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466B1 - 자동 원주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원주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466B1
KR100778466B1 KR1020070075135A KR20070075135A KR100778466B1 KR 100778466 B1 KR100778466 B1 KR 100778466B1 KR 1020070075135 A KR1020070075135 A KR 1020070075135A KR 20070075135 A KR20070075135 A KR 20070075135A KR 100778466 B1 KR100778466 B1 KR 100778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post
torch
support
w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욱
Original Assignee
강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욱 filed Critical 강태욱
Priority to KR1020070075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making circular cuts or w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3/00Specially-profiled edge portions of workpieces for making soldering or welding connections; Filling the seams formed thereby
    • B23K33/004Filling of continuous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4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용접부재의 360도 회전시 고정된 위치의 용접토오치와 간섭되는 간섭부를 갖는 용접부재의 원주형 용접부를 제1,2용접토오치에 의해 일정구간씩 나누어 360도 원주용접을 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원주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용접장치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회전모터(10)와; 회전모터(10)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회전판(20)과; 회전판(20)의 회전중심상에 고정되며 제1용접부(101)가 안착되는 제1포스트(31)와; 제1포스트(31)와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판(20)에 고정되며 용접부재(100)의 타부분이 안착되는 제2포스트(32)와; 제1용접부(101)의 제1지점에 접촉되는 제1위치로부터 이로부터 이탈된 제2위치로 왕복이동가능한 제1용접토오치(40)와; 제1용접부(101)의 제1지점에 인접하는 제2지점에 접촉되는 제3위치로부터 이로부터 이탈된 제4위치로 왕복이동가능한 제2용접토오치(5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자동용접장치는 제1,2용접토오치(40)(50)에 의해서 원주상의 용접부(101)를 일정구간 나누어 교대로 용접할 수 있게 하므로, 용접부(101)에 인접하는 위치에 간섭부(102)를 가지는 용접부재(100)의 용접을 신속하고 수월하게 한다.
또한, 용접토오치에 지지롤러(43)(53)를 구비함으로써 용접부재(100)와 용접토오치(40)(50) 사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용접품질을 향상시킨다.
용접, 토오치, 회전, 방열판

Description

자동 원주용접장치{An auto circumference-welding device}
본 발명은 용접토오치를 위치고정시키고 용접부재를 회전시키면서 원주형의 용접부를 용접시키는 자동 원주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용접부재의 360도 회전시 고정된 위치의 용접토오치와 간섭되는 간섭부를 갖는 용접부재의 원주형 용접부를 제1,2용접토오치에 의해 일정구간씩 나누어 360도 원주용접을 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원주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발전소로부터 전력수용가로 이르는 송배전 경로상에는 적절한 전압으로 변압하기 위한 변압기가 설치되어 있다. 변압기는 변압과정에서 고온이 발생하게 되며, 과열되면 정전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므로 고온을 냉각시키는 방열판이 변압기에 장착되어진다.
일반적으로 방열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장의 단위방열부(115~117)들이 마주 접합되어 절연유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118)(119)를 형성하며, 유로를 통해 절연유가 이동될때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절연유를 냉각시킨다.
상기 단위방열부(115~117)들에는 절연유가 순환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제1,2유로(118)(119)가 형성되게 되며, 인접하는 단위방열부들은 상기 제1,2유로(118)(119)들이 원주상으로 맞대어져 용접된다.
상기와 같은 방열판(100)을 제작할때 각 단위방열판(115~117)들의 제1,2유로(118)(119)를 맞대어서 용접하여 제작하게 되는 데, 통상적으로는 작업자들이 수작업으로 맞대어진 제1,2유로의 원주(용접부(101)(102))를 따라 용접을 하고 있다.
이에따라서 수작업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 및 용접 숙련도에 따른 방열판의 품질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 제1997-0044732호에는 방열판을 자동으로 용접할 수 있도록 한 자동용접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자동용접기는 용접토오치를 360도 회전시켜서 방열판에 헤더부단관을 자동으로 용접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개시된 자동용접기는 방열판과 방열판을 연결시키는 부분을 360도 회전시키면서 용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단위방열부(115)와 단위방열부(116)를 연결시키는 제1,2유로(118)(119)의 용접부(101)(102)중, 어느 하나의 유로를 용접시킬때 다른 하나의 유로가 용접토오치와 간섭되게 되므로 원주방향을 따라 360도 회전시켜서는 용접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용접토오치를 고정시키고 용접하고자 하는 부재를 360도 연속회전시키면서 원주방향의 용접부를 용접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원주용접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인접한 두 용접부재 사이에 동일원주상으로 맞대어진 원호형의 제1용접부와, 상기 제1용접부에 인접되어 두 용접부재를 연결하는 간섭부를 갖는 용접부재들의 제1용접부를 그 원주방향을 따라 용접시키는 용접장치에 있어서,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용접부가 안착되는 제1포스트와; 상기 제1포스트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판에 고정되며 상기 용접부재의 타부분이 안착되는 제2포스트와; 상기 제1용접부의 제1지점에 접촉되는 제1위치로부터 이로부터 이탈된 제2위치로 왕복이동가능한 제1용접토오치와; 상기 제1용접부의 제1지점에 인접하는 제2지점에 접촉되는 제3위치로부터 이로부터 이탈된 제4위치로 왕복이동가능한 제2용접토오치를; 구비하여서,
상기 용접부재가 360도 일방향으로 회전될때 상기 제1,2용접토오치가 각각 제1용접부의 상기 제1위치와 제3위치에 위치되어서 제1용접부를 분할하여 용접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장치는 상기 용접부재의 최상면에 상기 제1용접부와 동축으로 원형의 연결관이 마련되고, 상기 제1,2용접토오치에 의해 제1용접부가 용접되는 동안 상기 연결관과 용접부재를 용접시키는 제3용접토오치와, 상기 제3용접토오치를 상기 연결관과 용접부재의 용접부분에 접하는 제5위치와 이로부터 이탈된 제6위치를 왕복이동시키는 제3이동실린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상기 용접부재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공회전되는 제3지지롤러와, 상기 제3지지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제3지지브라켓트와, 상기 제3지지브라켓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제3용접토오치에 의한 용접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배출시키며 에어가 토출되는 에어호스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포스트와 제2포스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회전판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포스트가 안착고정되는 이동판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상기 제1,2포스트에 상기 용접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동판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결합고정되며 그 로드가 상하로 승강작동되는 가압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로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레버와, 상기 회동레버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블 럭을 구비하여서,
상기 가압블럭이 상기 용접부재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실린더의 하강작동으로 상기 가압블럭이 용접부재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용접토오치를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왕복이동시키고, 상기 제2용접토오치를 상기 제3위치와 제4위치 사이를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각각 상기 제1,2위치의 이동경로와 그리고 제3,4위치의 이동경로와 평행으로 마련되며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구동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에 결합되어 이송가능한 이동지지대와, 상기 이동지지대에 지지되며 출몰되는 이동로드를 갖는 이동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로드에 각각 상기 제1,2용접토오치를 결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용접토오치의 선단에 각각 상기 제1용접부와 인접한 용접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2지지롤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포스트에 안착된 용접부재의 제1용접부 상면에 다른 용접부재의 제1용접부가 대응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용접부재에 대해 상호 마주보는 측에 마련되며 선단에 각각 원호형의 안착부를 가지는 파지블럭과, 상기 파지블럭을 상기 아래측의 용접부재의 제1용접부에 근접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수평실린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자동용접장치는 제1,2용접토오치(40)(50)에 의해서 원주상의 용접부(101)를 일정구간 나누어 교대로 용접할 수 있게 하므로, 용접부(101)에 인접하는 위치에 간섭부(102)를 가지는 용접부재(100)의 용접을 신속하고 수월하게 한다.
또한, 용접토오치에 지지롤러(43)(53)를 구비함으로써 용접부재(100)와 용접토오치(40)(50) 사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용접품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1,2포스트(31)(3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크기가 다른 용접부재의 용접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자동 원주용접장치에 적용되는 용접부재는 예컨대, 변압기에 장착되는 변압기용 방열판이 적용될 수 있다.
이 변압기용 방열판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장의 단위방열부(115~117)들이 마주 접합되어 절연유(또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118)(119)를 형성하며, 유로를 통해 절연유가 이동될때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절연유를 냉각시킨다. 이와 같이 냉각된 절연유는 연결관(105)을 통하여 변압기본체(미도시)로 진입되어 과열된 변압기를 방열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위방열부(115~117)들에는 절연유가 순환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제1,2유로(118)(119)가 형성되게 되며, 인접하는 단위방열부들은 상기 제1,2유로(118)(119)들이 원주상으로 맞대어져 그 원주(제1용접부(101)와 제2용잡부(102))를 따라 용접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자동용접장치는 상기 유로가 1개인 경우의 방열판을 용접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유로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2개 또는 그 이상의 유로가 형성된 방열판을 용접시킬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유로(118)(119)를 2개 갖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은 방열판(100)의 용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단위방열부(116)(17)가 2개 연속된 방열판의 용접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즉, 도 1 및 도 2의 방열판(100)(이하 용접부재라 한다)에서 최하단의 단위방열부(115)가 제거된 방열판(100)이 본 발명 실시예의 장치에 적용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자동용접장치를 나타낸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이 장치는 제1용접부(101)의 용접과 연결관(105)의 용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제1용접부(101)의 용접과 연결관(105)의 용접을 별도로 수행할 수도 있게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제1용접부(101) 또는 제2용접부(102)를 나누어서 용접할 수 있도록 제1,2용접토오치(40)(50)가 마련되며, 연결관(105)과 용접부재(100)를 용접시키는 제3용접토오치(60)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연결관(105)과 용접부재(100)의 용접부를 제3용접부(103)라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상기 제1용접부(101)를 중심으로 용접부재(100)를 회전시키면서 용접을 행할때, 임의 회전구간에서 제2용접부(102)는 용접토오치와 간섭되게 되므로 간섭부로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용접부재(100)를 360도 회전시키면서 2개의 용접토오치(40)(50)를 마련하여서 용접구간을 나누어 용접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며, 즉 어느 하나의 용접부를 용접하게 될때 다른 하나는 용접토오치와 간섭되는 간섭부로서 작용하게 된다.
이하 설명에서는 제1용접부(101)와 제3용접부(103)를 동시에 용접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제2용접부(102)는 이하에서는 간섭부라 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지동용접장치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회전모터(10)와, 상기 회전모터(10)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회전판(20)과, 상기 회전판(20)의 회전중심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용접부(101)가 안착되는 제1포스트(31)와, 상기 제1포스트(31)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판(20)에 고정되며 상기 용접부재(100)의 타부분(제2용접부(102))이 안착되는 제2포스트(32)와, 상기 제1용접부(101)의 제1지점에 접촉되는 제1위치로부터 이로부터 이탈된 제2위치로 왕복이동가능한 제1용접토오치(40)와, 상기 제1용접부(101)의 제1지점에 인접하는 제2지점에 접촉되는 제3위치로부터 이로부터 이탈된 제4위치로 왕복이동가능한 제2용접토오치(50)와, 상기 제1,2용접토오치(40)(50)에 의해 제1용접부(101)가 용접되는 동안 상기 제3용접부(103)를 용접시키는 제3용접토오치(6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용접장치는 상기 용접부재(100)가 360도 일방향으로 회전될때 상기 제1,2용접토오치(40)(50)가 각각 제1용접부(101)의 상기 제1위치와 제3위치에 위치되어서 제1용접부(101)를 분할하여 용접하고, 동시에 제3용접토오치(60)가 제3용접부(103)를 360도 원주용접한다.
상기 제1,2,3용접토오치(40)(50)(60)들의 중심부에는 용접와이어(41)(51)(61)들이 용접되는 동안 계속적으로 공급되게 되는 데, 이는 미도시된 공급릴로부터 용접신호에 따라 용접와이어(41)(51)(61)들이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용접장치는 상기 제1포스트(31)와 제2포스트(3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이 간격조절수단에 의해서 제1용접부(101)와 제2용접부(102) 사이의 간격이 다른 용접부재(100)의 안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회전판(20)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21)과, 상기 가이드레일(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포스트(32)가 안착고정되는 이동판(70)을 구비하며, 이동판(70)이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볼트(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용접작업시 용접부재(1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포스트(31)(32)에 상기 용접부재(10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동판(70)에 고정되는 지지대(90)와, 상기 지지대(90)에 결합고정되며 그 로드(91a)가 상하로 승강작동되는 가압실린더(91)와, 일 단이 상기 로드(9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레버(92)와, 상기 회동레버(92)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블럭(93)을 구비하여서, 상기 가압블럭(93)이 상기 용접부재(1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실린더(91)의 하강작동으로 상기 가압블럭(93)이 용접부재(100)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한다.
한편, 연결관(105)의 상부측에는 제3용접부(103)의 용접시 연결관(105)의 유동을 방지하고, 용접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니트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유니트는 상기 용접부재(100)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기 회전부재(100)의 회전에 따라 공회전되는 제3지지롤러(122)와, 상기 제3지지롤러(12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며 상기 연결관(105)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3지지브라켓트(121)와, 상기 제3지지브라켓트(121)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120)와, 상기 제3용접토오치(60)에 의한 용접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배출시키며 에어가 토출되는 에어호스(130)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용접장치는 상기 제1용접토오치(40)를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왕복이동시키고, 상기 제2용접토오치(50)를 상기 제3위치와 제4위치 사이를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수단은 각각 상기 제1,2위치의 이동경로와 그리고 제3,4위치의 이동경로와 평행으로 마련되며 모터(미도시)의 구동으로 회전구동되는 이송스크류(47)(57)와, 상기 이송스크류(47)(57)에 결합되어 이송가능한 이동지지대(46)(56)와, 상기 이동지지대(46)(56)에 지지되며 출몰되는 이동로 드(44)(54)를 갖는 이동실린더(45)(55)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로드(44)(54)에 각각 상기 제1,2용접토오치(40)(50)를 결합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이동수단은 이송스크류(47)(57)의 회전에 의한 이송과 동시에 이동실린더(45)(55)의 작동에 의한 이송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제1,2용접토오치(40)(50)의 이송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3용접토오치(60)를 상기 연결관(105)과 용접부재(100)의 용접부분에 접하는 제5위치와 이로부터 이탈된 제6위치를 왕복이동시키는 제3이동실린더(65)를 구비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2용접토오치(40)(50)의 선단에는 각각 상기 제1용접부(101)와 인접한 용접부재(1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2지지롤러(43)(53)가 각각 제1,2지지브라켓(42)(5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2지지롤러(43)(53)들은 제1용접부(101)를 용접하는 동안 제1,2용접토오치(40)(50)와 제1용접부(101)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하여 용접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참조번호 80 및 81은 용접부재(100)를 제1,2포스트(31)(32)에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실린더 및 가이드이다.
한편,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이는 제1,2포스트(31)(32)에 복수의 용접부재(100)들을 적층시킬때, 적층되는 상측의 용접부재와 하측의 용접부재들의 제1용접부(101)들이 정확하게 일치되면서 적층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용접부재(100)에 대해 상호 마주보는 측에 마련되며 선단에 각각 원호형의 안착부를 가지는 파지블럭(330)(331)과, 상기 파지블럭(330)(331)을 상기 아래측의 용접부재(100)의 제1용접부(101)에 근접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수평실린더(320)(321)를 구비한다. 또한, 수평실린더(320)(321) 및 파지블럭(330)(331)들이 승강될 수 있도록 수직실린더(310)(311)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안내수단은 작업자들이 용접부재(100)들을 적층시킬때 제1용접부(101)가 정확히 일치될 수 있도록 하며, 용접부재(100)들이 적층완료되고 용접부재(100)가 회전되면서 용접되는 동안에는 파지블럭(330)(331)들이 제1용접부(101)위치로부터 후퇴되고 수직실린더(310)(311)에 의해서 하강되어 회전되는 용접부재(10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자동 원주용접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용접부재(100)의 크기에 따라 제2포스트(32)를 이동시키면서 제1포스트(31)와의 간격을 조절하고, 제1,2포스트(31)(32)에 용접부재(100)를 안착시킨다. 이때 제1포스트(31)에는 용접하고자 하는 용접부 즉, 제1용접부(101)의 중심이 놓이도록 안착시킨다.
이어서 가압실린더(91)를 가동하여서 회동레버(92) 및 가압블럭(93)을 상승시킨 후, 회동레버(92)를 회동시켜서 가압블럭(93)이 용접부재(100)의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가압실린더(91)를 작동시켜서 도 5에서와 같이 가압블럭(93)이 용접부재(100)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한다.
이어서 승강실린더(120)를 가동하여서 제3지지롤러(122)가 용접부재(100) 상 면에 접하도록 한다.
이어서 도 5에서와 같이, 제1,2용접토오치(40)(50)가 제1용접부(101)에 접하도록 상기 이동수단(도 6참조)에 의해서 이동시키고, 제3이동실린더(65)를 가동하여 제3용접토오치(60)가 제3용접부(103)에 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2,3용접토오치(40)(50)(60)들이 각각 제1용접부(101)와 제3용접부(103)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모터(10)를 구동하여 용접부재(10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원을 인가하여 용접작업을 수행한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용접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회전모터(10)를 구동하여 용접부재(100)를 반시계방향으로 360도 회전시키는 동안 제1용접부(101)는 제1용접토오치(40)에 의해서 약 200도 용접되고, 제2용접토오치(50)에 의해서 약 160도 용접된다.
동시에 제3용접부(103)는 제3용접토오치(60)에 의해서 360도 용접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이는 용접초기 위치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부호 A는 제1용접토오치(40)와 최초 접하는 제1용접부(101)의 위치를 나타내고, 부호 B는 제2용접토오치(50)와 최초 접하는 제1용접부(101)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에서는 용접부재(100)가 회전됨에 따라 위치이동되는 A와 B를 표기하였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1용접토오치(40)에 의해서 (가)구간(대략 200도)이 용접되고, 제2용접토오치(50)에 의해서 (나)구간(대략 160도)이 용접된다.
도 9a는 도 8a로부터 약 90도 반시계방향으로 용접부재(100)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8b에는 용접부재(100)가 90도 회전되는 동안 제1,2용접토오 치(40)(50)에 의해서 용접비이드(굵은실선)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한편, 도 10에서와 같이, 용접부재(100)기 반시계방향으로 약 160도 회전되면서 제2용접토오치(50)에 의해서 (나)구간이 완료된 후에, 제2용접토오치(50)는 제1용접부(101)로부터 휘퇴된다. 이때 후퇴는 도 6에서와 같이 이송스크류(57) 및 이동실린더(55)에 의해서 신속하게 후퇴된다.
이에 따라서 용접부재(100)가 계속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때 간섭부(102)와 제2용접토오치(50)가 상호 충돌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용접부재(100)가 계속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용접토오치(40)에 의해서 제1용접부(101)의 나머지 (가)구간의 용접을 마무리한다.
용접부재(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용접부(101)가 제1,2용접토오치(40)(50)에 의해서 용접되는 동안, 상기 제3용접부(103)는 제3용접토오치(60)에 의해서 360도 원주용접된다. 제3용접부(103)에서 발생되는 용접 이물질들은 에어호스(130)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에어에 의해서 제거되며, 연결관(105)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용접위치를 유지시키는 제3지지브라켓(121)이 제3지지롤러(122)에 의해서 회전되는 용접부재(100)에 대해 위치고정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용접장치는 원주형의 제1용접부(101)만을 갖는 용접부재를 용접시킬 수 있고(이때 제3용접토오치(60)는 작동정지), 또한 제3용접부(103)만 갖는 용접부재를 용접시킬 수 있다(이때 제1,2용접토오치는 작동정지).
도 1 및 도 2는 용접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용접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자동용접장치의 나타낸 개략 작동도,
도 6은 용접토오치의 이동수단은 나타낸 개략도,
도 7 은 용접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8 내지 도 12는 회전구간별 용접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파지블럭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Claims (7)

  1. 인접한 두 용접부재 사이에 동일원주상으로 맞대어진 원호형의 제1용접부와, 상기 제1용접부에 인접되어 두 용접부재를 연결하는 간섭부를 갖는 용접부재들의 제1용접부를 그 원주방향을 따라 용접시키는 용접장치에 있어서,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회전모터(10)와;
    상기 회전모터(10)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회전판(20)과;
    상기 회전판(20)의 회전중심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용접부(101)가 안착되는 제1포스트(31)와;
    상기 제1포스트(31)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판(20)에 고정되며 상기 용접부재(100)의 타부분이 안착되는 제2포스트(32)와;
    상기 제1용접부(101)의 제1지점에 접촉되는 제1위치로부터 이로부터 이탈된 제2위치로 왕복이동가능한 제1용접토오치(40)와;
    상기 제1용접부(101)의 제1지점에 인접하는 제2지점에 접촉되는 제3위치로부터 이로부터 이탈된 제4위치로 왕복이동가능한 제2용접토오치(50)를; 구비하여서,
    상기 용접부재(100)가 360도 일방향으로 회전될때 상기 제1,2용접토오치(40)(50)가 각각 제1용접부(101)의 상기 제1위치와 제3위치에 위치되어서 제1용접부(101)를 분할하여 용접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주용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재(100)의 최상면에 상기 제1용접부(101)와 동축으로 원형의 연결관(105)이 마련되고,
    상기 제1,2용접토오치(40)(50)에 의해 제1용접부(101)가 용접되는 동안 상기 연결관(105)과 용접부재(100)를 용접시키는 제3용접토오치(60)와,
    상기 제3용접토오치(60)를 상기 연결관(105)과 용접부재(100)의 용접부분에 접하는 제5위치와 이로부터 이탈된 제6위치를 왕복이동시키는 제3이동실린더(65)를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주용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재(100)의 상면을 가압하며 상기 회전부재(100)의 회전에 따라 공회전되는 제3지지롤러(122)와, 상기 제3지지롤러(12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며 상기 연결관(105)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3지지브라켓트(121)와, 상기 제3지지브라켓트(121)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120)와, 상기 제3용접토오치(60)에 의한 용접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배출시키며 에어가 토출되는 에어호스(130)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주용접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스트(31)와 제2포스트(3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회전판(20)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21)과, 상기 가이드레일(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포스트(32)가 안착고정되는 이동판(7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주용접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포스트(31)(32)에 상기 용접부재(10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동판(70)에 고정되는 지지대(90)와, 상기 지지대(90)에 결합고정되며 그 로드(91a)가 상하로 승강작동되는 가압실린더(91)와, 일단이 상기 로드(9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레버(92)와, 상기 회동레버(92)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블럭(93)을 구비하여서,
    상기 가압블럭(93)이 상기 용접부재(1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실린더(91)의 하강작동으로 상기 가압블럭(93)이 용접부재(100)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주용접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접토오치(40)를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왕복이동시키고, 상기 제2용접토오치(50)를 상기 제3위치와 제4위치 사이를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각각 상기 제1,2위치의 이동경로와 그리고 제3,4위치의 이동경로와 평행으로 마련되며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구동되는 이송스크류(47)(57)와, 상기 이송스크류(47)(57)에 결합되어 이송가능한 이동지지대(46)(56)와, 상기 이동지지대(46)(56)에 지지되며 출몰되는 이동로드(44)(54)를 갖는 이동실린더(45)(55)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로드(44)(54)에 각각 상기 제1,2용접토오치(40)(50)가 결합 되며,
    상기 제1,2용접토오치(40)(50)의 선단에 각각 상기 제1용접부(101)와 인접한 용접부재(10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2지지롤러(43)(5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주용접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포스트(31)(32)에 안착된 용접부재(100)의 제1용접부(101) 상면에 다른 용접부재(100)의 제1용접부(101)가 대응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용접부재(100)에 대해 상호 마주보는 측에 마련되며 선단에 각각 원호형의 안착부를 가지는 파지블럭(330)(331)과, 상기 파지블럭(330)(331)을 상기 아래측의 용접부재(100)의 제1용접부(101)에 근접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수평실린더(320)(32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주용접장치.
KR1020070075135A 2007-07-26 2007-07-26 자동 원주용접장치 KR100778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135A KR100778466B1 (ko) 2007-07-26 2007-07-26 자동 원주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135A KR100778466B1 (ko) 2007-07-26 2007-07-26 자동 원주용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466B1 true KR100778466B1 (ko) 2007-11-21

Family

ID=3908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135A KR100778466B1 (ko) 2007-07-26 2007-07-26 자동 원주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4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363B1 (ko) 2013-12-16 2015-03-18 주식회사 하나컴머셜 이동형 가열유닛을 갖는 원형톱용 팁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팁 용접방법
CN113267070A (zh) * 2021-05-28 2021-08-17 衡水新工质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压宽通道平板换热器
KR20220153772A (ko) * 2021-05-12 2022-11-21 김대진 자동 용접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9174A (en) 1980-01-31 1981-08-29 Ckd Corp Automatic copying welding machine
JPS5855180A (ja) 1981-09-30 1983-04-01 Nippon Radiator Co Ltd 全周自動溶接機
KR970069219A (ko) * 1997-08-30 1997-11-07 두석만 방열판 자동용접기
KR100232674B1 (ko) 1997-04-28 1999-12-01 노종호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
JP2003025067A (ja) 2001-07-09 2003-01-28 Babcock Hitachi Kk 多軸制御溶接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9174A (en) 1980-01-31 1981-08-29 Ckd Corp Automatic copying welding machine
JPS5855180A (ja) 1981-09-30 1983-04-01 Nippon Radiator Co Ltd 全周自動溶接機
KR100232674B1 (ko) 1997-04-28 1999-12-01 노종호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
KR970069219A (ko) * 1997-08-30 1997-11-07 두석만 방열판 자동용접기
JP2003025067A (ja) 2001-07-09 2003-01-28 Babcock Hitachi Kk 多軸制御溶接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363B1 (ko) 2013-12-16 2015-03-18 주식회사 하나컴머셜 이동형 가열유닛을 갖는 원형톱용 팁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팁 용접방법
KR20220153772A (ko) * 2021-05-12 2022-11-21 김대진 자동 용접 장치
KR102509080B1 (ko) * 2021-05-12 2023-03-09 김대진 자동 용접 장치
CN113267070A (zh) * 2021-05-28 2021-08-17 衡水新工质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压宽通道平板换热器
CN113267070B (zh) * 2021-05-28 2022-06-10 衡水新工质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压宽通道平板换热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940B1 (ko) 변압기용 방열기 자동용접장치
WO2018041236A1 (zh) 组焊装置及方法
CN102049643B (zh) 内环缝焊接机系统及内环缝焊接方法
CN202015902U (zh) 内环缝焊接机系统
KR100778466B1 (ko) 자동 원주용접장치
CN1833805A (zh) 一种集装箱内侧板焊接方法及其设备
KR20190001391U (ko) 원통형 피가공물 지지장치
CN113770493B (zh) 一种钢板埋弧焊焊接设备及其方法
CN105499886A (zh) 自动翻转的上横梁体焊接装置
CN1077478C (zh) 薄板焊接的方法及设备
CN101862880B (zh) 主弦杆接头机器人焊接系统
KR101551941B1 (ko) 강관 성형장치
CN219787237U (zh) 一种滚筒自动焊接装置
US7107813B2 (en) Progressive pressing apparatus
JP3661923B2 (ja) マッシュ・シーム溶接装置
JPH05263125A (ja) 全自動高周波焼入れ装置
CN105436905A (zh) 椭球贮箱箱底法兰盘加装装备
CN115338525A (zh) 一种油锯导板凸焊焊接机
CN206105125U (zh) 一种轻卡用散热器焊接装置
CN204621422U (zh) 环缝自动焊接专机
CN209867676U (zh) 具有压紧装置的激光焊接设备
KR20040083857A (ko) 유로폼의 프레임용 자동 용접장치
CN112589247A (zh) 燃油箱加油口电阻焊一体化设备
KR100778465B1 (ko) 자동용접장치
CN220217268U (zh) 一种卫浴框架激光焊夹具的新型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