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046A - 폴리머 미립 결정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폴리머 미립 결정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046A
KR19980080046A KR1019980007798A KR19980007798A KR19980080046A KR 19980080046 A KR19980080046 A KR 19980080046A KR 1019980007798 A KR1019980007798 A KR 1019980007798A KR 19980007798 A KR19980007798 A KR 19980007798A KR 19980080046 A KR19980080046 A KR 19980080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drying
crystallization
inert gas
polymer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헬무트 라이캄
Original Assignee
메르쿨레 페터, 하인리히 카알
회히스트 트레비라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쿨레 페터, 하인리히 카알, 회히스트 트레비라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메르쿨레 페터, 하인리히 카알
Publication of KR19980080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04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29B13/065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of powder or pel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6Powdering or granulating by coagulating disper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1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in stationary drums or troughs, provided with kneading or mixing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88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C08G63/90Purification;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 F26B17/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the materials moving through a counter-current of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14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using gases or vapours other than air or steam, e.g. iner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9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gitating the fluidised bed, e.g. by vibrating or pulsating
    • F26B3/092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gitating the fluidised bed, e.g. by vibrating or pulsating by pneumatic means, e.g. spouted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B29B2009/165Crystallizing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063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for changing crystall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 미립 결정화 및 건조방법 및 장치에 관계하는 것으로서 결정화동안 폴리머 미립의 눌러붙음(sticking) 및 베이킹(baking)이 불활성 가스매체 형태의 주기적 교란에 의해 방지된다.

Description

폴리머 미립 결정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폴리머 미립 결정화 장치 및 폴리머 미립 결정화 방법에 관계한다.
응집체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건조 또는 고체 응축 이전에 폴리머 미립이 결정화되는 것은 알려져 있다. 특히, 비정질 폴리에스테르 미립은 눌러붙는 경향이 있어서 온도가 변화될 때나 미립이 결정화 장치에서 제거될 때 어려움이 많다.
수많은 장치가 당해 분야에서 폴리머 미립 결정화용으로 알려져 있다. DD-PS 0,150,932; DD-PS 0,147,716 및 DE-A-3,213,025 는 교반 수단을 사용하여 응집체 형성이 방지되는 폴리머 미립 결정화 장치를 발표한다. 기계적 교반수단은 미립에 응력변형을 일으켜서 먼지를 형성시킨다.
기계적 교반 수단이 생략된 폴리머 미립 결정화 장치가 FR-A-1,478,224; WO 89/11073 및 DE-A-195 00 383 에 공지된다.
FR-A-1,478,224 는 비정질 폴리머 미립이 생성물 분배기를 사용하여 결정화기에 충진되고 결정화기 저부 플레이트가 구멍을 가진 장치를 발표한다. 가스매체가 저부 구멍을 통해 벌크 제품에 도입되고 침투한다. 결정화기 다음에 건조기가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결정화기와 건조기의 분리가 불가피하다.
비정질 폴리머 미립의 건조 및 결정화 장치가 한 장치에 포함된 두단계 장치가 WO 89/11073 에 공지된다. 제 1 단계(결정화기)는 여러개의 값비싸고 때로 움직이는 구조부품을 필요로 하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통기 표면상에 미립의 체류시간이 디자인에 의해 결정되므로 통기표면은 폴리머 미립 처리량이 간단히 변경될 수 없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폴리에스테르 미립의 연속 결정화 장치가 DE-A-195 00 383 에 공지된다. 여기서, 기체상 열전달매체가 스크린 플로어(floor)를 통해 미립 배치(batch)에 도입되므로 결정화기와 건조기간에 구조적으로 분리된다.
그러므로, 결정화기가 기존의 건조기내에 구축될 수 있도록 낮은 구조비용의 집적된 결정화기를 포함하는 폴리머 미립 건조장치에 대한 필요가 있다. 또한, 결정화기는 폴리머 미립과 접촉하게 되는 기계적 이동 부품을 가지지 않아야 한다. 게다가, 재구축 없이도 가변적 처리량을 허용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입구 연결부와 가스 출구 연결부를 갖는 수직 처리실이 형성된 하우징 형태의 맨틀로 구성된 폴리머 미립 결정화, 건조 및 고체 응축장치이며, 폴리머 미립 베드에 도달하지 않는 폴리머 미립에 대한 입구와 폴리머 미립에 대한 출구를 가지며, 폴리머 미립 베드의 표면 아래의 최대 500㎜ 지역에 가스 입구 연결부가 있어서 이를 통해 벌크제품에 대한 주기적 교란작용이 불활성 가스매체에 의해 발생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보여준다.
* 부호 설명
1,5,7 ... 연결부 2 ... 장치
3 ... 처리실 4 ... 불활성 가스 입구
6 ... 출구
폴리머 미립은 연결부(1)를 통해 수직인 장치에 채워지며 제 2 가스입구라 불리는 불활성 가스 입구(4)위로 500㎜의 충진 높이까지 정적인 상태로 처리실(3)을 채운다. 연결부(4)를 통해 공급된 불활성 가스매체는 연결부(5)를 통해 도입된 불활성 가스매체와 함께 폴리머 미립을 가열하여 미립을 결정화시킨다. 연결부(4)를 통해 박동하는 불활성 가스 스트림 형태로 매체를 이송함으로써 응집체 형성이 방지된다. 공급된 불활성 가스 스트림은 출구(6)를 통해 장치를 떠나며 가스 정제 시스템과 열교환기 시스템을 통과한 후에 정제되고 이들의 온도가 조절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연결부(7)에서 건조되고 결정화된 폴리머 미립이 제거되므로 소위 플러그 흐름이 연결부(4)아래로 생긴다. 이러한 흐름은 동일한 수분함량과 용융물 점도를 갖는 폴리머 미립으로 구성된다. 연결부(7)를 떠나는 폴리머 미립은 압출기에 바로 전달되거나 중간 저장을 위해 방출될 수 있다. 폴리머 미립의 건조는 연결부(5)를 통해 공급된 불활성 가스 매체를 통해 이루어진다.
처리실(3)은 필요에 따라 외측벽을 통해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다. 처리실은 원통형 또는 원뿔형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처리실(건조기)은 연결부(5)를 통한 불활성 가스로 세척되고 방출된 휘발성 성분은 제거된다.
통상 공기 또는 질소가 불활성 가스로서 사용되며 이의 수분함량은 -20℃ 이하의 이슬점에 대응한다.
불활성 가스는 연결부(4)를 통해 처리실에 도입된다. 이것은 박동하는 가스 스트림 형태로 이루어진다. 박동하는 가스스트림은 연결부(4)위에 위치된 미립층을 유동화시켜서 이들이 함께 눌러붙거나 베이킹되는 것을 막아준다. 펄스화 가스스트림은 3m/초 이상 최대 10m/초의 속도를 가지며 펄스 진동수는 분당 10-60, 특히 20-40 가스 펄스이다.
선호되는 구체예에서, 연결부(4)는 폴리머 미립 충진높이 100-400㎜, 특히 100-200㎜ 아래에 배치된다. 또다른 구체예에서 연결부(4)는 처리실(3) 반경의 2/3까지 처리실내로 돌출하여 최적의 효과를 가능하게 한다.
연결부(4,5)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비정질의 축축한 폴리머 미립의 도입은 연결부(1)에 연결된 운송장치를 통해 행해진다. 도입되는 미립의 양은 연결부(7)에서 제거되는 물질을 조절하거나 연결부(4)의 최대 500㎜ 위에 배치된 레벨 센서를 써서 결정될 수 있다. 연속 작업시 일정한 충진높이가 확립된다. 충진높이는 방출 또는 도입되는 양을 조절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으므로 공정수행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연결부(1)가 연결부(4) 위에 위치된 폴리머 미립 베드에 닿지 않아야 한다. 특히, 연결부(1)의 저부 단부와 폴리머 미립 베드의 상부 에지간의 거리는 최소 200㎜, 특히 200 내지 1000㎜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단일 장치에 결정화기, 건조기 및 고체 응축기를 조합한다. 연결부(5)와 (4)사이의 처리실은 건조기를 형성하며 연결부(4)위의 처리실(3)은 결정화기를 형성한다. 단순한 결정화기 구조 때문에 결정화기가 기존의 건조기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장치는 미립 형태의 폴리머 재료를 결정화, 건조 및 고체 응축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미립 폴리에스테르가 적합하다.
사용될 폴리에스테르로서 모든 종류의 것이 고려된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쪽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디올로부터 유도된 성분으로 주로 구성된다. 최근에 사용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벤젠디카르복실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의 2가 라디칼이며 디올은 2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에틸렌글리콜이 특히 적당하다. 최소한 85몰%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재료로된 미립이 특히 이득이 된다. 나머지 15몰%는 소위 개질제로 작용하며 물리화학적 성질을 변경시킬 수 있는 디카르복실산 단위 및 글리콜 단위이다.
이러한 디카르복실산 단위의 예는 이소프탈산 또는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세바스산과 같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라디칼이다. 개질시키는 디올그룹의 예는 프로판디올 또는 부탄디올, 디- 또는 트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량으로 존재할 경우 분자량이 500 내지 2000인 폴리글리콜과 같은 긴 사슬 디올이다.
최소한 95몰%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특히 비개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가 특히 선호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머 미립, 특히 비정질 폴리에스테르 미립의 결정화 및 건조방법으로서:
A) 공지의 방식으로 비정질 폴리머 미립 도입;
B) 공지의 방식으로 폴리머 미립의 결정화;
C) 공지의 방식으로 결정화된 폴리머 미립의 건조;
D) 공지의 방식으로 결정화 및 건조된 폴리머 미립의 방출, 결정화 및 건조가 구조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공통 처리실에서 수행되며 결정화동안 응집체의 형성이 불활성 가스매체 형태로 폴리머 미립에 주기적으로 작용하는 교란에 의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B)의 결정화는 180℃ 미만, 특히 120-180℃에서 수행된다.
단계 C)의 건조는 불활성 가스 스트림에서 140 내지 180℃에서 수행된다. 건조는 역류로 도입된 가열된 불활성 가스 스트림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 결과, 미립은 건조에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되며 형성된 바람직하지 않은 부산물은 반응기에서 제거된다. 고체 응축된 미립의 방출은 공지의 방출장치를 써서 행해지며 그 결과 중력에 의해 이루어진 연속적인 생성물 스트림이 생성된다.
결정화 및 건조된 폴리머의 잔류 수분함량은 20ppm 수분이다.
폴리머 미립의 건조는 수시간내에 완료된다. 온도 및 처리량에 따라 건조는 6시간 걸린다(건조기에서 체류시간). 결정화 기간은 역시 온도 및 처리량의 함수로서 최소한 20분(결정화기 지역에서 체류시간)이다.

Claims (13)

  1. 수직 처리실(3)이 형성되며 가스입구 연결부(4,5)와 가스 출구 연결부(6), 폴리머 미립 베드에 닿지 않은 폴리머 미립 입구(1) 및 폴리머 미립 출구(7)를 갖는 하우징 맨틀(2) 형태의 폴리머 미립 결정화, 건조 및 고체 응축장치에 있어서,
    폴리머 미립 베드 표면의 최대 500㎜ 아래 지역에 가스 입력 연결부(4)가 배치되어서 이를 통해서 벌크 제품의 주기적 교란이 불활성 가스매체를 사용하여 일어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처리실(3)이 원통형 또는 원뿔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처리실(3)의 하부가 건조기이며 처리실(3)의 상부가 결정화기로서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머 미립 베드 표면의 100 내지 400㎜ 아래지역에 가스 입력 연결부(4)가 배치되어서 불활성 가스매체를 사용하여 벌크물질에 대해 주기적으로 작용하는 교란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머 미립 베드의 100 내지 200㎜ 아래지역에 가스입력 연결부(4)가 배치되어서 불활성 가스매체를 사용하여 벌크물질에 대해 주기적으로 작용하는 교란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결정화 및 건조에 사용되는 장치.
  7. A) 공지의 방식으로 비정질 폴리머 미립을 도입;
    B) 공지의 방식으로 폴리머 미립을 결정화;
    C) 공지의 방식으로 결정화된 폴리머 미립을 건조;
    D) 공지의 방식으로 결정화 및 건조된 폴리머 미립을 방출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머 미립, 특히 비정질 폴리머 미립을 결정화 및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결정화 및 건조가 구조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공통 처리실에서 수행되며 불활성 가스매체 형태로 폴리머 미립에 대해 주기적으로 작용하는 교란에 의해 결정화동안 응집체의 형성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매체가 공기 또는 질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주기적 교란이 분당 10 내지 60펄스의 진동수로 일어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주기적 교란이 분당 20 내지 40펄스의 진동수로 일어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결정화가 120 내지 180℃의 온도에서 일어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건조가 140 내지 180℃의 온도에서 일어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결정화 및 건조된 폴리머 미립의 잔류 수분함량이 20ppm 수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07798A 1997-03-10 1998-03-10 폴리머 미립 결정화 방법 및 장치 KR199800800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9517A DE19709517A1 (de) 1997-03-10 1997-03-10 Vorrichtung zur Kristallisation von Polymergranulaten sowie Verfahren zur Kristallisation von Polymergranulaten
DE19709517.8 1997-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046A true KR19980080046A (ko) 1998-11-25

Family

ID=7822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798A KR19980080046A (ko) 1997-03-10 1998-03-10 폴리머 미립 결정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864409B1 (ko)
JP (1) JPH10253257A (ko)
KR (1) KR19980080046A (ko)
CN (1) CN1199061A (ko)
DE (2) DE19709517A1 (ko)
ID (1) ID20940A (ko)
TW (1) TW4386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6329A1 (de) * 1998-12-01 2000-06-07 digicolor GmbH Verfahren zum Trocknen von Kunststoffrohstoffen und Verfahren zum Regenerieren des Trocknungsmediums
DE19902458A1 (de) * 1999-01-22 2000-07-27 Buehl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handeln von Kunststoffmaterial
IT1311213B1 (it) * 1999-03-24 2002-03-04 Sipa Spa Procedimento e impianto perfezionato per il trattamento deimateriali nella produzione di corpi cavi in p.e.t.
DE19957664A1 (de) * 1999-11-30 2001-05-31 Basf Ag Vorrichtung zum Trocknen und thermischen Behandeln von Granulat mit einem Inertgasstrom
DE10049263A1 (de) * 2000-09-28 2002-04-11 Bueh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hermischen Nachbehandlung von polymerem Kunststoffmaterial in Granulatform
DE10054240A1 (de) * 2000-11-02 2002-05-08 Buehler Ag Schachtreaktor mit begastem Auslauf-Konus
DE10333648A1 (de) * 2003-02-15 2004-09-02 Kreyenborg Verwaltungen Und Beteiligungen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aus Kunststoff gefertigen Kunststoffartikeln
JP4839480B2 (ja) * 2006-10-02 2011-12-21 株式会社フクハラ 樹脂成形機に於ける窒素ガスの供給方法および供給装置
DE102006058642A1 (de) 2006-12-11 2008-06-12 Bühl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homogen kristallisierter Polykondensatgranulate
WO2008080788A2 (en) * 2006-12-29 2008-07-10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rocess and apparatus for drying a polymer
DE102007020671A1 (de) 2007-05-01 2008-11-06 Justus-Liebig-Universität Giess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aktfreien Materialwachstum in einer strömenden Lösung (FLow suspended solution growth (FSSG))
US8080196B2 (en) * 2008-02-12 2011-12-20 Gala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achieve crystallization of polymers utilizing multiple processing systems
US9259857B2 (en) 2008-02-12 2016-02-16 Gala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condition polymers utilizing multiple processing systems
CN102335977B (zh) * 2011-06-02 2013-06-19 张毅 植物纤维与热塑性塑料复合粒料的生产方法及设备
EP2712881B1 (de) * 2012-09-26 2015-05-20 Bühler Thermal Process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rektkristallisation von Polymeren unter Inertgas
US10745517B2 (en) 2012-09-26 2020-08-18 Polymetrix Ag Process and apparatus for direct crystallization of polycondensates
JP6089925B2 (ja) * 2013-04-24 2017-03-08 株式会社サタケ γ−アミノ酪酸富化装置
CN103264457A (zh) * 2013-05-31 2013-08-28 常熟市金泉化纤织造有限责任公司 一种防止聚苯硫醚切片干燥过程中氧化的连续干燥方法
CN105202889B (zh) * 2014-06-26 2017-09-19 江苏天地化纤有限公司 一种化纤生产切片结晶床
CN105214332A (zh) * 2015-11-02 2016-01-06 湖南省华京粉体材料有限公司 一种六氯化钨生产过程中脱气降块的方法和装置
CN112856933A (zh) * 2019-11-28 2021-05-28 天华化工机械及自动化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卧式多室流化床、高密度聚乙烯的干燥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2188A (en) * 1958-12-20 1963-11-26 Inventa Ag Apparatus for drying of granulated polyamides
BE618788A (nl) * 1961-07-07 1962-10-01 Onderzoekings Inst Res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korrels van amorf polyethyleentereftalaat en voor de vervaardiging van gevormde produkten hieruit, alsmede de daarbij verkregen produkten
FR1478224A (fr) 1965-05-05 1967-04-21 Metallgesellschaft Ag Procédé et installation pour le traitement, notamment pour la cristallisation, de granules amorphes en matière plastique avec des gaz très chauds
DE2530304C3 (de) * 1975-07-08 1979-03-22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und Tempern von Polyamidgranulat
DE2558730C3 (de) * 1975-12-24 1982-04-22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m Kristallisieren und Trocknen von Polyethylenterephthalat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2642102C3 (de) * 1976-09-18 1984-10-04 Bühler-Miag GmbH, 3300 Braunschweig Vorrichtung zum Kristallisieren von Kunststoffgranulat
GB2049899B (en) * 1979-05-01 1983-03-30 Ici Ltd Process for drying vinyl chloride polymer wet cake and drier therefor
US4276261A (en) * 1979-07-16 1981-06-3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olymerization apparatus and process
DD147716A1 (de) 1979-12-05 1981-04-15 Rolf Mittenzwei Verfahren zur kristallisation amorphen polyestergranulats im festbett
DD150932A1 (de) 1980-05-19 1981-09-23 Rolf Mittenzwei Vorrichtung zur kristallisation von armorphem polyestergranulat
DE3213025C2 (de) 1982-04-02 1997-06-12 Fischer Karl Ind Gmbh Verfahren zur Nachkondensation von Polykondensaten
CH665473A5 (en) 1985-07-18 1988-05-13 Schweizerische Viscose Crystallising and drying PET polymer granules - by feeding continuously into rising current of hot air where dust is removed and dried prod. falls out
EP0379684B1 (de) * 1988-12-23 1993-10-27 Büh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Kristallisieren von Polyestermaterial
DE3923061C1 (ko) * 1989-07-13 1990-07-26 Basf Ag, 6700 Ludwigshafen, De
DE4314345A1 (de) * 1993-04-30 1994-11-17 Reinhard Dr Ung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iederaufbereitung von festem Polyestermaterial
DE29521563U1 (de) 1995-01-09 1997-10-30 Buehler Ag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Kristallisieren von Polyester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9061A (zh) 1998-11-18
EP0864409B1 (de) 2002-06-12
TW438656B (en) 2001-06-07
EP0864409A2 (de) 1998-09-16
DE59804379D1 (de) 2002-07-18
JPH10253257A (ja) 1998-09-25
EP0864409A3 (de) 1999-02-17
ID20940A (id) 1999-04-01
DE19709517A1 (de) 199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0046A (ko) 폴리머 미립 결정화 방법 및 장치
EP18835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rystalline polymeric pellets
JP4838472B2 (ja) 顆粒を不活性ガス流で乾燥及び熱処理するための装置
US7819942B2 (en) Solid-phase polycondensation of polyester with process gas purification
US72081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spherical particles from a polymer melt
KR101217319B1 (ko) 폴리에스터 중합체 입자로부터의 잔류 아세트알데하이드의제거 방법
US4584366A (en) Process for the crystallizing, drying and aftercondensation of polycondensates
US7683156B2 (en) Production of a high-molecular polycondensate
US5199184A (en) Fluidized-bed or effervescent bed chamber, treatment tower and process in two stages
EP0085643A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olyester
US90326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rystalline polymeric pellets and granules
JP2009538368A (ja) 流体制御による晶析装置の温度制御
CN111152382B (zh) 用于缩聚物的直接结晶的方法和装置
CN103483578B (zh) 聚酰胺调理
KR100961449B1 (ko) 회전식 프로세서
WO2011123380A2 (en) Integrated underwater melt cutting, solid-state polymerization process
TWI743034B (zh) 用於從可結晶熱塑性材料顆粒中結晶和分離低分子成分之方法及其裝置
US6749821B1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inert gases
CN1925907A (zh) 冷却聚合物的方法和装置
EP1755769A1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inert g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