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1780A - 열 스위치를 가지는 리튬 이차 배터리 - Google Patents

열 스위치를 가지는 리튬 이차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780A
KR19980071780A KR1019980006312A KR19980006312A KR19980071780A KR 19980071780 A KR19980071780 A KR 19980071780A KR 1019980006312 A KR1019980006312 A KR 1019980006312A KR 19980006312 A KR19980006312 A KR 19980006312A KR 19980071780 A KR19980071780 A KR 19980071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ithium secondary
secondary battery
thermal switch
oxygen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쓰오 다테노
겐지로 니시카타
겐이치로 가미
Original Assignee
고사이 아키오
스미토모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사이 아키오, 스미토모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사이 아키오
Publication of KR19980071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78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01M6/10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1Bi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 배터리는 음극, 양극 및 이들 사이에 적층된 분리기로 구성되는 전극 조립체와 당해 전극 조립체가 배치되는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하며, 이러한 리튬 이차 배터리는 배터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 물질 함유 층 이외의 부분에서 음극과 양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는 메카니즘을 갖는 열 스위치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리튬 이차 배터리는 비정상적인 문제점 발생 후에 충전된 상태로 지속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되며, 이의 내부 압력이 감소될 때에도 안전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열 스위치를 가지는 리튬 이차 배터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음극, 양극 및 이들 사이에 적층된 분리기로 구성되는 전극 조립체와 당해 전극 조립체가 배치되는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하는 리튬(lithium) 이차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배터리는 집전기 위에 형성되고 활성 물질로서 리튬과 전이 금속의 복합 산화물을 사용하는 활성 물질 함유 층을 갖는 시트형 음극, 집전기 위에 형성되고 활성 물질로서 탄소 물질을 사용하는 활성 물질 함유 층을 갖는 시트형 양극과,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차단성을 갖는 분리기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이들은 음극 및 양극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방식으로 금속 배터리 케이스에 배치되어 밀봉되며, 이에 따라, 리튬 이차 배터리는 높은 용량성, 높은 전압 및 높은 출력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리튬 이차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그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안전 메카니즘을 갖는다. 예를들어, 이러한 메카니즘은 배터리 케이스 내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때 내부 압력을 경감시키거나 외부로 내부 가스를 안전하게 방출시키기 위해서 안전 밸브를 변형시키는 안전 밸브 메카니즘(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2-288063호); 배터리 케이스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인 충전/방전으로 인해서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때 비정상적인 충전/방전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내부 배터리 회로가 차단되는 압력-감지 차단 메카니즘(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2-288063호); 및 배터리 온도가 비정상적인 충전/방전으로 인해서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때 내부 배터리 회로의 저항이 비정상적인 충전/방전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상승되는 온도-감지 차단(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5-74493호)을 포함한다.
압력 또는 온도에 기초한 내부 배터리 회로의 이러한 차단 메카니즘이 예를들어, 풀-충전 상태하에서 문제의 발생에 응답하여 작동할 때, 배터리 내부의 전극 조립체는 내부 배터리 회로가 차단되므로 외부 배터리 단자의 전압을 나타내지 않는다 할지라도 풀-충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배터리가 못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충격을 받게되거나, 외부 압력이 가해지거나, 외측으로부터 열을 받으면,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음극 및 양극의 단자들이 배터리의 내부 압력의 증가에 따라서 변형되는 진동판 밸브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터리가 제안되었다(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7-201372호). 그러나, 전술된 안전 밸브 메카니즘이 작동한 후에, 배터리 케이스 내부의 압력은 감소되며 이러한 압력-감지 단락 메카니즘은 단락 메카니즘 동작을 행수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정상적인 문제점이 발생된 후에 충전된 상태로 유지되지 않게 하며, 배터리 내의 압력이 감소할 때에도 안전 장치를 작동시킬수 있어서, 안전성이 보다 향상된 리튬 이차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하여, 리튬 이차 배터리내의 온도 증가에 따라서 안전 장치가 작동하게 하는 새로운 메카니즘을 발견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음극, 양극 및 이들 사이에 적층된 분리기로 구성되는 전극 조립체 및 당해 전극 조립체가 배치되는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하는 리튬(lithium) 이차 배터리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리튬 이차 배터리는 배터리 온도의 증가에 따라서 활성 물질 함유 층 이외의 부분에서 음극과 양극을 전기적을 접속시키는 메카니즘을 갖는 열 스위치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열 스위치의 작동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열 스위치의 작동 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열 스위치의 작동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A) 및 평면도(B)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열 스위치의 작동 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본 발명의 리튬 배터리의 음극으로서, 집전기 위에 형성되며 활성 물질로서 리튬과 전이 금속의 복합 산화물을 사용하는 활성 물질 함유 층을 갖는 음극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시트형 음극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극으로서, 집전기 위에 형성되며 활성 물질로서 탄소 물질 또는 리튬과 전이금속의 복합 산화물을 사용하는 활성 물질 함유 층을 가지며, 특별히 시트형 양극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배터리에서, 음극 및 양극은 이들 사이의 분리기와 함께 적층되며, 분리기는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차단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음극 활성 물질은 배터리를 충전 및 방전하므로서 리튬으로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들면, 리튬과 코발트, 니켈, 또는 망간과 같은 전이 금속의 복합 산화물 또는 추가의 원소를 함유하는 상기 복합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음극의 집전기는 음극 전위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다. 예를들어, 알루미늄 호일, 니켈 호일, 스테인레스 스틸 호일 또는 티타늄 호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양극 활성 물질은 배터리를 충전 및 방전함에 의해 리튬으로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들어, 전위가 음극 활성 물질보다 낮은 탄소 물질 또는 리튬과 전이 금속의 복합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집전기는 양극 전위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다. 예를들어, 카퍼 호일, 니켈 호일, 스테인레스 스틸 호일 또는 티타늄 호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베터리에 사용되는 분리기는 리튬 이온 전도성 및 전자 차단성을 갖는다. 예를들어, 비수성 전해질 또는 고체 또는 반고체 전해질을 함유하는 미세다공성 막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비수성 전해질은 유기 용제 및 유기 용제에서 용해된 LiPF6, LiBF4, LiClO4또는 CF3SO3Li와 같은 리튬 화합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열 스위치는 배터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 물질 함유 층이 아닌 부분에서 음극과 양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메카니즘을 갖는다. 이러한 전극이 활성 물질 층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접속부의 음극 활성 물질의 온도는 증가하며, 이는 충전된 상태에서 음극 활성 물질로부터의 산소 방출을 용이하게 하며, 따라서 배터리의 안전성을 악화시킨다.
열 스위치의 작동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8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이다. 작동 온도가 80℃ 미만이면, 열 스위치는 배터리가 사용될 때 작동하며, 반면에 온도가 140℃를 초과하면 충전된 상태에서 음극 활성 물질로부터 산소가 더 용이하게 방출되게 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열 스위치는 배터리의 내부에 또는 배터리의 외부에 있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배터리의 내부는 배터리 케이스 및 배터리 캡에 의해서 에워싸인 공간을 의미하며, 배터리 외부는 배터리의 내부 이외의 부분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배터리 외부의 경우에, 열 스위치는 배터리 케이스에 또는 배터리 캡에 배치될 수 있다. 열 스위치가 배터리의 내부에 있을 때, 배터리 내부의 가스중 산소 농도는 배터리 내의 가스의 연소를 야기시키지 않는 최대 산소 농도와 같거나 더 낮다. 한편, 열 스위치가 배터리 외부에 있을 때, 열 스위치의 주변의 산소 가스 농도는 열 스위치 주변의 가스 연소를 야기시키지 않는 최대 산소 농도와 같거나 그 이하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본 발명의 리튬 이차 배터리에서 사용되는 비수성 전해질은 연소성 유기 용제이며, 또한 초기 충전 및 방전에 의해서 분해된 용제 및 탄화수소의 증기압에 대응하는 연소성 가스를 포함한다. 탄화수소로서, 메탄, 일산화 탄소 또는 에틸렌이 언급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된 용제에 의존한다 할지라도 그러하다. 비수성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극 조립체가 생산 환경에 의존한다 할지라도 약간의 물을 함유하기 때문에 약간의 수소 가스가 배터리의 초기 충전시 전기분해의 결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최대 산소 농도 값은, 연소성 가스, 산소 및 불활성 가스의 혼합물내에서 온도의 상승으로 인해서 연소성 가스가 연소되지 않게 하는 가장 높은 산소 농도를 의미한다. 불활성 가스는 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헬륨과 같은 것이다.
연소성 가스가 연소되지 않는 최대 산소 농도의 값은 온도, 압력 및 첨가된 불활성 가스에 따라서 변화된다. 예를들어, 메탄 가스의 경우에, 이산화탄소가 실온 및 대기 압력에서 첨가될 때 14.6용량%이다(일본국 정전기 협회에서 편집한 정전기 핸드북 제 743 쪽). 본 발명의 최대 산소 농도 값은 미량이라 할지라도, 수소 가스의 압력이 고려될 때 10용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량이 5% 이하이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배터리 내부의 산소 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그 산업적인 용이성으로 인해서 배터리 캡으로 배터리를 밀봉하는 과정에서 작업 환경의 산소 농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배터리 캡으로 배터리를 밀봉하는 과정은 밀봉된 박스 내에서 수행되며, 박스 내의 환경(질소가 약 79%이며 산소가 약 21%)은 산소 농도가 측정되는 동안 질소, 아르곤, 헬륨, 또는 탄소 이산화물과 같은 불활성 가스로 대치된다. 이것은 밀봉된 박스 내의 산소 농도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배터리에서, 열 스위치는 적당한 전기 저항을 갖는 온도 감지 물질을 이용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형상 기억 합금, 열 팽창 물질, 스프링, 온도 감지 페라이트 및 바이메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배터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음극과 양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메카니즘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질은 접속되어야 하는 전극 장치의 전위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다. 예를들어, 형상 기억 합금의 경우에, 티타늄/니켈 합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열 팽창 물질의 경우에,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금속 및 수지의 적층판이 사용될 수 있다. 스프링의 경우에, 열가소성 수지와의 배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온도 감지 페라이트, 바이메탈 등이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열 스위치 구조물이 전해질과 접촉하지 않을 때, 온도 감지 물질이 그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배터리 온도의 증가에 따른 음극과 양극의 전기적 접속 메카니즘을 갖는 열 스위치의 전기 저항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Ω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Ω이다.
본 발명을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기술하지만, 이에 의해 제한받지 않는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음극 시트 2: 양극 시트
3: 분리기 4: 음극 리드
5: 양극 리드 6: 열 스위치를 저장한 튜브
7: 열 스위치(형상 기억 합금)
8: 배터리 케이스 9: 배터리 캡
10: 전극 조립제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리튬 이차 배터리의 하나의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시트(1)는 그 주요 구성 성분으로서 리튬화 니켈 이산화물을 가지며 알루미늄 음극(4)과 전기 접속되고,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시트(2)는 그 주요 구성 성분으로서 흑연 물질을 가지며 니켈 양극 리드(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 두 시트는 이들 사이의 폴리프로필렌 분리기(3)와 함께 적층되며,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코일로 연결되고, 니켈 도금된 스틸 배터리 케이스(8)에 배치된다. 그후, 양극 리드(5)는 배터리 케이스(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반면에 음극 리드(4)는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켜서 배터리 케이스 내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때 폭발을 방지하는 안전 메카니즘과 배터리 온도가 비정상적인 충전/방전으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때 내부 배터리 회로의 저항을 상승시켜 비정상적인 충전/방전이 계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온도 감지 차단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배터리 캡(9)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후, 유기 용제 전해질은 아르곤 환경하에서 박스 내의 배터리 속으로 흘러들어간다(산소 농도가 1용량% 이하다). 직경이 0.5mm이며, 티타늄/니켈 합금으로부터 형성된 직선 형상 기억 합금(7)(전기 저항이 약 0.2Ω)이 코일로 연결되며 스테인레스 스틸 튜브(6)에 배치되며, 스테인레스 튜브(6)가 전극 조립체의 중앙 공간내에 배치되었다. 그후, 배터리 캡(9)은 밀봉 형태의 원통형 배터리를 완성하기 위해서 절연 패킹을 통해서 배터리 케이스(8)에 부착된다.
이후, 배터리가 충전 및 방전되며, 배터리 용량 800mAH의 상태하에서 외부 가열 테스트가 수행된다. 가열 테스트에서, 배터리는 구리 블록 내에 배치되었으며 온도는 배터리 전압이 모니터링 동안 5℃/분의 비율로 상승되며, 따라서 온도가 약 100℃ 근방에 이를 때 배터리 전압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배터리는 온도가 200℃를 초과해도 폭발하거나 점화되지 않았다. 배터리 전압은 200℃에서 약 0.5V 였다.
리튬 이차 배터리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일로된 직선 형상 기억 합금(7)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직선 형태로 변형되며, 따라서 음극 및 양극은 배터리 케이스(양극) 및 배터리 캡(음극)의 바닥에서 서로 전기적을 접속되고, 이는 열 스위치 메카니즘이 작동하게 한다. 이런 메카니즘 작동 후 특정 온도에서 작동이 중지되고 배터리가 방치되어 배터리가 자기 방전되고 용량이 감소함으로써 배터리 안전성이 향상된다.
실시예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리튬 이차 배터리의 또다른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작동 전의 리튬 이차 배터리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작동 후의 리튬 이차 배터리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직선 형상 기억 합금(7)은 음극 리드(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양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배터리 온도 상승에 따라서, 직선 형상 기억 합금(7)이 배터리 케이스 즉, 양극(도 4)의 벽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변형된다.
비교 실시예 1
배터리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때 작동하여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방출시켜, 폭발을 방지하는 안전 메카니즘, 비정상적인 충전/방전으로 인해서 배터리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때 작동하여 내부 배터리 회로의 저항을 상승시켜 비정상적인 충전/방전을 방지하는 온도 감지 차단 메카니즘 및 배터리 케이스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때 작동하여 내부 배터리 회로를 차단하는 압력 감지 차단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가 충전 및 방전된 후에, 방전 용량은 1100 mAH 였다. 상기한 바와 동일한 외부 가열 테스트가 1050 mAH 의 배터리 용량 상태하에서 이러한 배터리에 적용되었을 때, 160℃에서 약간의 전해질 누출이 관찰되었으며, 그후 배터리 전압은 0V가 되었다. 이것은 압력 감지 메카니즘을 작동하게 한 배터리 내부 압력이 증가함으로써 내부 배터리 회로가 차단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내부 배터리 회로의 그러한 압력 작동 차단 메카니즘에 따라서, 메카니즘이 충전 회로의 비정상적인 문제에 의해서 충전 말기에 작동될 경우, 배터리 내부의 전극 조립체는 그것이 내부 배터리 회로가 차단되므로 인해 외부 배터리 단자에서의 전압을 나타내지 않는다 할지라도 풀-충전 상태로 남는다. 따라서, 배터리가 매우 위험한 상태로 있다고 할 수 있다.
그와는 달리, 본 발명의 리튬 이차 배터리는 자기 방전되며 열 스위치 메카니즘의 작동에 의해서 방전된 상태에서 유지되며, 따라서 배터리의 안전성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배터리는 비정상적인 문제점 발생 후에 충전된 상태로 지속되지 않으며, 배터리의 내부 압력이 감소될 때에도 안전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개선된 안전성을 갖는 이러한 리튬 이차 배터리는 산업적 가치가 크다.

Claims (6)

  1. 음극, 양극 및 이들 사이에 적층된 분리기로 구성되는 전극 조립체와 당해 전극 조립체가 배치되는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배터리로서, 리튬 이차 배터리가 배터리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 물질 함유 층 이외의 부분에서 음극과 양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메카니즘을 갖는 열 스위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열 스위치가 배터리의 내부에 있고 배터리 내의 가스 중의 산소 농도가 배터리 내의 가스 연소를 야기시키지 않는 최대 산소 농도의 값과 같거나 낮은 리튬 이차 배터리.
  3. 제1항에 있어서, 열 스위치가 배터리의 외부에 있으며 열 스위치 주변 가스 중의 산소 농도가 열 스위치 주변의 가스 연소를 야기시키지 않는 최대 산소 농도 값과 같거나 낮은 리튬 이차 배터리.
  4. 제2항에 있어서, 산소 농도가 10용량% 이하인 리튬 이차 배터리.
  5. 제1항에 있어서, 형상 기억 합금, 열 팽창 물질, 온도 감지 페라이트 및 바이메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 하나 이상이 열 스위치에 적용되어 있는 리튬 이차 배터리.
  6. 제1항에 있어서, 열 스위치의 전기 저항이 0.01 내지 100Ω인 리튬 이차 배터리.
KR1019980006312A 1997-02-28 1998-02-27 열 스위치를 가지는 리튬 이차 배터리 KR199800717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594297 1997-02-28
JP97-045942 1997-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780A true KR19980071780A (ko) 1998-10-26

Family

ID=1273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312A KR19980071780A (ko) 1997-02-28 1998-02-27 열 스위치를 가지는 리튬 이차 배터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45939A (ko)
EP (1) EP0862231A1 (ko)
JP (1) JPH10302762A (ko)
KR (1) KR19980071780A (ko)
CA (1) CA2230575A1 (ko)
TW (1) TW360986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00B1 (ko) * 2004-06-14 2007-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KR100786941B1 (ko) * 2005-05-10 2007-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보호회로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KR100959982B1 (ko) * 2004-05-19 2010-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용 안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전지
KR101046192B1 (ko) * 2007-10-30 2011-07-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2차 전지용 과충전 안전장치
KR20180010349A (ko) * 2013-02-21 2018-01-3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내부 상 변화 물질을 갖는 배터리
WO2018066728A1 (ko) * 2016-10-06 2018-04-12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배터리 팩 내부의 연소 억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8933B1 (en) 1999-04-01 2002-08-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thium ion batteries with improved resistance to sustained self-heating
EP1146579B1 (en) * 2000-04-12 2011-06-08 Panasonic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e rechargeable battery
JP4670170B2 (ja) * 2000-04-12 2011-04-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751500B2 (ja) * 2000-06-23 2011-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極捲回型二次電池
US6570749B1 (en) 2000-07-14 2003-05-27 Advanced Battery Technology Ltd Over-current and thermal protection device
US6730430B2 (en) 2001-07-09 2004-05-04 Nan Ya Plastics Corporation Explosion-proof safety structure for column shape lithium battery
CN1319189C (zh) * 2001-08-07 2007-05-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
JP2003051304A (ja) * 2001-08-07 2003-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6730431B2 (en) 2001-12-19 2004-05-04 Alcatel Battery having tube collapsing vent system and overcharge protection
JP3934522B2 (ja) * 2002-10-08 2007-06-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バッテリ装置
JP4761742B2 (ja) * 2004-09-09 2011-08-31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US20060273876A1 (en) * 2005-06-02 2006-12-07 Pachla Timothy E Over-temperature protection devices, applications and circuits
US7763375B2 (en) * 2006-05-24 2010-07-27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urrent interrupt device for batteries
US20080254343A1 (en) * 2007-04-16 2008-10-16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Electrochemical cell with thermal current interrupting switch
KR101072955B1 (ko) * 2009-08-14 2011-10-1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DE102009040146A1 (de) * 2009-09-04 2011-03-10 Li-Tec Battery Gmbh Schutzeinrichtung für galvanische Zellen
JP2011138647A (ja) * 2009-12-28 2011-07-14 Hitachi Ltd 二次電池の保護回路
US20130136964A1 (en) * 2011-11-30 2013-05-3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safety device
DE102012213100B4 (de) * 2012-07-25 2015-08-06 Volkswagen Varta Microbattery Forschungsgesellschaft Mbh & Co. Kg Batterie mit Thermoschalter und pneumatisch betätigbarem Schalter und Verfahren zum sicheren Betreiben der Batterie
DE102013206191A1 (de) * 2013-04-09 2014-10-09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Batterie, und Verfahren zum sicheren Betrieb einer Batteriezelle
DE102014204134A1 (de) 2014-03-06 2015-09-10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Erhöhung der Sicherheit beim Gebrauch von Batteriesystemen
JP6639347B2 (ja) * 2016-07-20 2020-02-05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ファインシステムズ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300158A1 (en) 2016-09-27 2018-03-28 Lithium Energy and Power GmbH & Co. KG Electrical energy storage unit with a component comprising a shape memory material and corresponding electrical and energy storage system
CN113270272B (zh) * 2021-04-02 2023-03-28 益阳市天成源电子有限公司 一种固态铝电解电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5552A (en) * 1976-07-23 1977-07-12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Electrochemical cell
JPH05205727A (ja) * 1992-01-30 1993-08-13 Sanyo Electric Co Ltd 密閉電池の安全装置
JPH06325751A (ja) * 1993-05-14 1994-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温度上昇防止機構内蔵電池
JPH09106804A (ja) * 1995-10-09 1997-04-22 Wako Denshi Kk 電池の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9686A (en) * 1977-11-16 1978-12-12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nged anode collector for internally shorting galvanic cells
US4992339A (en) * 1990-03-14 1991-02-12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Electrochemical cell with circuit disconnect device
JP3261688B2 (ja) * 1994-08-23 2002-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0158845B1 (ko) * 1995-07-28 1999-02-18 배순훈 리튬건전지의 과부하 방지구조
JP3442564B2 (ja) * 1996-03-26 2003-09-02 エフ・ディ−・ケイ株式会社 アルカリ電池及びその端子板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5552A (en) * 1976-07-23 1977-07-12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Electrochemical cell
JPH05205727A (ja) * 1992-01-30 1993-08-13 Sanyo Electric Co Ltd 密閉電池の安全装置
JPH06325751A (ja) * 1993-05-14 1994-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温度上昇防止機構内蔵電池
JPH09106804A (ja) * 1995-10-09 1997-04-22 Wako Denshi Kk 電池の安全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982B1 (ko) * 2004-05-19 2010-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용 안전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전지
KR100702800B1 (ko) * 2004-06-14 2007-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KR100786941B1 (ko) * 2005-05-10 2007-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보호회로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US8574733B2 (en) 2005-05-10 2013-11-05 Lg Chem, Ltd. Protection circuit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046192B1 (ko) * 2007-10-30 2011-07-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2차 전지용 과충전 안전장치
KR20180010349A (ko) * 2013-02-21 2018-01-3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내부 상 변화 물질을 갖는 배터리
WO2018066728A1 (ko) * 2016-10-06 2018-04-12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배터리 팩 내부의 연소 억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02762A (ja) 1998-11-13
TW360986B (en) 1999-06-11
EP0862231A1 (en) 1998-09-02
US6045939A (en) 2000-04-04
CA2230575A1 (en) 199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1780A (ko) 열 스위치를 가지는 리튬 이차 배터리
EP2219247B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US5609972A (en) Cell cap assembly having frangible tab disconnect mechanism
KR100477750B1 (ko)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US8802256B2 (en) Safety device for a sealed cell
JPH0992334A (ja) 密閉型非水二次電池
JPH06325796A (ja) 過充電の際に起動する遮断装置を備えた電池
US20140002942A1 (en) Secondary Lithium Ion Battery With Mixed Nickelate Cathodes
US20110111285A1 (en) Assembled sealing member and battery using the same
JPH10326610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8338010B2 (en) Safety device for a sealed accumulator
KR100358224B1 (ko) 리튬 이차전지
JPH1140203A (ja) 二次電池
JPH117931A (ja) 二次電池
JP3511698B2 (ja) 密閉型非水二次電池
JPH0562664A (ja) 防爆型非水二次電池
JP2021511639A (ja) 電池接続装置及び該電池接続装置を備える電池パック
KR100662174B1 (ko) 비수전해질 2차 전지
JPH07254401A (ja) 密閉形電池
JP2000067847A (ja) 二次電池及び組電池
JPH1140204A (ja) 二次電池
KR101608694B1 (ko) 2차 전지용 과충전 방지 장치
JPH117932A (ja) 二次電池
JP2000208132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および電池用熱動継電器
KR100277652B1 (ko)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