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8294A - 열교환기의 자동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의 자동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8294A
KR19980078294A KR1019970015809A KR19970015809A KR19980078294A KR 19980078294 A KR19980078294 A KR 19980078294A KR 1019970015809 A KR1019970015809 A KR 1019970015809A KR 19970015809 A KR19970015809 A KR 19970015809A KR 19980078294 A KR19980078294 A KR 19980078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torch
guide
weld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2674B1 (ko
Inventor
노종호
Original Assignee
노종호
주식회사 한국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종호, 주식회사 한국금속 filed Critical 노종호
Priority to KR101997001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2674B1/ko
Publication of KR1998007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026Arc welding or cut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4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용 온풍기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열교환부의 순환관들 중 외주에 위치한 두 개의 순환관이 안치되는 것을 허용하여 피용접물인 열교환기를 안정되게 안치시키는 한쌍의 안치로울러와, 상기 안치로울러를 하강작동시켜 피용접물인 열교환기의 회전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장치을 보유하고 있는 안치대와, 상기 안치대의 양측에 입설된 지지대 각각의 내측에 대설되어 실린더장치에 의해 안치대에 안착된 열교환기의 좌,우측 캡을 감싸면서 플렌지에 밀착되는 수평이동작동과 열교환기를 감합한 상태에서 함께 회전작동을 하는 좌,우측 작동장치와, 상기 좌,우측 작동장치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캠의 활주면에 접속된 상태하에서 좌,우측 작동장치와 함께 수평상으로 이동함과 동시 상,하로의 왕복작동을 수행하도록 대설된 좌,우측 토치안내장치와, 상기 양측 지지대 위에 착설되어 양측 토치안내장치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양측 토치안내장치의 캠작동봉 상단의 고정부재 각각에 수직상으로 좌,우 양측에 대설된 실린더장치와 상기 양측 실린더장치의 피스톤로드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봉 하단에 착설된 용접토치를 구비하고 있는 좌,우측 토치승강장치를 구비하여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열교환부와 좌,우측 캡을 자동으로 용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
본 발명은 난방용 온풍기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용 온풍기는 연료의 연소열을 열교환기로 보내어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작용을 하도록 한 다음 상기 열교환작용으로 더워진 공기를 실내로 송풍하여 실내를 난방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상기 난방용 온풍기의 열교환기(100)는 통상 다수의 순환관(101)과 상기 순환관들의 양단이 일체화상태로 결합되는 부착판재(102)(103)으로 구성되는 열교환부(104)와, 간막이가 내설되고 유입구(105)와 배출구(106) 및 플렌지(107)(108)가 각각 형성된 좌,우측 캡(109)(110)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착판재(102)(103) 및 좌,우측 캡(109)(110)은 대체로 원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입구(105) 및 배출구(106) 부분은 직선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은 상기한 열교환부(104)와 좌,우측 캡(109)(110)을 일차적으로 양측의 부착판재(102)(103)와 좌,우측 캡(109)(110)의 플렌지(107)(108)을 가용접(일정간격으로 부분용접한 상태)한 다음 상기의 부착판재(102)(103)와 플렌지(107)(108)의 접합부분을 작업자의 인위적인 용접작업으로 용접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작업자의 인위적인 용접작업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므로 작업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었으며, 특히 열교환기는 재질이 스테인레스스틸재이기 때문에 특수용접 즉, 알곤가스용접으로만 용접하여야 하기 때문에 숙련자가 아니면 용접작업을 실시할 수 없을뿐 아니라 숙련자라도 용접불량이 다수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이렇게 용접불량이 발생될 경우에는 열교환부와 좌,우측 캡 모두가 불량처리되어 고철로 폐기처분되기 때문에 열교환기의 생산성은 떨어뜨리고 생산원가는 높아지게 하는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되어 결국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열교환기의 열교환부와 그 양측에 조립되는 좌,우측 캡과의 용접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동용접장치를 제공하므로서 용접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 용접불량을 절대적으로 배제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성 및 생산성 향상을 꾀하여 열교환기의 생산원가를 절감시켜 보다 나은 경쟁력을 가져다 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기와의 접촉이 잘 되도록 다수의 순환관과 상기의 순환관들의 양단이 결속된 좌,우측 부착판재로 구성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좌,우측 부착판재의 주연부에 밀착되는 플렌지가 형성된 좌,우측 캡과를 가용접한 다음 상기 좌,우측 부착판재와 좌,우측 캡의 접합부위를 밀봉상태가 되게 용접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의 순환관들 중 외주에 위치한 두 개의 순환관이 안치되는 것을 허용하여 피용접물인 열교환기를 안정되게 안치시키는 한쌍의 안치로울러와, 상기 안치로울러를 하강작동시켜 피용접물인 열교환기의 회전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장치을 보유하고 있는 안치대와;
상기 안치대의 양측에 입설된 지지대 각각의 내측에 대설되어 실린더장치에 의해 안치대에 안착된 열교환기의 좌,우측 캡을 감싸면서 플렌지에 밀착되는 수평이동작동과 열교환기를 감합한 상태에서 함께 회전작동을 하는 좌,우측 작동장치와;
상기 좌,우측 작동장치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캠의 활주면에 접속된 상태하에서 좌,우측 작동장치와 함께 수평상으로 이동함과 동시 상,하로의 왕복작동을 수행하도록 대설된 좌,우측 토치안내장치와;
상기 양측 지지대 위에 착설되어 양측 토치안내장치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및
상기 양측 토치안내장치의 캠작동봉 상단의 고정부재 각각에 수직상으로 좌,우 양측에 대설된 실린더장치와 상기 양측 실린더장치의 피스톤로드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봉 하단에 착설된 용접토치를 구비하고 있는 좌,우측 토치승강장치와;
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안치대의 후방지지대에는 힌지부를 기점으로 하여 실린더장치의 피스톤로드의 출몰작동에 의하여 회전작동하면서 안치대의 상부를 개방시키는 작동과 안착된 열교환기의 열교환부 상부를 커버하는 보호커버를 착설한 것과, 상기 양측 지지대에 수평상으로 착설된 실린더장치의 피스톤로드의 출몰작동에 의하여 열교환기쪽을 향해 진퇴작동을 하는 좌,우측 작동장치의 스플라인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장치를 장착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용접상태의 피용접물인 열교환기를 안치대에 안착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호커버가 열교환기의 열교환부를 덮어준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좌,우측 작동장치가 상기 열교환기쪽으로 전진작동하여 열 교환기의 좌,우측 캡을 감싸면서 파지하는 작동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호커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캠작동봉에 설치된 좌,우측 토치승강장치가 용접위치로 작 동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의 (가)(나)도는 본 발명의 캠작동봉이 좌,우측 작동장치의 회전작동시 회전캠의 활주면을 따라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8의 (가)(나)도는 본 발명의 피용접물인 열교환기의 구성을 보인 일부 분 리사시도 및 가용접상태로의 결합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치대 2a,2b : 지지대
3a,3b,9,14,71, : 실린더장치 4a,4b : 좌,우측 작동장치
5 : 가이드레일 6a,6b : 좌,우측 토치안내장치
7a,7b : 좌,우측 토치승강장치 8 : 보호커버
11 : 받침로울러 12 : 받침구
13 : 고정판 15 : 안내봉
41 : 회전축 42 : 회전캠
43 : 절개홈 61 : 이동부재
62 : 원통부 63 : 캠작동봉
64 : 고정부재 72 : 승강판
73 : 가이드봉 74 : 각도조절부재
75 : 용접토치 100 : 열교환기
101 : 순환관 102,103 : 부착판재
107,108 : 플렌지 109,110 : 좌,우측 캡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용접상태의 피용접물인 열교환기를 안치대에 안착시킨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보호커버가 열교환기의 열교환부를 덮어준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좌,우측 작동장치가 상기 열교환기쪽으로 전진작동하여 열교환기의 좌,우측 캡을 감싸면서 붙잡아 주는 작동상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보호커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캠작동봉에 설치된 좌,우측 토치승강장치가 용접위치로 작동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의 (가)(나)도는 본 발명의 캠작동봉이 좌,우측 작동장치의 회전작동시 회전캠의 활주면을 따라 작동하는 것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며, 도 8의 (가)(나)도는 본 발명의 피용접물인 열교환기의 구성을 보인 일부 분리사시도 및 가용접상태로의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안치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안치대(1)는 상단이 반원형으로 개방되어 열교환기(100)의 열교환부(104)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안치대(1)의 내상단에는 상기 열교환부(104)의 순환관(101)을 받쳐줄 수 있는 받침홈(11a)이 다수 형성된 한쌍의 받침로울러(11)가 받침구(12)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설되어 있으며, 상기한 받침구(12)는 고정판(13)에 착설된 실린더장치(14)의 피스톤로드(14a)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작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구(12)은 고정판(13)을 관통하고 있는 안내봉(15)에 의하여 안정된 상태로서 상,하 승강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안치대(1)의 양측에는 지지대(2a)(2b)가 설치되며, 상기 양측의 지지대 각각의 외측에는 기어박스(21a)(21b)와 실린더장치(3a)(3b)가 수평상으로 착설되며, 또한 상기 양측 지지대(2a)(2b) 내측에 좌,우측 작동장치(4a)(4b)가 수평상으로 대설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장치(3a)(3b)의 피스톤로드(도시 생략)는 기어박스(21a)(21b)에 인입된 상태이며, 또 좌,우측 작동장치(4a)(4b) 각각의 회전축(41)도 상기한 기어박스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양측 회전축(41)의 일부 즉, 기어박스(21a)(21b)에서 출현되지 않고 그 내부에서만 수평이동되는 부분에는 스플라인(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기어박스(21a)(21b) 내부에는 모우터의 동력으로 회전축(41)들을 감속회전시키는 구동용 감속기어(도시 생략)가 내설되어 있다.
상기 도시하지 않은 구동용 감속기어는 회전축(41)의 스플라인에 치합되게 축설된 상태에서 스플라인 즉, 회전축(41)이 수평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같은 구성은 실린더장치(3a)(3b)의 피스톤로드가 회전축(41)에 수평상으로 연결되게 하므로서 피스톤로드의 출몰작동시 회전축(41)이 안치대(1)에 대하여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구동용 감속기어에 의하여 회전작동을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작동장치(4a)(4b)는 열교환기(100)의 좌,우측 캡(109)(110)을 감쌀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그 반대측 회전축(41)쪽에는 회전캠(42)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좌,우측 작동장치(4a)(4b)에는 열교환기의 좌,우측 캡(109)(110) 외주면에 돌설되어 있는 부착물(111)들을 수용할 수 있는 절개홈(43)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측 지지대(2a)(2b) 상단에는 가이드레일(5)을 설치하여 좌,우측 토치안내장치(6a)(6b)가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좌,우측 토치안내장치(6a)(6b) 각각의 이동부재(61)는 가이드레일(5)에 이동가능하게 대설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이동부재(61)의 원통부(62)에는 상기 회전캠(42)의 활주면에 당접된 상태에서 승강작동을 수행하는 캠작동봉(4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토치안내장치(6a)(6b) 각각의 캠작동봉(63) 상단의 고정부재(64)에는 실린더장치(71)를 각각 보유하는 좌,우측 토치승강장치(7a)(7b)가 설치된다.
상기 좌,우측 토치장치(7a)(7b)에는 각 실린더장치(71)의 피스톤로드(71a)에 고정된 승강판(72)에 가이드봉(73)이 수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가이드봉(73) 각각은 고정부재(64)의 안내봉(65)에 의하여 상하로의 이동이 안내되고 있으며, 또 상기 가이드봉(73) 각각의 하단에 부착된 각도조절부재(74)에는 용접토치(75)들이 착설되어 있다.
상기 안치대(1)의 후방측에 입설되어 있는 후방지지대(81) 상단의 부착판(82) 전방측에는 힌지부(83)을 기점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안치대(1)의 상부를 커버하는 보호커버(8)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부착판(82) 상면에는 브라켓(84)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실린더장치(9)의 피스톤로드(91)의 선단이 상기 보호커버(8)에 연결되어 보호커버를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원리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안치대(1) 상단에 열교환기(100)를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이때에는 보호커버(8)가 상향으로 회전된 상태일 뿐 아니라 좌,우측 작동장치(4a)(4b)가 양측 지지대(2a)(2b)쪽으로 이동한 상태이며, 또한 열교환부(104)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순환관(101)들 중 외측에 위치한 두 개의 순환관이 안치대(1) 내부에 있는 한쌍의 받침로울러(11)에 받쳐진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열교환기(100)를 받쳐주는 한쌍의 받침로울러(11)는 다수의 받침홈(11a)이 형성된 상태에서 두 개의 순환관(11)을 안정되게 받쳐 줄 수 있게 상승이동된 상태이다.(도 6의 가상선부분 참조)
상기 안치대(1)에 열교환기(100)의 안착작업이 완료한 후 콘트롤박스(도시 없음)의 작동스위치를 온(ON)조작하게 되면 먼저 후방지지대(81) 상단에 설치된 실린더장치(9)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91)를 출현작동시키게 되면 보호커버(8)는 도 4와 같이 힌지부(83)를 기점으로 하여 하향으로 회전하여 열교환부(104)의 상방을 덮어주게 되는데, 이때 보호커버(8)는 열교환부(104)를 구성하는 순환관(101)과는 접촉하지 않는 상태하에서 안치대(1)의 상단을 커버하므로서 열교환기(100)의 회전작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호커버(8)가 열교환부(104)를 커버하는 작동이 완료되면 곧이어서 양측 지지대(2a)(2b)에 장설된 실린더장치(3a)(3b)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를 출현작동시키므로서 회전축(41)이 기어박스장치(21a)(21b)에서 일부가 출현하게 되어 좌,우측 작동장치(4a)94b)가 열교환기(100)의 좌,우측 캡(109)(110)를 감싸게 되는데, 이때 좌,우측 작동장치(4a)(4b)에 절개되어 있는 절개홈(43)들은 좌,우측 캡(109)(110)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물(111)들을 수용하면서 좌,우측 캡을 붙잡게 되며, 이와같이 좌,우측 작동장치(4a)(4b)가 열교환기(100) 양측을 붙잡기 위해 이동할 때 회전캠(42)에 접속되어 있는 캠작동봉(63)이 따라서 이동하게 되므로서 좌,우측 토치안내장치(6a)(6b)는 가이드레일(5)을 타고 좌,우측 작동장치(4a)(4b)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도 3 참조)
상기와 같이 좌,우측 작동장치(4a)(4b)가 열교환기(100)의 좌,우측 캡(109)(110)을 붙잡는 작동이 완료되면 좌,우측 토치승강장치(7a)(7b)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장치(71)들이 작동하여 피스톤로드(71a)를 출현작동시키게 되면 승강판(72)이 가이드봉(73)을 하강작동시켜 용접토치(75)가 열교환기(100)의 열교환부(104) 양측의 부착판재(102)(103)와 좌,우측 캡(109)(110)의 각 플렌지(107)(108)를 용접할 수 있는 위치까지 하강된다.(도 5 참조)
또한 상기와 같이 좌,우측 작동장치(4a)(4b)가 열교환기(100)의 좌,우측 캡을 파지하는 작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안치대(1)의 실린더장치(14)가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로드(14a)는 몰입작동되면서 받침구(12)를 하강시켜 받침로울러(11)가 받치고 있는 순환관(101)에서 하향으로 이탈하게 되며(도 6의 실선부분 참조), 이렇게 되면 열교환기(100) 자체는 회전작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받침로울러(11)의 하강작동이 완료되면 기어박스장치(21a)(21b)에 장설되어 있는 구동용 감속기어가 회전작동을 개시하게 되며, 또 상기 구동용 감속기어는 회전축(41)의 스플라인에 치합되어 감속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므로서 좌,우측 작동장치(4a)(4b)가 적당히 감속된 상태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 양측의 용접토치(75)도 알곤가스용접을 진행하게 되어 열교환기(100)의 양측 부착판재(102)(103)와 양측 플렌지(107)(108)들이 용접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용접토치(75)는 각도조절부재(74)에 의하여 용접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 좌,우측 작동장치(4a)(4b)의 회전속도는 용접토치(75)로서 정확하게 용접할 수 있는 속도로 회전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서 용접불량현상이 유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양측 용접토치(75)의 용접이 진행되는 열교환기(100)가 원하는 용접위치까지 용접이 완료되는 시점에 도달하게 되면 용접토치(75)는 용접작업을 중단하게 됨과 동시 좌,우측 작동장치(4a)(4b)도 회전을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접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앞에서 설명한 용접작업을 진행하는 작동순서와는 역순으로 작동하여 다음 용접작업을 준비하는 작동을 반복 되풀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부와 좌,우측 캡을 일부분만 가용접한 열교환부를 안치대에 안착시키는 작업만 인위적으로 수행한 다음 보호커버를 덮어주는 작동에서 부터 용접토치로서 용접하는 작동을 자동으로 진행시킬 수 있어 열교환기의 용접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수행할 수 있을뿐 아니라 용접의 정밀성을 추구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열교환기의 열교환부 양측과 좌,우측 캡을 동시에 용접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한쪽을 용접한 후 다른 한쪽을 용접하는 것에 비하여 두배 이상으로 용접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은 물론이고 생산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 주며, 특히 열교환기를 자동으로 용접하므로서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한편 생산성은 향상시킬 수 있어 열교환기의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어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공기와의 접촉이 잘되도록 다수의 순환관과 상기의 순환관들의 양단이 결속된 좌,우측 부착판재로 구성되는 열교환부와, 상기 열교환부의 좌,우측 부착판재의 주연부에 밀착되는 플렌지가 형성된 좌,우측 캡과를 가용접한 다음 상기 좌,우측 부착판재와 좌,우측 캡의 접합부위를 밀봉상태가 되게 용접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의 순환관들 중 외주에 위치한 두 개의 순환관이 안치되는 것을 허용하여 피용접물인 열교환기를 안정되게 안치시키는 한쌍의 안치로울러와, 상기 안치로울러를 하강작동시켜 피용접물인 열교환기의 회전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장치을 보유하고 있는 안치대와;
    상기 안치대의 양측에 입설된 지지대 각각의 내측에 대설되어 실린더장치에 의해 안치대에 안착된 열교환기의 좌,우측 캡을 감싸면서 플렌지에 밀착되는 수평이동작동과 열교환기를 감합한 상태에서 함께 회전작동을 하는 좌,우측 작동장치와;
    상기 좌,우측 작동장치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캠의 활주면에 접속된 상태하에서 좌,우측 작동장치와 함께 수평상으로 이동함과 동시 상,하로의 왕복작동을 수행하도록 대설된 좌,우측 토치안내장치와;
    상기 양측 지지대 위에 착설되어 양측 토치안내장치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및
    상기 양측 토치안내장치의 캠작동봉 상단의 고정부재 각각에 수직상으로 좌,우 양측에 대설된 실린더장치와 상기 양측 실린더장치의 피스톤로드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봉 하단에 착설된 용접토치를 구비하고 있는 좌,우측 토치승강장치와;
    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대의 후방지지대에는 힌지부를 기점으로 하여 실린더장치의 피스톤로드의 출몰작동에 의하여 회전작동하면서 안치대의 상부를 개방시키는 작동과 안착된 열교환기의 열교환부 상부를 커버하는 보호커버와, 상기 안치대의 내측에는 열교환부의 순환관을 받쳐주는 받침로울러를 승강작동시킬 수 있는 실린더장치를 장설하여 열교환기를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서 회전작동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토치안내장치는 원통부에 상,하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관통된 상태로 회전캠의 활주면에 당접함과 동시 좌,우측 작동장치와 함께 이동하는 캠작동봉과, 가이드레일을 타고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토치승강장치는 양측 캠작동봉 상단의 고정부재에 수직으로 입설된 실린더장치와 상기 실린더장치의 피스톤로드 출몰작동에 의하여 승강이동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하단에 부착된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용접각도가 조절되는 용접토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
KR1019970015809A 1997-04-28 1997-04-28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 KR100232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809A KR100232674B1 (ko) 1997-04-28 1997-04-28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809A KR100232674B1 (ko) 1997-04-28 1997-04-28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294A true KR19980078294A (ko) 1998-11-16
KR100232674B1 KR100232674B1 (ko) 1999-12-01

Family

ID=1950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809A KR100232674B1 (ko) 1997-04-28 1997-04-28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26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552B1 (ko) * 2001-03-13 2004-03-18 정영재 원통 외주연 용접을 위한 용접기 이송캐리지 및 이를 위한원형 궤도
KR100653022B1 (ko) * 2006-05-24 2006-12-01 (주)남광정공 변압기용 행거 자동용접장치
CN107542513A (zh) * 2017-08-30 2018-01-05 蚌埠市同升滤清器有限公司 一种滤清器滤芯裹线装置
CN110877178A (zh) * 2019-12-05 2020-03-13 东莞理工学院 一种圆形管件自动化焊接装置
KR102100998B1 (ko) * 2020-01-08 2020-04-14 주식회사 대륭 에프.에이 열교환기용 자동 용접장치
CN116871798A (zh) * 2023-09-08 2023-10-13 河北宏翔电力设备有限公司 片式散热器焊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940B1 (ko) 2005-12-29 2006-08-08 (주)남광정공 변압기용 방열기 자동용접장치
KR100845615B1 (ko) 2007-01-17 2008-07-10 주식회사 이노테크 작업성이 향상된 레디어스 로드용 용접장치
KR100778466B1 (ko) 2007-07-26 2007-11-21 강태욱 자동 원주용접장치
KR100890581B1 (ko) 2008-01-18 2009-03-25 임천근 세륜기 롤러용 고정바아 자동용접장치
CN102785048A (zh) * 2011-05-16 2012-11-21 天津市宝通散热器有限公司 基于plc控制的散热器组片机
CN105014197A (zh) * 2014-04-21 2015-11-04 唐山市金格瑞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散热器自动焊接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552B1 (ko) * 2001-03-13 2004-03-18 정영재 원통 외주연 용접을 위한 용접기 이송캐리지 및 이를 위한원형 궤도
KR100653022B1 (ko) * 2006-05-24 2006-12-01 (주)남광정공 변압기용 행거 자동용접장치
CN107542513A (zh) * 2017-08-30 2018-01-05 蚌埠市同升滤清器有限公司 一种滤清器滤芯裹线装置
CN110877178A (zh) * 2019-12-05 2020-03-13 东莞理工学院 一种圆形管件自动化焊接装置
KR102100998B1 (ko) * 2020-01-08 2020-04-14 주식회사 대륭 에프.에이 열교환기용 자동 용접장치
CN116871798A (zh) * 2023-09-08 2023-10-13 河北宏翔电力设备有限公司 片式散热器焊接装置
CN116871798B (zh) * 2023-09-08 2023-12-26 河北宏翔电力设备有限公司 片式散热器焊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2674B1 (ko)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674B1 (ko)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
CN109570892B (zh) 一种用于制造三通管道的半自动对接机
CN109304551B (zh) 一种手机中框自动焊接设备
KR100609940B1 (ko) 변압기용 방열기 자동용접장치
CN210060292U (zh) 一种灯杆焊接变位机
JP5917535B2 (ja) プラズマおよびガス切断装置のための斜めヘッド取り付け具
KR100808916B1 (ko) 대구경 강관용 내면 접합부 용접장치
CN117182443B (zh) 一种适用于不同大小的筒型零件自动夹持工装
CN210334169U (zh) 一种钢筋笼制作装置
CN219059061U (zh) 一种齿轮轴热处理装置
EP1364764A2 (en) Rotational pressing machine with heating means
CN205464736U (zh) 片头与散热管的自动焊机
CN113579425A (zh) 一种避免波纹管打卷的环缝焊接机
CN110814586B (zh) 一种泵阀安装用焊接工装及其焊接方法
CN219026252U (zh) 一种版辊自动焊接装置
CN216786215U (zh) 一种用于齿轮淬火的夹持装置
CN205733351U (zh) 一种版辊双头自动焊接机
CN215787362U (zh) 一种避免波纹管打卷的环缝焊接机
CN220056643U (zh) 双层玻璃杯自动合口机
CN216484011U (zh) 一种度洛西汀肠溶胶囊包衣在线取样装置
CN212918286U (zh) 一种法兰焊接装置
CN207272472U (zh) 一种汽车排气管自动焊接装置
CN218926672U (zh) 一种风机外壳加工用焊接装置
CN110065677B (zh) 一种全自动套袋机
CN216399567U (zh) 一种机械自动化加工用移动翻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