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870Y1 - 안는 기구의 기능을 구비한 배낭 - Google Patents

안는 기구의 기능을 구비한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870Y1
KR0121870Y1 KR2019930018364U KR930018364U KR0121870Y1 KR 0121870 Y1 KR0121870 Y1 KR 0121870Y1 KR 2019930018364 U KR2019930018364 U KR 2019930018364U KR 930018364 U KR930018364 U KR 930018364U KR 0121870 Y1 KR0121870 Y1 KR 0121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pack
attached
belt
waist belt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8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914U (ko
Inventor
쥰이치 히구치
Original Assignee
쥰이치 히구치
락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쥰이치 히구치, 락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쥰이치 히구치
Publication of KR9500079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9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8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2003/045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and one additional strap around the waist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낭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배낭과 안는 기구를 병용할 수 있는 배낭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배낭본체에 안는 기구 수납부를 구성하고, 이 수납부에 안는 기구의 허리벨트를 부착한다. 허리벨트 앞쪽에 유아지지부를 부착하고 유아지지부 상단에서 뻗은 벨트선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을, 배낭의 어깨걸이벨트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에 끼워맞출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배낭과 안는 기구를 위화감없이 병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는 기구의 기능을 구비한 배낭
제 1도는 안는 기구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낭의 사시도,
제 2도는 배낭에서 안는 기구를 꺼낸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배낭의 어깨걸이 벨트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제 3도는 배낭과 안는 기구 쌍방을 사용한 상태의 사시도,
제 4도는 걸기용 버클의 부착위치를 어깨걸이벨트 상단부 가까이로 이동한 태양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
제 5도는 배낭의 어깨걸이 벨트에 부착하는 걸기용 버클의 부착태양을 변경한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
제 6도는 또 다른 구조의 안는 기구를 배낭에 부착한 예를 나타내는 배낭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배낭 B:안는 기구
1:배낭 본체 2:어깨걸이벨트
21,22,51,52:걸기용 버클 3:벨트의 길이조절용 부품
4:안는 기구 수납부 5:허리벨트
6:유아지지부 61:유아지지밸트
62:등받이천 63:배면지지용 벨트
64:유아의 보호벨트 7:허리벨트의 삽통부
9:슬라이드 파스너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배낭 기능과 안는 기구의 기능을 함께 가지는 안는 기구를 구비한 배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배낭은 자루모양으로 형성한 배낭본체 전면에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두가닥의 어깨걸이벨트를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을 뿐이고, 물품수납의 기능 이외의 기능을 갖춘 것은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았다.
또,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안는 기구도 사용자의 전면에서 유아를 안도록 구성하고 있을뿐이며, 복수기능을 갖춘 것으로는 업는 기구와 안는 기구를 겸용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을 뿐이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배낭을 사용하고 있을 때에 유아를 안을 필요가 생겼을 경우, 배낭과 안는 기구를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면 배낭에 부착된 어깨걸이벨트 위에 안는 기구에 부착한 어깨걸이벨트를 이중으로 거는 상태가 되어 사용자에게 심한 위화감을 주는 외에 매우 부자연스러운 사용태세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배낭사용을 중지하고, 안는 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같은 상태가 되면 사용을 중지한 배낭은 사용자가 손에 들고 휴대하지 않으면 안되어, 수하물이 증가되는 불편이 있었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에 대응하고자 하는 것으로, 배낭 하부에 형성한 수납부에 안는 기구를 수용하고, 필요에 따라 배낭의 수용부에서 안는 기구를 꺼내어 배낭과 동시에 안는 기구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안는 기구의 기능을 구비한 배낭을 제공하고자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낭에 본래적으로 장비되어 있는 어깨걸이벨트 일부에 안는 기구를 구성하는 어깨걸이벨트 선단부를 걸므로써, 사용자의 어깨에 두가닥의 어깨걸이벨트가 동시에 걸리는 문제점을 회피하고, 아주 사용감이 우수한 안는 기구의 기능을 갖춘 배낭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고안의 요점]
본 고안은 자루모양으로 구성한 배낭본체 전면에 상하 양단에 길이조절을 자유롭게 행하는 두가닥의 어깨걸이벨트 양단부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배낭하부에 안는 기구의 수납부를 형성하고, 이 안는 기구 수납부에 길이조절을 자유롭게 행하는 허리벨트를 부착하고, 허리벨트의 전면 중앙부에 유아 지지체의 기단부를 부착하고, 유아 지지체 선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을 배낭 어깨걸이벨트 중단부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에 착탈자유롭게 끼워지도록 구성한 안는 기구의 기능을 구비한 배낭의 구조를 고안의 요점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제 1도 내지 제 3도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고, 제 4도와 제 5도는 제 1실시예 일부를 변경한 예를 나타내고, 제 6도는 제 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부호 (A)로 표시하는 배낭은 주지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자루모양으로 구성한 배낭본체(1)의 전면 상단에 두가닥의 어깨걸이벨트(2,2)의 상단부를 부착하고, 어깨걸이 벨트(2,2)의 하단부는 배낭본체(1)의 전면 하단부에 부착하고 있다.
두가닥 어깨걸이벨트(2,2)는 사용자의 체형, 신장 등에 합치하고 최적의 사용상태를 부여하기 위하여 벨트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부품(3,3)을 부착하고 있다.
21,21은 어깨걸이벨트(2,2)의 중간부분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로서, 안는 기구(B)에 부착한 유아지지벨트(61,61)선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22,22)을 착탈자유로이 끼우기 위한 것이다.
4는 배낭본체(1)의 하부에 개폐자유롭게 형성한 안는 기구(B)의 수납부로, 콤팩트하게 접은 안는 기구(B)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자루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는 기구(B)는 허리벨트(5)와, 허리벨트(5) 전면에서 위쪽으로 뻗는 유아지지부(6)로 구성되어 있다.
허리벨트(5)는 길이조절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그 양단에는 서로 끼워 맞춤하는 걸기용 버클(51,52)을 부착하고 있다.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유아지지부(6)는 하단부를 허리벨트(5) 선단부에 고정함과 동시에 위쪽을 향하여 V자형상으로 뻗는 두가닥의 유아지지벨트(61,61)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두가닥의 유아지지벨트(61,61)의 하부에 만들어지는 V자형상의 사이 부분에는 유아의 배면을 안정하게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천(62), 또는 배면지지용 벨트(63)를 걸쳐두고 있다.
64는 두가닥의 유아지지벨트(61,61)사이에 걸쳐 있는 유아보호벨트이고, 유아지지부(6)에 유지된 유아의 앞가슴부분에, 길이조절을 자유롭게 한 벨트를 걸쳐둠으로써 유아지지부(6)와 보호벨트(64)사이에 유아를 정확하게 유지하고, 난폭한 움직임을 했을때라도 유아가 안는 기구(B)에서 전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유아지지벨트(61,61)의 선단에는 걸기용 버클(22,22)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걸기용 버클(22,22)은 배낭의 어깨걸이벨트(2,2)의 중간부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21,21)과 착탈자유롭게 끼우기 위한 것으로, 이들 걸기용 버클은 한편의 걸기용 버클을 수 (雄)구조로서 구성하고, 다른편 걸기용 버클을 암구조로 하여 자유로이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걸기용 버클의 구조는 버클구조로서 주지된 것으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7은 안는 기구(B) 수납부(4)에 형성한 허리벨트의 홀더이고, 옆으로 긴 통상으로 형성한 것의 기단부를 수납부(4)에 바느질하여 꿰매 붙이고 통형상체 내측에 삽통한 허리벨트(5)가 홀더(7) 내부를 자유로이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안는 기구 수납부(4)에 부착한 허리벨트 삽통부(7)는 본 고안에 있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허리벨트(5) 일부를 허리벨트이 홀더(7)에 고정한 구성(도시않음)으로 하는 것이나, 허리벨트(5) 일부를 안는 기구 수납부(4)에 직접적으로 고정하는 것(도시않음)도 자유이다. 그러나, 제 2도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허리벨트 삽통부(7)를 형성하고, 이 삽통부(7)에 허리벨트(5)를 삽통시킨 구조를 채용하면 안는 기구(B)를 사용할때 허리벨트(5)에 부착한 유아지지부(6)가 사용자의 신체 전면 중앙부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바른 자세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배낭의 어깨걸이벨트(2,2)에 부착되는 걸기용 버클(21,21)의 부착위치는 제 1도와 제 3도에 예시한 위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가령 제 4도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걸기용 버클(21,21)을 배낭 전면 상단부(어깨걸이벨트(2) 상단부 가까이)에 부착하는 구조로 하거나, 혹은 제 5도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어깨걸이벨트(2) 상단부에 다른 벨트(2')를 부착하고, 이 벨트(2') 선단에 걸기용 버클(21)을 부착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부호 9는 안는 기구(B) 수납부(4)에 부착한 슬라이드 파스너이고, 이 슬라이드 파스너(9)의 개폐에 의해 안는 기구(B)를 넣거나 뺄 수 있다.
제 6도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의 안는 기구(B)는 허리벨트(5) 선단에 부착되는 유아지지부(6) 구조와, 하단부에 유아의 다리부를 삽통시키기 위한 개구부(8,8)를 형성하여 자루모양으로 구성되며, 자루모양으로 구성한 유아지지부(6) 내측 상단에 유아지지벨트(61,61)를 부착하고, 이 유아지지벨트(61) 선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22,22)을, 배낭의 어깨걸이벨트(2,2)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21,21)에 끼우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타의 구조부분은 제 1실시예에 예시하는 것과 동일하다.
[고안의 효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것으로, 유아를 안을 필요가 없을 때는 제 1도의 예시와 같이 안는 기구(B)는 수납부(4)에 콤펙트하게 수납되고 종전의 공지 배낭과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 유아를 안고 싶을 때는 안는 기구(B)를 수납부(4)에서 꺼내어 허리벨트(5)를 사용자의 허리에 감아서 장착한 다음 두가닥의 유아지지벨트(61,61)에 의해 구성되는 지지부에 유아를 수용하고 두가닥의 유아지지벨트(61,61) 선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22,22)을, 배낭의 어깨걸이벨트(2,2)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21,21)에 끼우는 것만으로 배낭과 안는 기구(B) 양쪽을 동시에, 그것도 매우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제 3도 참조).
특히 본 고안은 배낭(A)과 안는 기구(B) 쌍방을 동시에 사용할 때 사용자의 어깨에는 배낭(A)에 부착된 어깨걸이벨트(2,2)만이 걸어 고정되고, 안는 기구(B)에 부착한 두가닥의 유아지지벨트(61,61)는 그 선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22,22)이 배낭의 어깨걸이벨트(2,2) 중간부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21,21)과 끼워 맞추어져 있을 뿐이어서 배낭에 부착된 어깨걸이띠위에 안는 기구의 어깨걸이띠를 이중으로 덧받치는 부자연스러운 사용상태를 회피할 수 있어 우수한 사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제 3도 참조).
또, 본 고안의 허리벨트(5)를 안는 기구(B) 수납부(4)에 부착된 허리벨트 삽통부(7)에 삽통시킬 때는 허리벨트(5)의 전면 중앙부에서 위쪽으로 뻗는 두가닥의 유아지지벨트(6,6)의 부착기단부가 사용자의 전면 중앙에 정확하게 위치조정될 수 있게 되어 우수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배낭본체의 전면 상하 양단에 두가닥의 어깨걸이벨트 양단부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배낭에 안는 기구 수납부를 형성하고, 안는 기구 수납부에 안는 기구의 허리벨트를 부착하고, 허리벨트 전면에 두가닥의 유아지지용 벨트기단부를 부착하고, 두가닥의 유아지지용 벨트 선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을 배낭의 어깨걸이벨트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에 착탈자유로이 끼워맞출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는 기구의 기능을 구비한 배낭.
  2. 배낭본체의 전면 상하 양단에 두가닥의 어깨걸이벨트 양단부를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배낭에, 안는 기구 수납부를 형성하고, 안는 기구 수납부에 안는 기구의 허리벨트를 부착하고, 허리벨트 전면으로 하단부에 유아의 다리부를 삽통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한 자루모양의 유아지지부를 부착하고, 자루모양의 유아지지부 내측상단에 두가닥의 유아지지벨트를 부착하고, 두가닥의 유아지지벨트 선단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을 배낭 어깨걸이 벨트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에 착탈자유로이 끼워맞출 수 있게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는 기구의 기능을 구비한 배낭.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배낭의 어깨걸이벨트에 부착한 걸기용 버클이 배낭 상단에 부착되고, 혹은 배낭 상단부에 뻗은 다른 벨트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는 기구의 기능을 구비한 배낭.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안는 기구의 허리벨트가 배낭의 안는 기구 수납부에 부착된 루프상 내지 허리벨트 삽통부에 미끄럼 이동 자유롭게 삽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는 기구의 기능을 구비한 배낭.
  5.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안는 기구의 허리벨트가 배낭의 안는 기구 수납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는 기구의 기능을 구비한 배낭.
KR2019930018364U 1992-10-22 1993-09-14 안는 기구의 기능을 구비한 배낭 KR012187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79437 1992-10-22
JP1992079437U JPH0727870Y2 (ja) 1992-10-22 1992-10-22 抱き具の機能を具えたリュックサ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914U KR950007914U (ko) 1995-04-15
KR0121870Y1 true KR0121870Y1 (ko) 1998-08-01

Family

ID=1368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8364U KR0121870Y1 (ko) 1992-10-22 1993-09-14 안는 기구의 기능을 구비한 배낭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27870Y2 (ko)
KR (1) KR01218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550B1 (ko) * 2019-11-29 2020-12-23 김태형 인명 구조용 배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534A (ko) * 2000-07-21 2002-01-31 황춘화 아기포대기
KR200310434Y1 (ko) * 2003-01-23 2003-04-14 주식회사 나스켐 시트가 구비된 배낭
JP5442225B2 (ja) * 2008-07-25 2014-03-12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キャリア装置
KR101486809B1 (ko) * 2013-07-20 2015-01-28 박상태 아기 보호대가 구비된 가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550B1 (ko) * 2019-11-29 2020-12-23 김태형 인명 구조용 배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45532U (ja) 1994-06-21
KR950007914U (ko) 1995-04-15
JPH0727870Y2 (ja) 1995-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5666A (en) Waist bag
US7464423B2 (en) Convertible nursing bag
JP3856625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US5730340A (en) Fanny pack with child's toy retaining assembly
US5407111A (en) Sports accessory bag with convertible suspension means
US8092087B2 (en) Bag with adjustable strap adapted to be carried on shoulders or back
US5005744A (en) Adjustable backpack
US10939744B2 (en) Convertible infant carrier backpack system
KR20060105446A (ko) 유아 보호띠
US5373980A (en) Lens case with selective circumferential compression
KR0121870Y1 (ko) 안는 기구의 기능을 구비한 배낭
KR0121869Y1 (ko) 안는 기구를 병용할 수 있는 배낭
JPH0737531Y2 (ja) 抱き具の機能を併有するリュックサック
JP4530816B2 (ja) 背負い式かばん
JP3925923B2 (ja) 乳幼児用スリング
JPH0515251Y2 (ko)
JP2969243B2 (ja) 子守用しょいこ付きリュックサック
JP2527154Y2 (ja) 抱き具を併用できるリュックサック
JP2559235Y2 (ja) ウェストバック兼用幼児抱き具
JPH0737532Y2 (ja) 抱き具の機能を具えたリュックサック
KR970002163Y1 (ko) 아기 멜빵
KR20200111649A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앞치마
JP3523385B2 (ja) 乳幼児キャリアおよびカバー付バックル
JP3116742U (ja) ベビーホルダー
JP2813951B2 (ja) 子守用しょいこ付きウエスト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