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1399A - 베이비 캐리어 - Google Patents

베이비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399A
KR19980071399A KR1019980004687A KR19980004687A KR19980071399A KR 19980071399 A KR19980071399 A KR 19980071399A KR 1019980004687 A KR1019980004687 A KR 1019980004687A KR 19980004687 A KR19980004687 A KR 19980004687A KR 19980071399 A KR19980071399 A KR 19980071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carrier
head
cover portion
hea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7802B1 (ko
Inventor
이치로 오니시
Original Assignee
갓사이 겐죠
앗프리카 갓사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4965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18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5107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18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062473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3453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21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1802B2/ja
Application filed by 갓사이 겐죠, 앗프리카 갓사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갓사이 겐죠
Publication of KR19980071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Abstract

베이비 캐리어는 전방 커버부를 갖는 캐리어 본체와,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가랑이 커버부와 후방 커버부를 구비한다. 후방 커버부의 대향 단부에는 한쌍의 어깨 벨트가 제공되고 이들 어깨 벨트는 제 1 벨트 부재를 거쳐 그 선단에 제 1 버클을 갖는다. 제 1 버클과 착탈 결합되는 제 2 버클이 제 2 벨트 부재를 거쳐 제 1 커버부의 대향 단부에 제공된다. 전방부의 대향 단부에는 후크 부재가 제공된다. 후방 커버부에는 후크 부재와 착탈 결합되는 적어도 한쌍의 링부재가 제공된다. 후방 커버부에는 아기의 머리의 뒷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머리받침이 제공된다. 머리받침에는 머리 지지체가 제공되며, 이 지지체는 그 바닥부가 머리받침에 부착되는 머리 지지 본체와, 머리 지지 본체의 양 측부상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밴드형상부를 포함하고, 밴드형상부의 선단부는 후방 커버부 또는 어깨 벨트에 부착된다. 이 헤드 지지체는 머리받침으로부터 직립되어 있고 아기를 측면지지할 때 아기 머리의 윗부분을 보호한다. 머리 지지 본체는 머리받침과 일체로 위치되며 아기를 위아래로 지지할 때 아기 머리의 뒷부분을 지지한다.

Description

베이비 캐리어
본 발명은, 아기를 넣어 운반하기 위한 베이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일본 특개평 8-150051호에 개시되어 있는 베이비 캐리어를 제안한바 있다. 도23 및 도24에 도식되어 있듯이, 이 베이비 캐리어는 전방부(73), 가랑이부(74), 후방부(75)가 일체로 형성되는 캐리어 본체(72)를 구비한다.
전방부(73)에는 하향 연장되는 어깨 벨트(76,76')가 제공된다. 어깨 벨트(76,76')의 선단에는 버클(77,77')이 부착된다. 어깨 벨트(76,76')의 상부에는 D형 링부재(80,80')와 벨트 부재(91,91')가 제공된다. 벨트 부재(91,91')의 선단에는 커버를 갖는 버클(90,90')이 부착된다.
전방부(74)의 측부에는 벨트 부재(79,79')를 거쳐 버클(77,77')과 결합될수 있는 버클(78,78')이 제공된다. 후방부(75)의 상부에는 링부재(80,80')와 결합될수 있는 후크 부재(81,81')가 제공된다. 후방부(75)에서, 버클(90,90')과 결합될수 있는 버클(92,92')은 벨트 부재(79,79')를 거쳐 위치된다.
베이비 캐리어(70)를 조립하기 위하여, 우선 어깨 벨트(76,76')가 보모(baby nursing person)의 양 어깨에 놓이고, 어깨 벨트(76,76')의 하단부에 있는 버클(77,77')이 벨트 부재(79,79')의 측부에 있는 버클(78,78')과 결합된다.
다음에, 보모는 아기를 안고 한팔로 베이비 캐리어(70)의 후방부(75)를 들어올리며 아기는 후방부(75)안으로 넣어진다. 이후 도25에 도시하듯이 후크 부재(81,81')는 링 부재(80,80')와 결합된다. 버클(90,90')은 버클(92,92')과 결합된다. 따라서, 베이비 캐리어(70)는 조립되고 아기는 베이비 캐리어(70)안에서 지지된다.
상기 언급했듯이, 종래의 베이비 캐리어의 조립에서, 보모는 커버를 갖는 버클뿐 아니라 후크 부재와 링부재를 결합해야만 하며, 조립 작업은 지루하게 된다. 또한, 베이비 캐리어의 조립이 그 안에서 아기가 지지된채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보모의 작업 부하가 만만치 않다.
한편, 측방 유지형 베이비 캐리어 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베이비 캐리어에서는 어린 나이의 아기가 눕혀진 상태로 지지된다. 통상의 측방 유지형 베이비 캐리어는 도26,도27에 도시된 그물형과 도28 및 도29에 도시된 일체식 캐리어형으로 분류된다.
도26에 도시되어 있듯이, 그물형 베이비 캐리어는 아기의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팽창가능한 그물부(101)와, 아기의 머리를 받쳐주기 위한 머리받침부(102)와, 보모용 어깨 벨트(103)와, 머리받침부(102)를 그 후방으로부터 지탱하기 위한 지지 벨트(104)를 포함한다.
이 베이비 캐리어를 사용하기 위하여, 우선, 그물부(101)가 보모의 전방에 배치되며, 벨트(103)가 보모의 어깨에 구부러져 설치된다. 다음에 도27에 도시하듯이, 아기가 그물부(101)의 안으로 놓여지고 그물부(101)가 아기의 전체 몸통을 감싸도록 펴진다.
이 경우, 아기의 전체 몸통은 아기가 베이비 캐리어(100)내에 단단히 고정될수 있도록 그물부(101)로 커버되지만, 아기는 그물부(101)가 팽창가능한 부재로 구성되므로 등이 굽어진채로 지지된다. 따라서, 아기의 건강한 골격 성장을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도28에 도시되어 있듯이, 일체식 캐리어형 베이비 캐리어는 머리받침부(152)와 후방부(153)가 일체로 형성되는 캐리어 본체(151)와, 보모의 어깨에 설치되는 어깨 벨트(154)로 구성된다.
이 베이비 캐리어(150)를 사용하기 위하여, 어깨 벨트(154,155)의 버클이 우선 연결되고 이들 어깨 벨트(154,155)는 보모의 어깨에 구부러져 설치된다. 다음에, 도29에 도시되어 있듯이, 아기가 캐리어 본체(151)에 얹힌다.
이 경우, 아기의 등이 편평한 캐리어 본체(151)에 지지되므로 아기는 그 등이 쭉펴진 상태로 캐리어(150)내에 지지될수 있다. 그러나, 아기는 캐리어 본체(151)에 단순하게 배치된다. 아기는 보모가 아래로 몸을 굽힐 때 캐리어 본체(151)에서 빠져나와 떨어질수도 있다. 또한, 후방부(153)와 일체로 형성된 머리받침부(152)는 단지 후방부(103)의 연장부에 불과하며, 아기의 머리는 머리받침부(152)에 단순하게 배치된다. 그러므로, 어린 아이의 머리는 안정하게 지지될수 없다.
또한, 도30 내지 도33에 도시된 베이비 캐리어는 종래에는 측방 유지 및 상하 유지식 베이비 캐리어로 사용되었다. 이들 도면은 동일한 베이비 캐리어를 도시하며, 벨트 연결 장치를 전환하므로써 도30 및 도32에 도시된 측방 유지식 베이비 캐리어나 도31 및 도33에 도시된 상하 유지식 베이비 캐리어로서 사용될수 있다.
이 베이비 캐리어(200)는 아기의 머리와 등을 각각 지지하는 머리받침부(202)와 후방부(203)이 일체로 형성되는 캐리어 본체(201)를 구비한다. 캐리어 본체(201)에는 벨트(A-G)가 부착된다.
베이비 캐리어(200)가 아기를 측방에서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때, 도30에 도시하듯이, 벨트(C)의 선단은 체결구를 통해 벨트(A)에 결합되고 벨트(C)의 선단에서의 버클은 벨트(F)의 선단에서 연결된다. 다음에, 벨트(A)의 선단에서의 버클은 어깨 벨트(204)를 조립하기 위해 벨트(D)의 선단에서 버클에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아기는 캐리어 본체(201)에 놓이며, 어깨 벨트(204)는 보모의 한쪽 어깨위에 구부러져 설치된다(도32 참조). 다음에 벨트(E)가 보모의 히프 주위로 감기며 벨트(E)의 선단에서의 버클이 벨트(B)의 선단에 있는 버클에 연결되어서 허리 벨트(205)를 조립하므로써 캐리어 본체(201)를 보모의 히프위에 유지한다.
한편, 베이비 캐리어(200)가 아기를 상하 유지하는데 사용될때는 도31에 도시하듯이, 벨트(G)의 선단이 체결구를 통해 벨트(A)와 결합되고 벨트(A)의 선단에 있는 버클은 벨트(D)의 선단에 있는 버클에 연결되어 어깨 벨트(204')를 조립한다.
다음에, 아기가 캐리어 본체(201)에 놓일 때, 벨트(C,D)의 버클은 함께 연결되어 아기를 캐리어 본체(201)상에서 유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어깨 벨트(204')는 보모의 한쪽 어깨위에 구부러져 놓인다(도33 참조). 이후, 벨트(E)가 보모의 히프 주위로 감기고 벨트(E)의 선단에 있는 버클이 벨트(F)의 선단에 있는 버클에 연결되어서 허리 벨트(205')를 조립하므로써 캐리어 본체(201)를 보모의 히프상에 유지시킨다.
전술했듯이, 종래의 베이비 캐리어는 여러개의 벨트의 체결 상태를 변화시키므로써 측방 유지하거나 상하 유지하는데 사용되지만, 측방 유지와 상하 유지 사이의 벨트 변환 작업은 대단히 복잡하다. 또한, 아기가 측방으로 지지되면, 도32에 도시하듯이, 아기는 캐리어 본체(201)상에 단순하게 놓인다. 그러므로, 아기는 보모가 아래로 몸을 굽힐 때 떨어질수 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간단하게 조립될수 있는 베이비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아기가 일체식 캐리어형 베이비 캐리어에 측방 유지될 때 이 캐리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아기의 머리를 안정하게 그리고 단단히 베이비 캐리어내에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간단한 전환 조작으로 베이비 캐리어를 측방 유지와 상하 유지 사이에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의 도면을 참조로 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의 전개된 상태의 정면도.
도2는 베이비 캐리어의 전개 상태의 후면도.
도3은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의 평면도.
도4는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의 측면도.
도5는 사용중인 베이비 캐리어의 사시도.
도6은 사용중인 베이비 캐리어의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의 전개된 상태의 정면도.
도8은 베이비 캐리어의 전개 상태의 후면도.
도9는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의 평면도.
도10은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의 측면도.
도11은 측방 유지형태로 사용되는 베이비 캐리어의 개략도.
도12는 베이비 캐리어가 사용되는 동안 머리 지지 본체와 머리받침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13은 상하 유지형태로 사용되는 베이비 캐리어의 사시도.
도14는 상하 유지형태로 사용되는 베이비 캐리어의 측면도.
도15는 도13과 도14에서의 머리 지지 본체와 머리받침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개된 베이비 캐리어의 정면도.
도17은 전개된 베이비 캐리어 후면도.
도18은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의 평면도.
도19는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의 측면도.
도20은 사용되는 베이비 캐리어의 개략도.
도21은 베이비 캐리어의 머리 지지체의 수정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22는 달리 사용되는 베이비 캐리어의 측면도.
도23은 종래의 베이비 캐리어의 전개된 정면도.
도24는 종래의 베이비 캐리어의 전개된 후면도.
도25는 종래의 베이비 캐리어의 조립된 정면도.
도26은 그물형 베이비 캐리어의 정면도.
도27은 사용중인 그물형 베이비 캐리어의 개략도.
도28은 종래의 일체 캐리어형 베이비 캐리어의 정면도.
도29는 사용중인 종래 일체 캐리어형 베이비 캐리어의 개략도.
도30은 사용중인 종래의 측방 유지형 베이비 캐리어의 전개된 상태의 정면도.
도31은 사용중인 종래의 상하 유지형 베이비 캐리어의 전개된 상태의 정면도.
도32는 사용중인 종래의 측방 유지형 베이비 캐리어의 개략도.
도33은 사용중인 종래의 상하 유지형 베이비 캐리어의 도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비 캐리어 2 본체
3 전방 커버부 4 가랑이 커버부
5 후방 커버부 6,7 어깨 벨트
10,11 벨트 부재 12,13 버클
본 발명은 아기를 유지하면서 운반하기 위한 베이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제 1 특징에 따르면,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전방 커버부와 가랑이 커버부와 후방 커버부를 갖는 캐리어 본체를 구비하는 베이비 캐리어가 제공된다.
후방 커버부의 좌우측 단부에는 한쌍의 어깨 벨트가 제공되고 이들 어깨 벨트 각각의 선단에는 벨트 부재를 거쳐 버클이 제공된다. 전방부의 좌우측 단부에는 어깨 벨트의 버클과 착탈 결합될수 있는 버클이 벨트 부재를 통해 제공된다. 또한, 전방부의 좌우측 단부에는 후크 부재가 제공되며, 후방부에는 후크 부재와 착탈 결합될수 있는 적어도 한쌍의 링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의 베이비 캐리어를 조립할 때는 우선 캐리어 본체가 펼쳐지고 아기가 그 안에 놓여진다. 이 상태에서, 전방부는 아기의 몸통 쪽으로 접히며, 전방부의 양측부상의 후크 부재는 후방부상의 링부재와 결합된다. 그러므로, 가랑이부는 백형태로 조립되고 따라서 아기는 가랑이부의 내부에 유지된다.
다음에, 어깨 벨트의 버클은 전방부의 측부에서 버클과 결합되며, 어깨 벨트는 아기 보모의 어깨에 설치된다. 이러하므로, 베이비 캐리어는 조립되고, 아기는 베이비 캐리어내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조립시에, 보모는 전방부의 후크 부재를 후방부의 링부재와 결합시키기만 하면 된다. 베이비 캐리어의 조립은 매우 간단하다. 또한, 베이비 캐리어는 아기가 펼쳐진 캐리어 본체에 놓인채로 조립된다. 그러므로, 보모의 작업 로드는 과하지 않다. 더구나 어깨 벨트가 전방부의 측부에 배치되지 않고 후방부의 상부에 놓이므로, 어깨 벨트는 전방부상의 후크부재를 후방부상의 링부재와 결합할 때 방해물이 되지 않고 따라서 조립이 보다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의 베이비 캐리어는 전방부와 가랑이부와 후방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캐리어 본체와, 상기 캐리어 본체에 제공되는 어깨 벨트와, 아기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후방부에 제공되는 머리받침을 구비한다. 머리받침상에는 머리 지지체가 제공된다. 이 머리 지지체는, 머리받침부상에 중첩되고 그 바닥부만이 머리받침에 부착되는 머리 지지 본체와, 머리 지지 본체의 양 측부상에서 연장되고 그 선단부가 어깨 벨트 또는 후방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밴드형상부를 포함한다. 상기 머리 지지 본체는 머리받침으로부터 직립하도록 만들어지며 아기가 측방으로 지지될 때 아기 머리의 윗부분을 보호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아기가 베이비 캐리어내에 지지될 때, 아기 머리의 후방부는 머리받침에 의해 지지되며, 아기의 등은 편평한 캐리어 본체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아기는 그 등이 펴진채로 베이비 캐리어내에 유지될수 있다.
또한, 아기가 베이비 캐리어에 유지될 때, 아기의 가랑이는 캐리어 본체의 가랑이부에 의해 지지되고 그로 인하여 아기는 캐리어 본체의 전방부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머리 지지 본체는 머리받침으로부터 직립되어 아기머리의 윗부분을 보호한다. 따라서, 아기는 머리받침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되고 머리는 안전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는 아기의 전방과 가랑이와 후방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일체형의 전방부와 가랑이부및 후방부로 구성된 캐리어 본체를 구비한다. 후방부의 양측부에는 한쌍의 어깨 벨트가 제공되고 어깨 벨트의 선단에는 벨트 부재를 통해 버클이 배치된다. 전방부의 대향 단부에는, 어깨 벨트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수 있는 버클이 벨트 부재를 통해 제공된다. 후방부에는, 후크 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수 있는 한쌍의 링부재가 여러 쌍 제공된다. 후크 부재는 전방부의 대향 단부에 제공된다.
상기 후방부에는 아기 머리의 뒷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머리받침이 제공되고 머리받침에는 머리 지지체가 제공된다. 이 머리 지지체는, 머리받침상에 중첩되고 그 바닥부만이 머리받침에 부착되는 머리 지지 본체와, 머리 지지 본체의 양 측부상에서 연장되고 그 선단이 후방부 또는 어깨벨트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밴드형상부를 포함한다.
머리 지지 본체는 머리받침으로부터 직립하며 아기가 측방으로 유지될 때 아기 머리의 윗부분을 보호한다. 머리 지지 본체는 아기가 상하로 유지될 때 머리받침과 일체로 배치되어 아기 머리의 뒷부분을 지지한다.
또한, 머리 받침과 머리 지지 본체 각각에는 코어 부재가 삽입됨 이들 코어 부재는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에 아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아기는 캐리어 본체상에 배치된다. 이 조건에서, 전방부는 아기의 몸통쪽으로 접히며, 전방부의 양 측부상에 있는 후크 부재는 후방부상의 대응 링부재와 결합된다. 그러므로, 가랑이부는 아기의 가랑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백(bag)형태로 형성된다.
조립에 있어서, 베이비 캐리어를 측방 유지형태로 사용할 때, 전방부의 후크 부재는 후방부에서 하부 링 부재와 결합된다. 그 결과, 아기의 중심(center of gravity)이 캐리어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아기는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다.
반대로, 베이비 캐리어를 상하 유지형태로 사용할 때, 전방부의 후크 부재는 후방부에서 상부 링 부재와 결합된다. 그 결과, 베이비 캐리어의 가랑이부는 아기가 상하 방향으로 유지될 때 가랑이를 해치지 않고서 유지될수 있도록 보다 넓어진다.
다음으로, 어깨 벨트의 버클은 전방부의 버클과 결합된다. 머리 지지체의 밴드형 부분의 선단부는 후방부 또는 어깨 벨트에 부착된다. 이렇게 해서, 베이비 캐리어가 조립된다.
이 상태에서, 베이비 캐리어가 측방 유지형태로 사용될 때, 어깨 벨트는 번들화 되어 보모의 한쪽 어깨에 배치된다. 이 때, 아기의 가랑이는 전술했듯이 백형상 가랑이부에 의해 유지되며 그로 인하여 아기는 베이비 캐리어의 하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어깨 벨트가 보모의 어깨에 놓여질 때, 머리 지지 본체는 머리받침으로부터 직립하고, 그 바닥 주위로 돌아서 아기 머리를 지지하며 그로 인해 아기는 캐리어 본체의 상부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베이비 캐리어가 상하 유지형태로 사용될 때, 어깨 벨트는 보모의 어깨에 크로스로 걸린다. 이 때, 머리 지지체는 머리받침과 중첩하여 배치되고 아기 머리의 뒷부분은 머리 지지 본체와 머리받침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으로,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가 측방 유지 형태에서 상하 유지 형태로 전환될 때 전방부의 후크 부재는 후방부의 링부재로부터 제거되며 후크 부재는 후방부의 상부에 있는 링부재와 결합된다. 반대로,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가 상하 유지 형태에서 측방 유지 형태로 전환될 때, 전방부의 후크 부재는 후방부의 링부재로부터 제거되며, 후크 부재는 후방부의 하부 링부재와 결합된다.
이런 식으로,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르면, 베이비 캐리어를 측방 유지형태와 수직 유지 형태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것은 후크 부재와 링부재의 결합 및 분리에 의해서만 이루어질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른 베이비 캐리어는 아기의 복부, 가랑이, 등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일체형 전방부, 가랑이부, 후방부로 된 캐리어 본체를 구비한다. 본 베이비 캐리어는 또한 어깨 벨트와, 후방부에 제공되어 아기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 지지체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코어 부재로 조립되는 코어는 머리 지지체내로 삽입되며 머리 지지체의 전방부에는 보모의 손을 안내하기위한 벨트 피스가 제공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코어 부재의 부분들은 부분적인 상호 중첩 위치에 놓여 있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르면, 아기가 베이비 캐리어에 유지될 때 아기 머리가 머리 지지체에 의해 지지된다. 머리 지지체내의 제 1 및 제 2 코어 부재는 아기 머리의 크기 또는 기울어짐에 따라 선택적으로 그 각도가 변화한다.
예를 들어, 아기 머리가 상대적으로 작을때는 제 1 및 제 2 코어 부재의 각도가 더 커지고, 머리 지지체의 지지면이 아기 머리에 맞도록 구부러진다. 아기 머리가 상대적으로 클때는 제 1 및 제 2 코어 부재의 각도가 보다 작아지고 머리 지지체의 지지면이 거의 편평한 형상으로 된다. 이런 식으로, 머리 지지체는 아기 머리를 안전하고 단단하게 지지할수 있도록 아기 머리에 끼워질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머리 지지체의 전방부에는 보모의 손을 안내하기 위한 벨트 피스가 제공된다. 보모의 손을 이 벨트 피스와 머리 지지체 사이로 삽입하므로써 아기 머리는 보다 안전하게 지지될수 있다.
실시예
도1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베이비 캐리어를 도시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베이비 캐리어(1)는 아기의 복부와 가랑이와 등부분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전방 커버부(3)와, 좁은 가랑이 커버부(4)와, 후방 커버부(5)를 갖는 캐리어 본체(2)를 구비하며, 이들 커버부는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상향 연장되는 어깨 벨트(6,7)의 하단부는 후방부(5)의 상부 대향 단부에 연결된다. 어깨 벨트(6,7)상에는 상향 연장되는 벨트 부재(10,11)가 재봉된다. 상기 벨트 부재(10,11)는 어깨 벨트(6,7)의 상단부위로 이어지며 위쪽으로 더 연장되고 그 선단에는 원터치 버클(12,13)이 부착된다.
벨트 부재(10,11)는 후방부(5)의 대향 단부를 따라 아래로 연장되고, 가랑이부(4)의 중심부에서 상호 교차되며, 전방부(3) 아래로 더 하향 연장된다. 캐리어 본체(2)내의 이들 벨트 부재(10,11)는 캐리어 본체(2)에 재봉되어 있다.
벨트 부재(10,11)의 하단부에는 커버달린 버클(20,21)이 부착되어 있다. 이들 버클(20,21)은 원터치 버클(12,13)과 각각 착탈 결합될수 있는 원터치 버클(22,23)과, 원터치 버클(22,23)의 작동부를 커버하는 커버(24,25)로 구성된다.
후방부(5)에는 아기의 머리의 뒷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머리받침(8)이 제공된다. 후방부(5)에 있는 포켓(15)의 내부에는 머리 받침(8)의 하부가 접합직물( 또는 표면 체결구) 등에 의해 부착된다. 머리받침(8)내에는 코어(40)가 삽입된다.
전방부(3)의 하부에는 측방 연장되는 벨트 부재(30)가 연결된다. 벨트 부재(30)의 단부에는 후크 부재(31,32)가 부착된다. 후방부(5)와 포켓(15) 양측부에는 D형상 부재 쌍(28,28';29,29')이 부착된다. 후크 부재(31,32)는 이들 링부재와 착탈식으로 결합될수 있다.
상기 베이비 캐리어(1)를 조립하기 위하여, 우선 아기가 캐리어 본체(2)상에 놓인다. 이 상태에서, 전방부(3)가 아기의 몸통상에서 뒤로 접히고, 전방부(3)의 양 측부에 있는 후크 부재(31,32)가 후방부(5)에 있는 링부재(28,28')와 결합된다. 따라서, 가랑이부(4)는 백형태로 조립되고 아기는 가랑이부에 유지된다.
이 때, 도3에 도시하듯이, 아기(B)의 가랑이 사이는 가랑이부(4)의 좁은 폭으로 인하여 적절한 각도로 벌어진다. 이는 아기가 베이비 캐리어(1)내에 유지될 때 아기(B)의 가랑이 사이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
이후, 벨트 부재(10,11)의 상단부에 있는 원터치 버클(12,13)이 벨트 부재(10,11)의 하단부에 있는 대응 버클(20,21)과 결합된다. 이 경우, 버클(20,21)의 커버(24,25)가 개방된 상태로 원터치 버클(12,13)이 버클(22,23)과 결합되며, 결합후 커버(24,25)가 폐쇄된다.
다음으로, 보모는 두 개의 어깨 벨트(6,7)를 그 손에 쥐고 베이비 캐리어를 위로 들어올린다(도4참조). 도5와 도6에 도시되어 있듯이, 보모는 그녀의 어깨에 어깨 벨트(6,7)를 배치한다. 이런 식으로, 베이비 캐리어(1)가 조립되고 아기는 베이비 캐리어(1)내에 지지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비 캐리어(1)를 조립할 때, 보모는 전방부(3)의 후크 부재(31,32)를 후방부(5)의 링부재(28,28' 또는 29,29')와 결합시키기만 하면 된다. 그러므로, 조립 작업이 간단해진다. 더구나, 아기가 캐리어 본체(2)에 놓인 상태로 베이비 캐리어(1)가 조립될수 있으므로, 보모의 작업 로드가 가벼워진다.
또한, 어깨 벨트(6,7)가 전방부(3)의 측방에 배치되지 않고 후방부(5)의 측방에 배치되므로 어깨 벨트(6,7)는 후크 부재(31,32)를 링부재(28,28')와 결합시킬 때 방해가 되지 않으며 따라서 조립 작업은 더욱 쉬워진다.
도7 내지 도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베이비 캐리어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머리받침(8)에는 머리 지지체(9)가 제공되고 머리 지지체(9)는 머리 지지 본체(9a)와, 머리 지지 본체(9a)의 양 측부에 밴드형태로 형성되어 연장되는 밴드형상부(9b)로 구성된다. 머리 지지 본체(9a)는 아기 머리의 배치 측부에서 머리받침(8)에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배치되고 그 하단부(9c)는 머리받침(8)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머리 지지본체(9b)는 그 하단부(9c) 주위로 회전할수 있다.
이 밴드형상부(9b)의 선단에는 스냅 체결구(16,17)가 부착되며, 이들 체결구(16,17)는 후방부(5)의 상부의 대향 단부에 제공된 스냅 체결구(18,19)에 착탈될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18,19)는 어깨 벨트(6,7)의 바닥에 제공될수도 있다.
상기 밴드형상부(9b)의 길이와 체결구(18,19)의 위치는 어깨 벨트(6,7)가 보모의 어깨에 배치될 때 머리 지지 본체(9a)가 회전하여 머리받침(8)으로부터 만곡하여 상향 직립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머리 지지 본체(9a)는 아기 머리의 윗부분을 지지한다. 또한, 머리 지지 본체(9a)에는 머리받침(8)에서 코어(40)와 중첩되는 코어(41)가 삽입된다.
머리 지지 본체(9a)의 상부와 머리받침(8)의 하부에는 벨트 부재(14)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결된다. 벨트 부재(14)는 머리 지지 본체(9a)의 회전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또한, 아기를 측방 지지하기 위한 링부재(28,28')가 사용되고 아기를 상하 지지 하기 위한 링부재(29,29')가 사용된다. 이들 링부재의 개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측방지지 및 상하지지를 위한 여러 쌍의 링부재가 사용될수도 있다.
아기를 베이비 캐리어(1)내에 유지할때는 우선, 아기를 캐리어 본체(2)에 놓는다. 이 상태에서, 전방부(3)가 아기의 몸통에서 뒤로 접히고, 전방부의 양측부에 있는 후크 부재(31,32)가 후방부(5)에 있는 대응하는 링부재(28,28' 또는 29,29')와 결합된다. 그러므로, 가랑이부(4)가 백형태로 형성되고, 아기의 가랑이가 가랑이부(4)에 유지된다.
이 경우에, 베이비 캐리어(1)가 측방 지지를 위해 사용될때는 전방부(3)의 측부에 있는 후크 부재(31,32)는 후방부(5)에 있는 링 부재(28,28')와 결합된다. 그 결과, 아기의 중심은 아기를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캐리어 본체의 하부에 위치한다.
베이비 캐리어(1)를 상하 유지형태로 사용할 때, 후크 부재(31,32)는 상부 링 부재(29,29')와 결합된다. 그 결과, 캐리어 본체(2)의 가랑이 개방부가 넓어질수 있고 따라서 아기가 상하 방향으로 유지될 때 가랑이 사이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
다음으로, 머리 지지체(9)의 밴드형상부(9b)의 선단에 있는 스냅 체결구(16,17)는 후방부의 측부에 있는 두쌍의 체결구의 대응 체결구(18,19)와 결합된다(도9 참조). 이 때 체결구(18,19)는 유지될 아기의 머리 또는 몸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벨트 부재(10,11)의 상단부에 있는 원터치 버클(12,13)은 벨트 부재(10,11)의 하단부에서 커버에 의해 대응하는 원터치 버클(20,21)과 결합된다. 이런 식으로, 커버(24,25)가 개방되는 동안 원터치 버클(12,13)이 원터치 버클(22,23)과 결합되고, 이후 커버(24,25)가 폐쇄된다. 상기 베이비 캐리어(1)는 이런식으로 조립되고 아기는 베이비 캐리어(1)내에 유지된다.
다음으로, 베이비 캐리어(1)가 측방 유지 형태로 사용될 때 두 개의 어깨 벨트(6,7)가 번들화되고, 이 베이비 캐리어(1)는 들어올려지며(도10 참조), 도11에 도시되어 있듯이 두 개의 어깨 벨트(6,7)가 보모(P)의 한쪽 어깨에 만곡하여 배치된다. 이 때, 아기(B)의 가랑이가 전술했듯이 백형태로 가랑이부(4)에 유지되므로, 아기(B)는 캐리어 본체(2)의 하부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어깨 벨트(6)가 보모(P)의 어깨에 배치될 때, 머리 지지 본체(9a)는 머리받침(8)으로부터 직립하고 그 바닥부(9c)를 둘러싸며(도12 참조) 각도 α를 형성한다(도12 참조). 그러므로, 아기(B)의 머리의 윗부분은 머리 지지 본체(9a)에 의해 보호되고 아기(B) 머리의 측부는 밴드형상부(9b)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이 경우, 코어(40,41)가 머리받침(8)과 머리 지지 본체(9a)에 삽입되고, 그로 인하여 아기(B)의 등은 보다 펴진 방식으로 유지된다. 도11에 도시되어 있듯이, 베이비 캐리어(1)가 사용될때 보모(P)는 그녀의 손을 머리 지지 본체(9a) 외부에 놓을수 있다.
한편, 베이비 캐리어(1)가 상하 유지를 위해 사용될 때, 어깨 벨트(6,7)는 보모의 어깨로부터 크로스로 걸려있게 된다(도13 및 도14 참조). 이 때, 도15에 도시되어 있듯이, 머리 지지 본체(9a)는 머리받침(8)과 일체로 중첩되며, 아기(B) 머리의 뒷부분은 머리 지지 본체(9a)와 머리받침(8)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이 때, 머리 지지 본체(9a)에는 상호 중첩되는 코어(40,41)가 삽입되며 그로 인해 머리 지지 본체(9a)에 작용하는 아기(B)머리의 무게는 코어(40,41)의 중첩된 부분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으로, 베이비 캐리어(1)가 측방 유지 형태로부터 상하 유지 형태로 전환되면, 후크 부재(31,32)가 링부재(28,28')로부터 제거되어 링부재(29,29')와 결합된다. 반대로, 상하 유지형태에서 측방 유지 형태로 전환될때는 후크 부재(31,32)가 링부재(19,19')로부터 제거되고 링부재(28,28')와 결합된다. 따라서, 측방 유지와 상하 유지 사이에서의 전환은 후크 부재(31,32)를 링부재(28,28',29,29')와 결합 또는 결합해제하므로써 간단하게 이루어질수 있다.
전술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방 유지와 상하 유지 사이에서의 전환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다. 또한, 아기가 측방으로 유지될 때, 아기의 가랑이는 백형태 가랑이부에 의해 유지되며, 아기의 머리는 머리받침으로부터 만곡하여 직립하는 머리 지지 본체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측방 유지 동안에 아기가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수 있고, 아기의 머리는 머리받침(8)과 머리 지지체(9)에 의해 안전하고 단단하게 지지될수 있다.
도16 내지 도2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베이비 캐리어를 도시한다.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 지지체(9)가 후방부(5)의 상부에 제공된다. 머리 지지체(9)는 머리 지지 본체(9a)와 밴드형 연장부(9b)로 구성된다. 머리 지지 본체(9a)의 하부는 접착 직물(또는 표면 체결구) 등을 통해 후방부(5)에 제공된 포켓(15)의 내부에 부착된다. 머리 지지 본체(9a)에는 제 1 및 제 2 의 코어(40,41)가 삽입된다. 제 1 코어(40)의 상단부와 제 2 코어(41)의 하단부는 상호 중첩된다.
밴드형 연장부(9b)의 선단에는 스냅 체결구(16,17)가 부착되며, 이들 체결구(16,17)는 후방부(5)의 대향 단부에 부착된 체결구(18,19)와 착탈식으로 결합될수 있다. 체결구(18,19)는 어깨 벨트(6,7)의 하부에 부착될수 있다.
머리 지지체(9)의 표면에는 코어(40,41)의 중첩된 부분을 가로질러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 피스(14)가 제공된다. 벨트 피스(14)의 상, 하 단부는 헤드 지지 본체(9a)의 상부와 중심에 연결된다. 상기 벨트 피스(14)는 아기를 측방 지지할 때 보모의 손을 안내한다.
베이비 캐리어(1)의 조립은 제 2 실시예와 유사하다. 도18에 도시된 조립된 베이비 캐리어(1)가 측방 유지형태로 사용될 때 머리 지지체(9)에 있는 코어(40,41)는 아기(B)의 목의 기울어짐 또는 머리의 크기에 따라 그 교차각도를 달리한다.
예를 들면, 아기(B)의 머리가 비교적 작으면 각도가 더 커지고(도18 참조),머리 지지체(9)의 머리 지지면이 아기의 머리를 따라 구부러진다. 반대로, 아기(B)의 머리가 비교적 크면 각도가 보다 작아지고 머리 지지체(9)의 머리 지지면이 편평해진다(비도시).
이런 식으로 머리 지지체(9)는 아기의 머리를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아기(B)의 머리에 끼워질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보모가 벨트 피스(14)와 머리 지지체(9) 사이에 손을 넣을 때 아기의 머리가 보다 안전하게 지지될수 있다(도20 참조).
또한, 아기(B)가 베이비 캐리어(1)내에 유지될 때 제 1 및 제 2 코어(40,41)가 부분적으로 중첩되므로, 머리 지지체(9)는 아래쪽으로 보다 덜 구부러지며 따라서 아기(B)의 머리는 머리 지지체(9)에 의해 보다 단단히 지지된다.
제 1 및 제 2 코어(40,41)는 반드시 중첩하지는 않는다. 이 경우에 아기가 베이비 캐리어에 유지될 때 코어(40,41)는 도21에 도시하듯이 교차되며 머리 지지체의 머리 지지면은 만곡된다.
또한, 도22에 도시하듯이 베이비 캐리어(1)는 상하 유지를 위해 사용될수 있다. 이 경우에 제 1 및 제 2 의 코어(40,41)는 거의 직선으로 배치되며 머리 지지체(9)의 머리 지지면은 거의 편평하다.
상기한 베이비 캐리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은 베이비 캐리어가 캐리어 본체를 갖는한 다양한 형태로 베이비 캐리어에 적용될수 있다.
당업자라면 전술한 기술내용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측면에서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비제한 적이고,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내용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구조, 시퀀스, 재료의 수정이 얼마든지 가능함을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아기를 유지하면서 운반하기 위한 베이비 캐리어로서,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전방 커버부와 가랑이 커버부및 후방 커버부를 구비하는 캐리어 본체와,
    상기 후방 커버부의 대향 단부에 제공되며 그 선단에는 제 1 벨트 부재를 통해 제공되는 제 1 버클을 갖는 한쌍의 어깨 벨트와,
    상기 제 1 버클과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제 2 벨트 부재를 통해 전방 커버부의 대향 단부에 제공되는 제 2 버클과,
    상기 전방 커버부의 대향 단부에 제공되는 후크 부재와,
    상기 후크 부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후방 커버부에 제공되는 한쌍 이상의 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벨트 부재는 캐리어 본체 내에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3. 아기를 유지하면서 운반하기 위한 베이비 캐리어로서,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전방 커버부와 가랑이 커버부및 후방 커버부를 구비하는 캐리어 본체와,
    상기 캐리어 본체에 제공되는 어깨 벨트와,
    상기 후방 커버부에 제공되어 아기 머리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머리받침과,
    상기 머리받침에 제공되는 머리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 지지체는, 상기 머리 받침과 중첩되고 그 하부만이 머리받침에 부착되는 머리 지지 본체와, 상기 머리 지지 본체의 양 측부상에서 측방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부가 후방 커버부 또는 어깨 벨트에 부착되는 밴드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머리 지지 본체는 머리받침으로부터 직립하고 측방 지지중에 아기 머리의 윗부분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각각 머리받침과 머리 지지 본체내로 삽입되며 상호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5. 아기를 유지하면서 운반하기 위한 베이비 캐리어로서,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전방 커버부와 가랑이 커버부및 후방 커버부를 구비하는 캐리어 본체와,
    상기 후방 커버부의 대향 단부에 제공되며 그 선단에는 제 1 벨트 부재를 통해 제 1 버클이 제공되는 한쌍의 어깨 벨트와,
    상기 제 1 버클과 착탈식으로 결합하며 제 2 벨트 부재를 통해 상기 전방 커버부의 대향 단부에 제공되는 제 2 버클과,
    상기 전방 커버부의 대향 단부에 제공되는 후크 부재와,
    상기 후크 부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고 후방 커버부에 제공되는 여러쌍의 링부재와,
    상기 후방 커버부에 제공되어 아기 머리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머리받침과,
    상기 머리받침에 제공되는 머리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 지지체는, 상기 머리 받침과 중첩되고 그 하부만이 머리받침에 부착되는 머리 지지 본체와, 상기 머리 지지 본체의 양 측부상에서 측방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부가 후방 커버부 또는 어깨 벨트에 부착되는 밴드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머리 지지 본체는 머리받침으로부터 직립하고 아기의 측방 지지중에 아기 머리의 윗부분을 보호하며, 상기 머리 지지 본체는 머리받침과 일체로 배치되어 아기의 상하 지지 도중에 아기 머리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벨트 부재는 캐리어 본체 내에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7. 아기를 유지하면서 운반하기 위한 베이비 캐리어로서,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전방 커버부와 가랑이 커버부및 후방 커버부를 구비하는 캐리어 본체와,
    상기 캐리어 본체에 제공되는 어깨 벨트와,
    상기 후방 커버부에 제공되어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체와,
    상기 머리 지지체에 제공되며 제 1 및 제 2 부재로 구성되는 코어와,
    상기 머리 지지체의 앞면에 제공되어 보모의 손을 안내하는 벨트 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코어 부재는 부분적인 중첩 위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캐리어.
KR1019980004687A 1997-02-17 1998-02-17 베이비 캐리어 KR100257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965097A JP3491800B2 (ja) 1997-02-17 1997-02-17 ベビーキャリア
JP97-49650 1997-02-17
JP05107797A JP3491801B2 (ja) 1997-02-18 1997-02-18 ベビーキャリア
JP97-51077 1997-02-18
JP97-62473 1997-02-28
JP9062473A JPH10234531A (ja) 1997-02-28 1997-02-28 ベビーキャリア
JP97-110218 1997-04-10
JP11021897A JP3491802B2 (ja) 1997-04-10 1997-04-10 ベビーキャリ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399A true KR19980071399A (ko) 1998-10-26
KR100257802B1 KR100257802B1 (ko) 2000-06-01

Family

ID=27462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687A KR100257802B1 (ko) 1997-02-17 1998-02-17 베이비 캐리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45018A (ko)
EP (1) EP0860127B1 (ko)
KR (1) KR100257802B1 (ko)
CN (1) CN1119965C (ko)
DE (1) DE69823899T2 (ko)
TW (1) TW35872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99B1 (ko) * 2004-04-30 2007-06-18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및 이를 이용한 베이비 캐리어
US10441090B2 (en) 2015-01-15 2019-10-15 Lillebaby, Llc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8982B2 (ja) * 1998-01-28 2008-08-27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ベビーキャリアおよびベビーキャリア用ヘッドサポート
US6398088B1 (en) * 2001-03-12 2002-06-04 Diane Burke Baby holding and feeding apparatus
FR2822042B1 (fr) * 2001-03-13 2003-05-16 Lafuma Sa Porte-bebe modulaire
US6595396B2 (en) * 2001-05-25 2003-07-22 Quinn L. Cummings Apparatus for carrying an infant
NO318089B1 (no) * 2001-07-13 2005-01-31 Stokke As Baeresele
US7168600B2 (en) * 2001-07-20 2007-01-30 Choon Hwa Hwang Baby carrier
WO2003020083A1 (en) * 2001-09-03 2003-03-13 Margit Krogh A harness for carrying
JP4391347B2 (ja) * 2004-07-12 2009-12-24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子守帯
AU2006263324A1 (en) * 2005-06-27 2007-01-04 Ronit Bachar Baby and toddler carrier
US9179758B2 (en) * 2005-12-16 2015-11-10 Kolcraft Enterprises, Inc. Child carrier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20080087694A1 (en) * 2006-10-12 2008-04-17 Audra Meng Hands-free baby carrier
DE202007006204U1 (de) 2007-04-27 2008-09-04 Schachtner, Petra Tragevorrichtung
FI20075641L (fi) * 2007-09-13 2009-03-14 Babyidea Oy Järjestely kantovälineen korkeuden säätämiseksi
US9144323B2 (en) * 2007-09-13 2015-09-29 Babyidea Oy Arrangemen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a carrying section of a child carrier
JP5442225B2 (ja) * 2008-07-25 2014-03-12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キャリア装置
US20120241487A1 (en) * 2011-03-23 2012-09-27 Elizabeth Zack Multifunction infant carrier
SE536591C2 (sv) * 2012-07-12 2014-03-11 Babybjoern Ab Barnbärsele
US9314111B2 (en) 2012-09-21 2016-04-19 BityBean LLC Convertible child carrier
US10555620B2 (en) 2017-02-10 2020-02-11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US11389011B2 (en) 2017-02-10 2022-07-19 The Boppy Company, Llc Newborn carrier
US10264894B2 (en) 2017-02-10 2019-04-23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system
US10264895B2 (en) 2017-02-22 2019-04-23 Kolcraft Enterprises, Inc. Adjustable child carriers
SE542422C2 (en) * 2017-12-14 2020-04-28 Babybjoern Ab Baby carrier with adjustable head support
CN110384365A (zh) * 2018-04-19 2019-10-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抱婴带
WO2020102152A1 (en) * 2018-11-12 2020-05-22 Sandra Manouchehri Baby carrier wrap
USD882244S1 (en) 2018-12-28 2020-04-28 The Boppy Company, Llc Baby carrier with ties
US10912394B1 (en) * 2019-07-16 2021-02-09 Mary Elizabeth Young Baby carrier system having a selectively changeable waist strap
USD910309S1 (en) 2019-07-24 2021-02-16 The Boppy Company, Llc Component for baby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45820A (fr) * 1967-09-27 1968-11-15 Sac de portage pour bébés
US5071047A (en) * 1990-06-04 1991-12-10 Claire Cordisco Baby carrier
US5205451A (en) * 1992-01-27 1993-04-27 Manzer Donna S Infant carrier
US5246152A (en) * 1992-07-10 1993-09-21 Dotseth Junice A Baby carrier with head support
FR2701367B1 (fr) * 1993-02-11 1995-03-31 Allegre Puericulture Sa Porte-bébé.
EP0704183A3 (en) * 1994-09-28 1996-07-24 Aprica Kassai Kk Child carrier
JPH08150051A (ja) * 1994-09-28 1996-06-11 Aprica Kassai Inc 乳幼児キャリア
DE9419975U1 (de) * 1994-12-14 1995-02-09 Eckert Gmbh Werk Fuer Kinderau Kindertragevorrichtung
JP3523387B2 (ja) * 1995-09-13 2004-04-26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幼児キャリア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99B1 (ko) * 2004-04-30 2007-06-18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및 이를 이용한 베이비 캐리어
US10441090B2 (en) 2015-01-15 2019-10-15 Lillebaby, Llc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0127A2 (en) 1998-08-26
DE69823899D1 (de) 2004-06-24
CN1205192A (zh) 1999-01-20
EP0860127B1 (en) 2004-05-19
CN1119965C (zh) 2003-09-03
US6045018A (en) 2000-04-04
KR100257802B1 (ko) 2000-06-01
TW358720B (en) 1999-05-21
EP0860127A3 (en) 2000-01-05
DE69823899T2 (de) 200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802B1 (ko) 베이비 캐리어
JP4138982B2 (ja) ベビーキャリアおよびベビーキャリア用ヘッドサポート
JP3856625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ES2400402T3 (es) Dispositivo de transporte
US6105165A (en) Pop-out baby/adult bib
US5800368A (en) Sleeping device for infants having trachea malacia and/or gastro-intestinal reflux
EP1616510A1 (en) Nursery band
JP2007503879A (ja) 外囲システムを備えたベビーキャリア
JP2010524605A5 (ko)
JP2004154468A (ja) ベビーホルダー
JP3491800B2 (ja) ベビーキャリア
JP3491801B2 (ja) ベビーキャリア
US7686391B2 (en) Cover for an infant seat
KR0121870Y1 (ko) 안는 기구의 기능을 구비한 배낭
JP4149833B2 (ja) ベビーホルダー
JP3491802B2 (ja) ベビーキャリア
JP3115561U (ja) 乳幼児の抱っこ用又はおんぶ用覆い
JPS6127492Y2 (ko)
KR0121869Y1 (ko) 안는 기구를 병용할 수 있는 배낭
KR20070033251A (ko) 슬링식 아기띠
KR100985709B1 (ko) 시트가 부착된 유아용 안전 담요
KR20070033250A (ko) 슬링식 아기띠
JP2005312772A (ja) 子守帯
KR20090009143U (ko) 유아용 포대기 겸용 아기보호덮개
JP2005052474A (ja) 子守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