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207A - 래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 Google Patents

래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207A
KR19980079207A KR1019970016891A KR19970016891A KR19980079207A KR 19980079207 A KR19980079207 A KR 19980079207A KR 1019970016891 A KR1019970016891 A KR 1019970016891A KR 19970016891 A KR19970016891 A KR 19970016891A KR 19980079207 A KR19980079207 A KR 19980079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lever
cam
rapier loo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9983B1 (ko
Inventor
허기호
Original Assignee
허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기호 filed Critical 허기호
Priority to KR1019970016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983B1/ko
Priority to JP30274197A priority patent/JP2873575B2/ja
Publication of KR19980079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1Rapi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원인이 본 발명에 앞서 출원한 바 있는 특허출원 제96-52344호 래피어 직기에 사용하는 위사선택장치(presenter)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캠레버와 위사선택레버를 동일축에서 회전되게 함으로써 위사선택레버와 솔레노이드 간의 어그러짐이나 마찰이나 소음 및 마모 등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핑거가 수직선상으로 승상되어 주변 위사의 손상이나 오동작을 방지하고, 캠의 상사점을 비교적 완만하게 형성하여 위사선택레버의 상승시간이 길어지도록 함으로써 위사선택레버의 확실하고 견고한 착자가 이루어져 래피어 직기를 고속화(약 400rpm~1,000rpm) 할 수 있도록 하고, 위사선택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대신에 캠을 사용하여 원복되게 함으로써 축 설치된 위사선택레버의 부하 및 스트레스 를 감소시켜 사용수명이 대폭 연장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래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용 상태도로 선택된 위사선택레버가 하강된 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일부를 절개한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횡단면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 제6도의 단면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부분의 외관 사시도.
제8도는 일부를 절개한 본 발명 제6도의 요부 사시도.
제9도는 종래 발명의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측판 6:캠축
8:레버축 10,12:확동캠
14,23,25,56,58,66:베어링 16:풀리
18:슬리브 20:간격유지부
22:위사선택레버 24,26:작동간
28,30:편심요홈 32:고정간
34:솔레노이드 36:편심요홈의 상사점
38:장공 40:핑거
42:피스 44:핑거홀
46:지지간 48:영구자석
50,52,68:편심캠 54:키
60,62:수직간 64:축봉
C:원호구간 O:핑거의 승강 중심점
본 발명은 출원인이 본 발명에 앞서 출원한 바 있는 특허출원 제96-52344호 래피어 직기에 사용하는 위사선택장치(presenter)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캠레버와 위사선택레버를 동일축에서 회전되게 함으로써 위사선택레버와 솔레노이드 간의 어그러짐이나 마찰이나 소음 및 마모 등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핑거나 수직선상으로 상승되어 주변 위사의 접촉이나 손상 및 오동작을 방지하고, 편심캠의 상사점을 비교적 완만하게 형서하여 위사선택레버의 상승시간이 더욱 길어지도록 함으로써 위사선택레버의 확실하고 견고한 착자가 이루어져 래피어 직기를 고속화(약 400rpm~1,000rpm)할 수 있도록 하며, 위사선택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대신에 편심캠을 사용하여 원복되게 함으로써 축 설치된 위사선택레버의 부하 및 스트레스를 대폭 감소시켜 사용수명이 더욱 연장시킨 것이다.
래피어 직기의 부분품으로 사용되는 위사선택장치(presenter)는 복수개의 위사선택레버를 설치하여 공급되는 위사를 적절히 택일한 다음 니들로 공급함으로써 선택된 위사가 개구된 경사 사이로 공급되어 다양한 칼라와 무늬의 원단을 제직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 본 발명인(출원인)이 특허출원 제96-52344호(96. 11. 6)로 출원한 바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96-52344호는 래피어 직기가 고속(약 400rpm~1,000rpm)인 경우 위사선택레버의 신속한 복원이 어려운 점과 잔류 자력에 의해 복수개의 위사선택레버가 동시에 하강하는 오동작을 방지하고, 셀렉터 훅이 하강할 때 선택레버와 부딪치면서 발생하는 마찰과 마모 및 소음을 거의 제거하고, 또한 선택된 위사선택레버를 착자시켜 하강시키는 솔레노이드의 설치거리를 위사 선택레버와 비교적 가깝게 설치하여 솔레노이드의 소비전력을 줄이도록 하고 있으나,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구자석(100)으로 상승 고정되는 상부 위사선택레버(102)와, 하부 위사선택레버(104)를 상승시키는 편심캠(106)의 캠축(108)이 높낮이를 달리하여 상하로 설치되고, 하부 위사선택레버(104)의 중앙부분에 편심캠(106)과 접촉되는 공회전롤러(110)를 축 설치하여 하부 위사선택레버(104)가 상승하게 되고, 하부 위사선택레버(104)의 선단에 스프링(112)을 탄력 설치하여 편심캠(106)의 작용으로 상승된 하부 위사선택레버(104)가 하강되게 한 구성으로 그 구성이 비교적 복잡하며 마찰이나 마모 및 소음이 발생된다.
또한, 하부 위사선택레버(104)는 스프링(112)으로 편심캠(106)에 항상 접하도록 구성하여 승강될 수 있게 하고 있으나, 스프링(112)의 계속적인 탄성력에 의해 하부 위사선택레버(104)와 공회전 롤러(110)와 편심캠(106)과 캠축(108) 및 회전축(114)이 계속적으로 부하 및 스트레스를 받아 피로도가 누적되므로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사선택레버(102)의 회전축(114)이 위사가 끼워지는 핑거홀(116)보다 비교적 높게 위치하므로 솔레노이드(118)로 선택 및 착자된 하부 위사선택레버(104)가 회전축(114)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면서하강하면 제9도와 같이 수직 기준선(120)보다 안쪽(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이웃하는 위사선택레버에 끼워진 주변 위사를 건드려 마모시키거나, 보푸라기를 발생시키거나, 오동작을 일으켜 제작불량의 원인이 되는 요인이 있다.
또한, 하부 위사선택레버(104)는 솔레노이드(118)로 흡자시킨 다음 스프링(112)로 하강시킬 때 편심캠(106)의 상사점(122) 구간이 비교적 첨예각이므로(수°이내) 하부 위사선택레버(104)의 상승시간이 매우 짧으므로 솔레노이드(118)가 상부 위사선택레버(102)를 흡자(吸磁)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또한 짧으므로 흡자 실패율이 높아 래피어 직기의 고속화에 장애요인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상기 문제점이 해소 방안으로 해당 솔레노이드(118)의 흡자력을 상승시킬 경우 이웃하는 하부 위사선택레버(104)가 자력의 영향을 받아 같이 하강하거나 자려 진동(chattering)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캠레버와 위사선택레버를 핑거홀과 거의 같은 수평선상이 동일축에서 회전되게 함으로서 핑거가 수직선상에서 승강하도록 하여 주변 위사와의 손상이나 오동작을 없애주면서 마찰이나 소음 및 마모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목적은 편심캠의 상사점을 비교적 완만하게 형성하여 위사선택레버의 상승시간이 길어지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착자가 이루어져 직기를 고속화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위사선택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대신 편심캠을 사용하여 원복되게 함으로써 축 설치된 위사선택레버의 부하 및 스트레스를 대폭적으로 감소시켜 사용수명이 연장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래피어 직기용 위사선택레버에 있어서, 평행하는 양측판(2)(4)의 후단 상하에는 캠축(6)과 레버축(8)을 설치하고, 캠축(6)이 가장자리부분 양측에 편심요홈(28)(30)이 일측면에 빙둘러 형성된 한쌍의 확동캠(10)(12)을 마주 보도록 설치하고, 베어링(14)으로 축설치되는 캠축(6)은 일측판(4)의 바깥으로 연장 돌출시킨 다음 풀리(16)를 고정하여 동력전달수단으로 캠축(6)을 구동시킬 수 있게 한다.
레버축(8)의 외면에는 관체형의 미끄럼 베어링 또는 슬리브(18)를 헐겁게 끼우고 슬리브(18)의 외면에는 길이가 비교적 길면서 양측에 간격유지부(20)를 갖는 복수개의 위사선택레버(22)를 헐겁게 끼워 자유로이 회전되게 하고, 슬리브(18)의 양측 가장자리부에도 ㄴ형상으로 된 한쌍의 작동간(24)(26)을 헐겁게 끼워 자유로이 회전되게 하고, 작동간(24)(26)의 상단부에는 롤러 또는 니들 베어링(23)(25)을 축 설치하여 확동캠(10)(12)의 편심요홈(28)(30)에 구름 접촉되게 결합함으로써 풀리(16)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작동간(24)(26)이 캠축(8) 또는 슬리브(18)를 중심으로 일정구간 요동 운동하도록 한다.
작동간(24)(26)의 후단 끝단부에는 제4도와 같이 고장간(32)으로 서로 연결시킨 다음 일종이 전자석인 한쌍의 솔레노이드(34)를 위사선택레버(22)의 직하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나열한 다음 고정시켜 위사선택레버(22)를 흡자력으로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편심요홈(28)(30)의 상사점(36)은 캠축(6)의 중심점으로부터 약 30°전후의 각도로 원호구간(C)을 형성함으로써 작동간(24)(26)의 상승 정지시간을 길게하여 확실한 흡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웃하는 위사선택레버의 흡자나 자려진동을 방지한다.
위사선택레버(22)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핑거(40)의 장공(38)부분을 각각 끼운 다음 돌출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피스(42)로 체결시켜 고정하되 핑거(40)의 승강 중심점(O)과 레버축(8)의 중심점이 같은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핑거(40)가 확동캠(10)(12)의 운동에 의해 승강하더라도 같은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위가사 끼워지는 핑거홀(44)이 수직선상에서 승강운동하게 되며, 따라서 주변의 위사선택레버에 끼워진 위사와의 접촉이나 간섭이 방지되어 제직불량이나 품질불량이 방지된다.
양측판(2)(4) 사이의 상부에 지지간(46)을 끼워 고정하고, 지지간(46)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요입홈에 영구자석(48)을 각각 끼워 고정하되 위사선택레버(22)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소자된 솔레노이드(34)에 의해 떠밀려 상승된 위사선택레버(22)가 영구자석(48)에 착자되어 상승 및 고정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위사선택레버(22) 및 솔레노이드(34)의 재질은 연성 자성체의 금속재질로 형성하여 솔레노이드(34)가 소자되는 경우 위사선택레버(22)나 솔레노이드(34)의 잔류자기가 신속히 제거되게 하고, 영구자석(48)이 고정된 지지간(46)은 이웃하는 영구자석 간의 자기장에 의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합성수지나 비자성체로 하도록 하며, 상황에 따라서는 영구자석(48)과 지지간(46) 사이에 자기 차폐제를 삽입시켜 자기실드(magnetic shild)를 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도면으로 확동캠(10)(12) 대신에 편심캠(50)(52)을 사용하여 위사선택레버(22)를 구동시킬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즉, 캠축(6)의 양측 자강자리부에 타원형상의 편심캠(50)(52)을 키(54) 결합등의 방법으로 끼워 고정하고, 작동간(24)(26)의 상부에 상기 편심캠(50)(52)에 외접하는 롤러나 베어링(56)(58)을 축설치하여 작동간(24)(26)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6,7,8도와 같이 작동간(24)(26)의 대략 중앙부분에 수직간(60)(62)을 일체로 형성하고, 수직간(60)(62)의 수평 축봉(64)을 끼운 다음 축봉(64)의 중간에 롤러나 베어링(66)을 끼워고, 캠축(6)의 중간에 또 다른 편심캠(68)을 키(54) 결합등의 방법으로 고정하여 상기 베어링(66)의 편심캠(68)의 외면에 외접하도록 함으로써 작동간(24)(26)을 하강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편심캠(68)은 기하학적인 곡선부와 곡선돌출부(70) 등이 형성되어 동축(6)에 고정되는 편심캠(50)(52) 및 편심캠(50)(52)에 접하는 베어링(56)(58)의 상호작용에 의해 작동간(24)(26)을 상승 및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수평축봉(64) 없이 수직간(60)(62)의 상단부를 내향으로 절곡시킨 다음 절곡된 사이에 상기의 베어링(66)을 축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에서 위사선택레버(22)를 8개 사용한 것으로 예시를 들었으나 그 이하나 그 이상 복수개의 위사선택레버(22)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 설명 부호(68)은 고정편, (70)은 핑거 통공, (72)는 고정부재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서 된 본 발명은 위사공급부에 본 발명의 장치(가)를 설치한 다음 풀리(16)에 벨트와 같은 동력 전달수단을 연결하여 직기로부터의 회전력이 전달되게 하고, 솔레노이드(34)는 도시안된 래피어 직기의 제어기에 각각 접속하고, 복수개의 핑거홀(44)에는 위사를 각각 끼우고 솔레노이드(34)로는 전원을 단속적으로 공급하여 위사선택레버(22)를 순차적 또는 택일적으로 승강시키면서 개구된 경사 사이로 위사를 공급하여 제직하게 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풀리(16)가 회전하면 캠축(6)과 이에 고정된 확동캠(10)(12)이 회전하고, 편심요홈(28)(30)에 결합된 작동간(24)(26)의 수직부는 레버축(8)을 중심으로 소정구간 요동 운동하게 되고, 상기 작동간(24)(26)의 후단부는 승강운동하고, 솔레노이드(34)의 상부면에 각각 접촉된 복수개의 위사선택레버(22)가 상승하면서 제3도와 같이 영구자석(48)에 흡착되어 상승 위치하게 되며, 솔레노이드(34)로 전원이 공급되기 전까지 전체 위사선택레버(22)는 상기와 같이 상승하여 영구자석(48)으로 고정된다.
한편, 복수개의 위사선택레버(22)에 끼워진 위사중 한 개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기로 해당 솔레노이드(34)에 전원을 공급하면 해당 솔레노이드(34)가 착자되며, 영구자석(48)보다 더욱 큰 자력으로 착자된 솔레노이드(34)가 확동캠(10)(12)에 의해 최대한 상승하면 솔레노이드(34)의 코어에 위사선택레버(22)가 선택되어 착자되면 솔레노이드(34)의 자기력이 더욱 크므로 위사선택레버(22)가 흡착되며, 상기 위사선택레버(22)는 솔레노이드(34)가 여자되는기간 동안 확동캠(10)(12)에 의해 승강과 하강 운동을 계속하게 된다.
한편, 선택된 위사는 도시안된 캐리어에 의해 개구된 경사 사이로 공급되어 제직되며, 제어기가 상기 복수개의 솔레노이드(34)로 전원을 순차적으로 또는 비 순차적으로 적절히 공급함에 따라 위사선택레버(22) 및 위사가 선택되므로 다양한 무늬와 칼라의 원단을 제직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확동캠(10)(12)은 운동전달이 확실하고, 종동절은 스프링(112)으로 탄지시킬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부분품의 마모나 부하 및 스트레스를 방지할 수 있어서 구성 간단할 뿐 아니라 사용수명이 대폭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확동캠(10)(12)의 상사점(36)은 캠축(6)의 중심점으로부터 약 30°각도 전후의 원호구간(C)이 형성되므로 위사선택레버(22)의 상승정지 시간이 대폭 길어지므로 위사선택레버(22)의 확실한 흡자가 이루어지며, 또한 이웃하는 위사선택레버의 흡자나 진동이 방지된다.
한편, 제6도 내지 제8도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경우 편심캠(50)(52)과 이에 외접된 베어링(56)(58)에 의해 작동간(24)(26)이 상승하고, 또 다른 기하학적 편심캠(68)과 이에 외접된 베어링(66)에 의해 작동간(24)(26)이 하강하므로 종래처럼 스프링(112)이 불필요하여 부분품의 부하 및 스트레스를 방지할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사용수명이 대폭 연장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캠레버와 위사선택레버를 동일축에서 회전되게 함으로서 위사선택레버와 솔레노이드간의 어그러짐이나 마찰이나 소음 및 마모 등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핑거가 수직선상으로 상승되어 주변 위사의 손상이나 오동작이 방지되고, 편심캠의 상사점은 비교적 완만하게 형성하여 위사선택레버가 상승하여 상사점에서 정지하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함으로써 위사선택레버의 확실하고 견고한 착자가 이루어져 래피어 직기를 고속화(약 400rpm~1,000rpm)할 수 있으며, 위사선택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대신에 편심캠을 사용하여 원복되게 함으로써 축 설치된 작동간 및 위사선택레버의 부하 및 스트레스를 대폭 감소시켜 사용수명이 더욱 연장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래피어 직기의 위사선택레버에 있어서, 양측판(2)(4)의 상하부에 풀리(16)를 갖는 캠축(6)과 레버축(8)을 설치하고, 캠축(6)에 편심요홈(28)(30)이 일측면에 형성된 확동캠(10)(12)을 마주보도록 고정하고, 레버축(8)에 복수개의 위사선택레버(22)와 작동간(24)(26)을 자유 회전되게 설치하고, 위사선택레버(22)의 단부에 핑거(40)를 각각 체결하고, 작동간(24)(26)의 수직부에 베어링(23)(25)을 축설치하여 편심요홈(28)(30)에 구름 접촉되게 하고, 작동간(24)(26)의 수평단부에 고정간(32)을 고정한 다음 그 상부면에 위사선택레버(22)의 저부면이 접촉되는 솔레노이드(34)를 각각 고정하고, 양측판(2)(4)의 후단 상부에 위사선택레버(22)의 상부면이 흡착되는 영구자석(48)이 매입설치된 지지간(46)을 고정하여서 된 래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레버축(8)과 핑거홀(44)의 승강 중심점(O)이 가상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래피어 직기의 위상선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캠축(6)에 편심캠(50)(52)(68)을 고정하고, 작동간(24)(26)의 수직부에 상기 편심캠(50)(52)에 외접하는 베어링(56)(58)을 축설치하고, 작동간(24)(26)의 대략 중앙부분에 수직간(60)(62)을 일체로 형성하고, 수직간(60)(62)의 상단부에 편심캠(68)에 외접하는 베어링(66)을 축설치하여서 된 래피어 직기의 위상선택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편심캠(23)(25)의 상사점(36)의 원호구간(C) 각또는 약 30°전후 임의 특징으로 하는 래피어 직기의 위상선택장치.
KR1019970016891A 1996-11-06 1997-04-28 래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KR100239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891A KR100239983B1 (ko) 1997-04-28 1997-04-28 래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JP30274197A JP2873575B2 (ja) 1996-11-06 1997-11-05 レピア織機の緯糸選択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891A KR100239983B1 (ko) 1997-04-28 1997-04-28 래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207A true KR19980079207A (ko) 1998-11-25
KR100239983B1 KR100239983B1 (ko) 2000-01-15

Family

ID=1950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891A KR100239983B1 (ko) 1996-11-06 1997-04-28 래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9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1849A (en) * 1989-12-26 1993-10-12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For Board Of Regents Strain reduced airplane skin
JPH0571044A (ja) * 1991-09-11 1993-03-23 Tsudakoma Corp 織機の緯糸選択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9983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606B1 (ko) 장갑 편직기
KR100239983B1 (ko) 래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KR100242765B1 (ko) 평반형 자동편물기의 직물수직인장장치(Device for the Vertical Stretching of Fabric in an Automatic Knitting Machine)
US4793159A (en) Needle selection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6073662A (en) Hook selection device for a weaving loom dobby head
JP2873575B2 (ja) レピア織機の緯糸選択装置
KR100543064B1 (ko) 실 제어 어셈블리
KR100519216B1 (ko) 레피어 직기의 위사선택장치
US4972686A (en) Electromagnetic needle selector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EP0232403A1 (en) Device for individual control of yarn guiding means
US6478055B2 (en) Pulleyless shed-forming device for a weaving machine
KR970005068B1 (ko) 전자기식 자카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자카드 기계
KR100210526B1 (ko) 레피아 직기에 사용하는 위사 선택장치
JPH04289249A (ja) 丸編機における針の選択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0242281A (ja) ジャカード・レノ織装置およびジャカード機
JP2005530049A (ja) コードレス糸制御装置
KR200172171Y1 (ko) 전자식 복동 자카드 개구 장치
KR200202305Y1 (ko) 내부공간을 갖는 양면직물지 직조용 양면경편기
KR950013494B1 (ko) 자카드 개구장치
CN218203285U (zh) 一种喷气织机综框结构
CN212893076U (zh) 一种纺织面料自动打卷机
CN217479690U (zh) 一种电脑针织横机换色装置
CN218232741U (zh) 一种双功能涡轮控制装置
JPH06316830A (ja) ジャカード織機のヘルドロッド制御装置
KR20210016738A (ko) 경편기용 캠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