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174B1 - 비수전해질 2차 전지 - Google Patents

비수전해질 2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174B1
KR100662174B1 KR1020010019461A KR20010019461A KR100662174B1 KR 100662174 B1 KR100662174 B1 KR 100662174B1 KR 1020010019461 A KR1020010019461 A KR 1020010019461A KR 20010019461 A KR20010019461 A KR 20010019461A KR 100662174 B1 KR100662174 B1 KR 100662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secondary
nonaqueous electrolyt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0893A (ko
Inventor
가이토츠요시
미노신지
요시자와히로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01M6/10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Abstract

본 발명은 비수전해질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주요 구성은 열응동으로 외부전원으로부터의 충전회로를 절단하는 동시에 방전회로로 절환하여 접속하는 복귀형 스위치를 전지에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전회로, 방전회로, 복귀형 스위치

Description

비수전해질 2차 전지{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지의 상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지에 설치한 스위치의 단면도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스위치 작동전 또는 복귀후의 회로개략도,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스위치작동후의 회로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전지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양극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음극의 단면도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스위치 작동전 또는 복귀후의 회로개략도, (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스위치 작동후의 회로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전지에 설치한 스위치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비수전해질 2차 전지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5 : 양극 16 : 음극
18 : 발전요소 19 : 양극 리드
20 : 음극 리드 21 :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자루
본 발명은 비수전해질 2차 전지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뢰성을 향상시킨 비수전해질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휴대화, 무선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이들의 구동용 전원으로서 소형 ·경량이면서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는 2차 전지의 수요가 커지고 있다. 비수전해질 2차 전지 중에서도 리튬이온계의 전지는 오히려 고전압·고에너지 밀도를 갖기 때문에 각종 리튬이온전지, 리튬이온 폴리머전지가 제안되어 있으며, 일부는 실용화되고 있다.
전지의 고용량화와 고에너지 밀도화가 진행됨에 따라 전지 내의 활성물질 충전율은 향상되고, 공극체적은 감소된다. 그 중에서 전지의 누액이나 특성열화 등에 대한 신뢰성의 향상은 불가결한 과제이다. 리튬이온계의 전지는 매우 높은 전압을 나타내는 전지이다. 따라서 통상의 사용범위의 전압이나 온도를 넘는 과충전이나 고온방치와 같은 상황에서는 전해액이 분해되어 가스가 발생되거나 전지의 누액이나 특성열화 등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부터 몇몇 보호장치가 부착된 전지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8-185849호 공보에서는 전지의 비정상적인 온도상승을 감지했을 때 형상기억부재를 이용하여 외부와의 회로를 절단하도록 한 보호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11-40204호 공보에서는 전지의 내압 상승 또는 온도상승을 감지하여 전지를 충전회로에서 분리하는 보호장치와 충전전압이상에서 작동하는 바리스터소자를 이용하여 전지를 과충전으로부터 보호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10-255757호 공보에서는 전지의 비정상적인 온도상승을 감지했을 때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전지의 양극측과 음극측을 단락시켜 전지를 방전시키는 보호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국 특개평 8-185849호 공보의 보호장치에서는 전지가 충전 중에 과충전상태가 되어 누액되는 등의 위험은 피할 수 있지만, 외부와의 회로를 절단한 후의 전지는 과충전상태 그대로이고, 이 전지가 가열된 경우에 누액이나 특성열화가 생기는 신뢰성 저하 문제에 대해서는 대책이 없다.
또 일본국 특개평 11-40204호 공보의 보호장치도 전지가 충전 중에 과충전상태가 되어 누액되는 등의 위험은 피할 수 있으나, 외부와의 회로를 절단한 후 또는 바리스터소자가 작동한 후의 전지는 과충전상태 그대로이고, 이 전지가 가열된 경우에 누액이나 특성열화가 생기는 신뢰성 저하문제에 대해서는 무방비 상태이다.
또 일본국 특개평 10-255757호 공보의 보호장치에서는 그 보호기구가 작동한 후에도 전지와 외부의 회로는 접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특히 대전류가 흐른 경우는 접속저항 등의 조건에 따라서 충전기보다 전지에 전류가 흘러 계속 충전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전지보호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비수전해질 2차 전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열응동으로 외부전원으로부터의 충전회로를 절단하는 동시에 방전회로로 절환하여 접속하는 복귀형의 스위치 및 그것에 수반하는 충전, 방전 전환회로를 전지에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지의 보호장치는 통상적인 상태에서 동일한 극성이 내부단자와 동일한 극성의 외부단자가 스위치를 통해 도통상태가 되고, 전지온도 상승시에 내부단자와 외부단자가 스위치에 의해 그 도통이 절단되는 동시에 상이한 극성의 내부단자 사이의 스위치를 통해서 도통된다. 통상의 경우 외부전원으로부터의 전지의 충전이 가능하고, 온도상승시에는 그 충전회로가 절단되는 동시에 방전회로에 접속되어 전지가 방전된다. 이로 인하여 연속적인 충전(과충전)상태에 노출되어도 전지온도상승을 검출하여 충전이 멈추고 방전되어 전지의 신뢰성이 확보된다. 또 스위치를 반복전환할 수 있게 하면, 예를 들어 충전기를 정상적인 것으로 교환하여 전지를 재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리튬이온 폴리머전지,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리튬이온 폴리머전지의 상면도 및 단면도이다.
양극(15)은 라스가공한 알루미늄박을 집전체(15a)로 하여 이 양면에 양극활 성물질층(15b)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양극활성물질층(15b)은 양극활성물질인 L1CoO2와 도전제로서의 아세틸렌블랙 및 결착제겸 전해액 보유제로서의 폴리머, 예를 들면 불화비닐리덴(VDF)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의 공중합체(VDF-HFP)를 유기용매에 혼련분산시킨 페이스트를 집전체(15a)에 도착건조시킨 것이다.
음극(16)은 동박으로 된 집전체(16a)의 양면에 음극활성물질층(16b)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음극활성물질층(16b)은 음극활성물질인 카본과 상기 펄리머(VDF-HFP)를 유기용매에 혼련분산시킨 페이스트를 집전체(16a)에 도착건조시킨다.
이 음극(16)의 양면에 1장씩 상기 폴리머(VDF-HFP)의 필름으로 된 세퍼레이터(17)를 배치하고, 또 그 외측 양면에 1장씩 상기 양극(15)을 배치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일체화하여 발전요소(18)가 구성된다. 15c는 양극(15)의 집전체에 설치한 리드부착부이고, 여기에 알루미늄제 양극 리드(19)가 용접된다. 16c는 음극(16)의 집전체에 설치한 리드부착부이고, 여기에 동제 음극 리드(20)가 용접된다.
21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자루이고, 알루미늄박을 중간의 일층으로 하고, 그 내측에 폴리프로필렌필름을 배치하고 외측에 폴리에틸렌 텔리프탈레이트 필름과 나일론필름을 배치하여 각각을 라미네이트로 일체화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으로형성된다. 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자루(21)에 발전요소(18)를 수용하고, 양극 리드(19) 및 음극 리드(20)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자루(21)의 외부로 인출하고 각각의 선단을 출입력단자(22, 23)로 한다. 24, 25는 리드(19, 20)의 중간부분에 설 치된 절연보호필름이고,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자루(21)의 개구부를 열융착 등으로 봉입할 때 리드(19, 20)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자루(21)에 대한 전기적 절연과 기밀을 확보하게 한다.
또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자루(21)는 상기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을 띠형상으로 절단하고, 그 길이방향의 축(T)에서 2개로 접고 상하의 두변 P1과 P2를 열융착하여 형성한다. 개구된 나머지 한변의 P3부분으로부터 발전요소(18)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자루(21)에 삽입하고 소정량의 전해액을 주입한 후에 열융착으로 닫힌다. 전해액에는 EC과 DEC와 MP를 30:50:20의 체적비로 혼합한 용매에 1.5mol/1의 LiPF6을 용해한 것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스위치(A1)는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자루에 부착한 상태로 양극 리드(19)에 부착한다. 그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감온소자(1)의 일부인 비가동부를 절연체(2)로 감싸고 그 외측에 제 1 도전판(3a)과 제 2 도전판(3b)을 배치하는 것이다. 감온소자(1)는 충전회로인 제 1 도전판(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감온소자(1)가 회로의 접속을 충전회로에서 방전회로로 절환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전지온도가 60℃를 넘으면 변형하고, 제 1 도전판(3a)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절단하여 방전회로측인 제 2 도전판(3b)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지온도가 원래의 상온으로 되돌아가면 감온소자(1)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고 제 1 도전판(3a)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때문에 충전기가 고장난 경우 등의 연속충전에 의한 과충전이나 대전류충전이 발생되었을 때 전지의 누액이나 특성열화 등을 방지한다.
도 4의 (a) 및 (b)는 이 리튬이온 폴리머전지의 충전회로, 방전회로의 간략도이다. 도 4의 (a)는 스위치(A1)의 작동전 또는 복귀후의 회로접속상태이다. 이 상태일 때는 동일 극성의 내부단자와 동일 극성의 외부단자가 스위치를 통해 도통상태이고, 외부전원(26)으로부터의 전류를 전지(27)에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b)는 스위치(A1) 작동후(전지온도가 60℃를 넘은 상태)의 회로접속상태이다. 이 상태일 때는 내부단자와 외부단자가 스위치에 의해 그 도통이 절단되는 동시에 이극 내부단자간이 스위치를 통해 도통되므로 외부전원(26)으로부터의 전류공급을 차단하는 동시에 전지(27)가 방전된다. R은 방전시에 대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저항체(10Ω)이고 급격한 방전에 의한 전지(27)의 발열을 방지한다. R의 저항값은 일정값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지의 크기, 성능 등에 의해 수시로 설정된다. 또 스위치(A1)를 설치하는 위치는 양극 리드(19)측에 안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전원(26)과 전지(27)를 연결하는 회로상에서 방전회로에 접속가능하고 전지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떤 장소라도 상관없다. 여기서 감온소자(1)로서 사용하는 형상기억합금은 그 온도가 25℃ 부근으로 내려가면 원래의 형상으로 변형복귀하는 복귀형이다. 또 이 형상기억합금 즉 스위치(A1)의 작동 및 복귀온도는 60℃나 25℃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지의 크기나 성능, 사용온도범위 등에 의해 수시로 설정된다.
전지에 이와 같은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연속적인 충전(과충전)상태에 노출되어도 전지온도상승을 검출하여 충전이 정지되고 방전되므로 전지의 신뢰성을 확 보할 수 있다. 또 복귀형의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여 스위치를 반복전환 가능하게 하면, 예를 들어 충전기를 정상적인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전지를 재사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리튬이온 2차 전지의 종단면도, 도 6은 양극의 단면도, 도 7은 음극의 단면도이다.
양극(28)은 알루미늄박을 집전체(28a)로 하여 이 양면에 양극활성물질층(28b)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양극활성물질층(28b)은 양극활성물질인 LiCoO2와 도전제로서의 아세틸렌블랙 및 결착제로서의 PTFE를 카복시메틸셀룰로우즈 수용액에 혼련분산시킨 페이스트를 집전체(28a)에 도착건조시킨 것이다.
음극(29)은 동박으로 된 집전체(29a)의 양면에 음극활성물질층(29b)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음극활성물질층(29b)은 음극활성물질인 메소페이즈 소구체 분말을 2800℃의 고온에서 흑연화한 메소페이즈 소구체 입자와 스틸렌/부타디엔 고무를 카복시메틸셀룰로우즈 수용액에 혼련분산시킨 페이스트를 집전체(29a)에 도착건조시킨 것이다.
이들 양극(28), 음극(29) 사이에 폴리에틸렌제 다공질 필름(30)을 통해 이들을 소용돌이형상으로 감아 극판군을 구성하고 이것을 알루미늄제 전지케이스(10)에 수납하였다. 이 전지케이스(10) 상에는 본 발명의 스위치(B1)가 설치되어 있고, 전지케이스(10)와 스위치(B1)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양극에서는 알루미늄제 양극 리드(31)가 인출되어 전지케이스(10)에 접속되고 음극(29)에서는 동제 음극 리드(32)가 인출되어 스위치(B1) 내의 내부단자덮개(6)에 접속된다.
전해액에는 EC과 DEC와 MP를 30:50:20의 체적비로 혼합한 용매에 1.5mo1/l의 LiPF6를 용해한 것을 이용하였다.
스위치(B1)는 전지케이스(10) 상에 전지와 일체로 설치되고, 도 9와 같이 금속제의 외부단자덮개(4), 금속제의 내부단자덮개(6), 절연체의 개스킷(7), 금속제의 링(5), 절연체의 절연판(8) 및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감온소자(9)로 구성된다. 외부단자덮개(4)는 감온소자(9)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내부단자덮개(6)는 감온소자(9)과 접촉하고 있는 쪽의 면의 감온소자(9)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일부가 절연물(11)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한편 외부단자덮개(4)와 내부단자덮개(6)는 교체하더라도 상관없다. 개스킷(7)은 외부단자덮개(4)와 절연판(8)과 감온소자(9)와 내부단자덮개(4)의 외주부에 배치되고, 링(5)은 그 외주부에 배치된다. 링(5)은 그 내주측에 돌기부(12)를 갖고 링(5) 자체는 전지케이스(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돌기부(12)는 개스킷(7)의 일부에 설치된 구멍부(13)를 통해 개스킷(7)의 내주부의 절연물(11) 상에 배치된다. 감온소자(9)는 내부단자덮개(6)과 절연판(8)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단자덮개(6)과 외부단자덮개(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지온도가 60℃를 넘으면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감온소자(9)가 변형되어 회로의 접속을 충전회로에서 방전회로로 절환한다. 그 때문에 충전기가 고장난 경우 등의 연속충전에 의한 과충전이나 대전류충전이 발생했을 때에 전지의 누액이나 특성열화 등을 방지한다.
도 8의 (a) 및 (b)는 전기리튬이온 2차 전지의 충전회로, 방전회로의 간략도이다. 도 8의 (a)는 스위치(B1)의 작동전 또는 복귀후의 회로접속상태이다. 이 상태일 때는 동극 내부단자와 동극 외부단자가 스위치를 통해 도통상태이고, 외부전원(33)으로부터의 전류를 전지(34)에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b)는 스위치(B1) 작동후의 회로접속상태이다. 이 상태일 때는 내부단자와 외부단자가 스위치에 의해 그 도통이 절단되는 동시에 이극 내부단자간이 스위치를 통해 도통되므로 외부전원(33)으로부터의 전류공급을 차단하는 동시에 전지(34)가 방전된다. R은 방전시에 대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저항체(10Ω)이고, 급격한 방전에 의한 전지(34)의 발열을 방지한다. R의 저항값은 일정값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지의 크기, 성능 등에 의해 수시로 설정된다. 또 스위치(B1)를 설치하는 위치는 전지케이스(100) 상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전원(33)과 전지(34)를 연결하는 회로 상에서 전지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떤 장소라도 상관없다. 여기에서 감온소자(9)로서 사용하는 형상기억합금은 그 온도가 25℃ 부근으로 내려가면 원래의 형상으로 변형복귀하는 복귀형이다. 또 이 형상기억합금 즉 스위치(B1)의 작동 및 복귀온도는 60℃나 25℃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지의 크기나 성능, 사용온도범위 등에 의해 수시로 설정된다.
전지에 이와 같은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연속적인 충전(과충전)상태에 노출되어도 전지온도상승을 검출하여 충전이 정지되고 방전됨으로써 전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복귀형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여 스위치를 반복전환 가능하게 하면, 예를 들어 충전기를 정상적인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전지의 재사용도 가능해 진다.
(제 1 실시예)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튬이온 폴리머전지를 작성하고, 제 1 실시예의 전지로 하고, 도 5,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작성하여 제 2 실시예의 전지로 하였다. 한편 스위치(A1)를 설치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은 조건으로 리튬이온 폴리머전지를 작성하여 제 1 종래예의 전지로 하였다. 또 스위치(B1)를 설치하지 않고 안전기구가 없는 봉입덮개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같은 조건으로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작성하여 제 2 종래예의 전지로 하였다.
그리고 이들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제 1 종래예, 제 2 종래예의 각 전지를 10셀씩 작성하고, 각각 3C의 정전류 연속충전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이 연속충전후의 전지를 150℃에서 1시간 방치하였다. 표 1에 이 결과도 합쳐서 나타낸다. 아래 표의 숫자는 전지의 누액에 도달하지 않은 확률(%)이다.
Figure 112001008234800-pat00013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속충전시는 물론이고 연속충전후에도 전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이들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제 1 종래예, 제 2 종래예의 각 전지를 10셀씩 작성하여 이하의 전지성능 비교평가를 하였다. 우선 각각 충전을 4.2V 최대전류 0.7C에서 3시간동안 실시하고, 정전류 정전압으로 방전을 1C 정전류로 종지전압 3.0V까지 행하여 "초기전지 방전용량"을 확인하였다. 계속해서 4.4V 최대전류 0.7C의 정전류 정전압 충전을 3시간 행한 후 85℃ 분위기에 3일간 방치하였다. 마지막으로 방치후의 전지를 1C 정전류로 3.0V까지 방전한 후, 다시 4.2V 최대전류 0.7C에서 3시간의 정전류 정전압 충전을 나타내고 1C 정전류로 3.0V까지의 방전을 하여 "85℃ 방치후 전지방전용량"을 측정하였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전지의 방전용량 유지율(%, 85℃ 방치후의 방전용량 / 85℃ 방치전의 방전용량)을 산출하여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1008234800-pat00014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온에서 전지의 보존특성도 향상시킨다. 또 60℃까지의 온도에서 충방전특성이나 사이클특성이나 그 밖의 통상 사용 범위조건의 전지특성은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제 1 종래예, 제 2 종래예 사이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상기 실시예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스위치를 예로 들었지만, 온도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것이나 복귀형의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속적인 충전(과충전)상태에 노출되어도 전지온도상승을 검출하여 충전이 정지되고 방전됨으로써 전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스위치를 반복전환할 수 있는 것으로 하면, 예를 들어 충전기를 정상적인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전지를 재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지가 연속충전상태, 과충전상태, 충전상태에서 실온 또는 고온에 방치되어도 누액되지 않고 또한 그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신뢰성이 개선된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양극, 음극과 유기전해액으로 이루어지는 발전요소를 전지케이스 내에 수용한 비수전해질 2차 전지에 있어서,
    열응동으로 외부전원으로부터의 충전회로를 절단하는 동시에 방전회로로 절환하여 접속하는 복귀형의 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2차 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2차 전지.
  3. 양극, 음극과 유기전해액으로 이루어지는 발전요소를 전지케이스 내에 수용한 비수전해질 2차 전지에 있어서,
    감온소자의 일부를 절연체로 감싸고, 그 외측에 제 1 도전판과 제 2 도전판을 배치하며, 상기 감온소자가 소정온도에 도달하여 작동, 복귀함으로써 상기 감온소자와 상기 제 1 도전판 및 상기 감온소자와 상기 제 2 도전판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을 반복하여 절환할 수 있는 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2차 전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2차 전지.
  5. 양극, 음극과 유기전해액으로 이루어지는 발전요소와, 상기 발전요소를 수납하는 전지케이스와, 금속제의 외부단자덮개, 금속제의 내부단자덮개, 절연체의 개스킷, 금속제의 링, 절연판 및 감온소자를 가지며, 상기 전지케이스 상에 전지와 일체로 설치된 스위치를 구비하는 비수전해질 2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외부단자덮개는 상기 감온소자의 일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내부단자덮개는 상기 감온소자와 접촉하고 있는 쪽의 면의, 감온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지 않는 일부가 절연물에 의해 피복되며,
    상기 개스킷은 상기 외부단자덮개와 상기 절연판과 상기 감온소자와 상기 내부단자덮개의 외주부에 배치되고,
    상기 링은 상기 개스킷보다 더 외주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지외장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내주측의 일부에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개스킷의 일부에 설치된 구멍부를 통해 상기 개스킷의 내주부의 상기 절연물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감온소자는 상기 내부단자덮개와 상기 절연판 사이에 배치되어, 소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외부단자덮개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돌기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소정온도보다 낮아지면 상기 돌기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외부단자덮개에 다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2차 전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2차 전지.
KR1020010019461A 2000-04-12 2001-04-12 비수전해질 2차 전지 KR100662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10269 2000-04-12
JP??2000-110269 2000-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893A KR20010100893A (ko) 2001-11-14
KR100662174B1 true KR100662174B1 (ko) 2006-12-27

Family

ID=18622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461A KR100662174B1 (ko) 2000-04-12 2001-04-12 비수전해질 2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05993B2 (ko)
EP (1) EP1146579B1 (ko)
KR (1) KR100662174B1 (ko)
CN (1) CN118684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0147B2 (en) * 2003-10-24 2007-03-13 Eagle-Picher Technologies, Llc Battery with complete discharge device
KR100786941B1 (ko) * 2005-05-10 2007-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보호회로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DE102008053011A1 (de) 2008-10-23 2010-04-29 Li-Tec Battery Gmbh Galvanische Zelle für einen Akkumulator
DE102008052985A1 (de) 2008-10-23 2010-04-29 Li-Tec Battery Gmbh Verpackungsvorrichtung und Verpackungssystem für im Wesentlichen flache Gegenstände, beispielsweise Lithium-Ionen-Zellen
DE102008053089A1 (de) 2008-10-24 2010-04-29 Li-Tec Battery Gmbh Akkumulator mit mehreren galvanischen Zellen
US8786233B2 (en) 2011-04-27 2014-07-22 Medtronic Xomed, Inc. Electric ratchet for a powered screwdriver
WO2014004523A1 (en) * 2012-06-25 2014-01-03 Robert Bosch Gmbh Battery cell with temperature sensor
CN103700803A (zh) * 2014-01-16 2014-04-02 铂翔超精密模具科技(昆山)有限公司 一种电池保护系统
CN103985834B (zh) * 2014-05-28 2016-05-04 中投仙能科技(苏州)有限公司 基于金属膨胀式记忆开关保护器的锂电池模组
CN107026253A (zh) * 2016-02-02 2017-08-0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
CN107394102A (zh) * 2016-05-17 2017-11-2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保护装置、盖板组件及电池
CN107394101A (zh) * 2016-05-17 2017-11-2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保护装置、盖板组件及电池
US11495846B2 (en) * 2018-08-28 2022-11-08 Donald P. H. Wu Secondary aggregate battery with spatial separation of operation temperatures
US11750023B2 (en) 2021-10-08 2023-09-05 Eagle Technology, Llc High temperature hybrid battery pack
CN114801152B (zh) * 2022-03-14 2023-05-12 贵州大学 一种可自恢复的温控保护系统、制备方法及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8757A (ja) * 1994-11-15 1996-05-31 Toa Corp 充電器
JPH09106804A (ja) * 1995-10-09 1997-04-22 Wako Denshi Kk 電池の安全装置
JPH10255757A (ja) * 1997-03-12 1998-09-25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H10261400A (ja) * 1997-03-19 1998-09-29 Hitachi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0255757B1 (ko) * 1997-10-24 2000-05-01 전주범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가변 비트율 비디오 트래픽의 허스트파라미터 추정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9023A (en) * 1986-08-14 1987-07-07 Honeywell Inc. Over-temperature control for a thermostat
JPH08185849A (ja) 1994-12-27 1996-07-16 Fuji Elelctrochem Co Ltd 防爆安全装置を備えた電気化学素子
JPH10294097A (ja) * 1997-02-24 1998-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薄型電池
JPH10302762A (ja) * 1997-02-28 1998-11-13 Sumitomo Chem Co Ltd サーマルスイッチを有するリチウム二次電池
CA2233390A1 (en) * 1997-05-02 1998-11-02 William F. Quinn Thermal switch assembly
JPH1140204A (ja) 1997-07-14 1999-02-12 Hitachi Ltd 二次電池
JPH11191436A (ja) * 1997-12-26 1999-07-13 Hitachi Ltd 蓄電保護器
US6342826B1 (en) * 1999-08-11 2002-01-29 Therm-O-Disc, Incorporated Pressure and temperature responsive switch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8757A (ja) * 1994-11-15 1996-05-31 Toa Corp 充電器
JPH09106804A (ja) * 1995-10-09 1997-04-22 Wako Denshi Kk 電池の安全装置
JPH10255757A (ja) * 1997-03-12 1998-09-25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H10261400A (ja) * 1997-03-19 1998-09-29 Hitachi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0255757B1 (ko) * 1997-10-24 2000-05-01 전주범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가변 비트율 비디오 트래픽의 허스트파라미터 추정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8138757
09106804
10255757
102614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46579A2 (en) 2001-10-17
KR20010100893A (ko) 2001-11-14
US20010044044A1 (en) 2001-11-22
US6805993B2 (en) 2004-10-19
EP1146579A3 (en) 2003-07-16
CN1317844A (zh) 2001-10-17
CN1186846C (zh) 2005-01-26
EP1146579B1 (en)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9880B2 (ja) 二次電池
KR100477750B1 (ko)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KR100929036B1 (ko)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및 이의동작방법
US8062785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0749567B1 (ko) 적층형 리튬 이온 충전지
KR100662174B1 (ko) 비수전해질 2차 전지
KR20060118955A (ko) 권취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9980071780A (ko) 열 스위치를 가지는 리튬 이차 배터리
JP2004273139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358224B1 (ko) 리튬 이차전지
JP6712487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329326B2 (ja) 温度保護素子ユニット付き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パック
JP3574843B2 (ja) 安全機構付き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608694B1 (ko) 2차 전지용 과충전 방지 장치
KR100496302B1 (ko) 안전벤트를 가지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804893B1 (ko) 전지캡과 ptc 소자의 접속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JP2000277176A (ja)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使用方法
JP4670170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262879B1 (ko) 배터리 셀의 스웰링 현상을 감지하여 배터리 팩을 보호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1283828A (ja) ポリマー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346379B1 (ko) 밀폐전지
KR100502354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472511B1 (ko) 보호회로가 없는 리튬이차전지
KR20090098522A (ko) 이차 전지
JPH1050293A (ja) 電気化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