치 회로는, 합계 32의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된다.
도 18은 제어 신호(CLA, PRA, CLB, PRB) 및 이것에 따라서 설정되는 지연 시간 제어 신호(S1, S2, …, S2m-1, S2m)의 일부분의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하, 도 15 및 도 18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상태로서 S1(도시하지 않는다), S2, S3, S4, S5는 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S6 및 도시하지 않는 S7 이후의 신호는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다. 시간(t0)에서, 제어 신호(CLA)에 펄스가 주어지고 이것에 따라서 지연 제어 신호(S5)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제어되는 가변 지연 회로에서는 신호 전파 경로가 변화하여, 지연 소자 1단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이 감소한다.
이어서, 시간(t1)에서, 제어 신호(CLB)에 펄스가 주어지고, 이것에 따라서 지연 제어 신호(S4)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되기 때문에, 가변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이 또한 지연 소자 1단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이 감소한다. 마찬가지로 시간(t2)에 있어서 제어 신호(CLA)에 펄스가 주어지고, 이것에 따라서 지연 제어 신호(S3)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제어되는 가변 지연 회로에서는 신호 전파 경로가 변화하고, 지연 소자 1단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이 감소한다.
시간(t3)에 있어서, 제어 신호(PRA)에 펄스가 주어지고, 이것에 따라서 지연 제어 신호(S3)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되기 때문에, 가변 지연 회로에서는 신호 전파 경로가 변화하고, 지연 소자 1단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이 증가한다. 이어서 시간(t4)에 있어서 제어 신호(PRB)에 펄스가 주어지고, 이것에 따라서 지연 제어 신호(S4)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되기 때문에, 가변 지연 회로에서는 신호 전파 경로가 변화하고, 지연 소자 1단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이 증가한다. 또한 시간(t5)에 있어서, 제어 신호(PRA)에 펄스가 주어지고, 이것에 따라서 지연 제어 신호(S5)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되기 때문에, 가변 지연 회로에서는 신호 전파 경로가 변화하고, 지연 소자 1단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이 증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SR 래치(SRLAT1, SRLAT2) 및 NAND 게이트(G1, G2, G3, G4)로 이루어지는 래치 회로(CS1, CS2, …, CSm)를 이용하여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를 구성하고, 각 래치 회로는 전후단의 래치 회로의 출력 신호 및 지연 시간의 증감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CLA, PRA, CLB, PRB)를 받아서, 지연 제어 신호(S1, S2, …, S2m-1, S2m)를 생성하고, 이것을 받아 가변 지연 회로에서의 신호의 전파 경로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지연 시간을 제어하기 때문에, 제어 신호(CLA, PRA, CLB, PRB)를 설정하는 것으로 가변 지연 회로에 의해 원하는 지연 시간이 얻어진다.
예를 들면, 카운터의 출력으로부터 논리 게이트로 이루어지는 디코더로 가변 지연 회로에 필요한 지연 제어 신호(S1 내지 Sn)를 만드는 방법에서는, 카운트값이 전환하는 때에 불필요한 그리티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본 제6 및 제7실시예의 지연 신호 생성 회로에 의하면, 이러한 방법에 비하여 그리티 발생의 걱정이 없다. 또한, 지연 신호 생성 회로가 단순하고 또한 동일한 회로의 반복으로 실현할 수 있어, 카운터라든지 대 규모의 디코더 회로를 이용하는 일없이,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제 8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지연 회로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15에 나타내는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를 구성하는 래치 회로(CS1, CS2, …, CSm)의 또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래치 회로는 pMOS 트랜지스터(P1 내지 P8), nMOS 트랜지스터(N1 내지 N12)에 의해 구성되고, 1단의 래치 회로로서 합계 20개의 MOS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도 16에 나타내는 래치 회로에 비교하면, 래치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MOS 트랜지스터 수가 대폭 감소된다.
pMOS 트랜지스터(P1)와 nMOS 트랜지스터(N3)의 게이트는 모두 노드(ND2)에 접속되고, nMOS 트랜지스터(N1)와 pMOS 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는 모두 제어 신호(PRA)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는 단자(PQ)에 접속되고, 전단의 래치 회로의 출력 단자(QB)에 접속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P3)와 nMOS 트랜지스터(N4)의 게이트는 모두 노드(ND1)에 접속되고, nMOS 트랜지스터(N5)와 pMOS 트랜지스터(P4)의 게이트는 모두 제어 신호(CLA)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N6)의 게이트는 노드(ND4)에 접속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P1, P3)의 소스는 모두 전원 전압(VDD)의 공급선에 접속되고, pMOS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은 pMOS 트랜지스터(P2)의 소스와 접속되고, pMOS 트랜지스터(P2)의 드레인은 노드(ND1)에 접속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N1, N3)의 드레인은 노드(ND1)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nMOS 트랜지스터(N1)의 소스는 nMOS 트랜지스터(N2)의 드레인과 접속되고, nMOS 트랜지스터(N2, N3)의 소스는 접지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P3)의 드레인은 pMOS 트랜지스터(P4)의 소스에 접속되고, pMOS 트랜지스터(P4)의 드레인은 노드(ND2)에 접속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N4, N5)의 드레인은 노드(ND2)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nMOS 트랜지스터(N5)의 소스는 nMOS 트랜지스터(N6)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nMOS 트랜지스터(N4, N6)의 소스는 접지되어 있다.
또한, pMOS 트랜지스터(P5 내지 P8), nMOS 트랜지스터(N7 내지 N12)는 상술한 부분과 거의 동일하게 접속되어 있다.
래치 회로의 출력 단자(QA)는 노드(ND2)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XQA)는 노드(ND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출력 단자(QB)는 노드(ND4)에 접속되고, 출력 단자(XQB)는 노드(ND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래치 회로의 출력 단자(QA)에서 지연 제어 신호의 기수번째의 신호(S1, S3, …, S2m-1)가 출력되고, 출력 단자(QB)에서 지연 제어 신호의 우수번째의 신호(S2, S4, …, S2m)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래치 회로에서, 출력 단자(QA)에서 하이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 단자(QB)에서 로우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초기 상태에서,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의 경우, 출력 단자(XQA)는 로우 레벨, 출력 단자(XQB)는 하이 레벨로 각각 유지되어 있다. 즉, 노드(ND1)는 로우 레벨, 노드(ND2)는 하이 레벨, 노드(ND3)는 하이 레벨, 노드(ND4)는 로우 레벨로 각각 유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8의 파형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신호(CLA)에 양(+)의 펄스가 주어진 경우, nMOS 트랜지스터(N5)가 도통 상태가 된다, 또한, 이 때, 래치 회로의 출력 단자(XQB)에서 하이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고 있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N6)도 도통 상태가 된다. 이것에 따라서 노드(ND2)는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되고, 이것에 따라서 pMOS 트랜지스터(P1, P2)가 동시에 도통 상태가 되고, 노드(ND1)는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된다.
즉, 래치 회로의 출력 단자(QA)는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된다. 래치 회로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가변 지연 회로에서, 지연 시간이 지연 소자 1단에 해당하는 감소한다.
이어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초기 상태, 즉, 출력 단자(QA)에서 하이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 단자(QB)에서 로우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 제어 신호(PRB)에 양(+)의 펄스 신호가 주어진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 nMOS 트랜지스터(N7)가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또한, nMOS 트랜지스터(N8)도 도통 상태에 있으므로, 노드(ND3)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된다. 이것에 따라서 pMOS 트랜지스터(P7)가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또한, pMOS 트랜지스터(P8)도 도통 상태에 있으므로, 노드(ND4)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된다.
즉, 래치 회로의 출력 단자(QB)는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된다. 래치 회로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있는 가변 지연 회로에서, 지연 시간이 지연 소자 1단에 해당하는 증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를 구성하는 각 래치 회로를 각각 20개의 MOS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고, 상술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비교하면, 래치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MOS 트랜지스터의 수를 감소할 수 있어,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 전체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다.
(제 9 실시예)
도 20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지연 회로의 제9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8 실시예와 같이,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를 구성하는 래치 회로의 또 하나의 회로예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래치 회로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 및 nMOS 트랜지스터의 구동 능력을 조정함에 의해, 도 19에 나타내는 제8 실시예에 비교하여 또한 MOS 트랜지스터의 수를 감소할 수 있는 래치 회로를 실현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pMOS 트랜지스터(P1, P3, P5, P7)의 구동 능력을 N1, N2, N5, N6, N7, N8, N11, N12보다 충분히 작게 설정하고, pMOS 트랜지스터(P2, P4, P6, P8)의 각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이 접속되어 있던 배선을 단락하면, 도 19의 래치 회로에 있는 pMOS 트랜지스터(P2, P4, P6, P8)를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래치 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 수가 더욱 감소한다.
(제 10 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발진 회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발진 회로는, 도 1에 나타내는 지연 회로의 제1 실시예를 이용하여 실현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회로의 동일한 구성 부분은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표기하고,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지연 소자(DLY1, DLY2, …, DLYn)로 이루어지는 지연 회로 부분에 대하여 생략한다.
지연 회로의 최후단의 지연 소자(DLYn)의 출력 신호(CKn)는 NAND 게이트(NGT1)를 통해, 지연 회로의 입력 단자로 귀환되어, 환상 발진 회로(링 오실레이터)가 구성되어 있다. NAND 게이트(NGT1)의 한쪽의 입력 단자는 지연 소자(DLYn)의 출력 단자(OUT)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입력 단자는 발진 회로의 동작/정지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SON)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신호(SON)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NAND 게이트(NGT1)의 출력 단자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각 지연 소자(DLY1, DLY2, …, DLYn)의 출력 신호(CK1, CK2, …, CKn)는 전부 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발진 회로는 정지 상태로 설정된다.
한편, 제어 신호(SON)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NAND 게이트(NGT1)의 출력 단자에 지연 소자(DLYn)의 출력 신호(CKn)의 반전 신호가 출력되고, 이것이 지연 회로의 입력 신호로서 지연 소자(DLY1)의 입력 단자(IN)에 입력되어, 발진 회로는 동작 상태로 설정되고, 각 지연 소자(DLY1, DLY2, …, DLYn)에서 클록 신호(CK1, CK2, …, CKn)가 각각 출력된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내는 발진 회로가 동작하는 때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진 회로 동작시에, 지연 회로를 구성하는 각 지연 소자(DLY1, DLY2, …, DLYn)에서 각각 듀티(동작 책무)가 다른 클록 신호(CK1, CK2, …, CKn)가 얻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지연 소자(DLY1, DLY2, …, DLYn)에 의해 지연 회로를 구성하고, 마지막 단의 지연 소자(DLYn)에서의 출력 신호를 NAND 게이트(NGT1)를 통해, 그 반전 신호를 처음 단의 지연 소자(DLY1)의 입력 단자에 입력시켜, 링 오실레이터를 구성하기 때문에, 듀티비가 다른 복수의 클록 신호(CK1, CK2, …, CKn)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제 11 실시예)
도 23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발진 회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의 발진 회로는, 도 8에 나타내는 지연 회로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발진 회로는 NAND 게이트(NGT1) 및 지연 소자(DLY1, DLY2, …, DLYn)과 선택기(SEL1, SEL2, …, SELn)으로 이루어지는 가변 지연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선택기(SEL1, SEL2, …, SELn)에 입력되는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에 따라서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이 제어되고,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가 제어된다.
지연 회로를 구성하는 선택기(SEL1)의 출력 신호(SOUT)가 NAND 게이트(NGT1)의 한쪽의 입력 단자에 입력되고, NAND 게이트(NGT1)의 출력 신호(SIN)는 지연 회로의 입력 신호로서 지연 회로에 입력된다. NAND 게이트(NGT1)의 다른쪽의 입력 단자는 발진 회로의 동작/정지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SON)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신호(SON)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NAND 게이트(NGT1)의 출력 단자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발진 동작이 정지 상태로 설정되고, 제어 신호(SON)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NAND 게이트(NGT1)의 출력 단자로부터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SOUT)의 반전 신호(SIN)가 출력되고, 반전 신호(SIN)가 또한 지연 회로에 입력되기 때문에, 환상 발진 회로에서 발진 동작이 행하여진다.
선택기(SEL1, SEL2, …, SELn)에 입력되는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에 의해,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이 제어되고, 이것에 따라서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가 제어된다. 즉, 가변 지연 회로에 의해 주파수 가변인 발진 회로를 구성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에 의해 지연 시간이 작게 설정될 때, 발진 주파수가 커지고, 반대로 지연 시간이 크게 설정될 때, 발진 주파수가 작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연 소자(DLY1, DLY2, …, DLYn)와 선택기(SEL1, SEL2, …, SELn)에 의해 구성되는 가변 지연 회로와 NAND 게이트(NGT1)에 의해 환상 발진 회로를 구성하고, 선택기(SEL1, SEL2, …, SELn)에 입력되는 지연 시간 제어 신호(S1, S2, …, Sn)에 의해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제어함에 의해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기 때문에, 디지털 신호에 의해 발진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는 발진 회로를 실현할 수 있어, 같은 회로의 반복으로 지연 단의 수의 증감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고, 또한 지연 소자의 단의 수를 늘리는 회로 레이아웃상의 신호의 출력 단자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최대 지연 단의 수(n)가 최소 지연 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지연 제어 신호에 대하여 지연 시간의 선형 특성이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지연 제어 신호에 대한 발진 주파수의 선형 특성이 좋고, 최대 발진 주파수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제 12 실시예)
도 24는 본 발명과 관계되는 발진 회로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의 발진 회로는, 도 9에 나타내는 지연 회로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발진 회로는 NAND 게이트(NGT1) 및 지연 소자(DLY1a, DLY1b, DLY2a, DLY2b, …, DLYna, DLYnb)와 선택기(SEL1, SEL2, …, SELn)로 이루어지는 가변 지연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선택기(SEL1, SEL2, …, SELn)에 입력되는 지연 제어 신호(S1, S2, …, Sn)에 따라서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이 제어되고,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가 제어된다.
또한, 지연 회로의 구성 요소의 다른 점을 제외하면, 본 실시예는 도 23에 나타내는 발진 회로의 제2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상술한 제2 실시예의 발진 회로와 거의 같은 효과를 가진다.
(제 13 실시예)
도 25는 본 발명과 관계되는 발진 회로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의 발진 회로는, 도 10에 나타내는 지연 회로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발진 회로는 NAND 게이트(NGT1) 및 지연 소자(DLYW1, DLYW2, …, DLYWn)로 이루어지는 가변 지연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지연 소자(DLYW1, DLYW2, …, DLYWn)의 구성은 도 11에 나타나고 있고, 이들의 지연 소자에 의해 구성된 가변 지연 회로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하여는, 지연 회로의 제5 실시예에서 이미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지연 회로의 부분에 대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SOUT)는 NAND 게이트(NGT1)의 한쪽의 입력 단자에 입력되고, NAND 게이트(NGT1)의 다른쪽의 입력 단자에 발진 회로의 동작/정지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SON)의 입력 단자가 접속되어 있다. NAND 게이트(NGT1)의 출력 신호(SOUT)는 지연 회로의 입력 신호로서 지연 회로에 입력된다.
각 지연 소자(DLYW1, DLYW2, …, DLYWn)는 지연과 선택의 양쪽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지연 소자에 입력되는 지연 제어 신호(S1, S2, S3, S4, …, S2n-1, S2n)에 따라서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이 제어되기 때문에, 이것에 따라서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가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NAND 게이트(NGT1)와 지연 소자(DLYW1, DLYW2, …, DLYWn)로 이루어지는 가변 지연 회로에 의해, 환상 발진 회로를 구성하고, 지연 제어 신호(S1, S2, S3, S4, …, S2n-1, S2n)에 따라서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제어함에 의해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기 때문에, 디지털 신호에 따라서 발진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지연 소자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지연과 선택 양쪽의 기능을 가지며, 최소 주파수 스텝폭이 선택기의 지연 시간에 의해 커지는 정도가 적어진다. 또한,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수라든지 면적의 축소화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 14 실시예)
도 26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발진 회로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의 발진 회로는, 도 10에 나타내는 지연 회로를 두개 종렬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발진 신호(CK)의 출력을 두개의 지연 회로의 중간점에서 꺼내어, 두개의 출력 회로의 지연 시간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에 의해, 발진 주파수와 듀티비의 양쪽을 가변으로 한 발진 신호(CK)가 얻어진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연 소자(ADLYW1, ADLYW2, …, ADLYWn) 및 지연 소자(BDLYW1, BDLYW2, …, BDLYWn)에 의해, 각각 두개의 지연 회로(10, 20)가 구성 되고, 지연 회로(10)의 출력 신호(SAOUT)가 지연 회로(20)의 입력 신호로서, 지연 회로(20)에 입력된다. 지연 회로(20)의 출력 신호(SBOUT)는 NAND 게이트(NGT1)의 한쪽의 입력 단자에 입력되고, NAND 게이트(NGT1)의 다른쪽의 입력 단자에 발진 회로의 동작/정지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SON)가 입력된다.
NAND 게이트(NGT1)의 출력 신호(SIN)는 지연 회로(10, 20)의 각 지연 소자의 선행충전 신호로서, 각 지연 소자의 선행충전 신호 입력 단자(PR)에 입력된다. 또한, NAND 게이트(NGT1)의 출력 신호(SIN)는, 인버터(AINV1)를 통해 반전되어, 선행충전 신호의 반전 신호로서, 지연 회로(10)의 각 지연 소자의 단자(XPR)에 입력된다. 출력 신호(SIN)는 인버터(BINV1)를 통해 반전되어, 지연 회로(20)의 각 지연 소자의 단자(XPR)에 입력된다.
지연 회로(10)의 각 지연 소자(ADLYW1, ADLYW2, …, ADLYWn)에 지연 제어 신호(AS1, AS2, AS3, AS4, …, AS2n-1, AS2n)가 입력되고, 이들의 신호에 따라서 지연 회로(10)의 지연 시간이 제어된다. 지연 회로(20)의 각 지연 소자(BDLYW1, BDLYW2, …, BDLYWn)에 지연 제어 신호(BS1, BS2, BS3, BS4, …, BS2n-1, BS2n)가 입력되고 이들의 신호에 따라서 지연 회로(20)의 지연 시간이 제어된다. 지연 회로(10, 20)의 지연 시간은 각각의 지연 회로에 입력되는 지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어된다.
NAND 게이트(NGT1)에 로우 레벨의 제어 신호(SON)가 입력되어 있을 때, NAND 게이트(NGT1)의 출력 신호(SIN)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지연 회로를 구성 하는 각 지연 소자의 출력 단자(OUT1, OUT2)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발진 회로는 정지 상태로 설정된다.
제어 신호(SON)가 하이 레벨이 되면, 단시간에 각 지연 소자(ADLYW1, ADLYW2, …, ADLYWn 및 BDLYW1, BDLYW2, …, BDLYWn)의 출력 단자(OUT1, OUT2)가 선행충전되고, BDLYW1의 출력 단자(OUT2)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NAND 게이트(NGT1)에 입력된다. 입력 신호(SON)가 하이 레벨인 경우는 그 변화가 NAND 게이트(NGT1)의 출력 단자로 전파되고, NAND 게이트(NGT1)의 출력 신호(SIN)가 로우 레벨이 된다. 또한 그 변화가 ADLYW1의 입력 단자(IN1)로부터 출력 단자로, 다음에 ADLYW2의 입력 단자(IN1)로부터 출력 단자(OUT1)로 순차 전파하여 간다. 여기서 지연 제어 신호(AS1, AS2, AS3, AS4, …, AS2n-1, AS2n)에 의해 설정된 지연 경로로 바이패스되면 이번은 역방향으로 지연 소자(ADLYW1)의 입력 단자(IN2)를 경유하여 출력 단자(OUT2)에 도달하고, 지연 회로(10)의 출력 신호(SAOUT)로서 출력된다. 지연 회로(20)의 각 지연 소자(BDLYW1, BDLYW2, …, BDLYWn)에서, 먼저 과정과 동일하게 신호가 전파하고, 여기에서 지연 제어 신호(BS1, BS2, BS3, BS4, …, BS2n-1, BS2n)로 설정된 신호 경로로 신호가 지연된 후, 지연 소자(BDLYW1)의 출력 단자(OUT2)에 도달하고, 지연 회로(20)의 출력 신호(SBOUT)로서 NAND 게이트(NGT1)에 입력되기 때문에, NAND 게이트(NGT1)의 출력 단자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레벨로 변화하고, 지연 회로(10, 20)를 구성하는 각 지연 소자가 또한 선행충전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은 신호 전파에 의해 링 발진이 행하여진다, 지연 회로(10)의 출력 신호(SAOUT)가 발진 신호(CK)로서 외부로 출력된다. 따라서, 발진 신호(CK)의 전후의 지연량의 합, 즉, 지연 회로(10)와 (20)의 지연 시간의 합으로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가 결정된다.
또한, 발진 신호(CK)의 출력 단자의 전후의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의 지연량을 지연 제어 신호(AS1, AS2, AS3, AS4, …, AS2n-1, AS2n 및 BS1, BS2, BS3, BS4, …, BS2n-1, BS2n)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발진 신호(CK)의 듀티비가 제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연 소자(ADLYW1, ADLYW2, …, ADLYWn 및 BDLYW1, BDLYW2, …, BDLYWn)로 이루어지는 지연 회로(10, 20)를 종렬 접속하여 지연 회로를 구성하고, 지연 회로(20)의 출력 신호(SBOUT)를 NAND 게이트(NGT1)에 입력하고, NAND 게이트(NGT1)의 출력 신호(SIN)를 또한 지연 회로(10)에 입력하고, 지연 회로(10, 20)의 중간점, 즉 지연 회로(10)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 신호(SAOUT)를 꺼내어, 발진 신호(CK)로서 출력하기 때문에, 지연 회로(10, 20)에 입력되는 지연 제어 신호를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함에 의해, 발진 신호(CK)의 주파수 및 듀티비를 각각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제의 회로를 LSI 상에서 레이아웃하는 경우, 최저 발진 주파수를 내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 지연 회로(10, 20)에서, 우측에 지연 소자를 추가함에 의해 실현할 수 있고, 이 때에 회로의 좌측에 변경을 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최저 발진 주파수를 내리는 경우에, 즉 발진 주파수 가변 범위를 넓히는 때에 발생하기 쉬운 최고 발진 주파수의 저하라든지, 제어 신호에 대한 발진 주파수의 선형 특성의 저하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고, 발진 주파수의 스텝폭의 감소와 가변 범위의 증가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5 실시예)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지연 회로 및 발진 회로를 구성하는 지연 소자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7은 도미노 인버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지연 소자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의 지연 소자는, pMOS 트랜지스터(P1, P2, P3), nMOS 트랜지스터(N1, N2, N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P1)의 소스는 전원 전압(VDD)의 공급선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pMOS 트랜지스터(P2)의 소스에 접속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P2)의 소스는 pMOS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과 접속되고, 드레인은 노드(A)에 접속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N1)의 드레인은 노드(A)에 접속되고, 소스는 접지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P1)와 nMOS 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가 선행충전 신호의 입력 단자(PR)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pMOS 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가 지연 소자의 입력 단자(IN)에 접속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P3)의 소스는 전원 전압(VDD)의 공급선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지연 소자의 출력 단자(OUT)에 접속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N2)의 드레인은 출력 단자(OUT)에 접속되고, 소스는 nMOS 트랜지스터(N3)의 드레인에 접속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N3)의 드레인은 nMOS 트랜지스터(N2)의 소스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접지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P3)와 nMOS 트랜지스터(N3)의 게이트가 선행충전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XPR)에 접속되고, nMOS 트랜지스터(N2)의 게이트는 노드(A)에 접속되어 있다.
이 지연 소자에 있어서, 선행충전 신호 단자(PR)에 하이 레벨, 그 반전 신호 단자(XPR)에 로우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 nMOS 트랜지스터(N1) 및 pMOS 트랜지스터(P3)가 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노드(A)가 로우 레벨, 예를 들면 접지 전위(GND)로, 출력 단자(OUT)가 하이 레벨, 예를 들면 전원 전압(VDD) 레벨로 각각 유지되므로, 즉, 지연 소자가 선행충전 상태로 설정된다.
선행충전 후, 단자(PR)에 로우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고, 단자(XPR)에 하이 레벨의 신호가 입력된다. 이것에 따라서, nMOS 트랜지스터(N1) 및 pMOS 트랜지스터(P3)가 비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지연 소자의 선행충전 상태가 유지된다. 선행충전 상태가, 입력 단자(IN)에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 레벨인 상태로 유지되고, 입력 신호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될 때, pMOS 트랜지스터(P2) 및 nMOS 트랜지스터(N3)가 도통 상태가 되고, 노드(A)가 전원 전압(VDD)에 의해 챠지되어, 하이 레벨로 전환되고, 이것에 따라서 nMOS 트랜지스터(N2)도 도통 상태가 되고, 출력 단자(OUT)는 디스챠지되어, 로우 레벨로 전환된다. 입력 신호의 하강 에지로부터, 출력 신호의 하강 에지까지의 시간이 지연 소자의 지연 시간이 된다.
이와 같이, 본 예의 지연 소자는, 도 2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와 거의 같은 효과가 얻어지고, 지연 소자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수가 증가한 만큼, 지연값, 회로의 면적이 다소 증가하지만, 그 대신에 지연 소자 선행충전 시의 관통 전류가 감소하여, 회로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연 소자를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지연 회로를 구성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각 지연 소자의 선행충전 신호 단자(PR)가 입력 신호(SIN)의 단자에 접속되고, 선행충전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XPR)가 입력 신호(SIN)의 반전 신호 단자에 접속되고, 처음 단의 지연 소자의 입력 단자(IN)는 입력 신호(SIN)의 단자에 접속되고, 이후의 각 지연 소자의 입력 단자(IN)는 전단의 지연 소자의 출력 단자(OUT)에 접속된다.
입력 신호(SIN)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각 지연 소자가 선행충전 상태로 설정되고, 그리고 입력 신호(SIN)의 하강 에지에 있어서, 처음 단의 지연 소자에서는 pMOS 트랜지스터(P1, P2)가 동시에 도통 상태에 있고, 노드(A)가 전원 전압(VDD)에 의해 챠지되어, 하이 레벨로 유지된다. 이것에 따라서 nMOS 트랜지스터(N2)가 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nMOS 트랜지스터(N3)도 도통 상태에 있으므로, 출력 단자(OUT)가 디스챠지되어, 로우 레벨로 전환된다. 처음 단의 출력 단자의 레벨 변화에 따라서, 다음 단의 각 지연 소자가 순차 상태가 변화하고, 입력 신호(SIN)의 하강 에지는, 각 지연 소자를 거쳐서 최종 단의 지연 소자의 출력 단자(OUT)에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pMOS 트랜지스터(P1, P2, P3) 및 nMOS 트랜지스터(N1, N2, N3)로 이루어지는 도미노 인버터에 의해 지연 소자를 구성하고, 지연 소자의 상태 변화시에 관통 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지연 소자에 의해 구성되는 지연 회로 및 발진 회로에서, 소비 전력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도 28은 도미노 인버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지연 소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의 지연 소자는, pMOS 트랜지스터(P1, P2, P3), nMOS 트랜지스터(N1, N2, N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만, 이들의 트랜지스터의 접속 관계는, 도 27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와는 다르다.
본 예의 지연 소자에서는, 선행충전 신호가 로우 레벨일 때, pMOS 트랜지스터(P1)와 nMOS 트랜지스터(N3)가 동시에 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노드(A)가 하이 레벨, 출력 단자(OUT)는 로우 레벨로 각각 유지된다. 선행충전 신호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고, 또한 입력 단자(IN)에의 입력 신호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될 때, nMOS 트랜지스터(N1, N2)가 동시에 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노드(A)가 디스챠지되어, 그 전위가 로우 레벨로 전환된다. 이것에 따라서 pMOS 트랜지스터(P3)가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또한 pMOS 트랜지스터(P2)도 도통 상태에 있으므로, 출력 단자(OUT)는 전원 전압(VDD)에 의해 챠지되어, 하이 레벨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입력 단자(IN)에 입력되는 신호의 상승 에지가 지연 소자에 의해 지연된다.
또한, 도 28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에 의해 지연 회로를 구성하는 경우에, 도 4에 나타내는 지연 회로가 적용할 수 있다. 각 지연 소자의 선행충전 신호 단자(PR)가 입력 신호(SIN)의 단자에 접속되고, 선행충전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XPR)가 입력 신호(SIN)의 반전 신호(SXIN) 단자에 접속된다. 처음 단의 지연 소자의 입력 단자(IN)는 입력 신호(SIN)의 반전 신호(SXIN)의 단자에 접속되고, 이후의 각 지연 소자의 입력 단자(IN)는 전단의 지연 소자의 출력 단자(OUT)에 접속된다.
(제 16 실시예)
도 29, 30, 31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지연 회로 및 발진 회로를 구성하는 지연 소자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의 지연 소자에 의해,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지연 회로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은 지연 제어 신호(S1, S2, S3, S4, …, S2n-1, S2n)에 의해 설정되어, 가변 지연 회로를 실현할 수 있다.
도 29는 도미노 인버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지연 소자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의 지연 소자는, 도 11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단, 본 예의 지연 소자는 도미노 인버터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2개의 지연 소자에 의해 구성되고, 상단의 지연 소자는 입력 단자(IN1)에 입력된 신호를 노드(A)를 통해 출력 단자(OUT1)로 출력한다. 하단의 지연 소자는, 입력 단자(IN2)에 입력된 신호를 노드(B)를 통해 출력 단자(OUT2)로 출력한다.
상단의 입력 단자(IN1)와 하단의 출력 단자(OUT2)의 사이에, nMOS 트랜지스터(N1)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소자가 접속되어 있다. 지연 제어 신호 입력 단자(SA)에 로우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 nMOS 트랜지스터(N1)의 게이트에 하이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어, nMOS 트랜지스터(N1)가 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상단의 입력 단자(IN1)와 하단의 출력 단자(OUT2)가 접속되고, 입력 단자(IN1)에 입력된 신호가 지연 시간이 주어지는 일없이, 그대로 하단의 출력 단자(OUT2)로 출력된다.
또한, 상단의 노드(A)와 하단의 노드(B)의 사이에 pMOS 트랜지스터(P1)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소자가 접속되고, 지연 제어 신호 입력 단자(SB)에 로우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 pMOS 트랜지스터(P1)가 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상단의 노드(A)와 하단의 노드(B)가 접속된다. 이 때, 지연 제어 신호 입력 단자(SA)에 하이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 상단의 입력 단자(IN1)에 입력된 신호가 노드(A), 노드(B)를 통해 하단의 출력 단자(OUT2)로 출력된다. 상기의 경우, 하단의 출력 단자(OUT2)로 출력된 신호가 지연 소자 1단에 해당하는 지연 시간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지연 제어 신호 입력 단자(SA, SB)의 양쪽에 하이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 nMOS 트랜지스터(N1), pMOS 트랜지스터(P1)가 동시에 비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의 경우, 상단의 입력 단자(IN1)에 입력된 신호가 노드(A)를 통해 상단의 출력 단자(OUT1)로 출력되고, 또한, 후단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지연 소자에 의해 지연된 후, 하단의 입력 단자(IN2)에 입력된다. 입력 신호가 노드(B)를 통해 하단의 출력 단자(OUT2)로 출력된다. 즉, 상기의 경우, 상단 및 하단의 지연 소자에 의해 각각 입력 신호가 지연된다.
도 29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는, 지연과 선택 양쪽의 기능을 가지며, 또한, 신호의 선택은 하나의 트랜지스터에 의해 실현할 수 있어, 선택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가변 지연 회로에 의해 회로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지연 소자의 상태 변화시에 관통 전류의 발생이 억제되어, 회로의 저소비 전력화을 도모할 수 있다.
도 30은 지연 소자의 또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의 지연 소자는, 도 11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를 개량한 것이고, 신호 전파 금지를 위한 nMOS 트랜지스터(N8)가 부가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에 대하여, nMOS 트랜지스터(N5)와 접지 전위(GND)의 사이에, nMOS 트랜지스터(N8)가 부가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N8)의 드레인은 nMOS 트랜지스터(N5)의 소스에 접속되고, 소스는 접지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N8)의 게이트는 지연 제어 신호의 입력 단자(SA)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연 제어 신호 입력 단자(SA)에 로우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 nMOS 트랜지스터(N1)가 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상단의 입력 단자(IN1)와 하단의 출력 단자(OUT2)가 접속되고, 입력 단자(IN1)에의 입력 신호가 그대로 하단의 출력 단자(OUT2)로 출력된다. 이 때, 부가되어 있는 nMOS 트랜지스터(N8)가 비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상단의 출력 단자(OUT1)가 하이 레벨, 예를 들면, 전원 전압(VDD) 레벨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상단의 출력 단자(OUT1) 이후의 각 지연 소자의 상태가 변화하지 않아, 챠지 및 디스챠지에 따르는 소비 전력이 감소된다.
지연 제어 신호 입력 단자(SA)에 하이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 nMOS 트랜지스터(N8)가 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본 예의 지연 소자는 도 11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와 같은 동작을 한다.
도 31은 지연 소자의 또 하나의 구성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의 지연 소자는, 도 29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를 개량한 것이고, 신호 전파 금지를 위한 nMOS 트랜지스터(N8)가 부가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지연 소자는, nMOS 트랜지스터(N8)가 부가된 점 이외에, 도 29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nMOS 트랜지스터(N8)를 부가함에 의해, 지연 제어 신호 입력 단자(SA)에 로우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고, 입력 신호가 도통 상태에 있는 nMOS 트랜지스터(N1)에 의해 바이패스되고, 하단의 출력 단자(OUT2)에 직접 출력되는 경우, nMOS 트랜지스터(N8)가 비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상단의 출력 단자(OUT1)가 하이 레벨, 예를 들면 전원 전압(VDD) 레벨로 유지된다. 이것에 따라서, 상단의 출력 단자(OUT1)에 접속된 후속의 각 지연 소자에 있어서, 상태의 변화가 없어, 소비 전력의 감소를 실현할 수 있다.
지연 제어 신호 입력 단자(SA)에 하이 레벨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 nMOS 트랜지스터(N8)가 도통 상태로 유지되고, 본 예의 지연 소자는, 도 29에 나타내는 지연 소자와 같이 동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연 소자에 상태 변화 금지용의 nMOS 트랜지스터(N8)를 부가하고, 지연 제어 신호에 따라서 nMOS 트랜지스터(N8)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함에 의해, 지연 제어 신호 입력 단자(SA)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nMOS 트랜지스터(N8)가 도통 상태로 유지되어, 상단의 출력 단자(OUT1)가 상단의 입력 단자(IN1)에의 입력 신호에 따라서 변화한다. 지연 제어 신호 입력 단자(SA)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어 있을 때, 상단의 입력 단자(IN1)에의 입력 신호가 하단의 출력 단자(OUT2)로 바이패스되고, nMOS 트랜지스터(N8)가 비도통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단의 출력 단자(OUT1)가 선행충전되지만, 디스챠지되는 일없이, 하이 레벨로 유지되어, 후단에의 신호의 전파가 멈춰지므로, 후단의 상태 변화에 따르는 불필요한 소비 전력이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연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발진 회로에 의하면, 지연 소자의 지연량이 작아서, 지연 시간을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지연 회로의 최대 지연량을 지연 소자의 단의 수를 증감시키는 것으로 대처할 수 있고, 칩 위의 신호의 입출력 위치를 고정할 수 있고, 최소 지연 시간에 영향을 주는 일없이 최대 지연 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디지털 제어 신호에 의해 지연 시간을 제어할 수 있고, 제어 신호에 대한 지연량의 선형 특성이 좋고, 노이즈에 강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 지연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선택 회로를 1 트랜지스터에 의해 실현할 수 있어, 회로 구성의 간단화를 실현할 수 있고, 지연량의 선형 특성을 개선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지연량을 제어하는 지연 제어 신호의 생성 회로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연 회로에 의해 구성된 발진 회로에서, 세밀한 스텝폭으로 발진 주파수 및 듀티비를 조정할 수 있고, 발진 주파수 및 듀티비 양쪽을 제어할 수 있는 발진 회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연 소자에서 회로 규모를 증대시키지 않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5)

  1. 제1 또는 제2 레벨을 갖는 입력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 회로에 있어서,
    제어 신호를 받아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1 노드를 제1 레벨로 유지하는 제1 유지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2 노드를 제2 레벨로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과,
    입력 신호를 받아서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되었을 때, 상기 제1 노드를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전환하는 제1 전환 수단과,
    상기 제1 노드의 레벨 변화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를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노드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전환 수단을 갖는 지연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 수단은, 상기 제1 레벨을 공급하는 제1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도통시에 상기 제1 노드를 제1 레벨로 유지하는 제1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 유지 수단은, 상기 제2 레벨을 공급하는 제2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도통시에 상기 제2 노드를 제2 레벨로 유지하는 제1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1 전환 수단은, 상기 제2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입력 신호를 받아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될 때,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노드를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전환하는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 전환 수단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노드의 레벨 변화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며,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변화하였을 때,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2 노드를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하는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1 유지 수단을 이루는 제1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구동 능력이 상기 제1 전환 수단을 이루는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유지 수단을 이루는 제1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구동 능력이 상기 제2 전환 수단을 이루는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지연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 수단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도통시에 상기 제1 노드를 제1 레벨로 유지하는 제1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 유지 수단은, 상기 제2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도통시에 상기 제2 노드를 제2 레벨로 유지하는 제1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1 전환 수단은, 상기 제2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제3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입력 신호를 받아,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제1 레벨로 유지되어 있는 때에 도통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3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제1 유지 수단을 이루는 상기 제1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반대의 온/오프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 및 제3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가 도통 상태로 설정되었을 때,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전환되고,
    상기 제2 전환 수단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제3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고, 상기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노드의 레벨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제2 레벨로 유지되어 있는 때에 도통 상태로 설정되며, 상기 제3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제2 유지 수단을 이루는 상기 제1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반대의 온/오프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 및 제3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가 도통 상태로 설정되었을 때,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되는 지연 회로.
  4. 적어도 두개의 지연 소자가 직렬로 접속되고, 제1또는 제2 레벨을 가지는 지연 입력 신호를 소정의 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 회로에 있어서,
    상기 각 지연 소자는 제어 신호를 받아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1 노드를 제1 레벨로 유지하는 제1 유지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2 노드를 제2 레벨로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과,
    입력 신호를 받아서,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노드를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전환하는 제1 전환 수단과,
    상기 제1 노드의 레벨 변화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를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노드의 신호를 후단(後段)의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로서 후단(後段)의 지연 소자로 출력하는 제2 전환 수단을 가지며,
    상기 지연 입력 신호는 처음의 단(初段)의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로서 처음의 단(初段)의 지연 소자에 입력되고, 또한 각 지연 소자의 상기 제어 신호로서 각 지연 소자에 입력되는 지연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 수단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도통시에 상기 제1 노드를 제1 레벨로 유지하는 제1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 유지 수단은, 상기 제2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도통시에 상기 제2 노드를 제2 레벨로 유지하는 제1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1 전환 수단은, 상기 제2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입력 신호를 받아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될 때,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노드를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전환하는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 전환 수단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노드의 레벨 변화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변화하였을 때,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2 노드를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하는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1 유지 수단을 이루는 제1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구동 능력이 상기 제1 전환 수단을 이루는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유지 수단을 이루는 제1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구동 능력이 상기 제2 전환 수단을 이루는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 수단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도통시에 상기 제1 노드를 제1 레벨로 유지하는 제1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 유지 수단은, 상기 제2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도통시에 상기 제2 노드를 제2 레벨로 유지하는 제1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1 전환 수단은, 상기 제2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제3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입력 신호를 받아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제1 레벨로 유지되어 있는 때에 도통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3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제1 유지 수단을 이루는 상기 제1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반대의 온/오프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2 및 제3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가 도통 상태로 설정되었을 때,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전환되고,
    상기 제2 전환 수단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제3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노드의 레벨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제2 레벨로 유지되어 있는 때 도통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3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제2 유지 수단을 이루는 상기 제1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반대의 온/오프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2 및 제3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가 도통 상태로 설정되었을 때,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되는 하는 지연 회로.
  7. 제어 신호에 따라서 지연 시간이 설정되는 지연 회로에 있어서,
    제1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를 소정의 시간으로 지연하여 제1 출력 단자로 출력시키는 제1 지연 소자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 지연 소자의 출력 신호와 제2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의 어느 것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의 출력 신호를 소정의 시간으로 지연하여 제2 출력 단자로 출력시키는 제2 지연 소자로 이루어지는 기본 회로를 복수단(複數段) 가지며,
    전단(前段)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1 출력 단자는, 후단(後段)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전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2 입력 단자는, 후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지연 회로.
  8. 제어 신호에 따라서 지연 시간이 설정되는 지연 회로에 있어서,
    제1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를 반전하여 제1 노드로 출력하는 제1 반전 수단과,
    상기 제1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제1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제2 반전 수단과,
    제2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를 반전하여 제2 노드로 출력하는 제3 반전 수단과,
    상기 제2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4 반전 수단과,
    상기 제1 입력 단자와 제2 출력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고, 제1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제2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제2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지연 소자를 복수단(複數段) 가지며,
    전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1 출력 단자는, 후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전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2 입력 단자는, 후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구성되는 있는 지연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전 수단은, 게이트가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1 전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2 전원에 접속되고, 구동 능력이 상기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보다 큰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는 있는 지연 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충전 제어 신호는 처음의 단(初段)의 지연소자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인 지연 회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전 수단은, 소스가 제1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1의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소스가 상기 제1의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2의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2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는 있는 지연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충전 제어 신호는 처음 단의 지연 소자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인 지연 회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전 수단은, 소스가 제1 전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제1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2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되고, 구동 능력이 상기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보다 작은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지연 회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충전 제어 신호는 처음 단의 지연 소자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회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전 수단은, 소스가 제1 전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제1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되어 있는 제1의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제1의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2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2의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지연 회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충전 제어 신호는 처음 단의 지연 소자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회로.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반전 수단은, 게이트가 상기 제2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1 전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노드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노드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2 전원에 접속되고, 구동 능력이 상기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보다 큰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지연 회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충전 제어 신호는 처음 단의 지연 소자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인 지연 회로.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반전 수단은, 소스가 제1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1의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소스가 상기 제1의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노드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2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2의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제2 노드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2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지연 회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충전 제어 신호는 처음 단의 지연 소자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인 지연 회로.
  2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반전 수단은, 소스가 제1 전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2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2 노드에 접속되고, 구동 능력이 상기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보다 작은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지연 회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충전 제어 신호는 처음 단의 지연 소자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인 지연 회로.
  2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반전 수단은, 소스가 제1 전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2 노드에 접속되어 있는 제1의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제1의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2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2의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지연 회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충전 제어 신호는 처음 단의 지연 소자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인 지연 회로.
  2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게이트에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인가되고, 확산층이 각각 상기 제1 입력 단자와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지연 회로.
  2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게이트에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인가되고, 확산층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노드에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지연 회로.
  2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전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받아서, 상기 제1 스위치가 도통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때, 상기 제1 출력 단자를 소정의 레벨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갖는 지연 회로.
  28. 제어 신호를 받아서, 복수의 지연 소자가 직렬 접속하여 구성된 지연 회로에 지연 시간을 제어하는 지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를 갖는 지연 회로에 있어서,
    상기 지연 제어 신호 생성 회로는, 전단 및 후단의 지연 소자에 입력되는 지연 제어 신호와 상기 제어 신호를 받아서, 이들의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지연 제어 신호의 레벨을 설정하는 지연 회로.
  29.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입력측으로 귀환시켜, 상기 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에 따른 발진 주파수로 발진하는 발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지연 회로는 복수의 지연 소자가 직렬로 접속되어 구성되고, 각 지연 소자는 제어 신호를 받아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노드를 제1 레벨로 유지하는 제1 유지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2 노드를 제2 레벨로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과,
    입력 신호를 받아서,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노드를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전환하는 제1 전환 수단과,
    상기 제1 노드의 레벨 변화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를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노드의 신호를 후단의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로서 후단의 지연 소자로 출력하는 제2 전환 수단에 의해서 구성되고,
    최종 단의 지연 소자의 출력 신호를 반전하고, 반전 신호를 처음 단의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로서 처음 단의 지연 소자에 입력하는 반전 수단을 가지며, 상기 처음 단의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는, 각 지연 소자의 상기 제어 신호로서, 각 지연 소자로 공급되는 발진 회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 수단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도통시에 상기 제1 노드를 제1 레벨로 유지하는 제1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 유지 수단은, 상기 제2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도통시에 상기 제2 노드를 제2 레벨로 유지하는 제1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1 전환 수단은, 상기 제2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입력 신호를 받아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될 때,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노드를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전환하는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 전환 수단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노드의 레벨 변화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변화하였을 때,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2 노드를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하는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1 유지 수단을 이루는 제1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구동 능력이 상기 제1 전환 수단을 이루는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유지 수단을 이루는 제1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구동 능력이 상기 제2 전환 수단을 이루는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발진 회로.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 수단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도통시에 상기 제1 노드를 제1 레벨로 유지하는 제1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 유지 수단은, 상기 제2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도통시에 상기 제2 노드를 제2 레벨로 유지하는 제1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1 전환 수단은, 상기 제2 전원과 상기 제1 노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제3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입력 신호를 받아서,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제1 레벨로 유지되어 있는 때에 도통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3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제1 유지 수단을 이루는 상기 제1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반대의 온/오프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2 및 제3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가 도통 상태로 설정되었을 때,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제1 레벨로부터 상기 제2 레벨로 전환되고,
    상기 제2 전환 수단은, 상기 제1 전원과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제3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상기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노드의 레벨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제1 노드가 상기 제2 레벨로 유지되어 있는 때에 도통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3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고, 상기 제2 유지 수단을 이루는 상기 제1의 제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반대의 온/오프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2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 및 제3의 제1 도전형 트랜지스터가 도통 상태로 설정되었을 때, 상기 제2 노드가 상기 제2 레벨로부터 상기 제1 레벨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회로.
  32.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입력측으로 귀환시켜, 제어 신호에 따라서 발진 주파수가 제어되는 발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지연 회로는 복수의 기본 회로가 직렬 접속하여 구성되고, 각 기본 회로는 제1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를 소정의 시간으로 지연하여 제1 출력 단자로 출력시키는 제1 지연 소자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지연 소자의 출력 신호와 제2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중 어느 것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의 출력 신호를 소정의 시간으로 지연하여 제2 출력 단자로 출력시키는 제2 지연 소자를 가지며,
    전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1 출력 단자는, 후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전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2 입력 단자는, 후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최종 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1 출력 단자는 상기 제2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처음 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2 출력 단자의 출력 신호를 반전하여 반전 신호를 상기 처음 단의 기본 회로의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입력하는 반전 수단을 갖는 발진 회로.
  33.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입력측으로 귀환시켜, 제어 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가 제어되는 발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지연 회로는 복수의 지연 소자가 직렬 접속하여 구성되고, 각 지연 소자는 제1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를 반전하여 제1 노드로 출력하는 제1 반전 수단과, 상기 제1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제1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제2 반전 수단과, 제2 입력 단자의 입력 신호를 반전하여 제2 노드로 출력하는 제3 반전 수단과, 상기 제2 노드의 신호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제4 반전 수단과, 상기 제1 입력 단자와 제2 출력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고,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과 제2 노드 사이에 접속되고,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제어되는 제2 스위치를 가지며,
    전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1 출력 단자는, 후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전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2 입력 단자는 후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처음 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2 출력 단자의 출력 신호를 반전하여 반전 신호를 상기 처음 단의 지연 소자의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입력하는 반전 수단을 갖는 발진 회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전 수단은, 게이트가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1 전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2 전원에 접속되고, 구동 능력이 상기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보다 큰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발진 회로.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전 수단은, 소스가 제1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1의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소스가 상기 제1의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1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2의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2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발진 회로.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전 수단은 소스가 제1 전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제1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2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되고, 구동 능력이 상기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보다 작은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발진 회로.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전 수단은 소스가 제1 전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1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제1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1 노드에 접속되어 있는 제1의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제1의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2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2의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발진 회로.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반전 수단은, 게이트가 상기 제2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1 전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노드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노드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2 전원에 접속되고, 구동 능력이 상기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보다 큰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발진 회로.
  3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반전 수단은 소스가 제1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1의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소스가 상기 제1의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노드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2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2의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제2 노드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2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발진 회로.
  40.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반전 수단은, 소스가 제1 전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2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2 노드에 접속되고, 구동 능력이 상기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보다 작은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발진 회로.
  41.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반전 수단은 소스가 제1 전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2 노드에 접속되어 있는 제1의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상기 제1의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되고, 소스가 제2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상기 선행충전 제어 신호의 반전 신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2의 제2 도전형 절연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발진 회로.
  42.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게이트에 상기 제1 제어 신호가 인가되고, 확산층이 각각 상기 제1 입력 단자와 제2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발진 회로.
  43.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게이트에 상기 제2 제어 신호가 인가되고, 확산층이 각각 상기 제1과 제2 노드에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발진 회로.
  4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전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받아서, 상기 제1 스위치가 도통 상태로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출력 단자를 소정의 레벨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갖는 발진 회로.
  45. 제1 및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와 듀티비가 제어되는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 회로에 있어서,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신호에 제1 지연 시간을 주어 출력하는 제1 지연 회로와,
    상기 제1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신호에 제2 지연 시간을 주어 출력하는 제2 지연 회로와,
    상기 제2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반전하고, 반전 신호를 상기 제1 지연 회로의 입력 신호로서 상기 제1 지연 회로로 출력하는 반전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1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발진 신호로서 외부로 출력하는 발진 회로.
KR1019980008926A 1997-03-17 1998-03-17 지연회로및그것을이용한발진회로 KR100684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284197A JP3758285B2 (ja) 1997-03-17 1997-03-17 遅延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振回路
JP97-062841 1997-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329A true KR19980080329A (ko) 1998-11-25
KR100684050B1 KR100684050B1 (ko) 2007-07-06

Family

ID=1321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926A KR100684050B1 (ko) 1997-03-17 1998-03-17 지연회로및그것을이용한발진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27872A (ko)
EP (2) EP1253716B1 (ko)
JP (1) JP3758285B2 (ko)
KR (1) KR100684050B1 (ko)
DE (1) DE6984225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5339B1 (en) 1999-08-27 2004-08-10 Silicon Graphics, Inc. Circuit design for high-speed digital communication
US7031420B1 (en) * 1999-12-30 2006-04-18 Silicon Graph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ly deskewing parallel data signals relative to a clock
US6417713B1 (en) 1999-12-30 2002-07-09 Silicon Graphics, Inc. Programmable differential delay circuit with fine delay adjustment
US6359519B1 (en) * 2000-02-11 2002-03-19 Agere Systems Guardian Corp. Self-timed numerically controlled ring oscillator
US7173455B2 (en) 2004-06-08 2007-02-06 Transmeta Corporation Repeater circuit having different operating and reset voltage ranges, and methods thereof
US7304503B2 (en) 2004-06-08 2007-12-04 Transmeta Corporation Repeater circuit with high performance repeater mode and normal repeater mode, wherein high performance repeater mode has fast reset capability
US7405597B1 (en) 2005-06-30 2008-07-29 Transmeta Corporation Advanced repeater with duty cycle adjustment
US7498846B1 (en) 2004-06-08 2009-03-03 Transmeta Corporation Power efficient multiplexer
US7656212B1 (en) 2004-06-08 2010-02-02 Robert Paul Masleid Configurable delay chain with switching control for tail delay elements
US7336103B1 (en) 2004-06-08 2008-02-26 Transmeta Corporation Stacked inverter delay chain
US7635992B1 (en) 2004-06-08 2009-12-22 Robert Paul Masleid Configurable tapered delay chain with multiple sizes of delay elements
US7142018B2 (en) 2004-06-08 2006-11-28 Transmeta Corporation Circuit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assisting wire transitions
US7071747B1 (en) 2004-06-15 2006-07-04 Transmeta Corporation Inverting zipper repeater circuit
US7330080B1 (en) 2004-11-04 2008-02-12 Transmeta Corporation Ring based impedance control of an output driver
US7592842B2 (en) * 2004-12-23 2009-09-22 Robert Paul Masleid Configurable delay chain with stacked inverter delay elements
JP4291295B2 (ja) * 2005-04-08 2009-07-08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論理回路
DE102005020903B3 (de) 2005-05-07 2006-11-09 Infineon Technologies Ag Steuerbare Verzögerungseinrichtung
US7663408B2 (en) * 2005-06-30 2010-02-16 Robert Paul Masleid Scannable dynamic circuit latch
US20070013425A1 (en) * 2005-06-30 2007-01-18 Burr James B Lower minimum retention voltage storage elements
US7394681B1 (en) 2005-11-14 2008-07-01 Transmeta Corporation Column select multiplexer circuit for a domino random access memory array
US7642866B1 (en) * 2005-12-30 2010-01-05 Robert Masleid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a dynamic dual domino ring oscillator
US7414485B1 (en) * 2005-12-30 2008-08-19 Transmeta Corporation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dynamic ring oscillators
JP4728152B2 (ja) * 2006-03-16 2011-07-20 川崎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拡散クロックジェネレータ
US7495466B1 (en) 2006-06-30 2009-02-24 Transmeta Corporation Triple latch flip flop system and method
US7710153B1 (en) * 2006-06-30 2010-05-04 Masleid Robert P Cross point switch
WO2009019743A1 (ja) * 2007-08-03 2009-02-12 Fujitsu Limited リングオシレータ、遅延測定装置及び遅延測定方法並びに遅延測定プログラム
JPWO2010032659A1 (ja) * 2008-09-19 2012-02-09 日本電気株式会社 擾乱検出回路、半導体集積回路、擾乱検出方法および試験方法
KR20120085824A (ko) * 2009-12-25 2012-08-0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신호 복원 회로, 레이턴시 조정 회로, 메모리 컨트롤러, 프로세서, 컴퓨터, 신호 복원 방법, 및 레이턴시 조정 방법
JP6059956B2 (ja) * 2012-10-31 2017-01-11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多相クロック生成回路及びこれを含むdll回路
JP6201401B2 (ja) * 2013-04-26 2017-09-27 富士通株式会社 タイミング制御回路
WO2016071813A2 (en) * 2014-11-03 2016-05-12 Istituto Nazionale Di Fisica Nucleare Digitally controlled oscillator (dco) architecture
EP3574584B1 (en) 2017-01-24 2024-01-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ariable delay circuit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9843A (en) * 1969-06-26 1972-03-14 Texas Instruments Inc Mos bipolar push-pull output buffer
US3898479A (en) * 1973-03-01 1975-08-05 Mostek Corp Low power, high speed, high output voltage fet delay-inverter stage
US4061933A (en) * 1975-12-29 1977-12-06 Mostek Corporation Clock generator and delay stage
JPS54150064A (en) * 1978-05-18 1979-11-24 Toshiba Corp Pulse generation circuit
US4250414A (en) * 1978-07-31 1981-02-10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Voltage generator circuitry
US4503550A (en) * 1982-07-01 1985-03-05 Rca Corporation Dynamic CCD input source pulse generating circuit
US4638186A (en) * 1985-12-02 1987-01-20 Motorola, Inc. BIMOS logic gate
US5061907A (en) * 1991-01-17 1991-10-29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 frequency CMOS VCO with gain constant and duty cycle compensation
JPH0548446A (ja) * 1991-08-09 1993-02-26 Sony Corp 半導体集積回路
JP3127517B2 (ja) * 1991-10-04 2001-01-29 株式会社デンソー パルス発生装置及びパルス発生方法
US5146121A (en) * 1991-10-24 1992-09-08 Northern Telecom Limited Signal delay apparatus employing a phase locked loop
US5355037A (en) * 1992-06-15 1994-10-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performance digital phase locked loop
JP3550404B2 (ja) * 1992-09-10 2004-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可変遅延回路及び可変遅延回路を用いたクロック信号供給装置
JPH06188699A (ja) * 1992-12-22 1994-07-08 Toshiba Corp 遅延回路
US5544203A (en) * 1993-02-17 1996-08-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ine resolution digital delay line with coarse and fine adjustment stages
US5451894A (en) * 1993-02-24 1995-09-19 Advanced Micro Devices, Inc. Digital full range rotating phase shifter
JPH0766693A (ja) * 1993-08-24 1995-03-10 Sony Corp リングオシレータ型vco
US5406216A (en) * 1993-11-29 1995-04-11 Motorola, Inc. Technique and method for asynchronous scan design
DE4342266C2 (de) * 1993-12-10 1996-10-24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Taktgenerator sowie Phasenkomparator zur Verwendung in einem solchen Taktgenerator
EP0661809A1 (en) * 1993-12-30 1995-07-05 STMicroelectronics S.A. A buffer stage for use with a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US5485126A (en) * 1994-01-25 1996-0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ing oscillator circuit having output with fifty percent duty cycle
US5570294A (en) * 1994-03-11 1996-10-29 Advanced Micro Devices Circuit configuration employing a compare unit for testing variably controlled delay units
US5559476A (en) * 1995-05-31 1996-09-24 Cirrus Logic, Inc.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cluding voltage controlled delay circuit with power supply noise isolation
US5585764A (en) * 1995-06-13 1996-12-17 Advanced Micro Devices, Inc. High-spe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hich is insensitive to changes in power supply voltage
US5818259A (en) * 1995-11-30 1998-10-06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Low voltage logic circuit
US5796313A (en) * 1996-04-25 1998-08-18 Waferscale Integration Inc. Low power programmable ring oscillator
KR0177586B1 (ko) * 1996-06-29 1999-04-01 김주용 오실레이터 출력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61943A (ja) 1998-09-29
JP3758285B2 (ja) 2006-03-22
EP1253716A2 (en) 2002-10-30
EP0866555A3 (en) 2000-04-19
KR100684050B1 (ko) 2007-07-06
DE69842258D1 (de) 2011-06-16
EP1253716A3 (en) 2006-04-12
US6127872A (en) 2000-10-03
EP0866555A2 (en) 1998-09-23
EP1253716B1 (en)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050B1 (ko) 지연회로및그것을이용한발진회로
JP3859624B2 (ja) 遅延回路と遅延同期ループ装置
KR100303804B1 (ko) 클럭지연회로와이를이용한발진회로및위상동기회로
US6426662B1 (en) Twisted-ring oscillator and delay line generating multiple phases using differential dividers and comparators to match delays
US7702705B2 (en) Random number generation circuit
US5682114A (en) Variable delay circuit, ring oscillator, and flip-flop circuit
KR20010107751A (ko) 타이밍차 분할 회로와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US6559727B2 (en) High-frequency low-voltage multiphas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US7388442B2 (en) Digitally controlled oscillator for reduced power over process variations
WO1981002080A1 (en) Dynamic ratioless circuitry for random logic applications
KR101038470B1 (ko) 동작영역이 넓은 디지털제어발진기
JP2002014743A (ja) クロック制御回路および方法
KR100342896B1 (ko) 동기 지연 회로
JP4237211B2 (ja) 遅延同期ループ装置
KR100715845B1 (ko) 위상혼합기 및 이를 이용한 다중위상 발생기
US6353369B1 (en) Multiphas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ith variable gain and range
KR19990077564A (ko) 전압제어발진회로및전압제어발진방법
KR20180118137A (ko) 가변 주파수 rc 발진기
US7248125B1 (en) Poly-phase VCO with rail to rail output voltage swing and duty cycle control across tuning range
US6177846B1 (en) Ring oscillator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JP4010328B2 (ja) 遅延回路
KR100416378B1 (ko) 위상 분할 회로
US20020027478A1 (e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having short synchronous pull-in time
KR19980080257A (ko) 다중화 회로
JP4238931B2 (ja) 発振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722

Effective date: 200610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