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5682A -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5682A
KR19980075682A KR1019970011927A KR19970011927A KR19980075682A KR 19980075682 A KR19980075682 A KR 19980075682A KR 1019970011927 A KR1019970011927 A KR 1019970011927A KR 19970011927 A KR19970011927 A KR 19970011927A KR 19980075682 A KR19980075682 A KR 19980075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cooking
abnormal state
minutes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11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5682A/ko
Publication of KR1998007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682A/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취사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각 공정별로 공정최대시간을 설정하고, 각 공정이 해당하는 공정최대시간을 초과하여 진행되는 경우, 이것을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로 판단하여 히터구동을 정지하여 취사공정을 중단한 다음, 부저를 이용하여 청각적으로 경보함과 동시에 표시부에 시각적으로 이상상태임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기보온밥솥이 정상 동작하지 않음을 알려주어, 이상상태에 대해 사용자가 빨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
본 발명은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취사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각 공정별로 공정최대시간을 설정하고 각 공정이 해당하는 공정최대시간을 초과하여 진행되는 경우, 이것을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로 판단하여 이를 사용자에 경보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은 취사기능과 보온기능을 갖고 있으며 사용자가 취사기능을 선택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 즉, 키 입력에 따른 소정의 취사공정을 거쳐 취사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취사공정 수행 중 전기보온밥솥 내부 각 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소정의 공정에 맞는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히터를 구동시켜 취사기능을 행하며 현재 진행중인 공정 과정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각 취사공정의 변화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취사 완료 후에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보온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전기보온밥솥이 취사공정을 수행하는 중에 전원의 이상, 히터의 동작 이상, 내솥의 안착상태 불량 또는 열판과 내솥 사이에 이물질로 인한 열전달 불량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취사공정이 완료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는 나중에(대개는 취사완료 예정시점) 가서야 비로소 전기보온밥솥이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지 않음을 알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취사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각 공정별로 공정최대시간을 설정하고 각 공정이 해당하는 공정최대시간을 초과하여 진행되는 경우, 이것을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로 판단하여 이를 사용자에 경보하는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각 공정별로 최적의 공정최대시간을 설정하고, 각 공정이 설정된 해당 공정최대시간을 초과하여 진행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며, 이상상태의 검출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을 보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을 보인 그래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을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이크로프로세서 12 : 키 입력부
14 : 감지부 16 : 히터 구동부
18 : 표시부 T1 : 흡수공정
T2 : 제1가열공정 T3 : 제2가열공정
T4 : 비등유지공정 T5 : 뜸공정
전기보온밥솥은 도 1에 도시한 블록 구성도에서와 같이, 취사기능과 보온기능을 갖는 전기보온밥솥의 각종 동작환경을 설정하는 키로 구성된 키 입력부(12)와, 전기보온밥솥의 바닥과 몸통 및 뚜껑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종 히터에 의해 발열되는 온도를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감지부(14)와, 상기 키 입력부(12)의 키 입력과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값에 의해 전기보온밥솥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와, 전기보온밥솥의 바닥과 뚜껑 및 몸통에 설치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여 전기보온밥솥의 내부를 가열하는 각종 히터 구동부(16)와, 상기한 전기보온밥솥의 동작상태를 표시(부저포함)하는 표시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키 표시부(18)에는 이상상태를 검출한 경우 이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LED)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을 도 2에 나타낸 일반적인 전기보온밥솥의 취사공정을 보인 그래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전기보온밥솥의 동작모드가 취사모드로 설정되면 취사용 히터와 뚜껑용 히터 및 몸통용 히터에 동작시켜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면서 내솥에 내입된 쌀에 물이 흡수되도록 하는 흡수공정(T1)을 일정시간(약 10분에서 11분 정도) 동안 수행하여 내부온도를 45℃까지 상승시킨다.
흡수공정(T1)이 종료되면 내부를 일정온도(75℃)까지 상승시키면서 취사량을 판정하는 제1가열공정(T2)을 수행하여 내솥에 내입된 쌀의 양을 판정하고, 이어서 제1가열공정에서 판정된 취사량에 근거하여 열량을 배분하여 내부온도를 102℃까지 상승시키는 제2가열공정(T3)을 수행하고, 계속하여 제2가열공정(T3)을 연장하여 내부를 가열하여 내부온도가 취사완료 온도(125℃)까지 상승되도록 내부를 가열하는 비등유지공정(T4)을 수행한다. 이렇게 각 공정이 종료된 후에는 취사된 밥을 일정시간(약12분 정도) 동안 소정온도(115℃)로 가열하는 뜸공정(T5)을 수행하면서 취사공정을 모두 종료하고 보온 공정으로 전환된다.
보온기능 수행은 전기보온밥솥의 내부온도를 일정온도(75℃)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취사용 온도센서로 내부온도를 감지하여 일정온도(75℃) 이하이면 히터를 구동시키고, 일정온도(75℃)를 넘으면 히터 동작을 중지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취사 완료된 밥을 일정한 온도로 보온하게된다.
이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a 및 도 3b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기보온밥솥에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전원이 공급되면 먼저 키 입력부(12)로부터 키가 입력되기를 기다리는 키입력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키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키가 공정시작키인지를 판단한다(S3).
상기 판단결과 공정시작키가 아니면 다른 루틴을 수행한다(S4). 즉, 취사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 입력의 경우에는 해당 취사모드(진밥, 된밥, 보통밥, 잡곡밥, 현미밥 등을 말한다)를 설정하게 된다.
취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공정시작키가 입력되어 취사공정이 시작되거나(S5) 새로운 공정이 시작되면 각 공정에 따른 공정최대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공정플래그를 검사한다. 초기에는 첫 번째 공정인 흡수공정(T1)의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다.
흡수공정(T1) 및 뜸공정(T5)의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 공정최대시간을 15분으로 설정하고(S6)(S7), 비등유지공정(T4)의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 공정최대시간을 18분으로 설정하고(S7)(S8) 그렇지 않은 경우, 즉 제1가열공정(T2) 및 제2가열공정(T3)의 공정최대시간은 20분으로 설정한다(S10).
상기 공정최대시간은 반복실험에 의해 구해진 각 공정별 최적 진행시간을 약간의 여유를 두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즉, 흡수공정(T1) 및 뜸공정(T5)은 12분 내지 15분, 비등유지공정(T4)은 15분 내지 18분, 제1가열공정(T2) 및 제2가열공정(T3)은 20분 내지 23분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수행할 공정의 공정최대시간을 마치면 공정을 진행시키면서 공정진행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공정진행 시간이 앞서 설정한 공정최대시간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한다(S11∼S14).
상기 판단(S14) 결과 측정된 공정진행 시간이 공정최대시간을 초과하면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로 판단하여 히터구동을 정지시켜 취사공정을 중단한 다음, 부저를 작동시키는 한편 표시부(18)에 이상상태 LED를 작동시켜 청각적 및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이상상태가 발생했음을 알린다(S15∼S17).
그러나 상기 판단(S14) 결과 측정된 공정진행 시간이 공정최대시간을 초과하지 않았으면 전기보온밥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보고, 공정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8).
판단 결과, 공정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공정진행 시간이 공정최대시간을 초과하는 이상상태가 발생하거나 공정이 완료되기까지 단계(S11∼S14)를 반복 수행한다.
이상상태의 발생 없이 단계(S18)에서 공정진행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에 수행하여야 할 공정의 플래그를 세트하고(S19) 모든 공정이 완전히 끝났는지를 판단한다(S20).
모든 공정이 끝났으면 취사공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되고, 그렇지 않으면 다음 공정을 시작하고(S21),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새롭게 시작되는 공정의 공정최대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S6∼S10)를 수행한 후, 공정을 진행하면서 공정진행시간을 측정하여 이것이 수행중인 공정의 최대공정시간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1∼S14)를 수행하고, 이어서 이상상태가 검출되지 않으면 공정진행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단계(S11∼S14)를 수행한다. 하나의 공정이 끝나면 다음 공정의 시작을 위한 플래그를 세트하고 모든 공정이 끝날 때까지 상기 단계(S5∼S21)를 되풀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은 취사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각 공정별로 공정최대시간을 설정하고, 각 공정이 해당하는 공정최대시간을 초과하여 진행되는 경우, 이것을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로 판단하여 히터구동을 정지하여 취사공정을 중단한 다음, 부저를 이용하여 청각적으로 경보함과 동시에 표시부에 시각적으로 이상상태임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기보온밥솥이 정상 동작하지 않음을 알려주어, 이상상태에 대해 사용자가 빨리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의 일 실시예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키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키를 판별하여 해당되는 취사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취사모드로 취사공정을 수행하여 전기보온밥솥의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각 공정별로 공정최대시간을 설정하고, 공정의 진행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공정진행시간이 설정된 해당 공정최대시간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공정별 공정최대시간을 흡수공정(T1) 및 뜸공정(T5)은 12분 내지 15분으로 설정하고, 비등유지공정(T4)은 15분 내지 18분으로 설정하며, 제1가열공정(T2) 및 제2가열공정(T3)은 20분 내지 23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
KR1019970011927A 1997-03-31 1997-03-31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 KR19980075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927A KR19980075682A (ko) 1997-03-31 1997-03-31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927A KR19980075682A (ko) 1997-03-31 1997-03-31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682A true KR19980075682A (ko) 1998-11-16

Family

ID=6595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927A KR19980075682A (ko) 1997-03-31 1997-03-31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56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87917B2 (ja) 煮沸洗濯機のヒータ過熱防止装置及び方法
KR19980075682A (ko)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
KR19980075690A (ko) 전기보온밥솥의 이상상태 검출방법
JPS59131829A (ja) 調理器
JPH10323291A (ja) 電気式業務用フライヤー
KR100190974B1 (ko) 이상발생시 전기보온밥솥의 동작 제어방법
KR0159033B1 (ko) 전기밥솥의 이상공정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177936B2 (ja) 調理器
KR19990041192A (ko) 전자렌지의 팬 제어방법
JP2005087273A (ja) 炊飯器
KR19990005366A (ko) 전기보온밥솥에서 이상 취사시 공정 완료 방법
KR19980047120A (ko) 전기보온밥솥의 입/출력 포트의 입/출력상태 테스트방법
KR0181666B1 (ko) 히터 전원 단속용 릴레이 불량 점검장치 및 그 방법
KR100216122B1 (ko) 전기보온밥솥에서 타이머를 이용한 과열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JP3317287B2 (ja) 魚焼き調理器
KR0170127B1 (ko) 전기 보온밥솥의 취사 동작 제어장치 및 방법
CN117652870A (zh) 烹饪器具的控制方法和烹饪器具
KR0171336B1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전자렌지의 오동작 방지방법
KR0125723B1 (ko) 전자렌지의 자동데우기 제어방법
KR100254314B1 (ko) 전자렌지의 중량센서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JPH0349719A (ja) 炊飯器
KR19990021212A (ko) 전기밥솥에서 이상 고온 검출시 취사 공정 제어 방법
KR0163313B1 (ko) 밥의 상태 선택을 제어하는 방법
JPH064852Y2 (ja) 炊飯器
KR19980057545U (ko) 전기밥솥의 단락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