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889A - 누전 차단기 - Google Patents

누전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889A
KR19980079889A KR1019980007115A KR19980007115A KR19980079889A KR 19980079889 A KR19980079889 A KR 19980079889A KR 1019980007115 A KR1019980007115 A KR 1019980007115A KR 19980007115 A KR19980007115 A KR 19980007115A KR 19980079889 A KR19980079889 A KR 19980079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
bimetal
earth leakage
po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오지 이케하타
가즈마사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80079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8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40Combined electrothermal and electromagnetic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48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both electrothermal and electromagnetic automatic rele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1극품의 구성과 같은 외형 치수로 2극의 누전차단기를 얻는다.
과전류 트립장치(60)와 누전 트립장치(84)와 개폐기구부(69)와 트림바부(98)등의 기구를 유닛화해서 합성수지제의 광체에 끼워넣으므써 2극 2소자의 누전 차단기를 구성한다.

Description

누전 차단기
본 발명은 예를들어 전등 분전반용 협약형 배선용 차단기와 같은 외관으로 구성된 소형의 누전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일본공업규격 JIS - C 8370의 부속서 5에 의한 전등분전반용 협약형 배선용 차단기 같은 외관의 배선용 차단기로는 도 22 내지 도 25에 표시된바와 같은 구성의 회로 차단기가 있다.
즉, 도 22는 예를들어 일본국 특개평 1 - 56493 호 공보에 표시된것과 같은 종래의 회로 차단기를 표시하는 정면 단면도이고, 폐로 상태를 표시한다.
도 23은 도 22의 회로 차단기가 개로 상태일때를 표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24는 도 22의 회로 차단기가 트립 동작한 순간의 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25는 바이메탈과 전원측 단자의 접속상태를 표시하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22에서 1은 베이스이고,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2는 베이스(1)에서 돌출한 축(1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이다. 3은 축(1a)에 장착된 비틀림 스프링이고,그 일단을 베이스(1)에 타단을 핸들(2)에 걸어맞추고 핸들(2)를 반시계 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4는 U자상으로 형성된 연결핀이고 한쪽의 다리 부분은 핸들(2)에서 돌출한 돌기부(2a)에 설치된 관통공(2b)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5는 가동 접촉자이고 베이스(1)에 설치된 축(6)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한쪽의 회동부에 쌍을 이루는 제 1의 래치면(5a)과 제 2의 래치면(5b)을 소유하고 타단에 가동접점(5c)이 고착되어 있다. 7은 걸림부(7a)를 갖는 걸림레버이고, 가동 접촉자(5)와 같이 축(6)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축(6)에 장착된 비틀림 스프링(8)에 의해 가동 접촉자(5)의 작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항시 작동하고 있다. 9는 롤러이고 연결핀(4)의 다른쪽의 다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평상시는 제 1의 래치면(5a) 및 래치면(5b)과 걸림부(7a)로 잡혀져 있다.
12는 가동 접촉자(5)에 설치된 제 1의 스프링 걸림축, 13은 베이스(1)에 설치된 제 2의 스프링 걸림축, 14는 제 1의 걸림축(12)과 제 2의 스프링 걸림축(13) 사이에 걸려있는 인장 스프링 이다. 15는 베이스(1)에 끼워서 장착된 고정 접촉자이고, 가동 접점(5c)에 대향 하도록 고정 접점(15a)이 고착되어 있다. 16은 전자 트립장치이고, 17은 베이스(1)에 장착되어 전자 트립장치(16)의 자로를 형성하는 요크, 18은 전자코일이다. 전자코일(18)은 일단이 고정 접촉자(15)에 타단이 부하측 단자(1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20은 선누르기, 21은 단자나사이고, 부하측단자(19)에 외부도체(도시않음)를 접속하는 것이다. 22는 전자코일(18)이 여자되면 누름 스프링(23)의 작동력에 반해 도면중에서 좌 방향으로 흡인되는 플랜저, 24는 이 플랜저(22)가 흡인 되었을때에 좌 방향으로 구동되는 로드이다. 29는 가요도체이고 일단이 가동접촉자(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이 바이메탈(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31은 바이메탈(30)에 장착된 절연튜브이다. 32는 동 또는 동 합금재료로 형성된 전원측 단자이고, 도 23에 표시하는바와 같이 일단은 철판등의 자성재료로 형성된 아크런너(33)를 통해서 바이메탈(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은 선누름(34)과 단자나사(35)에 의해 외부도체(도시않음)을 접속한다.
36은 조정나사이고, 전원측 단자(32)의 수직단자편(32a)에 형성된 암 나사부에 장착되고, 아크런너(33)의 바이메탈(30)과의 용착부에 작용해서 바이메탈(30)의 선단부(30a)와 걸림레버(7)의 일단부(7b)간의 간극을 조정한다. 37은 양접점(5c),(15a)간에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는 소호 장치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회로 차단기에서는 도 22에 표시하는 회로 차단기의 폐로 상태 및 도 23에 표시하는 회로 차단기의 개로상태의 어느 경우에도 롤러(9)는 가동 접촉자(5)의 제 1의 래치면(5a) 및 제 2의 래치면(5b)와 걸림레버(7)의 걸림부(7a) 사이에 잡혀저서 연결핀(4)이 걸려있다.
도 23에 표시하는 회로 차단기의 개로 상태로부터 핸들(2)을 시계방향으로 ON 조작하면 핸들(2)의 돌기부(2a)와 연결핀(4)으로 형성되는 토글링크 기구가 데드 포인트를 넘어 신장하고, 가동 접촉자(5)는 축(6)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가동접점(5c)이 고정접점(15a)에 접촉하고, 도 22에 표시하는 폐로 상태가 된다.
다음 도 22에 표시하는 회로 차단기의 폐로상태에서 핸들(2)을 반시계 방향으로 OFF 조작하면 핸들(2)의 돌기부(2a)와 연결핀(4)로 형성되는 토글링크 기구가 데드 포인트를 넘어서 굴곡하고, 가동 접촉자(5)는 축 (6)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가동접점(5c)이 고정접점(15a)으로부터 개리되고 도 23에 표시하는 개로 상태가 된다.
다음 도 22에 표시하는 회로 차단기의 폐로 상태에서 전로에 과전류가 흘렀을때는 바이메탈(30)의 자유단(30a)이 만곡해서 걸림레버(7)의 일단부(7b)를 압압 하거나 또는 플랜저(2)가 작동해서 로드(24)로 걸림레버(7)의 타단부(7c)를 압압해서 걸림레버(7)를 축(6)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롤러(9)가 가동접촉자(5)의 제 1의 래치면(5a) 및 제 2의 래치면(5b)과 걸림레버(7)의 걸림부(7a) 사이에 잡혀있던 것이 해제된다.
이 롤러(9)의 해제에 의해 연결핀(4)의 걸림이 풀어지고 인장 스프링(14)의 작동력에 의해 가동 접촉자(5)가 축(6)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가동접점(5c)이 고정접점(15a)에서 개리되고 도 2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트립상태가 된다.
그후 비틀림 스프링(3)의 작동력에 의해 핸들(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롤러(9)가 제 1의 래치면(5a) 및 제 2의 래치면(5b)과 걸림레버(7)의 걸림부(7a) 사이로 이동하고, 롤러(9)가 제 1의 래치면(5a) 및 제 2의 래치면(5b)과 걸림부(7a) 사이에 잡혀서 연결핀(4)이 걸리고 핸들(2)은 도 23에 표시하는 개로 상태와 같은 위치로 이동하고 자동적으로 리셋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로 차단기에서는 전자 트립장치(16)가 큰 장소를 필요로 하였기 때문에 1극품의 회로 차단기와 같은 외형 치수의 2극품의 회로 차단기를 제작하는 것은 곤란 하였었다.
즉, 예를들면 상기한 전등 분전반용 협약형 배선용 차단기에서는 1극품의 경우의 폭치수는 25mm로 하고, 2극품의 경우의 폭치수는 50mm로 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근년 1극품의 폭치수로 2극품의 회로 차단기를 구성한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런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구성에서는 1극품의 폭치수로 2극의 회로 차단기를 구성하는 것은 곤란 하였다.
특히, 누전 트립 기능을 갖는 구성 즉, 누전 차단기의 경우는 영상 변류기나 제어회로 등을 부가할 필요가 있으므로 1극품의 폭치수로 2극의 누전 차단기를 구성 하는 것은 극히 곤란 하였었다.
또, 단락 전류등의 대전류가 흘렀을 때에 전류는 도 25에 화살표 A로 표시하는바와 같이 전원측 단자(32) → 조정나사(36) → 아크런너(33)와 바이메탈(30)과의 용접부 → 바이메탈(30)에 분류 하고저 하나 조정나사(36)의 선단부와 아크런너(33)와의 맞닿은부의 접촉저항이 높기 때문에 맞닿은부의 발열이 점점 높아져 용손되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단락전류를 차단후에는 용손에 의해 트립 시한의 변동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조정나사(36)를 판두께가 얇은 동 또는 동 합금재료로 형성된 전원측 단자(32)의 작은 유효경의 암나사부에 나사로 조이고 있기 때문에 나사부분의 강도가 약해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가요도체(29)의 바이메탈(30)로부터 가동 접촉자(5)에의 돌림을 바이메탈(30)의 통전부측에 접근 시켜서 돌리고 있었기에 가요도체(29)가 바이메탈(30)의 통전부측에 접촉하는 일이 있다.
이 접촉에 의해 바이메탈(30)의 저항치가 변화해서 트립시한이 불안정해 지므로 바이메탈(30)에 절연튜브(31)를 장착 하여야만 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제 1의 목적은 예를들면 전등 분전반용 협약형 배선용 차단기에서의 1극품의 구성과 같은 외형 치수로 2극의 누전 차단기를 얻는 것이다.
또 제 2의 목적은 단락전류를 차단후에 트립시한의 변동이 적은 누전 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제 3의 목적은 조정나사 부분의 강도가 강해 파손이 어려운 누전 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제 4의 목적은 가요도체가 바이메탈 통전부에 접촉하기 힘든 누전 차단기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회로 차단기는 전원측 단자와 이 전원측 단자의 단자부에 일단이 접합된 바이메탈과 바이메탈을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전자력을 발생하는 고정철편과 바이메탈의 타단에 가요도체를 통해서 접속된 가동 접촉자를 갖고 또 이들이 유닛화 된 과전류 트립기구부, 부하측 단자와 이 부하측 단자에 주도체를 통해서 접속되어 상기 가동 접촉자와 접리 하도록 된 고정 접촉자와 주도체에 설치된 0상 변류기와 0상 변류기의 출력을 검출해서 누전 트립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회로부와 누전트립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석부를 구비하고, 또 이들이 유닛화 된 누전 트립 기구부 및 과전류 트립 기구부와 누전트립 기구부를 수납하는 광체를 구비한 것이다.
또, 전원측 단자와 이 전원측 단자의 단자부의 일단이 접합된 바이메탈과 바이메탈을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전자력을 발생하는 고정철편과 바이메탈의 타단에 가요도체를 통해서 접속된 가동 접촉자를 각각 한쌍 가지고 있고 또, 이들이 유닛화된 과전류 트립 기구부 한쌍의 부하측 단자와 이 부하측 단자에 주도체를 통해서 접속되어 상기 가동접촉자와 접리 하도록 된 한 쌍의 고정 접촉자와 주도체에 설치된 0상 변류기와 0상 변류기의 출력을 검출해서 누전트립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회로부와 누전트립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석부와 전자석부의 작동에 응동하는 누전트립 표시자를 소유하고 또, 이들이 유닛화 된 누전트립 기구부 및 과전류 트립 기구부와 누전트립 기구부를 수납하는 광체를 구비한 것이다.
또, 수동 조작용 핸들과 이 수동 조작용 핸들의 동작에 연동하는 링크기구와 링크기구에 연결되어 가동 접촉자가 끼워 지도록 형성된 크로스바와 한쌍의 고정철편중 한쪽의 극의 고정철편의 전자력에 의해 흡인되는 가동철편과 가동철편 또는 한쪽의 극측의 바이메탈에 의해 구동되어 트립동작을 발생 시키는 걸림레버와 누전 트립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석부가 작동 했을 때 트립동작을 발생 시키는 트립레버와 이들의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프레임을 갖고, 또 이들이 유닛화 된 개폐 기구부를 구비하고, 개폐 기구부가 광체에 수납되어 있고 또, 한쌍의 바이메탈중 다른쪽 극의 바이메탈에 의해 구동 되도록 형성된 트립바와 이 트립바에 다른쪽극의 고정철편의 전자력에 의해 흡인되는 가동철편을 설치하고, 바이메탈에 의한 구동 또는 고정철편에 의해 가동철편이 흡인 되었을 때 걸림레버를 통해서 트립동작을 발생 시키도록 형성되고 또, 유닛화 된 트립바부를 구비하고 트립바부가 광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이다.
또, 과전류 트립장치는 바이메탈이 고착된 근방의 단자부에 조정나사를 채우고, 바이메탈을 고착한 단자부에 구부려서 형성된 수하 단자부를 조정나사로 눌러덮고 또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림으로써 단자부를 변형시켜 바이메탈의 자유단의 위치를 조정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누전 차단기의 일부를 절개시켜 내부를 표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2 는 도 1의 누전 차단기가 개로상태에 있을때를 표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3 은 도 1의 누전 차단기가 트립상태 일때를 표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4 는 도 1의 누전 차단기가 폐로상태 일때를 표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 5 는 도 1의 누전 차단기가 개로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 6 은 도 1의 누전 차단기가 트립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과전류 트립장치를 표시하는 확대 정면 단면도,
도 8 은 도 7의 과전류 트립장치의 확대 평면도,
도 9 는 본발명의 과전류 트립장치를 표시하는 확대정면 단면도,
도 10 은 실시의 형태 2의 누전 차단기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를 표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 11 은 도 10의 누전 차단기가 개로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 12 는 유닛화된 과전류 트립장치의 구성도,
도 13 은 유닛화된 누전 트립기구의 구성도,
도 14 는 유닛화된 개폐기구부의 구성도,
도 15 는 유닛화된 트립바부의 구성도,
도 16a 는 본 발명의 누전 차단기에 사용되는 크로스바의 외관 정면도,
도 16b 는 본 발명의 누전 차단기에 사용되는 크로스바의 외관 측면도,
도 16c 는 본 발명의 누전 차단기에 사용되는 크로스바의 외관 배면도,
도 17 는 본 발명의 누전 차단기에 사용되는 걸림레버의 외관도,
도 18 는 본 발명의 누전 차단기에 사용되는 암의 외관도,
도 19 는 본 발명의 누전 차단기에 사용되는 트립레버의 외관도,
도 20 는 본 발명의 개폐 기구부가 ON상태 일때의 설명도,
도 21 는 본 발명의 개폐 기구부가 OFF상태의 설명도,
도 22 는 종래의 누전 차단기를 표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23 는 도 22의 누전 차단기가 개로상태 일때를 표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24 는 도 22의 누전 차단기가 트립상태 일때를 표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25 는 종래의 바이메탈과 전원측 단자와의 접속상태를 표시하는 확대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제 1의 커버 41 : 베이스 42 : 제 2의 커버
43 : 절연광체 44 : 고정접촉자 45 : 고정접점
46 : 가동접촉자 47 : 가동접점 48 : 크로스바
51 : 가요도체 60 : 과전류 트립장치
61 : 전원측 단자 62 : 바이메탈 63 : 고정철편
64 : 가동철편 66 : 조정나사 67 : 가동철편
69 : 개폐기구부 70 : 프레임 72 : 걸림레버
76 : 핸들 81 : 부하측 단자 82 :0 상 변류기
83 : 제어회로 84 : 누전트립장치 87 : 전자석부
89 : 누전트립 표시보턴 91 : 트립레버
95 : 가이드 플레이트 96 : 핸들 스프링 98 : 트립바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한실시의 형태인 누전 차단기의 일부를 절개 시켜서 내부를 표시하는 정면 단면도이고, 누전 차단기가 폐로상태를 표시한다. 도 2는 도 1의 누전 차단기가 개로상태 일때를 표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누전 차단기가 트립상테 일때를 표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누전 차단기가 폐로상태 일때를 표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누전 차단기가 개로상태 일때를 표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누전 차단기가 트립상태 일때를 표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과전류 트립장치를 표시하는 확대 정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과전류 트립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과전류 트립장치를 표시하는 확대 정면 단면도이다.
또 이 실시의 형태에서의 누전 차단기의 외형 치수는 일본공업규격 JIS - C 8370의 부속서 5에 의한 전등 분전반용 협약형 배선용 차단기에서 규정된 1극품의 경우의 치수에 적합한 크기로 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40은 제 1의 커버, 41은 베이스, 42는 제 2의 커버(도 5에 표시된다)이고, 어느 것이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43은 상기 제 1의 커버(40)와 베이스(41)와 제 2의 커버(42)로 된 절연광체이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전등 분전반용 차단기의 1극품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44는 고정접촉자, 45는 이 고정 접촉자(44)에 고착된 고정접점, 46은 이 고정접점(45)에 대향해서 접리하는 가동접점(47)을 갖는 가동접촉자이다.
48은 도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합성수지로 형성된 크로스바이고 일단이 후기하는 축(71)에 회동 자재롭게 지지되고 양극에 병설된 각각의 가동 접촉자(46)의 일단이 끼워저 보존되어 있다. 또, 도 16a는 정면도, 도 16b는 측면도, 도 16c는 배면도이다. 49는 접압 스프링으로 가동접촉자(46)와 크로스바(48)사이에 개장되어 가동접점(47)에 고정접점(45)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항상 작동된다. 50은 크로스바(48)를 시계방향으로 작동하는 크로스바 스프링이다.51은 가요도체이고 1단은 가동접촉자(46)에 접속되고 타단은 후기하는 과전류 트립장치(60)의 바이메탈(62)의 자유단(62a)에 접속되어 있다. 52는 양접점(45),(47)간에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는 소호장치이다.
60은 과전류 트립장치이고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에 따라 설명한다.61은 동 또는 동합금의 도전재료를 구부려서 형성된 전원측 단자이고 수평단자부(61a)와 수직단자부(61b)와 경사단자부(61c)와 이 경사단자부(61c)의 근본부터 구부려서 수하한 수하 단자부(61d)로 형성되고, 베이스(41)의 홈(41a)에 끼워져 있다. 62는 평판상의 바이메탈이고 일단이 전원측 단자(61)의 경사단자부(61c)에 고착되어 있다. 63은 고착철편이고 철판등의 자성대료를 ㄷ자형으로 구부려서 형성되고 암나사부를 갖는 기판부(63a)가 전원측 단자(61)의 수직 단자부(61b)와 수하 단자부(61d)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64는 한쪽의 극(도 1 내지 도 3에 표시하는 쪽의 극)에서의 고정철편(63)에 대향해서 배치된 가동철편이고, 철판등 자성재료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가 후기하는 프레임(70)에 지지된축(65)에 회동 자재롭게 지지되어 있다. 66은 고정철편(63)에 부착된 조정나사이고, 도 7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나사를 돌려 끼워서 전원측 단자(61)의 수하단자부(61d)를 도 9에 표시하는 위치에 밀어넣고, 또는 먼저 위치에 되돌림으로써 이것이 수직 단자부(61b)에 작용해서 경사 단자부(61c)의 수하 단자부(61d)의 폭 L1보다 좁은 폭 L2의 근원부(61e)(도 8에 표시함)를 변형시켜 이로인해 바이메탈(62)이 도 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해서 바이메탈(62)의 자유단(62a)과 후기하는 걸림레버(72)의 제 1의 걸림편(72a)과의 극간 G를 조정한다.
69는 개폐기구이다. 70은 개폐기구부(69)를 지지하는 프레임이고, 일부를 절개시켜서 도시하고 있으나 베이스(41)와 제 1의 커버(40)사이에 설치된 축(65)과 축(9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72는 도 17에 표시하는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레버이고, 그 일단에 바이메탈(62)의 자유단(62a)이 화살표 방향으로 만곡시에 걸어맞는 제 1의 걸림편(72a)과 타단에 후기하는 롤러(79)에 걸어맞는 L자상의 제 2의 걸림편(72b)과 후기하는 트립레버(91)가 걸어맞는 제 3의 걸림편(72c)이 형성되고, 축(65)에 회동자재로 축지되어 있다.
73은 도 1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암이고, 후기하는 핸들 암(74)에 축지된 롤러 핀(75)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73a)과 크로스바(48)의 돌기부(48a)를 압압하는 압압부(73b)가 형성되어 축(65)에 회동 자재롭게 축지되어 있다.
74는 핸들암이고, 일단에 축지된 롤러 핀(75)을 통해서 가이드 홈(73a)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76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핸들이고, 외주면에서 돌출하는 제 1의 돌기(76a)와 단면에서 돌출하는 제 2의 돌출부(76b)와 배면부의 단면에서 돌출하는 제 3의 돌기부(76c)를 갖고 절연광체(43)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ON,OFF 조작이 가능해지고 제 1의 돌기부(76a)에 끼워진 축(77)을 통해서 핸들암(74)에 연동해 있다. 78은 프레임(70)에 끼워진 핸들축이고, 핸들(76)을 회동 자재롭게 지지하고 있다.79는 롤러이고, 핸들암(74)에 장착된 롤러 핀(75)에 회동 자재롭게 끼워져 있다.
80은 고정 접촉자(44)로부터 부하측 단자(81)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체, 82는 도체(80)가 관통되고 전로의 불평형 전류를 검출하는 0상 변류기이다. 83은 0상 변류기(82)로 검출한 0상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이고 기판에 장착된 저항기 콘덴서 및 IC등 전자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84는 누전 트립장치이고, 전자석부(87)와 플랜저(88)와 누전 동작시에 베이스(41)의 상단면(41a)으로부터 돌출해서 누전 동작한 것을 표시하는 누전트립 표시자 즉, 누전트립 표시보턴(89)과 이 누전트립 표시보턴(89)을 돌출 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표시보턴 스프링(9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91은 도 19에 표시된바와 같은 형상으로 된 트립레버이고, 플랜저(88)의 선단부와 맞닿는 플랜저 걸림부(91a)와 누전트립 표시보턴(89)의 일단에 형성된 래치부(89a)에 걸어맞는 래치 걸림부(91b)와 걸림레버(72)의 제 3의 걸림편(72c)와 걸어맞는 걸림부(91c)로 형성되고, 축(92)에 의해 회동 자재롭게 축지되어 있다.
93은 축(92)에 장착된 트립레버 스프링이고, 트립레버(91)를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작동한다.
도 4 내지 도 6에 표시하는 회로 차단기의 베이스(41)의 배면부에는 정면부의 개폐 기구부(69)에 인접하는 타극의 단자 과전류 트립장치를 포함하는 통전부재 및 표시용 보조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44 ~ 52, 60 ~ 66, 80,81은 상기 제 1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95는 핸들(76)에 축지된 가이드 플레이트, 96은 가이드 플레이트(95)와 핸들(76)간에 걸어맞는 가이드 플레이트(95)와 핸들(76)을 항상 소정의 관계위치에 유지 하도록 작동하는 핸들 스프링, 97은 가이드 플레이트(95)와 크로스바(48)를 회동 자재롭게 연결하는 U자상의 연결핀이다.
가이드 플레이트(95)와 핸들 스프링(96)과 연결핀(97)은 베이스(41)의 극간격벽(41b)에 의해 정면부의 개폐 기구부(69)로 절연되어 있다.
또, 가이드 플레이트와 핸들(96)과 연결핀(97)은 핸들(76) 및 크로스바(48)의 절연부재의 일단에 직접 걸어맞고 있다. 98은 연동부재로서의 트립바이고, 일단부에 바이메탈(62)의 자유단(62a)이 만곡시에 걸어맞는 제 1의 돌기(98a)과 거의 중간부에 도 1에 표시하는 정면부에 돌출하고 걸림레버(72)와 걸어맞는 제 2의 돌기(98b)가 형성되고 축(65)에 축지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과전류 트립장치(60)의 부분은 도 1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화 된 기구로 광체에 끼워져 있다.
즉, 과전류 트립장치(60)는 전원측 단자(61)와 이 전원측 단자(61)의 경사 단자부(61c)에 일단이 접속된 바이메탈(62)과 이 바이메탈(62)를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전자력을 발생하는 고정철편(63)과 바이메탈(62)의 자유단(62a)에 가요도체(51)를 통해서 접속된 자동 접촉자(46)를 각각 한쌍씩 구비한 것으로 광체에 끼운 후에는 부품의 조임 또는 통전 부분의 접속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누전 트립장치(84)의 부분은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화 된 기구로 광체에 끼워져 있다.
즉, 한쌍의 부하측 단자(81)와 이 부하측 단자(81)에 주도체(80)를 통해서 접속되어 가동접촉자(46)를 접리 하도록 된 한쌍의 고정 접촉자(44)와 주도체(80)에 설치된 0상 변류기(82)와 이 0상 변류기(82)의 출력을 검출해서 누전트립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회로부(83)와 상기 누전트립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석부(87)와 전자석부(87)의 작동에 응동하는 누전트립 표시보턴(89)을 구비한 것으로 광체에 끼운후는 부품의 조임 또는 통전부분의 접속을 불필요로 하고 있다.
또, 개폐기구부(69)부분은 도 14에 표시하는바와 같이 유닛화 된 기구로 광체에 끼워져 있다.
즉, 수동 조작용 핸들(76)과 이 수동 조작용 핸들(76)의 동작에 연동하는 핸들암(74)의 링크기구와 이 링크기구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접촉자(46)가 끼워 지도록 형성된 크로스바(48)와 상기 한쌍의 고정철편(63)중 한쪽극의 고정철편(63)의 전자력에 의해 흡인되는 가동철편(64)과 상기 가동철편(64) 또는 상기 한쪽의 극을 바이메탈(62)에 의해 구동되어 트립동작을 발생 시키는 걸림레버(72)와 전자석부(87)가 작동 했을 때 누전트립 표시보턴(89)을 응동 시키는 동시에 트립동작을 발생 시키는 트립레버(91)와 이들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프레임(70)을 구비한 것으로 광체에 끼운후에는 부품의 조임등을 불 필요로 한다.
또, 트립바(98) 부분은 도 15에 표시하는바와 같이 유닛화 된 기구로 광체에 끼워져 있다. 즉, 한쌍의 바이메탈(62)중 다른쪽 극의 바이메탈(62)에 의해 구동 되도록 형성된 트립바(98)와 이 트립바(98)에 다른쪽의 고정철편(63)의 전자력에 의해 흡인되는 가동철편(67)을 구비한 것으로 광체에 끼운후에는 부품의 조여줌 등이 필요치 않게 된다.
또, 유닛화 된 기구 이외의 소호장치(52) 가이드 플레이트(95) 또는 연결핀(97)도 광체나 각 기구에 끼워져서 부품의 조임이나 또는 통전 부분의 접속등은 불필요해 진다.
다음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표시하는 회로 차단기가 개로 상태에서 즉, 도 20에 세부를 표시한 상태에서 핸들(76)을 시계방향으로 OFF 조작하면 핸들(76)의 돌기부(76a)와 핸들암(74)과 축(77)로 형성되는 토글링크 기구가 데드 포인트를 초과해서 굴곡하고,크로스바 스프링(50)의 작동력에 의해 크로스바(48)가 축(7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2 및 세부를 도 2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바(48)에 지지된 가동 접촉자(46)의 가동접점(47)을 고정접점(45)에서 개리 시키고 다시 회동해서 프레임(70)의 단면(70a)과 크로스바(48)의 단면(48b)가 맞닿은 위치에서 정지하고 개리 동작을 완료한다.
다음 도 1의 폐로 상태에서 전로에 과전류가 흐르면 바이메탈(72)의 제1의 걸림편(72a)을 압압 하거나 또는 가동철편(64)이 고정철편(63)에 흡인되면 가동철편(64)의 하단부(64a)가 트립바(98)의 제2의 돌기(98b)를 통해서 제1의 걸림편(72a)을 누른다.
이 압압에 의해 걸림레버(72)는 축 (65)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롤러(79)와 걸림레버(72)의 제2의 걸림편(72b)의 걸림이 해제된다. 즉, 핸들암(74)의 걸림이 해제된다.
다음 핸들암(74)의 걸림이 해제되면 도 3에 표시하는바와 같이 크로스바(48)는 크로스 스프링(50)의 작동력에 의해 축(71)을 지점으로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가동접점(47)을 고정접점(45)으로부터 개리 시키고 다시 회동해서 프레임(70)의 단면(70a)과 크로스바(48)의 단면(48b)이 맏닿은 위치에서 정지하고 개리 동작을 완료한다.
이때 도 6에 표시하는 인접된 타극에서 핸들(76)은 핸들 스프링(96)에 의해항상 가이드 플레이트(95)와 동일 관계 위치에 유지 되도록 작동 되고 있으나 따라서 핸들(76)은 크로스바(48)와 연결핀(97)과 가이드 플레이트(95)로 구성되는 링크 기구의 가이드 플레이트(95)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핸들 스프링(96)의 작동력에 의해 OFF 위치 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6 및 도 3에 표시하는바와 같은 ON,OFF의 중간위치인 트립위치에 정지해서 회로 차단기가 트립상태가 된 것을 표시한다.
다음 누전 트립장치(84)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표시한 회로 차단기가 폐로 상태에서 전로에 불평형 전류가 흐르면 0상 전류기(82)가 0상 전류를 검출해서 그 전류신호를 제어회로부(83)에 보내고 이 제어회로부(83)는 0상 전류의 값이 소정치를 초과하면 누전 트립장치(84)내의 전자석부(87)를 여자한다.
전자석부(87)의 여자에 의해 플랜저(88)가 화살표 방향으로 흡인되면 플랜저(88)의 선단부에서 트립레버(91)를 축(9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동시에 트립레버(91)의 레버 걸림부(91C)에서 걸림레버(72)의 제 3의 걸림편(72C)을 압압해서 롤러(79)와 걸림레버(72)의 제2의 걸림편(72b)의 걸림을 해제 시킨다. 즉,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기구부(69)를 트립동작 시킨다.
이와 동시에 누전트립 표시보턴(89)의 일단에 형성된 래치부(89a)와 트립레버(91)의 래치 걸림부(91b)로 구성되는 래치기구를 도 3에 일점쇄선으로 표시한바와 같이 해제 하므으로써 누전트립 표시보턴(89)은 도 3의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바와 같이 표시보턴 스프링(90)의 작동력에 의해 베이스(41)의 상단면(41a)으로부터 돌출해서 누전 동작 한 것을 표시한다.
다음 누전 사고 원인을 제거한 후에 핸들(76)을 시계방향(도1에서)으로 회동해서 리셋 조작하면 개폐 기구부(69)의 리셋 동작과 병행해서 핸들(76)의 제 2의 돌기부(76b)가 표시보턴(89)의 받는부(89b)를 압압한다. 이 압압에 의해 표시보턴 스프링(90)의 작동력에 반해서 누전트립 표시보턴(89)을 하강시켜 트립레버(91)의 래치 걸림부(91b)와 누전트립 표시보턴(89)의 래치부(89a)가 트립레버 스프링(93) 및 표시보턴 스프링(90)의 작동력에 의해 다시 걸림상태가 되고 리셋 조작을 완료한다. 따라서 누전 차단기는 도 2에 표시하는 개로 상태가 된다.
실시의 형태 2.
상기한 누전 차단기는 2극 2소자의 것에 대해 설명 하였으나 상기 구성의 차단기에 의하면 2극 1소자(개폐기구가 2극이고, 한쪽극에만 과전류 트립기구를 갖는 구성)의 것이 간단히 구성된다. 즉, 도 10 및 도 11에 표시하는바와 같이 과전류 트립장치(60) 부분 및 트립바(98) 부분이 유닛화 되어 있으므로 이를 제거 하거나 다른 부품과 교체하는 것이 쉽게 된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측 극에서 과전류 트립장치 및 트립바가 없는 구성이 간단히 얻어진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등 분전반용 협약형 배선용 차단기에서 1극품의 경우의 치수에 적합하는 크기의 것을 설명 하였으나 이 발명은 전등 분전반용 협약형 배선용 차단기의 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크기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래에 진술한 바와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누전차단기에 의하면 과전류 트립장치와 누전트립기구와 개폐기구부와 트립바부의 기구를 유닛화해서 합성수지제의 광체에 끼워넣는 것만의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예를들면 전등 분전반용 협약형 배선용 차단기에서의 1극품의 구성과 같은 치수로 2극의 누전차단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과전류 트립장치는 바이메탈을 고착한 단자부에서 구부려서 형성된 수하 단자부를 조정나사로 밀어넣고 또는 원래 위치로 되돌림으로써 단자부를 변형 시켜서 바이메탈의 자유단의 위치를 조정 하도록 구성하면 조정나사를 통해서 큰 전류가 분류하지 않게되어 바이메탈 단자의 접합부에도 스트레스가 걸리지 않으므로 단락전률를 차단후에 트립 시한의 변동이 생기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Claims (3)

  1. 전원측 단자(61)와 이 전원측 단자의 단자부에 일단이 접합된 바이메탈(62)과 상기 바이메탈을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전자력을 발생하는 고정철편(63)과 상기 바이메탈의 타단에 가요도체(51)를 통해서 접속된 가동 접촉자(46)를 소유하고, 또 이들이 유닛화 된 과전류 트립 기구부(60), 부하측 단자(81)와 이 부하측 단자에 주도체(80)를 통해서 접속되어 상기 가동 접촉자(46)와 접리 하도록된 고정 접촉자(44)와 상기 주도체에 설치된 0상 변류기(82)와 상기 0상 변류기의 출력을 검출해서 누전트립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회로부(83)와 상기 누전트립 신호에의해 작동하는 전자석부(87)를 갖고 또, 이들이 유닛화 된 누전 트립 기구부(84) 및 상기 과전류 트립 기구부(60)와 누전 트립 기구부(84)를 수납하는 광체(4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2. 전원측 단자와 이 전원측 단자의 단자부에 일단이 결합된 바이메탈과 상기 바이메탈을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전자력을 발생하는 고정철편과 상기 바이메탈의 타단에 가요도체를 통해서 접속된 가동 접촉자를 각각 한쌍씩 소유하고,또 이들이 유닛화 된 과전류 트립 기구부, 한쌍의 부하측 단자와 이 부하측 단자에 주도체를 통해서 접속되어 상기 가동 접촉자와 접리 하도록 된 한쌍의 고정 접촉자와 상기 주도체에 설치된 0상 변류기와 상기 0상 변류기의 출력을 검출해서 누전트립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회로부와 상기 누전트립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석부와 상기 전자석부의 작동에 응동하는 누전트립 표시자(89)를 소유하고 또 이들이 유닛화 된 누전트립 기구부 및 상기 과전류 트립 기구부와 누전트립 기구부를 수납하는 광체를 구비 한것을 특징으로하는 누전 차단기.
  3. 제 2항에 있어서.
    수동 조작용 핸들(76)과 이 수동 조작용 핸들의 동작에 연동하는 링크기구(74)와 상기 링크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접촉자가 끼워 지도록 형성된 크로스바(48)와 상기 한쌍의 고정철편중 한쪽 극의 고정철편의 전자력에 의해 흡인되는 가동철편(64)과 상기 가동철편 또는 상기 한쪽의 극측의 바이메탈에 의해 구동되어 트립동작을 발생 시키는 걸림레버(72)와 누전트립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전자석부가 작동 했을 때 트립동작을 발생 시키는 트립레버(91)와 이들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프레임(70)을 소유하고, 또 이들이 유닛화 된 개폐 기구부(69)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기구부가 광체에 수납되어 있고, 또 한쌍의 바이메탈 중 다른쪽 극의 바이메탈에 의해 구동 되도록 형성된 트립바(98)와 이 트립바에 다른쪽 극의 고정철편(63)의 전자력에 의해 흡인되는 가동철편(64)을 설치하고, 상기 바이메탈에 의한 구동 또는 상기 고정철편에 의해 가동철편이 흡인되었을 때 상기 걸림레버(72)를 통해서 트립 동작을 발생 시키도록 형성되고, 또 이들이 유닛화 된 트립바부(98)를 구비하고 상기 트립바부가 광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
KR1019980007115A 1997-04-15 1998-03-03 누전 차단기 KR199800798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97271A JPH10289643A (ja) 1997-04-15 1997-04-15 漏電遮断器
JP97-097271 1997-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889A true KR19980079889A (ko) 1998-11-25

Family

ID=1418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115A KR19980079889A (ko) 1997-04-15 1998-03-03 누전 차단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10289643A (ko)
KR (1) KR19980079889A (ko)
CN (1) CN1061773C (ko)
ID (1) ID20176A (ko)
TW (1) TW36501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532B1 (ko) * 2008-01-29 2008-07-10 주식회사 대륙 누전차단기의 트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406B1 (ko) 2006-11-10 2011-06-30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회로 차단기
JP4889555B2 (ja) * 2007-04-23 2012-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KR100876535B1 (ko) * 2007-08-20 2008-12-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
KR100896746B1 (ko) 2008-12-16 2009-05-11 주식회사 대륙 누전·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CN103119683B (zh) * 2010-09-22 2015-06-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开闭装置
CN102094507A (zh) * 2010-12-03 2011-06-15 广东盈然木业有限公司 一种天然植物油饰面地板及其制造方法
CN102683130B (zh) * 2011-03-09 2016-03-23 上海电科电器科技有限公司 优化空间分配的断路器
AU2012225034B2 (en) * 2011-03-09 2016-06-09 Seari Electric Technology Co., Ltd. Circuit breaker for optimizing space allocation
JP6658360B2 (ja) * 2016-07-05 2020-03-04 三菱電機株式会社 漏電遮断器
CN108807100B (zh) * 2017-05-04 2023-08-22 周思雨 一种微型断路器及自动分合闸控制装置及方法
CN108389763B (zh) * 2018-05-09 2023-10-31 佳一电气有限公司 N极断路器单元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6493A (en) * 1987-08-27 1989-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oice recogn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532B1 (ko) * 2008-01-29 2008-07-10 주식회사 대륙 누전차단기의 트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89643A (ja) 1998-10-27
CN1061773C (zh) 2001-02-07
ID20176A (id) 1998-10-22
CN1196565A (zh) 1998-10-21
TW365012B (en) 1999-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8972B2 (en) Circuit breaker with auxiliary switch actuated by cascaded actuating members
AU3315799A (en) Electrical breaking device comprising a differential trip device and a circuit breaker comprising such a device
KR19980079889A (ko) 누전 차단기
JPH02100229A (ja)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EP1126492B1 (en) Circuit breaker with instantaneous trip provided by main conductor routed through magnetic circuit of electronic trip motor
JP3374699B2 (ja) 回路遮断器
JPH02100230A (ja)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US6229414B1 (en) Make-and-break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JP4206994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漏電遮断器
JP4206993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漏電遮断器
JP3920963B2 (ja) 過電流保護機能付漏電遮断器
JP3690114B2 (ja) 回路遮断器
KR102494983B1 (ko) 순시 트립 기능을 갖춘 전원 차단기
JP3328996B2 (ja) 回路遮断器
JP4144589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漏電遮断器
JP3146749B2 (ja) 回路遮断器
JP2000306486A (ja) 回路遮断器
JP2000011818A (ja) 回路遮断器
JP2575639B2 (ja) タイマ機能付回路しや断器
JP414458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漏電遮断器
JP3335041B2 (ja) 漏電遮断器
JP2654158B2 (ja) ブレーカの動作表示機構
JP3226319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遮断器
JP3232836B2 (ja) 回路遮断器のニュートラル装置
JPH11297185A (ja) 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